KR19990085494A -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494A
KR19990085494A KR1019980017940A KR19980017940A KR19990085494A KR 19990085494 A KR19990085494 A KR 19990085494A KR 1019980017940 A KR1019980017940 A KR 1019980017940A KR 19980017940 A KR19980017940 A KR 19980017940A KR 19990085494 A KR19990085494 A KR 1999008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link
processor
bs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봉
이동섭
강정숙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1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494A/ko
Publication of KR1999008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94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운용기(BSM)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이 링크가 정상이 되어 인 서비스될 때 데이터의 손실없이 정확한 기지국의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 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GUI일치방법에 관한 것으로,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된 후 다시 정상 링크가 되어 인 서비스되면 제어국 프로세서로부터 중계선 링크의 재연결 보고를 받는 단계, 인 서비스 메시지와 함께 정상 중계선 링크인 E1 또는 T1트렁크를 BSM이 보고 받아 이 링크를 BSM의 데이터 베이스 및 GUI화면에 갱신하여 주고 정상링크를 통해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는 단계,BSM은 기지국 프로세서가 일정시간(T1)안에 응답하는가를 판단하여, 응답이 오면 링크가 연결이 안된 동안 변경된 기지국의 각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의 상태를 요구하고 BSM내의 GUI화면을 초기화한 후 변경내용을 GUI화면에 적용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설정시간(T1)안에 응답이 오지 않은 경우 몇번(N1)동안 반복하여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는 단계,적절한 슬리프주기(T2)를 주어 시간 간격을 두고 총 T1×N1×T2동안에 응답이 없으면 기지국 프로세서가 비정상적인 경우로 간주하고 기지국내의 다른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무시하도록 운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 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운용기(BSM:Base Station Manager)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Out Of Service)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이 링크가 정상이 되어 인 서비스(In Sevice)될 때 데이터의 손실없이 정확한 기지국의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 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함)일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SM의 GUI화면 및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기지국의 여러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주기적 혹은 이벤트 발생시마다 업데이트하고 있는데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상태가 되면 즉, 정상적인 링크가 없으면 기지국의 상태를 알 수 없게 된다.
다시 이 링크가 정상이 되어 인 서비스될 때 기지국의 상태를 다시 보고 받을 수 있게 되더라도 링크가 불안정하면 데이터를 손실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현재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 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며 두 시스템의 중계선 재연결시 끊어진 하위 시스템의 상태변경 내용을 상위 시스템이 관리하고자 할 때 응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기지국 중계선 링크가 모두 비정상적이어서 아웃 오브 서비스가 되었다가 인 서비스가 될 때 중계선이 연결안된 동안 BSM에 보고되지 못했던 기지국의 변경상태를 바로 일괄적으로 보고 받았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는,기지국 변경상태를 링크가 정상이되자마자 일괄적으로 보고 받음으로 중계선 링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만일 중계선 링크가 불안정하거나 기지국 프로세서가 비정상일 경우 BSM에서 데이터를 받지 못하거나 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때 BSM에서는 링크가 정상적이라는 사실만을 보고받은 상태이므로 변경된 내용에 대한 보고 데이터가 소실되어도 이를 알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GUI화면은 초기화상태로 남아 있고 기지국 상태는 변경이 안된채로 계속 남아 있게 되므로 운용자는 기지국의 상태를 오인하여 해당 기지국 관리를 잘못하기 쉬워 기지국의 상태가 재구성이 안되어 직접 기지국에 가서 확인해야 할 경우가 생기므로 시간과 인원의 낭비 및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모두 비정상이어서 아웃 오브 서비스가 되었다가 인 서비스상태가 될 때 기지국에 대한 BSM GUI화면을 초기화하지 않고 이 링크에 기지국 프로세서의 상태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를 보고받을 경우에 초기화를 하고 보고 받지 못할 경우에는 기지국 프로세서의 상태만 비정상으로 표시하며, 일정간격의 시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다시 기지국 프로세서의 상태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를 보고받을 경우에만 기지국 전 상태에 대한 변경 내용을 요구하여 링크가 불안정한 동안 기지국 변경상태 메시지가 전송되어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 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GUI일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BSM 20:GCIN
30:LCIN 40:BIN
50:CCP 60:BCP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제어국사이에 링크가 모두 이상이 생겼다가 다시 정상일 될 경우 링크의 이상시에는 제어국 또는 BSM에서 기지국의 상태를 제어할 수 없으므로 링크가 정상상태로 환원되었을 때 기지국으로부터 그동안 변경된 사항을 보고 받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로,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의 주요 프로세서와 이를 연결시켜 주는 라우터 등을 나타낸 것으로,이에 도시된 바와같이,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 및 기지국을 관리하여주고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주는 BSM(10)과,상기 BSM(10)과 여러 제어국 사이를 라우팅하여 주는 GCIN(Gateway CDMA Interconnection Network)(20)과,제어국내의 프로세서들 및 기지국과 연결되어 라우팅하여주는 LCIN(Local CDMA Interconnection Network)(30)과,제어국과 기지국을 연결시키고 기지국의 프로세서들에게 라우팅시키는 BIN(BIN CDMA Interconnection Network)(40)과,상기 LCIN(30)과 연결되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인 CCP(Call Control Processor)(50)와,상기 BIN(40)과 연결되는 기지국 프로세서인 BCP(BTS Control Processor)(60)로 구성된다.
단,상기 LCIN(30)과 CCP(50)는 제어국 부분이고 BIN(40)과 BCP(50)는 기지국 부분이며,기지국과 제어국의 중계선 링크인 E1/T1트렁크는 LCIN(30)과 BIN(40)사이에 존재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BSM(10)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의 각 프로세서에 현재의 상태를 요구하거나 상태 변경 발생시마다 제어국 프로세서인 CCP(50)가 변경된 정보를 LCIN(30)과 GCIN(20)을 통하여 전송받는데 기지국의 링크가 정상적인 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태관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다시 링크가 정상이되어 CCP(50)에서 링크의 인 서비스 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트렁크가 끊어진 동안 기지국의 변경된 상태를 보고 받아야 한다.
이때 BCP(60)는 링크가 정상이 되자마자 변경된 내용을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BSM(10)에서 기지국 프로세서(60)의 상태를 요구하여 정상인 경우에만 다시 기지국에서 각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요구하게 된다.
만일 중계선 링크가 불안정하다면 BCP(60)에 상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BCP(60)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BCP(60)가 관리하는 프로세서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운용자 화면을 초기화하면 안된다.
따라서,일정시간을 두고 링크가 안정화될때까지 주기적으로 몇번을 반복하여 BCP(60)의 상태를 요구함으로 이러한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선 재연결시 기지국의 변경내용을 메시지 소실없이 보고받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된 후 다시 정상 링크가 되어 인 서비스되면 제어국 프로세서는 이에 대한 보고를 하게 된다(S1).
따라서,이 보고를 받은 BSM(10)은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는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 인 서비스 메시지와 함께 정상 중계선 링크 인 E1 또는 T1트렁크를 보고 받아 이 링크를 BSM(10)의 데이터 베이스 및 GUI화면에 갱신하여 주고(S2), 이 정상링크를 통해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게 된다(S3).
BSM(10)은 기지국 프로세서가 응답하기를 일정시간(T1)동안 기다리게 되는데(S4), 만약 응답이 오게되면 링크가 연결이 안된 동안 변경된 기지국의 각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의 상태를 요구한다(S5).
그리고 BSM GUI화면을 초기화한 후 변경내용을 GUI화면에 적용하여 줌으로써 현재의 기지국 상태를 운용자에게 정확하게 보여 줄 수 있게 된다(S6,S7).
그러나 기지국과 중계선 링크가 정상이라고 보고되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에는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링크가 불안정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상기 S4과정에서 설정시간(T1)안에 응답이 오지않은 경우 몇번(N1)동안 반복하여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한다(S8).
이때, 적절한 슬리프(Sleep)주기(T2)를 두어 시간 간격을 주고 총 T1×N1×T2동안에 응답이 없으면 기지국 프로세서가 비정상적인 경우로 간주하고 기지국내의 다른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무시하도록 운용자에게 알려준다(S9,S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모두 비정상이어서 아웃 오브 서비스가 되었다가 인서비스가 될 때 인 서비스 보고를 받더라도 이 링크가 불안정하거나 기지국 프로세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를 바로 전송받지 않고 기지국 프로세서에 먼저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의 응답 여부에 따라 화면 재구성을 결정하고 메시지를 전송받으므로 메시지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반복적으로 요구함으로 소실되는 메시지를 방지함은 물론 링크가 어느정도 불안정하여도 기지국의 변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중계선 링크가 아웃 오브 서비스된 후 다시 정상 링크가 되어 인 서비스되면 제어국 프로세서로부터 중계선 링크의 재연결 보고를 받는 제1단계와,
    보고를 받은 BSM은 인 서비스 메시지와 함께 정상 중계선 링크인 E1 또는 T1트렁크를 보고 받아 이 링크를 BSM의 데이터 베이스 및 GUI화면에 갱신하여 주고 정상링크를 통해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는 제2단계와,
    BSM은 기지국 프로세서가 일정시간(T1)안에 응답하는가를 판단하여, 응답이 오면 링크가 연결이 안된 동안 변경된 기지국의 각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의 상태를 요구하고 BSM내의 GUI화면을 초기화한 후 변경내용을 GUI화면에 적용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설정시간(T1)안에 응답이 오지 않은 경우 몇번(N1)동안 반복하여 기지국 프로세서에 상태를 요구하는 제4단계와,
    적절한 슬리프주기(T2)를 주어 시간 간격을 두고 총 T1×N1×T2동안에 응답이 없으면 기지국 프로세서가 비정상적인 경우로 간주하고 기지국내의 다른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무시하도록 운용자에게 알려주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 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방법.
KR1019980017940A 1998-05-19 1998-05-19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KR19990085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40A KR19990085494A (ko) 1998-05-19 1998-05-19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40A KR19990085494A (ko) 1998-05-19 1998-05-19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94A true KR19990085494A (ko) 1999-12-06

Family

ID=6589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40A KR19990085494A (ko) 1998-05-19 1998-05-19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66B1 (ko) * 1999-12-30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와디바이스의 상태와 장애내역 불일치 해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66B1 (ko) * 1999-12-30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와디바이스의 상태와 장애내역 불일치 해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6814B2 (en)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mobile terminal, control equipment, methods of location registration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RU97112394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гнализацией между внешними узлами и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ей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KR100266538B1 (ko)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CN102204234B (zh) 呼叫控制系统、呼叫控制装置、终端装置以及呼叫控制方法
KR19990085494A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 중계선 링크재연결시 기지국내의 실제 상태와 기지국 운용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치 방법
KR100274848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망관리 방법
US761728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the access area
KR20030094451A (ko) 데이터 푸쉬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파라미터를변경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기
US6970453B2 (en) System interface supporting IP endpoint data exchange and regulation
KR100327864B1 (ko)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방문자위치등록기간 링크 비활성시호처리 방법
JPH11122670A (ja) 移動局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326114B1 (ko) 브이5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장치의 가입자 포트 상태관리방법
CN113852974A (zh) 一种基于802.11无线帧的快速拓扑检测的方法
US7062266B2 (en) Radio resources management method for WLL system
KR100645509B1 (ko) 국설 교환기의 원격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15080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 운용지원 시스템의 운용 명령 제어 방법
JPH11275633A (ja) 回線共用型保守システムおよび回線共用型保守方法
KR20000046585A (ko) 탈장된 랜 케이블에 대한 교환기의 상태관리 장치
KR100273819B1 (ko) 안내대를갖춘전전자교환기의호정보처리방법
KR100442438B1 (ko)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KR100301793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KR20030002683A (ko) 공유메모리 매핑 테이블을 이용한 시스템 상태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268047B1 (ko) 이동무선시스템에있어서이동국의등록절차처리방법
CN114745422A (zh) 数据传输的线路切换方法、数据传输系统、线路管理界面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