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438B1 -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438B1
KR100442438B1 KR10-2002-0058574A KR20020058574A KR100442438B1 KR 100442438 B1 KR100442438 B1 KR 100442438B1 KR 20020058574 A KR20020058574 A KR 20020058574A KR 100442438 B1 KR100442438 B1 KR 10044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ystem
station
control station
subsystem number
mapp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936A (ko
Inventor
양지성
강승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4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33Configuration data, translation, passwords,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국과 제어국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교환국이 주체가 되어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시스템넘버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은, 제어국이 액세스 상태가 되면, 교환국이 내부의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서브시스템넘버를 포함하는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제어국에 전달하고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단계;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매핑 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재 전송하고,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상기의 서브시스템넘버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Subsystem activation method between MSC-BSC}
본 발명은 교환국(MSC)과 제어국(BSC) 사이에 사용되고 있는 공통선 신호 방식(NO.7)에 있어서, 교환국이 제어국의 서브시스템넘버(SubSystem Number)를 변경하여 해당 서브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CDMA 이동통신 망에서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100)과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110) 간에 신호 방식으로 공통선 신호 방식(No.7)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교환국(100)과 제어국(110)은 이동통신 시스템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신호점에 해당한다.
망 입장에서 보면, 제어국(110)은 하나의 인접 신호점, 즉 교환국(100)과만 연결하는 일대일(Point-to-Point) 네트워크 형상으로 이루고 있고, 교환국(100)은 하나 이상의 제어국(110)과 연결되는 일대다(Point-to-multipoint) 네트워크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국(100)과 제어국(110)의 운용장치를 보면, 교환국의 운용장치는 MMI(Man Machine Interface)이고, 제어국(110)의 운용장치는 BSM(Base Station Manager)이다. 따라서 신호점 코드나 서브시스템넘버(SSN)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운용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교환국(100)은 상기 제어국(110)에 부여된 목적지 신호점 코드(DPC: Destination Point Code) 및 여러 가지의 서브시스템에 대한 서브시스템넘버(SSN: SubSystem Number)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어국(110)을 구별한다. 즉, 공통선 신호 방식(SS7)에서 각 신호점(Point)은 신호점 코드(Signalling Point Code)라는 것으로 구별되고, 목적지 신호점 코드(DPC)는 망 운용자가 각각의 신호점에 부여하는 식별자(Indentifier)로서 신호 메시지의 목적지가 되는 신호점의 코드를 의미하며, 망 운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국의 서브 시스템(Subsystem)은 프로토콜 스텍에서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상위에 위치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하며, SCCP 프로토콜은 상기 서브시스템넘버(SSN)를 사용하여 상위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게 된다. 상기 서브시스템넘버(SSN)는 규격에 서브시스템별로 정의가 되어있으며, 동일 서브시스템에 대하여 사용 규격이나 혹은 밴더(vender)에 따라 서브시스템넘버를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목적지 신호점 코드(CPC)와 서브시스템넘버(SSN)는 각각의 신호점(교환국 및 제어국)을 구별하는 고유의 넘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망 설계시 지정되어 제어국 및 교환국 내 No.7을 담당하는 블록에 No.7 망 데이터로 저장한다.
운용자는 제어국을 운용하는 장치인 BSM과 교환국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어국과 교환의 신호점 코드를 변경할 수 있고, 교환국과 연결된 제어국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교환국과 제어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교환국(100)은 제어국에 대하여 서브시스템이 활성화되었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브시스템 상태 테스트 신호(SST: Subsystem-Status-Test - DPC, SSN)를 제어국(110)으로 전송하면(S101), 제어국(110)은 목적지 신호점 코드(DPC)와 서브시스템넘버(SSN)가 일치할 경우 이에 대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 Subsystem Allowed-DPC, SSN)를 상기 교환국(100)으로 전송해 줌으로써(S102), 제어국(110)의서브시스템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국(110)은 교환국(100)의 서브시스템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브시스템 상태 테스트 신호(SST: DPC, SSN)를 통해서 확인 요청하면(S103), 교환국(100)은 목적지 신호점 코드(DPC)와 서브시스템넘버(SSN)가 일치할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 DPC, SSN)를 제어국(110)으로 보내줌으로써(S104), 교환국(110)의 서브시스템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국간의 신호점과 서브시스템넘버가 일치할 경우 SST와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SSA를 주고받음으로써, 서로의 대국 서브시스템을 활성화하게 된다.
교환국과 제어국의 서브시스템넘버는 CDMA 이동통신 망 설계시 수동으로 부여하여 교환국과 제어국 내의 공통선 신호 방식을 담당하는 블록에 No.7 망 데이터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교환국과 제어국의 목적지 신호점 코드 및 서브시스템 넘버는 교환국의 인터페이스와 제어국의 운용장치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종래에는 교환국 입장에서 보면, 여러 가지의 서브 시스템들 중에서 제어국과 연동이 가능한 서브시스템(M-Type Subsystem)에 다수의 제어국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교환국에는 목적지 신호점 코드와 서브시스템넘버를 통해 공통선신호방식(NO.7)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블록에, 교환국과 제어국의 목적지 신호점과 서브시스템넘버를 수동으로 지정하고 관리하게 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운용자가 수동으로 신호점 코드와 서브시스템넘버를 지정하고 관리하게 됨으로써, 망 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운용자가 제어국 및 교환국의 신호점코드와 서브시스템넘버를 잘못 지정하였을 경우, 교환국과 제어국 간에 시그널링이 불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환국이 주체가되어 서브시스템 넘버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교환국과 제어국 상호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교환국이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에 실은 서브시스템 넘버를 매핑테이블에 의해 변환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이 있을 때 까지 주기적으로 매핑테이블로 서브시스템 넘버를 재 변환하여 재 전송함으로써, 특정 서브시스템 넘버에 대한 응답이 있을 때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교환국이 상대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할 경우 자국의 데이터베이스와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가 일치할 경우에 한해서 응답을 보내고, 일치하지 않으면 자국의 서브시스템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의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상대국에 강제적으로 서브시스템 넘버를 지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한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망 구성도.
도 2는 종래 교환국과 제어국간의 서비스 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은,
제어국이 액세스 상태가 되면, 교환국이 내부의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서브시스템넘버를 갖는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제어국에 전달하고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단계;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매핑 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재 전송하고,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상기의 서브시스템넘버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국은 교환국이며 상대국은 하나 이상의 제어국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국은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올 때까지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매핑테이블에 의해 다시 변환하여 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은, 상대국이 액세스된 후 상대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테스트 신호를 교환국이 수신하는 단계; 교환국이 자국의 서브시스템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테스트 신호에 실려온 서브시스템넘버를 비교하는 단계; 교환국이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가 동일하면 그 응답신호를 상대국에 전달하고, 다른 경우 자국과 상대국의 서브시스템 넘버 값을 매핑테이블에서 생성 및 변환하여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를 갖는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자국과 상대국 상호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국이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를 변환하여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SCCP 상위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서브시스템넘버의 변환에 의한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은 실시 예로서 교환국이 서브시스템테스트 신호를 발신했을 때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국과 제어국의 신호점 사이에 연결된 신호 링크가 초기화를 거쳐 활성화되어 서로 신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교환국은 상대국 신호점 즉, 목적지 신호점 코드이라는 제어국에 액세스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제어국은 교환국이라는 대국 신호점이 액세스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S201).
그러면, 교환국은 매핑테이블(Mapping table)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SSN)를 변환을 수행하여 서브시스템넘버(SSN)를 변환한 코드를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에 실어서 SCCP 프로토콜로 제어국으로 전달하고 그 응답신호(SSA)의 수신을대기한다(S202,S203,S204).
여기서, 매핑 테이블은 대국 신호점들의 서브시스템넘버와 자국 신호점의 서브시스템넘버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때,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면서 타이머(timer)를 구동시키고(S204),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를 대기하게 된다(S206,S208).
이때 교환국은 서브시스템 응답신호를 수신했는가를 확인한 후(S206), 서브 시스템 응답신호를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는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S208,S202),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를 실은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재 전송하고 서브시스템 응답신호를 대기하는 수순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교환국이 제어국으로부터 특정 서브시스템 넘버에 대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를 수신했을 경우 수신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S207). 이로써 대국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교환국이 매핑테이블에 의해 서브시스템 넘버(SSN)를 차례대로 변환하여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SSN)를 포함하는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SST; DPC, SSN)를 제어국에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에 대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를 상대국인 제어국으로부터 수신하게 될 때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갱신시켜 줄 수 함으로써, 자동으로 대국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실시 예로서 교환국이 상대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는 상대국인 제어국으로부터 잘못 지정된 서브시스템 넘버나 비정상적인 서브시스템 넘버가 전달되어 올 때 해당 서브시스템을 강제적으로 활성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환국과 제어국 상호간이 액세스상태가 된 후(S221), 교환국이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SST: DPC, SSN)를 수신하였는가를 확인하고(S221), 확인결과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교환국은 자국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브시스템 넘버(SSN)와 수신된 상대국 서브시스템 넘버(SSN)를 비교하게 된다(S224).
상기 비교결과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와 제어국 서브시스템 넘버가 동일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를 해당 제어국으로 전달(S225)해 주어 교환국과 제어국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SSN)와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SSN)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와 수신 서브시스템 넘버의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S226), 생성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시스템넘버(SSN)를 변환하여 이를 실은 서브시스템 응답신호(SSA)를 상대 제어국으로 전달해 준다(S227). 이로써, 교환국과 제어국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준다. 다시 말하면, 상이한 서브시스템 넘버가 수신되면 다른 메시지 내의 서브시스템 넘버 값은 SCCP 상위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매핑 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도 4와 같은 실시 예는 교환국이 상대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가 다른 경우 두 서브시스템 넘버의 매핑테이블를 생성하여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강제적으로 상대 제어국으로 서브시스템 넘버를 실은 서브시스템 응답신호를 전송해 줌으로써, 교환국과 제어국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개의 실시 예는 각각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동작하여, 교환국이 능동적으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활성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국과 교환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의 불일치(즉, 제어국의 증설 등)로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 운용자가 제어국의 서브시스템 넘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에 의하면, CDMA 이동통신 망 설계시 제어국의 신호점 코드를 수동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어국의 서브시스템 넘버 값에 대해 교환국이 능동적으로 서브시스템 넘??를 변환하여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주기 때문에, 제어국의 증설시 제어국과 교환국의 서브시스템 불일치로 일어나는 문제점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정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용자가 제어국의 서브시스템 넘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망 운용이 용이해지고, 운용자의 잘못된 서브시스템 넘버의 부여로 인한 서브시스템활성화 실패 및 통화 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교환국이 다수개의 제어국과의 서브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시 상기 교환국이 주체가 되어 자국의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를 실은 신호를 상대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
  2. 제어국이 액세스 상태가 되면, 교환국이 내부의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서브시스템넘버를 포함하는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를 제어국에 전달하고 제어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단계;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매핑 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 넘버를 변환하여 재 전송하고, 서브시스템 테스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상기의 서브시스템넘버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은 서브시스템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올 때까지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매핑테이블에 의해 다시 변환하여 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
  4. 상대국이 액세스된 후 상대국으로부터 서브시스템테스트 신호를 교환국이 수신하는 단계;
    교환국이 자국의 서브시스템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테스트 신호에 실려온 서브시스템넘버를 비교하는 단계;
    교환국이 자국의 서브시스템 넘버와 수신된 서브시스템 넘버가 동일하면 그 응답 신호를 상대국에 전달하고, 다른 경우 자국과 상대국의 서브시스템 넘버 값을 매핑테이블에서 생성 및 변환하여 변환된 서브시스템 넘버를 갖는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자국과 상대국 상호간의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이 매핑테이블에 의한 서브시스템넘버를 변환하여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SCCP 상위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국간의 서브시스템 활성화 방법.
KR10-2002-0058574A 2002-09-26 2002-09-26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KR100442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574A KR100442438B1 (ko) 2002-09-26 2002-09-26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574A KR100442438B1 (ko) 2002-09-26 2002-09-26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936A KR20040026936A (ko) 2004-04-01
KR100442438B1 true KR100442438B1 (ko) 2004-07-30

Family

ID=3732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574A KR100442438B1 (ko) 2002-09-26 2002-09-26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4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163A (ko) * 1998-12-17 2000-07-05 서평원 이동 교환기에서 비에스씨와 엠에스씨 간의 에이티엠자원 관리 프로토콜
KR20000066146A (ko) * 1999-04-13 2000-11-15 김영환 넘버.7의 타이머값 조정 방법
KR20010092207A (ko) * 2000-03-21 2001-10-24 박종섭 데이터망을 이용한 호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방법
US6408182B1 (en) * 1999-07-16 2002-06-18 Ericsson, Inc. Redundant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rchitecture for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163A (ko) * 1998-12-17 2000-07-05 서평원 이동 교환기에서 비에스씨와 엠에스씨 간의 에이티엠자원 관리 프로토콜
KR20000066146A (ko) * 1999-04-13 2000-11-15 김영환 넘버.7의 타이머값 조정 방법
US6408182B1 (en) * 1999-07-16 2002-06-18 Ericsson, Inc. Redundant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rchitecture for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10092207A (ko) * 2000-03-21 2001-10-24 박종섭 데이터망을 이용한 호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936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1573B1 (en) Registration of a new cordless telephone to an existing system
JP2000134669A (ja) 移動電話端末のソフトウェアを遠隔的に更新する方法
CN101267592B (zh) 短消息增值业务处理方法和短消息增值业务处理中心
KR100442438B1 (ko) 대국간의 서브 시스템 활성화 방법
KR100225530B1 (ko) 넘버 7(n0.7) 다중 신호점 부호 방식을 이용한 교환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H06177962A (ja) シグナリング網の管理システム
KR100307408B1 (ko) 넘버 7 메시지 처리장치의 과부하 제어방법
JP2706015B2 (ja) 電話網クレジットカード呼出装置とその操作方法
KR100427615B1 (ko) 교환기의 회선군 상태 조회방법
CN101136845A (zh) 多协议路由配置装置及方法
KR100529009B1 (ko) 교환기와 유엠에스간의 정보 동기화 방법
KR10026625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ss no.7 신호 전송 시스템
US6330440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ssigning signaling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016457B2 (ja) 通信システム
CA1291834C (en) Registration of a new cordless telephone to an existing system
KR100222410B1 (ko) 교환시스템의 다중 데이터 링크 접속방법
CN1104155C (zh) 在导线连接的通信网络中集成移动功能的方法和装置
KR100299034B1 (ko)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회선 그룹 리셋 메시지처리방법
KR100630148B1 (ko) 국가간 게이트웨이 교환기의 국제호 발신번 처리방법
KR10032629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신호연결해제방법
KR2000007516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교환국과 접속하는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KR19990058596A (ko)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방문자위치등록기간 링크 비활성시호처리 방법
KR20050006788A (ko) 에스씨씨피 프로토콜의 서브 시스템 테스트 방법
KR19980041313A (ko) 홈 위치 등록기 기능 중단시 자국호 착신 방법
KR100249833B1 (ko) 착신지원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기지국 사용 셀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