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793B1 -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793B1
KR100301793B1 KR1019990019699A KR19990019699A KR100301793B1 KR 100301793 B1 KR100301793 B1 KR 100301793B1 KR 1019990019699 A KR1019990019699 A KR 1019990019699A KR 19990019699 A KR19990019699 A KR 19990019699A KR 100301793 B1 KR100301793 B1 KR 10030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dule
message
bandwidth
unused
ims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217A (ko
Inventor
백연정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1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7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42Colora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에 관한 것으로, IMSF(22)는 운용자 터미널(40)에 입력된 주기 체크 요구 신호에 따라 일정주기별로 체크한 SIM/TIM(10,...)의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호처리부(24)로 전송한다. 호처리부(24)는 사용 밴드폭과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밴드폭을 비교하여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IMSF(22)로 전송하고, IMSF(22)는 SIM/TIM(10,...)이 자동 초기화될 수 있도록 리셋 신호를 IMC(12)로 전송하며, IMSF(22)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한 IMC(12)는 리셋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처음 시스템이 실장된 상태의 하드웨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SIM/TIM(10,...)이 새로 수행됨으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METHOD FOR RESETTING AUTOMATIC IN ASNCHRONOUS TRANSFER MODE}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약칭함)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로컬 스위칭 서브 시스템(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 이하, ALS라 약칭함)내에 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Subscriber/Trunk Interface Module : 이하, SIM/TIM라 약칭함)을 실장할 경우, 상기 SIM/TIM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가 발생되면, 이 SIM/TIM을 자동으로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ATM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ATM 교환 방식은 셀의 헤더에 포함되는 수신처 정보인 가상 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를 차례로 변환시켜 하드웨어로 라우팅한다. 이와 같이 ATM 방식은 셀을 차례차례 중계하여 전송하므로 셀 릴레이라고도 지칭한다.
또한, ATM 데이터 전송 방식은 각 캐릭터가 비트(또는 펄스)에 의해 프레임화되어 전송되는 방식으로, 스타트 비트가 수신측 단말기의 타이밍 기구를 트리거하면, 이후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비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수하고스톱 비트를 수신하면, 수신단의 타이밍 기구는 정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가입자간 ATM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ATM 교환 시스템은 SIM/TIM(10,...)이 접속된 ALS(100)와, 상기 ALS(10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간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약칭함) 셀 메시지를 운용 관리 프로세서(Operating Maintenance Processor : 이하, OMP라 약칭함)(30)로 전송하는 ATM 중앙 스위칭 서브 시스템(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 : 이하, ACS라 약칭함)(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이, ALS(100)내에 SIM/TIM(10,...)을 실장할 경우, 상기 실장된 SIM/TIM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이면, 종래 ATM 교환 시스템에서는 미사용 상태인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여 단지 디스플레이(display)하도록 하는 기능만 있을뿐 하드웨어적으로 무슨 조치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SIM/TIM을 ALS내에 실장할 경우, 상기 실장된 사용 밴드폭(bandwidth)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가 발생하면,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 : 이하, CCCP라 약칭함)내의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Interface Module Status Supervision Function : 이하, IMSF라 약칭함)에서 리셋 신호를 SIM/TIM 펌웨어로 전송하여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인 SIM/TIM을초기화할 수 있도록 한 ATM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ATM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은 운용자 터미널에 입력된 주기 체크 요구 신호에 따라 CCCP내 IMSF는 일정주기별로 체크한 SIM/TIM의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CCCP내 호처리부 및 LIBMLF로 전송하는 단계; IMSF로부터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LIBMLF는 SIM/TIM의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저장하며, IMSF로부터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호처리부는 사용 밴드폭과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밴드폭을 비교하여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IMSF로 전송하는 단계; 호처리부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IMSF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OMP내 UNMF로 전송하고, IMSF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UNMF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한 IMSF는 SIM/TIM이 자동 초기화될 수 있도록 리셋 신호를 IMC로 전송하는 단계; IMSF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한 IMC는 리셋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가입자 보드가 실장된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 내에서 가입자 보드 실장에 따른 자동 리셋 방법이 적용되는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내에서 가입자 보드 실장에 따른 자동 리셋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비동기 전송 모드 로컬 스위칭 서브 시스템(ALS)
200:비동기 전송 모드 중앙 스위칭 서브 시스템(ACS)
10,...: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SIM/TIM)
12:인터페이스 모듈 통신 기능부(IMC)
20: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CCCP)
22: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IMSF)
24:호처리부
26:에이엘에스 관리 라이브러리부(LIBMLF)
30:운용 관리 프로세서(OMP)
32:유엔아이/엔엔아이 관리 기능부(UNMF)
40:운용자 터미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내에서 가입자 보드 실장에 따른 자동 리셋 방법이 적용되는 블록 구성도로서, SIM/TIM(10,...)과,CCCP(20)와, OMP(30)와, 운용자 터미널(40)을 포함한다.
SIM/TIM(10,...)은 가입자 또는 트렁크와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최대 15장까지 ALS(100)에 실장되어 있는 모듈로써, 내부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 통신 기능부(Interface Module Communication : 이하, IMC라 약칭함)(12)를 구비하고 있다. IMC(12)는 가입자 보드가 실장됨에 따른 IPC 셀 메시지(cell message)를 CCCP(20)내의 IMSF(22)로 전송한다. 또한 IMC(12)는 CCCP(20)내 IMSF(22)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리셋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한다.
CCCP(20)는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로서, 내부적으로, IMSF(22)와, 호처리부(24)와, 에이엘에스 관리 라이브러리부(Library on Maintence in ALS : 이하, LIBMLF라 약칭함)(26)를 구비한다.
IMSF(22)는 IMC(12)로부터 가입자 보드가 실장되었다는 IPC 셀 메시지를 수신한후, 가입자 보드가 정상적으로 실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또한 IMSF(22)는 운용자에 의하여 운용자 터미널(40)에 입력된 주기 체크 요구 신호에 따라 일정주기별로 체크한 SIM/TIM(10,...)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호처리부(24) 및 LIBMLF(26)로 전송한다. 그리고 IMSF(22)는 호처리부(24)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OMP(30)로 전송한후, SIM/TIM(10,...)이 자동 초기화될 수 있도록 리셋 신호(reset signal)를 SIM/TIM(10,...)내 IMC(12)로 전송한다.
호처리부(24)는 IMSF(22)로부터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사용 밴드폭과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밴드폭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전체 SIM/TIM(10)의 밴드폭이 약 삼십오(35)만 셀을 사용할 수 있는데, IMSF(22)로부터 수신된 사용 밴드폭이 제로(0)셀이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IMSF(22)로 전송한다.
LIBMLF(26)는 IMSF(22)로부터 SIM/TIM(10)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저장한다.
OMP(30)는 운용 관리 프로세서로서, 내부적으로 UNMF(32)를 구비한다. UNMF(32)는 CCCP(20)내의 IMSF(22)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40)로 전송한다.
운용자 터미널(40)은 OMP(30)내의 UNMF(32)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내에서 가입자 보드 실장에 따른 자동 리셋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SIM/TIM(10,...)이 ALS(1)내에 실장되었음을 감지한 IMC(12)는 상기 모듈 실장에 대응하는 IPC 셀 메시지(cell message)를 IMSF(22)로 전송한다(단계 301).
IMC(12)로부터 가입자 보드가 실장되었다는 IPC 셀 메시지를 수신한 IMSF(22)는 가입자 보드가 정상적으로 실장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운용자에 의하여 운용자 터미널(40)에 입력된 주기 체크 요구 신호에 따라 일정주기별로 체크한SIM/TIM(10,...)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호처리부(24) 및 LIBMLF(26)로 전송한다(단계 302).
IMSF(22)로부터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LIBMLF(26)는 SIM/TIM(10)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저장하며(단계 303), IMSF(22)로부터 사용 밴드폭(bandwidth)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호처리부(24)는 사용 밴드폭과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밴드폭을 비교하여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IMSF(22)로 전송한다(단계 304).
호처리부(24)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IMSF(22)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UNMF(32)로 전송하고(단계 305), IMSF(22)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UNMF(32)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40)로 전송하며(단계 306), UNMF(32)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운용자 터미널(40)은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7).
상술한 바와 같이,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UNMF(32)를 통하여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한 IMSF(22)는 SIM/TIM(10,...)이 자동 초기화될 수 있도록 리셋 신호(reset signal)를 IMC(12)로 전송하면(단계 308), IMC(12)는 IMSF(22)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한후, 상기 수신된 리셋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한다(단계 309).
따라서, SIM/TIM(10,...)을 ALS(100)내에 실장할 경우, 상기 SIM/TIM(10,...)의 사용 밴드폭(bandwidth)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가 발생되면, IMSF(22)에서 SIM/TIM(10,...)으로 리셋 신호를 전송하여 SIM/TIM(10,...)을 자동으로 초기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SIM/TIM을 ALS내에 실장할 경우, 상기 SIM/TIM의 사용 밴드폭이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가 발생되면, IMSF에서 SIM/TIM으로 리셋 신호를 전송하여 SIM/TIM에 대한 재시동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처음 시스템이 실장된 상태의 하드웨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SIM/TIM이 새로 수행됨으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가 접속된 비동기 전송 모드 로컬 스위칭 서브 시스템과, 상기 비동기 전송 모드 로컬 스위칭 서브 시스템과 연결되어 프로세서간 통신 셀 메시지를 운용 관리 프로세서를 통하여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중앙 스위칭 서브 시스템을 구비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터미널에 입력된 주기 체크 요구 신호에 따라 상기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내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는 일정주기별로 체크한 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상기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내 호처리부 및 에이엘에스(ALS) 관리 라이브러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로부터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에이엘에스(ALS) 관리 라이브러리부는 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저장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로부터 사용 밴드폭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호처리부는 사용 밴드폭과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밴드폭을 비교하여 장시간 동안 미사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상기 운용 관리 프로세서내유엔아이/엔엔아이(UNI/NNI)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로부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유엔아이/엔엔아이(UNI/NNI) 관리 기능부는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사용 상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는 가입자/트렁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자동 초기화될 수 있도록 리셋 신호를 인터페이스 모듈 통신 기능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상태 통제 기능부로부터 리셋 신호를 수신한 인터페이스 모듈 통신 기능부는 리셋 신호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재시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KR1019990019699A 1999-05-31 1999-05-31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KR10030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699A KR100301793B1 (ko) 1999-05-31 1999-05-31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699A KR100301793B1 (ko) 1999-05-31 1999-05-31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17A KR20000075217A (ko) 2000-12-15
KR100301793B1 true KR100301793B1 (ko) 2001-09-26

Family

ID=1958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699A KR100301793B1 (ko) 1999-05-31 1999-05-31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7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17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0754A (ko) 최종 사용자 사이에서의 데이타 및 감독 신호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Emorgency local switching)
KR0164106B1 (ko) 에이티엠 가상 경로 교환 시스템에서 예약형 가상 경로 제어를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US4980677A (en) Satellite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plurality of aperture terminals through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JPH0630031A (ja) プロセッサのリセット方式
CN101207573A (zh) 中继装置和通信路径管理方法
KR100301793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KR100295236B1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KR1999006146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017574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점대점 전용선의 대역폭 변경을 위한 발신 및 착신측 처리방법
JP2962062B2 (ja) プロセッサ監視方式
KR0153936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고정형 가상 경로 연결 설정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KR100287418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의 주 제어장치
KR0148458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호제어 서브 시스템
KR100281974B1 (ko) 교환기의프레임핸들링장치및방법
KR0153921B1 (ko) 에이티엠 가상 경로 교환 시스템에서 가상 경로 대역 변경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KR100265954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과금데이터제어방법
KR100281423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JP2000004229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リセット方法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18686B1 (ko) 중소형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방법
KR20000046393A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 공중전화망 정합 유니트의제어장치
KR20000075216A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의 스위치 포트 시험 방법
KR95000096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메세지처리 보드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10020405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교환 시스템에서 서비스 시간 완료시 예약모드 가상 경로와 가상 채널의 연결 해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