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821A - 유리융해로의운전방법및그운전방법을실시하기위한유리융해로 - Google Patents

유리융해로의운전방법및그운전방법을실시하기위한유리융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821A
KR19990082821A KR1019990011374A KR19990011374A KR19990082821A KR 19990082821 A KR19990082821 A KR 19990082821A KR 1019990011374 A KR1019990011374 A KR 1019990011374A KR 19990011374 A KR19990011374 A KR 19990011374A KR 19990082821 A KR19990082821 A KR 1999008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ning
glass
zone
flow
molte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975B1 (ko
Inventor
헬무트조르그
헬무트피페르
Original Assignee
헬무트 조르그
베타일리궁겐 조르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조르그, 베타일리궁겐 조르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헬무트 조르그
Publication of KR1999008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2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by moving the molten glass along fixed elements, e.g. deflectors, weirs, baffle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4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tank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3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using thermal means, e.g. for creating convection currents
    • C03B5/185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93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using gas, e.g. bubb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0Bridges, shoes, throats, or other devices for withholding dirt, foam, or ba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융해로에 있어서, 정련스탠드(19)가 설치되어 있는 정련구역(4)과 융해구역(3) 사이에 유리용탕(10)의 용탕면(9) 위쪽에 연소가스 중 최소한 일부가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기 위한 유동로(8b)를 열어놓은 하나의 복사열차단벽(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련구역(4) 내에서 복사열차단벽에 의한 열집중에도 불구하고 이미 정련된 고온 유리용탕(10)이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장입된 원료를 융해공정의 진행중 가능한 한 조기에 완전히 용융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리융해로를 가동할 때, 상기 융해구역(3)의 중간 부분과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사이의 유리용탕(10) 내에 최소한 한 개의 상승흐름을 발생시켜, 그 상승흐름을 한편으로는 용융구역(3) 쪽의 상류방향으로 제1분류와 다른 한편으로는 정련스탠드(19) 쪽의 하류 방향으로 제2분류로 분할함으로써, 하류 방향으로 지향된 상기 제2분류에 의하여 유리용탕(10)이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정이 진행된다. 이를 위한 장치들은-선택적으로 또는 조합하여-한 줄의 기포발생기(16)들, 용기 바닥(15)으로부터 솟은 한 개의 정련단(17) 및/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가열전극(18)들을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앞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유리융해로의 운전방법 및 그 운전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유리융해로{Method for Operating Glass Melting Furnace and Glass Melting Furna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본 발명은 융해(融解)구역(3)과 정련(精練)스탠드가 설치되어 있는 정련구역 사이에 유리 용탕면(鎔湯面)의 위쪽에 적어도 연소가스의 일부가 정련구역으로부터 융해구역으로 역류하기 위한 유동로(流動路)를 비워놓은 하나의 복사열차단벽(輻射熱遮斷壁)이 설치되어 있는 유리융해로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유리융해로가 DE 39 03 016 C2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리융해로는 특히 운전을 중지하는 동안, 연소배기가스 쪽과 장입원료와 유리용탕 쪽 사이의 밀접한 열교환을 통하여 유리의 용융상태 유지를 보장하고, 재가동시 유리를 다시 필요한 가공온도로 신속하고, 고효율로 상승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제1복사열차단벽을 융해구역 내에 설치하여 그 밑면이 장입원료의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고온 연소가스의 역류에 의하여 상기 장입원료의 완전한 융해에 기여한다. 그러나 정련구역 바로 앞에 설치된 제2복사열차단벽 밑의 연소가스 유동로는 밑면이 유리용탕으로부터 상당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렇다할 열교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공지된 구조에 있어서는 용탕용기의 중앙부분에 정련스탠드 앞에 유리용탕을 위한 바닥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어서 냉각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바닥배출구들은 용기바닥 보다, 또는 용기의 양쪽 측벽(側壁)들 사이의 간격보다 근본적으로 폭이 작으며, 그 때문에 작은 유동단면(流動斷面)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닥배출구들 속에서 높은 유동속도가 발생하여 바닥배출구를 둘러싼 고온 벽면의 심한 마모를 일으킨다.
US-A-4 882 736에서는 정련구역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원료장입구역 밑에 바닥전극들을 설치하여 유리용탕 내에서 상승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아래쪽으로부터 장입원료에 추가적인 융해열이 가해지는 유리융해로가 공지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흐름 화살표와 같이 상기 전극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승하는 흐름은 정련구역 내의 작용과정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리용탕의 역류를 저지하지도 못하고, 연소가스의 역류와 아무런 상승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며, 즉, 가스는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에 도달하기 전에 배기된다. 또한 장입원료는 위로부터 연소가스에 의하여, 아래로부터 바닥전극에 의하여 동시에 동일한 지점에서 가열되지 않는다. 또한 전극들 위에는 밑면에 연소가스 역류를 위한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는 복사열차단벽도 장치되지 않는다.
공지된 용탕용기 바닥은 길다란 경사진 램프 모양으로 바닥전극으로부터 정련스탠드의 높이까지 서서히 높아지다가 그 정련스탠드의 상부면에서 한 개의 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은 상기 경사진 용기바닥과 정련스탠드 사이의 접친 부분에서 이른바 "안장을 얹은"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은 용탕량 조절기능을 갖지만, 그 앞에 멀리 떨어진 장입구역에 설치한 바닥전극들의 작용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단 뒤에 위치하는 정련스탠드의 표면은 용탕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것은 정련스탠드 작용에 역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융해구역의 바닥은 용탕표면의 고온유리가 원료장입 부동층(浮動層)으로 역류시키는 유동형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 때 연소기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고온 가열된 유리가 정련구역으로부터 장입구역으로 이동하는 표면유동이 발생된다. 이것은 경계선 너머로의 역류를 일으키는 매우 통제가 곤란한 현상을 초래한다. 왜냐하면 결국에는 장입원료가 끊임없이 공급되어 용융된 유리를 융해로 로부터 배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또한 또다른 매우 본질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이미 정련된 고순도의 유리용탕을 다시 장입 및 융해구역으로 주입하여, 장입원료와 접촉시켜서 새로이 정련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유리융해로의 장점들을 유지하면서, 용탕용기 제작벽돌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열통제를 통한 설비의 효율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여건에 따라 더욱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미 정련된 고온 유리용탕이 정련구역으로부터 융해구역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며, 장입원료가 공급과정에서 가능한 한 신속히 융해하도록 장치한 유리융해로의 운전방법과 그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유리용탕 속에서 융해구역의 중간과 정련스탠드의 전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승흐름을 발생시켜서, 용탕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융해구역 상류쪽으로 제1분류(分流)와 정련스탠드의 하류쪽으로 제2분류로 분할하여, 이 때 하류쪽으로 지향된 제2분류에 의하여 유리용탕이 정련구역으로부터 융해구역 속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용융용기와 화석연료에 의하여 최소한 부분 가열을 위한 연소기들이 장치된 유리융해로에 있어서, 원료공급 방향으로 원료장입부와 유리배출부 사이에 최소한 한개의 연소가스 배기구가 설치된 하나의 융해구역과, 용기바닥으로부터 일체로 전면벽을 형성하면서 솟아오른 하나의 정련스탠드 및 연소기들을 장치한 하나의 정련구역과, 그 뒤쪽에 하나의 균질화 구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련스탠드 앞에 융해구역과 정련구역 사이의 유리용탕 위쪽에 연소가스가 정련구역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기 위한 최소한 한 개의 흐름통로가 열려있는 복사열차단벽이 설치된 유리융해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융해구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융해구역의 중간과 상기 정련스탠드의 전면부 사이에 유리용탕의 이동방향에서 보아, 유리용탕 표면으로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고, 유리용탕 표면에서 한편으로는 원료장입부 방향으로 유리용탕의 상승흐름과 다른 한편으로는 정련스탠드 방향으로 하강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이러한 상승흐름은 국부적으로 중첩된 개별 흐름들을 일단 도외시하고, 근본적으로 원료장입부로부터 수평으로 배출부 쪽으로 진행하는 유리용탕의 전체흐름을 가로질러, 즉, 위쪽으로 진행된다. 상기 전체흐름은 따라서 융해로의 기하학적 구조의 고려 하에 융해로의 재료처리량에 비례된다. 이 때 상승흐름, 즉, 일련의 상승흐름들은 하나의 정의된 (제1) 원료장입부 방향의 표면역류부분과, 또 다른 정의된 (제2) 정련구역 방향의 표면순방향흐름을 발생시키고, 또한 이미 정련된 고온유리용탕이 정련구역으로부터 융해구역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극히 효과적인 바리케이드를 형성한다. 이 때 복사열차단벽과의 상호작용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바, 상기 정련구역에 있어서의 연소화염의 복사열은 정련구역 내에 집중되며, 유리종류에 따라 필요로 하는 높은 온도(모든 다른 온도와 마찬가지로)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원료장입부로 역류하는 제1 표면역류부분의 효력은 지속적이며, 그러한 효력의 본질은 상기 장입원료를 밑으로부터 가열하며, 따라서 보다 신속히 융해시키고, 동시에 너무 멀리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융해로 용기바닥과 후속 하는 정련단 내의 기포발생기들의 특징 조합,
b) 용기 바닥에 후속 하는 정련단이 없이 기포발생기들과 가열전극들의 특징 조합,
c) 용기 바닥의 기포발생기들과 정련단 위에 설치되는 가열전극들의 특징 조합,
d) 정련스탠드의 전면부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원료장입부 방향으로 뻗은 정련단,
e) 하나의 정련단과 그 위에 설치된 가열전극들의 특징 조합,
f) 하나의 정련단(17)과 그 속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6)들의 특징 조합,
g) 정련스탠드의 전면부 앞에서 용기바닥으로부터 위로 솟은 정련단을 사용할 경우,
g1) 상기 정련단은 용기바닥(15)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g2) 상기 정련단의 높이는 정련스탠드 높이의 0.25배 내지 0.75배가 되며,
g3) 상기 정련단은 유리용탕의 수평 흐름 반대쪽으로, 동시에 복사열차단벽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즉,
h) 상기 복사열차단벽의 하단부를 유리용탕 속으로 침강시키고, 용기바닥으로부터 솟은 정련단 위쪽에 유리용탕의 슬리트(slit) 모양의 관통구멍을 최소한 한 개 이상 형성하며,
i) 상기 복사열차단벽은 각 2개씩의 관통구멍들 사이에 설치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지주에 의하여 상기 정련단 위에 지지되어, 모든 관통구멍들의 합계 폭이 최대한 용기바닥의 전체 폭과 일치하며, 상기 관통구멍들은 상기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j) 상기 복사열차단벽의 뒷면과 정련스탠드의 전면 사이에는 유리용탕이 통과할 수직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극 안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가열전극들이 설치되며,
k) 상기 정련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유리용탕의 수평흐름 방향을 거슬러 제2복사열차단벽 아래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 만일 융해구역 내에서 상기 배기구와 상기 정련구역 앞에 설치된 복사열차단벽 사이에 또 하나의 복사열차단벽을 설치하여, 상기 융해구역을 가스배기구가 있는 제1격실과 제2격실로 분할하며, 장입원료와 유리용탕의 위쪽에 제2격실로부터 제1격실 및 가스배기구로 연소가스를 역류시키기 위한 가스 유동로를 추가적으로 열을 맞추어 형성시키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 가열전극들과 기포발생기들에 관한 "줄(列)"이란 표현은 서로 똑 같은 가로 및/또는 세로 간격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역시 특별한 장점으로서- 국부적으로 상이한 간격에 의하여 연소기 및 기포발생기들의 "표면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국부적인 온도 밸런스와 흐름 패턴을 최적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사열차단벽의 아래" 라는 표현은 상기 복사열차단벽의 수직투영(投影) 범위 내에서 용기바닥 또는 정련단 쪽으로 배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정의는 사정에 따라 상기 장치의 구성 성분들의 최적 간격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유리용탕 내에서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장치"는 제2복사열차단벽의 상류 쪽과 하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통상 협소한 단면을 가지며, 그에 따른 높은 마모성을 나타내는 바닥배출구와 강력한 냉각을 위한 장치들의 생략
2. 높은 차단효과:
a) 정련구역으로 장입원료의 침입의 차단
b) 용탕이 정련구역으로부터 용융구역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
3. 가스흐름과 유리흐름이 그때그때 만나는 지점에서 가스 및 유리 흐름 (대향류(對向流)) 사이에 양호한 열교환
4. 정련스탠드로 이행하기 전에 용탕의 강력한 예열
FR 2 737 487 A1 에 의하여 유리용탕 속에서 이른바 차단효과를 갖는 "유체롤링(流體rolling)"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용기바닥으로부터 솟은 제방둑 또는 사다리꼴 모양의 들보 앞에 한 줄씩의 기포발생기들과 가열전극들이 설치되고, 상기 들보 뒤에는 또 한 줄의 가열전극들을 설치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융해로 뚜껑은 평탄하고, 아무런 복사열차단벽도 없기 때문에, 당연히 본 발명과 같은 가열전극 및 기포발생기들과 복사열차단벽 사이의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들보는 정련스탠드가 아니다. 상기 들보의 상부면은 너무 짧고, 그 들보의 높이는 최대로 용탕 깊이의 절반밖에 안되므로 상기 들보의 상부면은 용탕 표면까지의 거리가 너무 크다. 그와 같이 매우 깊은 정련구역은 또한 상기 들보의 뒤에서 비로소 시작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들은 - 적어도 전체적으로는 - 달성될 수 없다.
도 1은 기포발생기(bubbler generators)들, 가열전극들, 하나의 정련단(精鍊段) 및 정련스탠드가 설치된 유리융해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기포발생기, 가열전극, 정련단이 없는 정련스탠드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변형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가열전극 및 정련단과 정련스탠드로 구성되는 한편 기포발생기가 없는 본 발명의 제2변형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기포발생기, 정련단과 정련스탠드로 구성되는 한편 가열전극이 없는 본 발명의 제3변형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기포발생기, 정련단과 정련스탠드, 상기 정련단 위에 설치된 가열전극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변형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기포발생기가 없이 정련단과 정련스탠드 및 그 정련단 위에 설치된 수평 가열전극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변형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융해로 1a : 융해로뚜껑
2 : 원료장입부 2a : 원료장입구
3 : 융해(融解)구역 3a, 3b : 격실(隔室)
4 : 정련(精鍊)구역 5 : 균질화 구역
6 : 배출부 6a : 배출구
7 : 제1복사열차단벽 7a : 하단부
7b : 유동로(流動路) 8 : 제2복사열차단벽
8a : 하단부 8b : 유동로(流動路)
8c : 냉각장치 8d : 관통구멍
8e : 전면부 9 : 용탕면
10 : 유리용탕(鎔湯) 11, 11a : 연소기
12 : 가스배기구 13 : 장입원료
14 : 전극 15 : 용기바닥
16 : 기포발생기 16a : 기포커튼
17 : 정련단(精鍊段) 17a : 경사전면부
18 : 가열전극 19 : 정련스탠드
19a : 전면부 20 : 수직간극
21 : 상부유동로 22 : 화살표
"D" : 간격 "H1" : 높이
"H2" : 높이 "M" : 점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하나의 유리융해로(1)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유리융해로(1)는 원료장입구(2a)가 있는 장입부(2)로부터 시작하여, 격실(隔室)(3a, 3b)들로 분할된 하나의 융해구역(3), 하나의 정련구역(4) 및 하나의 균질화 구역(5)으로 나뉘어 있으며, 유리용탕 배출부(6)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후가공 공정으로 통하는 공지된 배출구(6a)가 장치된다. 상기 융해구역(3)의 중간은 점선"M"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중간"M" 부분의 건너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용탕 속에서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융해구역(3) 내의 격실(3a, 3b)들 사이에 제1복사열차단벽(7)이 설치되고, 상기 융해구역(3)과 정련구역(4) 사이에는 제2복사열차단벽(8)이 설치된다. 상기 양쪽의 복사열차단벽(7, 8)들은 각각 유리용탕(10)의 용탕면(9) 위쪽으로 간격"D"을 띄우고 있는 하단부(7a, 8a)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간격"D"들은 크기가 서로 똑같을 필요는 없다.
상기 간격"D"에 의하여 연소가스의 역류를 위한 유동로(7b, 8b)들이 형성된다. 뚜껑(1a)은 밀폐하여 결합된다.
상기 격실(3b) 속에 횡화염(橫火炎)을 발생하는 연소기(11)들을 한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정련구역(4) 안에는 연소기(11a)를 설치하며, 이 연소기들의 수와 공간배치는 도 1에 도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소기(11, 11a)들의 고온가스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유동로(7b)를 통하여, 또한 일부는 유동로(8b)를 통하여 가스배출구(12)쪽으로 흐른다.
상기 융해구역(3) 내에 용탕면(9) 위에 장입원료(13)가 놓여있으며, 단위 면적당 장입 원료량은 상기 복사열차단벽(8) 방향으로 융해공정을 따라 점점 작아진다. 상기 융해공정은 연소기(11, 11a)들의 고온가스에 의하여 진행되고, 격실(3a) 내에서 바닥구역의 전극(14)들에 의하여 보조될 수 있으며,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전극(14)의 가동은 시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가열목적을 위하여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사열차단벽(8) 지역에는 용기바닥(15) 내에 또는 그 위쪽에 한줄의 기포발생기(16)들과 한줄의 가열전극(18)들이 설치된 하나의 정련단(精鍊段)(17) 및 하나의 정련스탠드(19)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정련스탠드(19)의 길이 "L"는 유리용탕의 유동속도와, 상기 정련스탠드(19) 위에서 용탕의 체류 소요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온도 및/또는 유리성분(예를 들어, 고융점 또는 저융점 유리, 저비등점 성분들의 증발반응 등등)에 따라 다르다.
상기 기포발생기(16)들과 상기 정련단(17) 및 가열전극(18)들에 있어서는 제2복사열차단벽(8) 아래에서 연소가스의 역류 방향과 상기 정련스탠드(19) 방향으로 유리용탕(10) 내에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중요한 것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는 도 1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다. 상기 용기바닥(15)으로부터 일체로 솟아 형성된 정련단(17)은 용기바닥(15)의 전체 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련단(17)의 높이 "H1"는 상기 정련스탠드(19) 높이 "H2"의 0.25배 내지 0.75배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련단(17)은 상승흐름 쪽의 직각 모서리가 상기 제2복사열차단벽(8)의 전면부(8e) 아래까지 수평으로 뻗어 있다. 여기서 발생하는 유동성분(流動成分)들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미 확인된 바와 같이, "복사열차단벽의 아래" 라는 표현은 상기 복사열차단벽(8)의 용기바닥(15) 내지는 정련단(17) 쪽으로의 수직 돌출부 내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정의는 사정에 따라상기 "장치"의 구성 성분들의 최적 간격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유리용탕 내에서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제2복사열차단벽(8)의 상류 쪽과 하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련단을 제거하였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는 각각 한줄씩의 기포발생기(16)들과 가열전극(18)들로 구성되어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수직전면부(19a) 앞에 용기바닥(15) 내에 설치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동성분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줄의 기포발생기들을 제거하였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는 한 줄의 가열전극(18)들이 설치된 정련단(1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가열전극(18)들은 상기 정련단(17)에 의하여 높이가 짧아진 정련스탠드(19)의 수직전면부 앞에 정련단(17) 위에 배치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동성분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줄의 가열전극들을 제거하였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리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는 한 줄의 기포발생기(16)들이 설치된 정련단(17)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기포발생기(16)들은 상기 정련단(17)에 의하여 높이가 짧아진 정련스탠드(19)의 수직전면부 앞에 정련단(17) 안에 배치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동성분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기포발생기 및/또는 가열전극 지역으로부터 고온 유리용탕이 원료장입부(2) 방향으로 표면 역류하여 이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입원료의 바로 밑으로 역류케 하는 유리용탕의 표면역류인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입원료의 극히 효과적인 양면가열이 이루어진다. 즉, 위에서는 고온 연소가스의 역류에 의하여, 밑에서는 고온 유리용탕의 역류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덩어리이든 또는 부스러기이든, 경우에 따라 이들의 혼합물이든 용융되지 않은 장입원료가 정련스탠드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사열차단벽(8)에 냉각장치(8c)를 하여 유리용탕(10) 속에 담그고, 그 하단부에 용기의 전체폭에 걸쳐 다수의 지주들을 균일하게 개재(介在)시켜 지주들 사이에 다수의 슬리트 모양의 수평 관통구멍(8d)들을 형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유리의 전체흐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류로" 진행되고, 연소가스의 전체흐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즉, 유리흐름에 대하여 "상류로" 진행된다.
이 경우에도 또한 복사열차단벽(8) 아래에는 상기 용기바닥(15)으로부터 돌출한 정련단(17)이 상기 정련구역(4) 내의 정련스탠드(19) 앞에 위치하며, 융해구역(3) 내에서 상기 정련단(17) 앞에 용기를 가로질러 한 줄의 기포발생기(16)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포커튼(16a)의 양쪽에 그리고 그 속에는 도면에 표시된 흐름화살표 방향으로 롤링(rolling) 성질을 갖는 중첩된 상승흐름이 발생한다. 그럼으로써, 특히 상류 방향으로, 즉,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장입부 쪽으로 지향된 흐름성분이 발생하여, 상기 장입원료(13)를 밑에서부터 가열하는 동시에 상기 기포구역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용기바닥 부분에서 있을 법한 역류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정련단(17)의 경사진 전면부(17a)에 의하여 유리용탕(10)의 상승흐름이 발생된다.
상기 복사열차단벽(8)의 침강(沈降)부분과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사이의 정련단(17) 위에는 수직간극(20)이 용기의 전체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직간격 안에는 한 줄의 가열전극(18)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열전극(18) 들은 유리용탕(10)의 상승흐름을 촉진하여주며, 이러한 현상은 도면에서 상기 지점에 표시한 흐름화살표로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미 정련된 유리용탕(10)이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것으로서, 즉, 정련스탠드(19) 위쪽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기(旣)정련 유리용탕이 아직 정련되지 않은 비교적 낮은 온도를 나타내는 유리용탕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정련구역(4)에 설치된 연소기(11a)(도면에 하나만 표시되어 있음)들의 연소가스는 화살표(22) 방향으로 상부유동로(21)를 통하여 융해구역(3)으로 흘러들어 가서 그곳에 설치된 연소기(11)들의 연소가스와 합류한다. 여기서 언급해두어야 할 것은, 전체 연소가스는 상기 장입원료(13)를 위쪽으로부터 추가적으로 가열하는바, 용탕 및/또는 장입원료의 가열은 연소기화염의 가스분사에 의하여 위쪽으로부터 압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기포발생기(16), 정련단(17), 전극(18), 복사열차단벽(8) 및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의 종합효과에 의하여 융해구역과 정련구역에 있어서의 공정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복사열에너지가 복사열차단벽(8)에 의하여 정련구역(4)과 균일화구역(5) 내에서 집중된다.
도 7은 또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복사열차단벽(8)을 유리용탕(10) 속에 침강시키지 않고, 아치형 하단부(8a)가 용탕면(9) 위에 위치하여, 그 밑에 유동로(8b)를 형성하여 상기 정련구역(4)과 균일화구역(5)으로부터 연소가스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열려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유리의 전체적인 흐름은 좌로부터 우로 "하류 쪽으로" 진행하며, 연소가스의 전체적인 흐름은 우로부터 좌로 유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상류 쪽으로" 진행된다.
상기 정련구역(4) 내의 정련스탠드(19) 앞에는 또한 용기바닥(15)으로부터 솟은 정련단(17)이 위치하며, 그 정련단(17) 위쪽에는 다수의 전극(18)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7에서는 그중 한 개만이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전극들은 한 쌍씩 수평 벽(壁)전극(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6과 같이 정련단(17)으로부터 수직으로(도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솟아오르게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전극들의 양쪽에서 흐름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롤링 성질을 나타내는 중첩된 상승흐름이 발생한다. 그렇게 하여, 특히 상류쪽으로, 즉, 원료 장입부(2)(도 7에는 도시되지 않음)쪽으로 지향된 흐름성분들이 발생하여, 상기 장입원료(13)를 밑에서부터 가열하는 동시에 상기 전극들을 넘어 건너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경우, 정련단(17)의 수직 전면부(19a)에 의하여 유리용탕(10)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또한 기정련된 유리용탕(10)이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정련스탠드(19) 위쪽에 최대온도를 나타내는 기정련된 유리용탕이 아직 정련되지 않은 비교적 저온의 유리용탕과의 혼합을 방지한다.
상기 정련구역(4) 내에 설치된 연소기(11a)(도 7에 2개만 도시하였음)들의가스는 추가적으로 대략 화살표(22) 방향으로 상부 유동로(21)를 통하여 흘러가서 융해구역(3) 내에서 연소기(11)들의 연소가스와 합류한다. 여기서 반드시 언급해두어야 할 것은, 전체 연소가스는 상기 장입원료(13)를 위쪽으로부터 추가적으로 가열하는바, 위쪽으로부터 연소기 화염의 가스분사에 의한 용탕 및/또는 장입원료의 가열이 대류 열전달 보다 훨씬 높은 온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정련단(17), 전극(18), 복사열차단벽(8) 및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의 종합효과에 의하여 융해구역과 정련구역에 있어서의 공정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복사열에너지가 복사열차단벽(8)에 의하여 정련구역(4)과 균일화구역(5) 내에서 집중된다.
상기 연소기(11, 11a)들이 한 쌍으로 대향하게 장치될 것을 강요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연소기(11, 11a)들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지그재그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에서 통상 협소한 단면을 가지며, 그에 따른 높은 마모성을 나타내는 바닥배출구와 강력한 냉각을 위한 장치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정련구역으로 장입원료의 침입을 차단하고, 용탕이 정련구역으로부터 용융구역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높은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가스흐름과 유리흐름이 그때그때 만나는 지점에서 가스 및 유리 흐름 (대향류(對向流)) 사이에 탁원한 열교환 효과 및 정련스탠드로 이행(移行)하기 전에 용탕의 강력한 예열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5)

  1. 정련스탠드가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정련구역(4)과 하나의 융해구역(3) 사이에 하나의 복사열차단벽(10)을 설치하고, 유리용탕(10)의 용탕면(9) 위쪽에 적어도 연소가스의 일부분이 상기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동로(8b, 21)들을 비워놓은 유리융해로에 있어서,
    상기 융해구역(3)의 중간과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사이의 유리용탕(10) 안에 적어도 한 개의 상승흐름을 발생시켜, 그 상승흐름은 용탕면(9)에 도달하기 전에 유리용탕(10) 내에서 상류 쪽의 융해구역(3) 방향으로 흐르는 제1분류와 하류 쪽의 정련스탠드(19) 방향으로 흐르는 제2분류로 분할되고, 이 때 하류방향으로 지향된 제2분류는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유리용탕(10)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운전방법.
  2. 화석연료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 가열을 위하여 용기바닥(15)과 연소기(11, 11a)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용융용기를 장치하여, 유리의 진행방향으로 원료장입부(2)와 유리배출부(6) 사이에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연소가스 배기구(12)가 설치된 하나의 융해구역과(3), 상기 용기바닥(15)으로부터 전면벽(19a)을 형성하면서 솟아오른 정련스탠드(19)와 연소기(11a)들이 설치된 하나의 정련구역(4) 및 하나의 균질화 구역(5)을 배치하여, 이 때 상기 융해구역(3)과 정련구역(4) 사이에 하나의 복사열차단벽(8)을 상기 정련구역(4) 앞에 설치하여, 상기 유리용탕(10)의위쪽에서 연소가스가 상기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역류하기 위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유동로(8b, 21)들이 열려있는 유리융해로에 있어서,
    상기 융해구역(3)의 중간부분과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사이에 유리용탕(10)이 용탕면(9) 쪽으로 상승하는 하나의 상승흐름을 발생하고, 그 상승흐름은 유리용탕(10)의 표면에서 ― 유리용탕(10)의 이동방향에서 볼 때 ― 한편으로는 상기 원료장입부(2)의 상류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정련스탠드(19)의 하류 방향으로 유리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수단(16, 17, 18)들을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3.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 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용기바닥(15)과 후속하는 정련단(17) 내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6)들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4.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 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후속 정련단(17)이 없는 용기바닥(15) 내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6)와 가열전극(18)들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5.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용기바닥(15) 내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6)와 정련단(17) 위에 설치된 가열전극(18)들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6.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 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로부터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원료 장입부(2) 쪽으로 연장되는 정련단(17)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7.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 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가열전극(18)들이 단 위에 설치된 정련단(17)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8. 제2항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프리세트(preset)된 유리용탕(10)의 전체흐름에 걸쳐 유리용탕의 상승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기포발생기(16)들이 단 위에 설치된 정련단(17)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앞에서 용기바닥(15)으로부터 솟아오른 정련단(17)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정련단(17)은
    a) 용기바닥(15)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b) 상기 정련스탠드(19) 높이("H2")의 0.25배 내지 0.75배의 높이("H1")를 가지며,
    c) 유리용탕(10)의 수평흐름을 거슬러 복사열차단벽(8) 아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0. 제2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융해구역(3) 내에 상기 정련구역(4) 앞에 설치된 복사열차단벽(8)과 가스배기구(12) 사이에 또 하나의 복사열차단벽(7)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융해구역(3)을 가스배기구(12)가 있는 제1격실(3a) 및 제2격실로 분할하며, 상기 복사열차단벽(7)의 하단부(7a)는 상기 장입원료(13)와 유리용탕(10)의 위쪽에 위치하여 연소가스가 제2격실로부터 제1격실로 그리고 배기구(12)로 역류하기 위한 유동로(7b)를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차단벽(8)의 위쪽에는 연소기(11a)의 연소가스 중 최소한 일부분이 상기 정련구역(4)으로부터 융해구역(3)으로 흘러갈 수 있는 최소 한 개 이상의 유동로(21)가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차단벽(8)은 연소기(11a)의 연소가스 중 최소한 일부분이 정련구역(4)으로부터 유해구역(3)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용탕면(9) 바로 위에 유동로(8b)를 비워주는 하단부(8a)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차단벽(8)의 하단부(8a)를 유리용탕(10) 속으로 침강시키고, 용기바닥(15)으로부터 솟아오른 상기 정련단(17) 위쪽에 유리용탕(10)이 통과시키기 위한 슬리트(slit) 모양의 관통구멍(8d)을 최소한 한 개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차단벽(8)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지주에 의하여 상기 정련단(17) 위에 지지되며, 상기 지주들은 각각 2개의 관통구멍(8d) 사이에 배치되어, 모든 관통구멍(8d)들의 합계 폭이 가능한 한 상기 용기바닥(15)의 전체 폭과 일치하도록 지주들을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차단벽(8)의 뒷면과 정련스탠드(19)의 전면부(19a) 사이에는 유리용탕(10)이 통과할 수직간극(20)을 형성시켜, 그 수직간극(20) 속에 최소한 2개 이상의 가열전극(18)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융해로.
KR10-1999-0011374A 1998-04-06 1999-04-01 유리융해로의 운전방법 및 그 운전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유리융해로 KR10043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5326A DE19815326C2 (de) 1998-04-06 1998-04-06 Glasschmelzofen mit Brennern für fossile Brennstoffe und mit inneren Strahlungsschutzwänden
DE19815326.0-45 199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21A true KR19990082821A (ko) 1999-11-25
KR100436975B1 KR100436975B1 (ko) 2004-06-23

Family

ID=786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374A KR100436975B1 (ko) 1998-04-06 1999-04-01 유리융해로의 운전방법 및 그 운전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유리융해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4481A (ko)
EP (1) EP0949210B1 (ko)
KR (1) KR100436975B1 (ko)
AT (1) ATE198874T1 (ko)
DE (2) DE19815326C2 (ko)
DK (1) DK0949210T3 (ko)
ES (1) ES2154941T3 (ko)
PT (1) PT949210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4667A (en) * 1997-08-25 2000-04-04 Guardian Fiberglass, Inc. Glass melting apparatus and method
US7035932B1 (en) * 2000-10-27 2006-04-25 Eric Morgan Dowling Federated multiprotocol communication
US6722161B2 (en) 2001-05-03 2004-04-20 The Boc Group, Inc. Rapid glass melting or premelting
FR2879284B1 (fr) * 2004-12-09 2007-01-19 Air Liquide Procede de fusion d'une composition de matieres premieres par un bruleur en voute
DE102007027044B3 (de) * 2007-06-12 2008-09-04 Beteiligungen Sorg Gmbh & Co. Kg Glasschmelzofen und Verfahren für das Erschmelzen von Gläsern
RU2467960C2 (ru) * 2007-07-02 2012-11-27 Асахи Гласс Ко., Лтд. Стекловаренная печ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еклянной продукции
KR101217369B1 (ko) * 2008-04-07 2012-12-3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용융 유리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용융 유리 제조 방법
US20110011134A1 (en) * 2009-07-15 2011-01-20 Richardson Andrew P Injector for hydrogen and oxygen bubbling in glass baths
FR2950620B1 (fr) * 2009-09-30 2011-10-28 Fives Stein Four de verre, notamment pour verre clair ou ultra-clair, avec reduction de la recirculation primaire
US8973405B2 (en) 2010-06-17 2015-03-10 Johns Manvil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oaming downstream of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producing molten glass
US8973400B2 (en) 2010-06-17 2015-03-10 Johns Manville Methods of using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to produce glass products
US8650914B2 (en) 2010-09-23 2014-02-18 Johns Manville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ycling glass products using submerged combustion
US8707739B2 (en) * 2012-06-11 2014-04-29 Johns Manvil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molten glass
US8997525B2 (en) 2010-06-17 2015-04-07 Johns Manville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foamed glass using submerged combustion
US9032760B2 (en) 2012-07-03 2015-05-19 Johns Manville Process of using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to produce hollow glass fiber or solid glass fiber having entrained bubbles, and burners and systems to make such fibers
US8991215B2 (en) 2010-06-17 2015-03-31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bubble size and bubble decay rate in foamed glass produced by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8707740B2 (en) 2011-10-07 2014-04-29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glass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US9096452B2 (en) 2010-06-17 2015-08-04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destabilizing foam in equipment downstream of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9776903B2 (en) * 2010-06-17 2017-10-03 Johns Manvil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lten glass
US8769992B2 (en) 2010-06-17 2014-07-08 Johns Manville Panel-cooled submerged combustion melter geometry and methods of making molten glass
US9021838B2 (en) 2010-06-17 2015-05-05 Johns Manville Systems and methods for glass manufacturing
US8875544B2 (en) 2011-10-07 2014-11-04 Johns Manville Burner apparatu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including the burner, and methods of use
US10322960B2 (en) 2010-06-17 2019-06-18 Johns Manville Controlling foam in apparatus downstream of a melter by adjustment of alkali oxide content in the melter
JP5731437B2 (ja) * 2012-04-06 2015-06-10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
US9533905B2 (en) 2012-10-03 2017-01-03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having an extended treatment zone and methods of producing molten glass
WO2014055199A1 (en) 2012-10-03 2014-04-10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destabilizing foam in equipment downstream of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9227865B2 (en) 2012-11-29 2016-01-05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well-fined glass using submerged combustion
WO2014189504A1 (en) 2013-05-22 2014-11-27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burners
WO2014189501A1 (en) 2013-05-22 2014-11-27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burners, melters, and methods of use
US10138151B2 (en) 2013-05-22 2018-11-27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burners and melters, and methods of use
WO2014189499A1 (en) 2013-05-22 2014-11-27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burners and melters, and methods of use
SI2999923T1 (sl) 2013-05-22 2018-11-30 Johns Manville Potopni zgorevalni talilnik z izboljšanim gorilnikom in ustrezen postopek
US9731990B2 (en) 2013-05-30 2017-08-15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glass melt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PL3003997T3 (pl) 2013-05-30 2021-11-02 Johns Manville Palniki do spalania pod powierzchnią cieczy ze środkami usprawniającymi mieszanie przeznaczone do pieców do topienia szkła oraz zastosowanie
CN104030547B (zh) * 2014-07-05 2016-01-27 蚌埠玻璃工业设计研究院 一种平板玻璃熔窑澄清部阶梯式碹顶
FR3023550B1 (fr) * 2014-07-08 2016-07-29 Saint Gobain Isover Dispositif de fusion du verre comprenant un four, un canal et un barrage
TWI685473B (zh) * 2015-03-06 2020-02-21 美商康寧公司 用於調節熔融玻璃的設備及方法
US9751792B2 (en) 2015-08-12 2017-09-05 Johns Manville Post-manufacturing processes for submerged combustion burner
US10670261B2 (en) 2015-08-27 2020-06-02 Johns Manville Burner panel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US10041666B2 (en) 2015-08-27 2018-08-07 Johns Manville Burner panels including dry-tip burner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US9815726B2 (en) 2015-09-03 2017-11-14 Johns Manvil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heating feedstock to a melter using melter exhaust
US9982884B2 (en) 2015-09-15 2018-05-29 Johns Manville Methods of melting feedstock using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10837705B2 (en) 2015-09-16 2020-11-17 Johns Manville Change-out system for submerged combustion melting burner
US10081563B2 (en) 2015-09-23 2018-09-25 Johns Manville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binding loose scrap
US10144666B2 (en) 2015-10-20 2018-12-04 Johns Manville Processing organics and inorganics in a submerged combustion melter
US10246362B2 (en) 2016-06-22 2019-04-02 Johns Manville Effective discharge of exhaust from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US10301208B2 (en) 2016-08-25 2019-05-28 Johns Manville Continuous flow submerged combustion melter cooling wall panel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337732B2 (en) 2016-08-25 2019-07-02 Johns Manville Consumable tip burners,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including same, and methods
US10196294B2 (en) 2016-09-07 2019-02-05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wall structures or panels of sam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233105B2 (en) 2016-10-14 2019-03-19 Johns Manville Submerged combustion melters and methods of feed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such melters
US10815142B2 (en) 2018-03-15 2020-10-27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Gradient fining tank for refining foamy molten glas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DE102018124075A1 (de) * 2018-09-28 2020-04-02 Beteiligungen Sorg Gmbh & Co. Kg Schmelzwanne und Glasschmelzanlage
CN109721222B (zh) * 2019-02-19 2022-03-04 东旭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玻璃窑炉及玻璃窑炉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4855A (en) * 1932-07-28 1934-01-23 Hartford Empire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glass
LU49817A1 (ko) * 1965-11-11 1967-05-11
GB8710298D0 (en) * 1987-04-30 1987-06-03 Glaverbel Glass-melting furnace
US4932035A (en) * 1987-05-30 1990-06-05 Sorg Gmbh & Co. Kg Discontinuous glass melting furnace
DE3903016A1 (de) * 1989-02-02 1990-08-09 Sorg Gmbh & Co Kg Diskontinuierlicher glasschmelzofen
DE3718276A1 (de) * 1987-05-30 1988-12-08 Sorg Gmbh & Co Kg Glasschmelzofen
DD299584A7 (de) * 1989-07-27 1992-04-30 Glasindustrie Waermetech Inst Schmelzaggregat zum herstellen von glas
FR2737487B1 (fr) * 1995-08-03 1998-01-09 Saint Gobain Vitrage Dispositif pour la fusion de matieres vitrifiables
DE19710351C1 (de) * 1997-03-13 1998-05-20 Sorg Gmbh & Co Kg Verfahren und Glasschmelzofen zum Herstellen von hochschmelzenden Gläsern mit verdampfbaren Kompon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9210A1 (de) 1999-10-13
KR100436975B1 (ko) 2004-06-23
DE19815326A1 (de) 1999-10-14
US6154481A (en) 2000-11-28
PT949210E (pt) 2001-06-29
ES2154941T3 (es) 2001-04-16
DE59900037D1 (de) 2001-03-01
DK0949210T3 (da) 2001-04-30
DE19815326C2 (de) 2001-05-03
EP0949210B1 (de) 2001-01-24
ATE198874T1 (de)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821A (ko) 유리융해로의운전방법및그운전방법을실시하기위한유리융해로
FI86985C (fi) Energisparande foerfarande foer smaeltning av glas och glassmaeltugn foer genomfoerande av detta foerfarande
TWI274046B (en) A method for refining a glass melt and an apparatus for melting and refining a glass melt
KR100380704B1 (ko) 유리용융용장치
RU2695731C1 (ru) Стекловаренная печь
FI85578C (fi) Saett foer glasframstaellning och glassmaeltningsugn.
KR101609893B1 (ko) 유리 용융로
KR101600109B1 (ko) 유리 용융로
KR101600110B1 (ko) 유리 용융로
EP0407664B1 (en) Melting and holding furnace
US4312302A (en) Combustion chamber for fluid-bed combustion
US4906272A (en) Furnace for fining molten glass
US4725299A (en) Glass melting furnace and process
US4536205A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s in glass melter
US1991331A (en) Glass melting tank
FI83760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glas eller liknande.
CN105152520B (zh) 一种高效光学玻璃熔化池
EP0019007B1 (de) Schmelzofen hoher Leistung für das Schmelzen aggressiver Mineralstoffe mit steilen Viskositätskurven
LU83560A1 (fr) Procede de traitement d'un bain de verre fondu dans un four de fusion du type a bassin,et ce four
RU2232364C2 (ru) Индукционная печь 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 выплавки металл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SU1604757A1 (ru) Стекловаренна ванна печь
JP2683749B2 (ja) バッフル付きガラス溶融炉
JP5720898B2 (ja) ガラスの溶融装置、及び溶融ガラスの供給方法、並びに溶融炉用の流出通路
US1760371A (en) Apparatus for melting glass and the like
SU1188115A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а в стекловаренной пе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