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568A -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568A
KR19990082568A KR1019980706306A KR19980706306A KR19990082568A KR 19990082568 A KR19990082568 A KR 19990082568A KR 1019980706306 A KR1019980706306 A KR 1019980706306A KR 19980706306 A KR19980706306 A KR 19980706306A KR 19990082568 A KR19990082568 A KR 1999008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ramp
ship
station
lifebo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괘란 텡발
Original Assignee
괘란 텡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괘란 텡발 filed Critical 괘란 텡발
Publication of KR1999008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3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en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3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enclosed
    • B63C2009/035Enclosed lifebo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선박상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 구명보트(10)가 있고, 상기 구명보트는 그 종방향이 선박의 종방향과 일치하며 선박의 긴 측면에서 진수될 수 있다. 봉함된 각각의 구명보트(10)는 적어도 그 한 단부가 밀폐형 내단부벽(21)과 구명보트 선체 사이에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단부벽은 구명보트에 내로 안내하는 도어(22)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폐쇄상태에서는 방수되며, 상기 선체는 개구(20)를 구비하고, 그 하부 승선대는 구명보트가 떠있을 때 바람직하게 수면위에 있게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전통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선박용 해상 구조 장비는 구명보트이다. 초기에는 대부분 나무로 제조되었으나 현재는 플라스틱이나 강철로 제조되고 있는 구명보트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배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기둥(davit)에 매달려져 있다. 그러나 만약, 선박이 기울어진다면, 단지 한쪽 측면의 구명보트만이 안전하게 진수될 수 있고, 특히, 여객선에서는 구명보트 좌석의 수가 모든 승객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구명보트에 승선하는 것은 어려우며, 진수(launching)시에는 매우 위험하다. 선박 사고 이후에, 비어있고, 사용불가하며, 전복되어 있는 구명보트를 발견하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다.
요즈음의 어떤 구명보트는 소정의 종류의 덮개를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완전히 폐쇄된 구명보트는 대중화되어 있지 않다. 더욱 최근에는 특히, 유조선 등의 특정한 경우에, 구명보트가 45°각도로 미끄러져 바다로 자유롭게 진수될 수 있는 활주대상에 배열된 폐쇄형 구명보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되어 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팽창형 고무 래프트(raft)가 선박의 구명 장비로서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상기 래프트는 일반적으로 특수한 용기에 담겨 선박 측면을 따라 상부 갑판상에 보관되어 있다. 진수되고난 이후에, 래프트는 자동으로 팽창되어 승객을 태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래프트에 승선하는 것은 극히 위험한 일이고, 래프트가 결코 이상적인 구명 장비가 될 수 없음은 명백한 일이다.
또한, 크래인에 의해서도 진수될 수 있다. 이경우에 래프트는 팽창되어 난간 외측의 크래인에 매달리게되고, 여기에서 승객들이 승선하게 된다. 궂은 기상 상황에서는 이 방법에서 승선 방법의 위험성도 무시할 수 없다.
빈번히, 물속에 빠졌다가 래프트에 승선하게된 승객들은 날씨에 손상을 입기 쉬우며, 이는 반드시 신속하게 구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구명대나 구명재킷 등의 소정의 여분의 개인 보호구는 선박의 모든 승객들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특히 여객선에서 선박 전체가 유실되었을 때, 모든 승객이 구조될 가능성은 작으며, 안전을 거의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위험시에 각각의 승객이 "그의" 구조 장비로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매우 결핍되어 있다. 그순간 사용할 수 있는 구명보트나 래프트 둘레에 너무 많은 승객이 모일때에는 공포심이나 구조 장비에 대한 무관심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선박의 높은 위치로부터 종래의 구명보트를 진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방해를 받는 약 15°이상의 경사로 배가 경사지더라도 그것에 무관하게 선박으로부터 동일한 종류의 장비로 모든 승객을 구조하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과, 여객선 등의 선박의 승선시에 안전을 보장하는 것에 관한 완전히 새로운 사고가 달성되어야한다.
본 발명이 이 영역에서 완전히 새로운 사고를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안전 보장 스테이션"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안전 보장 스테이션"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여러 종류의 구명 장비를 구비한 잘 준비되고, 보호된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는 선박의 종방향과 종방향이 일치하고 선박의 긴 측면에서 진수될 수 있는 구명보트가 있다.
본 발명은 구명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구명보트는 그 종방향이 선박의 종방향과 일치하며 선박의 긴 측면에서 진수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안전 보장 스테이션을 구비한 여객선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서 안전 보장 스테이션과 갑판을 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선택적인 방식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을 가진 여객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안전 보장 스테이션과 그 내부에 배열된 구명보트의 측면 확대도.
도 5는 세 개의 구명보트가 그 내부에 배열된 안전 보장 스테이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전 보장 스테이션 내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어 여객선에 배치된 구명보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명보트의 반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좌측으로부터 또는 그 선미로부터 선택된 구명보트를 도 6 및 도 7보다 약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구명보트를 진수시키기 위한 경사로 설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동일한 경사로 설비의 평면도.
도 11은 경사로 설비를 통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구명보트가 경사로 설비를 떠날 때의 위치를 도시하는 경사로 설비의 단부 부분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도 13은 선택적인 경사로 설비의 도 11에 대응하는 횡단면도.
도 14는 코스(course) 후크와 호이스트 장치를 가진 선택적인 연장 경사로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경사로의 단부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라서, 선박상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 배열된 다소 공지된 바가 포함된 각각의 구명보트는 적어도 그 한 단부에서 빈틈없는 내단부벽과 구명보트 선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내단부벽은 닫힌 상태에서는 방수되는 구명보트 내로 인도하기 위한 도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명보트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의 하부 승선대(boarder)는 구명보트가 떠있을 때 수면위로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명보트의 승객들이 구명보트 내부에 들어가서 완전히 보호되어 앉는 것과 동시에, 구명보트의 승무원은 상기 공간에서 개구를 통해서 베씽(bathing) 계단이라 지칭되는 부양형 발판이나 손잡이가 있는 경사지고 수중에 가라앉아 있는 계단을 이용하여 구명보트 주변의 수중의 사람들을 구조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예로서, 갑판으로부터 개구에 이르는 짧은 계단을 이용하여 구명보트로 승선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 공간은 내부로의 통로를 용이하게 하는 상부 출입구를 갖는다. 또한, 닻 및 띄움식 닻(drift anchor)과 마찬가지로, 사람을 구조하기에 적절하도록 줄과, 블록 및 도르레 장치와, 단부에 교환가능한 장치를 가지고 있는 신장형 비트-후크(beat-hook)를 매다는 것도 가능하다. 수중에서 사람을 구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명보트는 개구 근방에 부양형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서, 예로서, US-A-1 043 915호에 공지되어 있는 방식 대로 복수개의 구명보트가 구명보트 경사로를 따라 선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경사로는 선박의 측면에 대하여 수평이거나 또는 다소 경사질 수 있다. 각각의 구명보트가 경사로를 따라 제어 이동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는 각각 의 단부에 경사로의 래크와 협력하는 기어휠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휠은 모터 구동되는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축은 또한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레크 대신에 예로서,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사로의 외부에 배열되고 그 유지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축 상의 기어휠과 협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인에 의해, 경사로를 따른 측방향이동이 러너에 의한 물로의 제동된 이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러너는 각각의 기어휠에 대해 체인을 유지한다. 체인으로부터의 분리는 러너가 모터에 의해 체인을 벗어남으로써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명보트를 경사로로부터 제어하며 진수하는 다른 방법은 마찰 블록이 있고, 상기 마찰 블록은 기어휠의 근방에 배열되며 구명보트가 경사로를 떠날 때 기어휠과 맞물리고, 마찰 블록 위에 권선되어 있으며 경사로에서 후크에 그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줄을 포함한다.
정상적인 위치에서, 즉, 구명보트가 진수되기 이전에, 상기 마찰 블록은 경사로에 견고하게 로크되어 있지만, 구명보트는 경사로를 따라 정상적으로 구명보트가 진수되기 이전에 선박이 침몰하였을 때 떠오르거나 구조 핼리콥터나 크래인 등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위해 경사로로부터 불리될 수도 있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핀에 의해 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핀은 상기 축과 기어휠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경사로의 설치편과 추가적으로 고작 이어(ear)를 통해 연장된다.
핀이 상기 이어내로 완전히 연장되었을 때, 상기 구명보트는 경사로에 로크된다(위치 0). 그다음 위치에서, 상기 핀이 이어에서는 빠지고 설치편내부를 통해서는 연장되어 있을 때, 상기 구명보트는 경사로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위치 1). 마지막 위치에서, 상기 핀이 설치편으로부터 마저도 제거되었을 때 상기 구명보트는 경사로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위치 2).
상기 설치편은 램프의 피벗과 맞물리는 후크 형상의 노치에 의해 경사로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명보트가 상기 경사로를 상방으로 벗어날때에, 설치편의 안내의 시작과, 그로인한 구명보트의 안내의 시작이얻어진다. 이상태에서, 상술한 줄은 반드시 그 상향 개방 후크를 벗어나야만 한다.
선택적인 방법은 사용된 U-빔의 상부 레그의 폭을 그것이 구명보트 기어휠의 어떠한 부분도 덮지 못하는 크기로 감소시키고, 휠을 기어휠과 U-빔 사이의 핀상에 배치시키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U-빔은 기어휠을 래크와 맞물리게 하여 유지한다. 휠은 핀상에서 예로서 판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예로서, 진수시에). 상기 판은 기어휠의 축 둘레에 내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술한 이동가능한 후크는 경사로 밑의 운송 트랙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트롤리(trolley)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운송 트랙은 그 단부에서 경사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이는 줄이 신장되어 트롤리를 그곳에 정지시키는 것과 빈 트롤리의 수집 및 처리를 허용하기 위해서이다.
각각의 경사로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더 큰 고착식 후크는 마찰 블록내에 감겨진 줄의 단부 루프를 잡기위한 것이고, 각각의 구명보트에 소속되는 이동가능하고 더 작은 후크를 가진 운송 트랙의 대안을 구성한다. 구명보트의 기어휠과 마찰 블록내에서의 기어 사이의 결합은 앞선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선택하거나 다른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로서, 다른 구명보트의 매끄러운 면에 대해 소정의 구명보트에 고무 완충장치를 부가한 구명보트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구명보트의 위와 위편에 여분의 경사로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사로상의 보트는 다른 것보다 더 긴 축을 필요로 한다. 진자 운동에 대한 조치가 취해지고, 그래서, 고무 완충장치는 서로 헝클어지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1은 여객선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선박은 복수개의 갑판을 가지고, 최상부 갑판에 복수개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A-E)을 갖는다. 이런 안전 보장 스테이션 각각에 구명보트(A1-E1)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수직방향 안전 보장 계단 하우징이 선박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안전 보장 스테이션(E, D) 사이의 이중 계단 하우징은 ED로 도시되어 있고, 안전 보장 스테이션(D, C) 사이의 이중 계단 하우징은 DC로 도시되어 있으며, 안전 보장 스테이션(A)를 위한 단일 계단 하우징은 A로 도시되어 있다. 모든 계단 하우징은 특별한 방식으로 불과 연기에 대해 보호되어 있으며, 부가적으로, 각각의 입구에 잠금장치가 있다. 또한, 계단 하우징은 안전 보장 계단으로 지칭된다.
안전 보장 계단 하우징은 전체 선박에서 복도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안전 보장 스테이션이 있는 갑판상에서 해당하는 스테이션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복도는 넓어야 하고, 선실 문은 개구가 가장 가까운 안전 보장 계단을 향하도록 외향 개방된다. 복도는 도어를 포함하는 양쪽 측면을 따라서 도어 바로위의 천정에 매달려있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복도폭 1미터 마다 제공된다. 이 칫수는 승객 이동량을 증가시키고, 그에따라, 구명보트 탑승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안전 보장 스테이션은 복수개의 구명보트를 가지며, 여기에서 상기 구명보트는 그 종방향이 선박의 종방향과 일치하며 선박의 긴 측면에서 진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명보트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런 안전 보장 스테이션은 선박의 횡단방향으로 구명보트가 서로 인접하게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채널"이다.
각각의 이런 구명보트는 그 단부(선수와 선미)에서 관통축(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축은 구명보트의 양쪽 측면에서 선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명보트 경사로(13)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휠이나 기어휠(12) 등을 갖는다. 경사로(13)는 선박의 중앙으로부터 측면으로 특정한 범위 만큼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래서, 만약 선박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인 경우에도 선박의 측면을 향한 구명보트의 이동을 촉진한다.
진수시에 구명보트가 선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선박이 소정의 기울어짐을 갖는다하더라도 진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구명보트 경사로(13)는 연장가능하거나, 접을수 있거나, 선회가능한 경사로 연장부(13')를 구비하고, 이 경사로 연장부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구명보트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진수되기 위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기어휠(12)과 경사로(13)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구명보트(10)내의 모터와 브레이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명보트는 제어가능하게 바다로 강하되고, 이를 위해서, 구명보트는 하기에 기술된 적절한 수단을 구비한다. 선박이 침몰할 때 바다에 의해 경사로(13)로부터 구명보트가 들려지거나, 헬리콥터나 크레인에 의해 구명보트가 들려질 수도 있다. 구명보트(10)는 이렇게 들려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갖고 있다.
운송 위치에서 구명보트(10)의 안정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고, 구명보트의 위치가 서로 상당히 근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저면 지지부(14; 도 4)가 구명보트 아래의 갑판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저면 지지부(14)는 구명보트가 선박의 측면위로 진수될 때에는 예로서, 구명보트로부터 작동되는 유압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에서, 각각의 구명보트(10)는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서 양 단부에 갑판(16)과 동일한 높이에 입구 도어(15)를 구비할 수 있고, 그래서, 승객들이 갑판으로부터 봉함된 구명보트(10) 내부로 아무런 어려움 없이 걸어들어갈 수 있다.
이 형태의 구명보트(10)에서 내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구명보트의 최상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봉함된 구명보트(10)는 열(예로서, 불타는 기름)과 냉기에 대해 잘 절연되어 있고, 스프링클러(sprinkler)를 구비하며, 또한 큰 변형을 견딜수 있는 구조이다. 구명보트의 크기는 선박의 필요성에 따라 조절된다. 각각의 구명보트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바다에 있기 위해서 예로서 화장실 시설 등의 각종 설비를 잘 갖추고 있다.
각각의 구명보트(10)에서 경사로(13) 부근에는 선박상에서 선내의 화재시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 공급 도관과 스프링 클러장치(17)가 있고,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선박에 탑승할 때, 각각의 승객에게는 그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 위치가 주어진다. 이런 위치는 예로서, 문자나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C1은 이 승객은 안전 보장 스테이션 C의 1번 구명보트로 가야만함을 나타낸다. 안전 보장 스테이션(C)에 도달하기 위해 그는 계단 하우징(CB) 또는 계단 하우징(DC)를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그는 두 가지 선택가능한 경로를 갖는다. 갑판(16)에 도착하면 그는 구명보트(1)로 이동하고, 구명보트의 위치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과 입구 도어상에 분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현저한 높이를 가진 여객선, 즉, 복수개의 갑판을 가진 여객선상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의 선택적인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안전 보장 스테이션은 선박을 가로지르는 터널에 매달린 구명보트(10)를 갖거나, 선박의 측면을 따라 쌍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매달린 구명보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위치는 권장되지 않으며, 그 이유는 구명보트가 매달린 측면이 가장 낮은 측면이거나, 만약, 구명보트가 매달린 측면이 최상부 측면이라 하더라도 선박이 20°정도만 기울어져 있을때는 구명보트가 단지 그들이 매달린 측면으로 밖에는 진수될수 없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구명보트가 동일한 경사부(13)상에 위치될 수 있다. 어느 한 측면에 45°에 이르는 기울어짐이 발생하였을 때는 선박의 측면위로 진수한다. 연장부의 경사는 수평면에서 0°- 25°인 반면에, 나머지 경사로는 수평이거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미세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연장부는 올바른 침로로 진수될때 강하 시작시 구명보트(10)가 용이하게 선박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매우 길어질 수 있다. 이런 안전 보장 스테이션은 예로서, 열두개의 갑판을 가진 선박에서 7 및 8번 갑판에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안전 보장 스테이션을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은 안전한 환경에서 승선할수 있다는 장점과, 상기 스테이션으로의 최대 운송 통로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어서 선박의 승객들의 대피가 더욱 신속하고 확실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4, 도 5 또는 도 6에 따라 매달려있는 구명보트(10)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 선박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열에 안전 보장 스테이션이 형성되고, 이는 모든 승객들을 가장 확실한 방식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승선한 모든 승객들이 동일한 형태의 구조 수단을 이용할수 있다는 점에서 현상황에 비해 크게 진보된 것이다.
일반적인 여객선이나, 차량을 함께 운송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모든점을 고려하였을 때, 구명보트(1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휴게실이 있는 최상부 바로 밑의 갑판상에서 선박의 전체 폭에 걸친 복수개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방식을 통해, 승객들은 신속하고 확실하게 안전 보장 스테이션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최상부 갑판에서 구명보트에 승선하는 것처럼 궂은 날씨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쌍동선(catamaran)이나 다른 고속 선박에서 모든 사람이 승선하기에 충분한 구명보트(10)가 선박을 가로지른 경사로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은 높은 승객용 구조물 뒤의 갑판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런 배치에 의해, 이 구조물에 충분한 수의 도어를 배치함으로서 가장 단순하고 가장 신속하게 이 구조물로부터 승객을 벗어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명보트 아래의 갑판상의 승객이나 선원들은 구명보트로 인도하는 계단에 인접한 개구로 안내하는 안전 보장 계단을 오름으로서 신속하게 구명보트에 도달할 수 있다. 안전 보장 계단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매달려 있지만, 비록, 그것들이 숨겨져서 매달려 있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이런 배열에 의해 쌍동선은 최대 10분내에 비워질수 있고, 여기에 보트를 진수하기 위한 시간이 더해진다. 진수 시간은 보트당 30초정도가 소요된다.
소정의 선박이 세 개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안전 보장 스테이션이 아홉 개의 구명보트를 가지고 있고, 즉, 총 27개의 구명보트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구명보트가 125명을 안전하게 태울수 있다고 가정하면, 총 3,375명이 대피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내의 구명보트는 예로서, 갑판(7, 8)으로부터의 입구를 가지는 두 개의 평면상에 분산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 보장 스테이션으로 가는 통로의 혼잡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장 스테이션과 함께 사용하도록 선택된 구명보트(10)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구명보트는 각각의 단부가 기어휠(12)로 종료되어 있는 관통축(11)을 구비한다. 구명보트는 양 단부에서 입구가 있고, 구명보트에 가장 짧은 시간에 승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15°정도 기울어져서 선박에 대해 견고하게 매달려있다.
구명보트의 크기는 사용목적에 따른 제한폭 내에서 변화될 수 있고, 예로서, 어선용의 3-4을 수용할수 있는 것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여객선용의 150명 이상을 수용할수 있는 것까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보트는 침몰이나 전복에 대해 안전하다. 구명보트는 완전히 봉해져있고, 하나의 갑판을 갖는다. 즉, 모든 승객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엔진과 프로펠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런 배열에서, 상기 보트는 극도로 기동이 용이하므로 보트 주변의 물속에 있는 사람들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부상당할 위험이 적다.
구명보트(10)는 각각의 단부에서 다른 물품들 사이에 개구와 도어를 갖도록 설계된다. 수면의 불타는 기름을 통해 통로를 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클러를 장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명보트의 선체는 개구(20)를 구비한다. 이 개구(20) 내측에는 보트 단부벽(21)이 있고, 이 보트 단부벽은 도어(22)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도어(22)는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서 승객들의 승선시에는 개방되어있지만 그외의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폐쇄되어 있고, 폐쇄상태에서는 방수된다. 개구(20)와 도어(22)는 개구(20)로 안내하는 계단 등을 이용하여 승객이 용이하게 선박으로부터 구명보트로 승선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상기 개구와 도어는 정상적으로 서있는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벽(21)과 개구(20)에 연결된 선체와 단부벽(21)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간은 구명보트의 승객을 안전한 봉합된 공간내에 있게 하면서 구조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개구의 하부 엣지는 실질적으로 수면위에 있지 않고, 그에의해 사람들은 개구(20)를 통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중으로부터 구조될 수 있다. 구조된 사람들은 발판(stretcher)을 이용하여 또는 발판을 이용하지 않고 도어(22)를 통해 구명보트내로 옮겨지고, 도어(22)는 구명보트의 내부에 대해 내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는 도르래가 달린 줄과 포획(snatch) 블록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되고, 상기 포획 블록은 기어휠(12)의 축(11)에 매달려있다. 각각의 줄의 단부에는 사람의 구조를 위한 맬빵과 부표가 있다. 수중의 사람의 구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명보트(10)는 개구(20) 근방에 접을 수 있는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향 출입구(24; manhol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명보트(10) 그자체는 모든 방향에서 폐쇄가능한 출입구(25)를 구비할 수 있다.
구명보트(10)는 극도의 변형을 견딜수 있도록 매우 튼튼하게 제조되어 있다. 상기 보트는 예로서, 구슬이나 공 등의 형태를 가진 부양체를 구비한 저면 탱크를 가질 수 있고, 스웨덴 특허 출원 제 9501358-7호에 개시된 종류의 배수 튜브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명보트는 외부에 구명줄(26)과, 무거운 고무 완충장치와, 승선 및 하선을 위한 손잡이가 달려있는 경사진 계단을 구비하고, 이 계단은 또한 스스로 구명보트로 승선할 능력이 있는 수중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명보트는 창문을 구비할 수 있다. 구명보트(10)가 브레이크를 가진 모터로 구동되는 관통축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상기 축은 그 각각의 단부에서 경사로(13)내에서 래크(rack) 등과 맞물릴 수 있는 기어휠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로(13)는 선박의 측면을 향해 수평이거나 다소 경사져 있다. 기어휠(12) 및 기어휠에 소속된 수단들과, 경사로(13) 및 경사로에 소속된 수단들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기에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U-빔의 형태를 가질수 있는 각각의 경사로(13)는 그 하부 레그에 기어휠(12)과 협력하기 위한 래크 등이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매달려 있던 것이 해제되었을때의 구명보트(10)가 두 개의 경사로를 따라 구명보트 내의 엔진 및 브레이크 등에 의해 제어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그후, 경사로에 매달려 물밑으로 연장되어 있으면서 러너(runner)의 도움으로 축(11)상의 기어휠(12)과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체인에 의해 구명보트가 제동작용을 하면서 수면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그 각각의 기어휠에 대해 체인을 유지하는 러너는 보트의 하강에 의해 구명보트로부터 풀려나가거나, 체인의 잔여부가 엔진에 의해 동시에 러너를 통과함으로써 풀려나간다.
구명보트의 기어휠축(11)은 중공형이며 핀(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핀(30)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하기에 규정된 3가지 위치중 어느 하나로 유압 수단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서 핀(30)은 고정된 이어(31; ear)내로 연장되고, 상기 이어는 예로서, 기둥(32) 등의 경사 구조물의 일부에 부착되어 있다.이는 구명보트(10)가 진수되기 전의 운송 위치이다.
또한, 핀(30)은 경사로(13)의 설치편(33)을 통해 연장된다. 이 설치편(33)은 한편으로는 하부부분이 경사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지정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부분이 피봇(34)에 의해 경사로(13)의 상부측면에 선회가능하고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만약, 이어(31)와의 그 로킹 결합(위치 0)으로부터 핀(30)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핀은 여전히 설치편(33)과는 결합되어 있고(위치 1), 구명보트는 경사부와 맞물려져 있던 상태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이때, 먼저 피봇(34) 둘레의 설치편(33)의 선회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고, 그후, 연속되는 상승으로 설치편이 피봇(34)으로부터 풀려난다. 만약, 선박이 침몰하였다면 구명보트의 상승은 예로서, 구조 헬리콥터나 구명보트 자체의 부양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약, 핀(30)이 추가로 더 배출되고, 그래서, 설치편(33)으로부터 풀려난다면(위치 2), 기어휠(12)은 경사로의 래크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된다. 이 이동은 경사로(13)의 경사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 즉, 일반적으로 선박의 가장 낮은 측면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약, 선박이 기울어져 있다면, 상기 이동은 선박의 가장 높은 측면에 대한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이동은 일반적으로 구명보트의 엔진에 의해 구명보트 내부로부터 제어되지만 자유 이동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명보트(10)를 방출하기 위한 선택적인 방법이 도 13에 도시된다. 도 13에서, U-빔(13)의 상부 레그는 기어휠의 수직 상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짧게 되어 있다. 래크내의 기어휠(12)의 그립이 느슨해짐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휠(42)이 핀(30)상에 배열된다. 만약, 핀이 휠(42)로부터 배출된다면, 구명보트는 경사로(13)를 따라 자유이동하여 진수될 것이다. 이런 경우에 스프린트(sprint)로부터 휠(4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휠(42)은 축(11) 둘레에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판(43)이나 또다른 방식으로 핀(30)상에 유지된다.
만약, 핀(30)이 기어휠(12)내로 배출된다면, 구명보트는 헬리콥터나 크래인에 의해 부양될수 있고, 만약, 선박이 침몰한다면 바다에 의해 부양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구명보트가 배치된 경사로에 독립적으로 선박으로부터 구명보트(10)가 풀려질 수 있는 것으로서 선택된 것이다. 몇몇의 구명보트(10)는 동일한 경사로(13)상에 배열되어 있을 때, 특히, 만약, 구명보트가 소정의 경우에 경사로를 따라 이동한다면, 이는 배출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로 돌아가서, 회전가능한 마찰 블록(35)이 기어휠(12)의 근방에 배열된다. 이 블록(35)은 드럼상에 감겨진 줄(36)을 구비하고, 상기 줄은 블록내에 배열된 마찰 수단으로 인해 소정의 속도를 가져야만 제거될 수 있다. 블록(35)은 기어휠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휠은 구명보트의 기어휠(1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지만 하기한 바와 같이 구명보트(10)가 경사로(13)로부터 배출될 때는 그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줄(36)은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선박으로부터 구명보트(10)가 강하되기 위한 길이를 가지며, 그 내단부가 예로서, 테이프 등에 의해 그 드럼에 풀려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래서, 줄(36)은 필요시에 드럼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루프 형태의 줄(16)의 자유단부는 트롤리(39; trolley)상의 상향 개방된 후크(37)위에 걸쳐져 있고, 상기 트롤리는 경사로(13)하의 운송 트랙(38)에 자유롭게 활주될 수 있다. 후크(37)가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구명보트(10)가 경사로(13)로부터 상향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양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제안된 방법에서, 운송 트랙(38)은 그 단부 근방에서 경사로(13)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굽혀져 있고,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휠(12)을 가진 구명보트(10)가 경사로(13)를 벗어날 때 트롤리(39)가 트랙(38)의 이 굴곡부로 들어가고, 마찰 블록(35)에 의해 규정된 속도로 물을향해 제어가능하게 강하하는 것을 시작하게됨을 의미한다. 운송 트랙(38)의 굴곡 단부에서 경사로(13)상에 배열된 몇몇의 구명보트로부터 트롤리(39)가 수집되고 밖으로 밀려진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36)의 자유단부는 또한 선택적으로 경사로의 두 외부 단부에서 큰 후크(44)에 의해 견고하게 잡혀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후, 구명보트는 강하시에 이 후크에 매달리게 되고, 이것은 자동으로 발생되지만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제동될 수 있다. 운송 트랙(38)은 이 선택적인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다.
강하 후에 구명보트가 물에 도달하였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드럼에 풀려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던 줄(36)은 그 드럼으로부터 배출된다. 선택적으로, 배출은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거나 구명보트가 수면에 도달하고 뜨게 되었을 때 점(40)에서 핀을 동시에 배출함에 의해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블록(35)은 레버(41)에 의해 기어휠(12)에 연관된 점(40)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휴지 위치에서, 마찰 블록(35)은 중력에 의해 기어휠(12)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휠이 경사로(13)를 벗어나고 줄(36)이 팽팽해질 때, 줄의 인력은 마찰 블록(35)을 기어휠(12)과 맞물리도록 한다.
진수가 가장 낮은 측면상에서 선택된다는 것은 이미 기술하였다. 이는 사람이 부상당할 위험이 가장 높은 측면에서 진수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이다. 가장 낮은 측면에서의 위험은 주로 가장 높은 측면상에서 바람이 미는것과 그에 의한 이동 때문에 선박이 진수된 구명보트를 향해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는 모든 종류의 선박에서 공지된 사실이고, 특히 만약 선박의 방향타나 기계장치가 사용 불가한 상태일 때, 선박은 전복 위험을 증가시키는 롤링과 측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양호한 선박 조종술로 조종되어야만 한다.
여기에는 만약, 수심이 허용한다면 선박의 닻이나, 만약, 사용가능하거나 사용될 준비가 되어 있다면 띄우는 닻(drift anchor) 또는 선박의 정박용 케이블 등의 도구가 사용된다. 이 케이블은 대단한 임시방편이며 또한 크고 작은 선박에서 방향타로서도 사용된다.
만약, 그 한 단부에 판자가 부착된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 선미에 펼쳐져 있다면, 그 때문에, 선미는 바람에 대해 선회하게 되고, 그래서 바람이 가장 높은 측면을 미는 것이 롤링과 마찬가지로 감소되고, 동시에 일반적으로 풍속의 대략 1/10인 이동속도도 현저하게 감소되며, 그래서 가장 낮은 측면상에서의 진수가 보다 양호한 조건에서 수행되게 된다.
진수 장치를 가진 구명보트는 매년 검사된다. 구명보트는 선상에서 이용할수 있는 자원들과 함께 진수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필요성을 충족한다. 일반적인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핀(30)이 기어휠(12)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와이어(46)는 휠위를 지나 휠(42)에 설치된 부착부(45)로 안내된다. 상기 핀은 그곳에서 휠(42)과 부착물(45)를 통해 밀려진다. 그후, 윈치(winch)에 의해 구명보트가 경사 연장부(13')의 높이에 이르도록 당겨질 수 있다. 래크(47)는 유압식이나 다른 방식으로 밀려지며, 그래서 이는 기어휠(12)의 아래에 도착한다. 상기 구명보트는 상기 래크(47)상에 강하되고, 여기에서 상기 연장부(13')는 그 내부 위치로 당겨진다. 상기 기어휠(12)은 모터에 의해 상기 연장부(13')상으로 이동되고, 상기 부착부(45)는 풀려나고, 핀은 기어휠(12)로부터 배출된다.
도 14에서 참조부호(48)는 경사로(13)용 지지부를 나타내고, 49는 경사로 연장부(13')용 추가적인 지지부를 나타내고, 50은 상기 래크를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는 휠(42)을 위한 연장 정지부이다.

Claims (11)

  1. 선박의 종방향과 일치하며 선박의 긴 측면에서 진수되는 구명보트(10)를 포함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에 있어서,
    봉함된 각 구명보트(10)는 적어도 그 한 단부에서 밀폐형 내단부벽(21)과 구명보트 선체 사이에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단부벽은 구명보트내로 안내하는 도어(22)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폐쇄상태에서는 방수되어 있으며,
    상기 선체는 개구(20)를 구비하고, 그 하부 승선대는 구명보트가 떠있을 때 바람직하게 수면위에 있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부 출입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10)는 상기 개구(20)의 근방에 접을 수 있는 플랫폼(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명보트(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구명보트 경사로(13)에 매달려 있으며,
    각 구명보트(10)는 그 단부에 상기 경사로(13)의 래크와 협력할수 있는 기어휠(12)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휠은 브레이크를 가진 모터로 구동되는 축(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5. 제 4 항에 있어서, 마찰 블록(35)은 상기 기어휠(12)의 근방에 배열되어 상기 구명보트가 경사로(13)를 벗어날시에 기어휠과 맞물리게 되고, 줄(36)을 포함하며,
    상기 줄은 마찰 블록 위에 권선되어 있고, 그 단부가 경사로에서 후크(37)에 연결되어 있어서 각 구명보트(10)가 경사로로부터 바다로 강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6. 제 4 항에 있어서, 축(11)과 기어휠(12)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는 핀(30)은 경사로의 설치편(33)을 통해 연장되고, 고착된 이어(31; ear) 내부로 추가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편(33)은 경사로의 피봇(34)과 맞물리는 후크 형상의 노치에 의해 경사로(13)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줄(36)은 상기 설치편(33)이 경사로(13)를 벗어날 때 그 후크(37)를 벗어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7)는 상기 경사로(13) 아래의 운송 트랙 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트롤리(39)상에 배열되고,
    상기 운송 트랙은 상기 줄(36)이 신장되어 경사로로부터 구명보트(10)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그 단부에서 상기 경사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10.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의 선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구명보트와 구명보트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공기 연결 수단과 스프링클러(sprinkler)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10)는 진수 이후에 핀(40)이 구명보트의 내부로부터 빠지고 마찰 블록(35)이 풀려남으로써 선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KR1019980706306A 1996-02-14 1997-02-11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KR19990082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0529A SE506045C2 (sv) 1996-02-14 1996-02-14 Säkerhetsstation på ett fartyg
SE9600529-3 1996-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68A true KR19990082568A (ko) 1999-11-25

Family

ID=2040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06A KR19990082568A (ko) 1996-02-14 1997-02-11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79173A1 (ko)
JP (1) JP2000504653A (ko)
KR (1) KR19990082568A (ko)
AU (1) AU1816897A (ko)
SE (1) SE506045C2 (ko)
WO (1) WO19970299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0B1 (ko) * 2008-12-12 2011-08-05 한국해양연구원 여객선 승하선 유압식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009A (en) * 1901-10-10 1902-05-27 James W Bedford Life-boat-launching device.
US1043915A (en) * 1912-06-26 1912-11-12 John E Erickso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lowering life-boats.
US2273318A (en) * 1939-12-11 1942-02-17 Dante C Pedrini Launching device for lifeboats
NO128950B (ko) * 1970-09-09 1974-02-04 H Skontrop
DK396977A (da) * 1977-09-06 1979-03-07 S F Mortensen Redningsfartoej
DE3001197A1 (de) * 1980-01-15 1981-07-23 Ahlemann & Schlatter, 2800 Bremen Vorrichtung zum retten von schiffbruechigen
FR2577510A1 (fr) * 1985-02-15 1986-08-22 Peyre Xavier Bateau de transbordement vertical et horizont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0B1 (ko) * 2008-12-12 2011-08-05 한국해양연구원 여객선 승하선 유압식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816897A (en) 1997-09-02
SE9600529L (sv) 1997-08-15
JP2000504653A (ja) 2000-04-18
SE506045C2 (sv) 1997-11-03
SE9600529D0 (sv) 1996-02-14
WO1997029950A1 (en) 1997-08-21
EP0879173A1 (en)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8176B1 (en) Improvement of life rafts on ships
DK1624186T3 (en) Rescue Capsule for wind power plants
CN103687786A (zh) 充气式可漂浮装置
EP0174025B1 (en) Free fall submersible life saving device suitable for offshore structures working in extremely heavy weather conditions
US4406244A (en) Launching and recovery apparatus
CA2020443A1 (en) Personnel transfer system
FR2513962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sauvetage de l'equipage d'un navire ou d'une plate-forme implantee en mer
CN113415386A (zh) 一种用于高干舷船舶的救生艇筏登乘训练集合站
KR101497442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GB2225753A (en) Abandonment systems for structures surrounded by water
SE412884B (sv) Livreddningsanordning for fartyg
US3222700A (en) Inflatable liferafts
EP0929438B1 (en) Man overboard device
KR19990082568A (ko) 선박용 안전 보장 스테이션
EP1336560B1 (en) Marine lifesaving equipment
NO793294L (no) Fremgangsmaate og system for evakuering av en offshore boreplattform
US2270437A (en) Life saving device
GB2231844A (en) Maritime emergency escape system
ES2925910T3 (es) Sistema de transferencia de botes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House Boatwork And Life-Saving Appliances
JPS6135034B2 (ko)
EP3109148B1 (en) Lining and rescue float
GB2255533A (en) A lifeboat escape system
WO2000029283A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evacuation of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