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407A -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 Google Patents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407A
KR19990082407A KR1019980706139A KR19980706139A KR19990082407A KR 19990082407 A KR19990082407 A KR 19990082407A KR 1019980706139 A KR1019980706139 A KR 1019980706139A KR 19980706139 A KR19980706139 A KR 19980706139A KR 19990082407 A KR19990082407 A KR 1999008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ating
conductive
tester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 허건
스콧 퍼거슨
마이클 개리스
Original Assignee
도날 비이. 토빈
듀라셀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 비이. 토빈, 듀라셀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도날 비이. 토빈
Publication of KR1999008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44Cells or batteri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ell condition indicating means
    • H01M6/505Cell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int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테스터 합성체(8)을 형성하기 위해 라벨 일체형 셀을 위한 상태 테스터를 구비한 전기화학 셀을 위한 라벨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는 도전성 재료(40)와 열접촉하는 열 크롬성 재료(12)를 갖는다. 경화된 도전성 재료와 열 크롬성 재료를 갖는 서브구조물은 해제 가능한 웨브상에 형성되어 웨브로부터 열수축 가능한 베이스 필름(10)의 내측면으로 이송된다. 파티션 코팅(60)은 상기 이송된 도전성 재료에 가해진다. 공기를 포획하기 위한 대형 윈도우 트인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시트는 상기 파티션 코팅에 가해지고 도전성 재료의 열 발생부 위에 정렬된다.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는 셀 하우징에 대해 윈도우 트인 구멍을 갖는 절연 종이나 플라스틱을 갖는 셀 하우징에 가해진다. 상기 테스터는 그 표면상의 하나이상의 영역을 가압하고 도전성 재료를 셀의 도전성 재료에 연결하므로써 작동되며, 이에 따라 도전성 재료가 발열되어 열 크롬성 재료의 외관을 변형시키므로써 셀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전기화학적 셀의 상태를 판단하는 테스터는 일반적으로 박막 열 반응형이다. 이러한 타입의 테스터는 일반적으로 열 저항막의 일 측부에 전기 도전성 코팅부와 그리고 다른 측부에 열 크롬성 코팅부를 갖는 것이다. 상기 테스터는 셀 또는 셀 라벨에 일체로 되지 않는 스트립 형태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다. 테스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테스트를 받는 셀의 터미널 단부에 테스터를 적용하여야만 한다. 이것은 도전성 코팅부에 전기 회로로 완성되며 그리고 상기 코팅부에서 가열동작을 발생시킨다. 도전성 코팅부의 폭은 그 길이를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광폭부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협폭부로 된다. 임계 온도는 도전성 코팅부와는 다른 부분을 따라서 이르게 되어서, 그곳에 인접한 열 크롬성 코팅부의 일부분이 기부로 있는 칼라 코팅부가 드러나도록 명료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열 크롬성 코팅부의 변화부를 따라서 형성된 그래픽 스케일은 셀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테스터 및 이러한 적용 예로는 미국 특허 제 4,723,656호 및 제 5,188,23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전기화학 셀에 테스터의 사용은 공지되어진 것이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1,497,388호를 참고) 그런데, 현대 기술 및 고속도 장비를 사용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702,564호에 개시된 타입의 열 반응 테스터의 라벨에 합체는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현대 건전지 라벨은 열 수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한 심각한 제조문제로는, 기부 열 민감성 라벨의 변형 또는 수축 발생 없이 도전성 코팅을 경화시키는 방법에 있다. 이후, 열 반응성 테스터만의 내성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전성 코팅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필름은 경화 온도에 대한 내성이 있음으로, 도전성 코팅은 필름 위에서 경화된다. 그런데, 상기 필름은 현대 건전지 라벨용으로 유용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위에 전기화학성 셀 상태 테스터가 내재된 라벨과 상기 라벨을 가진 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라벨과 일체로 되고 라벨/테스터 합성체를 형성하는 합성 셀 테스터의 부분 단면하여 확대 도시한 등각 단면도.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에 도시된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중간 제조물의 확대 단부도.
도 2c 는 도 1 의 완성된 라벨/테스터의 단부도.
도 3 은 양호한 분할 형식과 기부 도전성 코팅을 설명하는 도 1 의 테스터 합성물의 일 부분의 평면도.
도 4 는 일 예의 도전재와 접촉하는 압압된 도전층이 나타난 접촉 지역의 대표적인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셀에 적용된 라벨/테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설명을 위해 정상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셀의 음 단부를 가진 셀에 고정된 라벨/테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물을 형성하는 라벨이 일체로 된 셀 테스터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
도 8a 는 릴리즈 웨브로부터 도 8b 의 부분 합성물로 열 크롬성 코팅 및 도전성 코팅을 전달하여 라벨/테스터 합성물의 일부 제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b 는 도 7 에 나타낸 라벨/테스터 합성물의 일부분의 단부도.
도 8c 는 도 7 의 완성된 라벨/테스터의 단부도.
도 9 는 도 7 에 나타낸 실시예용으로 그 사이에 설치된 파티션 코팅, 도전성 코팅 및 유전체 코팅의 평면도.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코팅부의 조립된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물을 형성하는 라벨이 합체된 셀 테스터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실시예용으로 그 사이에 설치된 절연 기판, 파티션 코팅, 도전성 코팅 및 유전체 코팅의 평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요소의 조립된 평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체가 일체로된 셀 테스터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실시예용으로 그 사이에 절연 기판, 파티션 코팅, 도전성 코팅, 및 유전체 코팅의 평면도.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낸 요소의 조립된 평면도.
도 17 은 셀에 적용되는 도 14 내지 도 16 에 설명된 라벨/테스터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상술된 장애를 극복하여 적합하게 제조된 신뢰성 있는 온-셀 열 크롬성 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벨에 도전성 코팅을 경화시킬 필요를 없애어 라벨의 변형 또는 수축 동작을 소거하고, 그리고 열 반응성 테스터를 셀 라벨에 합치시킬수 있게 만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전성 코팅은 신뢰성 있는 내열성 웨브에서 경화되고 그리고 웨브로부터 셀 라벨로 전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화학성 셀과 그 위에 라벨/테스터 합성체에 관한 것이다. 합성체는, 그 위에 배치된 열 크롬성 물질을 가진 필름과, 셀 하우징으로부터의 도전성 물질을 열 절연하는 수단과 열 크롬성 재료와 열 접촉하는 전기적 도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인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트인 구멍을 구비하며, 여기서 트인 구멍은 도전재의 일부분을 커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것이다. 트인 구멍은 양호하게 도전재의 열 발생 부분의 적어도 40%를 커버하는 것이다. 전기적 비도전재에는 제 1 구멍으로부터 이격분리된 보다작은 제 2 트인 구멍이 설치될 수 있다. 겹침 도전재의 일 부분은 셀 터미널과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제 2 트인 구멍을 통해 수동으로 밀려질 수 있는 것이다.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단부에 도전재의 일부분은, 대향측 셀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수동으로 압압되어 다수의 도전성 핑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전성 핑거도 또한, 상기 핑거를 내재한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단부가 셀 터미널에 인접하여 한 셀 숄더위에서 평탄하게 열 수축할 수 있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테스터는 제 2 트인 구멍 위에 제 2 지대와 도전성 핑거 위에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제 1 지대 모두를 압압하여 활성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셀 라벨(라벨/테스터 합성체(5))와 일체로 된 합성체 테스터의 필요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라벨/테스터 합성체(5)는 100mil(2.5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며, 양호하게는 4mil 과 20mil(0.1mm 및 0.5mm)사이에 두께를 갖는다. 라벨/테스터 합성체(5)는 그 내측면에 프린트 층(6)을 양호하게 갖는 라벨 배면(10)(기초 막)을 포함한다. 라벨 배면(10)은 그와 일체로 이루어진 테스터 합성체용 기초부 역할을 한다. 프린트 층(6)은 종래의 비 도전성 잉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동일한 외관을 제공하는 텍스트, 로고 또는 다른 인쇄물을 내재할 수 있는 것이다. 프린트 층(6)은 예를 들면 테스터 활성시에 테스터에 칼라 변경을 볼 수 있는 윈도우를 생성하는 테스터의 일 부분 위에 빈 공간 지역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열 민감성 코팅, 양호하게는 열 크롬성 코팅부(12)는 프린트 층(6)의 일 부분 위에 형성된다. 양호하게 칼라 코팅부(15)는 열 크롬성 코팅부(12) 위에 형성된다. 라벨 배면은(10)은 열 수축성 필름이고 양호하게는 비가소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열 크롬성 코팅(12)은 종래의 반전성 열 크롬성 잉크로 합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잉크의 분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이며, 그러한 예의 기재는 미국 특허 제 4,717,710호에서 볼 수 있다. 열 크롬성 코팅(12)이 반응 활성 온도로, 양호하게는 약 35℃ 내지 50℃ 사이에 온도로 가열되면, 불명료한 것이 명료하게 변환되어 기본 칼라 코팅(15)이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체 테스터에 사용용으로 양호한 열 크롬성 잉크는 마쯔이 인터내셔널 회사제(Matsui International Co., Inc) 타입37 또는 타입45가 활용 가능한 것이다. 칼라 코팅(15)은 코팅부에 선명하게 식별되는 색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선택된 색채의 종래 방식 프린팅 잉크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칼라 코팅(15)이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더라도, 이러한 코팅은 코팅(12) 내에 부가적인 칼라 시약을 합치시키어 소거될 수 있어야 한다.
점착성 코팅(20)은 칼라 코팅부(15) 위와 그리고 프린트 층(6) 위에 라벨(10)의 잔여부분의 내측 면 위에 직접 적용된다. 따라서, 열 크롬성 코팅(12) 및 칼라 코팅(15)은 양호하게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배면(10)과 점착성 코팅(20) 사이에 놓인다. 적절한 점착제(20)는 고 성능 압력 민감성 점착제의 공지된 아크릴제 또는 고무 기본 클래스에서 양호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점착제는 필요에 따른 투명체이며, 특히 점착제의 일 부분이 라벨과 열 크롬성 층과의 사이에 개재되면은, 투명하게 되는 것이다. 적절한 점착제(20)는 미국 오하이오주 더브린에 소재하는 아시랜드 케미칼 캄파니제 상표명, AROSET 1860-2-45호로 판매되는 솔벤트 기본 점착성 폴리머 용액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착제 및 그 사용은 미국 특허 5,190,609호에 참고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내역에 사용용의, 점착제(20)로는 AROSET점착제 폴리머 용액으로, 실리콘 코팅 종이와 같은 배출 코팅된 웨브(도시 않음)를 먼저 코팅하고 그리고 웨브에 있는 점착제를 건조(경화)하여 준비되는 것이다. 건조된 점착제(20)는 웨브로부터 라벨(10)의 내측면으로 예를 들면 라벨의 노출된 프린트 코팅(6)과 테스터 칼라 코팅(15)(도 2b)에 전달되는 것이다.
다르게는, 점착제(20)는 본원에 참고로 예 1 및 예 2로 개재된 미국 특허 제 4,812,5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 성능 경화성(가교성) 아클릴성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코팅(40)은 공지된 박막 고 전기성 도전성 코팅에서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양호하게, 코팅(40)은 약 0.25mil 과 1.0mil(0.006mm 및 0.025mil) 사이에 두께 양호하게는, 약 0.5mil(0.012mm)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이것은 약 10 과 100milliohms/sq사이에 시트 내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양호한 본 발명의 합성 라벨/테스터용 도전성 코팅(40)은 폴리머 기본 실버 잉크로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는 폴리머 용액에 분산된 실버 박편이 합성된 것이다. 적절한 실버 잉크는 상표명 725A(6S-54)폴리머 고 도전성 필름으로 오린 헌트 콘덕티브 매터리얼즈(현재는 아케선 디스펄션즈에 의해 판매)제가 활용 가능한 것이다. 잉크의 저항력과 도전성 코팅(40)의 그에 따른 저항력은 테스터를 양호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실버 잉크 보다 높은 저항력을 가진 폴리머 기본 도전성 그라파이트 잉크를 실버 잉크 내에서 혼합시키어 행해진다. 양호한 폴리머 기본 도전성 그라파이트 잉크는 오린 헌트 콘덕티브 매터리얼즈제 상표명 36D071 그라파이트 잉크에서 활용가능한 것이다. 적절한 도전성 코팅(40) 합성물은 75 와 100중량% 실버 잉크 사이에 그리고 0과 25중량%폴리머 기본 도전성 그라파이트 잉크 사이에 함유될 수 있는 것이다. 도전성 코팅(40)의 시트 저항력은 그 두께를 조종함으로서 조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기 도전성 코팅(40)은 다양한 기하형상 패턴 예를 들면 점진적으로 그 길이가 좁아지는 패턴으로 실버 잉크에 적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성 코팅용 패턴은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기재된 미국 특허 제 5,188,231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버 잉크는 건조 및 가열 경화된 후에 종래의 프린팅 방법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도전성 코팅(40)의 전체 저항력은 약 1 과 2옴 사이에 것이다.
양호하게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20)와 도전성 코팅(40)과의 사이에는 유전체 잉크 코팅(30)이 있다. 또한, 유전체 코팅(30)은 도전성 코팅(40)에 구조 지지를 제공하며 그리고 점착제(20)에 의한 침입으로부터 도전성 코팅(40)을 보호한다. 유전체 코팅(30)은, 열이 그 모서리에 적용될 시에 개별적으로 셀 숄더(130, 135) 위에 라벨의 주요 모서리(120, 125)의 적절한 수축을 방해하지 않을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유전체 코팅(30)은 양호하게 약 0.2와 0.5mil(0.005 와 0.012mm)사이에 두께를 갖는 것이다. 양호한 유전체 코팅(30)은 오린 헌트 콘덕티브 매터리얼즈제 상표명 47MSB132 U.V.로 활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올리고머(acrylate functional oligomers)를 함유한 U.V.(ultra violet light) 경화성 폴리머 코팅이다. 점착성 코팅(20)과 유전체 코팅(30)은 함께 약 1.6mil(0.04mm)보다 작은 결합 두께를 가지고 그리고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열 저항 막을 대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유전체 코팅(30)은 칼라 코팅(15)의 필요를 소거하기에 적절한 칼라의 것이다.
양호하게,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유전체 코팅(50)은 도전성 코팅(40)위에 배치된다. 유전체 코팅(50)은 양호하게 셀 하우징(케이싱 80)으로부터 도전성 코팅(40)을 격리 절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도 1)에서, 도전성 코팅(40)의 단부가 유전체(50)로 코팅되지 않아서, 이들은 셀의 양극 및 음극 터미널에 접촉되게 압압될 수 있는 것이다. 양호한 유전체 코팅(50)은 오린 헌트 콘덕티브 매터리얼즈제 상표명 47MSB132 U.V. 다이일렉트릭 불루우 코팅으로 활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올리고머(acrylate functional oligomers)를 함유한 U.V.(ultra violet light) 경화성 폴리머 코팅이다. 유전체 코팅(50)은 약 0.2mil 및 0.5mil(0.005 및 0.012mm)사이에 양호한 두께를 가진다. 유전체 코팅(30, 50) 모두는 종래의 스크린 프린팅(프랩 또는 로터리 스크린), 그라비어(gravure) 또는 프렉그라픽(flexographic) 프린팅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절연 파티션 코팅(60)(도 1)은 유전체 코팅(50)위에 배치된다. 파티션 코팅(60)은 셀 케이싱(80)으로부터 도전체 코팅(40)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도 5) 파티션 코팅(60)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음에 더하여 그 일부분이 지역을 형성하여서 테스터가 터미널에 전기적 접촉부로 압압될 수 있는 다기능적인 것이다. 또한, 파티션 코팅(60)의 다른 부분은 도전성 코팅(40)용 열 절연부를 제공한다. 라벨/테스터 합성체가 셀에 적용되면, 파티션(60)은 셀 케이싱(80)과 접촉한다.(도 5) 파티션 코팅(6)은 코팅 두께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공동 형성 패턴에 적용된다. 적어도 공동의 주요부는 도전성 코팅(40)과 셀 케이싱(80) 사이에 열 절연을 위한 공기 팩킷을 생성하고 따라서 도전성 코팅(40)의 면이 보다 높은 평형 온도에 이르도록 한다. 도 3 에 양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파티션 코팅(60)은 몸체부(62)와 단부 부분(64a, 64b)에 형성된다.(도 3) 몸체부(62)는 약1.5mil(0.038mm) 과 3.0mil(0.075mm)사이에 두께를 가진다. 단부 부분(64a, 64b)은 파티션 코팅(60)의 말단부에 양호하게 각각 배치되고, 그리고 개별적인 파티션 말단부(65a, 65b)와 각각의 반경방향 리브(66a, 66b)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코팅(50)(도전성 코팅(40)과 파티션 코팅(60)사이에 배치)은 몸체부(62)를 커버하지만 말단부(65a, 65b)를 커버하지는 않는다. 파티션 부분(65a, 65b)은 그 경계부 내에 각각 한 개 이상의 공동, 예를 들면 (67a, 67b)을 갖고 있다. 상기 공동은 각각 한 파트의 말단부(75a, 75b)를 형성한다. 말단부(75a, 75b)는 도전성 코팅(40)의 단부가, 핑거 압력이 양쪽 말단부 위로 직접 라벨 지대에 적용되면, 셀의 음극 및 양극 터미널에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파티션 패턴의 몸체부(62)는 셀로부터 도전성 코팅(40)의 적절한 파티션을 생성하고 그리고 또한 테스터 하에서 절연 공기 포켓을 생성하도록 다른 테스터 코팅보다 상당히 더 큰 두께로 되는 것이다. 다양한 경화재, 예를 들면 적절한 프린팅 및 내구 특성을 가진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우레탄, 및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것이 파티션(60)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질은, 파티션의 몸체용의 약 1.5 와 7.0mil(0.038 및 0.175mm) 사이에 필요한 두께 정도로 만들어지도록 스크린 프로세스(플랩 또는 로터리)로 프린트 될 수 있는 경화성이 있는 양호한 U.V. 이다. 이러한 두께는 프린트되는 패턴이어야 하는 솔벤트 기본 잉크 또는 다른 솔벤트 코팅을 사용하여 이루는 것을 어렵게 한다. 모든 다른 테스터 성분으로서의 파티션 재료는 셀 성능 테스트 중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약 170℉에 이르는 상승 온도에 대한 노출에 견디어야만 한다.
파티션 패턴(60)용으로 양호한 물질은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에폭시 또는 아크릴레이트 작용성 우레탄 폴리머와 같은 합성된 폴리머 함유 U.V. 경화성 폴리머로 형성된다. 합성재는 반응성 올리고머(reactive oligomer), 반응성 모노머(reactive monomer) 및 농후한 필러(thickening filler)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농후한 필러는 데구싸 인코포레이티드 케미칼 디비젼에서 생산되는 AEROSIL 200과 같은 실리카 필러이다. 상기 재료는 프린트를 용이하게 하고 경화 전에 재료 점착성을 유지시키는 유성(流性)을 제공한다. 파티션 코팅(60)용으로 양호한 합성 브랜드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와 N-비닐-2-pyrrolidone(50내지 80중량%); 반응성 모노머 헥산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20-40중량%); 그리고 AEROSIL 200(0.1 내지 5중량%)를 함유한 프리폴리머 브랜드 제품명 EBECRYL 4833(미국 버지니아주 노르포크에 소재하는 레드큐어 스페셜티스 캄파니)가 있다. 합성 브랜드는 종래의 스크린 프린팅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필요한 패턴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다음, 프린트 물질은 U.V.라이트로 경화되어 필요한 패턴의 경성이고, 수동적으로 비압축성인 열적으로 안정된 파티션 코팅(60)을 생성한다. 파티션 코팅(60)은 약 0.1mil(0.0025mm) 및 7mil(0.175mm) 사이에 두께를 갖는다. 파티션 몸체부(62)는 양호하게 약 1.5mil(0.038mm) 및 7mil(0.175mm) 사이에 두께를 갖는다. 도 3 은 그를 통하여 나타나는 도전성 코팅(40)이 있는 양호한 파티션(60)을 나타내고 있다.
말단부(75a, 75b)(도 3)에는 파티션 단부 부분(65a, 65b), 와 도전성 코팅 부분(42a, 42b)이 포함된다. 파티션 부분(65a, 65b)은 각각 약 0.1mil(0.0025mm) 및 2.0mil(0.05mm) 사이에서 필요한 두께를 갖는다. 부분(65a, 42a)은 약 0.35mil(0.009mm) 및 3.0mil(0.075mm) 사이에 결합 두께를 갖는다. 유사하게, 부분(65b, 42b)은 약 0.35mil(0.009mm) 및 3.0mil(0.075mm) 사이에 결합 두께를 갖는다. 파티션 부분(65a, 65b)은 파티션 코팅(60)의 두께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양호한 다각형, 사각형, 달걀형, 타원형 또는 원형상 공동으로 공동부(67a, 67b 각각)를 형성한다. 유전체 코팅(50)이 파티션(60)의 몸체부(62) 만을 커버함으로, 도전성 코팅(40)의 단부 부분, 예를 들면 (42a, 42b)부분이 양호하게 그 사이에 개재되는 코팅없이 각각 파티션 부분(65a, 65b)에 직접 안착된다. 도전성 부분(42a) 위에 라벨 지대가 압력을 받으면, 도전성 부분(42a)은, 셀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하는 셀 터미널 또는 도전면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부 파티션 코팅과 패스 파티션 부분(65a)에 공동(67a)을 통해서 하방향으로 밀려진다.
유사하게, 도전성 부분(42b) 위에 라벨 지대가 압력을 받으면, 도전성 부분(42b)은, 셀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하는 셀 터미널 또는 도전면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파티션 면과 패스 파티션 부분(65b)에 공동(67b)을 통해서 하방향으로 밀려진다. 압력이 제거되면, 도전성 부분(42a, 42b)은 파티션 면 위에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사실은 오랜 시간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단부 부분(65a, 65b)으로부터 원격지게 방사되는 일련의 리브(66a, 66b)(도 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리브는 테스터/라벨 합성체(5)가 셀 숄더 위에서 열 수축되면 수렴되어져, 말단부(75a, 75b)가 부풀어지거나 또는 뒤틀려짐이 없이 셀 숄더 위에 간결하게 열 수축되게 한다.
도전성 코팅(4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 저항성 부분(40a)와 고 저항성 부분(40b)를 포함한다. 고 저항성 부분(40b)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의 폭이 점진적으로 협소하게 되는 폭을 갖는다. 협폭 단부(40b1)는 보다 협소한 단부에서 고 와트 밀도(단위 면적 당 소비 파워) 때문에 광폭 단부(40b2)에 비해서 보다 높은 평형 온도에 이르게 된다. 저 저항 부분(40a)를 커버하는 파티션 패턴은 양호하게 상술된 파티션 물질로 형성된 평행한 다수의 리브(60a) 형태로 있다. 리브(60a)는 양호하게 저 저항 부분(40a)의 길이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다. 고 저항 부분(40b)을 커버하는 파티션 패턴(60b)은 파티션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아일랜드 예를 들면 데브(dabs)로 형성될 수 있어서, 그 사이에 열적 절연 공기 공간 또는 공동을 생성한다.
합성 테스터/라벨(5)은 다음의 양호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열 수축성 라벨 배면(10)은 약 1.5 와 4mil(0.0375mm 및 0.1mm)사이에 필름 두께로 되는 기계방향(라벨이 셀 둘레를 감싸는 방향)으로 먼저 열 수축되는 약 6mil(0.15mm) 두께의 비플라스틱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의 기부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파티얼 층 구조체(7)(도 2b)는 종래 비 도전성 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트 층(6)이 있는 코팅 라벨(10)로 먼저 제조된다. 비 도전성 잉크는 양호하게 약 1000ppm(건도 중량에 기본) 이하에 전체 금속 내용물을 갖는다. 잉크는 셀을 제조하는 동안에 있을수 있는 알칼리 환경에 노출되면 디그레이(degrade)되지 않아야 한다. 다음, 열 크롬성 코팅(12)이 종래의 플랩 또는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라벨의 폭을 따라서 프린트 라벨의 소 단면부 위에 적용된다. 열 크롬성 코팅(12)은 U.V.로 경화되고 이때 그 두께는 약 1.0mil 및 3.0mil(0.025 및 0.075mm) 사이에 있다. 다음, 열 크롬성 코팅(12)은 종래의 그라비어, 프렉그라픽, 또는 프린팅 공정으로 칼라 코팅(15)으로 오버코팅된다. (칼라 코팅(15)은 열 크롬성 코팅(12)이 그 반응 온도에 도달되면 볼 수 있는 반응성 지시 색상을 제공하도록 유전체(30)에 의지하여 소거될 수 있는 것이다.)라벨(10)은 라벨의 프린트된 하부면에 점착제(20)를 코팅하여 커버될 수 있는 것이다. 점착제(20)는 상술된 방식으로 프린트 라벨 형성 기판(7)의 하부 면에 준비되어 적용시킨다.
다음, 전달성 층으로된 기판(35)은 필요한 패턴의 도전성 코팅(40)으로 열 안정성 방출 코팅된 웨브(18)를 코팅시키어 만들어진다. 기판(35)은 예비 형성물로 여기에서는 참고된다. (만일, 도전성 코팅이, 라벨(10)이 수축 또는 다르게 뒤틀려지기 시작하는 온도 밑에 온도에서 용이하게 경화된다면, 도전성 코팅은 웨브(18)의 필요 없이, 라벨(10)에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그 위에서 경화될 수 있음)웨브(18)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인 종래의 방출 코팅으로 예비 코팅되는 폴리에스테르, 종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같은 열 저항성 필름이다. 도전성 코팅(40)은 상술된 바와 같이 폴리머 용액에 이산되는 도전성 실버 박편의 합성체를 함유하고 있다. 그위에 코팅된 실버 박편 이산체를 가진 웨브(18)는 코팅이 충분하게 경화되기까지 열 오븐(oven)을 통해 지나간다. 열에 더하여, 도전성 코팅(40)은 또한 U.V.방사선에 노출되어 그 경화작업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전성 코팅(40)은 종래의 스크린 공정, 그라비어 또는 플렉그라픽 프린팅으로 상기 기준 유전체 잉크(30)에 코팅된다. (선택적으로, 열 크롬성 코팅이 프린트 층(16) 위에 코팅(12)을 적용하는 대신에 웨브(18)에 잉크(30)를 직접 가할 수 있음)유전체 잉크(30)를 함유한 웨브(18)는 종래의 U.V. 경화 유니트를 통해 지나가 중합되어 코팅을 경화시킨다. 다음, 유전체 잉크(30)로 코팅된 도전성 코팅(40)으로 구성된 층 구조(35)(도 2a)는 노출된 유전체 코팅(30)을 점착성 부분(20)의 바닥으로 압압시키어 웨브(18)로부터 층 구조(7)(도 2b)로 전달된다. 이때, 웨브(18)는 용이하게 박리동작으로 기부(35)로부터 제거되어, 따라서 기판(7)에 점착되는 기부(35)가 이탈하게 된다.
유전체 잉크(30)로서, 동일한 합성체일 수 있지만 양호하게는 다른 칼라 쉐이드(shade)인 제 2 유전체 잉크 코팅(50)은 노출된 도전체 코팅(40)에 직접적으로 임의적인 필요한 패턴으로 코팅된다. 유전체 코팅(50)은 종래 스크린 공정, 그라비어 또는 플렉그라픽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도전체 코팅(40)에 프린팅 된다. 다음, 코팅(50)은 머큐리 증기 램프로부터 조사(照射)를 받아서 종래 방식으로 경화되고, 이때 두께는 약 0.2mil이다.
유전체 코팅(50)이 적용되어져 경화된 후에, 파티션 패턴(60)은 코팅(50) 위에 적용된다. 파티션 패턴(60)은 양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은 AEROSIL 200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올리고머(또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그리고 농후한 필러로 구성된다. 브랜드는 종래의 플랩 또는 로터리 스크린 프로세스 프린팅 방법에 의해 적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는 스크린 섬유질이 18 내지 80미크론의 스텐실 두께로 코팅된다. 스크린 메시는 약 100 과 200쓰레드/인치 사이가 된다. 다음, 프린트된 브랜드는 U.V.경화된다. 경화 파티션 패턴(60)은 약 1.5 와 7mil(0.038 과 0.175mm)사이에 두께이다. 이제 도 1 및 도 2c 에 도시된 합성체 라벨/테스터(5)의 층상 구조가 완성되었다. 이것은 해제선으로 보호되며, 셀에 가해질 때까지 저장된다.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체(5)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로부터 해제 라이너를 제거하고 이어서 라벨을 셀 케이싱(80)에 권취하므로써 셀에 가해진다. 접착제 코팅의 노출부는 셀 케이싱에 고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 엣지(120, 125)는 노출된 접착제를 피할 수 있다. 라벨이 케이싱 주위에 권취된 후, 라벨 엣지(120, 125)에는 열이 가해져서 셀 숄더(130, 135) 주위에 상기 엣지를 열수축시키므로써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단부(75a, 75b)는 각각의 라벨 엣지(120, 125)에 인접하며, 이러한 단부는 셀 숄더(130, 135)에 대해 열수축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숄더(110i, 115i)에 매우 근접하여 안착되게 된다. 셀 부분(110i, 115i)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며, 셀의 터미널 단부(110, 115)를 형성하게 된다. 라벨/테스터(5)가 셀에 고정된후, 단부(75a, 75b)를 형성하는 도전성 코팅(40)의 부분은 테스터가 작동될 때까지 파티션 부분(65a, 65b)에 의해 셀 터미널과의 전기접촉으로부터 절연된 채로 남아있을 것이다. 상기 테스터는 영역(42a, 42b)과 함께 라벨(10)의 표면을 동시에 수동으로 가압하므로써 작동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손가락(92)이 도전성 영역(42a)을 가압할 때, 상기 도전성 코팅 부분은 도전면(110i)과 접촉될 때까지 파티션 부분(65a)의 공동을 관통한다. 마찬가지로, 도전 영역(42b)이 가압될 때, 도전성 코팅 부분은 양극 터미널(115)와 접촉하고 있는 도전면(115i)과 접촉될 때까지 파티션 부분(65a)의 공동을 관통한다. 셀 부분(110i, 115i)이 각각의 도전부(42a, 42b)에 의해 동시에 접촉될 때, 도전성 코팅(40)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열 크롬성 코팅이 작동된다. 서술된 것은 이중 작동식이었지만, 도전성 코팅의 한쪽 단부가 셀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셀 터미널의 한쪽과 영구적인 전기 접촉이 되어도 무방하다. 이것은 도전성 코팅(40)의 일부와 셀 터미널 또는 터미널과 전기접촉하고 있는 셀 부분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전성 코팅이나 그 일부의 다른쪽 단부는 예를 들어 작동기구(75a, 또는 75b)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테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단지 라벨/테스터 합성체(5)의 한쪽 단부만을 가압하면 된다.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다른 실시예는 하기에 서술되는 도 8A 내지 도 8C 를 참조로 서술된 도 7 에 도시된 합성체(8)이다[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로 서술되었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코팅은 동일한 합성체를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인쇄 방법에 의해 가해진다]. 라벨/테스터 합성체(8)(도 8C)은 먼저 도 8B 에 도시된 제 1 층 서브구조물(9)을 형성하므로써 구성된다. 상기 서브구조물(9)(도 8B)은 라벨(10)의 내측면에 그래픽 인쇄층(6)을 가한 후 상기 인쇄층(6)상에 접착제층(20)을 가하므로써 형성된다. 하기에 코팅(20)을 위한 양호한 접착제와 이를 가하는 방법이 서술될 것이다. 해제가능한 웨브(18)상의 이송가능한 층의 서브구조물(36)은 먼저 해제가능한(예를 들어, 실리콘 코팅되는) 웨브(18)상에 도전성 코팅(상술한 실버 잉크)를 가하고, 이어서 경화된 도전성 코팅(4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코팅을 열경화시키므로써 준비된다[서브구조물(36)이나 그 일부는 여기에서 예비성형체로 서술될 것이다]. 그후, 도전성 코팅(40)상에 색체 코팅(15)이 가해지고, 이어서 상기 색채 코팅(15)상에 열 크롬성 코팅(12)이 가해진다. 코팅(12, 15, 40)을 포함하는 서브구조물(36)(도 8A)은 서브구조물(9)의 접착제 코팅(20)상에 서브구조물(36)의 열 크롬성 코팅(12)을 가압하고 웨브(18)를 박리시키므로써 해제코팅된 웨브(18)로부터 층상 구조물(9)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유전체 코팅(50)이 노출된 도전성 코팅(40)에 가해지고, 이어서 파티션 코팅(60)이 상기 유전체 코팅(50)에 가해지므로써, 최종적으로 도 8 및 도 9C 에 도시된 라벨/테스터 합성체를 형성하게 된다.
도 7 및 도 8C를 참조한 파티션 코팅(60)과, 유전체 코팅(50)과 도전성 코팅(40)을 위한 양호한 형태가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 도시된 파티션 코팅(60)은 몸체부(162)와 단부(164a, 164b)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62)는 약 1.50mil(0.038㎜) 내지 7.0 mil(0.18㎜)의 두께를 갖는다. 몸체부(162)는 라벨/테스터 합성체(8)과 셀 케이싱(80) 사이에 열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공기 포캣(163)을 형성하는 십자가형의 수평 및 수직 리브 패턴으로 형성된다. 단부(164a, 164b)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60)의 대향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단부(164a, 164b)는 파티션 단부(165a, 165b)와 파티션 팁 부분(166a, 166b)을 포함한다. 상기 파티션 단부(165a, 165b)는 다각형, 장방형, 타원형, 또는 원형 형태를 취하는 공동(167a, 167b)을 형성한다. 파티션 단부(165a, 165b)는 그 대향 단부의 파티션 코팅(60)에서 하나이상의 공동 주위에 경계,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동[도전성 코팅(40)과 대면하고 있는]의 면적은 1.5㎟ 내지 20.0㎟, 양호하기로는 8 내지 20㎟ 이며, 단부(175a, 175b)의 일부를 형성한다. 파티션 팁 부분(166a)은 파티션 코팅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진 리브(166a1, 166a2)를 포함한다. 상기 파티션 팁 부분(166b)은 파티션 코팅의 대향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경사진 리브(166b1, 166b2)를 포함한다.
도전성 코팅(40)(도 9)은 도전성 코팅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 저저항부(140a)와 고저항부(140c)를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고저항부(140c)는 도전성 코팅(40)의 열 발생부를 형성하도록 즉, 도전성 코팅(40)의 단부가 가압되어 새로운 셀의 터미널과 전기접촉될 때, 열접촉된 열 크롬성 코팅(15)이 그 외관을 변형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열 발생부는 도전성 코팅의 대부분의 길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폭을 가지므로, 협소한 단부(140c1)는 테스터가 작동될 때 넓은 단부(140c2)보다 높은 표면 평형 온도에 도달될 것이다. 이것은 셀의 강도를 결정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만일 셀이 약하다면, 협소한 부분(140c1)에 대한 열 크롬성 코팅(40)의 일부만이 외관을 변형시킬 것이다. 셀이 새로운 것일 때, 도전성 코팅(40)의 전체 열 발생부(140c1, 140c2)에 대한 열 크롬성 코팅은 외관을 변형시킬 것이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도전성 부분(142a)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도전성 핑거(143a)와 대향의 저저장 단부(140b)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핑거(143b)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핑거(143a)는 그 사이에 작은 공간들(m)을 두고 서로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핑거(143b)도 그 사이에 작은 공간들(n)을 두고 서로 분리된다.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단부가 셀 숄더()130, 135)에 대해 열 수축될 때, 각각의 핑거 세트 사이의 공간은 작아지며, 따라서 각각의 세트에서 각각의 핑거에 합병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핑거 사이의 작은 공간들은 열이 가해져서 셀 숄더에 대해 상기 단부들을 열 수축시킬 때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팽창이나 왜곡을 방지한다.
도 9 의 코팅(40, 50, 60)은 도 10 에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전체 코팅(50)은 도전성 코팅(40)과 파티션(60)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상기 유전체 코팅(50)은 도전성 코팅(40)보다 짧으며, 파티션 코팅(60)은 단지 파티션 코팅(60)의 몸체부(162)만을 덮는다. 따라서, 도전성 핑거(143a, 143b)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코팅(40)의 단부 부분 즉, 부분(142a, 142b)은 그 사이에 매개 코팅을 갖지 않는 파티션 코팅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에서, 파티션 리브(166a1, 166a2)는 테스터의 한쪽 단부에서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코팅(143a)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 및 전기 절연을 제공한다. 상기 파티션 리브(166a1, 166a2)는 테스터의 다른쪽 단부에서 상부에 놓이는 도전성 코팅(143b)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 및 전기 절연을 제공한다.
라벨/테스터 합성체(8)의 대향 단부에서의 말단(175a, 175b)는 각각 파티션부(165a, 165b)와, 도전성 코팅(142a, 142b)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티션 단부 부분(165a, 165b)은 0.1 mil(0.0025㎜) 내지 2.0 mil(0.05㎜)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부분(165a, 142a)은 0.35 mil(0.009㎜) 내지 3.0 mil(0.075㎜)의 두께를 갖는다.
도전성 부분(142a)에 걸친 라벨 영역이 가압될 때, 상기 도전성 부분(142a)은 셀 터미널이나 상기 셀 터미널과 전기접촉된 도전면과 전기접촉될 때까지 부분(165a)에 형성된 하부의 간극을 통하여 하부로 가압되며, 그 사이를 통과한다.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도전성 부분은 파티션면 위의 그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파티션 리브(166a1, 1665a2)상에 놓여진 도전성 핑거(143a)는 상기 핑거위에서 라벨 부분으로 직접 가압되므로써 셀 터미널과 전기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부분(143a)은 셀 터미널이나 상기 셀 터미널과 전기접촉된 도전면과 전기접촉될 때까지 리브(166a1, 166a2) 사이의 부분 코팅의 공동을 통과한다.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도전성 부분(143a)은 파티션 리브(166a1, 1665a2) 위의 그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테스터의 대향단부상의 도전성 핑거(143b)는 단부 위에서 라벨 부분으로 직접 가압되는 방식으로 셀 터미널과 전기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전성 핑거는 셀 터미널과 전기접촉되기 위해 리브(166b1, 166b2) 사이의 파티션 코팅에 있는 공동을 통과한다.
도 7 의 실시예에 도시된 라벨/테스터 합성체(8)은 도 1 의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된 방식으로 즉, 셀 케이싱 주위의 라벨을 셀 케이싱과 접촉된 라벨의 접착측으로 권취하고, 그후 셀 숄더(130, 135) 위에서 라벨의 단부를 열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셀에 가해진다.
도 11 에는 본 발명의 라벨/테스터 합성체(11)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합성체(11)의 최상부층인 층(40, 50, 60, 210)은 도 12 및 도 13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1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코팅은 동일한 합성체를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가해진다). 도 11 에 도시된 테스터/라벨 합성체(11)은 도 7 에 도시된 합성체(8)과 동일하며, 다음과 같은 사실 즉, 부가적인 층인 절연 기판(210)이 파티션 코팅(60)위에 첨가되므로써 테스터/라벨 합성체가 셀에 가해져서 상기 절연 기판(210)이 셀 케이싱(80)과 접촉하게 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로 서술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절연 기판(210)은 전기 절연 및 열 절연을 제공하며, 셀 케이싱에 합성체(11)이 가해질 때 하나이상의 열절연 공기 포켓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구멍이나 트인 구멍(220)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열절연은 상기 구멍이나 트인 구멍(22)에 걸린 공기에 의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판(210) 자체는 매우 높은 열 절연 특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상기 기판(210)은 10 watt m-1K-1이하의 전열성을 갖는 재료가 양호하다. 상기 재료는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즉, 금속과 비교시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이다. 기판(210)은 2.7ⅹ106ohm-cm(550 megaohms per sq.@ 2 mil)이상의 체적 저항성(volume resistivity)을 갖는다. 상기 기판(210)은 약 140℉ 이상의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수축되거나 왜곡되지 않는 열저항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기판(210)은 플라스틱 필름, 폴리머 발포체, 종이 및 그 조합물 등과 같은 광범위한 재료로 선택된다. 상기 기판(210)은 2 내지 12 mil(0.05 내지 0.3㎜), 양호하기로는 4 내지 7 mil(0.1 sowl 0.18㎜)의 두께, 가장 양호하기로는 종이의 두께를 갖는다. 종이의 밀도는 중요한 것이 아니며, 다공성 종이가 양호한데, 그 이유는 다소 양호한 열절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종이 대신에, 기판(2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필름이 선택된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나일론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판(210)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폴리머 발포체가 될 수도 있다. 기판(210)은 2개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나 폴리머 발포체상에 압출된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210)을 위한 이러한 합성체 재료는 예를 들어 동시압출(coextrusion)에 의해 폴리에틸레네 라미네이트된 폴리에스테르나 종이상에 압출된 스핀결합된 폴리에스가 될 수도 있다. 스핀결합된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 합성체의 폴리에스테르측은 서로 대면하여 셀 케이싱(80)과 접촉하게 된다. 합성체 재료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이들은 셀 케이싱에 존재할 수도 있는 미소량의 KOH 나 기타 다른 오염물이 테스트 내부로 누출되는 것에 대한 보호를 증가시킨다.
기판(210)의 트인 구멍은 도전성 코팅(40)(도 12)의 열 발생부(140C1, 140C2)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단일의 윈도우(220) 형태를 취한다[상기 "도전성 코팅(40)의 열 발생부"라는 용어는 열 크롬성 코팅(thermochromic coating)(12)(도 11)위에 놓이며 도전성 코팅이 열접촉된 열 크롬성 코팅의 외관에 대응성 변형을 초래하는 충전되지 않은 새로운 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충분한 열을 발생시키는 도전성 코팅(40)을 의미한다]. 상기 윈도우(220)는 테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도전성 코팅(40)의 일부가 가압되는 가장 큰 공동(167a, 167b)보다 넓은 표면적을 덮는다. 공동(167a, 167b)은 도전성 코팅(40)과 대면한 측상에 약 1.5 내지 20㎟ 의 표면적을 덮으며, 상기 공동은 0.1 mil(0.0025 ㎜) 내지 2.0mil(0.05 ㎜)의 깊이를 갖는다.
상기 윈도우(220)는 도전성 코팅(40)의 열 발생부와 셀 케이싱(80) 사이에 필요한 열 절연을 제공한다. 윈도우(220)는 셀이 작동될 때 시각적으로 미세한 열 크롬성 디스플레이의 달성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크다. 윈도우(220)의 폭 즉, 셀의 원주방향을 따른 칫수는 셀 케이싱(80)에 권취되었을 때 테스터의 일부[기판(210)은 제외]를 윈도우내로 침전시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셀 하우징과 접촉시키는 압력 라벨(10)인 윈도우의 깊이에 비해 크지 않다. 따라서, 윈도우(220)는 신장된 또는 타원형의 슬롯 형태 예를 들어, 장방형이나 타원형 기타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220)는 셀과 정렬되므로써, 그 폭은 셀의 원주방향으로 있게 된다. 도 12 에는 예를 들어, 장방형 윈도우(2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장방형 윈도우(220)는 전형적으로 1.5㎜ 의 폭과 20㎜의 길이와 0.15㎜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칫수는 라벨/테스터 합성체[기판(210)을 제외]가 라벨(10)이 셀 주위에 권취 되었을 때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셀 하우징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두께와 폭을 반영하고 있다.
도 12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윈도우(220)는 도전성 코팅(40)의 열 발생부의 한쪽 표면적의 적어도 40% 및 적어도 60%인 면적을 갖는다. 도 12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윈도우(220)는 도전성 코팅(40)의 열 발생부의 한쪽 표면적의 적어도 80% 의 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티션 코팅(60)의 몸체부(162)는 그 표면에 도 9 에 도시된 트인 구멍(163)와 같은 구멍이나 간극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몸체부(162)는 그 표면에 트인 구멍이나 간극이 없는 연속한 코팅이다. 대형 트인 구멍(220)를 갖는 절연 기판(210)과 함께 연속한 몸체부(162)를 이용하는 이러한 실시예는 도 12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62)는 0.1 mil(0.0025 ㎜) 내지 7mil(0.18 ㎜), 양호하기로는 0.1 mil(0.0025 ㎜) 내지 2.0mil(0.05 ㎜)의 두께를 갖는다. 연속한 몸체(162)가 파티션 코팅(60)(도 12)에 사용될 때, 유전체 코팅(50)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체 코팅(50)을 포함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도전성 코팅(40)과 셀 케이싱(80) 사이에 부가적인 전기 절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셀 케이싱내의 잔류 KOH 나 셀에 의해 발생된 부식 증기가 도전성 코팅(40)과 열 크롬성 코팅(12)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164a, 164b)는 도 9 의 실시예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구조와 디자인을 갖는다.
라벨/테스터 합성체(11)가 조립되어 셀 케이싱에 가해질 때, 윈도우(220)에 걸린 공기는 절연 기판(210)에 가장 근접한 도전성 코팅측을 열 절연시킨다. 상기 공기는 테스터가 작동될 때 기판(210)에 윈도우나 기타 다른 트인 구멍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도전성 코팅(40)과 열 크롬성 코팅(12)의 대향측이 열 연결되게 한다. 절연 기판(210)에서 작은 트인 구멍 패턴은 윈도우 전체나 일부 대신에 공기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20)는 보다 작게 제조될 수 있으며, 윈도우 근처나 그 주위에서 기판(210)에 부가적인 트인 구멍도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절연 기판(210)에 작은 트인 구멍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기판 재료는 열을 전달하거나 복사하려는 경향을 띄게 되므로, 테스터가 작동될 때 열 크롬성 디스플레이의 존재와 간섭하게 된다. 즉, 기판(210)의 작은 트인 구멍은 테스터가 작동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나타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대형 윈도우(220)가 도전성 코팅(40)의 열 작동부 위에서 절연 기판(210)에 사용될 때 최상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대형 윈도우(220)는 걸린 공기로부터 필요한 열 절연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결정되므로, 기판(210)에 부가적인 트인 구멍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한다.
필요한 열 절연도를 제공하기 위해, 2 mil(0.05 ㎜) 내지 12mil(0.3 ㎜), 양호하기로는 4 mil(0.1 ㎜) 내지 7mil(0.18 ㎜)의 깊이가 결정된다. 이러한 범위는 상업적 알카라인 셀을 위한 셀 케이싱 직경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충분히 낮은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윈도우(220)는 전형적으로 20㎜×1.5㎜×0.15㎜ 의 칫수를 갖는다. 기판(210)을 파티션 코팅(60)에 연결하는 파티션 코팅(60)과 절연 기판(210) 사이에는 0.1 mil(0.0025 ㎜) 내지 0.3mil(0.075 ㎜) 두께의 얇은 접착 코팅(215)이 있다. 조립시, 상기 접착 코팅(215)(도 12)은 코팅(60)이 유전체 코팅(50)위에 가해진 후, 파티션 코팅(60)의 몸체부(162)상에 지접 가해진다. 상기 접착제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소적인 코팅으로 예를 들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점이나 선 형태를 취하면서 몸체부(162)에 가해진다. 예를 들어, 접착제(215)는 일련의 밀착이격된 수평 또는 수직 평행선으로 코팅(60)의 부분(162)위에 가해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연속적인 코팅이 사용되는 것보다 다소 적은 접착제가 사용된다. 기판(210)은 도전성 코팅(60)의 열 발생부(140c1, 140c2)위에 정렬된 윈도우(220)와 파티션 코팅(60)의 접착제 코팅부분에 고착되도록 가해진다. 몸체(162)상의 접착제(215)의 일부는 윈도우(220)의 하부에 놓이지만 윈도우 체적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접착제(215)는 파티션 코팅(60)의 몸체부(162)에 순서대로 가해지는 절연 기판(210)의 표면에 직접 가해질 수도 있다.
접착제(215)는 높은 결합 강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넓은 범위의 열 저항성 접착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215)는 자외선 경화가능한 압력감응성 접착제이다. 이러한 형태의 적절한 접착제로는 인디애나 미사와카 소재의 데코-켐 코포레이션의 상표등록된 Deco-Rad 7024 U.V. 경화가능 접착제인 예비중합체 액체 합성체에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예비중합체 액체는 예를 들어 플렉소 인쇄와 같은 종래의 인쇄 방법에 의해 파티션 몸체(162)에 가해진 후, 자외선에 노출되어 코팅을 경화시킨다. 기판(210)이 파티션 몸체(162)에 접합된 후, 테스터/라벨 합성체(11)이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된 방식으로 셀 숄더(130, 135)에 대해 열수축된 단부(164a, 164b)를 갖는 셀 케이싱(80)에 가해진다.
도 14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 기판(210)에는 트인 구멍(210)(도 14 및 도 15)가 형성된다. 상기 트인 구멍(210)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코팅(50)과 파티션 코팅(60)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트인 구멍(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태를 취하지만, 1.65㎜ 내지 2.39㎜(0.065 인치 내지 0.094 인치)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태가 양호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술의 실시예(도 12)에 도시된 도전성 핑거(143a)는 도전성 코팅(40)의 양극 단부에서 제거된다. 그 대신 하부의 파티션 코팅(60)의 단부(365)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코팅(40)의 양극 단부(343)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엣지이다. 도 16 에는 모두 트인 구멍(310)를 갖는 절연 기판(210)과 파티션 코팅(60)과 유전체 코팅(50)이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층들은 도 14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립된 라벨/테스터 합성체(13)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4 에 도시된 나머지 코팅과 기판은 상술한 실시예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성분과 구조를 갖는다(일반적으로, 상술의 실시예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14 내지 도 17 에 도시된 코팅과 기판은 상술의 동일한 인쇄방법에 의해 동일한 성분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필요할 경우 성분(13)(도 14)은 열 크롬성 코팅(12)과 접착제(20) 사이에 보호 코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코팅은 파티션 코팅(60)과 동일한 성분을 가지며, 케이싱(80)의 표면에 나타나는 포타슘 하이드록시드와 같은 미량의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공격에 대해 부가적인 보호를 부여하는 열 크롬성 코팅(12)을 제공할 수 있다.
파티션 코팅(60)의 단부(360)는 코팅이 도 16 에 도시된 것처럼 중첩될 때 도전성 핑거(142b, 143b) 사이의 공간 "n"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된다. 또한, 도전성 핑거(142b, 143b)의 하부에 놓이는 파티션 코팅(60) 부분은 상술(도 3, 도 9, 또는 도 12)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거나, 또는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 코팅(60)의 엣지(360)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리브 또는 핑거(366b)(366b1-366b4)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이상의 리브(366b1)는 단부(360)로 직각으로 돌출되며, 예를 들어 리브(366b1, 366b3)는 단부(360)과 다른 각도를 취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0.1 mil(0.0025 ㎜) 내지 2mil(0.05 ㎜)의 두께를 갖는 5개 내지 10개인 복수개의 리브는 도전성 핑거(143b)를 셀 터미널(115i)(도 17)과 충분히 이격시켜 합성체(13)이 셀에 가해질 때 부주의한 접촉을 방지한다. 그러나 리브(366b) 사이의 공간은 수동 압력이 가해질 때 도전성 핑거(142b, 143b)가 그 사이로 가압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리브(366b) 사이의 공간은 0.5 내지 2.5 ㎜ 로 넓으며, 각각의 도전성 핑거(142b, 143b)는 1.0 내지 2.0㎜ 의 범위에 속하므로, 그 사이에 약 0.5 내지 2.0 의 공간 "n"을 갖는다.
테스터/라벨 합성체(13)은 셀 케이싱(80) 주위에서 이를 권취하므로써 도 17 에 도시된 것처럼 셀(70)에 가해질 수 있다. 합성체(13)이 셀 주위에 권취된 후에, 숄더(130, 135)에 대해 엣지(120, 125)를 수축시키기 위해 라벨에 열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도전성 코팅(40)의 핑거(142b, 143b)와 파티션 코팅(60)의 핑거(366b)는 셀 숄더(130)에 대해 균일하게 수축된다. 그러나,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코팅 단부(343)나 파티션 코팅 단부(365)는 상부 와 셀 숄더(135) 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 도전성 코팅 단부(343)와 파티션 코팅 단부(365)는 셀 케이싱 몸체(80)위에 위치되어, 열이 가해져서 숄더(130, 135)에 대해 라벨 엣지(120, 125)를 수축시킨 후에도 이러한 위치에 잔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셀 숄더(135)에 대해 열수축되는 합성체(13) 부분만이 테스터 부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라벨 엣지(125)가 된다.
테스터/라벨 합성체(13)이 셀에 가해진 후, 테스터는 트인 구멍(310)에 대한 합성체(13)의 영역과 도전성 핑거(142b, 143b)에 대한 합성체(13)의 영역을 동시에 가압하므로써 언제라도 작동될 수 있다. 트인 구멍(310)의 바로 위의 합성체 영역에서 합성체(13)에 수동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도전성 코팅(40)의 일부는 트인 구멍(310)를 통해 가압되며, 종래의 알카라인 셀의 양극 터미널(115)과 순서대로 전기접촉되는 셀 케이싱(80)과 접촉한다. 테스터의 대향 단부에서 도전성 핑거(142b, 143b)위에 수동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러한 도전성 핑거의 일부는 네거티브 터미널(110)과 전기접촉된 셀 표면(110i)과 접촉될 때까지 파티션 코팅(60)의 하부 리브(366b)(366b1-366b4)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가압된다. 일단 도전성 코팅(40)의 단부가 셀 터미널에 수동으로 연결되면, 도전성 코팅(40)을 통해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열크롬층(12)의 투명도나 색상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셀의 강도(예를 들어, 양호하다거나 미약한 것)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도나 색상을 변화시키는 열크롬층(1)의 길이를 따른 영역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상술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도전성 핑거(142b, 143b)를 셀 터미널(115)에 영구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음을 예견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전성 핑거를 도전성 표면(110i)이나 또는 터미널(110)과 전기접촉하고 있는 다른 표면에 직접 접합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파티션 코팅(60)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부의 리브(366)[예를 들어, 리브(366b1-366b4)]는 제거될 수 있다. 테스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단지 트인 구멍(310) 바로 위의 합성체 영역에서 합성체(13)에 수동 압력만을 가하므로써 도전성 코팅(40)의 일부가 케이싱이나 또는 셀의 대향 터미널(115)과 전기접촉하고 있는 다른 표면과 접촉될 때까지 이를 통하여 가압되게 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이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접착제 코팅(20)은 그 필요한 성능 특성에 대해서만 서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면 양호한 압력감응성 접착제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한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적 및 열적 절연층을 위해 특정한 재료가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에 속하는 대체 재료라면 가능한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술된 실시예와 서술된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2)

  1. 금속 하우징의 일부분이 한 개 터미널을 형성하는 금속 하우징과, 양극 및 음극 터미널을 구비하는 셀과; 그 각각의 단부에 제 1 및 제 2 숄더가 있는 원통형 벽을 가진 금속 하우징과; 셀 하우징에 부착된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합성체는 하우징 둘레에 필름과, 열 크롬성 재료와 열 접촉하는 전기적 도전재와, 셀 하우징에서 상기 도전재를 열 절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막은 하우징과 대면하는 막의 일 측부에 배치된 열 크롬성 재료를 가지고, 상기 도전재는 하우징과 열 크롬성 재료 사이에 있고, 상기 절연 수단은 전기적 비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는 적어도 한 합성체의 단부가 셀 숄더의 하나 위에 평탄하게 열 수축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합성체의 적어도 한 단부가 상기 한 숄더 위에 평탄하게 열 수축되게 하는 수단은 도전재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2개의 도전성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체는 부가로 상기 전기적 비도전성 재료와 도전성 재료와의 사이에 파티션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 코팅의 일부분은 다수의 돌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핑거는 상기 리브 위에 안착되고, 상기 리브는 한 터미널에 도전성 핑거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수동으로 도전성 핑거를 압압하여 다수개의 공동이 그 사이에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도전성 재료는 도전재의 일 부분이 셀 하우징에 도전재의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수동으로 그를 통해서 압압될 수 있는 트인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3. 제 2 항에 있어서, 테스터는 상기 트인 구멍위에 도전재로 이루어진 부분과 리브에 안착된 도전성 핑거 모두 위에 수동 압력을 발휘하여 활성으로 되고, 그리고 상기 테스터는 수동 압력이 제거될 시에 비활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4. 금속 하우징과 양극 및 음극 터미널을 구비하는 셀과; 하우징의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의 한 개를 형성하는 셀 하우징에 부착된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합성체는 하우징 둘레에 필름과, 그 위에 배치된 열 크롬성 재료와, 열 크롬성 재료와 열 접촉하는 전기적 도전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재는 열 크롬성 재료와 하우징 사이에 있고, 상기 도전재의 일부분은 열 크롬성 재료에 외관이 변화되게 하는 비방출시에 상기 셀의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충분한 열을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합성체는 부가로 셀 하우징으로부터 도전재를 열 절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전기적 비도전재에 제 1 트인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인 구멍은 상기 도전재의 열 발생부분의 일 측부의 면의 적어도 40%와 동일한 충분한 크기이고, 전기적 비도전성 재료는 그를 통하는 제 2 트인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트인 구멍은 상기 제 1 트인 구멍으로부터 이격분리되어 테스터가 셀 하우징의 일부분과 도전재의 부분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트인 구멍을 통해서 도전재의 일부분을 압압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도전재에 제 1 트인 구멍은 셀에 대해서 정렬배치되고 길이보다 짧은 폭을 가지는 신장형 슬롯이어서 그 폭은 셀 하우징의 원주 둘레 방향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도전재는 제 1 트인 구멍에 트랩되는 공기로부터 열 절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원통형이고 그리고 전기적 비도전재의 두께와 제 1 트인 구멍의 폭은 예비 결정되어서 전기적 비도전재의 라벨/테스터 합성체를 배제한 부분이 합성체가 셀에 부착될 시에 상기 제 1 트인 구멍을 통해서 셀 하우징과 접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 도전재는 약 2.7x106ohm-cm보다 큰 체적 저항성과 약 10watt m-1K-1보다 작은 열 도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 도전성 재료의 두께는 약 2mil 과 12mil(0.05mm 및 0.3mm)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전기적 비 도전성 재료에 제 1 트인 구멍은 상기 도전재의 열 발생 부분의 일 측부의 면적에 적어도 60%의 지역을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 도전성 재료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폴리머성 폼, 및 그 조합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도전성 재료는 종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금속 하우징은 그 각각의 단부에서 제 1 및 제 2 숄더를 가진 원통형 벽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는 합성체의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셀 숄더의 하나 위에 평편하게 열 수축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체의 적어도 일 단부가 평편하게 열 수축되게 하는 수단은 도전재에서 돌출된 적어도 2개의 도전성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비도전재와 도전재와의 사이에 파티션 코팅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코팅의 일 부분은 전기적 비도전성 재료의 제 1 트인 구멍을 커버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트인 구멍을 커버하는 파티션 코팅의 부분은 그 면에서 틈이 없는 연속성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코팅의 일 부분은 다수개의 돌출 리브를 형성하고, 도전성 핑거는 상기 리브 위에 안착되고, 상기 리브는 압압을 받는 도전성 핑거를 통해서 다수개의 공동은 그 사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8. 제 4 항에 있어서, 그 위에 배치된 열 크롬성 재료를 가지는 필름은 비플라스틱성 폴리비닐크로라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 수축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그 일 측부에 그라픽으로 프린트된 열 수축성 필름이고, 상기 필름은 그라픽과 같이 그 동일 측에 압력 민감성 점착제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합성체는 점착제가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셀 하우징 둘레를 감싸서 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테스터 합성체는 100mil(2.5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21.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적 비 도전재에 제 2 트인 구멍은 약 1.6 과 2.4mm 사이에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 의해 한정된 공동의 적어도 하나는 약 0.1mil(0.0025mm) 및 2.0mil(0.05mm)사이에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체.
KR1019980706139A 1996-02-08 1996-11-26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KR19990082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98,455 US5614333A (en) 1994-09-29 1996-02-08 Electrochemical cell label with integrated tester
US8/598,455 1996-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407A true KR19990082407A (ko) 1999-11-25

Family

ID=2439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139A KR19990082407A (ko) 1996-02-08 1996-11-26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614333A (ko)
EP (1) EP0879484B1 (ko)
JP (1) JP4008031B2 (ko)
KR (1) KR19990082407A (ko)
CN (1) CN1123082C (ko)
AT (1) ATE405965T1 (ko)
AU (1) AU727530B2 (ko)
BG (1) BG102727A (ko)
BR (1) BR9612490A (ko)
CA (1) CA2243966C (ko)
CZ (1) CZ240798A3 (ko)
DE (1) DE69637650D1 (ko)
IL (1) IL125460A (ko)
IS (1) IS4806A (ko)
NO (1) NO983599L (ko)
NZ (1) NZ323614A (ko)
PL (1) PL328425A1 (ko)
TW (1) TW390047B (ko)
WO (1) WO1997029523A1 (ko)
ZA (1) ZA9610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0596A (en) * 1993-05-03 1998-11-03 Morgan Adhesives, Inc.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tester label and resulting label and battery assembly
US5962158A (en) * 1997-07-21 1999-10-05 Duracell Inc. End cap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cell
US6127062A (en) * 1998-03-24 2000-10-03 Duracell Inc End cap seal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6084380A (en) * 1998-11-02 2000-07-04 Hewlett-Packard Company Conforming intelligent battery label
US6114838A (en) * 1998-12-02 2000-09-05 Agilent Technologies, Inc. Battery capacity test method and apparatus
US6313609B1 (en) 2000-10-19 2001-11-06 Gregory D. Brink Determining battery capacity using one or more applications of a constant power load
US6476725B2 (en) 2000-11-30 2002-11-05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Visual meter for providing a long-term indication of dynamic parameters
US20030049522A1 (en) * 2001-09-12 2003-03-13 Doomernik Marinus A. Battery tester label
TWI341606B (en) * 2005-08-30 2011-05-01 Lg Chemical Ltd Cell having irreversible heat sensor
DE102005052925A1 (de) 2005-10-14 2007-04-19 Ewald Dörken Ag Baustoffmaterial
MX2009010792A (es) 2007-04-05 2009-12-14 Avery Dennison Corp Etiqueta contractil sensible a presion.
US8282754B2 (en)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WO2009109048A1 (en) 2008-03-05 2009-09-11 Opalux Incorporated Photonic crystal electrical property indicator
US8575939B2 (en) 2010-01-07 2013-11-05 Paul JANOUSEK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otential energy stored in an electrochemical cell
RU2553960C2 (ru) 2010-01-28 2015-06-20 А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рпорейшн Ленточная система нанесения этикеток
US20130022847A1 (en) * 2011-07-19 2013-01-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esting Amount of Energy Stored in Electromechanical Cell
US20130193976A1 (en) * 2012-01-26 2013-08-01 Sancoa International Company, L.P. Label with on-battery voltage indicator
EP2875536A4 (en) * 2012-07-18 2016-03-23 Ccl Label In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ND METHOD FOR TESTING THE ENERGY LEVEL STORED IN AN ELECTROCHEMICAL CELL
CN104134822A (zh) * 2013-05-31 2014-11-05 中航锂电(洛阳)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电芯的装配紧固方法及装置
WO2015151039A1 (en) * 2014-04-03 2015-10-08 Indesit Company S.P.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rmochromic element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about: the temperature
US10801900B2 (en) * 2014-07-11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pection aid
US9873527B2 (en) * 2015-03-26 2018-01-23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map a thermal profile of a composite structure using a thermochromatic witness assembly
CN114300819A (zh) * 2021-12-29 2022-04-0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电池模组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7388A (en) * 1922-11-03 1924-06-10 Edward M Sterling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 cell
CA1296891C (en) * 1984-08-16 1992-03-10 Rolf Will Multilayer adhesive label
US4717710A (en) * 1985-01-17 1988-01-05 Matsui Shikiso Chemical Co. Ltd. Thermochromic composition
US4608323A (en) * 1985-03-07 1986-08-26 Duracell Inc. Cell jacket
US4737020A (en) * 1985-04-15 1988-04-12 Robert Parker Method for making battery tester for two sizes of batteries
US4702563A (en) * 1985-04-15 1987-10-27 Robert Parker Battery tester including textile substrate
US4702564A (en) * 1985-04-15 1987-10-27 Robert Parker Battery tester including flexible substrate and polyacetilynic material
US4835476A (en) * 1986-11-28 1989-05-30 Three Tec Davis Inc. Voltage measuring sheet
US4723656A (en) * 1987-06-04 1988-02-09 Duracell Inc. Battery package with battery condition indicator means
US4812541A (en) * 1987-12-23 1989-03-14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s
US5015544A (en) * 1989-02-08 1991-05-14 Strategic Energy Ltd. Battery with strength indicator
US5059895A (en) * 1990-04-04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Battery voltmeter
US5223003A (en) * 1991-01-15 1993-06-2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Process for preparing a battery tester label
CA2058728C (en) * 1991-01-15 1998-11-10 Jean W. Bailey Batteries with tester label
CA2054008A1 (en) * 1991-01-31 1992-08-01 Harry R. Huhndorff Tester for end of cell
US5128616A (en) * 1991-02-07 1992-07-07 Duracell Inc. DC voltage tester having parallel connected resistive elements in thermal contact with a thermochronic material
US5190609A (en) * 1991-04-02 1993-03-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Stable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technique
US5188231A (en) * 1991-05-31 1993-02-23 Duracell Inc. Battery package with removable voltage indicator means
SG66286A1 (en) * 1991-07-16 1999-07-20 Duracell Inc Battery with integral condition tester
US5250905A (en) * 1991-09-24 1993-10-05 Duracell Inc. Battery with electrochemical tester
US5156931A (en) * 1991-12-31 1992-10-20 Strategic Energy Ltd. Battery with strength indicator
US5393618A (en) * 1993-05-03 1995-02-2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with tester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5409788A (en) * 1993-05-03 1995-04-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Method for securing a tester device to a battery and the battery so produced
US5389458A (en) * 1993-05-03 1995-02-1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with tester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5478665A (en) * 1994-02-02 1995-12-26 Strategic Electronics Battery with strength indicator
IL115343A0 (en) * 1994-09-29 1995-12-31 Duracell Inc Electrichemical cell label with integrated t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28425A1 (en) 1999-02-01
NO983599D0 (no) 1998-08-05
IS4806A (is) 1998-07-24
EP0879484A4 (en) 2002-07-17
ATE405965T1 (de) 2008-09-15
ZA9610006B (en) 1998-05-22
JP4008031B2 (ja) 2007-11-14
CZ240798A3 (cs) 1998-12-16
CN1123082C (zh) 2003-10-01
IL125460A (en) 2001-04-30
NO983599L (no) 1998-10-06
US5614333A (en) 1997-03-25
BG102727A (en) 1999-05-31
CA2243966A1 (en) 1997-08-14
BR9612490A (pt) 1999-07-20
TW390047B (en) 2000-05-11
NZ323614A (en) 2000-02-28
AU1060197A (en) 1997-08-28
EP0879484A1 (en) 1998-11-25
DE69637650D1 (de) 2008-10-02
CA2243966C (en) 2002-10-01
CN1209221A (zh) 1999-02-24
AU727530B2 (en) 2000-12-14
WO1997029523A1 (en) 1997-08-14
IL125460A0 (en) 1999-03-12
JP2000503795A (ja) 2000-03-28
EP0879484B1 (en)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790A (en) Electrochemical cell label with integrated tester
KR19990082407A (ko) 일체형 테스터를 갖는 전기화학 셀 라벨
US5830596A (en)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tester label and resulting label and battery assembly
EP0624914B1 (en) Battery with tester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5223003A (en) Process for preparing a battery tester label
JP2869963B2 (ja) 接着ラベル
CA2058728C (en) Batteries with tester label
US5925480A (en) Thermochromic battery tester
US20130193976A1 (en) Label with on-battery voltage indicator
EP0781457B1 (en) Electrochemical cell label with integrated tester
AU744211B2 (en) Electrochemical cell label with integrated tester
CN1162369A (zh) 具有集成试验器的电化学电池标签
KR100870458B1 (ko) 전지팩 제조용 외장 필름과 그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