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288A -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88A
KR19990082288A KR1019980706017A KR19980706017A KR19990082288A KR 19990082288 A KR19990082288 A KR 19990082288A KR 1019980706017 A KR1019980706017 A KR 1019980706017A KR 19980706017 A KR19980706017 A KR 19980706017A KR 19990082288 A KR19990082288 A KR 19990082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ojector
format
frame
spr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딘 케이 굿힐
피. 번스돈
Original Assignee
딘 케이 굿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딘 케이 굿힐 filed Critical 딘 케이 굿힐
Publication of KR1999008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43Driving mechanisms
    • G03B21/44Mechanisms transmitting motion to film-strip feed; Mechanical linking of shutter and intermittent feed
    • G03B21/48Mechanisms transmitting motion to film-strip feed; Mechanical linking of shutter and intermittent feed for altering frame speed; for regulating constancy of film spe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03B1/20Acting means
    • G03B1/24Sprockets engaging holes in the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42Guiding, framing, or constraining film in desired position relative to lens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21Holders for films, e.g. reels, cassettes, spi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elescopes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은 영사기(14)를 통해 필름을 이송하는 필름이송시스템(10)을 포함한다. 필름이송시스템(10)은, 필름(12)상의 이송공(56)에 맞물리는 복수의 스프로킷(22,24,28) 치형과, 스프로킷(22,24,28)을 회전시키고 필름(12)을 일 프레임씩 영사기(14)의 개구(29)를 통해 이동시키는 한쌍의 모터(30,32)를 포함한다. 모터(30,32)는, 필름(12)의 각 프레임(58)당 배열된 이송공(56)의 수에 따른 필름의 포맷에 관한 신호(104)에 기초하여 모터(30,32)의 회전출력을 변경시키는 전자제어기(9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94)는, 동일한 영사기(14)와 동일한 필름(12)의 스트립에서, 영사기(14)의 작동을 지연시키거나 중단시키지 않고, 시스템(16)이 다양한 필름포맷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본 발명은 영사기의 필름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frame)당 소정 수의 이송공(perforations)이 배열된 필름프린트(film print)를 이송시킬 수 있고, 프레임당 다른 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다른 필름포맷(film format)으로 절환할 수 있으며, 그 절환시 영사기의 작동이 중단되지 아니하는 필름영사기의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35㎜극장용 영사기는, 필름을 초당 24프레임의 표준속도로 필름게이트(film gate)를 통해 간헐적으로 인출하는 모터구동식 스프로킷휠을 채용하고 있다. 필름의 이동중에는 정속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셔터가 스크린을 암화하여 스크린의 흐려짐을 방지한다. 그러나, 관객들은 소위 "잔상효과(persistence of vision)"로 알려져 있는 현상때문에 암흑화의 순간들을 인지하지 못한다. 필름은, 양측부의 정속스프로킷에 의해, 필름게이트와 간헐스프로킷으로 공급되고 또 이들로부터 취출된다. 필름게이트에서 발생되는 주기적인 이동은 정속스프로킷에 의해 유지되는 간헐스프로킷 양측의 필름루프에 의해 평활화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극장용 영사기는 거의 대부분 기계식이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동기모터가 다수의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구동샤프트를 구동하고, 각 구동기어는 셔터 혹은 필름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를 적정속도로 구동시킨다. 간헐스프로킷은 제네바기구라 불리우는 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이의 목적은 구동샤프트의 일 완전회전을 간헐스프로킷의 90도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그 회전 이후에 영사를 위한 정지주기가 이어진다. 열여섯개의 치형을 가진 스프로킷의 90도 회전에 의해 4개의 이송공 프레임 변환, 즉 하나의 "풀다운(pulldown)"이 이루어지게 된다. 4이송공프레임 표준은 1800년도 후반에 정립된 것으로, 1.33대 1의 영사된 어스펙트비율에 적용되며, 이것은 지금까지 바뀌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업용 35㎜ 영사기는 4이송공 풀다운용으로 설계된 것이다.
거의 모든 극장용 35㎜ 영사기는 기계식으로 설계된 것이지만, 전자식 풀다운방식의 몇가지 특수 영사기가 시판되고 있다. 이들은 제네바 장치 대신에 고응답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필름을 전진시켜 필름게이트내에 위치시킨다.
1950년대 후반에는, "1.85"스크린포맷이 개발되어, 실제의 와이드스크린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2.35:1의 화면비율을 1.33:1의 4이송공프레임으로 광학적으로 압축하는 왜상(anamorphic)카메라와 영사렌즈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관객에게 "세미-와이드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 개봉된 영화의 약 85%가 이 1.85:1의 포맷을 사용하고 있다. 이 화면비율을 얻기 위해, 영사게이트의 개구에 마스크를 삽입하여 영사 프레임의 상하를 덮음으로써 화면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마스크에 의해 가려진 면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에 명료하게 개시되어 있다. 빗금친 영역(64)은 사용가능한 필름영역이지만 4이송공의 프레임높이를 갖는 1.85:1의 프로젝션포맷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된다. 광학 사운드트랙(optical sound track)은 66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필름영역에 관한 문제의 한가지해결책은, 도 1에 개시된것과 동일한 영사가능영역을 제공하면서도 상하의 낭비되는 부분이 없는 대안적 프레임높이표준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도 2는 그와 같이 개선된 프레임표준으로서 3이송공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기존의 마스크로 가려졌던 부분을 없앰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영사영역을 제공하면서도 3이송공프레임에 맞추어질 수 있다. 즉, 이 "낭비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개봉되는 필름프린트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비용이 25%정도 절감된다.
3이송공프레임은 분명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진전이지만, 필름절약의 면에 있어서는 궁극적인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영사할 때, 가려져야 하는 부분이 아직도 남아있기 때문이다. 도 3은, 실질적으로 낭비되는 필름영역이 전혀 없는 프레임높이를 제공하는 1.85:1의 포맷을 보여주고 있다. 이 1.85:1의 표준포맷은, 광학 사운드트랙을 위해 남겨진 필름의 왼쪽공간을 제외하면 기존의 화면폭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제한된 화면폭은 1.85:1의 화면비율에 따라 적어도 0.446인치의 프레임높이를 가져야 한다. 프레임사이의 공간을 위해 2/1000-3/1000정도가 더해지면 이높이는 정확히 2.5이송공의 필름길이에 대응되게 된다. 이러한 2.5이송공의 풀다운 포맷은 4이송공의 표준포맷에 비해 37.5%정도 필름절약이 가능하여, 개봉영화 프린트 표준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이유에서 매우 바람직한 몇개의 프레임포맷이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은 기존의 프로젝션시스템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대안으로서 제시된 프레임포맷을 갖는 필름이 영화관에서 실제로 소개되려면, 모든 포맷을 다룰 수 있는 영사기가 구비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젝션시스템은 대안포맷과 함께 4개의 이송공포맷필름을 영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게다가, 4이송공포맷 그대로 남아 있는 "클래식"필름들과 기타 필름들(예고편과 공중안내물 등)도 영사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영사기에, 3이송공포맷과 4이송공포맷간의 상호 변환능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몇번 있어왔으나, 그 시도들은 포맷변경시 영사기안에 있는 개개의 스프로킷을 손으로 바꿔주어야만 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고, 이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어 전혀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발명은 필름영사기의 완전한 자동 절환가능한 풀다운작동을 제공한다. 이 작동은 영화상영의 지연이 없고, 영사기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백투백(back-to-back)" 방식에 의해, 동일한 극장용 영사기로 여러 대안포맷의 필름들을 상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시도들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였을 뿐아니라 그와 관련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영사기를 통해 필름을 이송시키는 필름이송시스템을 포함하는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필름이송시스템은, 필름영사기의 무브먼트 혹은 "헤드"라고 불리기도 하며, 필름상의 이송공과 맞물리는 치형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고, 필름을 한 프레임씩 영사기의 개구를 지나도록 이송시키는 모티브요소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티브요소를 제어하여, 각 프레임에 배열된 이송공의 갯수에 따른 필름의 포맷에 상응하여 스프로킷의 위치설정과 회전속도를 유지 또는 변경시키는 제어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 필름 이송시스템은, 영사기의 작동을 중단 혹은 지연시키지 아니하고, 최소한의 숙련으로 동일한 영사기에서 다양한 포맷의 필름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이송시스템은, 필름게이트의 양측부에 각 하나씩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쌍의 스프로킷사이에서 필름이 한 프레임씩 필름게이트의 개구를 지나 진행되도록 하는 간헐스프로킷을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스프로킷의 회전속도는 가변속모터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간헐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위치설정은, 고응답 서보모터와 같은 다른 모터에 의해 정해진다. 실시예에서, 이들 두 모터는 상기 필름이송시스템의 모티브요소를 구성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하나의 모터 혹은 세개(혹은 그 이상)의 모터가 상기 모티브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속도모터와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기는, 필름의 포맷을 나타내는 트리거신호에 기초하여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거신호는 필름스트립(film strip)상에 기록되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일 수 있다. 받아들여진 트리거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는 가변속모터의 속도를 변경하고, 이어 상기 가변속모터는 상기 한쌍의 스프로킷의 회전속도를 변경한다.
상기 가변속모터는 또한 복수의 동기화디스크를 구동시키는데, 이들 각 디스크는 연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일련의 개구(apertures)를 포함한다. 한편, 분리된 광원과 광전지는 각각 상기 동기화디스크 양쪽에 걸쳐 위치해 있다. 작동시, 상기 광원은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상의 개구와 정렬되는(registered) 라이트 빔을 쏘아보낸다. 각 동기화디스크와 이에 대응되는 광전지는 상이한 필름포맷에서의 상기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프레임풀다운을 위한 서보모터의 초기동작은 동기화디스크의 출력에 따라 제어된다. 라이트빔은, 선택된 동기화디스크상의 개구를 통과할 때마다 대응광전지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대응광전지는 펄스를 발생시켜 제어기를 통해 서보모터로 보내어 필름이 한프레임씩 진행되도록 한다.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일련의 위치설정디스크들은, 각각 다른쌍의 광원/광전지에 결합되어 필름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제공해 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보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서 필름을 간헐적으로 정지시켜, 필름게이트에 정확히 정렬되도록 한다. 원한다면, 잉여의 광원-광전지쌍이 동기화 디스크와 포지셔닝 디스크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다.
트리거 신호는, 필름의 포맷이 바뀌는 때, 즉 프레임당 4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필름으로부터 프레임당 3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필름으로의 전환이 있는 때를 알려준다. 물론 상기 트리거 신호는 여러 다른 종류의 포맷 상호간의 변환을 나타내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프레임당 소정 갯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부터 다른 소정 갯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의 영사기의 포맷이 변경되는 시점을 알려준다.
필름의 포맷변경을 나타내주는 상기 트리거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트리거 신호는 스위치에 연결된 센서에 의해 전자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필름에 인코드된 정보가 영사기를 통과할 때 그 정보를 읽어들여 필름의 포맷변경을 알려주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박(foil)이나 광학적으로 읽히는 바코드(bar code)인 자기스트립(magnetic strip)위에 혹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인코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 신호는, 필름조작자가 필름을 시각적으로 검사하여 수동으로 발생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절한 수단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 신호가 전자적인 것이든 수동에 의한 것이든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신호발생방식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중의 하나는 상기 필름이송시스템이 영사기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혹은 멈추게하지 않고 필름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필름의 포맷 변경시 어떠한 지연도 발생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포맷을 갖는 필름들을 하나로 겹쳐 이을 수 있게 해준다. 더욱이, 상기 시스템은 작동시 신뢰성이 높고 간단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필름포맷을 변경함에 있어서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치않다. 게다가, 상기 필름 이송시스템은 기존의 35㎜ 영사 시스템을 개장(retrofitted)하여 설계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램프하우스(lamp house), 콘덴서, 원반(platter)시스템과 기타 부품을 포함하여 시스템 전부를 교체하는데 드는 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특징과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한 실례를 통해 본 발명의 원리를 묘사하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각 프레임당 4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의 필름 일부분의 개시도이며,
도 2는 각 프레임당 3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의 필름 일부분의 개시도이며,
도 3은 각 프레임당 2.5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의 필름 일부분의 개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송시스템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영사기 부분은 제외한, 종합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송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을 가진 필름스트립의 개시도이며,
도 6은 가변속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동기화디스크와 홀드백스프로킷의 저부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동기화디스크의 저부사시도이며,
도 8은 복수의 위치설정디스크와 간헐스프로킷을 구동하는 서보모터의 저부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위치설정디스크의 저부사시도이고,
도 10a-10d는 도 6-9의 실시예와 유사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추가된 필름포맷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추가된 동기화디스크와 포지셔닝디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사기를 통해 필름(12)을 이송시키는 필름이송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이송시스템(10)은 두개의 정속스프로킷을 포함하는데, 이는 필름게이트(26)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고 있는 공급스프로킷(22)과 홀드백스프로킷(24)으로 구성된다. 간헐스프로킷(28)은 정속스프로킷들(22, 24)사이에 존재하는 필름게이트(26)의 근접하측에 위치하여, 통상적으로 필름게이트를 통해, 필름(12)을 한프레임씩 간헐적으로 진행시킨다. 그러므로 간헐스프로킷(28)은 필름(12)의 각 프레임을, 초당 24프레임의 미국표준비율로 필름게이트(26)에 정확하게 정렬시켜준다. 필름게이트(26)는, 또한, 필름영사를 위한 개구(29)와 도시않은 광원을 포함한다. 필름(12)은 파손방지를 위해, 느슨한 고리형태로 공급스프로킷(22)과 필름게이트(26)와 간헐스프로킷(28) 및 홀드백스프로킷(24)을 지나 놓여 있다.
필름이송시스템(10)은, 또한, 가변속모터(30)와 서보모터(32)로 구성된 모티브요소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변속모터(30)는 수정(crystal)제어모터와 같은 2-변속모터이다. 그러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변속모터(30)는 3-변속모터가 될 수 있고, 원하는 바대로 속도를 추가할 수도 있다. 서보모터(32)는 고응답서보모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모티브요소는, 스프로킷(22, 24, 28)을 구동시키고 이들의 위치와 속도를 변경시키는 기계적인 혹은 다른 수단을 채용한 단일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가변속모터(30)는 자신의 양측단부로부터 뻗어나온 출력샤프트(34)를 회전시킨다. 샤프트(34)의 일측단부는 회전을 위해 홀드백스프로킷(24)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34)는 또한, 구동휠(36)과 세컨드휠(40)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8)를 운송해주는 구동휠(36)을 회전시킨다. 세컨드휠(40)은 공급스프로킷(22)을 회전시키는 샤프트(42)에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공급스프로킷(22)과 홀드백스프로킷(24)은 타이밍벨트(38)에 의해 연결되어, 가변속모터(3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일체회전된다.
가변속모터(30)의 샤프트(34)는 또한 복수의 동기화 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동기화디스크(44,46)가 존재하므로, 공급스프로킷(22), 홀드백스프로킷(24), 및 동기화디스크(44,46)는 모두 가변속모터(30)의 샤프트(34)에 연결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서보모터(32) 또한 자신의 양측단부에 뻗어있는 출력샤프트(48)를 회전시킨다. 샤프트(48)의 일측단부는 회전을 위해 간헐스프로킷(28)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복수의 위치설정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포지셔닝디스크(50, 52)가 있다. 서보모터(32)는 또한 샤프트(48)의 단부맨끝에 위치한 회전속도계(54)를 회전시킨다.
도 5는, 연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이송공(56)을 갖는 필름(12)을 개시하고 있다. 이송공들사이에는 프레임(58)이 있으며, 도면상에는 설명을 위해 수직선으로 구분해 표시하고 있다. 필름(12)은 35㎜스탠다드로 그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포맷들을 갖고 있다. 필름의 왼쪽과 오른쪽부분은, 각 프레임(58)당 4개의 이송공(56)이 배열된 포맷을 가지며, 필름의 중앙부분은, 각 프레임(56)당 3개의 이송공(56)이 배열된 포맷을 가진다. 트리거스트립(62)이 이들 두포맷간의 변환을 나타내는데, 그 기능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서는, 앞서 논의 한 바와 같이, 필름의 두가지 포맷을 보다 더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도 6과 7은 동기화디스크(44,46)를 보다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각 동기화디스크(44,46)는 복수의 개구(68)를 가지며, 이들은 연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제 1동기화디스크(44)는, 제 2동기화디스크(46)로부터 외측의 샤프트(34)에 위치해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된 6개의 개구(68)를 갖고 있고, 제 2동기화디스크(46)는 샤프트(34)의 내측 단부말단에 위치하며, 8개의 개구(68)를 갖는다.
동기화디스크(44,46)에 인접하여 설치된 브라켓(70)에는 광원(72)이 위치하여 각 동기화디스크를 향해 라이트빔을 쏘아보낸다. 라이트빔은 각 동기화디스크(44,46)상의 개구(68)와 정렬됨으로써(registered), 동기화디스크가 회전될 때 각 개구를 통과한다. 한쌍의 광전지(74,76) 또한 브라켓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은 양 동기화디스크(44,46)의 광원(72)으로부터 반대쪽면에 하나씩 위치해 있다. 그리하여, 광원(72)이 가동될 때, 작동을 위해 광전지(74,76)중 하나가 선택되어, 개구(68)가 광원과 선택된 광전지 사이를 지나갈 때마다 라이트빔을 받아들인다.
도 8과 9는 위치설정디스크를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동기화디스크(44,46)와 마찬가지로, 각 포지셔닝디스크(50,52)에는 복수의 개구(78)가 연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제 1포지셔닝디스크(50)는 제 2포지셔닝디스크(52)로부터 외측 샤프트(48)에 위치하며, 균일한 간격의 6개의 개구(78)를 가지고 있고, 제 2포지셔닝디스크(52)는 샤프트(48)의 내측단부말단에 위치하며 마찬가지로 8개의 개구(78)를 가지고 있다. 각 포지셔닝디스크(50,52)의 연부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vanes)(8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 1포지셔닝디스크(50)는 6개의 날개(80)를, 제 2포지셔닝디스크는 8개의 날개(80)를 갖게 된다.
포지셔닝디스크(50,52)에 인접하여 설치된 브라켓(82)에는, 하나가 다른하나의 내측에 설치된 두개의 광원(84,86)이 존재하는데, 이들 광원은 각 포지셔닝디스크(50,52)를 향해 라이트빔을 쏘아 보낸다. 내측의 광원(84)이 쏘아보낸 라이트빔은 각 위치설정디스크(50,52)상의 개구(78)에 정렬됨으로써(registered), 위치설정디스크가 회전될 때 개구를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외측광원(86)이 쏘아보낸 라이트빔은 각 위치설정디스크(50,52)의 다른부분을 지나 각 날개사이의 공간(87)을 통과해 간다.
두 광전지(88,90)는, 또한, 위치설정디스크(50,52)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두 광원(84,86)에 각각 등록된다. 따라서, 광원(84,86)이 가동될 때, 대응되는 광전지쌍(88 또는 90)이 선택되어 날개(80)사이의 공간(87)과 개구(78)사이를 통과해온 라이트빔을 받아들인다.
이하에서는 필름이송시스템(10)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을 위해, 동일한 필름스트립에 두 포맷을 겹쳐이은 경우처럼, 본 필름이송시스템(10)은, 각 프레임당 4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필름의 포맷으로 작동되고, 이어 3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편의를 위해 이들 두 포맷은 각 "4이송공포맷"과 "3이송공포맷"이라 칭하기로 한다.
처음, 가변속모터(30)에 전원이 인가되고, 가변속모터(30)는 4이송공포맷을 갖는 35㎜필름에 대응되는 적절한 속도로 샤프트(34)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공급스프로킷(22)과 홀드백스프로킷(24)이 필름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필름게이트(26)와 간헐스프로킷(28)의 일편에 필름을 동량 공급함과 동시에 타편으로부터 동량 취출되도록 해준다. 이와 동시에, 가변속모터(30)는 또한 동기화디스크(44,46)를 회전시킨다.
광원(72)은 각 동기화디스크(44,46)를 향해 라이트빔을 발산하나, 본시스템(10)이 4이송공포맷으로 작동되고 있기때문에, 제 1동기화디스크(44)의 광전지(74)만이 액티베이트된다. 각 라이트빔은, 개구(68)를 통해 광전지(74)에 전달되고, 광전지(74)는 대응되는 펄스(92)를 내보낸다. 제 1동기화스크(44)상에는 6개의 개구(68)가 있으므로, 매 회전시 6개의 펄스(92)가 발생된다.
액티베이트된, 제 1동기화디스크(44)의 광전지(74)로 부터 발산된 펄스들은 전자제어기(94)에 입력되고, 제어기(94)는 전원이 인가된 서보모터(32)의 작동을 제어한다. 간헐스프로킷(28)은 제어기(94)로부터 서보모터(32)에 보내진 신호(96)에 의해 구동된다. 이 신호(96)는, 광전지(74)로부터 내보내지고 제 1동기화디스크(44)에 의해 초기화된 펄스에 기초하여, 제어기(94)가 내보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신호(96)는 간헐스프로킷(28)의 회전을 개시시킨다.
간헐스프로킷(28)이 구동됨에 따라, 필름(12)은, 광전지(74)로부터 나오는 매 펄스(96)당 일 프레임의 비율로 필름게이트(26)를 통해 앞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제 1동기화디스크(44)의 매 회전당 필름프레임이 6회 "풀다운"되고, 이는 매회 4개의 톱니씩 6회의 회동에 의한, 24개의 치형을 가진 간헐스프로킷(28)의 일 완전회전에 대응되는 것으로, 4이송공포맷에 적합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일어나는 중, 전자제어기(94)는 각 필름프레임이 필름게이트(26)에 정확히 위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다음순서에 의한다.
간헐스프로킷(28)이 필름프레임(58)을 진행시켜 필름게이트(26)에 위치되도록 하면, 제 1포지셔닝디스크(50)는 간헐스프로킷과 필름프레임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이는 광원(84,86)으로부터의 라이트빔을 대응되는 제 1포지셔닝디스크(50)의 광전지쌍(88)이 받아들일 수 있게 해주는, 제 1포지셔닝디스크의 개구(78)와 날개(80)에 의한다. 동시에, 서보모터(32)의 샤프트(48)의 외측 단부말단에 설치된 회전속도계(54)는 간헐스프로킷(28)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감지된 속도는, 피드백신호(98,100)시스템을 통해 전자제어기에(94)의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되는데, 이는 서보모터(32)를 감속, 가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전압의 파형을 형성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필름프레임(58)은 신속히 필름게이트(26)로 들어가게되고 매우 정확히 위치된다. 상기의 피드백시스템은 미국특허 제 3,819,258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고되고 있다.
필름(12)이 시스템(10)을 통해 계속 진행됨에 따라, 필름(12)위의 트리거스트립(62)중 하나가 필름게이트(26) 앞에 위치한 센서(102)에 의해 읽혀지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스트립(62)에는, 자기적, 광학적 또는 기타방법에 의해 인코드된 정보가 존재한다. 트리거스트립(62)은 필름의 두 포맷이 겹쳐이어진 부분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경우, 센서에 의해 읽혀진 정보는 예를 들면 4이송공포맷에서 3이송공포맷으로의 필름포맷변경을 나타내며, 센서는 포맷변경에 대응되는 적정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펄스(104)는, 전체적인 필름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포함되는 스위칭전자장치(106)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도시않은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게된다.(이 스위칭전자장치는 또한 신호(107, 109)에 의해 광원(72, 84)을 액티베이트시킨다)
센서(102)로부터의 펄스(104)는 스위칭전자장치(106)로 하여금 가변속모터(30)에 신호를 보내 3이송공포맷작동속도로 조정하게 한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제 2동기화디스크(46)의 광전지(74)가 액티베이트되고, 앞서 액티베이트된, 제 1동기화디스크(44)의 광전지(74)는 디액티베이트된다. 그 결과, 제 2동기화디스크(46)의 광전지(74)는 제 2동기화디스크의 매 완전회전시마다 8개의 라이트빔을 받아들여, 대응되는 수의 펄스(92)를 전자제어기(94)에 내보낸다.
제 2동기화디스크(46)의 일 완전회전은 24개의 치형을 가진 간헐스프로킷(28)의 일 완전회전에 대응되는 것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 2동기화디스크(46)의 광전지(74)로부터 발생된 각 펄스(92)는 전자제어기(94)를 경유하여 서보모터(32)로 보내지고, 이에 따라 간헐스프로킷(28)이 일 회전진행되어 일 프레임풀다운이 되는데, 다시말하면, 제 2동기화디스크(46)의 매 완전회전시 마다 스프로킷의 치형이 3개씩, 8회의 풀다운이 되는 것으로, 이는 3이송공포맷에 적합한 것이다.
3이송공포맷에서는, 도 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프레임중앙선이 필름이송공의 한가운데를 통과한다. 그러나, 4이송공포맷에서는 도 1에 개시된것처럼, 프레임중앙선이 두개의 필름이송공사이를 두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데, 분할된 공간은 3이송공포맷에서의 그것과는 이송공의 반에 해당되는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4이송공포맷과 3이송공포맷사이의 중앙에서의 중앙으로의 첫간격은 3.5이송공이 되며, 이후의 간격은 프레임당 3이송공으로 일정하다. 본 필름이송시스템(10)은 간헐스프로킷(28)의 초기의 재위치설정에 의해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3이송공작동에 대응되는 8개의 개구(78)와 날개(80)를 가진 제 2위치설정디스크(52)가 제 1포지셔닝디스크(4이송공포맷작동에 대응되는 6개의 개구(78)과 날개(80)를 가진)를 7.5도 지연시킴으로써 성취되며, 여기서 7.5도는 24개의 치형을 갖는 스프로킷의 이송공의 반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헐스프로킷(28)의 방향이 재조정되어 3이송공포맷에 적합한 화면프레임이 유지되는 한편,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간격은 3이송공으로 유지된다.
간헐스프로킷의 휴지기에 제 1동기화디스크(44)로부터 제 2동기화디스크(46)로의 제어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러나, 제 2위치설정디스크(52)상의 날개(80)전연(leading edge)과 개구(78)는, 제 1위치설정디스크(50)가 이송공의 반만큼 지연되도록 방향이 조정되는데, 이는 날개와 개구가 새롭게 액티베이트된 광전지(90)로부터 펄스가 발산되도록하기에 앞서, 휴지기에 이은 제 2위치설정디스크의 최초의 동작(단지 7.5도(1/2이송공)만 회동하게 되는)시에 이루어진다. 전자제어기(94)는 이러한 초기의 펄스의 전환을 무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야한다. 그리하여, 필름(12)은 처음에 3.5이송공의 완전한 진행을 할 수 있게된다.
센서(102)는 필름게이트(26)앞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스트립(62)의 센서위로의 통과는, 변환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필름(12)이 놓여지기 바로 직전에 펄스(104)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위칭전자장치(106)는 프로세스가 지연되도록 해야 한다. 지연시간은 센서(102)와 필름게이트(26)의 이격거리(상수)와 트리거스트립(62)에 인코드된 정보로부터 정해지는 시스템(10)의 현재 작동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필름(12)은 3이송공포맷에서 더 천천히 이동하기때문에 상기 지연시간은 다소 더 길어지게된다. 센서(102)의 오프셋위치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은, 필름게이트로부터의 센서오프셋과 동일한 양만큼 필름프린트상의 트리거스트립의 위치를 오프셋하는 것이(즉, 뒤에 오도록하는) 될 수 있다.
필름(12)상의 다른 트리거스트립(62)이 센서(102)에 의해 읽혀지면, 다른 펄스(104)가 스위칭전자장치(106)에 보내지고, 스위칭전자장치는 시스템(10)의 모든 요소들에게 상술한 바와 같이 4이송공포맷에 대응되는 작동조건으로 돌아가도록 신호를 내보낸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송시스템(10)은, 영사기(14)의 작동을 지연시키거나 멈추게 하지 않고, 동일한 필름스트립상의 상이한 필름포맷사이의 절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것은, 필름제작자, 배급자, 영사기조작자 및 전시자들에게 동일한 필름스트립상에 상이한 둘 이상의 필름포맷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매우 큰 장점을 제공해준다. 필름배급과 전시에 있어서, 비용과 노력이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더욱이, 영사에 있어서도, 필름포맷절환에 요구되는 기술 또는 교육이 거의 필요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숙련된 영화관고용자들이 작동을 함에 있어 본 시스템은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절환가능한 풀다운 영사시스템은 배급자들에게 개봉영화필름제조에 있어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포맷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관객들에게 제공되는 영상의 질 저하없이 물자와 자본을 절약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시스템의 장점은 이러한 초기의 절약을 넘어선다. 왜냐하면, 낭비가 줄어들면, 필름프린트는 실제로 짧아지고 가벼워진다. 그러므로, 운송비용이 감소하고, 심지어 완전히 원반에 적재하여 즉시 영사할 수 있도록 운송될 수도 있다.
현재, 100분간의 상영을 위한 필름의 길이는 9000feet이며, 그 무게때문에, 2000feet릴로 나뉘어 운반된다. 이들 릴은 그들이 보여지게될 스크린을 위한 특정영사기에서 서로 이어져야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영화"설치(mounting)"라고 불리우며, 영사기술자와 같은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영화관 경영상 그 프린트를 다른 스크린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해체(broken down)"되어 "재설치(remounting)"되어야하는데, 이것을 원반상으로 영사기에서 영사기로 용이하게 운반하기에는 너무 무겁기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새롭고 컴팩트한 형태에 의하면 동일한 100분상영분이, 3이송공포맷을 사용할 경우 단지 6750feet이 되며, 2.5이송공포맷인 경우는 5625feet에 불과하게 된다. 이렇게 줄어든 길이와 무게때문에 하나의 기설치된 릴만으로도 필름의 운반이 가능하며, 영사기에서 영사기로의 이동에 있어서도 "해체"와 "재설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일정포맷을 갖는 필름(12)의 새로운 릴이 영사기에 처음으로 올려놓여질 때는 트리거스트립(62)이 필름스트립의 처음에 위치되거나 수동스위치(130)가 영사기의 적절한 작동을 명령하기위해 액티베이트되어야 한다. 따라서, 트리거스트립(62)이 읽혀지거나 수동스위치(130)가 액티베이션될 때, 스위칭전자장치(106)는 필요한 조정을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 하고, 이에 의해 필름이송시스템(10)은 영사기를 통해 이동되는 필름(12)의 특정포맷에 따른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되게 된다.
본 필름이송시스템(10)은, 앞서 설명한 두 포맷에서만 아니라 다른 포맷사이에서도 절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필름이송시스템(1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프레임(58)당 2.5개의 이송공이 배열된 필름(12)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필름포맷중 어느하나에서 각 프레임당 2.5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의 절환가능하기위해서는, 위치설정디스크(50,52)의 개구(78) 및 날개(80)의 수와 동기화디스크(44,46)에 마련된 개구(68)의 수를 변경해야 한다. 만약, 위의 세 필름포맷사이의 절환을 원한다면, 세개의 동기화디스크(44,46,110)와 세개의 위치설정디스크(50,52,112)가, 도 10a-도10d에서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세 포맷사이의 절환은 가변속모터(30)가 세가지 다른 속도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을 요구한다. 이는 또한 간헐스프로킷에 형성된 치형의 갯수가 2.5, 3.0 및 4.0으로 나누어지는 수로 변경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60개의 치형이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4이송공포맷에서의 작동에 대응되는 제 1 동기화디스크(44)는 이제 15개의 균일하게 분포된 개구(68)를 갖게된다. 3이송공포맷에서의 작동에 대응되는 제 2 동기화디스크(46)는 20개의 개구(68)를 갖게된다. 한편, 2.5이송공포맷에 대응되는 제 3동기화디스크(110)가 더해지며 이는 서보모터(32)의 작동을 지배하기위한 펄스를 발생시키기위해 24개의 개구(68)와 대응되는 광원(114) 및 광전지(116)를 갖게된다. 2.5이송공포맷에 대응하여 더해지는 3 위치설정디스크(112)뿐아니라 제 1 및 제 2 위치설정디스크 각각에도 대응되는 수의 개구(78)와 날개(80)가 제공된다. 제 3 위치설정디스크(112)는 또한 그자신의 광원(118)과 광전지쌍(120)을 가진다.
상술한 설명에 의해, 서로 상이한 혹은 추가되는 필름포맷은, 동기화디스크와 위치설정디스크에 마련된 개구와 공간 및 날개를 적절하게 재구성함으로써 본 필름이송시스템(10)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저부사시도에 모든 동기화디스크와 위치설정디스크가 나타나지 않았다하더라도, 본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을 가진 사람은 상술한 설명과 도 7,9,10b 및 10d에 관련하여, 원하는 바대로, 본 필름이송시스템(10)에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혹은 추가된 필름포맷에 대응되는 개구, 공간 및 날개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광원(122)과 광전지(126,128)의 잉여분이 각 동기화디스크(44,46,110)과 위치설정디스크(50,52,112)에 제공될 수 있다. 잉여의 광원(122,124)과 광전지(126,128)쌍은 도 10a와 10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잉여분은 광원(72,84,86) 또는 광전지(74,76,88,90)쌍중 어느하나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라도 상관없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 잉여분은 마찬가지로 도 4의 실시예에도 제공될 수 있다.
필름이송시스템(10)이, 4이송공포맷으로부터 2.5이송공포맷으로의 절환되는 경우에는 최초의 3.25이송공단계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제 3 동기화디스크(110)를 제 1 동기화다스크(44)가 4.5도 만큼 지연되도록 위치설정함으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간헐스프로킷(28)은 최초의 단계에서 전자제어기(94)에 의해 제어되는 2.5이송공을 벗어나 0.75이송공만큼 추가하여 진행한다.
4이송공에서 3이송공작동으로의 절환에 대해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설정디스크(52)의 4.5도 오프셋에 의해 절환에 따라 새로이 액티베이트된 광전지(90)로부터 조기에 펄스(98)가 발산되게 된다. 전자제어기(94)는 이러한 조기펄스들을 무시하고 다음 펄스의 쌍을 기다리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3이송공포맷으로부터 2.5이송공포맷으로의 절환은 2.75이송공단계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제 1 동기화디스크(44)와 제 2 동기화디스크(46)사이의 기존의 1/2이송공 오프셋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명된다.
도 4는 필름게이트(26)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센서(102)를 보여주고 있는 바, 이것은 시스템(10)이 기존의 영사기에 이미 설치된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용 광원의 조도를 약화시키거나 커튼을 젖히거나 혹은 그밖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센서가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트리거스트립(62)은 그 기록이 지워지지않는 박(foil)이나 광학적으로 읽히는 바코드 혹은 기계식 트리거(e.g. 필름의 노칭, 천공 혹은 엠보싱에 의해)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센서(102)는 영사기(14)에 위치하는 수동식스위치(130)로 대체되어 필름조작자에 의한 시각적 검사에 기초하여 포맷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필름이송시스템(10)의 더 큰 장점은 완전한 원반시스템을 자동적으로 되감기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 이는 필름이송시스템(10)으로 필름을 공급하거나, 필름이송시스템으로부터 필름을 취출할 수 있게 해준다. 기존의 원반시스템에서는, 완전히 설치된 각 원반이 상영되는 사이에 영사기조작자가 시스템을 다시 이어주어야(re-thread)한다. 더욱이, 기존의 필름이송시스템은 기계식장치를 채용하여, 고속의 필름되감기의 실행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송시스템(10)은 이러한 기계식장치를 없애고 완전한 전자식설계를 활용하여, 되감기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간헐스프로킷(28)의 간헐동작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되감기시 필름이 고속으로 부드럽게 이동된다. 필름이송시스템(10)은, 상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모터(30,32)에게 필름을 고속으로 되감을 것을 명령하는 트리거스트립(62)을 필름(12)말단에 제공함으로써 고속되감기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고 묘사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없이 여러 변형된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종속항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21)

  1. 일련의 프레임들과 연부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이송공을 갖는 필름을 영사기를 통해 이송시키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들에 맞물리는 치형를 가지고 상기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켜 상기 필름을 한 프레임씩 상기 영사기의 개구를 지나도록 이동시키는 모티브요소와,
    상기 모티브요소를 제어하며, 상기 필름상의 각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이송공의 수에 따른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속도와 위치설정을 유지 또는 변경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로킷은,
    상기 개구의 각 측부에 각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이송공에 맞물리어, 상기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는 치형을 갖는 한쌍의 정속 스프로킷과,
    상기 이송공에 맞물리어, 상기 필름을 한 프레임씩 상기 개구를 지나도록 진행시키는 치형을 갖는 간헐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요소는,
    상기 한쌍의 정속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출력을 갖는 제 1 모터와,
    상기 간헐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출력을 갖는 제 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는 가변속모터이고, 상기 제 2 모터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를 제어 및 조정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출력을 변경하여 상기 한쌍의 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상기 간헐스프로킷의 위치설정을 변경시키는 트리거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영사기에서 상기 필름이, 상기 필름에 각 프레임당 제 1 소정갯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부터 상기 필름에 각 프레임당 제 2 소정갯수의 이송공들이 배열된 포맷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필름의 각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이송공의 갯수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영사기가 작동되는 동안에,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또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는 수동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9.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일련의 프레임들과 연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이송공들을 갖는 필름의 이송을 위한 필름영상기용 무브먼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들에 맞물리어 상기 필름을 한 프레임씩 상기 영사기의 개구를 지나도록 진행시키는 치형을 갖는 간헐스프로킷과,
    상기 개구와 상기 간헐스프로킷의 양 측부에 각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이송공들에 맞물리어 상기 간헐스프로킷과 협력하여 상기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는 한쌍의 정속스프로킷과,
    상기 한쌍의 정속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출력을 갖는 제 1 모터와,
    상기 간헐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출력을 갖는 제 2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출력을 제어 및 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출력을 변화시키고, 실질적으로 영사기작동을 중단 혹은 지연시킴 없이 상기 한쌍의 정속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상기 간헐스프로킷의 위치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영사기에서 상기 필름이, 상기 필름에 각 프레임당 제 1 소정갯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부터 상기 필름에 각 프레임당 제 2 소정갯수의 이송공이 배열된 포맷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영사기에서 상기 필름이 제 1 포맷으로부터 제 2 포맷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표시하는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어 상기 영사기에서 상기 필름의 포맷이 변경되는 시점을 표시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센서로 부터 받아들여진 트리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4.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일련의 프레임들과 연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이송공들을 갖는 필름의 이송을 위한 필름영사기 무브먼트에 있어서,
    상기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선택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영사기의 개구를 한 프레임씩 지나가는 상기 필름을 간헐적으로 위치설정시키기 위한 모터수단과,
    상기 모터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필름의 각 프레임에 배열된 이송공의 갯수에 따른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상기 필름의 위치설정을 유지 혹은 변경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수단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필름이 고속으로 되감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영사기 무브먼트.
  16. 필름을 한 프레임씩 개구를 지나도록 이동시키는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모티브요소를 갖는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각 프레임에 배열된 이송공의 갯수에 따른 필름의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모티브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속도와 위치설정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17. 필름상의 이송공에 맞물리어 상기 필름을 한 프레임씩 영사기의 개구를 지나도록 진행시키는 간헐스프로킷 및 한 쌍의 정속스프로킷과 상기 정속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출력을 갖는 제 1 모터와 상기 간헐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회전출력을 갖는 제 2 모터를 갖는 상기 영사기를 통해 상기 필름을 이송시키는 필름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각 프레임당 배열된 이송공의 갯수에 따른 상기 필름의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출력과 상기 정속스프로킷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출력과 상기 간헐스프로킷의 위치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출력과 상기 정속스프로킷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트리거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신호는 상기 필름의 포맷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위에 상기 필름의 포맷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출력을 제어하는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에 상기 트리거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포맷변경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상의 위치에 복수의 트리거스트립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필름의 포맷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트리거스트립상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방법.
KR1019980706017A 1996-02-07 1997-02-03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KR19990082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98033 1996-02-07
US08/598,033 US5946076A (en) 1996-02-07 1996-02-07 Switchable pulldown film proj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88A true KR19990082288A (ko) 1999-11-25

Family

ID=2439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017A KR19990082288A (ko) 1996-02-07 1997-02-03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946076A (ko)
EP (1) EP0879441B1 (ko)
JP (1) JP4030584B2 (ko)
KR (1) KR19990082288A (ko)
CN (1) CN1154017C (ko)
AT (1) ATE284048T1 (ko)
AU (1) AU732927B2 (ko)
CA (1) CA2244260C (ko)
DE (1) DE69731820T2 (ko)
ES (1) ES2233999T3 (ko)
HK (1) HK1018816A1 (ko)
IL (1) IL125254A0 (ko)
MX (1) MX9806365A (ko)
RU (1) RU2207610C2 (ko)
TW (1) TW324068B (ko)
WO (1) WO1997029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9473A (en) * 1996-02-07 2000-02-01 Maxivision Cinema Technology Switchable format film projection system
US20010043310A1 (en) * 1996-02-07 2001-11-22 Goodhill Dean K. Switchable format film projection system
CA2636858C (en) * 2006-01-27 2015-11-24 Ima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ly re-mastering of 2d and 3d motion pictures for exhibition with enhanced visual quality
CN101479765B (zh) 2006-06-23 2012-05-23 图象公司 对2d电影进行转换用于立体3d显示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8610A (en) * 1919-10-14 sereinsky
US1921494A (en) * 1927-04-21 1933-08-08 Wildhaber Ernest Method of producing audible pictures
US1835743A (en) * 1929-08-14 1931-12-08 Bell Telephone Labor Inc Sound picture system
US1999754A (en) * 1932-04-22 1935-04-30 Arthur M Hyde Recording and projecting sound on film apparatus
US2079572A (en) * 1933-01-03 1937-05-04 Ripley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ound on the edge of film
US3285087A (en) * 1963-07-24 1966-11-15 Panopix Res Inc Variable speed drive sprocket
US3565521A (en) * 1968-11-26 1971-02-23 Lawrence W Butler Variable size film framing and transport system
JPS5016931B1 (ko) * 1970-03-03 1975-06-17
US3819258A (en) * 1972-09-20 1974-06-25 Scripps Clemans Film framing and transport system
US3865738A (en) * 1974-01-21 1975-02-11 Miklos Lente Method of making motion pictures
DE2558747A1 (de) * 1975-12-24 1977-07-07 Rollei Werke Franke Heidecke Schmaltonfilmprojektor
US4143951A (en) * 1975-12-27 1979-03-13 Canon Kabushiki Kaisha Cine-projector
US4150886A (en) * 1976-08-26 1979-04-24 Airborne Mfg. Co. Motion picture projector system
US4105311A (en) * 1976-11-08 1978-08-08 Eprad Incorporated Film transport system
US4360254A (en) * 1980-03-27 1982-11-23 Mangum-Sickles Industries, Inc. Camera having stepper motor driven film transport/registration sprocket
US4437742A (en) * 1980-10-09 1984-03-2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capable of automatically responding to data coded on film
US4678298A (en) * 1982-11-22 1987-07-07 Zoran Perisic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US4702577A (en) * 1984-08-17 1987-10-27 Dedo Weigert Film Gmbh Film transport device
US4697896A (en) * 1986-09-30 1987-10-06 Showscan Film Corporation Electronic projector
FR2622707A1 (fr) * 1987-10-30 1989-05-05 Aaton Sa Procede d'inscription, sur la partie marginale d'un film cinematographique perfore, d'informations codees
US4900293A (en) * 1989-05-26 1990-02-13 Mclendon Donald C 4:3 perf conversion sprocket
US5096286A (en) * 1990-03-07 1992-03-17 Weisgerber Robert C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two different frame rates during a showing of a single motion picture film
JP3338460B2 (ja) * 1991-05-09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映像信号符号化方法
US5218388A (en) * 1991-06-21 1993-06-08 Purdy William H Film monitor for use in automating movie theater operation
US5739895A (en) * 1991-12-12 1998-04-14 United Artists Theatre Circuit, Inc. Film saving system
US5543869A (en) * 1991-12-12 1996-08-06 Vetter; Richard Frame registration
CA2125491A1 (en) * 1991-12-12 1993-06-24 Richard Vetter Motion picture system for economical replication, consolidation, duplication and exhibition of wide screen formats
US5312304A (en) * 1992-11-18 1994-05-17 United Artists Entertainment Convertible sprocket for motion picture film
JPH06208179A (ja) * 1993-01-08 1994-07-26 Sony Corp 映画フィルム及びその再生装置
US5341182A (en) * 1993-01-14 1994-08-23 Pioneer Technology Corporation Motion picture projection apparatus
DE69419549T2 (de) * 1993-03-11 1999-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icht-lineares Video-Editiersystem
US5506639A (en) * 1993-05-07 1996-04-09 Frazen; Nancy E.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motion picture film and synchronized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1820T2 (de) 2005-12-01
CA2244260A1 (en) 1997-08-14
CN1154017C (zh) 2004-06-16
AU2114497A (en) 1997-08-28
AU732927B2 (en) 2001-05-03
MX9806365A (es) 1998-10-31
US5946076A (en) 1999-08-31
HK1018816A1 (en) 2000-01-07
TW324068B (en) 1998-01-01
ATE284048T1 (de) 2004-12-15
WO1997029401A1 (en) 1997-08-14
DE69731820D1 (de) 2005-01-05
ES2233999T3 (es) 2005-06-16
CN1210598A (zh) 1999-03-10
EP0879441A1 (en) 1998-11-25
CA2244260C (en) 2005-09-20
JP4030584B2 (ja) 2008-01-09
EP0879441B1 (en) 2004-12-01
IL125254A0 (en) 1999-03-12
JP2000504850A (ja) 2000-04-18
RU2207610C2 (ru)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886A (en) Motion picture projector system
KR100579781B1 (ko) 포맷 전환이 가능한 필름 영사 시스템
KR19990082288A (ko) 절환가능한 풀다운 필름영사시스템
US3741636A (en) Motion picture projecting device which automatically changes the projection speed
US4253749A (en) Electronic theater projector
US3374723A (en) Automatic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and film printer cuing system embodying same
US20060061732A1 (en) Switchable format film projection system
EP0191559A1 (en) A system for exhibiting motion pictures
WO1993006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a motion picture
US4188099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with sustained image exposure
Solow et al. An automatic 35mm A&B composite color printer
CN1187886A (zh) 反向影片放映系统
MXPA00001213A (en) Switchable format film projection system
KR19990022778A (ko) 가역 필름 영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