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216A - 계면활성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16A
KR19990082216A KR1019980705944A KR19980705944A KR19990082216A KR 19990082216 A KR19990082216 A KR 19990082216A KR 1019980705944 A KR1019980705944 A KR 1019980705944A KR 19980705944 A KR19980705944 A KR 19980705944A KR 19990082216 A KR19990082216 A KR 19990082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viscosit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190B1 (ko
Inventor
야스오 이시이
히로키 사와다
아츠히토 모리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1306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22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42Ethers, e.g. polyglycol ethers of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거품소멸속도가 빠르고, 높은 세정력을 가지며, 고농도 영역에서 취급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평균분자량 1200 이하의 화합물(1) 및 물을 함유하고, 물과 화합물(1)과의 합계량에 대한 화합물(1)의 배합비율이 50중량% 이상이고 또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cp이하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얻는다.
RO-(EO)x-(PO)y-(EO)x'-H (1)
(상기 일반식(1) 중, R은 탄소수 12∼15의 알킬기 등, E0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x,x'는 1이상의 수, y 는 0.5∼6.0의 수이다. (EO)x, (PO)y, (EO)x'는 이 순서로 블록결합하고 있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 조성물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활성제는 오래전부터 계면활성제 및 세정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물성이나 합성법, 유화/가용화/세정의 특성에 대해서도 상당히 상세히 연구되어 보고되고 있다(NONIONIC SURFACTANTS PHYSICAL CHEMISTRY: Martin J. Schick, 1987 등).
이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활성제는 그 높은 세정력과, 다른 이온성 활성제와 조합사용이 용이한 점에서 각종 조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활성제는 거품이 많이 일어나고 거품소멸이 느린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같은 성질은 근년에 수요가 확대된 자동식기세정기 용도나 공업용 세정제 용도, 또한 드럼형 세탁기용 세정제 용도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 용도에 적합한 높은 세정력을 가지면서 낮은 기포특성과 신속한 거품소멸성을 갖는 비이온 활성제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이들 요구에 대해서는 에틸렌옥사이드에 다른 알킬렌옥사이드류를 조합시켜 저기포성 특징을 갖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들면, 특공소 60-12000호에는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부가물이 제안되고, 특개평 6-303825호에는 중합분포가 좁은 블록부가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개소 47-788호에는 수산기말단을 알킬기로 봉쇄한 타입의 활성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에테르 말단을 프로필렌옥사이드나 단쇄알킬기 등으로 봉쇄하는 방법은 기포성을 억제하기는 하나 세정성도 현저히 손상하는 문제를 갖는다.
한편, 가정용 및 공업용 세정제는 제조시 및 수송시의 에너지 절약, 자원절약 및 폐용기 삭감의 단점에서 더욱 고농도에서의 배합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세정제중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량을 증가시켜가면 배합농도의 약간의 차이로 세정제 배합물 점도가 급격히 증감하기 때문에 배합물의 성상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대단히 고정밀도의 계량이 필요해지거나 배합물 보존중에 점도가 안정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낮은 기포성/신속한 거품소멸성을 가지며, 높은 세정력으로 저점도이고 또 점도가 안정된 비이온 활성제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US-A 4134854에는 특정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저융점의 비이온 활성제로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비이온 활성제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적합한 농도에 대한 개시는 행해져 있지 않다. US-A 3567784는 다른 특정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높은 담점(曇点), 낮은 겔화 온도의 비이온 활성제라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비이온 활성제를 함유하는 고농도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대한 기재는 없고, 그 비이온 활성제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점도거동을 예측할 수 없다. 또, JP-A 47-9561호 공보(= US-A 4115457)에도 다른 특정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그 생성물은 정련제, 염색 조제로서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J.A.O.C.S, Vol. 63, No. 9, pp 1201-1208 (1986)도 같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정용 및 산업용 세정제 등으로 유용하고, 특정 비이온 활성제를 함유하고, 거품소멸이 빠르고, 높은 세정력을 가지고, 고농도 영역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거품소멸이 빠르고, 높은 세정력을 가지며, 고농도 영역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배합상 특수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다른 보조성분 등과 혼합가능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부족한 성능을 보강하고, 또 성능이 더 우수한 활성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특정 부가형태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형 비이온 활성제와 물을 특정배합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거품소멸이 빠르고, 높은 세정력을 가지고, 고농도 영역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 배합특성도 양호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특정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몰수 및 부가형태를 갖는 평균분자량 1200 이하의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서, 물과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합계량에 대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배합비율이 50중량% 이상이고 또 25℃ 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cp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RO-(EO)x-(PO)y-(EO)x'-H (1)
(상기 식중, R은 탄소수12∼15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고,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x,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는 1이상의 수이다. y 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는 0.5∼6.0의 수이다. 또, (EO)x, (PO)y, (EO)x'는 이 순서로 블록결합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식(1)에 있어서, R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14이고, 또한 직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세정력이 특히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평균분자량 1200이하의 화합물은, 식(4)
R-OH (4)
(상기 식중, R은 상기 의미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 다음에 프로필렌옥사이드, 또 에틸렌옥사이드를 순서대로 블록부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식(4)로 표시되는 알콜은 탄소수 12∼15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급 또는 2급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콜을 들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는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등의 직쇄 알콜(가오(주)제, 상품명「칼콜 2098」 및「칼콜 4098」등), 탄소수 12∼15 범위로 혼합된 혼합알콜(가오(주)제, 상품명「칼콜 2474」등), 옥소법이나 지글러(Ziegler)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분지를 갖는 탄소수 12∼15의 알콜(쿄와 발효(주)제, 상품명「옥소콜 1213」및「트리데칸올」, 미츠비시 화학(주)제, 상품명「도바놀 23」및「드바놀 25」, 셸 화학(주)제, 상품명「네오돌 23」및「네오돌 25」등)등을 들수 있다.
또, 이들 알콜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알콕실화 방법을 사용하여 촉매존재하에 부가하는 방법을 들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 순서가 중요하고, 우선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고, 다음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하고, 다시 에틸렌옥사이드순으로 블록부가할 필요가 있다. 이 알콕실화에 사용되는 촉매는 산촉매나 염기촉매 둘다 좋고 또 특개평 7-227540호 기재의 MgO-ZnO, MgO-SnO, MgO-TiO2, MgO-SbO 등 좁은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분포(narrow range)를 부여하는 촉매, 특개평 1-164437호 기재의 동일한 Mg계 촉매와 같은 선택적으로 좁은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분포를 부여하는 촉매를 사용하여도 합성된다.
본 발명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x 및 x'는 각각 1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합계(x + x')는 4몰이상 20몰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몰 이상 15몰이하이다.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의 합계(x + x')는 상기 범위의 경우에 의해 물에 녹기 쉽고 조성물 점도가 낮다.
또,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 y는 0.5몰 이상 6.0몰 이하이고, 1.0몰 이상 4.5몰 이하가 특히 세정력이 높고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0.5몰미만인 경우는 점도 변화가 크고 취급성이 악화되고, 6.0몰을 넘는 양을 부가하면 세정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평균분자량은 1200 이하이고, 1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평균분자량이 1200을 넘으면 세정력이 저하하고, 또 물과 혼합했을때의 점도변화가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물과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합계량에 대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배합비율이 50중량% 이상이고,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1000cp이하이다. 이 범위에 있어서 점도 변동이 적으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함유량과 물 함유량이 하기 식(2) 및 식(3)을 만족하는 범위에 있을 때, 점도 변동이 가장 작고 더욱 바람직하다.
50 ≤ C ≤ 90 (2)
C ≥ 〔10(n-y)-40〕 (3)
〔상기식(2) 및 (3) 중, C는 식
(Wa 는 조성물중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함유량(중량%), wb는 조성물중의 물 함유량(중량%)을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값을 나타내고, n은 식(1)에 있어서의 R로 표시되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의 탄소수, y는 상기 의미를 나타냄〕
또, 상기 식(3)에 표시되는 C의 값은 C ≥ 〔10(n - y)-35〕 를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고농도 영역에서의 점도가 통상의 저점도 용액의 수송에 사용되는 캔드펌프 또는 마그넷펌프의 사용이 가능한 300cp 이하이다. 이 점도가 300cp∼1000cp인 범위에서는 수작업으로 취급하는데는 그다지 문제가 없으나 통상의 펌프로의 수송이 어려워지고, 고점도 대응형 기기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점도가 1000cp 보다 높아지면 수작업의 취급도 곤란해지고, 또 충분한 수송량을 취하기 위해서는 기기를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비코스트면에서 불이익의 점이 많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기타 비이온 활성제나 아니온활성제, 카티온활성제, 양성활성제, 킬레이트제, 살균제 등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제조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특성을 미소조정하기 위하여 증점제나 감점제 등의 점도조정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기타 비이온 활성제의 예로는 아민옥사이드류나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류 등을 들수 있다. 아니온 활성제로는 알칸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 황산염, α-술포지방산염 고급지방산염 등을 들수 있고, 카티온 활성제로는 지방족 아민염류, 제4급 암모늄염류 등을 들수 있고, 양성활성제로는 베타인류, 술포베타인류, 아미노산염류 등을 들수 있다. 또 킬레이트제로는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소다, 니트릴로 3아세트산소다 등을 들수 있고, 살균제로는 염화벤잘코늄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거품소멸이 빠르고, 높은 세정력을 가지며, 고농도 영역에서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배합상 특수한 조작이 필요없고, 용이하게 각종 세정 보조성분과 혼합가능하고, 액체세정제로서 유용하다. 특히 주방용 세제나 주거용 세제, 욕실용 세제, 의류용 세제 등에 적합할뿐더러 공업용도의 섬유정련제, 중합용 유화제, 금속탈지제, 전자부품등의 세정제, 분산제, 가용화제에도 사용된다.
다음에, 비이온 활성제의 합성예 및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합성한 비이온 활성제의 수산기가를 JIS K 0070에 따라 중화적정법으로 구하고, 얻은 수산기가에서 다음식에 따라 평균분자량을 구하였다.
합성예 1
식 C12H25O-(EO)5-(PO)4-(EO)5-H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에틸렌옥사이드용과 프로필렌옥사이드용의 2개의 계량조 부착 5리터의 회전교반식 오토클레이브 중에 라우릴알콜(「상품명 칼콜 2098」, 가오(주)제)를 500g, 수산화칼륨을 3.0g넣고, 질소치환을 행한후, 110℃로 승온하고, 40torr로 1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다음에, 150℃로 승온하고, 에틸렌옥사이드를 3.5kg/cm2의 압력으로 592g 오토클레이브중에 도입하고, 압력이 저하하여 일정하게 될때까지 반응시킨후, 120℃로 냉각하여 프로필렌옥사이드 624g를 오토클레이브중에 3.5kg/cm2의 압력으로 도입하고, 에틸렌옥사이드의 경우와 같이 압력이 저하하여 일정하게 될때까지 반응시켰다. 그후, 재차 150℃로 승온하고, 에틸렌옥사이드를 592g을 도입하고, 압력이 저하하여 일정하게 되기까지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온도를 저하시켜서 합성한 샘플을 뽑아내고, 약 2.3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860)를 얻었다.
합성예 2
식 C12H25O-(EO)3-(PO)2-(EO)3-H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양의 라우릴알콜과 촉매를 넣고,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에틸렌옥사이드 355g, 프로필렌옥사이드 312g, 또한 에틸렌옥사이드 355g을 반응시키고, 약 1.5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566)를 얻었다.
합성예 3
식 (C12H25, C14H29)O-(EO)5-(PO)2-(EO)5-H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의 라우릴알콜 대신에 라우릴알콜과 미리스틸알콜의 72.4/27.6 중량비의 혼합알콜(「상품명 칼콜 2474」, 가오(주)제)을 사용하여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에틸렌옥사이드 572g, 프로필렌옥사이드 302g, 에틸렌옥사이드 572g을 순차 반응시켜서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미리스틸에테르(평균분자량 756)를 약 2.0kg을 얻었다.
합성예 4
식 C12H25O-(EO)7-(PO)4-(EO)7-H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라우릴알콜에 우선 에틸렌옥사이드 829g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프로필렌옥사이드 625g을 반응시키고, 다시 에틸렌옥사이드를 829g 반응시켜서 약 2.7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1035)를 얻었다.
합성예 5
식 C12H25O-(EO)5-(PO)2-(EO)5-H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라우릴알콜에 우선 에틸렌옥사이드 592g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프로필렌옥사이드 312g을 반응시키고, 다시 에틸렌옥사이드 592g을 반응시켜서 약 2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744g를 얻었다.
합성예 6
식 C10H21O-(EO)2-(PO)2-(EO)3-H 로 표시되는 화합물(비교예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데실알콜에 우선 에틸렌옥사이드 279g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프로필렌옥사이드 368g을 반응시키고, 다시 에틸렌옥사이드를 418g반응시켜서 약 1.5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데실에테르(평균분자량 495)를 얻었다.
합성예 7
식 C12H25O-(EO10/PO2)-H 로 표시되는 화합물(비교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양의 라우릴알콜과 촉매를 넣고, 합성예1과 같은 수순으로 사전에 에틸렌옥사이드 1184g과 프로필렌옥사이드 312g을 혼합시킨 것을 반응시키고, 약 2.0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743)를 얻었다.
합성예 8
식 C12H25O-(EO)6-H 로 표시되는 화합물(비교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라우릴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 710g만을 반응시켜서 목적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450)를 얻었다.
합성예 9
식 C12H25O-(PO)4-(EO)10-H 로 표시되는 화합물(비교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라우릴알콜에 우선 프로필렌옥사이드 624g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에틸렌옥사이드 1184g을 반응시키고,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라우릴에테르(평균분자량 858)를 얻었다.
합성예 10
식 C14H29O-(EO)10-(PO)2-(EO)12-H 로 표시되는 화합물(비교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과 같은 수순으로 미리스틸알콜에 우선 에틸렌옥사이드 1029g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프로필렌옥사이드 271g을 반응시키고, 다시 에틸렌옥사이드 1235g을 반응시키고, 약 3.0kg의 목적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미리스틸에테르(평균분자량 1300)를 얻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9
표 1 표시의 비이온 활성제 및 물을, 각 함유량이 표 1 표시의 C값이 되도록 조정하여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취급성, 점도안정성 및 거품소멸성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취급성 및 점도안정성 평가방법>
E형 점도계(토키 산업(주)제 : VISCONIC- EMD )를 사용하여 25℃에 있어서의 각 계면활성제 조성물 점도를 측정하였다.
취급성 평가기준은 점도 300cp 이하의 것을 ◎, 300cp를 초과하고 1000cp 이하의 것을 ○, 1000cp를 초과하는 것을 × 로 하였다.
또, 다음식에 따라 점도변화율(△η)을 정의하고, 이에따라 점도의 농도의존성(점도안정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식중 η1은 농도 C% 에서의 25℃에서의 점도, η2는 농도(C + 1)%에서의 25℃에서의 점도를 표시한다. C는 상기 의미를 나타낸다.)
점도안정성 평가기준은 3 이하의 것을 ◎, 3을 초과하고 5이하의 것을 ○, 5를 초과하는 것을 × 로 하였다.
<거품소멸성 평가방법>
JIS K 3362 기재의 시험방법에 따라 각 계면활성제 조성물중의 활성제 농도 0.1%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25℃에서 시험직후 및 5분후의 거품량을 측정하고, 거품소멸속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평가기준은 5분후의 거품량/직후의 거품량의 비가 0 이상 0.25 이하의 것을 ◎, 0.25를 초과하고 0.50 이하의 것을 ○, 0.50을 초과하고 0.75이하의 것을 △, 0.75를 초과하고 1.00이하의 것을 × 로 하였다.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실시예 1∼4)은 취급성, 점도안정성 및 거품소멸성에 있어서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외의 점도의 것(비교예 1), 물과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합계량에 대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배합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의 것(비교예 8), 본 발명의 범위의 것 비이온 활성제의 것(비교예 2∼7)은 취급성, 점도안정성 또는 거품소멸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9는 취급성, 점도안정성, 거품소멸성은 본 발명과 동등 레벨이지만 이하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세정력이 떨어졌다.
실시예 5∼8 및 비교예 10∼14
표 2 에 표시한 비이온 활성제 및 물을, 각 함유량이 표 2 에 표시한 C값이 되도록 조정하여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세정성능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세정성 평가방법>
(1) 피지(皮脂) 오염의 오염포 작성
10×10cm 목면포에 2g의 하기 조성으로 되는 모델 피지오염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피지오염의 오염포(인공오염포)를 작성하였다.
* 모델 피지오염 조성
면실유 60중량%
올레산 10중량%
팔미트산 10중량%
액체 및 고체 파라핀 10중량%
(2) 세정조건 및 평가방법
평가용 세제수용액 1리터에 10×10cm 의 피지오염 오염포(인공오염포)를 5매 넣어 타고트미터로 100rpm에서 다음 조건으로 세정하였다. 세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 세정조건
세정시간 10분
세정제 농도(계면활성제 유효성분으로서) 0.03중량%
물의 경도 4°DH
수온 20℃
행구기 수돗물로 5분간
세정력은 오염전의 원포 및 세정전후의 오염포의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자기색책계(自記色彩計; 니혼 전색(주) 제 Z-300A)로 측정하고, 다음식으로 세정률(%)을 구하였다(표에는 5매의 측정 평균세정률을 표시한다.).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실시예 5∼8)은 모두 비교예 10∼14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세정률을 부여하였다. 또 평균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13, 14는 세정성이 낮았다.

Claims (6)

  1. 하기 식(1)로 표시되고, 특정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몰수 및 부가 형태를 갖는 평균분자량 1200이하의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서, 물과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합계량에 대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배합비율이 50중량% 이상이고, 또 25℃ 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cp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RO-(EO)x-(PO)y-(EO)x'-H (1)
    (상기식중, R은 탄소수12∼15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고,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x,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는 1이상의 수이다. y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는 0.5∼6.0의 수이다. 또, (EO)x, (PO)y, (EO)x'는 이 순서로 블록결합하고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함유량과 물함유량이 하기식(2) 및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0 ≤ C ≤ 90 (2)
    C ≥ 〔10(n-y)-40〕 (3)
    (상기식(2) 및 (3) 중, C는 식(5)로 표시되는 값을 나타내고, n은 일반식(1)에 있어서의 R로 표시되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의 탄소수, y는 상기의 의미를 표시한다.
    식(5)중, Wa 는 조성물중의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중량%), wb는 조성물중의 물의 함유량(중량%)을 나타냄)
  3. 제 1 항에 있어서, 식(1)에 있어서 x, x'의 합계가 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식(1)에 있어서 y가 1.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식(1)에 있어서 x, x'의 합계가 4∼20이고, 또 y가 1.0∼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기재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액체세정제.
KR1019980705944A 1996-12-02 1997-12-02 계면활성제조성물 KR100531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21269 1996-12-02
JP32126996 199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16A true KR19990082216A (ko) 1999-11-25
KR100531190B1 KR100531190B1 (ko) 2006-01-27

Family

ID=1813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944A KR100531190B1 (ko) 1996-12-02 1997-12-02 계면활성제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40296A (ko)
EP (1) EP0882785B1 (ko)
JP (1) JP3187846B2 (ko)
KR (1) KR100531190B1 (ko)
CN (1) CN1092710C (ko)
DE (1) DE69731076T2 (ko)
ES (1) ES2225995T3 (ko)
ID (1) ID20441A (ko)
TW (1) TW528798B (ko)
WO (1) WO19980248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366B1 (ko) * 2018-01-30 2019-07-02 세븐그램(주) 극압성과 유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윤활 방청제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3246B1 (fr) * 1995-04-21 1997-05-23 Seppic Sa Composition anti-mousse comprenant un tensioactif non ionique et un alkylpolyglycoside
WO2005085321A1 (en) * 2004-03-08 2005-09-15 Sasol Germany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lcohol alkoxylates and their use
JP5295548B2 (ja) * 2006-12-01 2013-09-18 花王株式会社 床水拭き用助剤
ES2422261T5 (es) 2008-02-21 2017-05-12 S.C. Johnson & Son, Inc. Composición para limpieza que tiene alta autoadhesión y que proporciona beneficios residuales
US9410111B2 (en) 2008-02-21 2016-08-09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that provides residual benefits
US8980813B2 (en) 2008-02-21 2015-03-17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on a vertical hard surface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US9481854B2 (en) 2008-02-21 2016-11-01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that provides residual benefits
US8993502B2 (en) 2008-02-21 2015-03-31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to a vertical hard surface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US8143206B2 (en) 2008-02-21 2012-03-27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JP4494516B1 (ja) 2008-11-21 2010-06-30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495641B2 (ja) * 2009-07-07 2014-05-21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1032398A (ja) * 2009-08-04 2011-02-17 Kao Corp ノニオン界面活性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4041A (en) * 1966-02-14 1970-03-31 Wyandotte Chemicals Corp Nonionic condensation products having enhanced activity
JPS47788Y1 (ko) * 1968-03-15 1972-01-12
US3567784A (en) * 1969-06-13 1971-03-02 Shell Oil Co Alcohol alkoxylates
US3752857A (en) * 1970-04-27 1973-08-14 Jefferson Chem Co Inc Nonionic surfactant with low pour point
CH1606070A4 (ko) * 1970-10-30 1976-01-30
US4134854A (en) * 1973-05-05 1979-01-16 Texaco Development Corp. Nonionic surfactant with low pour point
US4115457A (en) * 1976-07-07 1978-09-19 Sandoz Ltd. Polyglycol ether derivatives
JPS53113805A (en) * 1977-03-16 1978-10-04 Mitsubishi Petrochem Co Ltd Nonion surfactant suitable as liquid cleaning agent for clothing
EP0058139B1 (de) * 1981-02-11 1985-08-28 Ciba-Geigy Ag Verfahren zum Färben oder Ausrüsten von textilen Fasermaterialien
JPS6012000A (ja) * 1983-07-01 1985-01-22 凸版印刷株式会社 バス運行管理装置
DE3418523A1 (de) * 1984-05-18 1985-11-21 Basf Ag, 6700 Ludwigshafen Endgruppenverschlossene fettalkoholalkoxylate fuer industrielle reinigungsprozesse, insbesondere fuer die flaschenwaesche und fuer die metallreinigung
US4745230A (en) * 1985-12-23 1988-05-17 Basf Corporation Low odor surfactant
GB2228274B (en) * 1989-01-12 1992-01-02 Sandoz Ltd Surface active compositions their production and use
JP2800164B2 (ja) * 1992-10-02 1998-09-21 ライオン株式会社 低起泡性非イオン界面活性剤
JP2700293B2 (ja) * 1993-03-03 1998-01-1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界面活性剤
JPH06303825A (ja) * 1993-04-21 1994-11-01 Kubota Corp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366B1 (ko) * 2018-01-30 2019-07-02 세븐그램(주) 극압성과 유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윤활 방청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1076D1 (de) 2004-11-11
EP0882785A4 (en) 2000-08-16
WO1998024864A1 (fr) 1998-06-11
EP0882785B1 (en) 2004-10-06
US6140296A (en) 2000-10-31
CN1092710C (zh) 2002-10-16
KR100531190B1 (ko) 2006-01-27
JP3187846B2 (ja) 2001-07-16
TW528798B (en) 2003-04-21
ES2225995T3 (es) 2005-03-16
ID20441A (id) 1998-12-17
CN1214722A (zh) 1999-04-21
DE69731076T2 (de) 2005-10-06
EP0882785A1 (en) 199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5785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US8071521B2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A1305640C (en) Low foam surfactant mixtures
KR100531190B1 (ko) 계면활성제조성물
JP5571367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KR100531191B1 (ko) 계면활성제조성물
JP2009185252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319111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1578130A (zh) 烷氧基化物混合物表面活性剂
GB1601652A (en) Liquid detergents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s
CN113242902A (zh) 包含脂肪酸和聚合物的液体手洗餐具制剂
US20040235703A1 (en) Aqueous based solvent free cleaner compositions containing two nonionic surfactants
JP2000160190A (ja) 低泡性洗浄剤
JP373075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3525848B2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洗浄剤組成物
CA1210662A (en) Anionic nonionic surfactant mixture
CA2408138C (en) High foaming hard surface cleaning formulations containing an associative thickener
JP201101687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0882784B1 (en) Surfactant composition
JPH10152696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07291270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