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035A -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 Google Patents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035A
KR19990082035A KR1019980705755A KR19980705755A KR19990082035A KR 19990082035 A KR19990082035 A KR 19990082035A KR 1019980705755 A KR1019980705755 A KR 1019980705755A KR 19980705755 A KR19980705755 A KR 19980705755A KR 19990082035 A KR19990082035 A KR 1999008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eth
adhesive
ethylene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 레베즈
쟝-미셀 삐에로
에릭 라디공
Original Assignee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아토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아토샹 filed Critical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Publication of KR1999008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0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9J1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단위들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A) 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 에틸렌,
- 임의로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단량체,
-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에폭시드.
이는 점착화 수지 및 왁스와 함께 조제될 수 있다.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Description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본 발명은 에폭시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및 보다 특히 에틸렌 및 에폭시드기를 갖는 단량체(그라프트화 또는 공중합화될 수 있음)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고온 용융 접착제는 실온에서 고형이며, 가열할 경우 점성이 있는 액체가 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상기 점성이 있는 액체를 후에 두 번째 표면으로 덮히게 되는 첫 번째 기재에 적용한다. 상기 기재 및 두 번째 표면 사이의 접착력은 냉각에 의해 수득된다. 개방시간은 실온의 기재에 적용된 접착제가 접착을 유지하는 시간, 즉 두 번째 표면에 적용하고, 냉각에 의해, 기재 및 두 번째 표면 사이에 접착력을 수득할 수 있는 시간이다.
개방시간의 끝 무렵에는, 더 이상 기재 및 두 번째 표면 사이에 충분한 접착성을 수득할 수 없다.
경화시간은 결합된 후 기재 및 두 번째 표면 사이의 접착력이 이들의 긴밀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치에 이르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접착력은 또한, 접착제가 교차결합가능한 기, 예를 들어 주변 습도내에서 교차결합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발달된다.
박리력 (peel strength) 으로 측정될 수 있는 기재 및 두 번째 표면 사이의 접착력과 더불어, 고온 용융 접착제는 또한 온도의 함수에 따른 그들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로 특징지워진다 (SAFT 테스트 : SHEAR ADHESION FAILURE TEMPERATURE).
상기 고온 용융 접착제 일반적으로 하기 두 개의 주요성분으로 갖는다: 양호한 기계적 및 열성질의 원인인 열가소성 중합체 및 접착성, 고온 점착성, 유동성 및 습윤성에 관계된 점착화 수지. 왁스, 안정화제 및 충진재와 같은 다수의 첨가제가 주로 자주 첨가된다. 왁스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는 유동성, 개방시간 및 경화시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이하 EVA 라 칭함),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불규칙배열 폴리-알파올레핀 (APAO), 열가소성 러버 등이다. 점착화 수지는 대개 콜로판류 (colophanes) (및 그의 유도체), 터르펜계 수지류 및 페트롤륨(지방족, 방향족 등)으로부터 유도된 수지류의 3 개의 큰 범주에 속한다.
EP 547 798, US 4 874 804 및 US 5 242 980 은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이러한 유형의 고온 용융 접착제를 기재하고 있다.
EP 380 379 및 EP 600767 은 습기내에서 교차결합할 수 있고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US 5 242 980 은 가열시 교차결합할 수 있고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에틸렌 및 둘 이상의 에폭시드기를 갖는 교차결합제, 예를 들어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의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고온 용융 접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교차결합제는 기재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를 가열중인 경우 때 이른 교차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슐화될 필요가 있다. 이제, 에폭시드 단위를 함유하는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접착제보다 우수한 성질을 갖는 접착제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동일한 온도에 대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접착제의 알루미늄상에서의 박리력은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접착제의 박리력보다 크다.
본 발명은 하기 단위들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A) 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 에틸렌,
- 임의로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단량체,
-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에폭시드.
언급될 수 있는 비닐 에스테르로는 2 내지 6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알킬기가 1 내지 10 탄소원자를 갖는 것,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중합체 (A) 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불포화 에폭시드의 예로는, 특히:
-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 들어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비닐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말리에이트 및 이타코네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 들어 2-시클로헥센-1-글리시딜 에테르, 시클로헥센-4,5-디글리시딜 카르복실레이트, 시클로헥센-4-글리시딜 카르복실레이트, 5-노르보르넨-2-메틸-2-글리시딜 카르복실레이트 및 엔도시스-비시클로[2.2.1]-5-헵텐-2,3-디글리시딜 디카르복실레이트가 있다.
상기 불포화 에폭시드 에틸렌 및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화되거나, 또는 에틸렌 및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상에 그라프트화될 수 있다.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불포화 에폭시드의 양은 공중합체 (A) 의 10 중량% 이하, 유리하게는 0.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백분율 및 부는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중량에 대한 것이다].
공단량체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의 양은 공중합체 (A) 의 0 내지 50%, 및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일 수 있다.
고온 용융 접착제를 조제할 수 있고 이렇게 조제된 접착제가 1000 내지 10,000 mPa.s,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 의 브룩필드 점도 (170℃, 하기 조건하에서 측정: ASTM D 3236 에 따라 니들 27 및 10 rpm) 를 갖는 한, 용융지수 (The melt index: MI) 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용융지수는 0.1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0 (g/10 분, 190℃, 2.16 kg ASTM D 1238 하).
(A) 의 연화점은 링-및-볼 (ring-and-ball) 온도라고도 칭해지고, ASTM E28 표준에 따라 측정되며, 60 내지 110℃, 유리하게는 70 내지 9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형태에 따르면, 공중합체 (A) 는 에틸렌 및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중합체 (B), 및
- 에틸렌,
-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인 중합체 (A1) 의 혼합물일 수 있다.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이미 상기에 언급된 단량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중합체 (A1) 및 (B) 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중합체 (A1) 및 (B) 는 에폭시드 및 MI 의 비율이 유리하게는 (A) 에 대해 언급된 범위내인 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중합체 (B) 및 에폭시드가 그라프트화되지 않은 공중합체 (A) 는 퍼록시드와 같은 유리-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500 및 2800 바 사이에서의 라디칼 중합체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에폭시드가 그라프트화된 공중합체 (A) 의 경우, 이들은, 예를 들어, by starting with of 에틸렌 및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단량체의 공중합체에서 출발하여, 이후 퍼록시드와 같은 개시제의 존재하에 불포화 에폭시드와 접촉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용융상태로 또는 용매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공중합체 (A) 는 에틸렌, 알킬기가 1 내지 4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및 에폭시드 O.8 내지 5% 를 함유하고 용융지수 180 내지 250 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것이 유리하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접착제는 하나 이상의 점착화 수지, 왁스, 가소제, 충진재 및 안정화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점착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콜로판, 콜로판의 에스테르, 수소화 콜로판, 폴리터르펜 및 유도체, 방향족 또는 지방족 페트롤륨 수지, 수소화 고리형 수지가 있다. 상기 수지는 대개 25℃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5℃ 의 링-및-볼 온도를 갖는다.
점착화 수지의 양은 공중합체 (A) 100 부당 50 내지 180 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부일 수 있다.
왁스는 오일분획의 정련도중 회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핀계 탄화수소로 주요구성되고 파라핀보다 결정성이 훨씬 낮은 충분한 양의 측쇄, 고리형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왁스가 있다. FISCHER TROPSCH 왁스와 같은 합성왁스도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접착제에 사용되는 파라핀 왁스는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의 용융점을 갖는다.
왁스의 양은 공중합체 (A) 100 부당 30 내지 80 부일 수 있다.
유리한 조성은 공중합체 (A) 100 부당 점착화 수지 120 내지 130 부 및 왁스 45 내지 65 부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광물성, 파라핀계, 방향족 또는 나프텐계 오일이 있다. 이들은 점도를 낮추고 점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가소제의 양은 공중합체 (A) 100 부당 10 내지 30 부일 수 있다.
충진재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유리, 유리비드, 탄산칼슘, 섬유 및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사용된 후 접착제의 점성 또는 기계적 성질을 감소시키지 말아야 한다. 충진재의 양은 공중합체 (A) 100 부당 100 부 이하일 수 있다.
산화방지제와 같은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권장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용의 통상적인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접착제의 링-및-볼 온도는 유리하게는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 접착제의 담점(曇点)은 180℃ 이하, 유리하게는 65℃ 이하이다.
담점은 하기에 따라 결정된다: 접착제를 175℃ 로 가열하고 한 방울을 ASTM 온도계 전구상에 떨어뜨린 후, 냉각중 클라우딩이 나타나는 온도를 기록한다. 높은 담점은 양립할 수 없는 성분들로 구성되고 따라서 사용중 다양한 가열 및 냉각 주기동안 다수의 상으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는 접착제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온 용융 접착제는 균질의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13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용융상태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혼합은 30 분 내지 3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용의 통상적인 장치, 예를 들어 압출기, 롤, 밴배리(Banbury) 또는 브라벤더(Brabender) 혼합기가 사용된다.
SAFT 테스트 (ASTM D4498) 는 주어진 하중하에서 접착제 접합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를 측정하는 테스트이다. 하기 방법을 채택한다: 직경이 약 1 mm 이고 약 15 mm 간격의 두 접착제 라인을 130℃ 에서 너비 25 mm 의판 샘플상에 떨어뜨린다. 첫 번째와 동일한 두 번째 샘플을 즉시 가하고, 이렇게 수득된 접착제-접합 결합물을 냉각시킨다. 상기 수득된 접합면적은 약 2.5 x 2.5 = 6.25 ㎠ 이다. 접합된 결합물을 그후 스토브내에 수직으로 늘어뜨리고, 500 g 중량을 매단 후, 0.4℃/분 의 속도로 25℃ 에서 200℃ 로 온도상승을 실시한다. SAFT 수치는 결합이 분리되는 온도이다. 상기 테스트는 접합후 23℃ 에서 4 시간 이상 수행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28%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1% 의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에틸렌이며, MI 가 175 (190℃ - 2.16 kg) 인, 로테이더 A (LOTADER A) 라 불려지는 공중합체 (A) 가 사용된다. 이는 하기 비율로 조제된다:
35 부의 LOTADER A (ELF ATOCHEM 사제),
45 부의 FORAL-AX (완전히 수소화된 콜로판, HERCULES 사제),
20 부의 파라핀 (용융점 68/70℃, CIBA 사제 페놀형 IRGANOX 1010 산화방지제 0.5 ppm 첨가).
상기 방식으로 조제된 접착제 및 단지 로테이더만으로 구성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28%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의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알킬렌이며, MI 가 175 인, 로테이더 (B) 라 칭해지는 공중합체 (A) 도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28%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72% 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MI 가 166 (190℃ - 2.16 kg) 인, 로트릴 A (LOTRYL A) 라 칭해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로테이더 A 와 동일한 비율 및 동일한 성분으로 조제한 후, 상기 조제된 접착제 및 로트릴만을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로트릴(A)순수 로트릴(A)조제 로테이더(A)순수 로테이더(A)조제 로테이더(B)순수
용융지수190℃/2.16 kg ASTM-D-1238 g/10분 166 171 175
담점 60 60
브룩필드 점도170℃, ASTM D 323610 rpm-니들 27 mPa.s 1150 1250
링-및-볼 연화점ASTM-E28 89.9 70.9 86.5 69.0 79
S.A.F.T.(ALU)500 G, ASTM D 4498 85.3 68.8 82.8 66.1 75.5
23℃에서의T-peel Alu50℃에서의 실패유형실패유형ASTM D1876.72 N/cmN/cm 1.1 (0.2)AF Alu0.2 (0.1)AF Alu 3.4 (0.2)AF Alu0.3 (0)AF Alu 2.8 (0.3)AF Alu1.6 (0.4)AF Alu 4.3 (0.3)AF Alu0.5 (0.1)AF Alu 365

Claims (5)

  1. 하기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A) 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 에틸렌,
    - 임의로 비닐 에스테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단량체,
    -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에폭시드.
  2. 제 1 항에 있어서, (A) 가 에틸렌, 알킬기가 1 내지 4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중량% 및 에폭시드 O.8 내지 5 중량% 를 함유하고 용융지수가 180 내지 250 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100 중량부의 공중합체 (A),
    - 50 내지 180 중량부의 점착화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4. 제 3 항에 있어서, 30 내지 80 중량부의 파라핀 왁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n-부틸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KR1019980705755A 1996-11-26 1997-11-18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KR19990082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4452 1996-11-26
FR96/14452 1996-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035A true KR19990082035A (ko) 1999-11-15

Family

ID=949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55A KR19990082035A (ko) 1996-11-26 1997-11-18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79269A1 (ko)
JP (1) JP2000505837A (ko)
KR (1) KR19990082035A (ko)
CN (1) CN1214071A (ko)
AU (1) AU5226398A (ko)
CA (1) CA2244972A1 (ko)
WO (1) WO19980236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46B1 (ko) * 2007-01-18 2007-08-27 구자은 논스틱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082A (ja) * 1998-11-16 2000-05-2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熱硬化性接着剤組成物、接着剤、および接着剤の製造方法
EP1448380A2 (fr) * 2001-11-29 2004-08-25 Atofina Film multicouche thermoformable a base de polymere acrylique pour la protection de substrats et objets obtenus
EP1577345A4 (en) * 2002-10-29 2007-11-14 Kaneka Corp THICKOPHERIC POLYESTER RESIN THICKENERS, THES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ORM BODY CONTAINING THEREFROM
AR056299A1 (es) * 2005-04-04 2007-10-03 Du Pont Mezclas de copolimeros de acrilato de etileno con cera etilenica para modificacion de asfalto
US20070023141A1 (en) * 2005-07-29 2007-02-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for PTFE
CN102115642B (zh) * 2010-12-31 2013-01-16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能简化太阳能电池封装结构的eva胶膜
JP5893479B2 (ja) 2011-04-21 2016-03-2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積層研磨パッド
JP5858576B2 (ja) 2011-04-21 2016-02-1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積層研磨パッド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シート、及び積層研磨パッド用接着剤層付き支持層
EP3331946A1 (en) 2015-08-07 2018-06-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dified asphalt using phosphorous acid
CN116355557B (zh) * 2023-03-16 2024-01-26 广东壹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热熔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9748A (en) * 1969-05-08 1973-03-14 Ici Ltd Window glazing assemblies
JPS61168680A (ja) * 1985-01-21 1986-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接続部補強用接着剤
ES2046199T3 (es) * 1986-01-29 1994-02-01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Adhesivos de fusion en caliente que contienen un nuevo aditivo adheren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46B1 (ko) * 2007-01-18 2007-08-27 구자은 논스틱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4972A1 (fr) 1998-06-04
AU5226398A (en) 1998-06-22
CN1214071A (zh) 1999-04-14
WO1998023698A1 (fr) 1998-06-04
EP0879269A1 (fr) 1998-11-25
JP2000505837A (ja) 200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3415B1 (en) Hot melt butylene-ethylene copolymer adhesives
US4554304A (en) Hot melt butylene/ethylene adhesives
US5500472A (e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US5010119A (en) Ternary adhesive compositions
JP5236950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EP0934990B1 (e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US5095046A (en) Hot melt adhesive of ethylene/unsaturated acid copolymer and epoxy crosslinker
US5994437A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US6846874B2 (en) Hot-melt adhesives based on polyamide-block graft copolymers
US20130109801A1 (en)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9990082035A (ko) 에폭시 관능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고온 용융 접착제
JP2620040B2 (ja) 低分子量エチレン共重合体を含む改良された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US5331049A (en) Water-cur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KR101994510B1 (ko) 중합체 조성물
US5234986A (en) Hot-melt adhesives for PVC with good high temperature utility
US5242980A (en) Ethylene-unsaturated alcohol or acid copolymer and epoxy crosslinker
US4839422A (en) Ternary adhesive compositions
JPH0129830B2 (ko)
US8765869B2 (en) Olefin polymers having associative groups, and adhesives containing same
EP3630906A1 (en) 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JPS60120776A (ja) 接触接着剤
Lee et al. Effect of Composition of EVA-based Hot-Melt Adhesives on Adhesive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