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988A -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 Google Patents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988A
KR19990081988A KR1019980705706A KR19980705706A KR19990081988A KR 19990081988 A KR19990081988 A KR 19990081988A KR 1019980705706 A KR1019980705706 A KR 1019980705706A KR 19980705706 A KR19980705706 A KR 19980705706A KR 19990081988 A KR19990081988 A KR 1999008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aped portion
door
window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라드 메스넬
Original Assignee
리차드 제이 콥슨
더 스탠다드 프로덕츠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제이 콥슨, 더 스탠다드 프로덕츠 컴퍼니 filed Critical 리차드 제이 콥슨
Publication of KR1999008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9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flush-glass windows, i.e. for windows flush with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유리 작동부(32)는 헤더부(26)와, 차량 벨트 라인 하부로 차량 도어(10)의 도어 웰(16)내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유리 작동부(32)의 각각의 부분은 삽입체의 횡단면이 2개의 인접한 U형 부분(72)과 태브부(76)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도록 스탬핑 및 롤링되는 가요성 금속 삽입체(70)를 포함한다. 외층(68)은 삽입체의 형상부에 압출된다. 상기 외층(68)은 차량 윈도우(22)와 밀봉 형상부인 집단층(112)을 수용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100)을 형성한다. 플라스틱 지지부재(116)는 도어 웰(16)내로 연장되는 부분에 성형된다. 유리 작동부(32)에 일체로 부착된 브래킷(56)은 도어 웰(16)내에서 트림 패널(14)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대부분의 차량 도어는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의 도어 웰내로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하강할 수 있거나 밀봉식으로 도어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도어 웰로부터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차량 도어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내부에서 윈도우가 안착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구비한 탄성의 유리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에 따르면, 윈도우가 반복해서 유리 작동부 채널내에 삽입 및 제거되므로써 바람과 습기 등의 환경적 조건에 대해 효과적인 밀봉을 유지하게 된다. 가요성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벨트 라인은 윈도우가 상승 및 하강할 때 밀봉식으로 상기 벨트 라인을 통해 미끄러지도록 도어 개구부의 바닥을 횡단하여 연장된다. 유리 작동부의 양단부 부분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윈도우를 도어 웰내에 안내하기 위하여 도어의 벨트 라인 아래로 연장된다.
일반적인 디자인에 있어서, 유리 작동부는 EPDM 고무와 같은 외층과, 유리 작동부에 형상과 지지를 부여하는 단단한 금속 삽입체내로 압출되는 열가소성 재료나 기타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체에 의해 유리 작동부는 도어 개구부의 외주를 따라 스탬프형 도어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에 단단히 고정된다. 플랜지가 도어 개구부의 바닥에서 종료되기 때문에, 유리 작동부를 도어 웰내에 고정하는 플랜지는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볼트 등에 의해 유리 작동부의 연장부에 고정되는 브래킷이 제공된다. 상기 브래킷은 유리 작동부로부터 연장되며 브래킷을 도어 웰내에 도어 트림 패널의 적절한 영역에 고정시키는 태브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리 작동부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에 부응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유리 작동부에 대한 단점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공지의 유리 작동부는 단단한 부재이고 용이하게 굴곡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 플랜지에 고정되기 전에 도어 개구부의 형태로 스트래칭 굴곡되어야 한다. 그러나, 플랜지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플랜 위치 및 정렬의 불일치로 인하여, 유리 작동부가 도어 플랜지에 고정될 때는 부가로 비틀려지고 굴곡될 것을 필요로 한다. 유리 작동부가 단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처리는 유리 작동부를 도어 플랜지에 고정하려고 할 때 명백한 결점이 된다. 또한, 유리 작동부의 최종적인 비틀림 특성은 유리 작동부에서 유리 작동부 채널의 밀봉 특성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어 웰내에서 유리 작동부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브래킷이 요구되기 때문에, 도어의 곡률반경과 브래킷의 크기는 차량의 제조단계에서 유리 작동부가 단일 부재료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양쪽으로 연장된 부분의 브래킷의 강성은 벨트라인 하부의 유리 작동부의 연장부가 도어 웰내에 동시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어 웰내에 삽입되는 유리 작동부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도어 트림 패널에 볼트결합될 때 유리 작동부와 결합되어야 한다.
필요로 하는 것은 도어 플랜지에 고정되어 용이하게 비틀림될 수 있으며 유리 작동부를 도어 웰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이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유리 작동부는 단일 유니트로서 도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유리 작동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구부를 위한 가요성 유리 작동부(glass ru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도어 개구부의 도어 플랜지에 용이하게 고정되며, 유리 작동부를 도어 벨트라인 아래의 도어 트림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차량 도어의 외측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작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차량 도어의 헤드에 부착된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의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선 4-4 을 따른 차량 도어의 도어 웰내에서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의 단면도.
도 5 는 차량의 벨트 라인 하부의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 일부의 측면도.
도 6 은 도 2 의 선 6-6 을 따른 차량 도어의 도어 웰내에서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의 단면도.
도 7 은 차량 도어의 도어 웰내에서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유리 작동부 내에서 알루미늄 삽입체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의 플랜지에 용이하게 연결되며 차량 벨트 라인 하부로 연장되는 유리 작동부 부분에 성형되는 플라스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작동부는 그 단면이 2개의 U형 부분과 태브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스탬핑 및 롤링되는 가요성의 반강체식(semi-rigid) 삽입체를 포함한다. 유리 작동부 재료의 외층은 삽입체상에 압출된다. U형 부분중 큰 부분은 유리 작동부를 도어 플랜지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U형 부분은 유리 작동부의 부재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 연결 삽입체를 수용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외층은 밀봉부에 차량 윈도우를 수용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형성한다.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 부재는 유리 작동부가 차량 도어에 부착되기 전에 단일 유니트로서 조립될 수 있도록 굴곡된다. 브래킷은 유리 작동부네 부착되어 차량 트림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과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차량(도시않음)의 도어(10)의 외측 사시도이다. 상기 차량 도어(10)는 스탬핑된 외측 도어 패널(12)과, 스탬핑된 내측 도어 트림 패널(14)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10)는 외측 도어 패널(12)과 트림 패널(14) 사이에 형성된 도어 웰(16)을 도시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단도시되었다. 외측 도어 패널(12)과 내측 도어 트림 패널(14)은 볼트, 용접이나 기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외측 도어 패널(12)와 내측 도어 트림 패널(14)은 도어 윈도우(22)에 의해 폐쇄되는 도어 개구부(20)를 형성하는 윈도우 프레임(18)을 포함하도록 스탬핑된다. 상기 윈도우(22)는 도어 웰(16)내에 위치된 적절한 기구(도시않음)에 의해 도어 개구부(20)로부터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18)은 차량의 A형 기둥(도시않음)에 인접하여 위치된 A형 기둥 프레임 부재(24)와, 차량의 지붕(도시않음)을 따라 작동되는 헤더 프레임 부재(26)와, 차량의 도어(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의 B형 기둥(도시않음)에 인접하여 위치된 B형 기둥 프레임 부재(28)로 분리된다. 벨트 라인 밀봉부재(30)는 윈도우 프레임(18)의 바닥에 위치되어 윈도우(22)가 도어 웰(16)내로 밀봉식으로 하강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작동부(32)는 개구부(20)의 원주 주위에서 윈도우 프레임(18)에 고정되며, 벨트 라인 밀봉부재(30)의 하부에서 도어 웰(16)의 내부로 연장되는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도어(10)로부터 제거된 유리 작동부(32)의 사시도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유리 작동부(32)는 A형 기둥 프레임 부재(24)를 따라 도어 웰(16)의 전방부내로 작동하는 전방부(34)와, 헤더 프레임 부재(26)를 따라 작동하는 헤더부(36)와, B형 기둥 프레임 부재(28)를 따라 도어 웰(16)의 후방부내로 작동하는 후방부(38)의 3개 부분으로 분리된다. 유리 작동부(32)가 도어(10)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부분(34-38)은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 연결 삽입체(40)는 헤더부(36)의 한쪽 단부와 전방부(34)의 한쪽 단부에 삽입되며, 연결 삽입체(42)는 후방부(38)의 단부와 헤더부(36)의 대향 단부에 삽입된다. 헤더부(36)와 전방부(34)의 연결된 단부와 헤더부(36)와 후방부(38)의 연결된 단부는 전방부(34)와 헤더부(36) 사이에 연결 영역(44)을 형성하기 위하여 또한 헤더부(36)와 후방부(38) 사이에 연결 영역(46)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 재료를 따라 주형(도시않음)에 위치된다.
하기에는 고무 재료의 압출 외층을 포함하는 유리 작동부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사항은 결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 작동부는 그 서술된 목적에 부합하는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라도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및 합성고무,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 작동부(32)의 외층은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반강체식 삽입체상에 압출되는 압출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연결 재료는 외층과 동일한 재료이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유리 작동부(32)는 도어 개구부(20) 주위에서 프레임(18)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어 플랜지에 부착된다. 도어 플랜지는 벨트 라인 부재(30)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38) 및 전방부(34)의 일부는 벨트 라인부재(30) 하부에서 차량 도어(10)의 도어 웰(16)내로 연장된다. 플랜지는 벨트 라인부재(30)를 지나서는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윈도우(22)를 적절히 안내하기 위하여, 유리 작동부(32)를 이러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일부 메카니즘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어 웰(16)내에 전방부(34)와 후방부(38)를 고정하기 위하여, 전방부(34)는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부재(48)를 포함하며, 후방부(38)는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지지부재(50)는 도 1 에서는 도어 웰(16)내에 절단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도 5 에는 지지부재(48)를 도시한 전방부(34)의 절단된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부(34)와 후방부(38)를 헤더부(36)에 부착하기 전에, 전방부(34)와 후방부(38)는 플라스틱 지지부재(48, 50)를 유리 작동부(32)에 성형시키는 적절한 주형(도시않음)에 위치된다. 지지부재(48, 50)를 전방부 및 후방부(34, 38)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전방 지지부재(48)는 지지 태브(52)를 포함하며, 후방 지지부재(50)는 지지 태브(54)를 포함한다. 하기에 서술되는 방식으로, 브래킷(56)은 전방부(34)에 부착되며, 브래킷(58)은 후방부(38)에 부착된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브래킷(56, 58)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지지부재(48, 50)로 성형되는 금속 브래킷이나 성형된 플라스틱 브래킷처럼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6, 58)은 유리 작동부(32)를 도어 웰(16)의 적절한 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전방부 및 후방부(34, 38)를 도어 트림 패널(14)에 연결하는 볼트(도시않음)를 포함한다. 성형 플라스틱 브래킷에 있어서, 볼트는 제거될 수 있으며, 스냅 단부형 파스너가 적절히 설계된 트림 패널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48, 50)의 형태는 도어 윈도우(22)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굴곡되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3 은 유리 작동부가 윈도우 프레임(18)에 있고 윈도우(22)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헤더부(36)를 통한 유리 작동부의 단면도이다. 유리 작동부(32)의 단면은 유리 작동부(32)의 모든 부분(34-38)에서 동일하다. 제 1 스탬프형 금속 도어부(60)는 제 2 스탬프형 금속 도어부(62)에 고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랜지(64)를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부(60)는 트림 패널(14)의 일부이며, 도어부(62)는 외측 도어 패널(12)의 일부이다. 상기 도어부(60, 62)는 용접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리 작동부(32)는 금속 삽입체(70)상에 압출되는 외측 고무층(68)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고무층(68)과 금속 삽입체의 형태는 서술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해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일실시예에서, 금속 삽입체(7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스탬핑되고 롤링된 알루미늄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금속 삽입체(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U형 부분에 인접한 정방형의 대형 U형 부분(72)을 포함한다. 상기 U형 부분(72)은 레그 사이에 연장되는 웨브에 수직하게 부착된 2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U형 부분은 굴곡된 웨브에 부착된 2개의 레그를 포함한다. U형 부분(72)의 하나의 레그는 U형 부분의 하나의 레그와 정렬되어 있다. 태브부(76)는 U형 부분(72)과는 대향인 U형 부분(74)의 상부로부터 연장된다. 엣지(78)는 태브부(76)에 인접한 U형 부분(74)내로 연장된다. 일련의 평행하게 연장된 슬롯(80)은 스탬핑되어 U형 부분(72)으로부터 제거되며, 일련의 슬롯(82)은 삽입체(70)가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롤링되기 전에 스탬핑되어 U형 부분(74) 및 태브부(76)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슬롯(80, 82)은 중량을 감축시키며, 서술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금속 삽입체(70)의 굴곡성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고무층(68)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 작동부(32)의 단면 형태를 제공하는 적절한 다이(도시않음)에 의해 금속 삽입체(70)상에 압출된다. 상기 고무층(68)은 제 1 연장부(86) 및 제 2 연장부(88)가 U형 부분(72)의 레그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U형 부분(72)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밀봉 립(90)과 복수개의 엣지(92)는 상기 U형 부분(72)의 내측에 형성된다. 유리 작동부(32)는 플랜지(64)를 U형 부분(72)내로 가압하여 도어(10)에 부착되기 때문에, 밀봉 립(90)은 플랜지(64)를 구성하는 도어부(60)에 가압되고, 밀봉 엣지(92)는 플랜지(64)를 구성하는 도어부(62)에 가압된다. 연장부(88)는 도어부(60)와 접촉되며, 연장부(88)는 도어부(62)와 접촉된다. 삽입체(70)와 고무층(68)은 상당히 단단하므로, 플랜지(64)는 밀봉립(90)과 밀봉 엣지(92)에 의해 정위치에 밀봉되어 지지된다.
압출 처리는 금속 삽입체(70)의 U형 부분(74)내에 고무층(68)의 일부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엣지(78)와 U형 부분(74)의 내측 형상에 의해, 연결 삽입체(40, 42)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므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 영역(44, 46)을 형성하게 된다. 이전의 유리 작동부는 고무 라인형 채널에 이러한 형태의 연결 삽입체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압출되었다. 연결 삽입체(40, 42)를 수용하는 엣지(78)와 U형 부분(74)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이용하므로써, 종래의 유리 작동부에 비해 연결 영역(44, 46)의 일체성이 증가될 수 있다.
유리 작동부(32)는 유리 작동부 채널(100)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작동부 채널(100)은 U형 부분(72)의 웨브나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핑거 부재(102)에 의해 형성된다. 고무층(68)의 일부(104)는 태브(76)로부터 연장되며, 층(68)의 일부(106)는 U형 부분(74)의 웨브 또는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부분(104, 10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핑거 부재(104)에 연결된다. 집단층(110)은 핑거 부재(102)의 한쪽면에 고정되며, 집단층(112)은 제 2 핑거 부재(108)의 한쪽면에 고정되며, 집단층(114)은 제 2 핑거 부재(108)의 다른쪽 면에 고정된다. 상기 유리 작동부(32)는 도 3 에서는 이완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상기 집단층(110, 112)은 윈도우(22)가 도 4를 참조로 하기에 서술되는 방식으로 유리 작동부 채널(100)에 삽입될 때 윈도우(22)의 엣지를 올라탄다. 부분(106)상에서 유리 작동부 채널(100)내에 위치된 플라스틱 스트립(116)은 윈도우가 유리 작동부 채널(100)에 삽입될 때 유리 작동부(32)의 마모를 감소키기도록 윈도우와 접촉된다.
도 4 는 도 2 의 선 4-4 를 통한 유리 작동부(32)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22)는 하강 위치에 있으므로, 윈도우(22)는 유리 작동부 채널(100)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윈도우(22)가 유리 작동부 채널(100)에 삽입될 때, 또는 윈도우가 유리 작동부 채널(100)에서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먼저 윈도우(22)는 집단층(110)과 접촉하여 핑거 부재(102)를 유리 작동부 채널(100)로부터 상향으로 가압한다. 윈도우(22)가 유리 작동부 채널(100)내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윈도우(22)는 플라스틱 스트립(116)과 접촉되며, 부분(104)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부분(106)을 가압한다. 상기 부분(106)이 부분(104)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제 2 핑거(108)는 내측 상향으로 굴곡되며, 집단층(112)은 윈도우(22)와 접촉된다. 이러한 관계는 유리 작동부 채널(100)에서 윈도우(22)를 밀봉한다.
도 4 의 단면은 지지부재(48)의 태브(52)를 통한 것이다. 따라서, 태브(52)는 이러한 유리 작동부(32)의 위치에서 고무층(68)의 형상을 따르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위치에서, 유리 작동부(32)는 플랜지(64)에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은 지지부재(48)내에 도어 윈도우(22)의 곡률을 형성하는데 도도움을 주기 위하여 U형 부분(74)내에 형성된다.
도 6 은 도 2 의 선 6-6을 따른 유리 작동부(32)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지지 부재(48)가 유리 작동부(32)에 성형되고, 브래킷(56)이 유리 작동부(32)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48)는 유리 작동부(32)에 단단히 고정되는 방식으로 유리 작동부(32)에 성형된다. 상기 브래킷(56)은 립(90)과 엣지(92)를 플랜지(64)와 같은 방식으로 접촉시키기 위하여 U형 부분(72)내에 삽입되는 태브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56)도 지지 부재(48)내에 매립되는 태브부(12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래킷(56)은 지지부재(48)의 플라스틱이 유리 작동부(32)에 성형될 때 유리 작동부(32)를 따라 주형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브래킷(56)은 유리 작동부(32)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56)은 고정부(126)에 부착되는 유리 작동부(3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4)를 부가로 포함한다. 볼트(128)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트림 패널(14)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126)를 통하여 연장된다.
도 7 은 유리 작동부(32)를 벨트 라인 하부의 차량 도어(10)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래킷(132)은 브래킷(132)과 지지부재(134)가 단일 유니트가 되도록 지지부재(134)아 함께 동시에 성형된다. 브래킷(134)은 적절한 부착수단(136)에 의해 트림 패널(14)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21)

  1. 차량 도어의 도어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에 단단히 고정되는 헤더부와,
    상기 헤더부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며 도어의 도어 웰내에 단단히 고정되는 제 1 연장부와,
    도어 웰내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헤더부의 대향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는 유리 작동부에 단단히 고정되는 플라스틱 지지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플라스틱 지지부재는 도어 트림 패널에 연결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지지부재는 도어의 도어 웰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지지부재는 유리 작동부에 성형되는 플라스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삽입체와 외층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삽입체는 제 1 U형 부분과 제 2 U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U형 부분은 도어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단단한 결합형태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U형 부분은 제 2 U형 부분의 내측으로 연장디는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U형 부분은 연결 삽입체를 수용하며, 상기 연결 삽입체는 헤더부를 제 1 연장부나 제 2 연장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 윈도우를 밀봉결합식으로 수용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유리 작동부 채널은 제 1 핑거 부재와 제 2 핑거 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작동부 채널에 윈도우가 삽입될 때 윈도우는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여 제 1 핑거 부재를 윈도우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이와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작동부는 금속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삽입체는 베이스부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레그부를 구비한 제 1 U형 부분과, 상기 제 1 U형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U형 부분과, 상기 제 2 U형 부분의 제 2 레그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포함하도록 스탬핑 및 롤링되는 알루미늄 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U형 부분은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U형 부분의 제 2 레그는 제 1 레그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브래킷은 제 1 연장부의 플라스틱 지지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플라스틱 성형부재이며, 제 2 브래킷은 제 2 연장부의 지지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플라스틱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9. 제 1 U형 부분과 제 2 U형 부분과 태브부를 형성하는 단면을 포함하는 금속 삽입체와,
    금속 삽입체상에 압출되며, 차량 도어의 플랜지를 단단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용하는 제 1 U형 부분내에 위치된 밀봉 엣지를 형성하는 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U형 부분은 제 2 U형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태브부는 제 1 U형 부분과 대향인 제 2 U형 부분의 레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층은 제 1 핑거 부재와 베이스 부재와 제 2 핑거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형성하며, 차량 윈도우는 유리 작동부 채널에 위치되어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제 2 핑거 부재와 윈도우를 밀봉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핑거 부재와 제 2 핑거 부재는 윈도우가 유리 작동부 채널에 있을 때 유리 작동부 채널의 내외로 용이하게 삽입 및 후퇴될 수 있도록 윈도우위로 올라타는 집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1. 제 9 항에 있어서, 윈도우가 유리 작동부 채널에 있을 때 베이스 부재가 베이스와 접촉되도록 태브부 주위에 형성된 베이스부에는 고무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2. 제 9 항에 있어서, 금속 삽입체는 그 내부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U형 부분의 내부로 연장되는 엣지부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유리 작동부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삽입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체는 제 1 U형 부분과 제 2 U형 부분과 태브부를 포함하도록 알루미늄 시트를 스탬핑하고 이러한 스탬핑된 알루미늄 시트를 롤링하여 형성된 알루미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체는 알루미늄 재료가 제거된 복수개의 슬롯을 포함하도록 스탬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5. 제 9 항에 있어서,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이 제 2 U형 부분내에 형성되도록 유리 작동부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6. 금속 삽입체와,
    상기 금속 삽입체상에 형성되며, 도어 윈도우를 수용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형성하는 외층과,
    유리 작동부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며, 유리 작동부를 차량 도어 트림 패널에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플라스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플라스틱 지지부재는 일부의 유리 작동부 주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테이너 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8. 제 15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유리 작동부의 U형 부분내에 고정되며 트림 패널에 고정되는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단일 유니트로서 플라스틱 지지부재에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체는 그 단면이 제 1 U형 부분과 제 2 U형 부분과 태브부를 포함하도록 알루미늄 시트를 스탬핑하고 이러한 스탬핑된 알루미늄 시트를 롤링하여 형성된 알루미늄 부재이며, 상기 제 1 U형 부분은 제 2 U형 부분보다 이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태브부는 제 1 U형 부분과 대향인 제 2 U형 부분의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제 1 핑거 부재와 베이스 부재와 제 2 핑거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작동부 채널을 형성하며, 차량 윈도우는 유리 작동부 채널내에 위치되어 베이스 부재와 접촉되므로써 제 2 핑거 부재를 윈도우와 밀봉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유리 작동부.
KR1019980705706A 1996-01-25 1997-01-24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KR19990081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91,312 US5651217A (en) 1996-01-25 1996-01-25 Flexible glass run with rigid molded support
US8/591,312 1996-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988A true KR19990081988A (ko) 1999-11-15

Family

ID=2436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06A KR19990081988A (ko) 1996-01-25 1997-01-24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51217A (ko)
EP (1) EP0876543B1 (ko)
JP (1) JP2000503931A (ko)
KR (1) KR19990081988A (ko)
AT (1) ATE283417T1 (ko)
BR (1) BR9707069A (ko)
CA (1) CA2243490A1 (ko)
DE (1) DE69731729T2 (ko)
MX (1) MX9805967A (ko)
WO (1) WO1997027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251B1 (en) * 1999-05-27 2002-06-25 Schlegel Corporation Glass run surround cap
JP4161473B2 (ja) * 1999-07-01 2008-10-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サートをもつ押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272194C (zh) 1999-11-12 2006-08-30 美国吉及公司 车窗密封组件
JP3931023B2 (ja) * 2000-07-06 2007-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アガラスラン
US6739094B1 (en) * 2000-09-22 2004-05-25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Seal with compliant magnetic appendage
JP3770120B2 (ja) * 2000-10-27 2006-04-26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GB2372529B (en) * 2001-02-27 2004-08-25 Gencorp Property Inc Sealing and guiding strips
US7152373B2 (en) * 2003-04-23 2006-12-26 Decoma International Inc. Automotive attachment connector for door window
US20070169417A1 (en) 2003-06-04 2007-07-26 Ellis Peter J Rigid plastic glass run channel
WO2005054615A1 (en) * 2003-12-05 2005-06-16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Vehicle window regulator having a floating window carrier
JP4236177B2 (ja) * 2004-02-04 2009-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ンチャンネル構造
US20050198906A1 (en) * 2004-03-11 2005-09-15 Nishikawa Rubber Co., Ltd. Glass run structure for vehicle
CA2575801C (en) * 2004-11-18 2014-01-28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Inner garnish assembly
US20070084130A1 (en) * 2005-10-19 2007-04-19 Gaustad Mark D Channel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DE102006006229B4 (de) * 2006-02-09 2008-04-03 Magna Car Top Systems Gmbh Dichtungselement für eine Sichtscheibe
DE202006010859U1 (de) * 2006-07-12 2006-08-31 Meteor Gummiwerke K.H. Bädje GmbH & Co. KG Dichtungsanordnung
DE202006015767U1 (de) * 2006-10-14 2008-02-21 Rehau Ag + Co. Führungsanordnung
JP5030233B2 (ja) * 2008-05-09 2012-09-19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DE102008055942B4 (de) 2008-11-05 2012-03-01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chtungsprofils für ein Kraftfahrzeug und ein solches Dichtungsprofil
US9234540B2 (en) 2011-10-04 2016-01-12 Magna International Inc. Retainer—spring steel single thread engagement
US9272612B2 (en) * 2012-08-14 2016-03-0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Plastic channel assembly-below belt bracket for glassrun system
US9248729B2 (en) * 2013-12-19 2016-02-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912U (ko) * 1987-07-15 1989-01-27
US4951418A (en) * 1988-04-06 1990-08-28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Glass run molding
US4910918A (en) * 1988-04-19 1990-03-27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Corner structure for glass run channel
JPH0635743Y2 (ja) * 1988-05-20 1994-09-21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US4923542A (en) * 1988-12-27 1990-05-0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car door panel
US5067281A (en) * 1989-09-26 1991-11-26 Gen 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US5001867A (en) * 1989-09-26 1991-03-26 Gen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JPH0717559Y2 (ja) * 1990-05-17 1995-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US5195274A (en) * 1990-07-04 1993-03-23 Toyoda Gosei Co., Ltd. Structure for attaching door glass run
US5262114A (en) * 1991-03-13 1993-11-16 Schleg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injection molded glass guidance component
US5086586A (en) * 1991-04-23 1992-02-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ide door flush glass system
JP2586241B2 (ja) * 1991-06-07 1997-02-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US5163248A (en) * 1991-09-03 1992-11-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One-piece modular door frame glass run channel
US5233758A (en) * 1991-09-03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one-piece modular door frame glass run channel
US5308138A (en) * 1992-12-18 1994-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cartridge module with discrete energy absorbing elements
US5345718A (en) * 1993-05-25 1994-09-13 Gencorp Inc. Glass run guide for slidable vehicle window
US5315788A (en) * 1993-06-16 1994-05-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friction tape for movable vehicle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3931A (ja) 2000-04-04
DE69731729D1 (de) 2004-12-30
WO1997027377A1 (en) 1997-07-31
US5651217A (en) 1997-07-29
EP0876543A1 (en) 1998-11-11
BR9707069A (pt) 1999-03-30
CA2243490A1 (en) 1997-07-31
DE69731729T2 (de) 2006-02-02
EP0876543A4 (en) 2000-04-05
EP0876543B1 (en) 2004-11-24
ATE283417T1 (de) 2004-12-15
MX9805967A (es)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1988A (ko) 단단한 성형 지지체를 갖는 가요성 유리 작동부
US8479449B2 (en) Sealing, trimming and guiding strip
EP0642943B1 (en) Flush glass sealing system
US5566510A (en) Molded glass run channel corner assembly
US6070363A (en) Mechanically interlocked weatherstrip
US5095656A (en) Integral trim and glass run channel
US8033057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sealing and guiding a powered window pane, particularly of a motor vehicle
US20020078631A1 (en) Lightweight door for motor vehicles
US20080191517A1 (en) Sealing, Trimming And Guide Strips
US4666206A (en) Sunroof frame assembly for vehicles
GB2393752A (en) Extruded sealing strip, with part of the section replaced by moulded material over some of the length
US7886487B2 (en) Weatherstrip having hybrid carrier
US5797644A (en) Weather strip for a motor vehicle
EP0747265B1 (en) Retaining, sealing or finishing strips
WO2007020525A1 (en) Window sealing and guiding arrangements for vehicle doors and windows
JP2004359068A (ja) 自動車用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のシール構造
GB2421268A (en) Sealing, trimming and finishing strips and vehicle doors incorporating such strips
JPH1142984A (ja) 自動車用オープニングトリム
EP0193499A1 (en) Motor vehicle bodies assembly
EP0729865A1 (en) Window sealing arrangement
GB2305202A (en) Vehicle door seals
JP2713042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
FI84090C (fi) Skyddsbeslag foer anvaendning byggnader.
JPH04339045A (ja) 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部構造
GB2388398A (en) Corner assembly for sealing or guiding str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