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167A -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167A
KR19990081167A KR1019980014958A KR19980014958A KR19990081167A KR 19990081167 A KR19990081167 A KR 19990081167A KR 1019980014958 A KR1019980014958 A KR 1019980014958A KR 19980014958 A KR19980014958 A KR 19980014958A KR 19990081167 A KR19990081167 A KR 19990081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overload
freewheeling
motor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005B1 (ko
Inventor
김학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0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8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센서리스 감지부의 추가없이 마이컴에 의해 프리휠링 타임을 검출하여 BLDC 과부하 운전 모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부하 판단 및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의 특징은 BLDC 모터의 구동중에 각 상의 통전 전류에 대한 프리휠링 타임들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고,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정상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에서 프리휠링 타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제1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과부하 대응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로 구성된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감지된 프리휠링 타임에 대하여 정상운전 모드와 과부하 대응운전 모드로 나누어 구동함으로써 모터를 최적한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본 발명은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별도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추가없이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데 적당한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이하, BLDC 모터라 약칭함)의 구동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지티브 라인과 네가티브 라인을 갖는 입력전원부(도시생략됨)와, 상기 입력전원부에 접속된 입력전원 평활용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출력단에 접속된 다수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를 제어하는 게이트 구동부(14)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의 출력단에 접속된 BLDC 모터(11)와, 상기 BLDC 모터(11)의 펄스입력단에 접속되어 로터(도시생략됨)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리스 감지부(12)와, 상기 센서리스 감지부(12)를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구동부(14)에 PWM 선택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3)로 구성된다. 이때 미설명된 저항(Rs)은 과전류를 검지하기 위한 감지저항을 나타낸다.
한편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센서리스 감지부(12)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센서리스 감지부(12)는 U상 인가전압 단자에 접속된 전압분배기(15)와, 상기 전압분배기(15)의 출력단과 기준전압(Vs) 인가단에 접속된 비교기(COMP)와, 상기 비교기(COMP)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저항(R4)에 의해 접지된 절연체(16)로 구성된다. 이때 V상 인가전압 단자와 W상 인가전압 단자에도 전압분배기(15), 비교기(COMP), 절연체(16)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리스 감지부(12)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3)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13)를 통해 출력된 PWM 제어신호는 게이트 구동부(14)인가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부(14)의 PWM 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BLDC 모터의 구동회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로 V상 인가전압(VEu), U상 인가전압(VEv), W상 인가전압(VEw)이 전압분배기(12)로 인가되면, 저항(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로패스필터와 복수개의 저항(R2)(R3)이 병렬 접속된 분배회로에 의해 필터링 분배되어 출력되고, 필터링 분배된 각 상의 인가전압이 비교기(COMP)를 통해 기준전압(Vs)과 비교 출력되면 소정의 위치감지를 위한 기준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위치 기준신호는 절연체(16)를 통해 절연 커플링된 후 제어부(13)로 인가된다.
이어서 게이트 구동부(15)는 제어부(13)로 인가된 위치 기준신호에 따라 위치신호를 도출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기준으로 상기한 BLDC 모터의 회전자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동신호를 형성하는 스위칭 상태 결정부(도시생략됨)의 출력신호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의 구동신호로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BLDC 모터(11)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BLDC 모터(11)가 구동된다.
상기 BLDD 모터의 전류는 상기 스위칭 상태 결정부에 의해 선택신호(Tr)가 오프되면 오프된 상의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 감소전류가 프리휠링 전류이며, 상기 프리휠링(free wheeling) 전류가 길어지면, 센서리스 감지부(12)에서 각 상의 기전력(EMF)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므로 BLDC 모터(11)의 구동을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즉 프리휠링 전류가 종료되는 시점(A)이 역기전압의 제로-크로스(zero-cross) 시점보다 앞서야 각 상의 기전력(EMF)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지만, 상기 프리휠링 전류가 길어지게 되면 기전력의 감지를 실패하거나 오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BLDC 모터를 과부하 상태에서 계속 운전시 과도한 온도 상승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손 및 모터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하감지 장치의 추가없이 제어부에 의해 프리휠링 타임을 검출하여 BLDC 과부하 운전 모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방법의 특징은, BLDC 모터의 구동중에 각 상의 통전 전류에 대한 프리휠링 타임들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고,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정상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의 특징은,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에서 프리휠링 타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제1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과부하 대응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로 구성된 점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센서리스 감지부의 상세 회로도
도 3는 도 2의 동작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BLDC 모터 12 : 센서리스 감지부
13 : 제어부 14 : 게이트 구동부
15 : 전압분배기 16 : 절연체
Q1∼Q6 : 스위칭 트랜지스터 R1∼R3 : 저항
COMP : 비교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브레쉬레스 직류모터는 각 단자로 V상 인가전압(VEu), U상 인가전압(VEv), W상 인가전압(VEw)이 인가된 후 제어부(13)는 BLDC 모터(11)로 부터 역기전력(BEMF)을 검출함과 동시에 각 상으로 부터 발생되는 프리휠링 전류에 대한 프리휠링 타임(Fi)을 감지한다(S41).
다음 제어부(13)에서는 상기 프리휠링 타임(Fi)이 소정시간(t1)에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S42).
그 다음 상기 프리휠링 타임(Fi)이 소정시간(t1)에 경과되었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고(S44), 프리휠링 타임(Fi)이 소정시간(t1)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정상운전 모드를 수행한다(S43). 여기서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S44)라 함은 게이트 구동부(14)로 부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6)에 인가되는 PWM 선택 제어신호의 펄스폭을 좁게 가져감으로써 BLDC 모터(11)의 출력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S44)가 계속되면 상기 BLDC(11) 모터 또는 주변회로의 소손이 예상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휠링타임(Fi)을 재차 감지하여(S45) 과부하에 대한 운전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S44)에서 재차 프리휠링 타임(Fi)을 감지한후 상기 프리휠링 타임(Fi)이 제1 소정시간(t2) 및 제2 소정시간(t2)에 경과되었는지를 연속하여 판단한다(S46)(S47).
이어서 상기 프리휠링 타임 판단단계에서 프리휠링 타임이 제1 소정시간(t2)및 제2 소정시간(t3)에 경과되었으면 곧바로 모터를 정지시킨다(S48).
그러나 상기 프리휠링 타임(Fi)의 판단단계에서 프리휠링 타임(Fi)이 제1 소정시간(t2) 및 제2 소정시간(t3)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빠져나와 정상운전 모드(S43)로 피드백 된다.
여기서 상기 정상운전 모드(S43)에서의 소정시간과,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S44)에서의 제1 및 제2 소정시간에 대한 함수 관계는 t3<t1<t2 또는 t1<t3<t2를 만족한다.
따라서 상기한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은 BLDC 모터의 구동회로에서 프리휠링(free wheeling) 전류가 길어지는 것을 설정된 프리휠링 타임(t1)(t2)(t3)으로 감지한후, 감지된 프리휠링 타임(t1)(t2)(t3)에 대하여 정상운전 모드(S43)와 과부하 대응운전 모드(S44)로 나누어 구동함으로써 BLDC 모터(11)를 최적한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은 별도의 과부하 검출장치의 추가없이 제어부에 의해 프리휠링 타임들을 검출하여 BLDC 과부하 운전 모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부하로 인한 프리휠링 타임이 길어져서 모터의 센서리스 위치 감지를 실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 있는 BLDC 모터의 센서리스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BLDC 모터의 과부하 상태에서 계속 운전시 모터의 과도한 온도 상승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휠링 전류의 길어짐에 대한 프리휠링 타임들의 적절한 변경이 예상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조 변화가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5)

  1. BLDC 모터의 구동중에 각 상의 통전 전류에 대한 프리휠링 타임들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고, 프리휠링 타임이 설정시간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정상운전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방법.
  2.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에서 프리휠링 타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제1 설정시간 및 제2 설정시간에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휠링 타임이 제1 설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과부하 대응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설정시간에 경과되었으면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시간이 제1 설정시간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설정시간이 제1 설정시간 보다 작거나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부하 대응운전중 상기 프리휠링 타임 판단단계에서 프리휠링 타임이 제2 설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과부하 대응 운전모드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3 설정시간에 경과되지 않았으면 정상 운전모드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대응 운전방법.
KR1019980014958A 1998-04-27 1998-04-27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KR100253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58A KR100253005B1 (ko) 1998-04-27 1998-04-27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58A KR100253005B1 (ko) 1998-04-27 1998-04-27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167A true KR19990081167A (ko) 1999-11-15
KR100253005B1 KR100253005B1 (ko) 2000-04-15

Family

ID=1953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958A KR100253005B1 (ko) 1998-04-27 1998-04-27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781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의 전류 센싱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3967A (ko) 2015-01-30 2016-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대류 모터와 팬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781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의 전류 센싱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3967A (ko) 2015-01-30 2016-08-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대류 모터와 팬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005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23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single phase motor from circulating currents
US82373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osition for a brushless DC motor
US7852026B2 (en) Motor drive apparatus and motor drive control method
JP2878819B2 (ja) 洗濯機
US8237396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tor driving device
US5268623A (en) D.c. motor with a current-limiting arrangement
JP4735681B2 (ja) モータ制御回路,車両用ファン駆動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JPH09215388A (ja) インバータ装置
JP6899319B2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モータの制御方法
CN112448623A (zh) 马达驱动电路及方法
JP2001320894A (ja) モータ駆動装置
JP3251929B2 (ja) 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速度制御方法
KR100253005B1 (ko)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과부하 판단 및 운전방법
US11290051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H0759384A (ja) インバータ装置
JP5330728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6798330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JP4415428B2 (ja) モータの制御方法
KR100282366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방법
JPH02266891A (ja) モータ制御回路
JPH0614158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
KR100282367B1 (ko) 브레쉬레스 직류모터의 펄스폭변조 신호 제어장치
JP200723609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4467023B2 (ja) モータの駆動装置
JP2021129391A (ja) モー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