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988A -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988A
KR19990080988A KR1019980014639A KR19980014639A KR19990080988A KR 19990080988 A KR19990080988 A KR 19990080988A KR 1019980014639 A KR1019980014639 A KR 1019980014639A KR 19980014639 A KR19980014639 A KR 19980014639A KR 19990080988 A KR19990080988 A KR 1999008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ary
pixel
context
bab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085B1 (ko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1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085B1/ko
Priority to US09/217,605 priority patent/US6263115B1/en
Priority to GB9828601A priority patent/GB2336737B/en
Priority to JP37239898A priority patent/JP3877892B2/ja
Publication of KR1999008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고려하여 콘텍스트를 구성하고, 이 구성된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이진 형상 신호를 산술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부호화하고자 하는 BAB내 이진 화소들의 부호화 순서를 결정하고,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와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이진 화소들로 현재 콘텍스트를 구성하며,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결정되는 목표 화소에 대해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는 확률값 산출을 통해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진 형상 신호의 부호화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영상 프레임에서 추출한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또는 필드 단위의 이진 형상 정보를 부호화할 때 이진 형상 신호내의 각 화소값들을 적응적으로 산술 부호화하는 데 적합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전화, 원격 화상 회의 및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신호내의 비디오 라인 신호가 화소값으로서 표현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각의 비디오 프레임 신호를 규정하는 데에는 다량의 디지털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전송 채널의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은 제한적이므로, 이를 통해 다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특히 비디오 전화 및 원격 화상 회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낮은 비트 속도의 비디오 신호 부호화기들(encoders)로 전송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크기(volume)를 압축시키거나 혹은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낮은 비트율의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들을 부호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 중의 하나로서는 객체 지향형 분석-합성 코딩 기법으로 지칭되는 기법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에서 입력 비디오 이미지는 객체들로 분할되고, 각 객체의 움직임, 윤곽선 및 화소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3 세트의 변수(파라미터)들은 그 신호 특성상 서로 다른 부호화 채널을 통해 각각 처리된다.
이러한 객체 지향형 분석-합성 코딩 체계의 일실시예는 MPEG(동영상 전문가 그룹)4(MPEG-4)로서 지칭되며, 이것은 낮은 비트 속도 통신과, 쌍방향 멀티미디어(interactive multimedia)(예를들면, 게임, 쌍방향 TV 등) 및 감시장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내용 기반형 쌍방향성(content-based interactivity)과, 개선된 부호화 효율 및/또는 범용 액세스성(accessibility)을 허용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부호화 표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MPEG-4에 따르면, 입력 비디오 이미지는 다수의 비디오 객체 평면들(Video Object Plane : VOP's)로 분할되는 데, 이는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는 비트 스트림(bitstream)인 실체들에 대응한다. VOP는 객체로서 지칭되며 그 폭과 높이가 각각 객체를 둘러싸는 16 화소(매크로 블록 사이즈)의 정수배인 사각형 중에서 최소 크기인 경계 사각형(bounding rectangle)으로 표현되므로 부호화기가 입력 비디오 이미지를 VOP 단위로 처리할 수 있다.
MPEG-4에서 설명된 VOP는 루미넌스(luninace) 및 크로미넌스(chrominance) 데이터로 구성되는 형상 정보 및 색 정보(color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데, 여기에서 이진 형상 신호들로 표시된 형상 정보는 알파 평면(alpha plane)으로서 지칭된다. 알파 평면은 각각 16 × 16 이진 화소들을 갖는 다수의 이진 알파 블록들(BAB: Binary Alpha Block)로 분할된다. 각각의 이진 화소들은 배경 화소 혹은 객체 화소 중 하나로 분류되며, 객체내에 있는 객체 화소가 다른 이진 화소값, 예를 들면 255의 값을 갖도록 할당되는데 사용되는 반면에, 알파 평면내의 객체 밖에 위치된 배경 화소는 이진 화소값, 예를 들면 0의 값을 갖도록 할당되는데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이진 형상 부호화 기법에서는 부호화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각 BAB들에 대해 부호화 조건을 나타내거나 특징짓는 모드 신호 또는 모드 신호와 부호화된 이진 화소값(즉, 내용 정보)을 전송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객체 화소들일 때 전송되어야 할 부호화된 이진 화소값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객체 화소들의 이진 화소값들을 부호화하는 대신에,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객체 화소들임을 알려주는 모드 신호만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것이 바람한 데, 이와같이 BAB에 대한 이진 형상 정보와 같은 대응 부호화 모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른한편, BAB 내의 각 이진 화소들은 콘텍스트 기반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 CAE)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비트 맵 기반형 형상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된다. 즉, 인트라 모드(intra mode)에서, 현재 프레임(또는 VOP)내 BAB의 모든 이진 화소들은 인트라 CAE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되어 인트라 부호화된 BAB로 생성되는 데, 인트라 CAE 방법에서 현재 프레임내 BAB의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은 현재 프레임(또는 VOP)내 BAB의 이진 화소 주위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반면에, 인터 모드(inter mode)에서 현재 프레임(또는 VOP)내 BAB의 모든 이진 화소들은 인터 CAE 방법을 사용하여 부호화되어 인터 부호화된 BAB로 생성되는 데, 인터 CAE 방법에서 현재 프레임내 BAB의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은 현재 프레임(또는 VOP)내 BAB의 이진 화소 주위에 있는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과 이전 프레임내 이진 화소의 콘텍스트값을 이용하여 얻어진다.(참조 : MPEG-4 Video Verification Model Version 7.0, International Organisation for Standardisation,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ISO/IEC JTC1/SC29/WG11 MPEG97/N1642, Bristol, April 1997, pp 28-30)
한편, 이진 형상 신호내 이진 화소값들을 부호화하는 종래 방법에서는, 인트라 모드의 경우 한 화소단위로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화소값을 부호화할 때, 현재 화소에 인접하는 기부호화된 소정범위의 화소값(즉, 콘텍스트값)들을 이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 즉 일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가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참조번호 N으로써 표시된 화소라 할 때 기부호화된 현재 프레임내 a1 - a10 의 인접 화소들로 된 콘텍스트값을 이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방법에서는, 인터 모드의 경우 현재 프레임의 인접 화소값(현재 콘텍스트값)들과 이전 프레임의 인접하는 화소값(이전 콘텍스트값)들을 이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 즉 일예로서 도 6b 및 도 6c에 각각 도시된 바와같이,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화소가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참조번호 N으로써 표시된 화소라 할 때 이전에 기부호화된 현재 프레임내 b1 - b4 의 인접 화소들로 된 현재 콘텍스트값 및 이전 프레임내 b5 - b8 의 인접 화소들로 된 이전 콘텍스트값을 이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고 있다.
즉, 종래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시에 한 화소단위로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므로 하나의 BAB(예를들면, 16×16 블록)에 대해 256번의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이진 형상 신호를 부호화에 있어서 콘텍스트에 의한 확률값은 부호화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콘텍스트를 구성하는 주변 화소들을 어떻게 구성하는 냐의 관건은 부호화 효율을 고려할 때 대단히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 방법에서는 M×M 블록에 대해 행 또는 열 방향으로 각 이진 화소값들을 산술 부호화하는 데, 이때 이용되는 콘텍스트는 기부호화된 이진 화소값들로 구성되므로, 실제적으로 동, 서, 남, 북의 4방향중 서, 북 방향의 두 이진 화소값은 콘텍스트로 이용되는 반면에 동, 남 방향의 두 이진 화소값은 콘텍스트로 이용되지 않는다. 즉, 종래 방법에서는 이진 형상 신호를 산술 부호화할 때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는 고려하고 있으나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즉,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만을 고려한 콘텍스트 구성을 갖는 종래 방법은 이진 형상 신호의 부호화 효율을 증진시키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진 형상 신호를 산술 부호화할 때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뿐만 아니라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고려할 수 있도록 콘텍스트를 구성할 수만 있다면, 이진 형상 신호의 부호화 효율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콘텍스트를 구성하여 이진 형상 신호를 산술 부호화를 기법에 대해서는 현재 전혀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고려하여 콘텍스트를 구성하고, 이 구성된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이진 형상 신호를 산술 부호화할 수 있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그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영상 프레임에서 분리된 이진 형상 신호를 M×M의 이진 알파 블록(BAB)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BAB를 그 특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와 부호화할 BAB의 이진 화소값들인 내용 정보로 분류하여 부호화하는 복합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상기 내용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할 M×M의 현재 BAB를 좌상측으로부터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들을 순차 결정하는 목표 화소 결정 수단; 상기 다수의 모드 신호 및 부호화할 M×M BAB의 이진 화소값들에 의거하여 현재 형상 프레임 또는 이전 형상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재구성 블록; 재구성된 상기 M×M 현재 BAB를 각 주변에 걸쳐 보더 영역을 갖는 N×N의 확장 현재 BAB로 변환시키는 보더 영역 생성 블록; 부호화를 위한 목표 화소가 결정될 때,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인접하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기설정된 이진 화소로 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프레임내 대응하는 위치의 기설정된 다수의 화소들로 된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되는 현재 콘텍스트가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충족시키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들로 구성되는 콘텍스트 결정 블록; 및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한 확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확률값을 산술 부호화하는 산술 부호화 블록으로 이루어진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영상 프레임에서 분리된 이진 형상 신호를 M×M의 이진 알파 블록(BAB)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BAB를 그 특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와 부호화할 BAB의 이진 화소값들인 내용 정보로 분류하여 부호화하는 복합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상기 내용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할 M×M의 현재 BAB를 좌상측으로부터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들을 순차 결정하는 제 1 과정; 상기 M×M 현재 BAB를 각 주변에 걸쳐 보더 영역을 갖는 N×N의 확장 현재 BAB로 변환시키는 제 2 과정; 인트라 부호화 모드 또는 인터 부호화 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인접하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기설정된 이진 화소로 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프레임내 대응하는 위치의 기설정된 다수의 화소들로 된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되는 현재 콘텍스트가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충족시키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들로 구성되는 제 3 과정;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에 부호화되지 않은 미래 이진 화소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4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내에 상기 미래 이진 화소가 존재할 때, 상기 미래 이진 화소를 상기 현재 콘텍스트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값으로 충전시켜 갱신된 현재 콘텍스트를 생성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생성된 또는 갱신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한 확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확률값을 산술 부호화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진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기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M×M 블록내 화소(이진 형상 신호)들을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부호화를 위한 목표 화소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 예시도,
도 4는 콘텍스트의 생성을 위해 확장된 보더 영역을 갖는 N×N 확장 블록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진 형상 신호를 한 화소 단위로 산술 부호화할 때 인접하는 주변 화소값인 콘텍스트값을 참조하는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5a는 인트라 모드 부호화의 경우를, 5b 및 5c는 인터 모드 부호화의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방법에 따라 이진 형상 신호를 한 화소 단위로 산술 부호화할 때 인접하는 주변 화소값인 콘텍스트값을 참조하는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6a는 인트라 모드 부호화의 경우를, 6b 및 6c는 인터 모드 부호화의 경우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모드 추출 블록 104 : 모드 부호화 블록
106 : 콘텍스트 발생 블록 108 : 형상 부호화 블록
110 : 데이터 MUX 1060 : 재구성 블록
1062 : 보더 영역 생성 블록 1064 : 콘택스트 결정 블록
1080 : 스캐닝 블록 1082 : 목표 화소 결정 블록
1084 : 확률 테이블 1086 : 산술 부호화 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기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은, 모드 추출 블록(102), 모드 부호화 블록(104),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 형상 부호화 블록(108) 및 데이터 MUX(11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드 추출 블록(102)에서는, 이진 형상 신호 프레임에서 분할된 각 BAB에 대한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를 추출, 예를들면 BAB에 대한 형상의 움직임 벡터(예를들면, 현재 프레임내 현재 BAB와 이전 프레임에서 결정된 탐색 영역내 후보 BAB간의 움직임 벡터)가 제로(0)로서 정의되며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부호화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는 모드 신호(S1), 움직임 벡터가 제로(0)로서 정의되지 않으며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부호화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는 모드 신호(S2),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배경 화소들로서 정의됨을 의미하는 모드 신호(S3), BAB내의 모든 이진 화소들이 객체 화소들로서 정의됨을 의미하는 모드 신호(S4), BAB내 이진 화소값들이 인트라 CAE 방법으로 부호화되었는지 인터 CAE 방법으로 부호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인트라/인터 모드 신호(S5) 등과 같은 다수의 모드 신호를 추출하여 라인 L11을 통해 모드 부호화 블록(104)으로 제공하고, 또한 해당 BAB내 모든 이진 화소값들이 부호화될 필요가 있을 때 해당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라인 L12를 통해 화소 부호화 블록(106)으로 제공한다.
이때, 라인 L11 상에 발생하는 모드 신호(S1, S2, S3, S4)와 라인 L12 상에 발생하는 산술 부호화를 위한 각 BAB의 이진 화소값들은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으로 제공되는 데, 이것은 인터 모드 부호화 또는 인트라 모드 부호화시에 각 이진 화소값을 산술 부호화하는 데 이용되는 콘텍스트의 생성을 위해 필요한 프레임(현재 프레임 및/또는 이전 프레임)을 재구성하기 하기 위해서이다. 즉,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에서는 다수의 모드 신호와 BAB의 이진 화소값들에 의거하여 현재 프레임 및/또는 이전 프레임을 재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진 형상 신호 프레임에서 분할된 각 BAB에 대해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1997년 12월 30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의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것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참조 : 특허 출원번호 제97-78372호)
다음에, 모드 부호화 블록(104)에서는 라인 L11을 통해 모드 추출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모드 신호를, 예를들면 호프만 부호화를 통해 부호화하며, 이와같이 부호화된 모드 신호는 라인 L13을 통해 데이터 MUX(110)로 제공된다.
한편,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에서는 라인 L11 상에 발생하는 모드 신호(S1, S2, S3, S4)와 라인 L12 상에 발생하는 각 BAB의 이진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 및/또는 이전 프레임을 재구성하며, 또한 라인 L14를 통해 형상 부호화 블록(108)으로부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가 제공될 때 이 목표 화소에 대응하는 콘텍스트를 발생, 예를들어 현재의 부호화 모드가 인트라 모드일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현재 콘텍스트를 생성하여 라인 L15 상에 제공하고, 현재의 부호화 모드가 인터 모드일 때 도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현재 콘텍스트 및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여 라인 L15 상에 제공하는 데, 이와같이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에 대한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른한편, 형상 부호화 블록(108)은, 라인 L12를 통해 모드 추출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BAB내 모든 이진 화소값들에 대해 기부호화된 현재 프레임의 콘텍스트값(현재 콘텍스트값) 및/또는 이전 프레임의 콘텍스트값(이전 콘텍스트값)을 이용하여 한 화소 단위로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이진 화소값들을 라인 L16을 통해 데이터 MUX(110)로 제공하는 데, 이러한 형상 부호화 블록(108)에서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참조하여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산술 부호화하는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MUX(110)에서는 라인 L13 상의 부호화된 BAB 모드 신호와 라인 L16 상의 부호화된 BAB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도시 생략된 전송기로 전송, 예를들면 각 BAB의 부호화된 BAB 모드 신호와 각 BAB의 부호화된 데이터(BAB내의 이진 화소값들)를 연속적으로 순차 다중화하여 전송기로 전송한다. 이때, 내용 정보(BAB내의 이진 화소값들)를 부호화할 필요가 없는 BAB인 경우 해당 BAB에 대한 부호화된 모드 신호만이 전송될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참조하여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적응적으로 산술 부호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부호화할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전술한 종래 방법에서와 같이 행 또는 열 방향으로하여 순차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방향으로하여 순차 부호화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지그재그 형태의 순차 부호화를 통해 부호화에 이용되는 콘텍스트를 구성할 때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고려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인트라 CAE 모드시에 이용되는 현재 콘텍스트는, 일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목표 화소(n13)의 좌하 방향에 있는 화소값(n12)을 하나 더 포함하고, 인터 CAE 모드시에 이용되는 현재 콘텍스트 또한, 일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목표 화소(n13)의 좌하 방향에 있는 화소값(n12)을 하나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텍스트 기반 부호화에서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산술 부호화함으로써, 이진 형상 신호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콘텍스트 발생 블록(106)과 형상 부호화 블록(108)으로 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써, 콘택스트 발생 블록(106)은 재구성 블록(1060), 보더 영역 생성 블록(1062) 및 콘텍스트 결정 블록(1064)을 포함하고, 형상 부호화 블록(108)은 스캐닝 블록(1080), 목표 화소 결정 블록(1082), 확률 테이블(1084) 및 산술 부호화 블록(1086)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닝 블록(1080)에서는 라인 L12를 통해 도 1의 모드 추출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호고자 하는 BAB의 이진 화소값들을, 일예로서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좌상단 화소값에서부터 점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지그재그 스캐닝을 수행하여 다음단의 목표 화소 결정 블록(1082)으로 전달하며, 목표 화소 결정 블록(1082)에서는 부호화해야 할 목표 화소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목표 화소값을 라인 L21을 통해 산술 부호화 블록(1086) 및 콘텍스트 결정 블록(1064)으로 전달한다.
또한, 재구성 블록(1060)에서는 라인 L11 상의 각 모드 신호(SSSS) 또는 라인 L12 상의 BAB내 이진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또는 이전 프레임)을 재구성하며, 여기에서 재구성되는 BAB는 다음단의 보더 영역 생성 블록(1062)으로 제공된다.
다음에, 보더 영역 생성 블록(1062)은,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16×16의 BAB(A)에 대해 확장된 보더 영역(B1, B2)을 갖는 18×18의 확장 BAB로 변환하여 콘텍스트 결정 블록(1064)으로 제공하는 데, 이때 확장되는 보더 영역내 화소값들중 BAB(A)의 상측 및 좌측 부분의 화소값들(B1)은 현재 프레임의 기부호화된 인접 BAB의 대응 화소값들로 채워지고, 아직 존재하지 않는(즉, 부호화되지 않은) 우측 및 하측 부분의 화소값들(B2)은 모두 제로(0)값으로 채우는 기법을 통해 생성하거나 혹은 본 출원인에 의해 1997년 9월 2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형태 부호화를 위한 보더 화소 예측 장치 및 방법”의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기법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특허 출원 제97-49176호)
여기에서, BAB(A)를 보더 영역(B1, B2)을 갖는 확장 BAB로 변환시키는 것은 BAB내 이진 화소값을 산술 부호화할 때 필요로하는 콘텍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들어 인트라 모드 부호화에서 현재 부호화될 이진 화소값이 도 4의 n1이라고 가정할 때 이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현재 콘텍스트값은 도 4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부호 x와 같이 될 것이다.
한편, 콘텍스트 결정 블록(1064)에서는 라인 L21을 통해 목표 화소 결정 블록(1082)으로부터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값이 제공될 때 해당 목표 화소값에 대응하는 콘텍스트값을 결정하여 라인 L23을 통해 산술 부호화 블록(1086)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부호화 모드가 인트라 CAE 모드일 때 기부호화된 현재 프레임내에서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현재 콘텍스트값(목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들로 구성된 콘텍스트값)을 결정하여 라인 L23 상에 발생하고, 현재 부호화 모드가 인터 CAE 모드일 때 기부호화된 현재 프레임내에서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현재 콘텍스트값과 이전 프레임내 목표 화소에 대응하는 이전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들로 구성된 이전 콘텍스트값을 각각 결정하여 라인 L23 상에 발생한다.
이때, 인트라 모드 부호화에서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되는 현재 콘텍스트 및 인터 모드 부호화에서 결정되는 현재 콘텍스트는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와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목표 화소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접 화소들로 각각 구성된다. 즉, 일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트라 모드에서 부호화될 목표 화소가 n13인 경우 현재 콘텍스트는 목표 화소(n13)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화소(n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접 화소들(n4, n9, n3, n5, n8, n14, n17, n2, n6, n7)로 구성되며, 인터 모드에서 부호화될 목표 화소가 n13인 경우 현재 콘텍스트는 목표 화소(n13)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화소(n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접 화소들(n9, n5, n8, n1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n12의 이진 화소는 종래 방법에 따라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아직 부호화되지 않은 미래 화소로서 존재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순차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n13의 이진 화소에 앞서 먼저 부호화된 이진 화소로써 존재하기 때문에 콘텍스트를 구성하는 화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가 BAB의 상측에서 좌하측으로 내려오는 위치에 존재하는 화소, 예를들어 도 3에 도시된 BAB에서 목표 화소가 n17인 경우라 가정할 때, n17 목표 화소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n18의 화소(즉, n17 화소의 콘텍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진 화소중 한 이진 화소)는 아직 부호화되지 않은 미래 화소이므로 아직 화소값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규정되지 않은 n18의 화소값은 그 상측에 위치하는 기부호화된 n14 화소값으로 대체(복사)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규정함으로써 목표 화소(n17)의 콘텍스트를 구성하는 화소로써 이용할 수 있다.
다른한편, 확률 테이블(1084)에는 각 이진 화소의 확률 분포에 따른 확률값들이 저장되는 데, 산술 부호화 블록(1086)에서는 라인 L21을 통해 목표 화소가 제공되고 라인 L23을 통해 콘텍스트값이 제공될 때, 다수의 인접 화소로 구성된 콘텍스트의 확률 정보에 의거하여 목표 화소에 대한 확률값을 각각 산출하고, 이 산출된 확률값을, 예를들면 2진 산술 코드(binary arithmetic code)를 사용하여 부호화하며, 이와같이 부호화된 확률값들은 원격지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라인 L16을 통해 도 1의 데이터 MUX(110)로 전달된다.
이때, 산술 부호화 블록(1086)에서는, 현재 부호화 모드가 인트라 모드일 때 목표 화소에 대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은 인접 화소 구성을 현재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그 확률값을 산출하고, 현재 부호화 모드가 인터 모드일 때 목표 화소에 대해 도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같은 인접 화소 구성을 현재 콘텍스트 및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그 확률값을 산출한다.
따라서, 도 1의 데이터 MUX(110)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모드 부호화 블록(104)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BAB 모드 신호와 도 2의 산술 부호화 블록(1086)에서 제공되는 부호화된 BAB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도시 생략된 전송기로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프레임에서 추출한 이진 형상 신호내 이진 화소값들을 콘텍스트(현재 콘텍스트 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산술 부호화할 때,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BAB내 이진 화소들의 부호화 순서를 결정하고,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와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동시에 충족하도록 콘텍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이진 형상 신호의 부호화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영상 프레임에서 분리된 이진 형상 신호를 M×M의 이진 알파 블록(BAB)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BAB를 그 특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와 부호화할 BAB의 이진 화소값들인 내용 정보로 분류하여 부호화하는 복합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상기 내용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할 M×M의 현재 BAB를 좌상측으로부터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들을 순차 결정하는 목표 화소 결정 수단;
    상기 다수의 모드 신호 및 부호화할 M×M BAB의 이진 화소값들에 의거하여 현재 형상 프레임 또는 이전 형상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재구성 블록;
    재구성된 상기 M×M 현재 BAB를 각 주변에 걸쳐 보더 영역을 갖는 N×N의 확장 현재 BAB로 변환시키는 보더 영역 생성 블록;
    부호화를 위한 목표 화소가 결정될 때,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인접하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기설정된 이진 화소로 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프레임내 대응하는 위치의 기설정된 다수의 화소들로 된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되는 현재 콘텍스트가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충족시키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들로 구성되는 콘텍스트 결정 블록; 및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한 확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확률값을 산술 부호화하는 산술 부호화 블록으로 이루어진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BAB 는 16×16 이고, 상기 확장 현재 BAB는 18×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콘텍스트가 부호화되지 않은 미래 이진 화소를 포함할 때, 상기 미래 이진 화소는 상기 현재 콘텍스트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값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4. 영상 프레임에서 분리된 이진 형상 신호를 M×M의 이진 알파 블록(BAB)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BAB를 그 특성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다수의 모드 신호와 부호화할 BAB의 이진 화소값들인 내용 정보로 분류하여 부호화하는 복합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상기 내용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할 M×M의 현재 BAB를 좌상측으로부터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화소들을 순차 결정하는 제 1 과정;
    상기 M×M 현재 BAB를 각 주변에 걸쳐 보더 영역을 갖는 N×N의 확장 현재 BAB로 변환시키는 제 2 과정;
    인트라 부호화 모드 또는 인터 부호화 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인접하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기설정된 이진 화소로 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프레임내 대응하는 위치의 기설정된 다수의 화소들로 된 이전 콘텍스트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되는 현재 콘텍스트가 수직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 및 수평 성분의 화소간 상관도를 충족시키는 상기 확장 현재 BAB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들로 구성되는 제 3 과정;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에 부호화되지 않은 미래 이진 화소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4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생성된 현재 콘텍스트내에 상기 미래 이진 화소가 존재할 때, 상기 미래 이진 화소를 상기 현재 콘텍스트내 인접하는 이진 화소값으로 충전시켜 갱신된 현재 콘텍스트를 생성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생성된 또는 갱신된 현재 콘텍스트 및/또는 이전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목표 화소에 대한 확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확률값을 산술 부호화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진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KR1019980014639A 1998-02-24 1998-04-24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KR1003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639A KR100303085B1 (ko) 1998-04-24 1998-04-24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US09/217,605 US6263115B1 (en) 1998-02-24 1998-12-22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GB9828601A GB2336737B (en) 1998-04-24 1998-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JP37239898A JP3877892B2 (ja) 1998-04-24 1998-12-28 2値形状信号符号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639A KR100303085B1 (ko) 1998-04-24 1998-04-24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988A true KR19990080988A (ko) 1999-11-15
KR100303085B1 KR100303085B1 (ko) 2001-09-24

Family

ID=1953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639A KR100303085B1 (ko) 1998-02-24 1998-04-24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63115B1 (ko)
JP (1) JP3877892B2 (ko)
KR (1) KR100303085B1 (ko)
GB (1) GB2336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6701B2 (en) * 2001-09-14 2005-02-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N1874509B (zh) * 2001-09-14 2014-01-15 诺基亚有限公司 基于上下文的自适应二进制算术编码的方法和系统
EP1322117A1 (fr) * 2001-12-06 2003-06-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de codage/décodage arithmétique
US7978769B2 (en) 2003-06-30 2011-07-12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motion information
US7379608B2 (en) * 2003-12-04 2008-05-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rithmetic coding for transforming video and picture data units
US7599435B2 (en) 2004-01-30 2009-10-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ideo frame encoding and decoding
US7586924B2 (en) 2004-02-27 2009-09-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an information signal into a data stream, converting the data stream and decoding the data stream
EP2096439A4 (en) * 2006-12-21 2011-01-05 Ajinomoto Kk METHOD, APPARATUS,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EVALUATING COLORECTAL CANCER, AND RECORDING MEDIUM
US8082426B2 (en) * 2008-11-06 2011-12-20 Via Technologies, Inc. Support of a plurality of graphic processing units
US9363510B2 (en) * 2012-03-02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can-based sliding window in context derivation for transform coefficient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86B1 (ko) * 1992-05-28 1995-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산술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5841900A (en) * 1996-01-11 1998-11-24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graph-based table recognition
US5974184A (en) * 1997-03-07 1999-10-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Intra-macroblock DC and AC coefficient prediction for interlaced digital video
US5880688A (en) 1997-04-09 1999-03-09 Hewlett-Packard Company Arithmetic coding context model that adapts to the amount of data
JPH1169356A (ja) * 1997-08-25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像符号化方式及び動画像復号方式
KR100255754B1 (ko) * 1997-08-30 2000-05-01 전주범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방법
GB2333412B (en) * 1998-01-20 2002-05-15 Daewoo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deco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63115B1 (en) 2001-07-17
GB2336737B (en) 2002-03-27
JPH11313212A (ja) 1999-11-09
JP3877892B2 (ja) 2007-02-07
GB9828601D0 (en) 1999-02-17
KR100303085B1 (ko) 2001-09-24
GB2336737A (en) 199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070B1 (ko)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KR100281462B1 (ko) 격행 부호화에서 이진 형상 신호의 움직임 벡터 부호화 방법
US60942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ode signals for use in a binary shape coder
US5973743A (en) Mod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n interlaced shape coder
KR100209412B1 (ko) 비디오 신호의 유호 색차 성분 부호화 방법
US61280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ary shape encoding
US5978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motion vector based on the number of valid reference motion vectors
KR100281329B1 (ko) 이진 형상 신호의 모드 신호 부호화 방법 및 그 복원 방법
KR100303085B1 (ko) 이진형상신호부호화장치및방법
US6133955A (en) Method for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US58811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signal by using the contour signal thereof
KR100281322B1 (ko)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US6049567A (en) Mode coding method in a binary shape encoding
EP080940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mum grid for use in a block-based video signal coding system
EP0891092B1 (en) Method for restoring a binary shape signal
EP091400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oding a binary shape signal
EP0923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KR100291719B1 (ko) 이진 형상 신호의 움직임 벡터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476386B1 (ko) 신축형대상물영상의스캔인터리빙방법및이를이용한mpeg-4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방법
KR100477795B1 (ko) 이진모양정보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시부가정보부호화방법
KR100283579B1 (ko) 격행형상코더에사용하기위한모드코딩방법및장치
KR100476387B1 (ko) 신축형대상물영상의스캔인터리빙방법및이를이용한mpeg-4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방법
KR100275273B1 (ko) 이진 형상 코더에 사용하기 위한 모드 신호 엔코딩 방법 및장치
KR20000021867A (ko) 이진 형상 신호의 움직임 벡터 부호화 방법
KR19990027349A (ko) 영상정보 변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