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792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연속적인 패킷데이터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연속적인 패킷데이터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792A
KR19990080792A KR1019980014275A KR19980014275A KR19990080792A KR 19990080792 A KR19990080792 A KR 19990080792A KR 1019980014275 A KR1019980014275 A KR 1019980014275A KR 19980014275 A KR19980014275 A KR 19980014275A KR 19990080792 A KR19990080792 A KR 1999008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station
received
base station
sd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117B1 (ko
Inventor
구창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1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17B1/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RU99126504A priority patent/RU2210868C2/ru
Priority to BR9906310A priority patent/BR9906310A/pt
Priority to CA 2290584 priority patent/CA2290584C/en
Priority to AU33453/99A priority patent/AU729819B2/en
Priority to EP19990914786 priority patent/EP0988722A1/en
Priority to US09/291,387 priority patent/US6845089B1/en
Priority to CN99800530A priority patent/CN1130858C/zh
Priority to PCT/KR1999/000176 priority patent/WO1999053631A1/en
Priority to JP55153199A priority patent/JP3381795B2/ja
Publication of KR1999008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은, 역방향 공용채널을 논리적인 전용채널인 지정화 공용채널로 설정하고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이동국에서 발생된 긴 버스트메시지를 소정 단위로 세그멘트하고 세그멘트한 메시지들을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세지들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연속적인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3G(3rd Generation) IS-95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과 기지국(Base Station: BS) 사이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선로는 크게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향하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반대로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링크(reverse link)로 구별된다. 또한 음성 호가 설정되기 전에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용채널(common channel)인 호출채널(paging channel)과 접근채널(access channel)(이하 "역방향 공용채널"이라고도 칭함)이 사용된다. 기지국 4에서 이동국 2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4는 호출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근채널을 통해 이동국 2로부터의 응답을 받는다. 그리고, 이동국 2에서 기지국 4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이동국 2는 접근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출채널을 통해 기지국 4로부터의 응답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호출채널과 접근채널은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호출채널은 월시코드(walsh code)에 의해 구별되고, 접근채널은 롱코드(long code)에 의해서 구별된다.
현재 3G IS-95에서는 종래의 방식에서 제공하던 음성 통신인 경우에는 크게 불편한 점을 느끼지 않지만, 긴 버스트(burst)구간과 휴지(idle)구간이 존재하는 대용량의 패킷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는 RLP(Radio Link Protocol) 전송방식을, 짧은 버스트 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는 RBP(Radio Burst Protocal)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지만, 충분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지 못한다. 특히 3G IS-95의 도먼트상태(dormant state)에서 수행되는 RBP전송방식에서는 한 개의 SDB(Short Data Burst)를 전송한 후 ACK(acknowledge)신호 및 NACK(negative acknowledge)신호를 수신한 후 이전 보냈던 한 개의 SDB프레임을 재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SDB프레임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인해 응답시간 및 이득률이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상기 RBP전송방식은 도먼트 상태의 버스트 부 상태(burst sub-state)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송효율이 나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방식은 RLP전송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패킷길이를 갖는 RBP전송프로토콜이 역방향 공용채널을 이용하므로 전송응답이 느리고 신뢰성이 낮다. 특히 한개의 SDB프레임을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한 후 또 다른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상당히 지연시간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연속적으로 긴 버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먼트 상태에서 연속적인 SDB(Short Data Burst)메시지를 전송가능케 하는 전이중방식의 RBP전송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지정화된 역방향공용채널에 초기의 시스템 접속 전력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전력제어를 수행한 경우 긴 버스트 구간의 RBP전송을 가능케해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전송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먼트 상태 또는 서스펜디드 상태(suspended state)에서도 제어유지상태(control hold state)와 동작상태(active state)를 거치면서 제어채널을 설정하여 RLP프로토콜을 구성하는 동작없이, 연속적으로 버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논리적인 전용채널인 지정화 공용채널로 설정하고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이동국에서 발생된 긴 버스트메시지를 소정 단위로 세그멘트하고 세그멘트한 메시지들을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세지들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a는 현재 3G IS-95방식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통신시 도먼트상태의 버스트 부상태에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통해 짧은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 SDB)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국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1b는 현재 3G IS-95방식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통신시 도먼트상태의 버스트 부상태에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통해 짧은 데이터 버스트(SDB)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송수신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RBP프로토콜에 사용되는 SDB프레임 구조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RBP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응답프레임 구조도,
도 4a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NACK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4b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NACK 신호를 손실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4c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이동국이 전송한 SDB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5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이동국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7a는 수신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NACK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7b는 수신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손실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7c는 수신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이동국이 전송한 SDB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 흐름도,
도 8은 수신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이동국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수신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음성 호 설정전 이동국과 기지국이 사용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통신 시스템의 패킷 서비스의 상태(MAC state) 천이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1을 참조하여 통신시스템의 패킷 서비스상태 천이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의 패킷 서비스의 상태(MAC state) 천이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패킷서비스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 널 상태(Packet Null state),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 동작 상태(Active state), 제어유지 상태(Control hold state), 서스펜디드 상태(Suspended state),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 재연결 상태(Reconnect stat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어유지 상태, 동작 상태, 서스펜디드 상태에서는 패킷 서비스 옵션(packet service option)이 연결되어있으며, 나머지 상태들에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패킷 널 상태는 패킷 서비스의 활성화 이전의 디폴트(default) 상태이다.
상기 패킷 널 상태에서 패킷서비스 요청이 발생되면, 초기화 상태로 천이되어 패킷서비스의 연결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이 설정되면 제어유지 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전용제어채널은 RLP(Radio Link Protocol)와 PPP(Point-to- Point Protocol)를 초기화 하는데 필요하다. 이후 동작 상태로 천이되면, 순방향 및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및 트래픽 채널이 유지되고, 상기 채널들을 통해 RLP 프레임을 주고 받는다. 이때 상기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이동국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비활동 시간이 발생되는 경우 패킷 서비스는 서스펜디드 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서스펜디드 모드가 되면 전용채널(제어채널 및 트래픽 채널)들이 해제된 상태이지만, 기지국과 이동국이 모두 RLP 상태, 트래픽 채널 배치, 암호화 변수 등을 포함한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빨리 전용제어채널 및 전용트래픽채널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서스펜디드 상태인 동안 상기 이동국은 순방향 선로인 패킷호출채널(Packet Paging Channel)을 모니터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에 의해 서스펜디드 상태에서 제어유지 상태로의 천이는 전용제어채널이 설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서스팬디드 상태에서 패킷이 일정시간 수신되지 않으면 도먼트상태로 천이한다. 도먼트상태는 PPP만 유지되고 패킷서비스 옵션, 제어채널, 트래픽채널 및 RLP상태 등이 해제된 상태로서 도먼트 아이들 부 상태(idle sub-state)와 버스트 부 상태(burst sub-state)로 이루어진다. 도먼트상태에서 PPP가 해제되면 패킷 널 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현재 3G IS-95방식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지국 4와 이동국 2 간의 통신시 도먼트상태의 버스트 부상태(burst sub-state)에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통해 짧은 데이터 버스트(SDB)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국 2에서의 동작 흐름도 및 상기 짧은 데이터 버스트(SDB)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4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국 2는 역방향 공용채널(접근채널)을 한개의 SDB프레임을 전송한 후 기지국 4로부터 호출채널을 통하여 ACK신호를 수신하면 전송에 성공한 것이고, NACK신호 또는 응답메시지를 일정시간 즉, 타이머 T_RBP가 만료되기 전까지 수신하지 못하면 전송에 실패한 것이다. 한편, 기지국 4는 역방향 공용채널(접근채널)을 통해 수신한 SDB프레임을 CRC(Cyclic Redundancy Code) 체크한 후 ACK신호 또는 NACK신호를 호출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도 1a,b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국 2는 도 1a의 100단계에서와 같이, 한개의 SDB프레임을 역방향 공용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동시에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다. 한편 기지국 4에서는 도 1b의 112단계에서 상기 역방향 공용채널을 통해 한개의 SDB프레임이 수신되는가를 체크하고, 만약 수신되면 114단계 및 116단계에서 상기 SDB프레임에 대한 CRC체크를 수행하여 오류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성공을 알리는 ACK신호를 호출채널을 통해 이동국 2로 전송해 준다. 그리고 만약 CRC 오류가 발생하면 120단계에서 NACK신호 또는 전송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 2로 전송해 준다.
한편 이동국 2는 도 1a의 102단계 및 104단계, 108단계에서 타이머 T_RBP만료전 ACK신호 또는 NACK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T_RBP만료전 ACK신호가 수신되면 106단계에서 전송할 다른 SDB프레임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존재하면 도 1a의 100단계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그렇지만 존재하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102단계 및 104단계의 판단에서 타이머 T_RBP만료전에 NACK신호 또는 전송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ACK신호, NACK신호 및 전송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타이머 T_RBP가 만료 후에도 전송되지 않으면 이동국 2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전송한 SDB프레임을 재전송하고 타이머 T_RBP를 재구동시킨다. 그후 102단계로부터의 단계들을 다시 수행한다.
도 2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함께 전술한 바와 있는 이동국 2와 기지국 4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프로토콜 흐름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a,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3G IS-95에서 사용하던 RBP전송프로토콜을 개선하여 긴 버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용채널의 지정화(designation)와 지정화된 채널의 전력제어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공용채널의 지정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정 기성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1998년 4월 13일자로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고, 지정화된 채널의 전력제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자 최 진우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본 발명과 동일자로 제출되는 특허 출원번호 제 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호에 개시된 공용채널의 지정화(designation)에 대해,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프레임보다 긴 메시지가 발생하면 역방향 공용채널을 지정화하여 논리적인 전용채널(이하 "지정화 공용채널(designated common channel)"이라 칭함)이 되게 하고, 긴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국 2는 전송할 메시지가 발생하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한번에 전송할 수 있으면 종래의 RBP방식을 이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긴 메시지를 프레임단위로 분할하고(segment), 프레임메시지에 모아메시지플래그(more message flag) 및 지정요구플래그(designation request flag)를 셋트(set)하여 기지국 4로 전송한다. 기지국 4는 이동국 2로부터 프레임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모아메시지플래그 및 지정요구플래그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모아메시지플래그 또는 지정요구플래그가 클리어(clear)되어 있으면 지정플래그(designation flag)를 클리어하여 인식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모아메시지플래그 또는 지정요구플래그가 셋트되어 있으면 지정할 수 있는 채널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채널이 있으면 그 채널을 지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지정된 채널의 사용기간과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인식메시지를 상기 이동국 2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호에 개시된 지정화된 채널의 전력제어 방식에 대해 요지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연속적인 SDB프레임을 기지국 4가 수신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 4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상기 특허 제 호에서 설명한 채널 지정화(designation) 여부 이외에도, 전력제어를 하는지의 여부와 전력제어를 할 경우 공용전력제어채널(common power control channel)의 월시번호(walsh number)와 전력제어신호의 위치 즉, 슬롯인덱스(slot index)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동국 2로부터의 지정화된 채널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기지국 4는 전력제어 전용채널을 통해서 일정한 주기로 정해진 위치에 전력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국 2는 상기 응답 메세지에 있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지정화된 채널을 통해서 일정한 시간동안 프리엠블(preamble)을 전송해서 기지국 4와 이동국 2 사이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이후에 이동국 2는 전송할 메시지를 지정화 공용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때에도 기지국 4는 공용 전력제어 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전력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국 2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두가지의 채널 조건(즉, 공용채널의 지정화와 지정화된 채널의 전력제어)이 만족되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연속적인 SDB메시지를 전송하는 RBP프로토콜을 수행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SDB메시지를 전송하는 RBP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구조의 SDB프레임과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프레임이 요구된다. 상기 SDB프레임은 이동국 2에 의해서 전송되고, 상기 응답프레임은 기지국 4에 의해서 전송된다.
도 3a의 SDB프레임 구조는 SDB 순수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 10과 송신SDB 시이퀀스필드(transmitted SDB sequence field) 12 및 모아플래그필드(more flag field) 14로 구성되어 있다. SDB 순수 사용자 데이터 필드 14의 뒤에 위치하는 송신SDB 시이퀀스필드 12는 연속적으로 이동국 2에서 전송할 SDB프레임의 순서(sequence) 정보가 기록되고, 모아플래그 필드 14는 현재 전송한 SDB프레임 뒤를 이어서 전송할 SDB프레임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가 기록된다. 도 3b의 응답프레임 구조는 응답필드 20과 수신SDB 시이퀀스필드 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답필드 20은 기지국 4가 수신한 메시지의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 수신여부를 이동국 2로 알려주기 위한 정보(ACK와 NACK)가 기록된다. 상기 수신SDB 시이퀀스필드 22는 현재 수신한 SDB프레임의 순서(sequence)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도 3a의 송신SDB시이퀀스 필드 12와 도 3b의 수신SDB 시이퀀스필드 22는 서로 동일한 비트로 결정된다.
연속적으로 SDB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 4의 응답상태에 따라서 하기와 같은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지국 4에서 오류발생을 체크했을 때에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이동국 2로부터 수신한 모든 SDB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ACK 또는 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 4a,b,c 및 도 5, 도 6은 기지국 4에서 오류발생을 체크했을 때에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상기의 첫번째 방식에 관련된 도면들이고, 도 7a,b,c 및 도 8, 도 9는 이동국 2로부터 수신한 모든 SDB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ACK 또는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의 두번째 방식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먼저 기지국 4에서 오류발생을 체크했을 때에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동작 설명을 도 3a,b, 도 4a,b,c 및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시간 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NACK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동국 2는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SDB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에 기지국 4로부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받는다. 이때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NACK신호로 수신되면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수신SDB 시이퀀스필드 22를 검색하여 오류가 발생되어 전송되었던 SDB프레임을 알아내고, 그 SDB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이 기지국 4의 제어에 의해 해제되고, 그후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 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4b는 기지국 4에서 NACK신호를 전송했으나 무선환경의 특성에 의해서 이동국 2에서 상기 NACK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 4는 이동국 2에서 전송한 SDB프레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발생된 SDM프레임에 해당하는 수신SDB 시이퀀스를 마킹하여 NACK신호를 송신하고 타이머 T_NACK를 구동시킨다. NACK신호에 마킹되어 전송된 수신SDB 시이퀀스에 해당하는 이동국 2의 SDB프레임이 상기 타이머 T_NACK 만료 전까지 수신되지 않으면 기지국 4는 자신이 전송한 NACK신호가 손실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전송한 NACK신호를 재 전송한다. 이동국 2는 NACK신호를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전송한 SDB프레임이 전송 성공된 것으로 간주하며 단지, 기지국 4로부터의 NACK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만 NACK신호에 마킹된 수신SDB 시이퀀스의 SDB프레임을 재전송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연속적인 SDB프레임들이 모두 전송되어져 연속적인 RBP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은 기지국 4에 의해서 해제되고, 그후 상기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4c는 이동국 2에서 전송한 SDB 프레임이 전송중 손실되어 기지국 4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의 오류복구 과정을 나타낸다. 기지국 4는 한 개의 SDB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SDB프레임내에 있는 모아플래그필드 14를 검사한다. 만약 모아플래그가 셋트되어 있으면 타이머 T_SDB를 구동시키고 이동국 2에서 전송될 다음 SDB프레임을 기다린다. 그러나 타이머 T_SDB가 만료되기 전까지 SDB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가장 마지막으로 재전송없이 수신한 SDB 프레임의 송신SDB 시이퀀스의 다음 시이퀀스를 수신SDB 시이퀀스로 마킹하여 NACK신호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이동국 2는 NACK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까지는 자신이 전송한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연속적인 SDB프레임들이 모두 전송되어져 연속적인 RBP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은 기지국 4에 의해서 해제되고, 그후 상기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5와 도 6은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 설명한 시간흐름에 대한 송수신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이동국 2와 기지국 4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는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이동국 2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6은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기지국 4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에서 이동국 2와 기지국 4에서의 제어동작을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국 2는 도 5의 200단계와 같이 전송할 SDB메시지가 발생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DB메시지가 2개 프레임 이상으로 전송되어야 할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202단계의 판단에서 만약 2개 프레임 이상으로 전송되어야 할 메시지가 아니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RBP전송방식으로 상기 발생된 SDB메시지를 기지국 4로 전송한다. 그렇지만 상기 202단계의 판단에서 만약 2개 프레임 이상으로 전송되어야할 메시지이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 4로 지정화 공용채널 설정 요구를 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 4는 도 6의 300단계에서와 같이, 이동국 2로부터 전송된 지정화 공용채널 설정요구를 수신하게 되면 302단계로 진행한다. 기지국 4는 302단계에서 공용채널 수용가능하지를 검사한다. 만약 수용가능하지 않으면 304단계와 같이 지정플래그(designation flag)를 클리어시킨 메시지를 이동국 2로 전송하고, 만약 수용가능하면 306단계와 같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설정한다. 그리고 지정플래그 셋트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 2로 전송한다.
이동국 2는 도 5의 208단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에서 지정플래그가 셋트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셋트되어있지 않으면 도 5의 206단계로 되돌아가서 지정화 공용채널 설정요구를 다시하게 된다. 그렇지만 지정플래그가 셋트되었으면 이동국 2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할 SDB메시지를 세그멘트한다. 세그멘트된 SDB는 도 3a에 도시된 SDB사용자데이터필드 10에 기록되는 SDB사용자데이터이다. 상기 SDB메시지를 세그멘트한 후 이동국 2는 210단계에서 도 3a의 모아플래그필드 14에 모아플래그를 셋트되게 마킹하고 송신SDB 시이퀀스필드 12에 송신SDB 시이퀀스정보를 마킹한다. 만약 상기 SDB메시지의 세그멘트가 마지막 세그멘트이면 상기 모아플래그필드 14에는 모아가 플래그가 리셋되게 마킹된다. 이동국 2는 214단계에서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기지국 4로부터 전송되는지를 판단하고 전송되지 않으면, 222단계에서 상기 마킹된 모아플래그 및 송신SDB 시이퀀스와 SDB 순수 사용자데이터가 포함된 현재의 SDB프레임 한개를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통해 기지국 4로 전송한다. 그후 218단계에서 상기 전송한 SDB프레임이 SDB메시지의 마지막 세그멘트인가를 판단하고, 아니면 전술한 210단계로 되돌아 가서 거기서 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 4는 도 6의 308단계에서 SDB프레임이 수신되는가를 판단하고 수신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SDB프레임에 대한 CRC체크를 수행하여 오류가 발생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지국 4는 312단계를 진행하여 수신된 SDB프레임이 NACK신호에 의해 재전송된 SDB프레임인가를 판단하고 아니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SDB프레임인가를 판단한다. 마지막 SDB프레임이 아니면 3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SDB프레임내에 모아플래그가 셋트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모아플래그가 셋트되었으면 318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 T_SDB를 구동시킨 후 328단계로 진행하고, 셋트되지 않았으면 바로 3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타이머 T_SDB를 구동시키는 것은 이후 SDB프레임들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오류복구를 하기 위함이다. 328단계에서는 타이머 T_NACK가 만료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타이머 T_NACK는 기지국 4가 NACK신호를 보낼 때 구동되므로 정상적으로 SDB프레임이 수신되면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지국 다시 308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수행한다.
우선 기지국 4에서의 전술한 동작을 살펴보면, SDB프레임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기지국 4는 이동국 2로 아무런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보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기지국 4는 전송에 성공한 SDB프레임 즉, SDB프레임(1)(2)(4)에 대해서는 아무런 응답프레임 메시지도 보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1)(2)(4)"의 표시는 전송에 성공한 SDB프레임의 시이퀀스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도 6의 310단계에서 수신한 SDB프레임에 CRC 오류가 발생하면 기지국 4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NACK신호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즉, 오류발생된 SDB프레임의 시이퀀스를 도 3b의 수신SDB 시이퀀스필드 22에 마킹하고, NACK신호를 응답필드 20에 마킹하여 응답메시지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도 4a에 도시된 일예를 들면, SDB프레임(3)이 오류가 발생되면 기지국 4는 NACK(3)의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보낸다. 여기서 "(3)"의 표시는 오류발생된 SDB프레임의 시이퀀스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지국 4는 316단계의 NACK(3)의 응답프레임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322단계에서 타이머 T_NACK를 구동시킨다. 기지국 4가 상기 타이머 T_NACK를 구동시키는 것은 도 4b의 경우와 같이 기지국 4에서 전송된 NACK신호가 이동국 2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을 경우 오류복구를 하기 위함이다.
한편 기지국 4로부터 도 4a에 도시한 NACK(3)신호가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이동국 2는 도 5의 214단계 및 22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221단계로 진행한다. 221단계에서는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SDB시이퀀스필드 22를 검색하고 222단계에서는 검색된 시이퀀스(도 4a의 일예에서는 "(3)")의 SDB프레임을 재전송한다. 도 4a에서 재전송된 SDB프레임(3)를 수신한 기지국 4가 다시 ACK(3)를 이동국 2로 전송해주는 것은 옵션(optionanl)이다. 그리고 이동국 2가 타이머 T_RBP 만료전에 ACK(3)이 수신되는가를 판단하는 것도 옵션이다. 일예로 재전송된 SDB프레임(3)을 수신한 기지국 4가 이동국 2에 타이머 T_RBP가 만료될 때까지 어떠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해 주지않아도, 이를 전송에 성공한 것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기지국 4가 수신한 SDB프레임(3)에 CRC오류가 있음을 체크하고 도 6의 320단계에서 NACK(3)신호를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동국 2가 NACK(3)신호가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 2는 이전에 전송한 SDB프레임들이 전송성공되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후의 SDB프레임을 계속 기지국 4로 전송하게 된다. 기지국 4는 도 6의 320단계와 322단계에서 NACK신호를 전송하고 타이머 T_NACK를 구동시킨 후, 상기 타이머 T_NACK가 만료될 때까지도 NACK신호에 따른 재전송된 SDB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도 6의 308단계 및 328단계), 330단계로 진행하여 NACK신호를 재마킹하여 이동국 2로 다시 전송한다. 그후 332단계에서 타이머 T_NACK를 다시 구동시킨다. 도 4b를 참조하면, 타이머 T_NACK(3)가 만료되면 기지국 4는 NACK(3)신호를 이동국 2로 다시 전송해 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4에서 타이머 T_SDB가 구동된 후 상기 타이머 T_SDB가 만료될 때까지도 이동국 2으로부터 SDB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도 6의 308단계 및 324단계), 기지국 4는 도 6의 326단계와 같이 재전송없이 수신한 최종 SDB프레임의 시이퀀스의 다음 시이퀸스로 수신 SDB시이퀀스를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수신SDB시이퀀스 필드 22에 마킹하여 NACK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그후 318단계에서 타이머 T_SDB를 구동시키고 328단계로 진행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타이머 T_SDB가 만료되면 기지국 4는 이전에 수신한 SDB프레임(3)의 다음 시퀀스 즉, "(4)"에 대응하는 NACK(4)신호를 이동국 2로 전송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SDB프레임들을 전송하다가 SDB메시지의 마지막 세그멘트가 되면, 이동국 2는 도 5의 218단계를 이를 판단하고 224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다. 그후 226단계에서와 같이 기지국 4로부터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기지국 4는 SDB프레임들이 계속 수신하다가 도 6의 314단계에서 마지막 SDB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면(모아플래그 리셋상태), 33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완료 ACK신호가 포함된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그후 336단계에서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해제하고, 338단계에서는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온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이동국 2는 도 5의 224단계에서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후 226단계 및 227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타이머 T_RBP가 만료될 때까지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238단계로 진행하여 최종 전송한 SDB프레임을 기지국 4로 재전송한다. 그렇지만 도 5의 224단계에서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후 상기 타이머 T_RBP가 만료전에 최종 전송한 SDB프레임에 대한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오면(226단계 및 228단계), 236단계로 진행하여 응답프레임메시지의 응답필드 20이 ACK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ACK상태가 아니면 NACK상태이므로 238단계로 진행하여 최종 전송한 SDB프레임을 기지국 4로 재전송한다.
한편 도 5의 224단계에서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후 상기 타이머 T_RBP가 만료전에 수신된 프레임이 최종 전송한 SDB프레임에 대한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아닌 다른 응답프레임 메시지이면(226단계 및 228단계), 이동국 2는 2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응답필드 20이 ACK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ACK상태가 아니면 NACK상태이므로 23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수신SDB 시이퀀스필드를 검색하여 시이퀀스정보를 알아내고, 234단계에서 알아낸 시이퀀스정보의 SDB프레임을 기지국 4로 재전송한다.
상기에 설명한 도 4a,4b,4c, 도 5 및 도 6은 오류가 발생한 SDB 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이동국 2로부터 수신한 모든 SDB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ACK 또는 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동작 설명을 도 3a,b, 도 7a,b,c 및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7, 도 7b, 도 7c, 도 8 및 9의 두 번째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은 기지국 4에 수신된 모든 SDB 프레임들 각각에 ACK 또는 NACK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동국 2와 기지국 4간의 시간흐름에 대한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과 이동국 2와 기지국 4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무오류(정상)로 수신된 SDB프레임에는 ACK를 전송하고 오류가 발생한 SDB프레임에 대해서만 NACK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흐름에 대한 송수신 메시지의 전송수순을 나타낸 것으로 특히, 기지국 4로부터 NACK신호를 수신했을 때 오류를 복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국 2는 전력제어된 지정화공용채널로 연속적으로 SDB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에 기지국 4로부터 응답프레임 메시지를 받는다. 이때 응답프레임 메시지가 NACK신호로 수신되면 NACK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수신 SDB시이퀀스필드 22를 검색하여 오류가 발생되었던 SDB프레임을 알아내고, 그 SDB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이 기지국 4에 의해서 해제되고, 그후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7b는 기지국 4에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전송했으나 무선환경의 특성에 의해서 이동국 2에서 ACK 또는 NACK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을 때의 오류복구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국 2는 SDB프레임을 전송하고 타이머 T_RBP를 구동시킨다. 이동국 2는 상기 타이머 T_RBP 만료 전까지 자신이 전송한 SDB 프레임의 시이퀀스가 마킹된 ACK 또는 NACK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신이 전송한 SDB 프레임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SDB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또는 상기 타이머 T_RBP 대신에 타이어 T_ACK를 구동시켜 기지국 4의 응답을 체크하여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연속적인 SDB프레임들이 모두 전송되어져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은 기지국 4에 의해서 해제되고, 구후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7c는 이동국 2에서 전송한 SDB 프레임이 전송중 손실되어 기지국 4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의 오류복구 과정을 나타낸다. 기지국 4는 한 개의 SDB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SDB프레임내 모아플래그필드 14를 검사한다. 만약 모아플래그가 셋트되어 있으면 타이머 T_SDB를 구동시키고 이동국 2에서 저송될 다음 SDB 프레임을 기다린다. 그러나 타이머 T_SDB가 만료되지 전까지 SDB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에 수신한 SDB 프레임의 송신SDB 시이퀀스의 다음 시이퀀스를 마킹하여 NACK 신호를 이동국 2로 전송한다. 이와같은 오류복구 기능은 이동국 2에서도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동국 2에서는 타이머 T_RBP가 만료되기 전까지 응답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신이 보낸 SDB프레임이 손실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SDB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연속적인 SDB프레임들이 모두 전송되어져 연속적인 RBP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은 기지국 4에 의해서 해제되고, 그후 기지국 4에서는 SDB의 시이퀀스에 의해서 수신된 SDB프레임들을 재조합하여 완전한 SDB메시지를 구성한다.
도 8과 도 9는 도 7a, 도 7b 및 도 7c에서 설명한 시간흐름에 대한 송수신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이동국 2와 기지국 4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국 2의 동작인 도 8은 기지국 4의 응답프레임 메시지의 응답필드 20을 검사하여, ACK인지 NACK인지를 구분하기 때문에 도 5의 동작과 일치한다. 즉 도 5의 200단계 내지 238단계까지의 동작은 도 8의 400단계 내지 438단계까지의 동작과 거의 유사하다. 그리고 기지국 4의 동작인 도 9는 도 6과는 달리 매 수신한 SDB프레임에 대해서 ACK 또는 NACK 신호를 전송하므로 ACK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가진다. 도 6의 310단계와 312단계 사이에는 수행단계가 없었지만, 도 9의 510단계와 512단계 사이에는 수신SDB시이퀀스가 마킹된 ACK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인 511단계를 더 가진다. 이외의 동작은 도 9의 500단계 내지 538단계는 도 6의 300단계 내지 338단계와 거의 유사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정화된 역방향공용채널에 초기의 시스템 접속 전력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전력제어를 수행한 경우 긴 버스트 구간의 RBP전송을 가능케해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전송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3G IS-95에서는 도먼트 상태에서만 RBP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먼트 상태뿐만 아니라 서스펜디드 상태(suspended state)에서도 제어유지상태(control hold state)와 동작상태(active state)를 거치면서 제어채널을 설정하여 RLP프로토콜을 구성하는 동작없이, 연속적으로 버스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응답시간을 매우 감소시켜 데이터 패킷의 전송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논리적인 전용채널인 지정화 공용채널로 설정하고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이동국에서 발생된 긴 버스트메시지를 소정 단위로 세그멘트하고 세그멘트한 메시지들을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들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세지들을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세그멘트 메시지에는 현재 전송메시지의 시이퀀스정보와 이어지는 메시지유무를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전송메시지 수신유무 정보와 상기 전송메시지의 시이퀀스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논리적인 전용채널인 지정화 공용채널로 설정하고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이동국에서 발생된 긴 버스트메시지를 소정 단위로 세그멘트하고 세그멘트한 메시지들을 상기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의 수신 오류시에 수신오류를 알리는 응답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오류를 알리는 응답메시지에 의거해 상기 이동국에서 수신오류된 전송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오류된 재전송메시지가 이전 전송메시지 수신후 미리 설정된 제1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메시지가 상기 제1시간내에 수신되면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정상을 알리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메시지에 대한 수신정상을 알리는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제2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이동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재전송메시지가 상기 제1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전송메시지 수신오류됨을 상기 이동국으로 재차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전송메시지 수신시 이전 전송메시지 수신후 미리 설정된 제2시간내에 이어지는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는 가를 상기 기지국이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지는 전송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 수신된 전송메시지의 시이퀀스정보를 이용해 전송실패된 전송메시지의 전송을 상기 이동국에게 요구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 버스트메시지의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응답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전송메시지에 대한 수신완료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제3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이동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완료 응답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제3시간내에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재차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긴 버스트메시지의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전송한 후 마지막 전송메시지외의 수신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 값에 따라 해당 전송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공용채널에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공용채널을 논리적인 전용채널인 지정화 공용채널로 설정하고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이동국에서 발생된 긴 버스트메시지를 소정 단위로 세그멘트하고 세그멘트한 메시지들을 상기 전력제어된 지정화 공용채널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의 수신 정상시 및 오류시마다 수신정상 및 수신오류를 알리는 응답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오류를 알리는 응답메시지에 의거해 상기 이동국에서 수신오류된 전송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오류된 재전송메시지가 이전 전송메시지 수신후 미리 설정된 제1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메시지가 상기 제1시간내에 수신되면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정상을 알리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메시지에 대한 수신정상을 알리는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제2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이동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재전송메시지가 상기 제1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전송메시지 수신오류됨을 상기 이동국으로 재차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전송메시지 수신시 이전 전송메시지 수신후 미리 설정된 제2시간내에 이어지는 전송메시지가 수신되는 가를 상기 기지국이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지는 전송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 수신된 전송메시지의 시이퀀스정보를 이용해 전송실패된 전송메시지의 전송을 상기 이동국에게 요구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긴 버스트메시지의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응답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전송메시지에 대한 수신완료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제3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이동국에서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완료 응답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제3시간내에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재차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긴 버스트메시지의 마지막 전송메시지를 전송한 후 마지막 전송메시지외의 수신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 값에 따라 해당 전송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4275A 1998-04-14 1998-04-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KR10034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275A KR100346117B1 (ko) 1998-04-14 1998-04-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BR9906310A BR9906310A (pt) 1998-04-14 1999-04-14 Processos de transmitir dados de usuário em um canal comum reverso com um canal dedicado reverso liberado, e de transmitir uma mensagem via grupos consecutivos em um canal comum reverso de uma estação móvel para uma estação base
CA 2290584 CA2290584C (en) 1998-04-14 1999-04-14 Method of continuously transmitting user data on a reverse comm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33453/99A AU729819B2 (en) 1998-04-14 1999-04-14 Method of continuously transmitting user data on a reverse comm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99126504A RU2210868C2 (ru) 1998-04-14 1999-04-14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льзователя на обратном общем канале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EP19990914786 EP0988722A1 (en) 1998-04-14 1999-04-14 Method of continuously transmitting user data on a reverse comm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09/291,387 US6845089B1 (en) 1998-04-14 1999-04-14 Method of continuously transmitting user data on a reverse comm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99800530A CN1130858C (zh) 1998-04-14 1999-04-14 移动通信系统中在反向公共信道连续发送用户数据的方法
PCT/KR1999/000176 WO1999053631A1 (en) 1998-04-14 1999-04-14 Method of continuously transmitting user data on a reverse comm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5153199A JP3381795B2 (ja) 1998-04-14 1999-04-14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逆方向共通チャネルにおける連続した使用者データ伝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275A KR100346117B1 (ko) 1998-04-14 1998-04-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792A true KR19990080792A (ko) 1999-11-15
KR100346117B1 KR100346117B1 (ko) 2002-10-19

Family

ID=1953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275A KR100346117B1 (ko) 1998-04-14 1998-04-14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45089B1 (ko)
EP (1) EP0988722A1 (ko)
JP (1) JP3381795B2 (ko)
KR (1) KR100346117B1 (ko)
CN (1) CN1130858C (ko)
AU (1) AU729819B2 (ko)
BR (1) BR9906310A (ko)
CA (1) CA2290584C (ko)
RU (1) RU2210868C2 (ko)
WO (1) WO19990536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19A (ko) * 2000-06-13 2001-12-20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패킷 데이타 서비스방법
KR100439619B1 (ko) * 2001-04-06 2004-07-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Cdma2000 ran에서의 공통 채널 패킷 데이터 서비스지원 방법
KR100469716B1 (ko) * 1999-07-1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2832B1 (en) * 1998-06-01 2001-04-24 Tantivy Communications, Inc. Fast Acquisition of traffic channels for a highly variable data rate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79523B2 (en) * 2000-02-07 2006-07-18 Ipr Licensing, Inc. Maintenance link using active/standby request channels
US7394791B2 (en) * 1997-12-17 2008-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7936728B2 (en) * 1997-12-17 2011-05-03 Tantiv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iming of synchronization messages over a reverse link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5923B2 (en) 1997-12-17 2016-12-20 Intel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8134980B2 (en) * 1998-06-01 2012-03-13 Ipr Licensing, Inc. Transmittal of heartbeat signal at a lower level than heartbeat request
RU2216107C2 (ru) * 1999-07-10 2003-11-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для назначения обратного общего канала для выделенной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U3673001A (en) 2000-02-07 2001-08-14 Tantivy Communications, Inc. Minimal maintenance link to support synchronization
US8223867B2 (en) * 2000-06-09 2012-07-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efficient channel coding
US7245931B2 (en) * 2000-09-15 2007-07-1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common channel for data communications
US8155096B1 (en) 2000-12-01 2012-04-10 Ipr Licensing Inc. Antenna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954448B2 (en) * 2001-02-01 2005-10-11 Ipr Licensing, Inc. Alternate channel for carrying selected message types
US7551663B1 (en) 2001-02-01 2009-06-23 Ipr Licensing, Inc. Use of correlation combination to achieve channel detection
US6937562B2 (en) 2001-02-05 2005-08-30 Ipr Licensing, Inc. Application specific traffic optimization in a wireless link
US7890129B2 (en) 2001-05-15 2011-02-15 Eric Ro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n idle mobile sta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5077B1 (ko) 2001-06-13 2007-01-09 탄티비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하트비트 요구보다 낮은 레벨로의 하트비트 신호의 전송
US7542482B2 (en) 2001-08-16 2009-06-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egmen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07428B2 (en) * 2001-08-16 2004-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reception of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39566B2 (en) 2001-08-16 2005-01-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reception of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79434B2 (en) 2001-10-19 2008-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171300B2 (en) 2002-04-30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US8254372B2 (en) * 2003-02-21 2012-08-28 Genband Us Llc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5009069A1 (en) * 2003-07-10 2005-0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anagement based on retransmission request performance
GB0316692D0 (en) * 2003-07-17 2003-08-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nhanced multi-path for mimo devices
US7773506B2 (en) * 2003-10-14 2010-08-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channels
US7990865B2 (en) * 2004-03-19 2011-08-02 Genband Us Llc Communicating processing capabilities along a communications path
US8027265B2 (en) * 2004-03-19 2011-09-27 Genband Us Llc Providing a capability list of a predefined forma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4692021B2 (ja) * 2004-04-15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の通信方法
EP1756824A1 (en) * 2004-06-02 2007-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20060045129A1 (en) * 2004-08-27 2006-03-02 Hart Thomas B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data delivery to mobiles using SDB signaling
US7729346B2 (en) * 2004-09-18 2010-06-01 Genband Inc. UMTS call handling methods and apparatus
US7830864B2 (en) * 2004-09-18 2010-11-09 Genband U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session switching for multiple wireline and wireless data types
KR101141645B1 (ko) * 2005-03-2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전송 제어 방법
US7792150B2 (en) 2005-08-19 2010-09-07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pporting transcoder-free operation in media gateway
US7835346B2 (en) * 2006-01-17 2010-11-16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transcoder free operation (TrFO) and interworking between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call legs using a media gateway
JP5242035B2 (ja) * 2006-10-03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および再送制御方法
EP2108193B1 (en) 2006-12-28 2018-08-15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ilence insertion descriptor (sid) conversion
JP4395521B2 (ja) 2007-01-04 2010-01-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2009164699A (ja) 2007-12-28 2009-07-23 Fujitsu Ltd 無線通信のデータ再送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る無線通信装置
US8238227B2 (en) * 2008-12-22 2012-08-07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oCA improved performance for short burst packets
US8904245B2 (en) 2009-05-04 2014-12-02 Apple Inc. Using a variable timer for sending an error indication
US8908541B2 (en) 2009-08-04 2014-12-09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telligent optimization of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esource utilization in a media gateway
RU2461136C2 (ru) * 2010-04-30 2012-09-10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Куделя Способ гарантированной доставки блоков данных в коммутируемой сети с потерями
JP2010233249A (ja) * 2010-06-16 2010-10-14 Fujitsu Ltd 無線通信のデータ再送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る無線通信装置
KR101615927B1 (ko) * 2010-06-22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드백 손실을 고려하는 다중 사용자 mimo 통신 시스템
CN102820959B (zh) * 2011-06-10 2015-08-26 哈尔滨工业大学 在Modbus主站与从站之间进行大数据量通信的方法
US9998209B2 (en) * 2013-08-31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Speed frame exchange rules
CN115426623B (zh) * 2022-08-30 2024-05-24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100B2 (ja) * 1989-09-19 1996-03-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無線制御チャネル構成方式
JP2845307B2 (ja) * 1993-02-10 1999-01-13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通信の通信中チャネル切り替え方法
US5517507A (en) * 1993-12-03 1996-05-14 Motorola, Inc. Notification by energy burst of messages with unacceptable quality
JPH0837686A (ja) * 1994-07-22 1996-02-06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電話システムのアクセス方法及び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アクセス方法
US5485463A (en) * 1994-09-09 1996-01-16 Glenayre Electronics, Inc. System for transmitting paging signals using time-division-multiplexing
DE69433872T2 (de) * 1994-10-26 2005-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diumzugriffssteuerungsschema für drahtlose lokale Netze mit verschachtelten Zeitmultiplexrahmen variabler Länge
US5673259A (en) * 1995-05-17 1997-09-30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channel for data services
US5878277A (en) * 1995-05-23 1999-03-02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t least two types of communication channels
EP1768439B1 (en) * 1995-09-20 2010-08-11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ccess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08530A (en) * 1995-12-14 2000-08-22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splayable message between short message entities in more than one data package
JP2912884B2 (ja) * 1995-12-14 1999-06-28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アクセス方法および移動局ならびに基地局
KR100204085B1 (ko) * 1996-04-29 1999-06-15 김동연 교통정보 수신이 가능한 무선호출기 및 그 운용 제어방법
FI103555B1 (fi) * 1996-06-17 1999-07-15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ystehon säätö langattomassa pakettidatasiirrossa
JP3386098B2 (ja) * 1996-06-20 2003-03-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0169900B1 (ko) 1996-07-25 1999-02-01 양승택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KR0170603B1 (ko) 1996-08-09 1999-02-01 백영배 유기성 부산물 분해능 및 악취 제거능이 우수한 부숙촉진 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
FI104142B1 (fi) * 1996-10-25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resurssien käytön ohjausmenetelmä
US6240083B1 (en) * 1997-02-25 2001-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combined contention and reservation mode access
KR100293934B1 (ko) * 1998-04-13 2001-07-12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공용채널 메시지 전송장치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716B1 (ko) * 1999-07-1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공통채널의 전용화 통신장치 및방법
KR20010111719A (ko) * 2000-06-13 2001-12-20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패킷 데이타 서비스방법
KR100439619B1 (ko) * 2001-04-06 2004-07-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Cdma2000 ran에서의 공통 채널 패킷 데이터 서비스지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3631A1 (en) 1999-10-21
EP0988722A1 (en) 2000-03-29
RU2210868C2 (ru) 2003-08-20
JP2000513552A (ja) 2000-10-10
JP3381795B2 (ja) 2003-03-04
CA2290584A1 (en) 1999-10-21
AU729819B2 (en) 2001-02-08
CN1130858C (zh) 2003-12-10
CN1263656A (zh) 2000-08-16
AU3345399A (en) 1999-11-01
US6845089B1 (en) 2005-01-18
CA2290584C (en) 2003-09-16
BR9906310A (pt) 2000-07-11
KR100346117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11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US115234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f connected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309694B1 (en) Call Setup Latency Reduction by Encapsulating Signalling Messages
US7676721B2 (en) Auto re-transmission request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53789B1 (en)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to reduce setup time for data calls
JP4414442B2 (ja)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再伝送要求運用装置及び方法
EP19567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MAC signaling
EP1559234B1 (en) Reverse link automatic repeat request
RU23161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елич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запросов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arq) физического уровня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H11243419A (ja) Tcpレイヤのレート制御方式
EP1417818B1 (en) Call setup latency reduction by encapsulating signalling messages
JP2010518765A (ja) Lte_activeにおけるdrxタイミング非同期から回復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5565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data packet transmission within a digital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by discarding unsuccessfully transmitted radio link protocol frames
US20040100927A1 (en) Reverse link automatic repeat request
KR20070054407A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