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00B1 -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00B1
KR0169900B1 KR1019960030339A KR19960030339A KR0169900B1 KR 0169900 B1 KR0169900 B1 KR 0169900B1 KR 1019960030339 A KR1019960030339 A KR 1019960030339A KR 19960030339 A KR19960030339 A KR 19960030339A KR 0169900 B1 KR0169900 B1 KR 016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usage
common
subsystem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149A (ko
Inventor
권기식
김철수
김해숙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3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900B1/ko
Publication of KR98001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0Overload detection or protection within a single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47Buffering arrangements including multiple buffers, e.g. buffer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교환기에서는 전체 서브시스템 개수중 일정 기준 서브시스템 개수 이하에서 발생하는 과부하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함에 따라 그 서브시스템들에서 통과하는 호연결들에 적절한 과부하 제어를 수행해 주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서브시스템 내의 프로세서 사용량, 공통 메모리 및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각 측정치를 선택적으로 소정 한계값과 비교하여 공통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공통 과부하 발생을 각 서브시스템에 통치함으로써 공통 과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과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된 사용량에 공통 과부하 정보를 수신하여 위 방법과 마찬가지로 개별 서브시스템에 대한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교환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ATM 교환기내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 블록 연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ATM 교환기 스위치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기의 과부하 제어를 위한 개략적 블록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통 과부하 제어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 과부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
11 : 상호연결 네트워크 모듈(ISNM)
12 : 운용보전 프로세서(OMP)
20,20a-20d :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21,21a-21d :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
22,22a-22d :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
30 : 연동교환 서브시스템(IWS/S) 31 : 상호연동 프로세서(IWP)
32 : 아날로그 정합 프로세서(AASP) 40 : 다중화장치
50 : 공통 메모리(CM) 60 : 다수개의 주소버퍼(AFIFO)
100 : ATM 교환기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이하, ATM이라 칭함) 교환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TM 교환기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과부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각종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 관련 관리 방법들에서 ATM 교환기의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은 없었다. 그 이유는, 종래 종합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교환기와는 달리 ATM 교환기에서는 이용자 측면에서 볼 때 원하는 만큼의 대역폭 및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교환기 측면에서 볼 때 처리할 서비스가 있을 때에만 대역을 할당하여 서비스를 처리해줄 수 있는 메카니즘 등과 같이 종래 교환기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 처리 형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ATM 교환기는 공중 교환 데이터 통신망(PSDN : Public Switched Data Network)이나 공중 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y Network) 교환기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용된 방법들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일단은 ITU-T 1.371과 ATM-FORUM TM4.0 권고안에서 논의하고 있는 사항들을 참조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 권고안들에서는 어떻게 과부하 상황을 방지할 것이며, 과부하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망 전반적으로 어떻게 그 상황을 벗어날 것인가에 대한 내용들만이 기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방식 이전의 교환시스템들에서의 과부하 판단은 전체 서브시스템 중 소정 개수 이상의 서브시스템들이 과부하에 상태에 있게 되면 전체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 과부하로 판정된 경우에는 교환기를 통과하는 모든 호 연결들에 과부하 제어를 실시한다.
이러한 과부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체 서브시스템 개수가 64개이고, 그 중 10개 이상의 서브 시스템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교환기를 과부하상태로 판정한다고 가정하면, 3개의 서브시스템만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과부하가 발생한 서브시스템의 개수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교환기의 상태는 정상으로 판정된다.
이에 따라 과부하가 발생한 3개의 서브시스템들에서는 통과하는 호연결들에 적절한 과부하제어를 수행해주지 못해 서비스의 중단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의 하나로서, 먼저 일정 개수의 트래픽 및 자원 활용도를 참고로 하여 교환기 자체를 하나의 관리 대상으로 취급하여 과부하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개개의 서브시스템이 복잡하게 혼합되어 전체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는 관점 보다는 단순히 교환기 전체가 하나의 기능 구조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개개의 서브시스템이 현재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나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처리 용량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현재 교환기에 요청되는 각각의 서비스 요청들은 호처리 서브시스템별로 분산되어 진입한다.
그러므로 서비스의 처리는 중앙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별개로 동작한다.
이는 여러개의 서비스 처리기가 교환기 하나에 모여 있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환기 자원의 이용을 위해서는 서브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서비스중인 상황을 기준으로 서브시스템마다 개별적으로 과부하제어를 수행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TM 교환 시스템에서 과부하를 공통 과부하와 개별 과부하로 나누어 각각의 서브시스템 단위별로 과부하를 제어하여 교환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기의 과부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서로 다른 호연결을 수신하여 사용자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에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이 연결된 소정 개수의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과, 상기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으로부터 상기 호들을 수신하여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운용보전 프로세서(OMP)가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호연결을 저장하는 공통 메모리(CM)와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을 구비한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을 갖는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을 포함하여 구성된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용보전 프로세서(OMP)의 사용량, 공통 메모리(CM)의 사용량,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한 후, 그 측정된 각 사용량이 해당 소정 한계값을 초과하는지 선택적으로 비교하여 공통 과부하 상태가 발생될 경우 각 개별 서브시스템에 그 공통 과부하 발생을 통지함으로써 공통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위와 같이 구성된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의 사용량, 공통 메모리(CM)의 사용량, 및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공통 과부하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측정된 각 사용량이 각각의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지 선택적으로 비교하거나 수신된 공통 과부하 정보의 상태를 판단하며, 개별 서브시스템에 과부하 상태가 발생될 경우 각 서브시스템을 통과하는 모든 호연결을 제어함으로써 개별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기내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 블록 연결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기는 서브시스템, 모듈, 블록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즉, 서브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 : ACS)(10),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 ALS)(20), 그리고 연동교환 서브시스템(Inter Working Switching Subsystem/Analog Subscriber : IWS/S)(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 10)은 중앙교환 서브시스템내의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nterconnection Switch Network Module : ISNM)(11)에 의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용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 11)에는 운용보전 프로세서(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 : OMP)(12)가 연결되고, 이 운용보전 프로세서(12)에 의해 시스템 재시동, 운용관련 제어, 시험, 가입자 관리, 시스템 자원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20)은 접속교환 서브시스템(20) 내의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ccess Switch Network Module : ASNM)(21)에 의해 사용자 접속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 21)에는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all Connection Processor : CCCP)(22)가 연결되고, 이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22)에 의해 상위 가입자 호처리기능, 상위 중계선 호처리기능, 신호방식 처리기능, 유지보수 기능 등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상위 가입자/중계선 호처리 기능에는 호연결 수락제어(Call Admission Control : CAC), 가상경로식별자(VPI : Virtual Path Identifier)/가상채널식별자(VCI : Virtual Channel Identifier) 할당, 번호번역, 스위치 경로 선택 등이 있다.
아울러, 상기 신호방식 처리기능으로는 신호 메시지 흐름제어, 신호 메시지 전송에러 검출 및 복구 등이 있다.
그리고 연동교환 서브시스템(IWS/S, 30)은 아날로그 가입자를 B-ISDN(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에 정합해주며, 이는 상호연동 프로세서(Inter Working Processor : IWP)(31)와 아날로그 정합 프로세서(Analog Access Switching Processor : AASP)(32)가 담당한다.
그리고 상호연동 프로세서(31)는 상기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 22)와 아날로그 정합 프로세서(AASP, 32)의 내부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 정합과 디지털화된 음성정보를 셀화하고, 후술할 다중/역다중화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정합 프로세서(AASP, 32)는 연동교환 서브시스템(30)의 내부 호제어, 유지보수 등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ATM 교환기에서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내 공통 메모리와 주소버퍼들을 포함하여 간략하게 구성된 스위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는 스위치내 셀 흐름이 입력단으로부터 진입한 셀들을 일단 공통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셀들을 AFIFO(Address First Input First Output) 버퍼의 내부에 있는 포트번호에 따라 출력한다.
즉, 스위치의 입력단(IN1, IN N-1)4으로 수신되는 셀들은 직/병렬 변환(도시되지 않음)이 수행된 후, 다중화장치(40)에 의해 멀티플렉싱되어 공통 메모리(Common Memory, CM)(5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셀들은 다시 역다중화장치(70)에 의해 디멀티플렉싱 되어 병/직렬 변환(도시되지 않음)된 후 출력된다.
여기서, 공통 메모리(50)는 1Mbit의 크기로 2048개의 셀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는 셀들이 공통 메모리에 입력될 때마다 카운터를 계수하여 그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손실 우선순위제어에 의해 우선 순위가 낮은 셀들을 폐기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다수개의 버퍼들(60)에서 AFIFO 0 버퍼는 임의의 출력포트로 전달되는 셀이 공유 메모리의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공유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어, 각 출력포트로 전달되는 셀은 각 AFIFO에 들어있는 주소를 참조하여 공유 메모리에 저장된 셀을 출력한다.
AFIFO 각각은 256셀의 공유 메모리 저장주소를 기록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각 출력포트마다 할당된 AFIFO가 적정선을 넘어 할당되면, 그 스위치는 출력포트로 셀을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AFIFO 사용량이 그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상태로 판정되며, 과부하 상태에서는 진입하는 셀들을 폐기한다.
BAFIFO(Broadcasting AFIFO)(61) 버퍼는 방송호가 입력되어 있는 공통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여, 256개의 셀을 기록할 수 있다.
한 개의 스위치에는 한 개의 BAFIFO가 존재한다.
BAFIFO 용량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AFIFO의 경우와 같이 과부하 상태로 판정하며, 과부하상태에서는 진입하는 셀들을 폐기한다.
제3도는 ATM 교환기의 과부하 제어를 위한 개략 블록 구성도로서, 4개의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0∼ALS 3)을 일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4개의 접속교환 서브시스템(20a∼20d)은 각각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 21a∼21d)와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 22a∼22d)를 갖는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로 다른 호(A호, B호) 연결이 존재한다.
A호는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0, 20a)을 통해 다음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2, 20c)로 연결되며, B호는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0, 20a)을 통해 다음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1, 20b)으로 연결된다.
이와같은 제3도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통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와 개별 서브시스템의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에 각기 다른 주기에서 공통 과부하와 개별 과부하 상태 판단을 나누어서 판단한다.
이에 따른 공통 과부하로 판정되는 경우는 모든 서브시스템들의 호연결들이 통과해야만 하는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 10)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때 모든 서브시스템들은 자신을 통과하는 모든 호연결상에 있는 셀들 내부의 과부하 제어 필드를 세팅하는 등의 과부하 제어를 수행해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A, B호 연결 모두 과부하 상태로 판정되어 제어를 받는다.
다음은 하나의 서브시스템에만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로서, 예를들어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0, 20a)에만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B호 연결을 통과하는 셀들에만 제어가 가해지며, A호 연결은 별다른 간섭없이 계속 서비스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개별 과부하로 판정되는 경우, 정상적인 호연결들은 그대로 자신의 서비스를 처리해줄 수 있어 효율적인 교환시스템내 자원의 이용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종래기술에서 처럼 총괄적인 의미로서 과부하 판단에 의해 교환기가 과부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어 개별적인 과부하 제어가 수행되지 못한다면, B호 연결은 곧 폭주상태에 도달하게 되어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TM 교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통 과부하 상황에 대한 판단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공통 과부하 상황은 ATM 교환기의 특정부분에 과부하가 발생함으로써 교환 기능 전반에 영향을 미쳐 전체 서브시스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과부하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통 과부하 상황의 발생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 10)내 운용보전 프로세서(OMP, 12)의 사용량(UsgOMP)과 상기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 11)내의 공통 메모리(CM, 50) 및 주소 버퍼들(AFIFO 0∼AFIFO N-1, 60)의 사용량(UsgACS_CM, UsgACS_AF)을 운용보전 프로세서(OMP, 12)에 의해서 측정한다(S1).
상기 측정된 각각의 측정치가 소정의 각 한계값들(즉, OMP_limit, ACS_CM_limit, ACS_AF_limit)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공통 과부하 상태를 판단한다(S2).
이때, 공통 과부하 판단을 위한 한계치들은 시스템의 사용현황 및 통계값들의 분석에 따라 설정된 것이다.
또한, 공통 과부하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세 개의 측정치는 다른 여러 가지 측정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치들을 상호연관시켜 과부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일단 교환 시스템이 공통 과부하로 판단되면 공통 과부하 상태를 개별 서브시스템인 각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 0∼ALS 3)에 통지한다(S3, S4).
이후의 공통 과부하 발생에 의한 직접적인 제어는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각각의 서브시스템에서 수행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ATM 교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별 과부하 상황을 판단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개별 과부하 상황은 교환기의 특정 서브시스템에서만 서비스 처리 상태가 원활하지 못한 과부하 상황이다.
개별 과부하 상황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4도에서 발생된 공통 과부하 정보(OVDCOM)를 하나 더 첨가하여 판단한다.
즉, 해당하는 접속교환 서브시스템(20a∼20d) 내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 22a∼22d)의 사용량(UsgCCCP)과 각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 21a∼21d) 내의 공통 메모리 및 주소버퍼들의 사용량(UsgALS_CMUsgALS_AF)을 주기적으로 상기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에 의해서 측정한다(S11).
이때, 상기 중앙교환 서브시스템(10)에서 감지되는 공통 과부하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측정되어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의 사용량이 소정의 한계값(CCCP_limit)을 초과하거나 또는 각 접속 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 내의 측정치들이 소정의 한계값(ALS_CM_limit, ALS_AF_limit)을 초과하거나 또는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에서 전송된 공통 과부하 정보가 공통 과부하 발생을 알리는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개별 서브시스템의 과부하 상황을 판단한다(S12).
여기서 이 한계값들은 상기 공통 과부하 상황의 판단과 마찬가지로 설정한다.
그후, 상기 판단(S12)에 의해 개별 과부하 상황으로 판단되면 각 서브시스템들(ALS)은 자신을 통과하는 모든 셀들의 폭주제어 필드를 셋팅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부하 제어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각 서브시스템별로 수행되므로 전체 교환 시스템의 전송량을 하락시키는 등의 오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ATM 교환기의 과부하를 공통 과부하의 개별 과부하로 나누어 파단함으로써 교환기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서로 다른 호연결을 수신하여 사용자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에 접속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이 연결된 소정 개수의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과, 상기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으로부터 상기 호들을 수신하여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운용보전 프로세서(OMP)가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호연결을 저장하는 공통 메모리(CM)과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을 구비한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을 갖는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을 포함하여 구성된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보전 프로세서(OMP)의 사용량, 공통 메모리(CM)의 사용량,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그 측정된 각 사용량을 해당 소정 한계값과 비교하여 공통 과부하 발생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 판단에 의해 공통 과부하 발생될 경우, 공통 과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각 개별 서브시스템에 공통 과부하 발생을 통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과부하 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측정된 운용보전 프로세서(OMP)의 사용량, 공통메모리(CM)의 사용량 및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이 각각의 소정 한계값을 초과하는지 선택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3. 서로 다른 호연결을 수신하여 사용자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각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에 접속 교환 네트워크 모듈(ASNM)이 연결된 소정 개수의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과, 상기 접속교환 서브시스템(ALS)으로부터 상기 호들을 수신하여 시스템의 운용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운용보전 프로세서(OMP)가 연결되고, 상기 수신된 호연결을 저장하는 공통 메모리(CM)와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을 구비한 상호연결 교환 네트워크 모듈(ISNM)을 갖는 중앙교환 서브시스템(ACS)을 포함하여 구성된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호 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의 사용량, 상기 공통 메모리(CM)의 사용량, 및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공통 과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 측정된 각 사용량을 각각의 소정의 한계값과 비교하거나 상기 수신된 공통 과부하 정보를 판단하여 개별 서브시스템의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 판단에 의해 개별 과부하 상태일 경우 각 서브시스템을 통과하는 모든 호연결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과부하 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측정된 해당 호연결 처리 프로세서(CCCP)의 사용량, 공통 메모리(CM)의 사용량 및 다수개의 주소버퍼들의 사용량이 각각의 소정 한계값을 초과하는지 선택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KR1019960030339A 1996-07-25 1996-07-25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KR016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9A KR0169900B1 (ko) 1996-07-25 1996-07-25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339A KR0169900B1 (ko) 1996-07-25 1996-07-25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149A KR980013149A (ko) 1998-04-30
KR0169900B1 true KR0169900B1 (ko) 1999-02-01

Family

ID=1946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339A KR0169900B1 (ko) 1996-07-25 1996-07-25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117B1 (ko) 1998-04-14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역방향공용채널에서연속적인사용자데이터전송방법
KR100404876B1 (ko) * 2000-11-02 2003-1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호처리 프로세서의 부하 분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149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1698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nd analyzing active channels in an ATM network
US5357510A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ervising and controlling ATM traffic
US5828653A (en) Quality of service priority subclasses
US6765873B1 (en) Connections bandwidth right sizing based on network resources occupancy monitoring
US6690646B1 (en) Network capacity planning based on buffers occupancy monitoring
JP4209940B2 (ja) 広帯域交換網
EP0512495A2 (en) Switching node in a network with label multiplexed information
EP0847219A2 (en) ATM switch and congestion control method
US6005843A (en) Virtual source/virtual destination device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US8009565B2 (en) Switch with function for assigning queue based on a declared transfer rate
JPH0744542B2 (ja) 非同期転送モードにおける仮想パスの帯域割当方式
JPH10173661A (ja) パケット交換機、および輻輳通知方式
US6198726B1 (en) Plural-line terminating apparatus and OAM processing method thereof
WO1998026628A9 (en) Many dimensional conges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5790525A (e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US5737315A (en) Traffic control device in private ATM network
JPH08163141A (ja) Atm交換装置
US5878063A (en) Method of detecting cell loss and exchange provided with cell loss detecting function
EP0838970B1 (en) Method for shared memory management in network nodes
KR0169900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의 과부하 제어방법
Cisco ATM Connections
KR0153925B1 (ko)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지능적 셀폐기 방법
KR0169901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에서의 대역폭 관리 및 호인가제어 방법
US62262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sabled physical devices and deleting undeliverable cells
US5946296A (en) Rare probability connection call registration method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