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627A -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627A
KR19990079627A KR1019980012308A KR19980012308A KR19990079627A KR 19990079627 A KR19990079627 A KR 19990079627A KR 1019980012308 A KR1019980012308 A KR 1019980012308A KR 19980012308 A KR19980012308 A KR 19980012308A KR 19990079627 A KR19990079627 A KR 1999007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ick
trick data
input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840B1 (ko
Inventor
김태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8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13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Abstract

개시된 고선명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는 제 3 ECC 구조를 이용하여 트릭데이터에 대해 2차원 리드 솔로몬 엔코딩을 행함으로써 별도의 리드 솔로몬 디코더없이 엔코딩된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인트라 픽쳐만을 검출하고, 인트라 픽쳐 중 최상위에 있는 저주파 성분인 DCT 계수를 이용하여 트릭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트릭데이터를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하여 엔코딩된 노말데이터와 함께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도록 하며, 한편 노말데이터와 함께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트릭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트릭데이터를 검출하여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된 노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동일한 디코딩부에 의해 검출된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 구비된 제 3 ECC 구조에 따라 트릭데이터에 대해 외부호 2차원 리드 솔로몬 엔코딩이 수행되도록 하여 복잡한 리드 솔로몬 디코더를 별도로 구비하지않은 상태에서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러 정정 능력을 강력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본 발명은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ECC 구조를 이용하여 트릭데이터에 대해 2차원 리드 솔로몬 엔코딩을 행함으로써 별도의 리드 솔로몬 디코더없이 엔코딩된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MPEG 등에 의해 부호화된 비트열을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에러가 없는 환경이라면 이상적이겠지만 현실적으로 잡음 등 외부 요인에 의한 비트 에러의 가능성을 피할 수 없다. 특히 MPEG2 시스템에서는 에러가 없는 환경을 상정한 프로그램 스트림(PS)와 에러가 있는 환경에 대응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정의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을 사용하는데, 이때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은 먼저 TS 패킷의 밖에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하는 외부호와 변조의 전단계에서 길쌈 부호화를 하는 내부호가 있으며, 특히 외부호는 리드 솔로몬(Reed Solomon)부호가 사용되는데, GA(Grand Alliance),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를 비롯한 많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채용되고 있다.
즉, ATV 신호와 DVB 신호는 상술한 것과 같은 에러에 민감한 MPEG2 데이터를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서 입력받아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노말데이터와 트릭데이터가 있다.
그러므로 트릭데이터 또한 노말데이터와 같은 MPEG2 데이터이므로 내부호 처리를 한 후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하거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리드 솔로몬(RS) 엔코딩에 의해 외부호를 추가하여 자기 테이프 상에 트릭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부호 처리만 되어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트릭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화면의 화질이 떨어지게 되고, 엔코딩시 리드 솔로몬 엔코딩에 의해 외부호가 추가되는 경우 트릭데이터는 노말데이터와 마찬가지로 MPEG2 데이터로서 에러에 민감하여 재생시 외부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별도의 디코더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함으로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 3 ECC 구조를 이용하여 트릭데이터에 대해 2차원 리드 솔로몬 엔코딩을 행함으로써 별도의 리드 솔로몬 디코더없이 엔코딩된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엔코더 및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구비된 엔코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도 1에 적용된 트릭데이터 엔코딩부에서 처리되는 트릭데이터 외부호 ECC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ATV 또는 DVB의 MPEG2 데이터를 기록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3의 트랙 포맷에서 비디오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4에 비디오 영역에 구비된 싱크블록 헤더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수신된 2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5 싱크블록으로 매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2에 적용된 타이밍 부가회로에서 부가되는 타이밍 식별부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코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0 : PLL 회로부 115, 235 : 타이밍 제너레이터
120 : 타이밍 부가회로부 125 : 버퍼
130 : 노말데이터 출력제어부 135 : 트릭데이터 검출부
140 :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 145 :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
150 : 멀티플렉서 155 : 엔코딩부
210 : 복조부 215 : 데이터 제어부
220 : 노말데이터 디코딩부 230 : 클럭 발생부
235 : 타이밍 제어부 240 : 출력 제어부
250 : 제어부 255 :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
225, 260 : 제 1, 제 2 버퍼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인트라 픽쳐만을 검출하고, 인트라 픽쳐 중 최상위에 있는 저주파 성분인 DCT 계수를 이용하여 트릭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트릭데이터를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하여 엔코딩된 노말데이터와 함께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도록 하며, 한편 노말데이터와 함께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트릭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트릭데이터를 검출한 후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된 노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동일한 디코딩부를 통해 디코딩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엔코더 및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릭모드로 자기 테이프상에 MPEG2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인트라 픽쳐중 저주파 성분의 DCT 계수를 사용하여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하는 엔코더(100)와,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MPEG2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트릭모드가 선택되면 복조된 제 2 ECC 구조에 따라 내부호 디코딩하고, 제 3 ECC 구조에 따라 외부호 디코딩하는 디코더(200)로 구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구비된 엔코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엔코더(100)는 송신을 위해 엔코딩한 클럭과 동일한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110)와, PLL 회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카운트 업하여 자기 테이프의 트랙신호 또는 ECC 블록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115)와, 타이밍 제너레이터(1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자기 테이프 재생시 재생되는 패킷간의 타이밍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식별부호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될 데이터에 부가하는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120)와,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식별부호가 부가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125)와, 버퍼(125)에 일시 저장된 노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노말데이터 출력제어부(130)와, 입력되는 스트림중 인트라 픽쳐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트라 픽쳐 중 저주파 성분의 DCT 계수만을 트릭데이터로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트릭데이터 검출부(135)와, 트릭데이터 검출부(135)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를 제 3 ECC 구조를 사용하여 패리티 변환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 후 출력하는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와, 메모리에 저장된 트릭데이터를 리딩하여 반복해서 출력하는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145)와, 노말데이터와 트릭데이터를 트랙 포맷에 따라 교대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50)와, 멀티플렉서(1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1, 제 2 제 3 ECC 블록 구조를 사용하여 패리티를 부가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데이터 엔코딩부(155)로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에 구비된 트릭데이터 외부호 ECC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디코더(200)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210)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NP(노말모드) 또는 TP(트릭모드) 선택용 키신호에 따라 현재 자기기록재생기기의 모드가 트릭모드인지 노말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기기록재생기기가 노말모드 또는 트릭모드로 수행되도록 노말데이터 또는 트릭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제어부(215)와, 데이터 제어부(215)로부터 입력되는 노말데이터를 엔코더(100)에 의해 엔코딩된 역순으로 디코딩하면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하는 노말데이터 디코딩부(220)와, 엔코더(100)에서 부가한 타이밍 식별부호와 타이밍 제너레이터(235)에서 입력되는 타이밍 식별부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노말데이터 디코딩부(220)에 의해 디코딩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는 제 1 버퍼(225)와, 엔코더(100)의 시스템 클럭과 동일한 클럭이 발생되도록 하는 클럭 발생부(230)와, 클럭 발생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에 따라 시간을 카운트 업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35)와, 사용자에 의해 자기기록재생기기가 트릭모드로 전환되어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엔코더(100)에 의해 제 2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된 트릭데이터를 내부호 디코딩하는 제 1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45)와, 제 1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45)로부터 반복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거하고, 트릭데이터 및 트릭데이터 패리티를 출력하는 제어부(250)와,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와,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2 버퍼(260)와, 제 2 버퍼(260)에서 입력되는 트릭데이터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버퍼 제어부(265)로 구성된다.
상술한 클럭 발생부(230)는 전술한 엔코더(100)에서의 PLL 회로부(110)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PLL한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110)와는 다른 프리 런(free run)한 클럭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 있어서 트릭데이터 처리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방송신호 송신측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보조기억매체를 이용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비디오 영상 이미지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MPEG2 구조로 압축시켜 발생되는 비트 스트림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비트 스트림은 비디오 계층(Video Layer)과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트 스트림은 비디오 계층에서 압축되어 비트량이 감소되며,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전송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패킷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전송된 비트 스트림이 엔코딩되어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기 위해서는 비트 스트림을 엔코딩한 클럭과 동일하게 위상이 보상될 수 있도록 PLL 회로부(110)에 의해 시스템 클럭에 따라 발생시켜 타이밍 제너레이터(115)로 입력되도록 하면 타이밍 제너레이터(115)는 이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카운트 업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카운트 업된 값은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120)로 입력되고,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120)는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 타이밍 식별부호를 부가하게 된다. 이 식별부호는 디코더(200)에서 재생될 경우 엔코더(100)로부터 입력되는 패킷간의 시간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입력 패킷이 각각 도착하는 타이밍을 소정 트랙을 인식하기 위한 신호 또는 ECC 블록의 크기를 표기하기 위한 신호로 하여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 함으로써 영상표시기기 화면상에 정확한 재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타이밍 식별부호가 부가된 데이터는 버퍼(125)에 일시 저장되어 있다가 노말데이터 출력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말데이터가 출력되어져야 할 시간에 멀티플렉서(150)로 출력된다.
한편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는 노말 플레이 모드 뿐만 아니라 트릭 플레이 모드가 있는데, 트릭 플레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트릭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MPEG2의 구조로 되어 있는 비트 스트림은 트릭데이터로는 부적절하므로 MPEG2의 트릭데이터는 먼저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선택하고, 다시 인트라 픽쳐중에서도 저주파 성분의 DCT 계수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인트라 픽쳐는 MPEG의 GOP(Group of Picture)에 대해 독립성을 갖으며, 화면을 모두 화면 내부호화하는 화면으로서 원영상과 같은 순서로 부호화된다. 그러면 트릭데이터 검출부(135)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저주파 성분만 채택된 인트라 픽쳐의 시스템 계층 비트스트림이 트릭데이터로서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로 입력된다.
이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에서는 입력된 트릭데이터를 제 3 ECC 구조를 이용하여 패리티를 발생시키는데, 첨부 도면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3 은 도 1에 적용된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에서 처리되는 트릭데이터 외부호 ECC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76×70 바이트 사이즈를 갖는 A 블록이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로 입력되는 데이터로서,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에서는 이 입력된 데이터에 연장시켜 76×10바이트 사이즈의 패리티를 발생시켜 채워 넣는다.
또한, 전술한 76×70 바이트 사이즈의 데이터 전단인 76×55 바이트 사이즈 영역에는 "0"외에 다른 패턴의 데이터를 채워놓을 수 있으며 이 데이터는 후술할 디코더(200)의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에서와 같은 더미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이어야 한다.
전술한 패리티 블록인 76×10 바이트 사이즈 영역의 데이터와 76×70바이트사이즈 영역의 트릭데이터에는 엑스트라 헤더(Extra Header)인 S(0)로 1바이트를 부가한다. 부가된 엑스트라 헤더 S(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블록 31로부터 155에서 b7 비트에 "1"로 세팅되고, b2에서 b5까지 5 싱크블록 또는 5 블록마다 1씩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 블록은 77바이트의 1열(row)이고, 5 싱크블록은 77×5 바이트의 크기이다. 이리하여 "0"에서 "1111"까지 증가하게 되는데, 여기서 "1110"와 "1111"은 패리티 구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토글(toggle)이 일어나면 프레임마다 더미 데이터를 채워서라도 양의 정수 77×80 바이트의 사이즈가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5 블록에는 2개의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이 존재하며, 결국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는 77×80 바이트의 사이즈를 갖는 B블록을 출력한다.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에서 출력된 B블록의 트릭데이터는 후술할 디코더(200)의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로 입력된다.
이렇게 제 3 ECC 구조에 의해 엔코딩된 데이터는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145)로 입력되고,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145)는 트릭재생모드동안 서보시스템의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해서 데이터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ATV와 DVB의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는 고속모드와 저속모드가 있게 되는데, 2모드를 모두 사용할 경우 트릭데이터 외부호 처리부(140)와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145)가 병렬로 하나씩 더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멀티플렉서(150)에서는 노말데이터와 트릭데이터를 트랙 포맷에 따라 교대로 출력시킨다. 상술한 처리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데이터 엔코딩부(155)에서 제 1, 제 2, 제 3 ECC 블록 구조에 따라 패리티가 부가되고 데이터는 부호화된다.
즉, 전술한 데이터 엔코딩부(155)의 제 1 ECC 블록은 77바이트에 대해 8바이트의 패리티가 부가되고, 제 2 ECC 블록은 138바이트에 대해 11바이트의 패리티가 부가되고, 제 3 ECC 블록은 125바이트에 대해 10바이트의 패리티가 부가되는 ECC 구조를 갖게 된다.
전술한 노말데이터와 마찬가지로 트릭 모드시 트릭데이터 역시 가변길이부호(Variable Length Code)로 부호화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상 에러에 매우 취약하다. 그러므로 트릭데이터 전송상 에러가 발생하면 MPEG2의 슬라이스를 디코딩하지 못하게 되어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정상적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트릭데이터는 ECC 블록의 구조에 따른 내부호 뿐만 아니라 외부호도 갖추고 있어야 에러에 대해 영향력을 덜받게 된다.
그리하여 추가되는 트릭데이터에 대한 외부호 ECC 블록의 구조를 기존에 존재하는 제 1, 제 2, 제 3 ECC 블록 중에서 한 구조를 선택하여 트릭 외부호 패리티를 발생시킨다면 디코더(200)에서 추가의 복잡한 RS 디코더가 필요치 않으면서도 트릭데이터에 대해 좀더 강력한 에러 정정능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4 는 ATV 또는 DVB의 MPEG2 데이터를 기록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영역에는 진한 검은색의 6개 영역에는 고배속의 트릭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 6개의 영역은 세로측 한라인의 데이터는 서로 다른 트릭데이터이며, 가록측의 같은 위치에 있는 트릭데이터는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18번이나 36번 반복 기록함으로써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재생헤드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트릭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엷은 검은색의 영역에는 저배속의 트릭데이터가 기록된다.
나머지 비디오 영역의 하얀 부분은 노말 플레이 데이터 영역으로 노말데이터나 더미 데이터들이 기록된다.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 의해 기록되는 ATV 또는 DVB 신호의 비트율에 따라 자기기록재생기기도 25Mbps 모드 또는 12.5Mbps 모드 또는 6.25Mbps 모드로 구분되어 기록된다.
도 5 는 도 3의 트랙 포맷에서 비디오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영역은 VAUX 영역, 제 3 ECC 블록 영역, 노말 플레이 데이터 영역, 트릭 플레이 데이터 영역이 있고, 다시 제 2 ECC 블록 영역이 있으며, 각 싱크 블록은 90 바이트로서 동기 2바이트, ID 3바이트, 데이터 77바이트 및 제 1 ECC 블록이 8바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싱크블록 77바이트 내에는 싱크블록 21번부터 155번까지는 싱크블록 헤더 1바이트를 각 싱크블록마다 갖게 된다. 이것은 싱크블록의 데이터가 노말데이터인지 트릭데이터인지, 더미데이터인지의 또는 제 3 ECC 블록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헤더이다.
도 6 은 도 4에 비디오 영역에 구비된 싱크블록 헤더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블록 31바이트부터 155바이트사이에서 헤더의 비트 7에 제로가 매핑되어 있으면 노말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1로 매핑되어 있으면 트릭데이터임을 의미한다. 또한 싱크블록 21바이트부터 30바이트사이에서 헤더의 비트 7에 제로가 매핑되어 있으면 제 3 ECC 데이터이고, 1로 매핑되어 있으면 ECC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도 7 은 수신된 2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5 싱크블록으로 매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영역에 기록되는 MPEG2 데이터는 188바이트의 패킷 중 1바이트의 싱크를 제외한 187바이트 사이즈의 패킷 2개를 5개의 싱크블록에 기록하게 된다.
즉 5개의 싱크블록에는 2개의 패킷외에 싱크 헤더와 3바이트의 타이밍 식별부호가 패킷마다 부가되며, 이 타이밍 식별부호는 도 2에 도시된 엔코더(100)의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120)에 의해 부가되는 것이다.
도 8 은 도 2에 적용된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에서 부가되는 타이밍 식별부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TSH(Most Signficant count part of Time stamp) 영역과 TSL(Least Signficant part of Time stamp) 영역이 있으며, TSL 영역은 2트랙 내의 카운터 값을 갖게되고 TSH 영역은 2트랙단위의 카운터값을 갖는다.
전술한 것과 같이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비트스트림을 엔코더(100)에 의해 엔코딩하여 노말데이터와 트릭데이터를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신호가 입력되면 자기 테이프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는 복조부(210)에 의해 복조되고, 이 복조된 데이터는 데이터 제어부(215)로 출력되는데, 데이터 제어부(215)는 먼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신호가 노말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키신호인지 트릭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키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노말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디코딩부(220)에 의해 엔코딩할 때와는 역순으로 디코딩하여 제 1 버퍼(225)로 입력시켜 일시 저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 1 버퍼(225)에 저장된 디코딩된 노말데이터는 출력제어부(240)에 의해 출력된다.
그리고, 엔코더(100)에 입력된 데이터의 시간 간격과 같은 시간간격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클럭발생부(230)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에 의해 결정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235)의 카운터값과 엔코더(100)에서 부가한 타이밍 식별부호와 같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패킷단위로 출력시키고, 같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제 1 버퍼(225)에 대기시켜 놓는다.
다른 한편, 트릭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제어부(215)에서 트릭데이터 영역만을 출력한다. 이 트릭데이터는 제 1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45)로 입력되고 내부호 디코딩되어 출력되는데, 이때 제 1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45)는 제 2 노말데이터 디코딩부와 동일한 블록이다.
제 1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45)에 의해 디코딩된 트릭데이터는 제어부(250)에 의해 반복되어진 데이터를 제거하고, 도 9에 도시된 엑스트라 헤드인 S(0)의 b5, b4, b3, b2를 참조하여 트릭데이터와 트릭데이터 패리티를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로 출력하게 된다. 즉 전술한 엔코더(100)의 트릭데이터 엔코딩부(140)로부터 출력된 B블록(첨부도면 도 3 참조)의 트릭데이터는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로 입력되어 76×55 바이트의 사이즈영역인 더미 데이터영역에는 엔코더(100)에서 사용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로 채워넣고 트릭데이터를 외부호 디코딩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좀더 유효한 데이터 76×70바이트의 사이즈영역인 A 블록의 트릭데이터가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는 77×55 바이트 사이즈의 영역은 "0" 또는 다른 임의의 데이터로 채워넣고, 트릭데이터 외부호 ECC 블록을 디코딩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잡한 리드 솔로몬 디코더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트릭데이터에 대해 ECC를 강력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제 2 트릭데이터 디코딩부(255)에 의해 디코딩되 데이터는 더미 데이터가 제외된 순수한 70×77바이트의 사이즈영역에 매핑된 데이터만이 출력되고 이 데이터는 제 2 버퍼(260)를 통해 버퍼제어부(265)에 의해 영상표시기기로 출력되어 트릭모드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에 구비된 제 3 ECC 구조에 따라 트릭데이터에 대해 외부호 2차원 리드 솔로몬 엔코딩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리드 솔로몬 디코더를 별도로 구비하지않은 상태에서 트릭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러 정정 능력을 강력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6)

  1. 트릭모드로 자기 테이프상에 MPEG2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인트라 픽쳐중 저주파 성분의 DCT 계수를 사용하여 제 3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하는 엔코더; 및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MPEG2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트릭모드가 선택되면 복조된 제 2 ECC 구조에 따라 내부호 디코딩하고, 제 3 ECC 구조에 따라 외부호 디코딩하는 디코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송신을 위해 엔코딩한 클럭과 동일한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
    상기 PLL 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카운트 업하여 자기 테이프의 트랙신호 또는 ECC 블록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
    상기 타이밍 제너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자기 테이프 재생시 재생되는 패킷간의 타이밍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식별부호로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될 데이터에 부가하는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
    상기 타이밍 식별부호 부가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신호가 부가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버퍼에 일시 저장된 노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노말데이터 출력제어부;
    상기 입력되는 비트스트림중 인트라 픽쳐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트라 픽쳐 중 저주파 성분의 DCT 계수만을 검출하여 트릭데이터로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트릭데이터 검출부;
    트릭데이터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를 제 3 ECC 구조를 사용하여 패리티 변환하여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 후 출력하는 트릭데이터 엔코딩부;
    메모리에 저장된 트릭데이터를 리딩하여 반복해서 출력하는 트릭데이터 출력제어부;
    상기 노말데이터와 트릭데이터를 트랙 포맷에 따라 교대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1, 제 2 제 3 ECC 구조를 사용하여 패리티를 부가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데이터 엔코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신호에 따라 현재 자기기록재생기기의 모드가 트릭모드인지 노말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기기록재생기기가 노말모드 또는 트릭모드로 수행되도록 노말데이터 또는 트릭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제어부;
    상기 데이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노말데이터를 엔코더에 의해 엔코딩된 역순으로 디코딩하면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하는 노말데이터 디코딩부;
    엔코더에서 부가한 타이밍신호와 타이밍 제너레이터에서 입력되는 타이밍이 동일한 경우에는 노말데이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에 있도록 하는 제 1 버퍼;
    상기 엔코더의 시스템 클럭과 동일한 클럭이 발생되도록 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에 따라 시간을 카운트 업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
    사용자에 의해 자기기록재생기기가 트릭모드로 전환되어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에 의해 제 2 ECC 구조에 따라 엔코딩된 트릭 데이터를 내부호 디코딩하는 내부호 디코딩부;
    상기 내부호 디코딩부로부터 반복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거하고, 트릭데이터 및 트릭데이터 패리티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트릭데이터 디코딩부;
    상기 트릭데이터 디코딩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2 버퍼;
    상기 제 2 버퍼에서 입력되는 트릭데이터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버퍼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릭데이터 엔코딩부는;
    제 3 ECC 구조를 이용하여 76×55 바이트는 더미 데이터로 채워넣고, 76×70 바이트는 상기 트릭데이터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로 채워넣고, 76×10 바이트는 패리티 데이터로 채워넣으므로써 트릭데이터를 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릭데이터 디코딩부는;
    77×55 바이트는 더미 데이터를 채워넣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트릭데이터를 디코딩을 한 후 더미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릭데이터 디코딩부는;
    노말 플레이 모드시 제 3 ECC 구조로 엔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동일한 디코딩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KR1019980012308A 1998-04-07 1998-04-07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KR10029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308A KR100299840B1 (ko) 1998-04-07 1998-04-07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308A KR100299840B1 (ko) 1998-04-07 1998-04-07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627A true KR19990079627A (ko) 1999-11-05
KR100299840B1 KR100299840B1 (ko) 2001-09-06

Family

ID=3752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308A KR100299840B1 (ko) 1998-04-07 1998-04-07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8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840B1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209B1 (ko) 오류정정 능력을 개선한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와 그 방법
JP2954887B2 (ja) デジタルビデオテープの記録及び再生方法
KR100378248B1 (ko) 디지탈데이타기록및재생장치및방법
EP0712256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192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reproducing MPEG data
CA2152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video signals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digital video signals
US5987212A (en) Variable-spee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digital VCR, using trick play data
US6373905B1 (en)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JP2002142192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記録装置および方法
KR100299840B1 (ko) 고선명 자기기록재생기기의 트릭데이터 처리장치
JP2003061046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736918B2 (ja) デジタル再生装置または再生プログラム
KR100207630B1 (ko) 오류정정능력이 향상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JP3792770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30287B1 (ko) 트릭 재생 데이터의 오류정정 능력을 개선한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와 그 방법
JPH07231427A (ja) 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H0898144A (ja) 映像データの誤り訂正方式
JP325724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655115B2 (ja) 復号化装置
JP2001169243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08140046A (ja) 記録再生装置
JP3456726B2 (ja) 圧縮信号処理装置
JP2005026990A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11136635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980011036A (ko)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