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50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509A
KR19990079509A KR1019980012145A KR19980012145A KR19990079509A KR 19990079509 A KR19990079509 A KR 19990079509A KR 1019980012145 A KR1019980012145 A KR 1019980012145A KR 19980012145 A KR19980012145 A KR 19980012145A KR 19990079509 A KR19990079509 A KR 1999007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rinsing agent
rinsing
agen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924B1 (ko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92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헹굼제를 수용하는 헹굼제용기와, 헹굼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헹굼제밸브를 갖는 헹굼제공급부와; 헹굼행정시에는 상기 헹굼제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세탁조내로 헹굼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헹굼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세제와 헹굼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내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58)와, 외조(58)내에 회전구동가능하게 수용된 세탁조(59)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탁조(59)내의 하부 영역에는 도시않은 펄세이터가 정역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51)는,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52)과, 외부케이싱(52)의 저부에 결합되어 안착면에 안착되는 도시않은 베이스판과, 외부케이싱(52)의 상부에 결합되는 톱커버(55)로 외관이 형성된다.
여기서, 톱커버(55)의 중앙영역에는 세탁물의 수용 및 인출을 위한 도어(56)가 설치되어 있으며, 톱커버(55)의 전방영역에는 세탁기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턴이 구비된 조작패널(5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톱커버(55)의 후방벽에는 외부의 급수장치로부터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톱커버(55)의 후방영역의 상면에는 세탁조(59)내로 세제를 자동투입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수용부(65)와, 세제수용부(65)의 둘레에 장착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상의 장착케이싱(80)과, 장착케이싱(80)과 세제수용부(65)를 톱커버(55)에 안착결합시키는 판상의 안착판(85)을 갖는다. 여기서, 안착판(85)에는 세제수용부(65)로부터의 세제가 통과하는 통과공(86)이 형성되어 있다.
세제수용부(65)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수용부커버(75)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세제수용부(65)의 측벽은 세제의 용이한 인출을 위하여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세제수용부(65)의 하부에는 세탁조(59)내로 투입되는 세제가 안내되는 세제안내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세제안내부(70)는 세제수용부(65)를 향해 일측이 개방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제수용부(65)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세제안내부(7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세제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66)가 형성되어 있고, 유출구(66)에는 유출구(66)를 개폐하는 유출구마개(63)가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세제안내부(70)내에는 세제안내부(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제를 유출구(66)로 안내하는 나선형의 가이드와이어(73)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와이어(73)는 톱커버(55)에 장착된 도시않은 세제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며, 세제수용부(65)의 장착시 가이드와이어(73)는 세제모터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세제공급장치(60)가 설치된 세탁기의 세탁행정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설정된 양만큼의 세탁수가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다. 그리고, 세탁수의 공급과 동시에, 세탁코스에 따라 정해진 양의 세제를 세탁조(59)내로 공급하기 위해 세제모터가 구동되며, 세제모터가 구동하면 가이드와이어(73)가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와이어(73)가 회전하게 되면, 세제는 가이드와이어(73)의 회전방향을 따라 유출구(66)를 향해 이동하고, 유출구(66)를 향해 이동한 세제가 유출구마개(63)를 가압하여 유출구(66)가 개방되어 유출구(66)를 통해 세제가 유출된다. 이렇게 유출된 세제는 세탁조(59)내로 낙하하기 전에 급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와 혼합되면서 용해되어 세탁조(59)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세제의 공급량은 세제모터의 구동시간에 따라 조절되며, 세제모터의 구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세제의 공급량도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제수용부(65)내에서 습기에 의해 세제가 굳어지면 세제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공급된 세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아니하여 세탁후 세제알갱이가 세탁물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와이어(73)에 의해 세제를 안내하므로 세제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잔여 세제가 세탁조(59)내로 완전히 공급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액체세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세제용 세제공급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세탁행정중 마지막 헹굼작업시에는 옷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헹굼제를 투입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탁시 헹굼제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마지막 헹굼작업시 사용자가 직접 헹굼제를 투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헹굼제공급부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헹굼작업시 세탁수가 헹굼제공급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헹굼제가 세탁수와 혼합되어 세탁조(59)내로 투입된다. 따라서, 세탁시마다 헹굼제공급부에 헹굼제를 수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이에 따라, 다량의 헹굼제를 수용하여 세탁행정중 헹굼작업할 때 자동적으로 헹굼제를 공급할 수 있는 헹굼제공급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세제와 헹굼제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세탁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세제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톱커버
10 : 액체세제공급부 12 : 세제밸브
15 : 액체세제용기 16 : 세제유출구
18 : 세제유출관 20 : 헹굼제공급부
22 : 헹굼제밸브 25 : 헹굼제용기
26 : 헹굼제유출구 28 : 헹굼제유출관
30 : 장착케이싱 35 : 안착판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헹굼제를 수용하는 헹굼제용기와, 헹굼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헹굼제밸브를 갖는 헹굼제공급부와; 헹굼행정시에는 상기 헹굼제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세탁조내로 헹굼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헹굼제용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액체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와, 액체세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세제밸브를 갖는 액체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시 상기 세제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세탁조내로 액체세제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세탁기의 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2)과, 외부케이싱(2)의 저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베이스판(3)과, 외부케이싱(2)의 상부에 결합되는 톱커버(5)를 포함한다.
여기서, 톱커버(5)의 중앙영역에는 세탁물의 수용 및 인출을 위한 도어(6)가 부속되어 있으며, 톱커버(5)의 전방영역에는 세탁기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턴이 구비된 조작패널(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톱커버(5)의 후방벽에는 외부의 급수장치로부터 세탁수를 공급하는 도시않은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톱커버(5)의 후방영역에는 세탁조(9)내로 액체세제와 헹굼제를 자동투입하기 위한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가 장착되어 있다.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는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액체세제공급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세제가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상의 액체세제용기(15)를 가지며, 액체세제용기(15)의 상부에는 개구를 차단하는 세제용기커버(13)가 결합되어 있다. 이 액체세제용기(15)의 하부 일측에는 액체세제용기(15)를 관통하여 형성된 세제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체세제용기(15)의 하부에는 세제유출구(16)로부터 연장되어 액체세제의 유출을 위한 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세제유출관(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제유출관(18)의 길이방향의 일영역에는 안내유로를 개폐하여 세제공급을 단속하는 세제밸브(12)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헹굼제공급부(20)는, 액체세제공급부(10)와 마찬가지로, 헹굼제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상의 헹굼제용기(25)를 가지며, 헹굼제용기(25)의 상부에는 개구를 차단하는 헹굼제용기커버(23)가 결합되어 있다. 이 헹굼제용기(25)의 하부에는 헹굼제의 유출을 위한 헹굼제유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헹굼제용기(25)의 하부에는 헹굼제유출구(26)로부터 연장되어 헹굼제의 유출을 위한 안내유로를 형성하는 헹굼제유출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헹굼제유출관(28)의 길이방향의 일영역에는 헹굼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헹굼제밸브(22)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의 세제밸브(12)와 헹굼제밸브(22)는, 세탁기의 구동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는 세탁작업시에는 세제밸브(12)를 제어하여 세탁조(9)내로 액체세제를 공급하고, 헹굼작업시에는 헹굼제밸브(22)를 제어하여 세탁조(9)내로 헹굼제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의 둘레에는,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를 둘러싸는 장착케이싱(30)이 결합되며, 톱커버(5)의 상부에는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를 둘러싼 장착케이싱(30)이 안착되는 안착판(35)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행정이 개시되면, 급수관으로부터 세탁조(9)내에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제밸브(12)가 개방된다. 세제밸브(12)가 개방되면 액체세제용기(15)내의 액체세제는 세제유출구(16)를 통해 유출되고, 유출된 액체세제는 세제유출관(18)을 따라 하향 유동하여 세탁조(9)내로 투입된다. 세제의 투입이 완료되면 세탁물의 세탁작업이 이루어지며, 세탁이 완료되면 다시 세탁수가 공급되어 복수회의 헹굼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헹굼작업 중 마지막 헹굼작업이 시작되면, 급수관으로부터 세탁조(9)내에 헹굼수가 공급되고, 헹굼제용기(25)의 헹굼제밸브(22)가 개방된다. 헹굼제밸브(22)가 개방되면 헹굼제유출구(26)를 통해 헹굼제가 유출되고, 헹굼제는 헹굼제유출관(28)을 따라 하향 유동하여 세탁조(9)내로 투입된다.
이에 따라, 본체(1)에 액체세제공급부(10)와 헹굼제공급부(20)를 설치함으로써, 세탁작업시에는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헹굼작업시에는 헹굼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세제와 헹굼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헹굼제를 수용하는 헹굼제용기와, 헹굼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헹굼제밸브를 갖는 헹굼제공급부와;
    헹굼행정시에는 상기 헹굼제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세탁조내로 헹굼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제용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액체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와, 액체세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세제밸브를 갖는 액체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시 상기 세제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세탁조내로 액체세제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80012145A 1998-04-06 1998-04-06 세탁기 KR10026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45A KR100267924B1 (ko) 1998-04-06 1998-04-0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45A KR100267924B1 (ko) 1998-04-06 1998-04-0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09A true KR19990079509A (ko) 1999-11-05
KR100267924B1 KR100267924B1 (ko) 2000-10-16

Family

ID=1953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45A KR100267924B1 (ko) 1998-04-06 1998-04-0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9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924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8894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873681B1 (ko) 탑 로드형 세탁기
KR20100066172A (ko) 세탁기 및 세탁 방법
JP2022190019A (ja) 洗濯機
KR10101337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0267924B1 (ko) 세탁기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80104642A (ko) 탑 로드형 세탁기
JPH0768081A (ja)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KR100267923B1 (ko) 세탁기
KR200196941Y1 (ko) 액체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000009638A (ko) 세탁기
JP2012130479A (ja) 洗濯機
KR100277586B1 (ko) 세탁기
KR100267925B1 (ko) 세탁기
KR100274452B1 (ko)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KR100296798B1 (ko) 세탁기
KR19990079508A (ko) 액체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0207711Y1 (ko) 세탁기
KR19990079504A (ko) 세탁기
KR20000009640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9990016521U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S633636B2 (ko)
KR200374176Y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용해기
KR19990079511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