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186A -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 Google Patents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186A
KR19990079186A KR1019980011661A KR19980011661A KR19990079186A KR 19990079186 A KR19990079186 A KR 19990079186A KR 1019980011661 A KR1019980011661 A KR 1019980011661A KR 19980011661 A KR19980011661 A KR 19980011661A KR 19990079186 A KR19990079186 A KR 1999007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otriazine
amino
primary amino
pyrrolidino
hydrocarb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더블유. 리
제이. 마아틴 브라운
에드워드 더블유. 그랜지
알베라르도 피. 마티네쯔
마이클 트래시
다니엘 제이. 폴라르트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이. 데이비스
에스알아이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이. 데이비스, 에스알아이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이. 데이비스
Priority to KR101998001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186A/ko
Publication of KR1999007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186A/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방사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신규 화합물인 몇몇 1,2,4-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의 이용방법이 개시된다. 이들 화합물은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특이적으로 방사감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는 이들 세포에 특이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또한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약물과 함께 세포의 저산소증 배양의 전 또는 후에 호기성 세포를 방사감응시키는 뜻밖의 능력을 보여준다. 이것은 정상세포에 비하여 종양의 선택적인 방사감응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1,2,4-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의 신규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본발명은 저산소증 세포(hypoxic cell)에 유효한 방사선요법 및 세포독성제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발명은 특정 신규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선별된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을 이용하여 종양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거나 및/또는 종양세포를 방사선에 감응시키는 방법 및 신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산소증 세포 방사선감응제는 파괴적인 방사선에 저산소증 세포의 감응성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저산소증 상태하에서 활성을 증가시키는 세포독은 또한 저산소압하에서 세포의 선택적인 파괴수단을 제공한다. 종양이 이와같은 세포에 의해 전형적으로 특성확인되기 때문에 저산소증 세포에 대한 이 특이성은 중요하다. 실제적으로 고체 매스(mass)로 존재하는 모든 종양은 이들 세포를 포함하는 한편 일반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산소공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항종양제는 저산소 조건하에서 높은 활성에 의해 종양에 선택적으로 만들어질수 있으며 이들 감응제의 존재하에 더욱 효과적으로 방사선 조사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종양 세포를 파괴하는데 방사선 치료의 이용은 주위 정상조직에의 피해가 최소화되거나 회피할수 있을 때에만 실제적일수 있다. 방사선 요법의 효과는 산소의 존재하에 증가되며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적세포를 파괴하는데 있어 방사선의 효과는 산소가 존재할때 극적으로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방사선에 대한 종양 세포의 선택성은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 정상세포의 산소공급면에서 정상세포는 일반적으로 표적 종양세포보다 방사선에 더욱 민감하다. 그러므로 방사선 치료에 주위 조직이 아니라 종양세포를 감응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해결책은 이들 종양세포에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루기가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특히 산화된 질소부를 가지는 화합물이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방사선 감응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실로 산화된 질소는 기능적으로 이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니트로이미다졸린 특히 미손이다졸(MIS) 및 메트론이다졸은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며 MIS는 방사감응 활성의 생체내 및 실험실내 테스트에서 표준으로 흔히 사용되어왔다(Asquith, et al.,Radiation Res(1974)60: 108-118; Hall, et al,Brit J Cancer(1978)37: 567 -569; Brown, et al,Radiation Res(1980)82: 171-190;및 미국특허 No. 4,371,540 참조). 특정 1- 치환 3(5)-니트로-s-트리아졸 및 다양한 퀴녹살린-1,4- 디옥사이드유도체의 방사감응 활성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1985년 5월 3일에 출원된 동일 권리자의 미국특허출원 No. 730,761 및 1985 년 10월 18 일에 출원된 No. 788,762는 산화된 질소를 함유하지 않는 일단의 방사감응제--- 치환된 벤즈아미드 및 니코틴아미드와 이들의 유사체들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출원에 통합되어 있다. 당연히 이들 화합물들은 방사 감응제이다. 방사선 조사후 조사된 세포의 수복에 필수적인 것으로 믿어지는 효소 폴리(ADP- 리보오스) 폴리머라아제의 억제; 세포를 감응하는데 흔히 직면하는 다른 메카니즘과 예컨대 산소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산소증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응하는 능력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수복 메카니즘은 정상세포 및 저산소증 종양세포 모두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 후자의 메카니즘에 따라 작용하는 "방사감응제" 의 투여는 표적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응하는 소망 목적을 성취할수 없다. 저산소증 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거나 또는 이와같은 세포를 방사감응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이전에 제시되지 않은 일단의 화합물은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N- 옥사이드 및 관련 화합물이다. 관련 미국 특허 No. 3,980,779; No. 3,868,371; No. 4,001,410에서는 일단의 이들 화합물들의 제조 및 특히 가축사료에 이들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항-미생물제로서의 이들의 이용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No. 3,991,189; No. 3,957,799에서는 3- 아미노기의 질소에 치환기를 가지는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들 화합물들도 항- 미생물 활성을 가진다.
본발명은 저산소증 세포를 특이적으로 방사감응하며 더욱이 생체 및 실험실내에서 저산소증 세포에 직접 세포독성을 가지는 다른 화합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종양의 방사치료전 또는 후에 이들 화합물들의 투여는 방사량에 생존하는 저산소증( 종양) 세포를 죽인다. 이들 화합물의 저산소증 세포를 방사감응하는 능력 및 저산소증 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능력은 이들 화합물의 성질에서 직접적으로 기대할수 없다. 또한 본발명은 방사감응제 및/또는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유용한 신규 1,2,4-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 이들 화합물의 합성방법, 및 방사감응 및/또는 선택적인 세포사멸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들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1b 및 1c는 햄스터, 마우스 및 인간조직등에서 유래된 저산소증세포에 대한 3-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의 선택적인 세포독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방사선 조사와 결합될때 종양세포의 사멸을 증진시키는 3-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의 생체내 효율을 도시한다.
도 3은 종양 세포와 항 고혈압 약물 히드랄아진의 복강내 투여에 의해 저산소증으로 될때 3-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에 의한 생체내 종양세포의 사멸을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 22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3-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로 저산소증 예비처리 또는 후처리에 의한 CHO 세포의 호기성 방사감응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역시 실시예 22 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8×2.5 Gy 로 4일간 방사처리된 SCCVII 종양세포의 생존을 도시한다.
도 6은 역시 실시예 22 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8×2.5 Gy 로 4일간 방사처리된 SCCVII 종양의 성장 지연을 도시한다.
도 7은 단편당 3내지 6 Gy 의 8단편(매 12시간)으로 조사된 정상 마우스 피부의 평균 피부반응의 그래프 형성을 도시한다.
본발명은 저산소증 종양세포에 선택적인 세포독성제 및 선택적인 방사감응제로서 최근에 이용가능한 일단의 화합물의 유용한 첨가를 제공한다. 이러한 면에서 유용한 것으로 최근에 알려진 화합물들의 일부는 공지화합물이다. 일부는 신규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한면은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의 약리학적 허용염을 저산소증 종양세포에 투여함으로써 저산소증 세포를 방사감응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X는 H; 히드로카르빌(1-4C); OH, NH2, NHR 또는 NRR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1-4C); 할로겐; OH; 알콕시(1-4C); NH2; NHR 또는 NRR이고 여기서 다양한 R기는 저급알킬(1-4C)및 저급아실(1-4C)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 는 OH, NH2, 알킬(1-4C) 2차 및 디알킬(1-4C) 3차 아미노기, 알콕시(1-4C)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NRR 의 경우에 두 R' 는 직접 또는 산소다리를 통하여 함께 결합되어 모르폴리노 고리, 피롤리디노고리 또는피페리디노 고리로 될 수 있고; n 은 0또는 1 이고; Y1및 Y2는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알킬이 상호 결합되어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킬(1-4C)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 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또는 O(POR')R' 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치환기로 치환될수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다른면에서 본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화학식 1의 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로 방사요법이 필요한 세포를 처리하고, 그 전 또는 후에 처리된 세포를 각 방사량 약 5 Gy 이하로 일정 시간에 걸쳐 수회의 별도의 방사선량에 종속시키는 것을 수반하는 단편적인 방사요법의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금 개시된 방사감응법과 관련된 유용한 화합물은 화학식 1로 제시된 바와 같이 3- 위치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1-4C), 히드록실, 알콕시 또는 아미노기를 함유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1,2,4- 벤조트리아진의 모노- 또는 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약리학적 허용염이다.
또한 본발명은 이들 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을 이용하여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은 방사감응제로서 유용한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서브군이다. 즉 화학식 1로 정의되는 모든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방사감응제로서 유효한 반면 3- 위치에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3- 아미노 또는 3- 히드로카르빌(1-4C) 치환기( 즉 X=H, 히드로카르빌(1-4C), NH2, 각 R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같다)를 가지고 디-N- 옥사이드(n=1) 인 화합물은 세포독성제로서만 유효하다. 이 점에서 본발명은 이들 화합물( 또는 그 염) 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저산소증 종양세포에 투여함으로써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에 의해 포괄되는 특정 화합물은 기타 목적에 유용한 것으로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다른 화합물들은 신규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본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신규화합물들은 치환기가 다음 3개 부류에 속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I. X 는 OH, 알콕시(1-4C), NHR 또는 NRR이고 여기서 각 R은 독립적으로 1 내지 4 탄소원자의 알킬 또는 1-4탄소원자의 아실이거나 또는 두 R기는 함께 연결되어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 고리를 형성하거나 산소를 통하여 연결되어 모르포리노 고리를 형성하고 R기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더 치환될수 있고;
n 은 1이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알킬( 1-4C) 2 차 아미노, 디알킬( 1-4C) 3 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연결되어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킬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선택적으로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해 방해될 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수 있는 히드로 카르빌(1-4C)이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약리학적 허용염도 이들 화합물 부류에 포함한다.
II. X 는 NH2이고;
n 은 1이고;
Y1및 Y2는 둘중에 하나는 수소이고 하나 또는 둘다 독립적으로 니트로이거나 아니면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알킬( 1-4C) 2 차 아미노, 디알킬( 1-4C) 3 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연결되어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틸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7-14C의 포화 또는 불포화 히드로 카르빌 또는 2-6C 의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선택적으로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해 방해될 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수 있는 히드로 카르빌(1-4C)이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약리학적 허용염도 이들 화합물 부류에 포함한다.
III. X 는 수소 또는 OH, NH2,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2-4C)이고;
n 은 1이고; 그리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알킬( 1-4C) 2 차 아미노, 디알킬( 1-4C) 3 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연결되어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킬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 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7-14C의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 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선택적으로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해 방해될 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수 있는 히드로 카르빌(1-4C)이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약리학적 허용염도 이들 화합물 부류에 포함한다.
또한 본발명은 대응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를 환원성 탈아민화 조건하에서 저급알킬 아질산염으로 처리함으로써 3- 위치에 비치환된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즉, X = H 인 화학식 1 화합물) 을 제조하는 직접적인 단일- 단계 합성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실행방식
A.본발명에 유용한 화합물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방사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의 유도체이다.
화학식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화합물은 3- 위치에 X기를 함유한다. X 는 소망 활성에 따라 상기에 제시된 바와같이 특이적으로 다양하다.
상기 언급된 선택기준에 비추어 X는 일반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S-부틸 등의 비치환 히드로카르빌(1-4C); 히드록시; 메톡시, 에폭시, 프로폭시, t-부톡시 등의 알콕시(1-4C); 1 차 아미노(NH2); R이 1내지 4 탄소의 알킬 또는 아실인 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등의 2 차 아미노(NHR); R기의 각각이 1내지 4 탄소의 알킬 또는 아실인 예컨대 디에틸 아미노 등이고 또는 두 R' 는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 고리를 형성하는 3차 아미노(NRR)이다.
다양한 알킬 및 아실 R기의 경우에 이들은 OH, NH2, 저급알킬(1-4C) 2차 아미노 및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으로 더 치환될수 있다.
히드로카르빌 X기의 경우에는 이들은 OH, NH2, 알킬 2차 아미노, 디알킬 3차 아미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치환기로 더 치환될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Y1 및 Y2기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기는 바라는 사용도에 따라 상기 제시된 기준에 따라 특정적으로 선택된다.
이들 기준에 따라, Y1및 Y2는 수소; 니트로; 할로겐( 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 또는 히드로카르빌(1-4C)로부터 선택된다. 히드로카르빌일 때, Y1또는 Y2는 포화 또는 불포화, 환형 또는 비환형일수 있고 단일 에테르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다. 따라서 Y1또는 Y2의 비치환된 히드로카르빌 형은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s-부틸, n-헥실, 2-메틸-n- 펜틸, 2-에톡시에틸, 3-(n- 프로폭시)-n-프로필, 4-메톡시부틸, 시클로헥실,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푸르푸릴, 시클로핵세닐, 3-(n- 데실옥시)-n- 프로필, 4-메틸옥틸, 4,7-디메틸옥틸 등 일수 있다.
히드로카르빌 Y1및 Y2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 등의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예컨대 메톡시, n-프로폭시 및 t- 부톡시 등의 알콕시(1-4C); 알킬티오; (1-4C) 1차 아미노( NH2);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2 차 아미노(NHR')( 여기서 R' 는 메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1-4C 알킬이다); 3차 아미노(NR'R'); 각각 R'COO- 및 R'CONH-로 표시되는 아실옥시 및 아실아미도 기 및 각각 R'CSO- 및 R'CSNH-로 표시되는 이들의 티올 유사체; 카르복시(-C(O)OH); 알콕시카르보닐(-C(CO)OR'); 카르바밀(C-(O)NH2); 알킬카르바밀(1-4C)(-C(O)NHR'); 알킬술포닐(1-4C) (R'SO2-); 및 알킬포스포닐(1-4C)(R'P (OR')O-)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될수 있다.
또한 Y1및 Y2각각은 독립적으로 다양한 R' 기가 OH, NH , 알킬 2차 및 3차 아미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그들 자신이 치환될수 있는 저급알킬(1-4C)인,-NH2-, -NHR',-NR'R',-OCOR',-NH(CO)R', -O(SO)R' 또는 -O(POR')R' 일수 있다.
방사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 모두로서 유용한 화합물의 특히 유력한 부류는 다음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다.
화학식 2에서 Y1및 Y2의 하나는 H이고 다른 하나는 전자- 끄는기( 예컨대 니트로,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 알킬술포닐) 이고, R1 및 R2는 수소 및 저급알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또는 R1및 R2기는 결합되어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 고리를 형성할수 있고 m은 0내지 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또는 2이다.
물론 X는 OH 일때 화합물은 수산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 등의 무기염기 또는 카페인, 에틸아민 및 리신 등의 유기염기로부터 형성된 약학적 허용염으로 제조 및 사용될수 있다.
X가 NH2, NHR 또는 NRR 예컨대 화학식 2에서 NH-CH2-(CH2)m-CH2NR12일때 약학적 허용 산부가염도 사용될수 있다. 이들 염들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또는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피루브산, 숙신산, 만델산, p-톨루엔 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들이다( 히드로카르빌 측쇄상의 아미노 치환기도 물론 염으로 전환될수 있다).
1,2,4-벤조트리아진은 모노- 또는 디옥사이드로서 본발명의 실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즉 트리아지노 고리의 1- 질소가 산화되거나 1- 및 4- 질소가 산화된다.
본발명의 방사감응 및 세포독성 공정에 유용한 특히 바람직한 특정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의 티오아미드 유사체들이다:
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4- 아세트아미도-n- 부탄옥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4- 아세트아미도-n- 부탄옥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4- 아세트아미도-n- 부탄옥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4- 아세트아미도-n- 부탄옥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1-(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1-(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1-(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1-(2,3-디히드록시)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2-푸릴) 메틸아미노]-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2-푸릴) 메틸아미노]-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2-푸릴) 메틸아미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2-푸릴) 메틸아미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메톡시에틸아미노)-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메톡시에틸아미노)-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메톡시에틸아미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메톡시에틸아미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카르브에톡시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카르브에톡시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카르브에톡시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카르브에톡시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 메톡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2- 메톡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2- 메톡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 메톡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 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1-(2- 히드록시-3- 모르폴리노)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1-(2- 히드록시-3- 모르폴리오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2- 히드록시-3- 모르폴리오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1-(2- 히드록시-3- 모르폴리노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3-아미노-n-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3-아미노-n-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3-아미노-n-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3-아미노-n-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3-에폭시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3-에폭시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3-에폭시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3-에폭시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3-메톡시-2- 히드록시-n-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3-메톡시-2- 히드록시-n- 프로폭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3-메톡시-2- 히드록시-n-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3-메톡시-2- 히드록시-n- 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4-에톡시-3- 히드록시-n- 부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4-에톡시-3- 히드록시-n- 부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4-에톡시-3- 히드록시-n- 부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4-에톡시-3- 히드록시-n- 부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3,4-디히드록시-n- 부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3,4-디히드록시-n- 부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3,4-디히드록시-n- 부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3,4-디히드록시-n- 부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메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메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클로로아세트아미도-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클로로아세트아미도-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클로로아세트아미도-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클로로아세트아미도-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옥시) 아세트아미도] -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옥시) 아세트아미도] -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옥시) 아세트아미도]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2- 히드록시에틸옥시) 아세트아미도]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디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디메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디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디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디에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디에톡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디에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디에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프로피오닐-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프로피오닐-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프로피오닐-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프로피오닐-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아세톡시에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아세톡시에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아세톡시에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아세톡시에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n- 헥실옥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n- 헥실옥시-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n- 헥실옥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n- 헥실옥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틸아미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틸아미노-3- 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에틸아미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 에틸아미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메톡시에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메톡시에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메톡시에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2-메톡시에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아미노아세트아미도)-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아미노아세트아미도)-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아미노아세트아미도)-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아미노아세트아미도)-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카르브아밀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카르브아밀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카르복시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카르복시메톡시)-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카르복시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6(7)-(카르복시메톡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2-디히드록시에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3- 에틸아미노-2- 히드록시프로폭시]-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6(7)-[2-에틸아미노-1- 히드록시에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히드록시에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히드록시에틸]-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 2-히드록시에틸아미노]- 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3-( 2-히드록시에틸아미노]- 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클로로-3-(2-히드록시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
6(7)-클로로-3-(2-히드록시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디옥사이드;
3-(1- 히드록시에틸아미노]- 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3-(1- 히드록시에틸아미노]- 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메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에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프로필-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아미노-3- 메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아미노-3- 에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톡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메톡시-3- 메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2,3- 디히드록시프로폭시]-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2-디히드록에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 3-에틸아미노-2- 히드록시프로폭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에틸아미노-1- 히드록시에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클로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2-히드록시에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1-히드록시에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니트로-3- 아미노-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3-(3-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7)- 니트로-3-(2-N,N-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6 또는 7 위치("6(7)" 로 표시) 또는 6 및 7 위치 모두("6,7"로 표시) 로 존재하는 상기 대부분의 화합물로 제시된 Y1및 Y2치환기들은 또한 5 및/또는 8 고리위치에도 존재함을 숙지하여야 한다.
B.본발명 화합물의 제조
몇몇 3- 아미노 유도체의 일반적 제조방법은 Ley et al., 의 상기 참고 특허 예컨대 미국특허 No. 3,980,779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시안아미드의 염과 반응후 반응혼합물의 산성화에 의하여 식:
의 벤조푸록산으로부터 제조된다.
벤조푸록산 출발물질은 그 자체의 5 및 6 위치에 대하여 대칭적이지 않다( 이 위치는 생성 3- 아미노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의 6및 7위치이다). 그러므로 6- 및 7- 치환물질의 혼합물이 생성된다. 바람직하다면, 이들 혼합물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6 또는 7 위치에 치환기를 가지는 개개 성분으로 분리될수 있다.
또한 디옥사이드는 과산 산화작용에 의하여 모노옥사이드 또는 1,2,4- 벤조트리아진으로부터 제조될수 있다(Robbins et al.,J Chem Soc3186(1957) 및 Mason et al.,J Chem Soc B911 (1970) 참조 ).
또한 모노옥사이드는:
1) H2NCN·2HCl을 이용한 1- 니트로-2- 아미노벤젠 화합물의 환형화.
2) 구조식:
의 모 화합물의 산화에 의하여 또는 대응 디옥사이드의 조절된 환원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Mason,supra, 및 Wolf et al., J Am Chem Soc 76: 355(1954) 참조).
1,2,4-벤조트리아진은 BF3/AcOH 을 이용한 포르마잔 전구체의 환형화에 의하여 제조된다(반응식 1과 Atallah 및 Nazer,Tetrahedron38: 1793 (1982) 참조).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은 모 화합물의 환형화에 의하여(반응식 2 및 Arndt,Chem. Ber.3522 (1913)) 또는 상기와 같이 모노옥사이드 또는 디옥사이드의 환원에 의하여 제조될수 있다.
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은 3- 히드록시-1,4- 디옥사이드 화합물의 신규 합성공정, 과산화물 및 텅스텐산 나트륨(반응식 3) 의 이용 또는 진한황산 및 질산나트륨(반응식 4)의 이용에 의하여 제조될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3- 위치에 비치환된 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3-데스아미노" 화합물로서 언급됨) 의 신규 제조방법을 포괄한다. 신규합성은 대응 3- 아미노 구조의 환원 탈아민화와 관련된다. 3-데스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을 합성하는 종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본 방법은 높은 수율로 소망생성물을 생성하는 간단하고 직접적인 단일- 단계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방법은 X가 NH2인 화학식 1의 1,2,4- 벤조트리아진 산화물을 환원 탈아민화 조건하에서 저급알킬 아질산염으로 처리하는 것을 수반한다. "환원 탈아민화 조건" 은 소망 3- 비치환 반응생성물의 적어도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50% 을 산출하는 반응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저급알킬 아질산염은 아질산 t-부틸이다. 예시적인 환원 탈아민화 조건은 화합가능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적어도 약 60 ℃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약 60 내지 65 ℃범위의 온도에서의 반응을 수반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반응식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 실시예 12 내지 15에서 예시되어 있다.
C.제형 및 투여
하기에서 나타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산화 벤조트리아진 온혈동물숙주의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방사감응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죽이는데 사용된다. 사용되는 방법은 종양에 저산소증을 선택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시약과 연관된다. 이 방법은 히드랄아진 등의 항고혈압제 또는 혈액에 의하여 운반되는 산소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제제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이 환자의 암치료에 전형적으로 사용될지라도 기타 영장류 등의 온혈동물종, 소 등의 가축, 말, 개, 고양이 등의 애완 및 스포츠 동물의 저산소증 종양세포를 죽이는데 이용된다.
저산소증은 고형 악성 종양의 모든 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화합물들은 종양성 상피세포, 내피세포, 관절조직세포, 골수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및 뇌세포를 죽이거나 방사감응시키는데 사용된다. 암종 및 육종의 예로서는 상피세포, 소염세포, 폐포세포, 기저세포, 기저편평세포, 경부, 신장, 간, 허틀, 룩케, 점막 및 워커 등의 암종, 아버네티육종, 폐포연부, 맥관결석, 보티로이드, 외양암, 자궁내막기질, 에윙스 섬유속, 거대세포, 임파관, 젠센스, 근피질성 골형성, 캅토시스, 수질 및 활막 육종 등의 육종등이 속한다.
다른 방사감응제로 감응되는 종양의 특정예는 Adams, G.E.,Cancer: A Comprehensive Treatise(F. Becker, Ed) vol 6, pp 181-223, Plenum, New York, 1977) 에 보고되어 있다.
이 화합물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환자에 투여된다( 정맥내, 피하주사, 근육내, 척수내, 복강내 투여등).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경우 본 화합물들은 약학적 허용 비이클로 단위 투여주사가능형태( 용액, 현탁액, 에멀션) 로 보통 제형된다. 이 비이클들은 전형적으로 비독성 및 비치료적이다. 이 비이클의 예로서는 물, 식염수, 링거용액, 덱스트로스용액 및 한크용액 등의 수성비이클 및 고착오일( 예컨대 옥수수, 면실, 땅콩, 참깨),에틸 올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의 비수성 비이클 등이다. 바람직한 비이클은 멸균 식염수이며 화합물들은 충분히 물에 수용성이어서 모든 예상가능한 필요를 위한 용액을 제공한다. 비이클은 용해도, 등장도 및 화학적 안정도 등을 높이는 물질 예컨대 항산화제, 완충액 및 보존액 등의 첨가제를 소량 함유할수 있다. 경구(또는 직장) 투여될 경우 이들 화합물들은 정제, 캡슐, 좌약 또는 카세이 등의 단위 투여제형으로 제형된다. 이들 제형들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담체 또는 희석제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희석제 및 비이클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껌, 인산칼슘, 미네랄오일, 코코아버터, 테오브로마오일, 알기네이트, 트라가칸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이다.
환자에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은 치료될 악성 종양에 세포독성을 일으키거나 또는 방사감응시키기에 충분하나 정상조직에 독성 효과를 일으키지 않은 정도이다.
이 양은 종양의 유형, 치료될 대상의 종, 의도된 지시투여량, 및 대상의 체중 또는 체표면적에 좌우된다. 방사선은 다양한 다른 분획체계로 사람에 조사된다. 즉 총 방사선 조사량은 수일 내지 수주의 기간에 걸쳐 조금씩 주어진다. 6 주 이상까지 매일 투여량( 즉 주당 5회) 으로부터 4내지 6주 동안 주 1회 투여량까지 매우 다양하게 투여한다. 벤조트리아진의 개개 투여량은 각 방사선 처리전 또는 후에 주어지며 그 범위는 0.01내지 20 mmol/kg 보통 0.1내지 2 mmol/kg 이다. 이들 치료체계에서 각 방사선 조사량은 전형적으로 1 내지 5 Gy 바람직하게는 2.5Gy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내지 2.5 Gy 이다. 환자가 견딜수 있다면 2회 또는 그 이상일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1일 1회 방사선 조사량이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감응제로 개시된 화합물 특히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는 정상 피부의 감응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방사선에 종양을 감응시키며 또한 매우 많이 분획된 방사체계에서도 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명세서 실시예 22 에서 제시된 바와같이 저산소증 조건하에서 예컨대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로 세포를 예비 및 후조사처리하면 방사능 노출 및 세포가 호기상태동안에 약제가 존재하지 않을때조차도 세포를 방사감응한다.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화합물들은 독자적으로 투여되거나 방사선 또는 다른 암 세포독성제와 함께 혈관활성제( 예컨대 히드랄아진) 과 함께, 또는 빈혈과 같은 혈액에 의하여 운반하는 산소의 이용가능양을 감소시키는 다른 조건하에서 또는 산소의 헤모글로빈 결합을 증가시키는 약제하에서 투여될수 있다. 이들 모두는 종양의 저산소증 정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발명의 화합물 및 그 합성방법 그리고 이들의 이용에 대해 좀더 상세히 예시하며 이들 실시예는 결코 본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험:
모든 반응은 불꽃- 건조 유리에서 아르곤 블랭킷하에 실시하였다. 아릴산 t-부틸(90%) 는 Aldrich Chemical Company 로부터 입수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는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증류하였다. 7-니트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3- 아민 1- 옥사이드는 Parish Chemical Company 로부터 입수하였으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 N,N-디에틸프로필렌디아민 및 텅스텐산나트륨 2수화물은 Aldrich Chemical Company 로부터 구입하고 70% 과산화수소는 Interox America로부터 입수하였다. 모든 반응물들은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는 아르곤 가스의 양성 압력하에서 E. Merck 230-400 메쉬 실리카겔상에서 실시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Varian XL-400 또는 Jeol FX 90 Q 분광계에서 지시한 바와같이 d6-아세톤, d4- 메탄올 또는 d6- 디메틸 술폭시드에서 얻었으며 이들은 적당한 다중선( 각각 2.04, 3.30 및 2.49 ppm)에서 중심피크에 상대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UV 스펙트럼은 95% 에탄올에서 Perkin- Elmer 552 분광측광계에서 얻었으며 질량 스펙트럼은 LKB 9000 질량 분광계에서 얻었으며 원소분석은 Desert Analytics, Tucson, AZ 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 1.50g(9.25 mmole), 아세트산 100.0 mℓ 및 30% 과산화수소 30.0mℓ의 교반 혼합물을 Na2WO42H2O 3.05g (9.25 mmole)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60 ℃에서 4일간 오일욕에서 교반하였다. 황색 오렌지 혼합물을 약 30 ℃까지 냉각하고 여과하여 연황색 비-UV 흡수 고체를 제거하였다. 아세트산의 과산화수소 오렌지색 용액을 물 및 아세트산의 수차례 첨가로 반-건조로 신중히 증발시켜 대부분의 과산화물을 제거하였다. 진한 용액을 실온에까지 방치하여 오렌지 고체 0.87g (2화합물의 나트륨염 42% 수율) 을 얻었다.
UVmax(20% CH OH/H O): 262.2 ( ε 39,460); 477 ( ε7,030).
IR( 니트); 3530 μ, 3150 μ, 2650 μ, 2180 μ 및 1635 μ.
분석( 나트륨염에 대하여 계산);
7433Na 1.25H O, 223.64: C,37.6; H,2.93; N,18.79.
실측치: C,37.8; H,2.75; N,18.65
실시예 2 
3-아미노-7- 트리플루오로메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의 제조
4-클로로-3- 니트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Aldrich, 2.70g, 12.9 mmole) 및 시안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2.75g, 24mmole; 시안아미드의 에테르 용액을 HCl 가스로 처리하고 침전고체를 모아서 미리 제조) 혼합물을 140℃에서 1시간 가열하였다. 잔류물을 2N NaOH(45㎖) 로 처리하고 5분간 더 가열하고 그 다음 냉각하였다. 침전물을 모으고 H2O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아세톤 톨루엔과 분쇄하여 연황색 고체의3화합물 1.32g (45%)를 얻었다.
M.P. 301-302°, TLC: Rf0.60(실리카겔 플레이트상에서 9:1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Mass. Spec. : M+= 230 (q = 100).
실시예 3
3-아미노-7- 데실-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의 제조
4-(1- 데실)-2-니트로아닐린의 제조:
아세트산 무수물(400 mℓ) 를 헥산(2.4ℓ)중의 4- 데실아닐린(Aldrich, 80g, 0.34mmole)교반용액에 30 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1 시간동안 교반한후, 혼합물을 냉각하고 5 내지 10 ℃에서 30 분간 70%질산(34mℓ) 으로 처리하였다. 5 내지 10 ℃에서 1시간, 25℃에서 16 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H2O (1ℓ) 로 희석하고 5시간 교반하고, 개방접시에 넣고 16 시간 방치하였다. H2O(1.5 ℓ) 로 더 희석하고 그 다음 고체를 모으고 85% 에탄올 용액( 물) 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오렌지색 고체(m.p. 64℃) 의 중간생성물 92(84%)을 얻었다.
H2O중의 85% KOH(19g, 0.288 mole) 용액(100 mℓ) 를 상기에서 제조된 메탄올(900 mℓ)중의 4-(1-데실)-2-니트로아닐린(89mℓ, 0.28mole) 현탁액과 결합시켰다.
혼합물을 6시간 교반하고 진한 HCl로 pH 7-8 로 중화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거의 건조되게 하였다.
H2O (400 mℓ) 로 희석한후, 고체를 모으고 공기- 건조하여 오렌지색 고체 m.p. 59 ℃의 중간생성물 77g(100%)를 얻었다.
시안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시안아미드의 에테르 용액을 HCl 가스로 처리하고 침전고체를 모아서 사용가능하도록 미리 제조함) 1.0g (8.7 mmol)을 전단계에서 제조된 4-(1-데실)-2-니트로아닐린(500 mg, 1.8mmole)의 예비가열 용융물(190℃) 에 10 분동안에 걸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90℃에서 5분간 가열하고 25 ℃로 냉각하고 6N KaOH(10mℓ) 로 처리하고 90 내지 95 ℃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였다. 25℃까지 냉각한 다음, 고체를 모우고 H2O 및 에탄올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켜 연황색 고체의4화합물(m.p. 177℃분해) 0.25g (46%) 를 얻었다.
Mass. Spec. : M+= 285 (q = 100), 302(q = 13).
실시예 4
3-아미노-7- 카르바밀-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의 제조
4-클로로-3- 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4-클로로-3- 니트로벤조산 20.2g(0.1 mole)(Aldrich) 및 티오닐클로라이드(20mℓ)를 결합하고 16 시간 방치하고 4 시간 환류하여 맑은 적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벤젠과 공비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20mℓ) 에 용해하고 냉각(- 10 ℃) 된 진한 수산화암모늄(100 mℓ) 에 30 분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10℃에서 3시간, 25℃에서 16 시간후 혼합물을 개방접시에 넣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H2O 에 슬러리하고 고체를 모으고 공기- 건조하여 연황색 고체(m.p. 153 ℃) 의 중간생성물 19.8g(98% )을 얻었다. 에탄올(75mℓ) 의 Na(3.45g, 0.15 mole) 용액을 에탄올(75mℓ)중의 구아니딘히드로클로라이드(15.8g, 0.165 mole) 용액에 첨가하였다. 1 시간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상기에서 제조된, 에탄올(50mℓ)중의 4-클로로-3- 니트로벤즈아미드 현탁액과 합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16 시간 환류하고 0-5℃까지 냉각하고 진한 HCl(8 mℓ) 로 산성화하였다. 모여진 고체를 K2CO3(28g, 0.2 mole) 및 H2O (40mℓ)와 합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8시간 가열하였다. 25℃까지 냉각한후, 고체를 모으고, H2O 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하였다. 고체를 끓는 에틸아세테이트에 현탁하고 모으고 뜨거운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끓는 디옥산에 반복해서 현탁하고 모았다(6× 100 mℓ). 합한 여과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고체로 만들었다. 고체를 95% 에탄올에 현탁하고 모으고 공기- 건조하여 연황색 고체(m.p. 300 ℃)의5화합물 0.44g(4.3%)를 얻었다.
TLC: Rf = 0.23( 메틸렌 클로라이드: 아세톤 = 2:1, 실리카겔 플레이트)
Mass. Spec. : M+ = 205 (q = 100).
실시예 5
7-아세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옥심의 제조
7-아세틸-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실시예5 에서 제조; 50mg, 0.25 mmole),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200 mg, 2.88mmole), 피리딘(1 mℓ) 및 에탄올(1 mℓ) 의 합한 혼합물을 90 내지 95 ℃에서 1시간 가열한 다음 25 ℃까지 냉각하였다. 혼합물을 95% 에탄올(5㎖)로 희석하고 고체를 모으고 공기- 건조하여 연황색 고체(m.p. 278 ℃(분해))의6화합물 30mg (56%) 를 얻었다.
TLC : Rf= 0.60(9:1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탄올).
Mass. Spec. : M+ = 219 (q = 100).
실시예 6
3-아미노-6(7)-데실-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제조
5-(1- 데실)-벤조푸록산: 4-(1- 데실)-2-니트로아닐린(77g, 0.28 mole), 물중의 5.25% NaOCl(476g, 0.34 mole), 85% KOH(20.3g, 0.31 mole), nBu4NHSO4(4.7g, 0.014 mole), 및 CH2Cl2(2.28 ℓ)의 합한 혼합물을 6시간 급속히 교반하고 H2O(500mℓ) 및 CH2Cl2(1ℓ)로 희석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1N HCl( 1ℓ) 및 염수( 2 × 1ℓ) 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적색오일 70g (92%)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5-(1-데실) 벤조푸록산(10g, 0.036 mole) 및 벤질트리에틸 암모늄클로라이드(0.36g, 0.0016 mole)의 DMSO 용액 (180mℓ) 을 시안아미드(13.0g, 0.31mole) 및 K2CO3(36.8g, 0.27 mole)로 수시간동안 천천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48 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H2O (6ℓ) 및 빙초산(40mℓ)으로 희석하고, CH2Cl2( 4 × 500 mℓ)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용액을 5% NaHCO3용액(1× 500 mℓ) 및 염수(2× 500 mℓ)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건조하고( Na2SO4) 진공에서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조생성물을 CH2Cl2: 메탄올(98: 2) 을 이용한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적색 고체(m.p. 155 ℃(분해))의7화합물 1.8g (16%) 를 얻었다.
Mass. Spec. : M = 318 (q = 4), 285 (q = 100).
실시예 7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8화합물 1.80g(13.73 mmol), 90% H22(9 mℓ),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3.5mℓ) 및 Na2WO4· 2H2O(12.50g, 38mmole)의 CHCl3(170 mℓ)중의 혼합물을 5일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H2O(100mℓ) 로 희석하고 CHCl3(100 mℓ)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H2O (50 mℓ) 로 세척하고 건조( Na2SO4) 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CH2Cl2(1:1) 를 이용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황색 고체(m.p. 204-205 ℃)의9화합물 0.30g(13.4%) 을 얻었다.
7532(163.13)에 대한 분석계산치: C, 51.5; H, 3.09; N,
실시예 8
7-클로로-3- 히드록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아세트산 100 mℓ의10화합물 1.50g(7.63 mmole) 혼합물을 Na2WO4·2H2O 2.52g(7.63 mmole) 및 30%H2230mℓ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50 ℃에서 6일간 가열하고 그 다음 천천히 증발시켜 H22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H2O 250mℓ에서 끓이고 여과하여 출발물질12약 25mg 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2× 250 mℓ부분으로 추출하였다. TLC 및 Mass. Spec 분석에 의하여12로 특성확인된 짙은 적색 결정물질이 상기 분별 혼합물에서 형성되었으며 여과로 모아 황색 오렌지 고체(3.7% 수율) 60.0mg을 얻었으며 뜨거운이소프로필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에서 휼륭한 용해도를 나타내는12화합물로서 특성확인되었다.
Mass. Spec. : M = 212 (q = 100)(화합물10): TLC: R = 0.34 (아세톤, 실리카겔플레이트).
여과후12를 제거하고 H2O 층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그 다음, 잔류물을 실온에서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처리하여 연한 오렌지색 고체11화합물 0.41g(25% 수율) 을 얻었다.
Mass. Spec. : M = 213 (q = 70); TLC: R  = 0.22(아세톤, 실리카겔 플레이트).
화합물11은 다음과 같이 암모늄염, C74ClN33NH3  m.w. 230. 61로 특성확인되었다. 유리산11를 진한 NH4OH 에 용해하고 그 다음 얼음에 냉각하고 여과하여 미량의 불용물12를 제거하였다. 적색 여과물 및 세척액을 증발건조시켜 붉은 오렌지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가열 1,2- 디메톡시에탄 50mℓ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모우고 뜨거운 1,2- 디메틸에테르 25mℓ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56 ℃/1.0mm에서 P2O5상에서 건조하여13화합물 0.244g (87%수율) 을 얻었다.
실시예 9 
7-니트로-3- 아미노-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7-니트로-3-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 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5):
7-니트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4)(4.00g, 19.3mmol: Parich Chemical Co.), CHCl3(125 mℓ)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2.0mℓ, 85.0 mmol)의 용액을 44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연황색 고체를 여과하고 CHCl3( 50 mℓ) 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황색 고체 생성물 5.35g(91% 수율) 을 얻었다.
94354에 대한 분석계산치: C, 35.7; H, 1.33; N,23.10,
실측치 : C, 35.7; H, 1.23; N, 23.06.
7-니트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옥사이드(16):
상기에서 제조된 7- 니트로-3-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1,2,4- 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15)(2.50g, 8.25 mmol)의 CHCl3(200 mℓ)중의 교반용액에 Na2WO4·2H2O( 90mg, 0.273 mmol) 을 첨가한후 70% H22(10mℓ) 을 첨가하였다. 15분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8.0 mℓ, 56.7 mmol)로 용액을 처리하고 64시간동안 실온에서 계속해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EtOAc, 20% MeOH/아세톤 및 최종적으로 20% DMF/아세톤) 한 다음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오렌지색 고체의 생성물16(m.p. 286-288 ℃ (분해)) 1.20g(65% 수율) 을 얻었다. UV: λ259, 300, 345, 387, 472.
7554에 대한 분석계산치: C, 37.70 ; H, 2.26; N,31.39 실측치;
C, 37.70; H: 2.13; N, 30.94
실시예 10 
3-(3-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3-(3-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8):
3-클로로 -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7)(3.0g, 16.5 mmol)(미국특허 No. 4,289, 771, Sasse et al 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됨) 의 CH2Cl2(100 mℓ)중의 용액을 N,N- 디에틸프로필렌디아민(9.5 mℓ, 88.3 mmol)로 처리하였다. 상온에서 20 시간후 혼합물을 1,2- 디클로로에탄(50mℓ) 으로 희석하고 Na2CO3및 H2O 로 계속해서 세척하였다. 황색 용액을 건조하고( Na2SO4),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황색 고체 생성물 3.93g(87% 수율) 을 얻었다.
재결정( 에테르/석유 에테르) 하여 순수물질(m.p. 47-48 ℃) 을 얻었다.
14215(18)에 대한 분석계산치: C, 61.10; H, 7.69; N, 25.44
실측치: C, 61.30; H, 7.80; N, 25.61
3-(3-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18a):
상기에서 제조된 3-(3-N,N-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옥사이드18의 CHCl3(50mℓ)중의 교반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22.0mℓ)를 첨가하였다. 15분후,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70% H22(10mℓ)를 첨가한 다음 20일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건조하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포화 NaHCO3용액(50mℓ) 에 용해하고 CH2Cl2( 3 × 150 mℓ)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적색 고체( m.p. 92-94℃)의 생성물18a0.51g (29% 수율) 을 얻었다.
실시예 11
7-니트로-3-(2- N,N-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7-니트로-3-(2- N,N-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히드로클로라이드(20): 
7-니트로-3- 클로로- 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19)(1.60g, 7.06 mmol)( 미국특허 No. 4,289,771, Sasse et al.,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a) 40℃에서 NaNO2및 H2SO4로 처리하고 그 다음 (b) 106℃에서 POCl3로 염소화함으로써 제조) 의 CH2Cl2(50mℓ)중의 용액을 N,N- 디에틸에틸렌디아민(6.0 mℓ, 42.7mmol) 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후, 혼합물을 60℃에서 고진공하에 증발건조시켰다. 황색 고체를 20% iPrOH/에테르(150 mℓ) 에서 5시간 교반하고 여과하고 iPrOH 및 그 다음 페트롤륨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80 ℃/1.0 mmHg)하여 황색바늘결정의 생성물201.80 g(74% 수율) 을 얻었다.
7-니트로-3-(2-N,N-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히드로클로라이드(21).
7-니트로-3-(2-N,N-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20: 상기에서 제조)(0.50g, 1.46 mmol) 의 CHCl3(50mℓ)중의 0℃에서 교반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무수물(9.0 mℓ) 를 첨가하였다. 30분후 70% H22(4.0 mℓ)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3일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건조( Na2SO4) 하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건조시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0.67g (45% 수율) 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포화 NaHCO3용액(30mℓ) 에 용해하고 CH2Cl2(3 × 30mℓ) 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H2O 로 세척하고 건조( Na2SO4) 하고 여과하고 HCl 가스로 포화시키고 증발건조시켜 적색 고체(m.p. 194-195 ℃) 의 생성물 0.35g(63% 수율, 28% 총계) 을 얻었다.
UV: λ 260, 306, 388, 479.
131864HCl 에 대한 분석계산치: C, 43.50; H,5.34; N, 23.43.
실측치: C, 43.20; H,5.37; N, 23.11.
하기 실시예 12-15는 3- 위치에 치환되지 않은 즉 치환기 X가 수소인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환원성 탈아민화 반응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2
3-아미노-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환원성 탈아민화에 의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60내지 65 ℃에서 t- 부틸 니트라이트(867mg, 1.0mℓ, 8.41mmol) 의 DMF(20mℓ)중의 급속교반용액에 3-아미노-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SR 4233")(500mg, 2.81 mmol)(Angew. Chem. Internat. Edit. 11: 11 (1972) Seng et al., 방법에 따라서 제조) 를 5분간에 걸쳐 여러회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첨가후 동반된 비등작용의 진정( 약 5분) 과 함께 용액을 냉각하고 고진공하에서 짙은 왁스상 고체로 환원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30% EtOAc/CH2Cl2) 결과 황색 고체(mp 188-189.5 ℃(분해))를 얻었으며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하여 밝은 황색 작은 판상의 생성물9195mg (mp 192-194 ℃(분해))을 얻었다. NMR:
실시예 13
환원성 탈아민화에 의한 7- 알릴옥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7-알릴옥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24:
60-65 ℃의 온도에서 아질산 t- 부틸 (271 mg, 0.312 mℓ, 2.63 mmol)의 DMF(15mℓ) 교반용액에 7- 알릴옥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1,4- 디옥사이드23(205mg, 0.875 mmol)을 5분에 걸쳐 여러차례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30분후 아질산 t- 부틸(271mg, 0.312mℓ, 2.63 mmol)을 첨가하고 바로후에 짙은 적색용액이 비등하였고 수분동안에 걸쳐 색이 인식될 정도로 밝아졌다. 30분후, 생성 오렌지색 용액을 진공하에서 갈색 고체로 환원시키고 이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10% EtOAc/CH2Cl2) 하고 결정하여( CH2Cl2/석유 에테르)엷은 오렌지색 결정의 생성물24(mp 147-148℃) 72mg (38% 수율) 을 얻었다.
실시예 14
환원성 아민화에 의한 7-(3-N-에틸아세트아미도-2- 아세톡시프로폭시)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60℃에서 아질산 t- 부틸 (185 mg, 1.79mmol)의 DMF( 5mℓ)중의 교반용액에 7-(3- N-에틸아세트아미도-2- 아세톡시프로폭시)-3-아미노-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25)(125mg, 0.329 mmol) 의 DMF(5 mℓ)중의 용액을 1분간에 걸쳐 시린즈를 통하여 첨가하였다. 5 분후, 아질산 t-부틸 (217 mg, 2.10 mmol) 을 더 첨가하고 적색에서 밝은 오렌지색으로 용액의 색변화 및 가스발생으로 바로 반응이 개시되었음을 알수 있었다. 10분후, 용액을 황색/갈색 고체로 스트립하고 5% MeOH/CH2Cl2로 실리카겔을 통하여 용리하여 황색 오일 119mg을 얻었다. CH2Cl2/리그로인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색고체(75% 수율, mp 179-180.5℃) 90mg을 얻었다.
실시예15
환원성 탈아민화를 통하여 7- 니트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제조
60℃에서 아질산 t- 부틸 (88mg, 0.85 mmol) 의 DMF( 5mℓ)중의 교반 용액에 7-니트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14)(38mg, 0.17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후, 진한 적색 슬러리에 아질산 t- 부틸(175mg, 1.70 mmol)의 첨가후 색 및 비등작용의 변화가 바로 일어났다. 10분후, 오렌지색 용액을 진공에서 적색고체로 환원하고 1% AcOH/CH2Cl2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황색고체(10% 수율) 의 생성물273mg 을 얻었다.
실시예 16
빛을 조사하면서 활성에 대한 생체내 분석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Brown, J.M., Radiation Res (1975)64: 633-47의 분석법에 의하여 본발명 화합물에 대해 생체내 활성을 테스트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체중 20 내지 25g의 C3H 암컷생쥐의 SCCVII 암종을 사용하였다. 이들 생쥐를 특정 무- 병원성 조건하에서 기르고 각 실험 초기에 생후 3내지 4 개월이었다. SCCVII 종양은 적당한 생체종양으로부터 제거된후 종양세포의 2내지 8번째 생체외 통과로부터 취한 2× 105종양세포의 접종으로 부터 옆구리에서 피부내에 성장시켰다. 마우스당 두 종양을 이식하였으며 이들이 약 100 mℓ의 부피에 이르렀을때 피험 종양으로 사용하였다. 이 시점에서 종양은 약 20% 저산소증 세포를 함유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LD50의 2/3 또는 5 mmol/kg (어느쪽이든 더 낮은쪽) 의 일정한 주입량에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주입한 비방사성의 대조군과 식염수를 주입한 방사성의 적당한 대조군을 역시 포함하였다. 약물의 주입 3시간전 내지 2시간 후의 다양한 간격으로 20 Gy의 일정한 방사선 투여를 하였다. 이들 간격을 이용하여 그 결과는 방사선 단독과 비교한 추가세포사멸의 정도 및 최적 조사시간 모두를 지시한다.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를 이용한 이러한 시간- 경과 실험의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이들은 방사선만에 비하여 증가된 세포사멸를 나타냈으며 더욱이 두 개체 세포 독성을 더한 것을 활성에 기준하여 예상되는 것 보다 더 높았다.
조사 전 또는 후에 약물이 주어질 경우 비슷한 증가된 세포독성은 벤조트리아진 디옥사이드의 방사선 감응효과에 비하여 저산소증 세포에 더욱 선택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SCCVII 종양의 방사선 조사는 Plexiglas box의 마취 플럭시 유리상자에서 시키지 않은 종양을 지니는 마우스를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조사조건은 250 kVp X-선, 15mA, FSC 33cm, 0.35mm Cu 의 첨가된 여과, 반감수치층 1.3 mm Cu, 및 317 rad/min 의 조사율이었다.
다음과 같이 해부 및 배양한 종양 세포의 생존율에 의하여 세포사멸양을 판단하였다.
종양을 지니는 생쥐는 조사 24 시간후에 죽였으며 종양을 피부로부터 해부하고 몇 부분으로 절단하고 실톱에 부착된 칼날으로 고속으로 얇게 잘라 미세한 브레이(brei)로 만들었다. 이 브레이를 0.02% DNase, 0.05% 프로마아제, 및 0.02% 콜라겐아제를 함유하는 Hank's 완충염용액(HBSS) 30 mℓ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37 ℃에서 30 분간 교반하고 여과하고 1,600 rpm, 4℃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포펠리트를 완전한 Waymouth's 배지 + 15% 우태아혈청(FCS) 에 재현탁하고 분취량으로 트립판블루와 혼합하고 혈구계산기를 이용하여 계수하였다. 이 혈청의 적당한 희석액을 5또는 15mℓ 배지에 60-또는 100-mm 폴리스티렌 페트리 접시(Lux Scientific Corp) 에 플레이팅하였다. 13일간 배양한후, 콜로니를 고정하고 염색하고 50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계수하였다. 60 mm 접시에 평균 25 ∼100 콜로니의 평균수를 산출하는 희석액을 결과의 계산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17
세포독성 테스트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및 다양한 호기성 및 저산소증 세포의 배양물( 사람, 마우스 및 햄스터) 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스피너 플라스크의 세포를 약물의 특정양을 첨가하기 전에 5% CO2를 함유하는 공기 또는 질소로 37 ℃에서 1시간동안 가스처리하였다. 도 1a, 1b 및 1c는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다양한 농도에서 마우스, 사람 및 햄스터세포의 세포생존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호기성 조건하에서 약물 농도의 1내지 2% 만이 저산소상태하에서 동일한 세포사멸을 얻는데 요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택적인 저산소 독성(50-100)의 비율은 문헌에 보도된 어떠한 화합물에 대한것보다 더 높았다.
실시예 18
LD 50 의 측정
정맥내 투여(iv)가 사용되는 테스트 화합물이 낮은 친유성을 가지며 매우 용해성이지 않다면 복강내주사(ip)후 BALB/c 암컷 마우스(20-25g체중)에서 LD50을 측정하였다. 1,2,5 및 60 일째에 LD50수치는 주사 바로 전에 생리식염수에 용해된 약물의 차등 양을 투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실시예 19
생체외에서의 방사선감응
배양물의 저산소증 세포의 1.6 감응 증가비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합물 1.6 (mM)
7-클로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 옥사이드 3.3
6(7)- 메톡시-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 1.0
3-히드록시-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 ∼ 2.0
화학, 약학, 의학 및 관련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자명한 본발명을 실시하는 상기 유형의 변형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20
히드랄아진을 이용한 증가된 종양 세포독성
히드랄아진은 혈관주위의 연근육을 이완시켜 작용하는 항- 고혈압제이다. 이것은 혈액 흐름이 종양을 비켜나가 정상 조직으로 우선적으로 옮겨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 과정은 종양에서 즉각적인 저산소증을 유발한다.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가 이 제제와 함께 주어질 경우 종양세포 사멸의 획기적인 증가가 일어난다. 이 실험에서, 히드랄아진 또는 상기 벤조트리아진 화합물 어느것도 SCCVII 종양에서 상당한 세포사멸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들 둘의 조합은 103치 정도 생존이 감소된다( 즉, 매 1000 에 대해 1세포만이 살아남는다). 실험공정은 실시예9 에서 기술한 바와같고,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1
일부 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의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다음 표는 본발명자들에 의해 측정된 화합물22,14,18a21의 다양한 성질을 제시한다.
a.) pH 7.4 완충용액을 이용한, Fujita et al., J. Amer. Chem. Soc. 86: 5175 (1964)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옥탄올- 물 분배계수의 ℓog 치.
b.) 적하 수은 전극을 이용한 Britton & Robinson pH 7.4 완충용액에서 측정한 폴라로그래피 반파장 감소전위.
c.) 상대적 저산소증 세포독성: 화합물22: 저산소증 조건하에서 부착된 HA-1 세포에 대한 유사체의 동일독성농도의 비율. 지수적 성장세포를 현탁배양에 위치시키고 약물의 첨가전에 질소 또는 공기에서 90 분간 가스처리하였다. 샘플을 주기적으로 취하여 생존을 측정하고 얻어진 생존 커어브를 비교하여 그 비율을 측정하였다.
d.) 저산소증 세포독성비: 저산소증- 호기성하에서 얻어진 HA-1 세포에 대한 각 유사체의 동일독성 농도의 비. 처리조건은 상기와 같음.
e.) 생후 3-5개월 Balb/c 암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LD50실험을 실시하였다. LD50을 실시예 18 에 기술된 바대로 평가하였다. 표에서 용이하게 알수있는 바와같이 신규화합물14,18a21은 3- 아미노 1,2,4-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22)에 비하여 시험관내에서 저산소증 HA-1 종양세포에 대하여 상당히 증가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반면 호기성 세포에 비하여 저산소증 세포에 대한 높은 특이한 세포독성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들 약제들이 훨씬 더 종양- 특이적이며 따라서 생체내에서 항종양제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제시한다.
실시예 22
3-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1,4- 디옥사이드를 이용한 단편화 방사치료
다음 실험적 연구는 저산소증 조건하에서 화합물 22 와 같이 생체외에서 세포의 전- 또는 후- 방사선 조사처리가 약물들이 방사선 조사동안에 존재하지 않을 때 및 세포가 호기성일 경우에도 세포를 방사선 감응시킨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a.) 도 4는 X- 선의 차등 조사후 중국산 햄스터 난소 (CHO)세포의 생존이 조사 전 또는 후에 저산소증 화합물22노출이 주어질때 측정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전조사 처리는 세포를 재통기 및 조사하기전에 1.0( 도 4에서 □ ), 1.5( △), 2.0(◇) 및 2.5 □ 시간의 노출시간동안 20 μM 약제로 구성된다. 이들 약물 처리만으로는 각각 약 32, 19, 8 및 2% 로 세포 생존을 감소시켰다. 후조사 약물처리는 1.5시간(+) 동안 20 μM 로 구성되며 이것은 단독으로 23% 까지의 세포생존을 감소시켰다. 전- 또는 후- 조사에 노출된 세포에 대한 생존 커어브에 비교하여 화합물22로 처리된 저산소증( ■ )만이 호기성 조사에 세포를 감응시켰다. 감응은 조사 생존 커어브의 기울기의 현저한 변화이다. D0는 대조 및 처리세포에 대한 생존 커어브의 지수적 부분에 대한 모집 데이타의 최소 자승 회귀분석에 근거하여 1.34 Gy (95% 신뢰한계: 1.09-1.76Gy)에서 0.80 Gy(95% 신뢰한계: 0.73-0.88 Gy) 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낮은 조사량에서의 감응도 명백하였다. 1-3 Gy량으로 조사된 "비- 약물: 약물처리" CHO 세포에 대한 생존비율은 평균 3.6 수치정도였다. 산출된 방사선감응의 양은 약물처리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였다.
b.) 저산소증 활성화에 의한 낮은 방사선 조사량에서 호기성 세포의 방사선감응에 대한 (a.)에서의 데이타는 본발명자들로 하여금 생체내에서 종양의 우선적인 방사선감응의 가능성을 테스트하게 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프로토콜은 4일에 2.5 Gy/조사량으로 8회 조사(2×/일 조사) 하였다. 방사선감응은 조사전 또는 후에 저산소증 활성화에 의해서만 이루어질수 있다는 체외에서의 데이타 때문에 그리고 본발명자들은 조사전에 종양을 저산소증상태로 만들기를 원치않기 때문에( 이것은 세포에 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본발명자들은 화합물22를 주사함과 동시에 혈관활성약물 히드랄아진(HDZ) 을 이용하여 조사후 종양들을 저산소증 상태로 만들었다. 본발명자들은 두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대조군은 사용하였다. 제1 은 각 조사에 앞서 화합물22만을, 제2 는 각 조사에 앞서 강력한 저산소증 세포 감응자 SR 2508(2- 니트로이미다졸, DuPont, 유럽에서 Phase III 임상실험에서 실시중)만을 주사함. SR 2508 의 유효성 또는 유효성의 결여는 종양의 조사 반응이 각각 저산소증 또는 호기성 세포에 의하여 통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본발명자들은 클론생성 세포 생존 또한 재성장지연을 이용한 처리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도 5 및 도 6은 그 결과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조사량 전에 주어진 SR 2508 (1000 mg/kg) 의 효과는 없었으나 히드랄아진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주어진 화합물22(0.08 mmole/kg) 은 조사반응에 큰 증가를 나타냈다. 이것의 일부는 부가반응( 십자) 에 기인하나 부가적인 세포 사멸은 호기성 세포의 방사선 감응의 결과이다.
도 6에서, 각 조사량전의 SR 2508(1000mg/kg) 은 방사감응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사전 단독으로 또는 조사후 HDZ 와 함께 화합물22(0.08mmole/kg)은 약물 또는 조사 단독만에 비하여 상당한 효과의 증가를 내었음을 볼 수 있다.
이들 실험의 주요 및 예상외의 결과는 히드랄아진의 첨가없이 각 조사량 전에 주어진 화합물 22 에 의한 종양의 방사선 감응이다.
이것은 SR 2508 (저산소증 방사선 감응제) 가 비효과적이기 때문에 저산소증세포의 방사감응에 의하여 설명되어질수 없다. 이 사실은 호기성 정상세포를 방사 감응한다면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미리 사용한 피부반응 계측 스케일을 이용하여 정상 마우스 피부의 반응에 동일한 여덟 단편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이 사실을 테스트 하였다.
도 7은 결과를 도시한다. 정상피부의 방사선 감응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이들 데이타는 종양의 호기성세포가 방사요법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다중 단편 섭생에서 방사선 감응될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방사선감응은 종양 특이적이며( 즉, 정상세포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종양에서 저산소증 영역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Claims (26)

  1.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리학적 허용염.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OH, 알콕시(1-4C), NHR 또는 NRR이고 여기서 각 R은 독립적으로 1내지 4탄소원자의 알킬 또는 1내지 4탄소원자의 아실이고 또는 두 R기는 함께 알킬결합되어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 고리를 형성할수 있거나 또는 산소를 통하여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이고, R 은 또한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수 있고;
    n 은 1이고; 그리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저급알킬(1-4C) 2차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할수 있는 디알킬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 는 OH 또는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X 는 NR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2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3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X 는 m이 0내지 4의 정수이고 R1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함께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 고리를 형성하는 -NH- CH2-(CH2)m- CH2-NR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m 은 1또는 2 이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및 니트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리학적 허용염.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2이고;
    n 은 1이고; 그리고
    1및 Y2는 둘중에 하나는 수소이도록 선택되고 하나 또는 둘다는 독립적으로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 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저급알킬(1-4C) 2차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할수 있는 디알킬3 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7-14C 의 포화 또는 불포화 히드로카르빌, 또는 2-6C 의 불포화히드로카르빌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 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Y1은 H이고 Y2는 7-14C의 포화 또는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Y1는 H이고, Y2는 2-6C 의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Y1는 H이고, Y2는 니트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화학식 1:
    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리학적 허용염.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수소, 또는 선택적으로 OH, NH2,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수 있는 히드로카르빌(2-4C)이고;
    n 은 1이고; 그리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알킬(1-4C) 2차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킬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 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 될 수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X 는 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X 는 히드로카르빌(2-4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7. 제 14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8. 제 15 항에 있어서, Y1및 Y2는 둘다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9. 화학식 1:
    의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를 환원 탈아민화 조건하에서 저급 알킬 아질산염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
    의 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 허용염의 합성방법.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이고;
    Y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저급알킬(1-4C) 2차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할수 있는 디알킬(1-4C)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 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 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킬아질산염은 아질산 t- 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 탈아민화 조건은 적어도 약 60 ℃의 온도에서 적합성 용매에서의 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a) 화학식 1:
    의 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약학적 조성물을 온혈포유동물에 투여하고,
    b) 종양세포를 분명한 방사선 조사량에 작용시키고,
    c) 단계 (a)및 (b)를 반복하여 포유동물이 장기간에 걸쳐 각 방사선 조사량이 약 5 Gy 미만인 복수회의 약물투여량 및 방사선 조사량을 받도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혈포유동물에서 종양세포를 방사선 감응시키는 방법.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H; 히드로카르빌(1-4C); OH, NH2, NHR 또는 NRR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1-4C); 할로겐; OH; 알콕시(1-4C); NH2; NHR 또는 NRR이고 여기서 R 은 OH, NH2, 알킬(1-4C) 2차 및 디알킬(1-4C) 3차 아미노기,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될수 있는 알킬(1-4C)및 아실(1-4C)로 부터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NRR 의 경우에 두 R' 기는 함께 직접 또는 산소 다리를 통하여 결합되어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 고리를 형성할수 있고;
    n 은 0 또는 1이고; 그리고
    1및 Y2는 독립적으로 H; 니트로; 할로겐; 할로겐, 히드록시, 에폭시, 알콕시 (1-4C), 알킬티오(1-4C), 1 차 아미노( NH2), 저급알킬(1-4C) 2차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두 알킬이 함께 결합하여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또는 피페리디노를 형성하는 디알킬(1-4C) 3차 아미노, 아실옥시(1-4C), 아실아미도(1-4C) 및 이들의 티오유사체, 아세틸아미노알킬(1-4C), 카르복시, 알콕시카르보닐(1-4C), 카르바밀, 알킬카르바밀(1-4C), 알킬술포닐(1-4C) 또는 알킬포스포닐(1-4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환형 및 불포화 히드로카르빌을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1-14C) 이고, 여기서 히드로카르빌은 단일 에테르(-0-)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방해될수 있고; 또는
    Y1및 Y2는 독립적으로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NH2, NHR', NR'R', O(CO)R', NH(CO)R', O(SO)R', 또는 O(POR')R'이고 여기서 R' 는 OH, NH2, 알킬(1-4C) 2차 아미노, 디알킬(1-4C) 3차 아미노,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알콕시(1-4C) 또는 할로겐 치환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히드로카르빌(1-4C)이다.
  23. 제 22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단계(b) 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단계(b)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사선 조사량은 약 2.5 Gy 미만이고 상기 장시간은 적어도 약 3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는 3- 아미노-1,2,4- 벤조트리아진-1,4- 디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1661A 1998-04-02 1998-04-02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KR19990079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661A KR19990079186A (ko) 1998-04-02 1998-04-02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661A KR19990079186A (ko) 1998-04-02 1998-04-02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86A true KR19990079186A (ko) 1999-11-05

Family

ID=6586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661A KR19990079186A (ko) 1998-04-02 1998-04-02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1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80B1 (ko) * 2007-03-16 2008-08-07 한국원자력연구원 신규 형광 디파이렌아미드-벤젠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80B1 (ko) * 2007-03-16 2008-08-07 한국원자력연구원 신규 형광 디파이렌아미드-벤젠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184B1 (en) 1, 2, 4-benzotriazine oxides as radiosensitizers and selective cytotoxic agents
US5175287A (en) Process for preparing 1,2,4-benzotriazine oxides
RU2148406C1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цитотоксичности хим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агента, набор для лечения
Monge et al. Hypoxia-selective agents derived from quinoxaline 1, 4-di-N-oxides
US5041653A (en) Substituted benzamide radiosensitizers
US5032617A (en) Substituted benzamide radiosensitizers
CA1338445C (en) 1,2,4-benzotriazine oxides as radiosensitizers and selective cytotoxic agents
AU646794B2 (en) 1,2,4-benzotriazine oxides as radiosensitizers and selective cytotoxic agents
JPH09501944A (ja) ベンゾアゾール化合物
KR19990079186A (ko) 방사선 감응제 및 선택적인 세포독성제로서의 1,2,4-벤조트리아진 산화물
KR0140894B1 (ko) 방사선감수성증강물질 및 선택적인 세포장해제로서의 1,2,4- 벤조트리아진 옥사이드
CA2001903C (en) 1,2,4-benzotriazine oxides as radiosensitizers and selective cytotoxic agents
DE3745196B4 (de) 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zur selektiven Vernichtung von hypoxischen Tumorzellen
JP2005047806A (ja) ベンゾアジンモノ−n−オキシド類およびベンゾアジン1、4−ジオキシド類および癌処置における治療用途のためのそれら由来の組成物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523

Effective date: 200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