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480A -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480A
KR19990078480A KR1019980036899A KR19980036899A KR19990078480A KR 19990078480 A KR19990078480 A KR 19990078480A KR 1019980036899 A KR1019980036899 A KR 1019980036899A KR 19980036899 A KR19980036899 A KR 19980036899A KR 19990078480 A KR19990078480 A KR 1999007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sound output
unit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741B1 (ko
Inventor
신기철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신봉철
신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철, 신기철 filed Critical 신봉철
Priority to KR101998003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09F2025/005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대(12)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점자표식의 안내판(13)이 설치되는 본체(11); 상기 본체(11) 상에 장착되어 교류 및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15); 그리고 수신부(24)를 통하여 리모콘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16)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패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이 리모콘의 작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guide device for the blin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이 리모콘의 작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진국화 될 수록 장애인이 혼자의 힘으로 원하는 장소에 이동하고 원하는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보조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나 설비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것으로는 도로나 지하철 등의 공공 시설물 상에 설치되는 점자표식이 성형된 보도블록, 교차로 신호등 상에 설치되어 횡단의 가부를 발신음으로 알려주는 경보장치, 건물의 위치 또는 내부배치에 대한 점자표식의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판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도로나 건물의 상태에 따라 실제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이 그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이 리모콘의 작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본체 12: 지지대
13: 안내판 14: 전원코드
15: 전원장치 16: 스피커
20: 제어패널 21: 마이콤
22: 음향출력부 23: 타이머부
24: 수신부 25: 주기가변부
ST10∼ST14: 단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는, 지지대(12)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점자표식의 안내판(13)이 설치되는 본체(11); 상기 본체(11) 상에 장착되어 교류 및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15); 그리고 수신부(24)를 통하여 리모콘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16)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패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 순간부터 타이머부(23)를 작동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음향출력부(22)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을 마이콤(21)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면 음향출력부(22)에서 음향출력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가변부(25)를 추가로 지니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자표식의 안내판(13)이 설치되는 본체(11)가 지지대(1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구성을 지닌다. 안내판(13)은 도로상에서 주요 건물의 위치나 주요 건물 내에서 각 사무실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와 문자를 점자표식의 정보로 나타낸다. 지지대(12)는 시각장애인이 부딪히지 않도록 본체(11)의 후면에서 연결되는데, 그 하단부에는 고정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 및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15)가 상기 본체(11)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로나 건물 등 교류전원을 얻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전원코드(14)를 통해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그 중 일부가 정류기를 거쳐 직류전원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정전에 대비하여 충전식 배터리를 전원장치(15)에 포함시켜 두고 모든 기능이 직류전원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부(24)를 통하여 리모콘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16)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패널(20)이 본체(11) 상에 장착된다. 리모콘은 시각장애인이 소지하고 다니는 것으로서 스위치를 누르면 특정 주파수의 초음파나 적외선 송신신호가 출력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스피커(16)는 배치 위치에 제한을 두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수신부(24)는 이러한 송신신호가 원활하게 수신되도록 본체(11)의 상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 순간부터 타이머부(23)를 작동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음향출력부(22)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을 마이콤(21)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타이머부(23)는 카운터/타이머 소자를 요부로 하고 음향출력부(22)는 멜로디 소자 및 앰프회로를 요부로 한다. 수신부(24)는 리모콘의 종류에 무관하게 송신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폰과 포토 다이오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콤(21)은 8비트 이상의 CPU, 메모리, I/O소자 등을 지니고 외부에서 클럭회로, 리셋회로 등과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면 음향출력부(22)에서 음향출력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가변부(25)를 추가로 지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기가변부(25)는 음향출력부(22)의 주기를 변동하는 분주회로이며 음향출력부(22)의 신호 형태를 항상 일정하지 않고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는 바, 전술한 주기가변부(25)도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마이콤(21)은 단계 ST10에서 리모콘으로부터 보내오는 송신신호의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yes이면 단계 ST11로 가고 no이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프로그램의 종료는 또 다른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고려한 것으로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프로그램이 시작되므로 단계 ST10을 포함한 후속 단계의 작동은 주기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시각장애인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안내판 장치에 송신신호를 보내면 단계 ST11에서는 설정된 주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이 수행된다. 시각장애인은 스피커(16)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을 듣고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T12에서는 마이콤(21)이 타이머부(23)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송신신호의 입력이 계속되는지 판단하는데 yes이면 단계 ST13으로 가고 no이면 단계 ST11에서 발생된 음향출력을 단계 ST16에서 오프한 다음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단계 ST13에서는 변경된 주기의 음향출력이 발생되도록 한 다음 단계 ST12로 복귀한다.
즉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리모콘을 정확한 방향으로 계속 누르면서 접근하면 마이콤(21)은 단계 ST12 및 단계 ST13을 계속 수행하며 스피커(16)를 통한 음향신호를 변경시켜 주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찾기 쉽다. 만일 접근하는 도중에 리모콘이 방향이 완전히 달라지면 단계 ST12에서 단계 ST14로 진행하여 음향출력을 오프하므로 자신이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기가변부(25)를 통하여 음향출력부(22)의 주기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다양한 음향이 저장된 멜로디 소자를 음향출력부(22)에 적용하면 음향 자체를 복수의 단계로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구성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는 공공장소에서 시각장애인에게 각종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안내판이 리모콘의 작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지대(12)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점자표식의 안내판(13)이 설치되는 본체(11);
    상기 본체(11) 상에 장착되어 교류 및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15); 그리고
    수신부(24)를 통하여 리모콘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16)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패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 순간부터 타이머부(23)를 작동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음향출력부(22)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을 마이콤(21)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20)은 수신부(24)의 입력이 소정의 시간이상 지속되면 음향출력부(22)에서 음향출력의 주기를 변경하는 주기가변부(25)를 추가로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KR1019980036899A 1998-09-08 1998-09-08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KR10025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899A KR100258741B1 (ko) 1998-09-08 1998-09-08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899A KR100258741B1 (ko) 1998-09-08 1998-09-08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80A true KR19990078480A (ko) 1999-11-05
KR100258741B1 KR100258741B1 (ko) 2000-06-15

Family

ID=1954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899A KR100258741B1 (ko) 1998-09-08 1998-09-08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8741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260A (en) Sensible body vibration
US5666331A (en) Alarm clock
WO200606067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a person
US20170053560A1 (en) Electro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4051599A1 (en) Tactile metronome
DE60031552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tuitiven navigation auf eine tastatur mit tonrückführung für ein schnurloses kommunikationsgerät
US4851836A (en) Audio-tactile pedestrian push button signalling system
KR100258741B1 (ko) 시각장애인용 안내판 장치
JP2801868B2 (ja) 無線案内装置
KR100194064B1 (ko) 시각장애자용 교통신호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2020A (ko) 시각장애인 전용 횡단보도 음성 안내장치
KR200274421Y1 (ko) 장애인 및 일반인 겸용 보행신호등 제어장치
KR100289511B1 (ko) 리모콘기능을지니는시각장애인용지팡이
JPH1116596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JP5208475B2 (ja) 視覚障害者歩行誘導システム
KR100356303B1 (ko) 시각장애인용 자동 신호등 장치
KR20060102816A (ko) 시각장애인용 도보안내장치
KR200342252Y1 (ko) 알람기능과 음악 기타 소리방송기능을 갖는 베개
JPH05168665A (ja) 視覚障害者誘導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補助杖
JP4448625B2 (ja) 誘導装置
KR20090054699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안내장치
KR200218761Y1 (ko) 소리를 감지하는 형광등 제어장치
KR200262315Y1 (ko) 장애자용 비상경보 및 유도 장치
KR0140401Y1 (ko)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