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484A - 유동저항성물질을함유하는,2-봉합부를구비하는기기상에서봉합가능한직물 - Google Patents

유동저항성물질을함유하는,2-봉합부를구비하는기기상에서봉합가능한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484A
KR19990077484A KR1019990006417A KR19990006417A KR19990077484A KR 19990077484 A KR19990077484 A KR 19990077484A KR 1019990006417 A KR1019990006417 A KR 1019990006417A KR 19990006417 A KR19990006417 A KR 19990006417A KR 19990077484 A KR19990077484 A KR 19990077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bric
fabric
yarn
yarns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6831B1 (ko
Inventor
엘킨스필립알.
Original Assignee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실버 챨스 제이
Publication of KR1999007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10Seam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4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with specified seam structure of papermaking be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85Edge feature including layer embodying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 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e.g., weave,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325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10T442/335Plural fabric layers
    • Y10T442/3358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10T442/3724Nee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osthes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며, 이 베이스 직물은 각각 봉합부를 구비한 순환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은 전체에 걸쳐 얽혀있는 최소한 한 층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들 베이스 직물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제 1 봉합루프가 제 2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제 2 봉합루프가 제 1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한다. 이러한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두 봉합부를 폐쇄함으로써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이 봉합부 부근에서 그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두 개의 기기방향 방적사계를 구비하는 일체로 직조된 다층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며, 이 방적사들은 각각 폭방향 양단의 각각을 따라 직물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별도의 로우(row)에서 봉합루프를 형성한다. 이 두 개의 별도의 로우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한 로우의 봉합루프는 폭방향 양단 각각에서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한다. 이러한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저항성 물질을 함유한다.

Description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하는, 2-봉합부를 구비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직물{Flow-Resistant Material Additions to Double-Seam On-Machine-Seamable Fabrics}
본 발명은 제지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지기의 압착부에 사용되는 OMS(on-machine-seamable;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압착부 직물과 같은 OMS종류의 제지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정에서, 제지기의 성형부내의 이동식 성형부 직물상에 섬유질 슬러리(즉, 셀룰로즈 섬유의 수성 분산액)가 침적됨으로써 섬유질 웨브(fibrous web)가 형성된다. 이 공정에서 성형부 직물을 통해 슬러리로부터 다량의 물이 빠져나가게 되고 성형부 직물의 표면상에 섬유질 웨브가 남게 된다.
새로이 형성된 셀룰로즈 직물 웨브는 성형부로부터 일련의 압착 닙(nip)을 구비하고 있는 압착부로 진행하게 된다. 이 섬유질 웨브는 압착부 직물에 의해 지지되는 압착 닙을 통과하거나, 또는 흔히 있는 바와 같이 두 압착부 직물 사이를 통과한다. 압착 닙에서 섬유질 웨브에 압착이 가해져 물이 짜여지고 이 웨브의 섬유가 또 다른 섬유에 부착됨으로써 이 섬유질 웨브에서부터 페이퍼 시트로 변하게 된다. 물은 압착부 직물 또는 직물들에 의해 흡수되며, 이상적으로는 섬유질 웨브로 되돌아 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섬유질 웨브는 스팀에 의해 내부 가열되는 일련의 회전식 건조드럼 또는 실린더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건조부로 진행된다. 웨브 또는 새로이 형성된 페이퍼 시트 그 자체는 드럼 표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착해서 웨브를 붙들어 주는 건조부 직물에 의해 일련의 드럼내에서 각각의 둘레의 굽이진 경로로 순차적으로 향하게 된다. 가열된 드럼은 웨브에 존재하는 물함량을, 증발을 통해 원하는 수준까지 감소시킨다.
성형부, 압착부 및 건조부 직물은 모두 제지기상에서 순환루프의 형태를 취하며,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작용한다. 또한 제지공정은 상당한 속도로 진행되는 연속공정이다. 다시 말해서, 섬유질 슬러리가 성형부의 직물상에 연속적으로 침적되는 동시에, 새로이 제조된 페이퍼 시트가 건조부로부터 빠져나와 롤에 연속적으로 감아 돌려진다.
압착부 직물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자면, 한때는 압착부 직물이 단지 순환형태로만 공급되었다. 그 이유는 새로이 형성된 페이퍼 시트가 압착부 직물 또는 직물들내의 불균일성으로 인해서, 압착 닙에서 자국이 생기기가 매우 쉽기 때문이다. 순환 직조법으로 알려져 있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과 같은 봉합없는 순환 직물은 길이 방향(기기방향)과 그 교차방향(기기교차방향)으로 모두 균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지기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동안 압착부 직물이 순환 형태로 봉합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솔기와 같은 봉합부(seam)는 압착부 직물의 균일한 구조에 불연속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봉합부를 이용함으로써, 페이퍼 시트가 프레스 닙에서 자국이 생기게 될 가능성이 매우 증가한다.
말하자면, 작동가능한 OMS압착부 직물의 봉합 부분이 하중 하에 있어야 하며, 즉 압착부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압착 닙 내에서의 압착 하에 있어야 하며, 또한 봉합 부분에 의해 생기는 페이퍼 산물의 주기적인 자국을 피하기 위해서 압착부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투수성 및 통기성을 가져야 한다. OMS는 알바니 인터내셔날사의 등록 상표이다.
이러한 필요조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OMS) 압착부 직물을 개발하는 것이 여전히 매우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압착부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은, 직물의 양단에서 맞은 편으로 가로방향 가장자리에 봉합루프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봉합부를 구비한 압착부 직물을 개발함으로써 극복되었다. 이 봉합루프 자체는 직물의 기기방향(MD) 방적사에 의해 형성된다. 봉합부는 압착부 직물의 양단에서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압착부 직물의 양단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해서 서로 맞물려진 봉합루프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소위 핀 또는 핀틀(pintle)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제지기상에 OMS압착부 직물을 설치하는 것이 순환 압착부 직물을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용이하고 시간소모가 적다.
이와 같은 봉합을 이용하여 제지기상에 결합될 수 있는 압착부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한 방법은 경사가 직물의 기기방향(MD)이 되도록 직물을 평면 직조하는 것이다. 그 다음 봉합루프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경사의 단부를 경사에 평행한 방향으로 직물에 되돌아오도록 직조한다. 또 다른 방법은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직물의 연속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변형된 순환 직조형태이다. 이 변형된 순환 직조에서, 위사 또는 충진사는 루프 형성 핀 둘레를 따라 통과함으로써 직조되는 직물의 한쪽 단부상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통로 각각에서, 룸(loom)에 대해 앞뒤로 연속적으로 직조된다. 최종적으로 압착부 직물의 기기방향(MD) 방적사가 되는 위사 또는 충진사가 연속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봉합 루프는 경사가 평면 직조된 직물의 단부로 되돌아가도록 직조되는 직물의 경우보다 강하다. 또 다른 방법의 경우, 직물을 순환형태로 직조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직물의 순환 루프를 평평하게 한 다음 이 평평하게 된 루프의 폭방향 양단에서 두 직물 층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한 다음,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폭방향 방적사를 제거시킴으로써 각 단부의 길이방향 방적사의 프리드(freed)-즉, 새로운 비직조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짧은 갭을 형성시킨다. 그 다음 이 길이방향 방적사의 비직조 부분을, 폭방향의 양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함께 모아졌을 때 봉합 루프로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OMS) 압착부 직물의 제조 과정에는 그 한면 또는 양면에 인조섬유 배트(batt)를 부착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부착 단계는 OMS직물이 순환 형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니들링(섬유 고정)또는 하이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이라고 불리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바람직한 양의 인조섬유 배트가 부착이 되면, 루프 형성 핀 또는 핀틀이 제거됨으로써, OMS압착부 직물이 제지기상에 적하 및 설치되기 위해 평평한 형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 경우, 인조섬유 배트는 OMS압착부 직물의 두 단부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도록 봉합부에 근접해서 절단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인조섬유는 OMS압착부 직물이 순환 형태로 재결합되는 경우 봉합 루프에 대해 플랩(flap)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단된다. 이 방식에 의하면, 봉합부가 압착부 직물의 페이퍼를 지지하는 쪽 면의 나머지 부분과 실질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압착부 직물의 나머지 한쪽 면인 "롤(roll)"쪽 면의 경우, 핀틀이 통로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봉합 루프로부터 일부 인조섬유 배트를 제거시켜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량의 인조섬유를 제거함으로써 봉합 부분이 압착부 직물의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높은 투수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투수성 또는 유동 저항성의 차이는, 그 정도가 약간일지라도, 경우에 따라 시트에 자국을 남기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 왔다. 그 중 한 방법은 OMS압착부 직물이 제지기 상에서 순환 형태로 결합될 때 핀틀을 구비하는 스터퍼(stuffer) 방적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4층 직물과 같이 높은 공간 체적과 수처리 용량을 필요로 하는 직물이 요구되는 경우, 하나의 봉합부만을 사용함으로써 페이퍼 시트에 자국을 남기게 되는 불균일성을 초래하게 된다. 일체로 직조되는 4층 직물에 있어서는 두 개의 봉합부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두 개의 봉합부는 하나의 봉합부가 나머지 다른 한 봉합부의 상단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다른 방법의 의하면, OMS압착부 직물은 별도의 두 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한 직물이 나머지 다른 한 직물의 루프 내에 고정되며, 니들링 공정 중에 서로 적층된다. 내부 베이스 직물과 외부 베이스 직물의 봉합 부분은 각 봉합 부분이 나머지 다른 봉합 부분과 일치하도록, 서로에 대해 약간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니들링 공정 후에, OMS직물의 양단부가 서로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표면쪽(페이퍼쪽) 봉합부에 접근해서 인조섬유 배트를 절단해야 한다. 표면쪽 봉합부의 나머지 한쪽 면의 경우, 봉합 루프가 함께 맞물려질 때 핀틀이 통로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봉합 루프로부터 일부 인조섬유 배트를 제거시켜야 한다.
또한, 봉합 루프가 함께 맞물려져서 형성되는 봉합부를 통해 핀틀이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단(롤쪽) 봉합 루프의 뒤쪽 면으로부터 일부 인조섬유 배트를 제거시켜야 한다.
상술한 이러한 모든 방법은 OMS압착부 직물의 봉합 부분과 압착부 직물의 몸체 또는 나머지 부분의 투수성 또는 유동 저항성 사이의 차이를 상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 어느 방법도 모든 압착 형태 및 위치와 모든 페이퍼 등급 면에서 충분히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는 제지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OMS) 압착부 직물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2-2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의 3-3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압착부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6 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제 1 베이스 직물은 제 1 기기방향(MD) 방적사계와 제 1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계를 구비하며, 제 1 MD 방적사는 제 1 CD 방적사와 인터위브(interweave)된다. 제 1 베이스 직물은 길이, 폭, 길이방향 양단 및 폭방향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이다. 제 1 MD 방적사는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각각을 따라 제 1 봉합루프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베이스 직물은 제 2 MD 방적사계와 제 2 CD 방적사계를 구비하며, 제 2 MD 방적사는 제 2 CD 방적사와 인터위브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베이스 직물도 길이, 폭, 길이방향 양단 및 폭방향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이다. 제 2 MD 방적사는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각각을 따라 제 2 봉합루프를 형성한다.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니들링을 통해 그 전체에 걸쳐 얽혀있는(entangled) 최소한 하나의 층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제 1 봉합루프가 제 2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제 2 봉합루프가 제 1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한다.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1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1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2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2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2 봉합부를 형성시켜 순환 루프 형태로 결합된다.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각각 제 1 봉합부 및 제 2 봉합부와 일렬로 배치되며, 이 봉합부 부근에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통기성 및 투수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제 1 기기방향(MD) 방적사계, 제 2 기기방향(MD) 방적사계 및 하나 이상의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계를 구비하는 베이스 직물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CD 방적사계는 제 1 방적사계 및 제 2 방적사계와 인터위브됨으로써, 길이, 폭, 길이방향 양단 및 폭방향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일체로 직조되는 다층구조를 형성한다.
제 1 MD 방적사와 제 2 MD 방적사는 각각 폭방향 양단의 각각을 따라 직물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별도의 로우(row)에서 제 1 봉합루프와 제 2 봉합루프를 형성한다. 이 두 개의 별도의 로우는 또한 상기 베이스 직물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직물의 한 폭방향 단부의 제 1 봉합루프가 그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베이스 직물의 나머지 한 폭방향 단부의 제 2 봉합루프가 또 다른 비봉합 부분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저항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1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1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2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2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2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2 봉합부를 형성시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이 제 1 봉합부 및 제 2 봉합부와 일렬로 배치되며, 그 부근에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통기성 및 투수성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OMS)제지용 직물(10)의 사시도이다. 이 직물은 양단(12, 14)이 봉합부(16)에서 서로 결합되면 순환루프의 형태를 취한다.
도 2는 도 1의 2-2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지용 직물(10)은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OMS) 베이스 직물(20, 30)로 구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외부 베이스 직물(20)이 내부 베이스 직물(30)을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 베이스 직물은 외부 베이스 직물의 순환루프 형태 내에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내부 베이스 직물(30)은, 봉합부(22)가 그 안에 핀틀(24)을 디렉팅시킴으로써 닫혀지는 것과 동시에, 아니면 그 이전이나 이후에 곧바로, 봉합부(32)가 그 안에 핀틀(34)을 디렉팅시킴으로써 닫혀지게 되도록 외부 베이스 직물(20)과 길이가 같다. 내부 베이스 직물(30)과 외부 베이스 직물(20)은 두 베이스 직물(20, 30) 중 최소한 한 직물에 1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를 니들링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 인조섬유 배트(40)는 도 2의 일부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봉합 루프(42, 44)의 메슁(meshing)을 잘되게 하기 위해서 제조공정 중에 배트(40)가 제거된 봉합부(16)부근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내부 베이스 직물(30)과 외부 베이스 직물(20)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배트(40)는 제지기 클로딩의 제조에 사용되는 어떠한 중합체 수지로 된 인조섬유로도 구성될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외부 베이스 직물(20)은 길이방향 또는 기기방향(MD) 방적사(26)와 가로방향 또는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28)로부터 직조된다. MD 방적사(26)는 서로 맞물려져서 봉합루프(42)를 형성하고 이 맞물려진 봉합루프(42)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핀틀(24)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봉합부(22)가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내부 베이스 직물(30)은 길이방향 또는 기기방향(MD) 방적사(36)와 폭방향 또는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38)로부터 직조된다. MD 방적사(36)는 서로 맞물려져서 봉합루프(44)를 형성하고 이 맞물려진 봉합루프(44)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핀틀(34)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봉합부(32)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3-3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외부 베이스 직물(20)은 내부 베이스 직물(30)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있다. 도면에 나타낸 간격은 확실한 설명을 위해 확대해 놓은 것이다. 외부 베이스 직물(20)을 내부 베이스 직물(30)과 결합시키는 인조섬유 배트(40)도 또한 확실한 설명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2에는 두개의 2중층 베이스 직물(20, 30)로 구성되어 있고, 각 베이스 직물의 봉합부(22, 32)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직물(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정을 가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2중층 베이스 직물(20, 30)은 MD 방적사(26, 36) 및/또는 CD 방적사(28, 38)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두개의 2중층 베이스 직물(20, 30)은 각각 서로 다른 직조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두개의 2중층 베이스 직물(20, 30)중 한 직물 또는 두 직물은 단일층의 직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순환 직조 베이스 직물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봉합부를 가지는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의 배합물 위에 라미네이트시킬 수 있다. 이 순환 베이스 직물은 어떠한 직조형태를 가져도 되며, 어떠한 종류의 방적사를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소개되는 미국특허 제4,427,734호에 발표되어 있는 비직조 메쉬 또는 미국특허 제5,360,656호에 발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파이럴 직조 베이스 직물을,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봉합부를 가지는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의 배합물 위에 라미네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소개되는 미국특허 제4,427,734호에 발표되어 있는 비직조 메쉬 또는 미국특허 제5,360,656호에 발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파이럴 직조 베이스 직물을,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봉합부를 가지는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의 배합물 후부에 라미네이트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직물의 단면도로서, 순환 직조 베이스 직물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봉합부를 가지는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의 양쪽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50)은 외부 베이스 직물(20)의 바깥쪽에 순환 베이스 직물(52), 내부 베이스 직물(30)의 안쪽에 순환 베이스 직물(54)을 구비한다. 순환 베이스 직물(52), 외부 및 내부 베이스 직물(20, 30)과 순환 베이스 직물(54)은 라미네이트 구조물 전체에 걸쳐 니들링된 인조섬유 배트(40)에 의해 모두 함께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확실한 설명을 위해 배트(40)를 도 4의 일부에만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봉합부를 가지는 두개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을 사용하여 직물(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다수의(두개 보다 많은)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베이스 직물은 구조물의 한쪽 또는 양쪽에 니들링에 의해 인조섬유 배트를 첨가함으로써 함께 결합 또는 라미네이트된다.
MD 방적사(26), CD 방적사(28), MD 방적사(36) 및 CD 방적사(38)는 각각 제지기 클로딩을 직조하는데 사용되는 어떠한 방적사이어도 된다. 다시 말해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사와 같은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꼰 모노필라멘트사와 꼰 멀티필라멘트사 형태의 꼰/비틀린 방적사가 이러한 멀티필라멘트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D 방적사(26), CD 방적사(28), MD 방적사(36) 및 CD 방적사(38)를 포함하는 필라멘트사는 합성 중합체 수지물질, 예를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텔,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라미드,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과 같은 물질로부터 사출되며, 텍스타일 분야 및 특히 제지기 클로딩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에 따라 방적사에 혼입된다.
핀틀(24, 34)은 한가닥 모노필라멘트사, 여러 가닥 모노필라멘트사, 서로 꼬여지지 않았거나 함께 서로 꼬인, 비틀린, 땋은 또는 니트된 여러 가닥 모노필라멘트사이거나, 제지기 클로딩에서 봉합부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기타 어떠한 핀틀 형태이어도 된다. 핀틀(24, 34)도 앞서 열거한 바와 같은 합성 중합체 수지물질로부터 사출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베이스 직물(20)의 봉합부(22)는 내부 베이스 직물(30)의 봉합부(32)와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베이스 직물(20)의 봉합부(22)는 내부 베이스 직물(30)의 비봉합부분(46)과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내부 베이스 직물(30)의 봉합부(32)는 외부 베이스 직물(20)의 비봉합부분(48)과 일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봉합부(22) 및 봉합부(32)의 아래 및 위에 존재하는 비봉합 부분(46, 48)은 제조공정에서 및 제지기상에서 있는 동안 봉합부(22, 32)로부터 상실된 유동 저항성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한다. 각각의 경우, 봉합부(22, 32) 부근에는 배트 섬유가 없기 때문에 유동 저항성이 상실된다. 제조공정 중에,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핀틀의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제지용 직물의 봉합루프의 비페이퍼쪽 또는 바닥쪽으로부터 배트섬유를 제거시킨다. 또한 제지기상에서의 봉합 공정중 보다 더 쉽게 핀틀을 디렉팅시키기 위해 봉합루프로부터 배트섬유를 완전히 제거시킨다. 최종적으로 플랩이 봉합부 위에서 생기게 하도록 봉합부(16) 부근에서 인조섬유 배트(40)를 절단하게 되면, 일부 섬유가 필연적으로 제거되며 따라서 유동 저항성이 감소된다.
제지기 상에서 있는 동안, 유동 저항성은 기본적으로 배트섬유가 봉합부의 플랩쪽 및 비플랩쪽 모두에서 마모되므로 상실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봉합부(22, 32) 부근의 비봉합 부분(46, 48)에서의 유동 저항성은, 배트섬유의 손실로 인한 봉합부(22, 32)의 부족한 유동 저항성을 보충시키기 위해 유동 저항성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증가된다.
유동 저항성 물질은 다수의 형태중 어떠한 형태를 취하여도 된다. 첫번째로 비봉합 부분(46, 48)에 내부 베이스 직물 및 외부 베이스 직물(30, 20)의 직조 중에 또는 그 후에 추가적인 CD 방적사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필요로 하는 수준의 유동 저항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무게와 크기를 가지는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텍스츄어된 방적사, 땋거나 니트된 방적사 또는 스펀 방적사이다. 이 방적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로브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기능성 CD 방적사(28, 38)와 같은 종류일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기능성 CD 방적사(28, 38)와 같은 직조형태 및/또는 수(인치당 개수)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직조형태 및/또는 수를 가질 수도 있다.
두번째로, 상술한 바와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텍스츄어된 방적사, 땋거나 니트된 방적사 또는 스펀 방적사를 비봉합 부분(46, 48)에 박음질할 수 있다. 이 방적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로브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세번째로, 직조 또는 비직조 물질이나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을 비봉합 부분(46, 48)에 붙여서 박음질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합체 폼 또는 액체수지를 비봉합 부분(46, 48)에 가한 다음 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60)은 제 1의 MD 방적사(62)계와 제 2의 MD 방적사(64)계를 구비하는 일체로 직조된 다층 구조를 가진다. 제 1의 MD 방적사(62)계와 제 2의 MD 방적사(64)계는 최소한 하나의 CD 방적사(66)계와 인터위브된다.
제 1의 MD 방적사(62)는 직물(60)의 양단에서 제 1 봉합루프(68)를 형성한다. 제 1 봉합루프(68)는 종래의 방식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안에 핀틀(72)을 디렉팅시킴으로써 닫혀진 제 1 봉합부(70)를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의 MD 방적사(64)는 직물(60)의 양단에서 제 2 봉합루프(74)를 형성한다. 제 2 봉합루프(74)는 그 안에 핀틀(78)을 디렉팅시킴으로써 닫혀진 제 2 봉합부(76)를 형성한다.
제 1 봉합루프(68)와 제 2 봉합루프(74)는 직물(6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봉합부(70)는 비봉합 부분(80)과 일치하며, 제 2 봉합부(76)는 비봉합 부분(82)과 일치한다. 배트(84)는 직물(60)의 구조 전체에 걸쳐 얽혀 있으나, 확실한 설명을 위해서 도 3의 일부에만 도시하였다.
비봉합 부분(80, 82)은 제조공정에서 및 제지기 상에서 있는 동안 봉합부(70, 76)로부터 상실된 유동 저항성을 보충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한다.
도 6은 도 3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직물(60)의 일체로 직조된 다층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직조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예 중의 일례이다.
당업자라면 본 내용에 수정을 가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여 수정된 것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며, 이 베이스 직물은 봉합부를 구비한 순환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직물은 전체에 걸쳐 얽혀있는 최소한 한 층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들 베이스 직물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있다. 따라서,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봉합루프가 각각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한다. 이러한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봉합부를 폐쇄함으로써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이 봉합부 부근에서 그 직물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질 수 있다.

Claims (58)

  1.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에 있어서,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은 제 1 기기방향(MD) 방적사계와 제 1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MD 방적사계의 방적사가 상기 제 1 CD 방적사계의 방적사와 인터위브됨으로써, 길이, 폭, 길이방향의 양단 및 폭방향의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MD 방적사는 상기 폭방향 양단 각각을 따라 제 1 봉합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은 제 2 기기방향(MD) 방적사계와 제 2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MD 방적사계의 방적사가 상기 제 2 CD 방적사계의 방적사와 인터위브됨으로써, 길이, 폭, 길이방향의 양단 및 폭방향의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MD 방적사는 상기 폭방향 양단 각각을 따라 제 2 봉합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은 사실상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그 전체에 걸쳐 얽혀있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중 한 단부의 상기 제 1 봉합루프가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중 한 단부의 상기 제 2 봉합루프가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게 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는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상기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1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1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상기 폭방향 양단의 제 2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2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2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2 봉합부를 형성시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봉합부 부근에서 그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추가적인 CD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직조 과정 중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직조 후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직조 후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텍스츄어된 방적사, 땋거나 니트된 방적사 또는 스펀 방적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로브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및 제 2 CD 방적사 중 최소한 어느 하나와 같은 종류의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및 제 2 CD 방적사 중 최소한 어느 하나와 다른 종류의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1 CD 방적사가 상기 제 1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방식과 같은 직조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2 CD 방적사가 상기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방식과 같은 직조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2 CD 방적사가 상기 제 1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방식과 다른 직조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제 2 CD 방적사가 상기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방식과 같은 직조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MD 방적사와 인터위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중합체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경화 액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 중 최소한 어느 한 직물은 2중층 베이스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은 2중층 베이스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제 1 MD 방적사는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제 2 MD 방적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제 1 CD 방적사는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제 2 CD 방적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은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과 같은 직조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은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과 다른 직조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 중 최소한 어느 한 직물은 단일층 베이스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지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순환 직조 베이스 직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지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비직조 메쉬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지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스파이럴 직조 베이스 직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직물.
  35.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제 3 베이스 직물을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은 제 3 MD 방적사계와 제 1 CD 방적사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MD 방적사계의 방적사는 상기 제 3 CD 방적사계의 방적사와 인터위브됨으로써 길이, 폭, 길이방향의 양단 및 폭방향의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MD 방적사는 상기 폭방향 양단 각각을 따라 제 3 봉합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과 사실상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전체에 걸쳐 얽혀 있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과 결합되어 있고,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상기 제 3 봉합루프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상기 제 1 봉합루프가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며,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 중 한 단부의 상기 제 2 봉합루프가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의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게 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과 제 2 베이스 직물과 제 3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는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상기 제 1 베이스 직물의 상기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1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1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2 베이스 직물의 상기 폭방향 양단의 제 2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2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2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2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 3 베이스 직물의 상기 폭방향 양단의 제 3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3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3 봉합부를 형성시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봉합부 부근에서 그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6.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에 있어서,
    베이스 직물을 함유하며,
    상기 베이스 직물은 제 1 기기방향(MD) 방적사계, 제 2 기기방향(MD) 방적사계 및 하나 이상의 기기교차방향(CD) 방적사계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CD 방적사계는 상기 제 1 방적사계 및 제 2 방적사계와 인터위브됨으로써 길이, 폭, 길이방향 양단 및 폭방향 양단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일체로 직조되는 다층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MD 방적사와 제 2 MD 방적사는 각각 폭방향 양단의 각각을 따라 직물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별도의 로우(row)에서 제 1 봉합루프와 제 2 봉합루프를 형성하고, 이 두 개의 별도의 로우는 또한 상기 베이스 직물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베이스 직물의 한 폭방향 단부의 제 1 봉합루프가 그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의 나머지 한 폭방향 단부의 제 2 봉합루프가 또 다른 비봉합 부분과 일치하며,
    상기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은 그 안에 추가적인 유동저항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이, 상기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1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1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1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1 봉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양단의 제 2 봉합루프를 서로 맞물리게 한 다음 이 맞물려진 제 2 봉합루프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통해 제 2 핀틀을 디렉팅시킴으로써 제 2 봉합부를 형성시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봉합부 부근에서 그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추가적인 CD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직조 과정 중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직조 후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직조 후에 상기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모노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 텍스츄어된 방적사, 땋거나 니트된 방적사 또는 스펀 방적사로 이루어 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로브형으로 이루어 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CD 방적사와 같은 종류의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CD 방적사는 상기 CD 방적사와 다른 종류의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5.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조 물질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부착되는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은 박음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진 리본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4.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중합체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5.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유동 저항성 물질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일치되는 비봉합 부분에 함유되는 경화 액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6.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지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순환 직조 베이스 직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지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비직조 메쉬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5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은 내부와 외부를 구비한 순환루프 형태로 결합되며, 또한 전체에 걸쳐 얽혀있는 최소한 한 층 이상의 인조섬유 배트에 의해 상기 내부와 외부 중 최소한 한 쪽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스파이럴 직조 베이스 직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KR10-1999-0006417A 1998-03-05 1999-02-26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하는, 2-봉합부를 구비하는 기기상에서봉합가능한 직물 KR100476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5,479 US6194331B1 (en) 1998-03-05 1998-03-05 Flow-resistant material additions to double-seam on machine-seamable fabrics
US9/035,479 1998-03-05
US09/035,479 199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484A true KR19990077484A (ko) 1999-10-25
KR100476831B1 KR100476831B1 (ko) 2005-03-17

Family

ID=218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417A KR100476831B1 (ko) 1998-03-05 1999-02-26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하는, 2-봉합부를 구비하는 기기상에서봉합가능한 직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194331B1 (ko)
EP (1) EP0940499B8 (ko)
JP (1) JP3615413B2 (ko)
KR (1) KR100476831B1 (ko)
CN (1) CN1101873C (ko)
AT (1) ATE241035T1 (ko)
AU (1) AU729916B2 (ko)
BR (1) BR9900834B1 (ko)
CA (1) CA2260708C (ko)
DE (1) DE69907995T2 (ko)
ES (1) ES2194417T3 (ko)
ID (1) ID23223A (ko)
NO (1) NO314413B1 (ko)
TW (1) TW554120B (ko)
ZA (1) ZA991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164B1 (en) * 1999-03-11 2001-04-10 Geschmay Corporation Pintle seamed press felt
DE10040828B4 (de) * 2000-08-21 2006-06-14 Huyck-Austria Ges.M.B.H. Filz
BRPI0114594B1 (pt) * 2000-10-23 2017-04-11 Albany Int Corp estrutura para a fabricação de papel que pode ser unida por máquina
FI110135B (fi) * 2000-12-18 2002-11-29 Tamfelt Oyj Abp Menetelmä puristinhuovan valmistamiseksi ja puristinhuopa
US7195814B2 (en) * 2001-05-15 2007-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fiber-entangled products and related methods
US7141144B2 (en) 2002-12-04 2006-11-28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woven seam baseweave having different sized seam attachments
US7086128B2 (en) * 2002-12-27 2006-08-08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assist attachment device
US7032625B2 (en) * 2003-06-24 2006-04-25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s having a single or double layer weave over the seam
AU2004299788A1 (en) * 2003-12-15 2005-06-30 Albany International Corp. Pintle for spiral fabrics
US7229531B2 (en) * 2004-05-12 2007-06-12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seaming a multiaxial papermaking fabric to prevent yarn migration
US7093621B2 (en) * 2004-12-15 2006-08-22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pin pin seam for an industrial fabric
US20070141928A1 (en) * 2005-12-20 2007-06-21 CROOK Robert Scrim for seams and joins of papermaking fabric
US8640862B2 (en) * 2006-04-10 2014-02-04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on laminated belt
FI7901U1 (fi) * 2007-03-20 2008-06-25 Tamfelt Pmc Oy Kuivatusviira ja kuivatusviiran sauma-alue
JP4897564B2 (ja) * 2007-05-11 2012-03-14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製紙用シーム付きフェルト
JP2011038212A (ja) * 2009-08-12 2011-02-24 Ichikawa Co Ltd 製紙用シームフェルト
US8252145B2 (en) * 2010-02-09 2012-08-28 Huyck Licensco, Inc.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seamed industrial fabric
US11098450B2 (en) 2017-10-27 2021-08-24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s for making improved cellulosic products using novel press fel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1754C2 (de) * 1977-07-14 1982-08-26 Fertex Textilmaschinen-Service GmbH, 6072 Dreieich Verbindngsnaht für einen aus einem Gewebe bestehenden Trockenfilz oder -sieb für Papiermaschinen
US4186780A (en) * 1978-12-15 1980-02-05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construction for multi-layer felts
US4418726A (en) * 1981-01-12 1983-12-06 Albany International Corp. Double loop seam for corrugator belts
FR2600683B1 (fr) * 1986-06-26 1988-12-23 Feutres Papeteries Tissus Indl Feutre ouvert pour partie humide
US4764417A (en) * 1987-06-08 1988-08-16 Appleton Mills Pin seamed papermakers felt having a reinforced batt flap
JP2537631B2 (ja) * 1987-08-14 1996-09-25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製紙用シ−ム付フェルトヒ−トセット方法
US4824525A (en) * 1987-10-14 1989-04-25 Asten Group, Inc. Papermaking apparatus having a seamed wet press felt
US4896702A (en) * 1988-12-01 1990-01-30 Niagara Lockport Industries Inc. Seam construction for papermaking fabrics
SE467696B (sv) * 1990-12-21 1992-08-31 Nordiskafilt Ab Vaev foer en pappersmaskin eller liknande samt saett att tillverka en dylik vaev
US5274930A (en) * 1992-06-30 1994-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miting orifice drying of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apparatus therefor, and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produced thereby
CN1153543A (zh) * 1994-05-26 1997-07-02 斯卡帕集团有限公司 叠层织物
NZ272169A (en) * 1994-06-09 1997-06-24 Albany Int Corp Transfer belt for papermaking machine: seam construction: pintles passed through seaming loops
US5601877A (en) * 1994-06-09 1997-02-11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seam closure for sheet transfer and other paper processing belts
US5904187A (en) * 1997-10-22 1999-05-18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integrity in multiple layer/multiple seam press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15413B2 (ja) 2005-02-02
AU729916B2 (en) 2001-02-15
NO314413B1 (no) 2003-03-17
ID23223A (id) 2000-03-30
CA2260708A1 (en) 1999-09-05
JPH11323763A (ja) 1999-11-26
CA2260708C (en) 2006-07-18
CN1243179A (zh) 2000-02-02
BR9900834B1 (pt) 2009-01-13
AU1640399A (en) 1999-09-16
CN1101873C (zh) 2003-02-19
EP0940499A2 (en) 1999-09-08
NO991080D0 (no) 1999-03-04
TW554120B (en) 2003-09-21
DE69907995D1 (de) 2003-06-26
US6194331B1 (en) 2001-02-27
EP0940499B8 (en) 2010-06-16
EP0940499B1 (en) 2003-05-21
KR100476831B1 (ko) 2005-03-17
ZA991104B (en) 1999-09-03
DE69907995T2 (de) 2004-01-22
ATE241035T1 (de) 2003-06-15
NO991080L (no) 1999-09-06
ES2194417T3 (es) 2003-11-16
BR9900834A (pt) 2000-01-11
EP0940499A3 (en) 200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149B1 (ko) 제지용직물과그중간산물및그제조방법
KR100476831B1 (ko) 유동 저항성 물질을 함유하는, 2-봉합부를 구비하는 기기상에서봉합가능한 직물
KR100386162B1 (ko) 기계위에서 봉합 가능한 제지기 직물
RU2466233C2 (ru) Полноразмерная по ширине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плоским тканьем и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шивания при установке
KR100343817B1 (ko) 기기상에서 봉합가능한 제지용 직물
JP4099398B2 (ja) 縫合製紙布のベ−ス構造
KR100282195B1 (ko) 제지기 직물
KR100600059B1 (ko) 개선된 솔기가 있는 제지기용 직물
KR101098008B1 (ko) 제지기용 직물에서의 마모 문제나 검출을 위한 수동적인 센서 시스템
JP4818106B2 (ja) 機械上で継ぎ合わせ可能な抄紙機用布
AU2005245811B2 (en) Method of seaming a multiaxial papermaking fabric to prevent yarn migration
KR100680872B1 (ko) 솔기가 있는 산업용 직물
KR101051330B1 (ko) 층을 이루는 프레스용 직물
RU2247801C2 (ru) Сшиваемая на машине ткань для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CN114867910A (zh) 造纸机网毯
KR20050006235A (ko) 이층 다축 직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불균일을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직물
RU2343242C2 (ru)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износа одежды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MXPA99002200A (en) Additions of flow resistant material to double stitched fabrics that can be stitched on the machine
MXPA06006491A (en) Passive sensor system for detection or wear problems in paper machine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