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760A - 고가케이블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가케이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60A
KR19990076760A KR1019980704883A KR19980704883A KR19990076760A KR 19990076760 A KR19990076760 A KR 19990076760A KR 1019980704883 A KR1019980704883 A KR 1019980704883A KR 19980704883 A KR19980704883 A KR 19980704883A KR 19990076760 A KR19990076760 A KR 1999007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spension
assembly
cross
p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270B1 (ko
Inventor
벤 라모레옥스
한스 웨트스테인
페르 아쉐임
안드레 오. 푸긴
Original Assignee
파크스 프레드
에어로버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크스 프레드, 에어로버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파크스 프레드
Publication of KR1999007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16Tracks for aerial rope railways with a stationary r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Jib Cran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 수단이 움직이는 트랙을 구비한 개선된 케이블 시스템에 관련된다. 이 개선된 시스템은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과 한 쌍의 궤삭 케이블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궤삭 케이블 시스템은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으로부터 매달려있고 수송 수단이 움직이는 트랙을 지지한다. 현수선 케이블로부터 궤삭 시스템을 매다는데 다수의 행거가 적용된다. 다수의 철탑은 현수선 및 궤삭 케이블 시스템을 지탱한다. 철탑은 베이스 철탑, 하부 새들 및 상부 새들로 구성된다. 하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서 궤삭을 지지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다른 하부 새들은, 이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 수단에 의해 철탑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의해 지지되고 케이블 시스템에 적용되는 힘에 대하여 현수선 케이블을 편향시키면서 현수선 케이블을 지지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시스템은 여러 케이블에서 케이블 내 장력을 평형상태로 만들도록 지지 철탑 사이에서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결합하기 위한 힘 평형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가 케이블 시스템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elevated cableway system)의 많은 형(型)은 매스(다량) 이동 시스템(mass transit system)에서 이용되며, 또는 매스(다량) 이동 시스템(mass transit system)을 위하여 제안된다. gerhard muler 에 의하여 1978 년 1월 24일에 나온 미국 특허 4069765 에서 상기 시스템은 발표되었고 주장되었다. 상기 시스템은 현가 장치(suspension) 또는 케이블(cable)에 의해 지탱되는 다리(bridge)도 아니고, 가동 삭도(aerial tramway)도 아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표준적인 설계 기준이 muler 에 의한 미국 특허 4069765 의 시스템에 적용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muler 에 의한 미국 특허 4069765 는 표준적인 접근을 발표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본 응용의 도 1 내지 도 5 등은 muler 에 의한 미국 특허 4069765 의 도 3 내지 도 7 등과 일치한다. 도 1 은 그 자신 단독으로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10)(elevated cableway system)을 설명하며, 이 시스템(10)에서 수송 수단(12)(vehicle)은 쇠사슬 모양의(catenary) 또는 지지(supported) 케이블(16)(cable) 등에 걸려 있는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을 따라서 움직인다. 도 2, 도 3 및 도 5 등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은 코일이 끼워져 있는 강철 케이블(14a-d)(coil-locked steel c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catenary cable system)은 코일이 끼워져 있는 강철 케이블(16a-b)(coil-locked steel cable)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로 돌아와서, 다수의 철탑(18)(pylon)은 시스템(10)의 끝점(20)(terminus) 등의 사이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과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catenary cable system) 등을 올리고, 지탱한다.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과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catenary cable system) 등은 수평 케이블 힘을 떠받치도록 땅(19)(ground)에 고정되어 있고, 이 힘을 땅(19)에 이동시킨다.
muler 의 기본적인 접근 중의 하나는 도 1 과 도 2 등에서 설명된다. 수송 수단(12)의 무게에 의해 일어나는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과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catenary cable system) 등에서 "새그(sag, 휨)"와 관계 있는 응력 하중(stress load)은, 도 1 에서 보여지듯이 미국 특허 4069765 을 제출한 muler 시대에서 케이블 시스템(cable system)에 있어서 문제이다. 미국 특허 4069765 에서 발표될 때,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을 미리-긴장시키거나 또는 미리-응력을 주는 것에 의하여 상기 문제에 역점을 두어 설명할 것을 muler 는 제안함으로써, 도 1 에서 보여지듯이 수송 수단(12)의 무게 하(下)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14)(track cable system)은 수평으로 된다.
muler 가 제안한 설계는 새로운 침목(15)(crosstie)과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14)을 매달기 위한 매다는 기재(7)(hanger) 또는 간격을 띄우는 장치(spac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침목(15)(crosstie)과 상기 매다는 기재(7)(hanger) 등은 그 시대에 새로운 것이었으며, 도 2 와 도 3 등에서 설명된다. 상기 현가 장치(suspension) 시스템을 통하여, 트랙 케이블 시스템(14)은 상기에서 언급된 대로 긴장되며, 결과적으로 수송 수단(12)에 의한 무게가 없을 때, 위쪽으로 "보우드(bowed)"된다(구부러진다). 상기 접근은 잘 작동되었으며, 상기 접근은 하기(下記)에서 발표된 대로 본 발명에 합해진다.
도 4 에서 보여지듯이 또한 muler 는 포인트(22)(point)에서 철탑(18) 등의 사이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14)과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 등을 묶는 것을 제안했다. muler 는 죔 플레이트(26)(clamping plate)와 쐐기(28)(wedge) 등과 함께 힘 등화(等化) 플레이트(24)(force equalization plate)에 케이블을 묶는다. 또한 힘 등화(等化) 플레이트(24)(force equalization plate)는 공중 케이블 시스템(cableway system)에서 하중 응력의 분산과 긴장시키는 트랙 케이블 시스템(14)과 함께 실질적으로 앞선 기술 등을 개선하였다.
또한 muler 는 미국 특허 3753406 에서 일찍이 발표된 철탑 구조물을 이용하였다. 미국 특허 3753406 의 칼럼 1, 라인 65 에서 칼럼 2, 라인 3 까지 발표된 대로, 상기 시스템에서 철탑은 "스티프(stiff)"해야 한다(뻣뻣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자동-정렬(self-aligning)" 또는 "자동-조절(self-adjusting)" 철탑은, 쇠사슬 모양 케이블과 트랙 케이블 등의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세로 이동이 삽입된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세로 이동을 최소화하고, 또는 제거하도록 조처를 취한다면, "자동-정렬(self-aligning)" 또는 "자동-조절(self-adjusting)" 철탑은 튼튼한 설계 이익을 만든다고 지금은 알려졌다.
기술적으로 크게 앞서더라도, muler 의 설계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또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1) 철탑 위쪽에서 롤러에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을 매달고, 수송 수단(12)이 공중 케이블을 가로지를 때, 롤러를 가로지르는 움직임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16)이 닳아 해지기 시작한다 ;
(2) 또한 어떠한 환경 하(下)에서 케이블 요소(16a-b)와 케이블 요소(14a-d) 등을 비틀리게 하는 것에 의하여 등화(等化) 플레이트(24)(equalization plate)의 설계가 원인이 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 그리고
(3) 등화(等化) 플레이트가 맞물림을 위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수송 수단의 바퀴에 의하여 맞물리는 위쪽 표면을 케이블 요소(14a-d)는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새로운 철탑 설계의 관점에서 매다는 기재(hanger)와 침목(crosstie) 등뿐 아니라 힘 등화(等化) 조립의 재-설계을 통하여 하중 응력이 잘 분산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baltensperger 와 pfister 등에 의한 미국 특허 4264996 은 타워(tower)를 갖춘 버팀 철도 시스템(suspended railway system)을 발표하며, 타워(tower)는 쇠사슬 모양 케이블을 타워 정상에서 지탱하고, 타워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스트레싱 보(stressing beam)"을 갖춘 트랙 케이블을 지탱한다. 하지만 미국 특허 4264996 시스템은 본 발명보다 현저하게 기능이 낫지 않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4264996 타워 위쪽의 지지물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을 움켜잡는데 실패했다. 그러므로 미국 특허 4264996 에서 언급된 것처럼 케이블이 지지물의 낫치에서 미끄러지게 한다. 상기 헛돌기(slippage)는 부득이하게 케이블에서 닳아 없어짐을 일으킨다. 추가로 트랙 케이블 지지물에서 무게를 다시-분산시키는 처리를 스트레싱 보(stressing beam)이 주는 동안에, 단지 하나의 보가 있다는 사실과 보는 단지 단 하나의 포인트에서 선회한다는 사실 등은, 지지물 위에서 통과하는 수송 수단의 지지물에 대한 충격은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음은 확실하다. 보의 하나의 끝에 무게가 가해질 때, 보의 다른 한끝은 반드시 위쪽으로 기울어져야 하며, 그것에 의해 트랙을 가로지르는 수송 수단이 올라가는 램프(ramp)를 만든다. 단 하나의 보(beam)에 있어서 보의 편향은 수송 수단이 보를 따라서 각각의 포인트를 통과할 때까지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처럼 보가 제 2 보와 제 3 보 등을 가진다면, 중앙 선회 포인트에 대한 움직임은 수송 수단에 앞서서 감소될 수 있다. 제 2 보와 제 3 보 등에 있어서 하중이 가해지는 포인트는 제 2 보가 주(主) 보에 붙어 있는 포이트이지, 수송 수단이 통과하는 포인트가 아니다.
그러므로,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elevated cableway system)을 위한 개선된 철탑 설계를 공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이 철탑의 정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바로 구르게 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개선된 철탑 설계는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에서 닳아 없어짐을 줄이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트랙 케이블 시스템을 가로지르는 수송 수단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 하(下)에서 기울어지는 것에 의하여,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에 가해지는 응력을 경감시키는 중(中)에, 개선된 철탑은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을 지탱하는 새롭고 편향된 위쪽 새들(upper saddle)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자동차가 공중 케이블을 가로지를 때, 힘을 잘 이동시키는 그리고 공중 케이블 시스템을 통하여 하중 응력을 분산시키는 개선된 회전할 수 있는 아래쪽 새들(lower saddle)을 개선된 철탑이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하중 응력이 개선된 매다는 기재(hanger)와 간격을 띄우는 장치(spacer) 등의 설계를 통하여 분산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개선된 힘 등화(等化) 조립(force equalizing assemblies)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합체를 위한 측면 지지물을 갖춘 개선된 공중 케이블 시스템을 공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더군다나 힘이 두 개의 케이블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할 때, 케이블이 서로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게 구부러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에서 닳아 없어짐을 줄이는 번갈아 일어나는 힘 등화(等化) 조립을 공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본 발명은 매스 이동 시스템(mass transit system)과 같은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elevated cableway system)에 속하는 것으로써, 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공중 케이블(cableway)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5 등은, gerhard muler 에 의하여 1978 년 1월 24일에 나온 미국 특허 4069765에서 발표되고, 주장된 종래 기술의 공중 케이블 시스템(cableway system)을 설명하며, 그 특허에서 도 3 내지 도 7 등과 일치한다.
도 6 는, 고가에서 위쪽 새들(upper saddle)과 아래쪽 새들(lower saddle) 등을 포함하는, 여기에서 언급된 발명인 공중 케이블 시스템(cableway system)의 철탑(pylon)을 설명한다.
도 7a-g 등은, 새로운 철탑의 위쪽 새들을 설명한다 ; 도 7a 는 측면 입면도이다 ; 도 7b 는 등척(等尺)으로 쪼개진 도면이다 ; 도 7c-d 등은 부분적으로 위쪽 새들의 기저에서의 각각 입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7h 는, 도 6 에서 철탑의 아래쪽 새들의 입면도를 설명한다 ; 도 7i 는, 도 7h 의 평면도이다 ; 도 7j 는, 도 7h 의 7j-7j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평면도이다 ; 도 7k 는, 도 7h 의 7k-7k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 도 7L 은, 도 7h 의 7L-7L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도 7m-n 과 도 7p 등은, 가로지르는 연결 뼈대와 아래쪽 새들의 주(主) 보 등을 설명한다 ; 도 7m 은 부분적인 입면도이다 ; 도 7n 은 도 7m 의 7n-7n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 도 7p 는 도 7m 의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 도 7q 는 도 7m 의 7q-7q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도 7r-U 등은, 제 3 보와 아래쪽 새들의 버팀 로드/크로스 타이 조립(suspension rod/cross tie assemblies) 등을 설명한다 ; 도 7r 은 입면도이다 ; 도 7s 는 도 7r 의 7s-7s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 도 7t 은 도 7r 의 7t-7t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 도 7U 는 도 7r 의 7U-7U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평면도이다.
도 7v-7x 등은, 아래쪽 새들의 등화 빔(eqalizing beam)을 설명한다 ; 도 7v 는 입면도이다 ; 도 7w 는 도 7v 의 평면도이다 ; 도 7x 는 도 7w 의 7x-7x 부분을 따라서 얻어진 입면도이다.
도 7y 는, 안정화 완충 장치(shock absorber)와 추가된 죔 로드(bracing rod) 등으로써 관 모양 철탑 지지 빔(tubular pylon support beam)에 연결된 아래쪽 새들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입면도이다. ; 도 7z 는 관 모양 지지 빔에 연결된 아래쪽 새들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적인 등척(等尺)도이다.
도 7aa 는, 위쪽에서 구멍을 가지는 관 모양 기저 철탑(tubular base pylon)에 의하여 지탱되는 위쪽 새들을 보여주는 지지 철탑(support pylon)의 측면 입면도이며, 관 모양 기저 철탑 위쪽은 구멍을 가지고, 그리고 직립의 아래쪽 끝은 상기 기저 철탑을 통하여 뻗어 있다.
도 7ab-7ae 등은, 한 쌍의 케이블 죔 바퀴 조립을 통하여 기저 철탑의 정상에 쇠사슬 모양 케이블을 지탱하는 번갈아 일어나는 위쪽 새들(alternate upper saddle)을 설명한다 ; 도 7ab 는 기저 철탑의 정사에 설치된 번갈아 일어나는 위쪽 새들의 측면 입면도이다 ; 도 7ac 는 롤러 베이스의 정상에서 지탱되는 케이블 죔 바퀴 조립과 바퀴 베어링 부재 등의 하나의 끝 입면도이다 ; 도 7ad 는 케이블 죔 바퀴 조립 등의 하나의 평면도이다 ; 도 7ae 는 케이블 죔 바퀴 조립 등의 하나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8a-b 등은, 등척으로 새로운 시스템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의 매다는 기재(hanger), 침목(crosstie) 및 레일 등을 설명한다 ; 도 8a 는 부분적인 분해사시도이다 ; 도 8b 는 입면도이다.
도 9a-b 등은, 도 8b 의 선 9a-9a 를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의 매다는 기재(hanger), 침목(crosstie) 및 파워 레일(power rail) 등을 설명하며, 부분적으로 쪼개서 설명한다 ; 도 9a 는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의 수평 부분을 보여준다 ; 도 9b 는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의 기울어진 부분을 보여준다.
도 10a-c 등은, 새로운 시스템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의 매다는 기재(hanger), 침목(crosstie) 및 파워 레일(power rail) 등을 설명한다; 도 10a 는 고스티드 선(ghosted line)으로써 위쪽을 보여준다 ; 도 10b 는 도 10a 의 선 10b-10b 를 따라서 부분이다 ; 도 10c 는 끝 쪽을 보여준다.
도 11a-d 등은, 전장(span)의 중간 포인트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catenary cable system)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track cable system) 등을 결합하는 힘 등화(等化) 조립(force equalizing assembly)을 설명한다.
도 11e 는, 번갈아 일어나는 힘 등화(等化) 조립(alternate force equalizing assembly)을 등척(等尺)으로 보여준다
도 11f-11L 등은, 제 2 번갈아 일어나는 힘 등화(等化) 조립(alternate force equalizing assembly)을 보여준다 ; 도 11f 은 제 2 번갈아 일어나는 힘 등화(等化) 조립을 등척(等尺)으로 보여준다 ; 도 11g 은 힘 등화(等化) 조립의 중간 부분을 통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 도 11h 는 도 11g 의 선 a-a 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를 보여준다 ; 도 11i 는 도 11g 의 선 b-b 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를 보여준다 ; 도 11j 는 힘 등화(等化) 조립 부분의 평면도이다 ; 도 11k 는 도 11j 에서 보여진 선 c-c 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를 보여준다 ; 도 11L 은 제 2 번갈아 일어나는 힘 등화(等化) 조립의 입면도를 보여준다.
* 부호 설명
10 ...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elevated cableway system)
12 ... 수송 수단(vehicle)
14 ... 트랙 케이블 시스템(track cable system)
14a-d ... 코일이 끼워져 있는 강철 케이블(coil-locked steel cable)
16 ...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catenary cable system)
16a-d ... 코일이 끼워져 있는 강철 케이블(coil-locked steel cable)
18 ... 철탑(pylon)
19 ... 땅(ground)
20 ... 끝점(terminus)
상기에서 언급된 특징뿐 아니라 다른 특징과 이점 등은, 철탑, 위쪽 새들(upper saddle) 및 아래쪽 새들(lower saddle) 등을 포함하는 개선된 공중 케이블 시스템에 의하여 공급된다. 철탑은 기저 철탑(base pylon)과 기저 철탑(base pylon)에 설치된 아래쪽 새들(lower saddle) 등을 포함하며, 트랙 케이블은 기저 철탑에 매어 있다.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에 매어 있는 위쪽 새들(upper saddle), 트랙 케이블 시스템을 가로지르는 수송 수단의 무게에 응답하게 기울어지도록 기저 철탑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어떤 실시예에서 개선된 철탑은,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할 목적으로 주(主) 보의 세로 축 중앙에서, 회전할 수 있게 철탑에 설치된 주(主) 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아래쪽 새들을 포함한다.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할 목적으로 제 2 보의 세로 축 중앙에서 실질적으로 주(主) 보의 각 끝에서, 주(主) 보에 한 쌍의 제 2 보는 회전할 수 있게 각각 설치된다.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할 목적으로 제 4 보의 세로 축 중앙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제 2 보의 각 끝에서, 각각 제 2 보의 하나에 네 개의 제 3 보는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할 목적으로 버팀 로드(suspension rod) 끝의 하나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제 3 보의 각 끝에서, 각각 제 3 보의 하나에 여덟 개의 버팀 로드(suspension rod)는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 1 수직 평면에 수직인 제 2 수직 평면에서 침목(cross-tie)을 회전시킬 목적으로 침목의 세로 축 중앙에서, 각각 버팀 로드의 다른 끝은 회전할 수 있게 침목에 연결된다. 침목은 제 2 케이블을 지탱한다. 네 개의 완충 장치(shock absorber)는, 그 끝에서 각각의 제 3 보 끝에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그리고 제 3 보의 다른 끝에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버팀 로드의 다른 끝에 가까운 침목에 각 완충 장치의 다른 끝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며, 제 3 보는 완충 장치의 하나 끝에 연결된다. 네 개의 죔 로드(bracing rod)는 그 죔 로드 끝에서 제 1 버팀 로드(suspension rod)의 아래쪽 끝에 가까운 침목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각 죔 로드(bracing rod)의 또 하나의 끝은, 제 3 보의 마주 보는 끝에 연결된 제 2 버팀 로드의 또는 가까운 아래쪽 끝에서 침목에 회전할 수 연결되며, 제 1 버팀 로드는 제 3 보에 결려 있다.
또한 개선된 공중 케이블 시스템(cableway system)은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에서 그 끝에 의하여 걸려 있는 매다는 기재(hanger member)로 이루어진 개선된 매다는 기재(hanger)와 침목 등으로 이루어진다. 침목은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에 말단에서 매다는 기재(hanger member)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트랙 케이블 가이드(track cable guide)는 침목에 붙어 있으며, 파워 레일 가이드(power rail guide)는 침목에 설치된다. 지지물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장력(긴장)을 등화(等化)할 목적으로, 또한 철탑 등의 사이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을 트랙 케이블 시스템에 중간에서 결합하기 위한 힘 등화 조립(force equalizing assembly)을 공급한다. 중앙 채널(channel, 홈)에서 지지 케이블과 밭쪽 채널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을 수용할 목적으로 공급되는 채널의 표면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병렬 채널을 가지는 힘 등화(等化) 플레이트(force equalization plate)를, 조립은 포함한다. 채널이 밭쪽으로 나팔꽃 모양으로 확 벌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각 케이블 원주의 반 정도로 채널(channel, 홈)은 이루어진다. 중앙 채널에서 지지 케이블과 밭쪽 채널에서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을 수용할 목적으로 공급되는 채널의 제 1 표면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는 세 개 이상의 병렬 채널을, 홈이 파진 죔 플레이트(channeled clamping plate)는 가진다. 채널이 밭쪽으로 나팔꽃 모양으로 확 벌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각 케이블 원주의 반 정도로 죔 플레이트의 채널(channel, 홈)은 이루어진다. 홈이 파진 죔 플레이트(channeled clamping plate)는 케이블 차량의 바퀴에 의하여 맞물리도록 적용되는 제 1 표면에 맞서는 제 2 표면을 가진다. 지지물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에서 긴장(장력)을 등화하는 각 채널 내(內)에서 마찰로써 케이블을 맞추는 케이블에 대하여 플레이트가 조립되는 방식으로, 힘 등화 플레이트와 죔 플레이트 등의 홈이 파진 표면(channeled surface)은 보완되다. 조립 플레이트에서 채널의 각 나팔꽃 모양 끝은, 플레이트의 끝에 의하여 케이블에서 닳아 없어짐을 줄일 목적으로, 각 케이블에 대하여 조립의 각 끝에서 프루스토-원뿔형(frusto-conical) 구멍을 형성한다.
힘 등화 조립(force equalizing assembly)의 또 하나의 개선된 실시예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과 트랙 케이블 시스템 등의 케이블은, 케이블 포장 부재(cable encasing member) 시스템의 케이블 연결에 의하여 케이블 원주에 대하여 매달린다. 그것에 의하여 케이블 시스템에서 힘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케이블 포장 부재 시스템의 뼈대(frame)에 케이블 연결(cable connection)을 통하여 케이블(cable)은 연결된다. 힘 등화 조립은 뼈대의 세로 축에서 예각에서 평행까지 등에서 케이블 연결을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힘 등화 조립(force equalizing assembly)의 또 하나의 개선된 실시예에서,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 죔쇠(clamp)는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을 움켜잡고, 다수의 트랙 케이블 시스템 죔쇠(clamp)는 한 쌍의 트랙 케이블 시스템을 움켜잡는다. 케이블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제어되는 힘 분산을 공급할 목적으로, 트랙 케이블 시스템 죔쇠(clamp)는 휘어지도록 쇠사슬 모양 케이블 시스템 죔쇠(clamp)에 붙어 있다. 다수의 트랙 케이블 시스템 죔쇠의 정상 표면은, 고가 공중 케이블 시스템(elevated cableway system)을 가로지르는 수송 수단의 바퀴에 의하여 맞물리도록 적용된다.
상기에서 요약된 본 발명의 보다 더 상세한 기술(記述)은, 상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설명되는 선호되는 실시예의 참조에 의하여 얻음으로써, 명백해진 상기에서 인용된 특징뿐 아니라 다른 것 등도 얻어지고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만을 설명하고, 본 발명이 다른 동등하게 효과있는 실시예를 인정할 때, 도면은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되도록 고려되지 않는다.
도 6 은, 현수선 케이블(16)이 걸려있는 상부 새들(30), 궤삭이 걸려있는 하부 새들(200) 및, 이 하부 새들(200)이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철탑(21)으로 구성된, 고가 케이블의 철탑(17)을 나타낸다. 전술한 대로, 프리텐션 궤삭(14)과 현수선 케이블(16)로부터 행거(27)가 걸려있다. 철탑(17)은 당해업자들에게 공지된 알맞은 기술에 따라 지면(19)에 고정된다. 높이 및 너비와 같은, 철탑(17)의 정확한 크기는 수송수단과 케이블 중량과 같은, 구조체 하중 및, 바람, 지진 활동, 비와 온도 등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고려한, 공지된 구조 원리를 기초로 둔 공학적 설계의 관심사가 될 것이다.
도 7a-c 에 자세히 나타낸, 상부 새들(30)은 철탑(17) 상단에서 자유 운동을 허용하고, 수송수단(12)으로부터 수직 하중과 프리텐션 힘을 철탑(17)으로 전달한다. 상부 새들(30)은 현수선 케이블(16)의 약화를 줄여주고, 단지 한정된 정비만을 필요로 하며 철탑(17)을 7°의 각도로 쉽게 편향시킬 수 있다. 상부 새들(30)은 베이스(34)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직립부(32)를 포함하고 케이블 커넥터(42)와 맞물리는, 커플링(40)으로 덮여진다.
도 7b 를 참조하면, 커플링(40), 케이블 커넥터(42)와 상부 새들(30) 상단에 위치한 핀(44)이 확대, 단면도에 나타나 있다. 지지체(50)는 커플링(40) 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립부(32)로 분배하고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커버(52)는 여러 요소들로부터 커플링(40)과 커넥터(42)를 보호한다. 소켓과 핀으로 케이블 커넥터(42)와 맞물린 커플링(40)은, 뮐러 '765 특허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철탑(18)을 가로질러 현수선 케이블(16)을 옮겨줌으로써 현수선 케이블(16)이 약화되는 위험을 줄인다. 도 7a-c 에 나타낸 실시예는 굽힘 응력을 배제하고, 인장 응력만 현수선 케이블(16)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현수선 케이블(16)이 약화되어 고장날 위험이 줄어드는 것을 보여준다. 또 상기 연결부는, 짧은 길이의 케이블이 쉽게 시스템의 수송, 조종 및 구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커플링(40)은 도 7b 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46)로부터 직각으로 뻗어있는 둘 이상의 부재 플레이트(48) 및 베이스 플레이트(46)를 포함하는 용접된 플레이트 조립체이다. 케이블 커넥터(42)는 커플링(40)과 연결되도록 한쪽 단부에서 구멍으로 끼워진다. 케이블 커넥터(42)와 커플링(40)이 맞물려질 때 커플링(40)과 포크형 커넥터(42)의 포크살 부분(43)에서 정렬된 구멍을 통하여 핀(44)은 케이블 커넥터(42)와 커플링(40)을 이어준다. 케이블 커넥터(42)에 의해 구비된 소켓 및 핀 연결부는 여러 가지 환경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하중과 현수선 케이블(16)상의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할 정도로 튼튼해야 한다. 케이블(16a-b)은 케이블 커넥터(42)의 비연결식 단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걸려있다. 커플링(40)은 도 7b 에 나타난 것처럼, 제 2 방향으로 케이블(16a-b)에 케이블 연결하는 제 2 케이블 커넥터(42)와 결합된다.
케이블(16a-b)은 케이블 커넥터(42)와 제 1 행거(27) 사이에 클램프(49)를 사용하여 정해진 간격으로 도 7e 에 나타낸 것처럼 함께 고정되는 것이 선호된다. 클램프(49)는 도 7f-g 에 잘 나타나 있고 클램프 부재(53a-d)를 연결하는 핀(51)으로 구성된다. 클램프 부재(53a-d)는, 케이블 부재(16a-b)가 통과하는 통로(55a-b)를 한정한다.
통로(55a-b)는 전술한 대로 한쪽 단부 또는 두 단부에서 평형 록크(lock)(300)와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85)와 연결되어 벌어지는 모양의 오우프닝을 포함한다. 통로(55a-b)의 오우프닝은 도 10c 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데, 통로(55a-b)의 57에서 소지름부는 오우프닝의 드로우트를 형성하고 59에서 대지름부는 벌려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벌려지는 오우프닝은 "비임(beam)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고정된 케이블은 구조적으로 비임으로서 작용한다.
도 7b 에서, 직립부(32)는 이중 v형 베이스(34)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커플링(40)처럼 베이스(34)는 용접된 플레이트 조립체이고, 바닥판(54)과 측판(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56)은 슬롯을 한정하도록 도 7c 에 나타난 것처럼, 바닥판(54)의 각 단부에서 슬롯이 있는 채널에 부착되고 설형부(58)는 직립부(32)의 바닥에서 슬롯으로 뻗어있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핀(60)은, 측판(56)과 설형부(58)에서 정렬된 구멍을 통과한다. 직립부(32)는 커플링(40)을 통하여 받아들인 힘을 유지하고 이 힘을 핀(60)으로 전달하는데 상기 핀 둘레에서 직립부(32)가 회전한다.
베이스(34)는 직립부(32)의 하중지지 장치도 포함한다. 각각의 장치는 플랜지로 연결된 분리 슬리브(64, 66)를 통하여 뻗어있는 베어링 핀(62)을 포함한다. 플랜지로 연결된 슬리브(64)는 설형부로부터 뻗어있고, 슬리브(66)는 쌍을 이룬 측판(56)의 내면에 용접된다. 베어링 핀(62)은 핀(62) 둘레의 너트에 의해 상하 슬리브(64)를 제자리에 고정하고 슬리브(66)에서 왕복운동한다. 전술한 상부 새들(30)은 "풀리(pulley)"로서 기능을 가진다. 핀(60)은 "풀리"를 위한 회전 중심이고 직립부(32)의 길이는 그것의 반지름을 한정한다. "풀리" 지름은 가변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16) 지름의 150배이다. 비록 이 형태는 개념적으로 풀리와 똑같이 힘을 조종하지만, 핀(60) 둘레에서 직립부(32)의 회전은 수직 노옴(norm)으로부터 7°로 제한된다. 상부 새들(30)에서 회전은, 뮐러 '765에 설명된 시스템의 강성 철탑(18)을 위해 구비된 철탑(17)으로 높은 모우멘트를 부여하는 것을 막는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하부 새들(200)은 직립부(32)의 편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궤삭(14)의 일부를 가로질러 가해진 수직, 가로 방향의 하중을 철탑(17)으로 전달하는데, 끝으로 상기 철탑은 이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한다. 이런 식으로, 하부 새들은 수송 수단(12), 케이블(14), 다양한 환경 조건 및, 상부 새들(30)의 편향(각 방향으로 7°)에 의해 발생된 하중을 전달한다. 또, 하부 새들(200)은 한쪽 철탑에서 다른쪽 철탑까지 공지된 기술에 비해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궤삭(14)의 곡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승객의 승차감을 증대시킨다.
도 7h-7x 에 자세히 나타낸, 하부 새들(200)은 베이스 철탑(21)의 각 면에서 바깥쪽으로 뻗어있고 가로 방향으로 장착된, 횡방향 철탑 비임(202)을 통하여 철탑 직립부(32) 아래의 철탑 베이스에 연결된다. 하부 새들과 철탑 베이스(21) 사이의 연결부는 도 6 에 나타나 있다.
u형 횡단 연결 프레임(204)은 횡단 철탑 비임(202)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고 철탑(17)으로 전달하도록 아래쪽으로 연장구성된다. 제 2 횡단 연결 프레임은 횡단 철탑 비임(202)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상기 각 철탑의 다른쪽면에 제 2 미끄럼홈을 구비하지만,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하나의 프레임(204)만 본원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7m 과 7n 에서, 횡단 연결 프레임(204)은 횡단 철탑 비임(202)에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두 개의 수직 현가비임(206a, 206b)을 포함한다. 현가 비임(206a, 206b)은 볼트로 체결된 연결부(208a)를 통하여 수평으로 놓인 횡단 비임(208)에 의해 연결된다. 웨브(210)는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횡단 지지 비임(208)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뻗어있고 접착되어 있다. 지지판(212a, 212b)도 접착되어 있고 횡단 지지 비임(208)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다. 수직, 수평 비임 조립체 및 그 밖의 다른 결합된 철물 부품은 횡단 연결 프레임(204)의 구조적 골격을 형성한다.
전술한 지지 비임(208)과 기능적으로 유사한,베이스 철탑 비임(201)과 하부 새들 연결장치는 도 7y 와 7z 에 나타나 있다. 베이스 철탑 비임을 에워싸도록 한쌍이상의 연결판(203)은 베이스 철탑 비임에 부착된다. 캡 플레이트(207)는 연결판(203)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부 부착판(209)은 여러개의 볼트에 의해 캡 플레이트(207)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다. 부착판은, 지지판(212a, 212b)을 전술한 횡단 지지 비임에 고정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지지판(212a, 212b)에 고정된다. 행거 플레이트(211)는 연결 플레이트(203)의 바닥에 연결된다.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추가 구조물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를 체결하는 구멍을 가진다.
수직 하중 전달 시스템은, 상부 새들 편향으로 인해 발생한 하중뿐만 아니라 수송수단과 케이블에 의해 발생한 수직 하중을 베이스 철탑(21)으로 전달하기 위해 도 7m 에 나타낸 횡단 연결 프레임(204)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거나, 베이스 철탑 비임(201)에 연결된다. 수직 하중 전달 시스템의 1차 요구사항은,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달된 수직 하중을 궤삭에 분배하여서 케이블의 곡선 편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직 하중 전달 시스템은 상호연결된 비임과 바아로 이루어진 평형 시스템이 유리하다.
도 7h 와 7L 에 나타난 것처럼, 주요 비임(214)은 직사각형 횡단면으로 구성된 용접 플레이트 조립체이고 수직면에서 회전하도록 세로축의 중심에서 측벽을 통하여 지지판(212a, 212b)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주요 비임(214)은 이대칭성이고 회전 장착점 위의 중심에서 최대인 경사 상부면으로 한정된 가변 높이를 가지며 단부(214e)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진다. 주요 비임의 하부면(214L)은 평평하고 단부(214e) 사이에서 수평으로 뻗어있다.
아령 모양의 칼라(216)는 도 7n 에 나타난 것처럼 원형 오우프닝(218a, 218b)에서 주요 비임의 측면을 가로질러 원판형 단부(216a, 216b)에 장착된다. 샤프트(220)는 칼라(216)의 세로축을 통하여 장착되고 실린더형 오우프닝(220a, 220b)을 통하여 단부(216a, 216b) 밖으로 뻗어있다. 도 7h 와 7n 에 나타난 것처럼 샤프트(220)의 단부는 횡단 연결 프레임의 지지판(212a, 212b)에서 오우프닝(222)과 방사상 베어링(222a)을 통하여 뻗어있으므로, 철탑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주요 비임을 지지한다. 베어링(222a)은 마찰을 감소하기 위해서 청동으로 만들어진다.
한쌍의 2차 비임(224)은 주요 비임의 각 단부(214e)에 이웃하여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연결된 플랜지(226)와 각 세로축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서, 주요 비임이 회전할 수 있는 동일 수직 평면내에서 주요 비임에 대해 2차 비임을 회전시킬 수 있다. 플랜지(226)는, 도 7L 과 7q 에 나타난 것처럼 샤프트(234)를 장착하기 위해 오우프닝(232a, 232b)을 구비한다. 샤프트(234)는 각각의 2차 비임(224)에서 원형 오우프닝내에 장착된 원판(236a, 236b)을 관통하고, 주요 비임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2차 비임을 회전할 수 있게 플랜지(226)에 연결한다. 링(230)은 샤프트(234)를 제자리에 고정한다. 주요 비임(214)과 마찬가지로, 2차 비임은 가변 높이와 직사각형 횡단면에 적합한 용접 플레이트 조립체로 형성된다.
4개의 3차 비임(238) 각각은, 주요 비임과 2차 비임이 회전할 수 있는 동일 수직면에서 회전하도록 2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하나의 2차 비임(224)과 세로축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도 7s 와 7v 에서, 3차 비임(238)은 원형 오우프닝(240a)에서 칼라(240)를 유지한다. 상기 칼라는 두 세트의 보상 원판(242a, 242b)과 일렬로 배치되고, 1세트의 원판(242a, 242b)은 2차 비임(224)의 각 단부에 이웃한 원형 오우프닝에 장착된다. 샤프트(244)는, 공지된 방법으로 2차 비임(224)의 각 단부에 3차 비임(238)의 중심을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원판-칼라-원판 조립체(242a, 240, 242b)내 정렬된 오우프닝을 관통한다. 2차 비임(224)의 상하면 단부는 3차 비임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절단되어 열려진다.
8개의 현가 막대(246) 각각은 수직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측 단부에서 3차 비임의 각 단부(238e)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볼트(238)는 3차 비임(238)의 각 단부에서 원형 오우프닝 및 각각의 현가 막대(246a, 246b)에서 원형 오우프닝을 통과한다. 실린더형 베어링(250)은 현가 막대와 3차 비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현가 막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볼트(248) 둘레에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하부 새들 전체에 걸쳐 부품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접촉면에 유사 베어링이 구비된다.
각 현가 막대(246)의 다른쪽 단부는 연결판(259)으로부터 위로 뻗어있는 플랜지(258)를 경유해 크로스타이(cross-tie)(256)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다. 크로스-타이(256)는, 이 크로스-타이에 의해 유지되는 레일과 차륜의 맞물림 통하여, 수직, 수평 하중 전달 시스템으로 수직, 수평방향의 수송수단 하중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연결판(259)은 평형 비임의 축과 크로스-타이의 세로축이 교차하는 부분 둘레에서 4개의 볼트(259a)로 체결되어서, 현가 로드에 대해 세로 평면에서 크로스-타이(256)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h 에 나타난 것처럼, 하부 새들(200)에 대하여 평형 비임의 두께 차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가 다른 4개의 볼트로 구성된다.
볼트(252)는 현가 막대(246a, 246b)의 바닥에서 원형 오우프닝 및 플랜지를 통과한다. 현가 로드는 현가 막대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i-구간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용접된 웨브(257)와 연결된다. 실린더형 베어링(254)은 현가 막대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고 상대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막대(246a, 246b)는, 도 7r 에 나타난 것처럼 제 3 비임과 크로스 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도록 각 단부에서 넓혀진다. 두 단부에서 현가 막대의 회전은, 아래에 기술된 대로 평형 비임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에 의한 모든 모우멘트를 막대가 받아들이지 않도록 막는다.
도 7y 와 7z 에 나타낸, 하부 새들의 수직 하중 전달 장치에서, 현가 로드와 제 3 비임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궤삭에 가해진 수직 하중의 충격을 줄이도록 제 3 비임(239)과 현가 막대(246)에 쌍을 이룬 브레이싱 막대(247)와 완충 장치(249)가 부가될 수 있다. 도면은, 제 2, 3 비임이 높은 부재와 낮은 부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행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행거 플레이트(229)는 제 3 비임(239)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 2 비임(225)으로부터 걸려있다. 제 3 행거 플레이트(241)는 현가 막대(246)를 유지하도록 제 3 비임(239)에 매달려 있다. 또, 제 3 비임의 각 단부에서 단일 현가 막대(246)보다는 다수의 현가 막대(246)가 사용된다.
브레이싱 막대(247)는, 볼트(253)가 통과하는 각 단부에 구멍을 가지므로, 브레이싱 막대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다. 현가 막대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완충장치(249)의 단부는, 현가 막대(246), 브레이싱 막대(247) 및 또다른 크로스-타이(255)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253)로 고정된다. 다른 크로스 타이는 아래에 설명된 크로스-타이(256)와 실제적으로 유사하지만, 도 7t 에 나타난 것처럼 하나보다는 두 개의 플랜지(258)를 포함한다. 추가 플랜지는 도 7z 에 나타난 것처럼, 플랜지 사이에 완충장치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완충장치의 대향한 단부, 즉 상측 단부는 제 3 행거 플레이트(241)와 현가 막대(246)를 통하여 볼트(251)로 완충 장치를 고정함으로써 이웃한 제 3 비임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당해업자들은, 브레이싱 막대(247)와 완충 장치(249)가 제 1 비임과 행거에 부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크로스-타이(256)는, 아래에 설명한, 철탑 위의 크로스-타이(25)와 상이하다. 크로스-타이(256)는 철탑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궤삭을 유지하기 위해서 궤삭으로 상향 수직력을 전달한다. 크로스-타이(25)는 하부 새들(200)로부터 유지하도록 궤삭으로 상향 수직력을 전달한다. 도 7x 에서, 크로스-타이(256)는 궤삭(14)을 위한 베어링으로서 기능을 가지도록 그루브가 있는 블록(257a)이 평평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레일은, 크로스-타이(256)에 캐리어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2 그루브 블록 r 형태로 구비된다. 3열의 볼트는, 도 7w 에 나타난 것처럼 평평한 플레이트(257)에 그루브 블록 r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궤삭(14)을 위한 연속 지지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간 궤삭 지지부(257a')는 크로스-타이(256) 사이에 구비되고 그루브가 있는 블록(257a)에 연결된다. 도 7i 에 나타난 것처럼, 대칭 그루브가 각 단부로 절단되므로 그루브가 있는 블록 r 은 나비형이다. 중간 레일 구간은, 블록 r 의 그루브가 있는 단부와 맞물리도록 설형 단부를 가지고 하부 새들의 길이를 따라 수송 수단 바퀴를 유지하는 연속 레일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하부 새들(200)은, 도 7h 와 7v 에 나타난 것처럼 크로스-타이(256)를 통하여 지지되는 평형 비임(260)과, 횡단 연결 프레임(204)에 의해 지지되는 가로 지지 스터드(282)로 구성된 가로 하중 전달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평형 비임(260)은 가로 지지 스터드(282)로 횡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하부 새들의 크로스-타이(256)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뻗어있다. 또 평형 비임은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현가 막대(246)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직 하중 전달체가 평형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평형 비임은 수직으로 휘어져야 하고 가로 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횡방향으로 단단해야 한다.
겉보기에 이처럼 상반되는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도 7v 와 7w 에 나타난 것처럼 평형 비임(260)은 다른 길이와 두께를 가지며 겹쳐진 플레이트(264, 266, 268, 270)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레이트(264)는 플레이트(266)보다 짧고, 상기 플레이트(266)는 플레이트(268)보다 짧다. 도 7w 에 잘 나타난 것처럼, 플레이트의 너비는 세로축 중심에서 최대이고 플레이트의 길이를 따라 각 단부를 향하여 감소한다. 겹쳐져 놓인 플레이트의 가변 너비와 두께는, 굽힘 강도가 최소 요구되는 단부에서 균형 비임의 불활성 모우멘트를 감소시킨다.
횡방향 하중과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가로, 세로 하중 전달체에 크로스-타이를 연결하는 4개의 볼트(259a)에 의해 크로스-타이(256)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대로 크로스-타이(256)는 볼트(259a)를 사용하여 현가 막대(246)와 평형 비임(260)에 연결된다. 도 7r 과 7t 에 나타난 것처럼, 볼트는 너트로 고정되는 것보다 가로 방향 힘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크로스-타이에서 나사 구멍(259b)에 고정된다.
평형 비임(260)의 플레이트는, 도 7w 의 최좌측 평형 비임(256)에 나타난 것처럼, 볼트(259a)를 이용해 최중심 크로스타이(256) 및 현가 막대(246)와 함께 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중심 근처에 결합된다. 평형 비임의 플레이트는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중심 바깥쪽에 놓인다. 운동 자유도는, 최대 수직 가요성을 부여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테플론 코팅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끼워넣어진 다른 크로스-타이와 일렬로 배치된 플레이트에 볼트 구멍을 만들어 줌으로써 실현된다. 볼트 슬리브(259b)는, 도 7r 의 하부에 나타난 것처럼 중심에서 벗어나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형 비임의 플레이트들보다 길이가 긴 볼트 구멍에 끼워진다. 이것은, 크로스-타이(256)로부터 현가 로드(246)까지 전달되는 수직 하중이 평형 비임(260)을 효과적으로 바이패스하도록 허용한다.
도 7n 에 나타난 것처럼, 횡방향 하중 전달체는 횡방향 연결 프레임(204)과 연결되고 횡방향 지지 스터드(282)의 형태로 아래쪽으로 뻗어있어서 궤삭의 횡방향 강성을 부여하고 환경 조건에 의한 하중을 유지한다. 횡방향 지지 하우징(276)은 연결되고 횡단 지지 비임(208) 아래에서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횡방향 지지 스터드(282)는 하우징(276)내에 둘러싸여있고 중심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철재 횡방향 지지 스터드(282)의 하부는 좁아지고 도 j 와 7k 에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평형 비임의 플레이트 및 클램핑 플레이트(262)를 통하여 형성된 정렬된 그루브(286)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스터드의 바깥쪽 접촉면은 크롬으로 피복되고 단단한 철재, 즉 열로 불리어 냉각된 강철로 만들어진 플레이트(282a)로 덮여진다. 클램핑 플레이트(262)는 횡방향 지지 스터드 플레이트(282a)를 맞물어서 그루브(286)내 스터드(282)의 운동을 평형 비임의 축을 따라 움직이는 직선 운동으로 제한하기 위한 안내 블록(284)을 구비한다. 횡방향 지지 스터드 플레이트에서 높은 접촉 압력을 유지하도록 안내 블록(284)은 경화된 철재로 만들어진다. 다수의 볼트(286a)는 그루브(286) 둘레의 평형 비임(260), 안내 블록(284), 고정 플레이트(262) 조립체를 통하여 정렬된 보어에 배치되고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서 너트로 죄어준다. 이런 식으로, 각 단부에서 지지되는 궤삭(14)뿐만 아니라 크로스-타이의 가로 방향 운동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부 새들의 편향(각 방향으로 7°편향) 및 환경 조건으로부터 발생하는 횡방향 하중은 크로스-타이(256)와 평형 비임(260)을 통하여 횡방향 지지 스터드(282)에 적용된다. 그후에 횡방향 힘은 횡단 연결 프레임(204)을 통하여 가로방향 지지 스터드를 지탱하는 베이스 철탑 비임(201) 또는 베이스 철탑으로 전달된다.
도 7y 와 7z 를 참고로 전술한 대로 하부 새들을 베이스 철탑 비임(201)에 연결하는 또다른 장치로는, 지지 스터드(282)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터드는 하부 부착판(281)에 고정된다. 하부 부착판은 행거 플레이트(211)내 구멍과 정렬되는 구멍을 가지고, 이 구멍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행거 플레이트와 철탑 비임(201)에 분리할 수 있게 고정된다. 처음에 설명된 하부 새들의 연결 장치로서, 스터드(282)를 유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지지하는데 하우징(276)이 사용된다.
도 6 과 7b 에서, 핀(60)에서 회전할 수 있고 직립부(32)를 포함하는 상부 새들(30)은, 각 방향으로 7°까지 기울여주기 위해서 현수선 케이블(16)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완전 수직 방향에서 편향되는 휘어지는 레그로 구성된다. 커플링(40)과 맞물려져 핀(44)으로 결합될 때, 케이블 커넥터(42)는 커플링(4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42)와 커플링(40)의 상대 회전은, 현수선 케이블(16)을 통하여 받아들인 상부 새들(30)에 가해지는 하중에 감응하여 이루어지고 휘어지는 레그의 편향을 허용한다. 전술한 대로, 하부 새들(200)은 이 편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평형 비임(260)을 통하여 (1) 평면내 강성을 최소화하도록; (2) 완전 수직 배향에서 기울어진 철탑(17)의 힘과 환경 영향에 의한 하중을 유지하기 위해서 횡방향 강성을 부여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하부 새들과 휘어지는 레그를 통하여, 본 발명은 자동-조절 철탑(17)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을 보완하고, 조절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시스템을 가로질러 수송수단(12)을 원활하게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부 새들과 베이스 철탑 결합 구조체에 대한 두가지 실시예를 추가로 기술한다. 도 7aa 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관상 직립부(33)는 직립부의 하측 단부(35)가 뻗어있는 상측 단부내에 오우프닝을 가지는 관상 베이스 철탑(23)에 의해 지지된다. 이 배치는 현수선 케이블에 가해진 힘에 대해 상부 새들(31)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관상 베이스 철탑(23) 내부에 대해 직립부(33) 하측 단부(35)의 간섭으로 회전을 제한한다. 커플링(41)은 전술한 커플링(40)과 유사하다.
도 7ab-7ae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새들과 베이스 철탑을 나타낸다. 도 7ab 에 나타난 것처럼, 베이스 철탑(29)은 베어링 조립체(135)와 케이블 연결 장치(140)로 구성된 상부 새들을 지지한다. 베어링 조립체(135)는, 베이스 철탑(29)과 연결되도록 볼트가 끼워지는 구멍을 갖춘 베이스 플레이트(136) 및, 전술한 다른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137)는 위에서 지지되는 현수선 케이블(16)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직 분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6)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다. 로울러 베이스(138)는 위의 케이블 연결 장치(140)의 이동 패턴을 결정하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137)의 상부에서 지지된다. 기술한 실시예에서, 결정된 이동 패턴은 주어진 하중하에 현수선 케이블(16)의 자연 곡선에 가까운 곡선형을 따른다. 도 7ac 는, 케이블 연결 장치(140)가 움직일 수 있는 바퀴-지지면을 구비하도록 로울러 베이스(138)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두 개의 크레인 레일(139)을 나타낸다.
케이블 연결 장치(140)의 성분은 도 7ac-7ae 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케이블 연결 장치는, 액슬(142)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바퀴(141)에 의해 크레인 레일(139)상에서 지지된다. 액슬(142)은 액슬 리테이너(143)에 의해 현수선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가 성분에 부착된다. 액슬 리테이너(143)는 상부 채널 부재(144)에 볼트로 죄어진다. 상부 채널 부재(144)는, 현수선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상반부를 구성하기 위해서 플레이트(146)와 앵글(147)에 용접된다. 이와 비슷하게 하부 채널 부재(145)는, 현수선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하반부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146)와 앵글(147)에 용접된다. 상하반부는 중심 근처의 플레이트(146)를 통하여, 단부에서 앵글(147)을 통하여 볼트로 죄어진다. 테플론 라이닝(148)은 부품의 상하반부 사이의 현수선 케이블(16) 둘레에 끼워맞추어지므로 두 상하반부를 연결하는 볼트가 단단히 죄어질 때, 케이블을 케이블 고정 조립체와 연결하도록 알맞은 압력이 현수선 케이블에 가해질 것이다. 그러나, 가해지는 압력이 너무 커서 케이블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테플론의 유연성이 설정된다.
고가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 레일 및 크로스-타이는 도 8a-10c 에 나타나 있다. 도 8a 는, 도 2a 에 도시한 뮐러의 '765에서 대응물을 대체하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27a-b), 크로스-타이(25) 및, 캐리어 레일(14)의 분해도이다. 도 8b 는 행거(27a)와 크로스-타이(25)의 정면도이고 행거/크로스-타이 결합체에 대한 수송 수단(12)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a 와 9b 는 행거(27a)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9a 는 도 8b 의 9a-9a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9b 는 도 9a 의 9b-9b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a-c 는 레일(100), 케이블(14c-d) 및 크로스-타이(25)를 나타낸다. 도 10a 는 상측면도이고, 도 10b 는 도 10a 의 10b-10b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10c 는 레일(100)과 하부 가이드(102)의 정면도이다.
도 8a 에서는, 행거(27)에 대한 두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행거는 길이가 긴 행거(27a)와 짧은 행거(27b)로 구성된다. 도 2 와 4 에 나타난 것처럼, 철탑(17)과 수팬 중점(22)으로부터 행거의 거리에 따라 두 행거가 사용된다. 길이가 다른 것 이외에, 행거(27a-b)는, 행거(27a)의 행거 부재(91)가 록-코일 강철 케이블이지만 행거(27b)의 부재는 막대라는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또, 짧은 행거(27b)는 동일 구조를 사용하여 다른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600m 스팬에서 짧은 행거(27b)에 대해 두 가지 상이한 길이가 사용된다.
수직, 프리-텐션 힘을 철탑(17)에 전달하도록, 바람이 많이 불 때 수송 수단(12)과 현수선 케이블 고정장치(85)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보장하도록, 행거(27a-b)의 길이가 계산되어서 전술한 대로 궤삭(14)을 프리텐션시키고, 그것의 길이는 특정 용도에 알맞게 바뀔 것이다. 프리-텐션 힘을 조절하기 위해서 아래에 기술된 행거 부재(91)의 나사 단부(68)에 너트(70, 72)를 죄어주고 풀어줌으로써 행거(27a-b)의 유효 길이가 조절된다. 나사 단부(68)에서 나사 길이는 바람직한 인장범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어야 한다. 길이가 긴 행거(27a)에서, 이것은 O-300mm이고 길이가 짧은 행거(27b)에서 길이는 바뀌지만 50mm이상이어야 한다.
행거(27a-b)는, 도 8a 에 나타낸 현가 클램프(85)의 오우프닝(87a-b)에 케이블 (16a-b)을 고정함으로써 현수선 케이블(16)로부터 매달려 있다. 현가 클램프(85)는 피봇(76)에서 행거 부재(91)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현가 클램프(85)는 도 9a-b 에 나타낸 것처럼 하부 안내 부재(88)에 볼트로 죄어진 제 1 안내 부재(86)로 구성된다. 현가 클램프(85)는, 행거 부재(91)의 나사 단부(68)가 뻗어있는 통로(106) 및, 피봇(76)에서 제 1 안내 부재(86)와 결합된 블록(78)을 포함하므로 현수선 케이블(16)과 현가 클램프(85)는 도 9d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선에 대해 16°로 행거 부재(9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블록(78)은, 행거 부재(91)의 나사 단부가 뻗어있는 보어를 포함한다. 블록(78)은 나사 단부(68)에 형성된 쇼울더에 배치되어 너트(70, 72)와 와셔(74)에 의해 고정된다.
케이블(16) 고정의 단점은 케이블 마모와, 케이블이 구조적으로 비임으로써 작용하는 "비임 효과"등이 있다. 현가 클램프(85)는 도 9a-b 에 나타난 것처럼 그루브(87a-b)에 벌려진 오우프닝(89)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단점을 극소화시킨다. 벌려진 오우프닝은 도 11a-d 에 나타내고 아래에 기술된 평형 록크(3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8a-b 에 나타난 것처럼, 길이가 긴 행거(27a)의 행거 부재(91)가 결합되고 상부 피이스(92), 포크부재 및 하부 피이스(94), 조인트(96)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강철 케이블을 포함한다; 짧은 행거(27b)의 행거 부재(91)는 연결되지 않는다. 조인트(96)와 피봇(76)에 의해 형성된 관절식 이음부는, 동력 레일(90)과 수송수단(12) 및 그 밖의 다른 하중에 의해 생성되는 굽힘 모우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행거(27a)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행거 부재(91)의 짧은 길이 때문에 굽힘 모우멘트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행거(27b)에서 조인트(96)의 제거 및 피봇(76)의 함유는 현수선 케이블(16)로부터 행거(27b)를 매달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8a-b 에서, 크로스-타이(25)는 길이가 긴 행거(27a)와 짧은 행거(27b)에서 현수선 케이블(16)과 이격된 행거 부재(91)의 칼라(93)의 피봇(98)에서 행거 부재(91)에 장착된 비대칭형 i-비임이다. 피봇(98)은 유연성을 부여하여서 케이블(14, 16)의 굽힘 효과를 감소시키는 실린더형 평베어링이다. 크로스-타이(25)는 주조강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고 도 8a 와 도 10b 의 횡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i 형 횡단면을 가진다. 오우프닝(95)은 중량을 줄여서, 현수선 케이블(16)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크로스-타이(25)에서 주조되거나 밀링가공된다.
궤삭(14)의 케이블(14a-d)은 도 8a 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10a-c 에 자세히 나타낸 것처럼 결합된, 레일(100)과 하부 안내 부재(104)로 구성된 궤삭 가이드(102)는, 도 8a-b 에 나타낸 대로 크로스-타이(25)의 대향한 단부에 장착된다. 안내 부재(104)는 너트와 와셔 결합체(118)로 고정되고 보어(116)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볼트(114)에 의해 도 10b 와 10c 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크로스-타이(25)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일체 구성될 것이다. 도 10a-c 에서, 도 10c 에 나타낸 알맞은 위치까지 레일, 슬라이딩 레일(100)에서 슬롯(120)과 볼트(114)를 맞추어 줌으로써 장착된다. 레일(100)이 가이드(104)에 대해 적절하게 배치되었을 때, 레일(100)과 가이드(104)는 도 10c 에 나타낸 그루브(112)를 한정하고 이 그루브를 통하여 도 10a-b 및 도 8a 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블(14a-d)이 걸려있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레일(100)은 행거(27)사이의 전체 거리에 대해 뻗어있는 모듈로 구성된다. 비록 각 세그먼트의 단부는 전술한 대로 슬롯(120)에 볼트(114)를 끼워맞추어 줌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될지라도, 다른쪽 단부는 단단하기 보다는 부드러운 편이고 케이블(14a-d)과 그루브(112)를 끼워맞추어줌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허용된 운동은 상기 세그먼트의 열팽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열팽창 조인트(127)는 도 8a 와 10a-b 에 나타낸 세그먼트(129), 사이의 조인트처럼 레일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된다. 조인트(127)는 레일(100)의 세로축에 대해 45°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에서 레일(100)은 수송 수단(12)을 위한 매끄러운 안내 표면을 가지는 상부면(132)과 측부(134)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 실시예는 레일(100)과 케이블(14a-d) 사이에 절연층을 가지고 있어서 부식을 막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레일(100)의 구조에 대해서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 레일(100)의 각 세그먼트로 구멍(124)이 밀링가공되고 레일(100) 세그먼트를 기울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볼트(114)의 헤드는 크로스-타이(25) 위로 반드시 균일한 높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 특히 추운 기후에서 사용하도록 레일(100)은 가열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르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당해업자들에게 공지된 것처럼, 수송수단이 시스템을 횡단할 때 수송수단(12)에 동력이 공급되어야 하고 이것은 도 8b 와 10b 에 나타낸 것처럼 동력 레일(90)을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이 동력 레일(90)은 도 8b 와 10b 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크로스-타이(25)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 레일(90)은 플레이트(112)와 볼트로 고정된 동력 레일 안내부(84)에 의해 고정된 후, 크로스-타이(25)의 바닥에 볼트로 체결된다. 도 8b 에 나타낸 것처럼, 동력 레일(90)과 동력 레일 안내부(84)는 크로스-타이(25)의 각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당해분야에 공지된 대로, 동력 레일(90)은 안전상 이유로 시스템의 모든 부품으로 전기 절연되어야 한다.
행거(27), 크로스-타이(25) 및 궤삭(14) 결합체와 수송 수단(12)의 관계는 도 8b 에 잘 나타나 있다. 루프(128) 위에서 수송체의 각 면에 장착된 캐리어 바퀴(126)는 수직평면에서 회전하고 레일(100)의 상부면(132)에서 움직이며, 수송체(12)의 중량을 지탱한다. 안내 바퀴(130)는 수평선에서 회전하고, 레일(100)의 측부(134)와 접촉하며, 캐리어 레일과 대향하여 수송체(12)의 가로 위치를 유지한다.
도 11a-d 에서, 평형 록크로서 공지된 힘 평형 조립체(300)는 현수선과 궤삭 사이의 장력을 평형상태로 만들도록 철탑 사이에서 궤삭(14)에 현수선 케이블(16)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힘 평형 조립체(300)는 현수선 케이블(16)과 궤삭(14)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고 케이블 상의 마찰을 통하여 힘을 분배한다. 이처럼, 힘 평형 조립체는 케이블 사이의 상대 운동을 막아줌으로써 미끄럼흠의 최대 편향을 감소시킨다. 힘 평형 조립체(300)는 4개의 외부 채널(302a)에 궤삭(14)을 수용하고 2개의 중심 채널(302b)에 현수선 케이블(16)을 수용하도록 상부 표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3조의 평행 채널을 가지는 힘 평형 플레이트(30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1c 와 11d 에 나타난 것처럼 채널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려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각 케이블 원주의 ½에 근접하도록 채널의 모양이 정해진다.
클램핑 플레이트(304)는 외부 채널(304a)에 궤삭(14)을 수용하고 중심 채널(304b)에 현수선 케이블(16)을 수용하기 위해 하부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3조의 평행 채널을 가진다. 힘 평형 플레이트의 채널처럼, 채널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려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각 케이블 원주의 ½에 근접하도록 클램핑 플레이트의 채널 모양이 정해진다.
도 11c 와 11d 에 나타난 것처럼, 힘 평형 플레이트(302)와 클램핑 플레이트의 표면은 상보적이어서 현수선 케이블과 궤삭에서 인장을 평형 상태로 만들도록 각 채널 내에 케이블을 마찰 고정하기 위해 플레이트는 케이블 둘레에 조립된다. 조립된 플레이트에서 벌려진 채널 단부는, 플레이트 단부가 가지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키고, 맞물림을 제한하여 케이블 상의 마모를 줄이도록 각각의 케이블 둘레에서 조립체의 각 단부에 프러스토(frusto)-원뿔형 공동을 형성한다. 벌려진 단부는 도 11d 에 잘 나타난 것처럼 조립체를 관통하는 채널의 오우프닝에서 소지름부(307)와 대지름부(309)로 한정된다.
플레이트(302, 304)는 채널 측부를 따라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상보 보어(308)를 통하여 다수의 볼트(306)를 끼워줌으로써 조립된다. 볼트(306)는 적절한 고정력을 보장하는 고강도 볼트이고, 그것의 헤드가 클램핑 플레이트(304)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멍에 박아넣는다. 볼트(306)는 각각의 너트(310)에 의해 유지된다. 볼트의 플러시 마운팅은 바퀴가 그 중 하나와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앤다.
클램핑 플레이트(304)는 최대 응력 작용부에서 최대 횡단면적을 제공하도록 두 개의 중심 채널(304b) 위의 중심에서 상승되는 상부 표면을 가진다. 플레이트(304)의 상부 표면은 케이블 카의 차륜과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힘 평형 조립체는 트랙의 연속 가동을 보장하도록 레일 측면과 접한다. 그러므로 레일 측면은 평형 로크(300)의 모양과 일치해야 한다. 레일에서 45°팽창 갭(gap) 은 힘 평형 조립체와 레일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현수선 케이블과 궤삭 사이에 힘을 분배하고 연결하기 위한 부재 수용 케이블 조립체의 힘 평형 조립체에 대한 다른 두 가지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힘 평형 조립체 및, 평형 록크는 도 11e 에 나타나 있다. 레일 아래의 부품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여러 개의 차륜지지 레일(350, 354)이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부재 수용 케이블 조립체는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333)으로 구성된다. 케이블 연결자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아연 소켓으로 만들어지거나, 당해업자들에게 공지된 또다른 케이블 연결자가 적용된다. 프레임(333)은 U 형 단부(338)를 가지는 장방향 플레이트인 베이스 프레임(336)으로 구성된다. 본원 실시예에 따른 U 형 단부(338)는 다른 길이를 가지는 레그(340, 342)로 구성된다. 레그(340, 342)는 다른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케이블에 가해지는 설정된 인장 강도에 대해 "u" 단부의 베이스에서 작은 모멘트를 발생시키도록 연결부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즉, 레그가 다른 길이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연결부는 나란히 배치될 것이다. 나란히 놓인 연결부가 서로에 대해 방해하지 않도록, 레그(340, 342)는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레그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과 이어진 각 연결부에 인접하여 보다 큰 모멘트가 발생될 것이다. 레그의 길이가 상이하다면 이런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다수의 연결판(344)은 베이스 프레임(336)의 수직면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며 베이스 프레임의 세로축까지 뻗어있고 궤삭(14)을 위한 연결점을 제공한다. 베이스 프레임(336)의 양면에서, 스페이서 플레이트(348)와 차륜지지 레일(350)을 지탱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36)의 면으로부터 크로스 부재(346)가 뻗어있다. 브레이싱 바아(352)는 크로스 부재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크로스 부재(346)와 직각으로 뻗어있다.
차륜 지지 레일(350)은 크로스 부재(346) 사이에 걸쳐져 있고 레일로 추가 상승시키도록 레일과 크로스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 플레이트(348)를 포함할 수 있다. 차륜 지지 레일(350)은 일반적으로 그 아래에 움직이는 궤삭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궤삭이 아래로 통과해야 하고 지지레일로 통과해야 하는 전이점 부근에서 차륜 지지 레일은 궤삭과 간접하는 것을 막기위해서 변경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이 차륜 지지 레일(354)은, 차륜지지 레일의 측부를 통하여 궤삭(14)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과 하부면에서 잘려진 채널을 가진다.
제 2 실시예에 다른 힘 평형 조립체는 도 11f-L 에 나타나 있다. 도 11f 와 11g 에 나타난 것처럼, 부재 수용 케이블 조립체는 몸체(367),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 및 한 쌍의 궤삭 클램프(368)로 구성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조립체 몸체(367)는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와 궤삭 클램프(368)를 지지하는 다수의 횡방향 연장부를 유지하는 힘 평형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한쌍의 평행 관상 비임(372)을 포함한다.
횡방향 연장부는, 도 11g-11i 에 나타난 것처럼, 관상 기둥(374), 가로방향 브레이싱 플레이트(376), 스팬 플레이트(378a-b) 및 윙 플레이트(380)로 구성된다. 다수의 관상 기둥(374)은 관상 비임(372)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서 스팬 플레이트(378a-b)를 유지한다. 가로방향 브레이싱 플레이트(376)는 기둥을 지지하기 위해서 연속 관상 기둥(374) 사이에 구비된다. 스팬 플레이트(378a-b)는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를 유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이웃한 관상 기둥(374) 사이에 연결된다. 스팬 플레이트(378a)는 관상 기둥(374)의 상단에 놓인다. 스팬 플레이트(378b)는 위에 놓이지 않고 관상 기둥(374)과 횡방향으로 이웃한 면에 부착된다. 스팬 플레이트(378a)는 힘 평형 조립체의 각 단부에서 관상 기둥(374)에 부착된다. 쌍을 이룬 스팬 플레이트(378b)는 관상 기둥(374)과 횡방향으로 인접한 면에 고정된다. 쌍을 이룬 스팬 플레이트(378a)는 스팬 플레이트(378b)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관상 기둥과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면에 부착된다.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는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382)사이의 현수선 클램프 그루브(379)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382)는 또다른 짝을 이룬 이웃한 스팬 플레이트(378a) 사이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는 다른 모든 쌍의 스팬 플레이트(378a) 사이의 그루브(379)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현수선 케이블 스프링(384)은 반동 플레이트(382)와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도록 반동 플레이트(382)와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사이에 배치된다.
도 11j 와 11k 에 나타난 것처럼,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382)는 역 T 형 몸체(385)와 삽입 가능한 역 T 형 웨지(386)로 구성되는데, 각각은 두 윙을 통하여 볼트로 연결된다. 역 T 형 웨지(386)는 힘 평형 조립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가 현수선 케이블(16) 둘레와 조립체 몸체(367)내의 제자리에 배치된 후에, 역 T 형 웨지(386)는 역 T 형 몸체로 끼워져 제자리에 볼트로 체결된다. 웨지의 기능은 현수선 케이블 스프링(384)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당해업자들은, 조립하는 동안 실행가능한 하중으로 스프링이 압축된다면 케이블(16) 둘레에서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를 조립하고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현수선 케이블 스프링(384) 사이에 웨지(386)를 끼워줌으로써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는 조립체 몸체(367)의 제자리에 놓이고, 힘 평형 조립체는 성공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체 몸체(367)에 대해 상술하면, 궤삭 클램프(368)를 지지하도록 힘 평형 조립체의 양면에서 관상 비임(372)에 윙 플레이트(380)가 고정된다. 궤삭 클램프(368)는 궤삭 반동 플레이트(388) 사이의 궤삭 클램프 그루브(381)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궤삭 반동 플레이트(388)는 도 11h 에 나타난 것처럼, 다른 쌍의 윙 플레이트(380)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궤삭 클램프(368)는 다른 모든 쌍의 윙 플레이트(380) 사이의 그루브(381)에서 미끄럼운동을 한다. 궤삭 스프링(390)은 궤삭 클램프(368)와 반동 플레이트(388) 사이에 힘을 전달하도록 반동 플레이트(388)와 궤삭 클램프(368) 사이에 배치된다.
도 11j 와 11k 에 나타난 것처럼, 궤삭 반동 플레이트(388)는 T 형 몸체(391)와 삽입할 수 있는 T 형 웨지(392)로 구성되고, 각각은 두 윙을 통하여 볼트로 서로 결합된다. 전술한 현수선 클램프의 역 T 형 웨지(38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궤삭 클램프의 T 형 웨지(392)는 힘 평형 조립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11g 와 11i 에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는 클램프 미끄럼 몸체(394)와 현수선 고정판(396)에 의해 구성된다. 클램프 미끄럼 몸체(394)와 고정판(396)은,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16)의 케이블이 체결 몸체(394)와 플레이트(396)로 함께 고정된 상보 채널을 포함한다. 도 11i 는 역 T 형 몸체(385)로 끼워진 역 T 형 웨지(386)로 형성된 것으로서 현수선 반동판(382)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와 웨지(386) 사이에서 에너지 공급 현수선 스프링(384)도 나타나 있다.
도 11g 와 11h 에 나타낸 것처럼, 궤삭 클램프(386)는 클램프 미끄럼 몸체(398)와 고정판(399)으로 형성된다. 클램프 미끄럼 몸체(398)와 궤삭 플레이트(399)는 상보적 채널을 가지는데 이 채널에서 궤삭(14)의 케이블은 체결 몸체(398)와 플레이트(399)에 의해 고정된다. 위의 도 11i 와 유사하게, 도 11h 는 트랙 반동판(388)과 트랙 스프링(390)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힘 평형 조립체와 같은 대형 케이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하중 적용부와 최근위 클램프의 단부와 이웃하여 케이블이 미끄러지지 않는다면, 클램프의 최원위 단부와 이웃하여 고정 압력이 완전히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힘이 적용되는 부분과 가장가까운 클램프 단부의 고정 압력이 미끄러짐 없이 케이블을 유지할 정도로 충분히 높다면, 힘이 적용되는 부분과 가장 먼 클램프 단부에서 고정 압력이 이용되지 않는다. 본원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케이블을 불연속적으로 고정하지만, 고정된 몸체, 특히 조립체 몸체(367) 및 서로서로에 대해 편향 될 수 있도록 다수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이 극복된다. 클램프 사이의 제어된 상대 운동 실행 장치는 조립체의 가로 연장부와 클램프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한다. 다른 탄성 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선택된 클램프 사이에 다른 크기의 저항이 생성될 수 있다. 하중이 가해지는 케이블 단부와 가장 인접하여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주어진 하중하에 상기 클램프는 더 많이 편향될 것이다. 최근위 단부에서 클램프는 더 많이 편향될 수 있으므로, 더 큰 하중이 다른 클램프에 가해질 것이다. 이 메카니즘에 의해 각각의 클램프에 의해 요구되는 고정 압력은 평형을 이룰 것이다.
전술한 배치는, 현수선 케이블 스프링(384)과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에 적용될 수 있고, 현수선 케이블 스프링(390)과 궤삭 클램프(368)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스프링의 탄성 계수 및 수는 일련의 설정된 부하에 대해 식별하는데 필요하다.
클램핑 케이블이 가지는 기본적인 문제점은, 케이블이 클램프로부터 빠져나오는 지점에서 큰 응력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 횡방향 부하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굽힘 현상으로부터 배출점에서 케이블을 신장하는 횡방향 부하를 케이블이 받는다면 응력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도 11f 와 11L 에 나타난 것처럼, 연장 부재 안내장치(400)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힘 평형 조립체에 부가된다.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는 현수선 케이블(16)의 유입 단부와 유출 단부에서 조립체 몸체(367)에 볼트로 고정된다.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는,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로 들어오는 점에서 현수선 케이블(16)의 굽힘과 인장으로 인한 현수선 케이블(16)상의 마모를 줄이도록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370)로 현수선 케이블(16)을 안내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는 상부 가이드(402)와 하부 가이즈(404)로 구성되고, 가이드의 결합된 측면은 현수선 케이블(16) 둘레에 끼워진다. 상부 가이드(402)와 하부 가이드(404)는 보충 구멍으로 형성되어서 다수의 볼트로 함께 고정된다.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를 통과하는 현수선 케이블(16)을 위해 구비된 구멍은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16)의 케이블보다 크다. 이렇게 구멍이 크면 클램프의 바깥쪽 단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응력을 생성시키지 않으면서 현수선 케이블(16)의 한정된 고정을 할 수 있다.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는 현수선 케이블 조립체 클램프(370)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16)을 안내한다. 그러므로, 케이블의 굽힘과 인장에 의해 아주 큰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연장 부재 안내 장치(400)에서, 마모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제한된 고정 마찰을 제공하도록 아내 장치(400)와 케이블 시스템(16) 사이에 라이닝(406)이 끼워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당해업자들은 전술한 선호되는 실시예를 수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이렇게 수정된 내용은 본원에 포함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모든 케이블은 베어링 압력에 대한 감도가 낮고 탄성 계수, 밀도 및 부식 저항이 높기 때문에 록크-코일 강철 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케이블도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61)

  1. 수송 수단이 움직이는 트랙을 제공하기 위한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고가 케이블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현수선 케이블로부터 걸려있는 한 쌍의 궤삭을 포함하며;
    상기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으로부터 궤삭을 매달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가지고;
    짝을 이룬 궤삭과 현수선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철탑을 가지고;
    상기 지지 철탑 중 하나는, 베이스 철탑을 포함하고, 한 쌍의 궤삭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철탑에 의해 지탱되는 하부 새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새들은 궤삭의 일부를 가로질러 하나의 철탑으로 적용되는 궤삭을 횡단하는 수송수단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전달하도록 베이스 철탑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연결 장치를 가지고,
    베어링 조립체 및, 베어링 조립체에 대해 휘어질 수 있게 현수선 케이블을 유지하도록 현수선 케이블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조립체로 이루어진, 케이블 시스템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현수선 케이블을 편향시키고 상기 현수선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철탑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새들로 구성된, 고가 케이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의 하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장착된 횡단 철탑 비임을 포함하고; 횡단 철탑 비임으로 수직 하중 성분을 전달하기 위해 횡단 철탑 비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장치를 포함하며; 수직 하중 전달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크로스-타이를 포함하고; 횡단 철탑 비임으로 가로 하중 성분을 전달하도록 크로스-타이에 의해 일부 지지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케이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행거는, 상하부 피이스 및 그 사이의 상대 운동을 위해 상하부 피이스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가지는 행거 부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행거는 행거 부재의 제 1 단부에 의해 현수선 케이블로부터 매달려져 있고; 궤삭을 지지하도록 현수선 케이블과 이격되어 제 2 단부에서 행거 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행거 크로스-타이를 포함하며; 행거 크로스 타이에 부착된 궤삭 안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케이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궤삭과 현수선 케이블 사이의 인장을 평형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고가 케이블에서 지지 철탑 사이의 여러 부분에서 짝을 이룬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결합하기 위한 힘 평형 조립체로 구성되고, 각각의 영역 둘레에서 궤삭과 현수선 케이블의 케이블을 마찰연결하고, 궤삭 케이블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 중에서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에 의해 가해진 힘을 전달하도록 부재를 둘러싸는 케이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케이블 시스템.
  5. 한 쌍의 궤삭을 지지하도록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부 새들에 있어서, 하부 새들은 궤삭의 일부를 가로질러 철탑에 가해진 궤삭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수단에 의해 적용된 하중을 전달하고, 상기 하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장착된 횡단 철탑을 포함하고; 하중의 수직 성분을 횡단 철탑 비임으로 전달하기 위해 횡단 철탑 비임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장치를 포함하며; 수직 하중 전달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크로스-타이를 포함하고; 횡단 철탑 비임으로 하중의 가로 성분을 전달하도록 크로스-타이에 의해 일부 지지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직 하중 전달 장치는 횡방향 하중 전달 장치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하중 감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하중 전달 장치는,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세로축의 중심에서 횡단 철탑 비임과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주요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주요 비임의 각 단부에서 주요 비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한 쌍의 2차 비임을 포함하며;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하나의 2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각각의 2차 비임 중 하나와 세로축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4개의 3차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3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3차 비임 중 하나와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8개의 현가 막대를 포함하는데, 상기 현가 막대의 다른 쪽 단부는 제 1 수직 평면에서 크로스타이의 회전을 위해 크로스타이의 세로축의 중심에서 크로스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크로스타이는 궤삭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8. 제 5 항에 있어서, 가로 방향 하중 전달 장치는, 상기 크로스-타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평형 비임을 포함하고; 평형 비임과 맞물리도록 횡단 철탑 비임에 의해 지지되는 횡방향 지지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평형 비임은 다른 길이를 가지며 겹쳐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10. 제 8 항에 있어서, 평형 비임의 너비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11. 한 쌍의 궤삭을 지지하도록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부 새들에 있어서, 하부 새들은 철탑으로 궤삭의 일부를 가로질러 적용된 궤삭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 수단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전달하고, 상기 하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장착된 횡단 철탑 비임을 포함하고; 철탑으로 하중을 전달하도록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횡단 철탑 비임의 단부와 인접하여 결합된 횡단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횡단 연결 프레임으로 하중의 수직 성분을 전달하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장치를 포함하고; 수직 하중 전달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크로스-타이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 연결 프레임으로 하중의 가로 성분을 전달하도록 크로스-타이에 의해 일부 지지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하부 새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하중 전달 장치는, 크로스-타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평형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평형 비임과 맞물리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횡단 지지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수직 하중 전달 장치는,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주요 비임을 가지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주요 비임의 각 단부에서 주요 비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한 쌍의 2차 비임을 가지며;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하나의 2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각각의 2차 비임 중 하나와 세로축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4개의 3차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3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3차 비임 중 하나와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8개의 현가 막대를 포함하는데, 상기 현가 막대의 다른 쪽 단부는 제 1 수직 평면에서 크로스타이의 회전을 위해 크로스타이의 세로축의 중심에서 크로스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크로스타이는 궤삭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새들.
  14. 궤삭을 횡단하는 수송 수단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하여 궤삭을 편향시키고,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서 한 쌍의 궤삭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새들에 있어서,
    베이스 철탑에 장착된 횡단 철탑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주요 비임을 가지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주요 비임의 각 단부에서 주요 비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한 쌍의 2차 비임을 가지며;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하나의 2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각각의 2차 비임 중 하나와 세로축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4개의 3차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3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3차 비임 중 하나와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8개의 현가 막대를 포함하는데, 상기 현가 막대의 다른 쪽 단부는 제 1 수직 평면에서 크로스타이의 회전을 위해 크로스타이의 세로축의 중심에서 크로스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현가 크로스타이는 궤삭을 지지하며;
    길이를 따라 너비가 다른 평형 비임은 궤삭을 가로질러 수송 수단에 의해 적용되는 힘을 평형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크로스 타이에 걸쳐져 있는 다른 길이의 중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평형 비임과 맞물리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가로 방향 지지 스터드로 구성되는 하부 새들.
  15. 철탑으로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서 한 쌍의 궤삭에 가해진 수직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횡단 연결 프레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주요 비임을 가지고;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주요 비임의 각 단부에서 주요 비임과 세로축의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한 쌍의 2차 비임을 가지며;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하나의 2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각각의 2차 비임 중 하나와 세로축 중심에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4개의 3차 비임을 포함하고;
    8조의 현가 막대 각각은 제 1 수직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3차 비임의 각 단부에서 3차 비임 중 하나와 한쪽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현가 막대의 다른 쪽 단부는 제 1 수직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 2 수직 평면에서 크로스-타이의 회전을 위해 크로스-타이의 세로축 중심에서 크로스-타이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며, 크로스-타이는 궤삭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 하중 전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궤삭에 가해진 가로 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방향 하중 전달 장치는, 상기 궤삭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크로스-타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평형 비임을 포함하고; 평형 비임과 맞물리도록 상기 철탑에 연결된 횡방향 지지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중 전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8조의 현가 막대 중 하나의 장착된 단부와 인접하여 하나의 3차 비임의 각 단부에 하나의 3차 비임과 한쪽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각각 장착된 4개의 완충 장치를 포함하고, 각 완충 장치의 다른 쪽 단부는 완충장치의 한쪽 단부가 연결된 3차 비임의 다른 쪽 단부에 결합된 현가 막대의 다른 쪽 단부에 이웃하여 크로스-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막대와 3차 비임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비율을 완충 장치가 감소시킴으로써 궤삭에 적용된 수직 하중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중 전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현가 막대의 하부 단부와 이웃하여, 크로스-타이와 한쪽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된 4개의 브레이싱 막대를 포함하고, 각 브레이싱 막대의 다른 쪽 단부는 제 1 현가 막대가 걸려있는 3차 비임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된 제 2 현가 막대와 이웃하여 그것의 하부 단부에서 크로스-타이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하중 전달 장치.
  19.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으로부터 지지되는 한 쌍의 궤삭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 수단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현수선 케이블을 편향시키고 고가 케이블 시스템에서 현수선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철탑에 의해 유지되는 상부 새들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 및; 상기 베어링 조립체에 대해 휘어질 수 있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지지하기 위해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부착 조립체로 구성되는 상부 새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조립체는 베이스 철탑에 직립부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착 조립체는 베어링 조립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직립부를 포함하고; 현수선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직립부에 장착되어 덮어주는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2. 제 21 항에 있어서, 궤삭을 움직이는 수송 수단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편향시킬 때 직립부에서 발생된 동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직립부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는, 궤삭을 움직이는 수송 수단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편향할 때 직립부에서 발생된 동적 하중을 견디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커플링 베이스 및; 상기 커플링 베이스와 직각으로 뻗어있고 커플링 베이스에 고정된 두 개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이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 2 단부와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한쪽 단부에 끼워지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케이블 커넥터가 커플링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와 케이블 커넥터를 결합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부 새들은, 직립부의 하측 단부가 뻗어있는 상측 단부 내에 오우프닝을 가지는 관상 베이스 철탑에 의해 지지되고, 마운팅 조립체는 궤삭을 따라 움직이는 수송 수단에 의해 적용된 힘에 대하여 베이스 철탑 내의 회전점 둘레에서 직립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6. 제 19 항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는, 베이스 철탑의 상부와 연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어링 조립체의 부가 성분을 지지하기 위한 플랫폼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되는 현수선 케이블 사이에서 수직 분리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베이스 표면을 구비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의 상부에서 유지되는 로울러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것의 상단은 현수선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부착 조립체의 이동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케이블 부착 조립체가 움직이는 표면을 구비하기 위해 로울러 베이스의 상단에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차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착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차륜-베어링 부재에 대해 현수선 케이블을 편향시킬 수 있고 현수선 케이블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고정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뻗어있는 지지 부재는 아치형 로울러 베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아치형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29. 제 28 항에 있어서, 로울러 베이스는 지지 부재의 상단과 꼭 맞도록 지지 부재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구부려지는 플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30. 제 2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퀴-지지 부재는 아치형 로울러 베이스의 상부에 맞도록 아치형 로울러 베이스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주요축 둘레에서 구부려지는 크레인 레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31. 제 2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바퀴에 고정된 액슬을 포함하고; 액슬에 인접하여 배치된 케이블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클램핑 부재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액슬을 고정하도록 액슬을 파지하고 케이블 클램핑 부재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액슬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과 케이블 클램핑 부재를 연결하도록 현수선 케이블과 테플론 라이닝 사이에 알맞은 마찰을 부여하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둘레와 케이블 클램핑 부재 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테플론 라이닝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베어링 표면에 대해 현수선 케이블을 편향시킬 수 있는 각각의 케이블 클램핑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32. 제 3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 클램핑 부재는 채널, 앵글 및 플레이트로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33. 제 19 항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을 횡단하는 차량에 의해 현수선 케이블에 적용된 하중을 줄이기 위한 하부 새들은 베이스 철탑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새들.
  34. 궤삭 시스템 케이블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케이블 중에서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분배하고, 각각의 원주 둘레에서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을 마찰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둘러싸는 케이블의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궤삭 시스템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사이의 응력을 평형 상태로 만들도록 고가 케이블 시스템의 지지 철탑 사이에서 한 쌍의 궤삭 시스템에 현수선 케이블을 결합하기 위한 힘 평형 조립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부재 수용 케이블 시스템은, 바깥쪽 채널에서 궤삭과 중심 채널에서 현수선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표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3열의 평행 채널을 가지는 힘 평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채널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 케이블 원주의 1/2에 근접하는 모양을 가지며;
    외부 채널 내 궤삭 시스템과 중심 채널 내 현수선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제 1 표면의 길이를 따라 구성된 3열 이상의 평행 채널을 가지는 클래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채널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채널은 각 케이블 원주의 다른 1/2에 근접하는 모양을 가지며, 채널이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는 케이블 카의 바퀴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제 1 표면에 대향한 제 2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 2 표면은 고정된 케이블 조립체에 의해 부여된 응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 채널에 대향하여 상승되며;
    클램핑 플레이트와 힘 평형 플레이트의 채널이 있는 표면은 상보적이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현수선과 궤삭 시스템에서 힘을 평형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각 채널 내에서 현수선 및 궤삭 시스템을 마찰 고정하도록 각 보어를 통하여 볼트로 체결되기에 알맞으며, 조립된 플레이트 내 채널의 벌려진 단부는 플레이트의 단부에 의한 케이블 상의 마모를 줄이도록 각각의 현수선 및 궤삭 둘레에서 조립체의 각 단부에 프러스토-원뿔형 고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부재 수용 케이블 시스템은 힘 평형 플레이트와 클램핑 플레이트에서 다수의 상보적 보어를 통하여 체결되어서 플레이트를 함께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37. 제 35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조립될 때 4개의 외부 채널에서 4개의 궤삭과 2개의 중심 채널에서 두 개의 현수선을 마찰 고정하기 위해 각 표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6열의 평행 채널을 힘 평형 플레이트와 클램핑 플레이트가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채널이 있는 표면과 대향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표면은 고정된 케이블 조립체에 의해 부여된 응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 두 채널과 대향하여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39. 제 34 항에 있어서, 부재 수용 케이블 조립체는, 핀 연결자와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아연 소켓을 포함하고;
    한 쌍의 궤삭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에 힘을 분배하도록 프레임의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며 연결된 케이블 및, 프레임의 세로축과 예각을 이루는 앵글로부터 아연 소켓의 핀 연결자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자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0. 제 34 항에 있어서, 부재 수용 케이블 조립체는 한 쌍의 궤삭과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에 힘을 분배하도록 프레임의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며 연결된 케이블 및, 프레임의 세로축과 예각을 이루는 앵글로부터 이어진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연결자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현수선 케이블을 각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U 형 단부를 가지는 장방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궤삭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의 세로축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장방형 플레이트의 수직면에 부착된 다수의 경사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크로스 부재의 외측 단부에서 바퀴 지지 레일을 지탱하도록 장방형 플레이트의 대향한 면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장방형 플레이트로부터 뻗어있는 다수의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크로스 부재를 횡방향 지지하도록 크로스 부재 사이와, 크로스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브레이싱 바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3. 제 41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의 U 형 단부는, 케이블 연결자가 구성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현수선 케이블의 각 케이블과 레그 연결부 사이에 틈을 가지도록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U 형 단부의 각 레그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에 이어지는 연결자의 핀을 수용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5. 제 43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의 U 형 단부의 각 레그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케이블에 이어진 연결자의 핀을 수용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6. 제 4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 연결 플레이트는 궤삭의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자 핀을 수용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7. 제 4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부재는 바퀴 지지 레일을 상승시키도록 바퀴 지지 레일과 크로스 부재 사이의 단부에서 스페이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지지 레일은 고가 케이블 시스템을 이동하는 수송 수단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지지 레일은 바퀴 지지 레일 측부를 통하여 궤삭 시스템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절단된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수용 케이블 시스템은, 조립체 몸체를 가지고; 조립체 몸체와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 사이에 분배된 힘을 감쇠시키도록 조립체 몸체에 휘어질 수 있게 부착되고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부여잡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를 포함하며; 조립체 몸체와 궤삭 클램프 사이에 분배된 힘을 감쇠시키도록 조립체 몸체에 휘어질 수 있게 부착되고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부여잡는 한 쌍의 궤삭 시스템 클램프를 포함하고, 한 쌍의 궤삭 시스템의 상부면은 고가 케이블 시스템을 횡단하는 수송 수단의 바퀴에 의해 맞물려지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조립체 몸체는, 종방향 프레임을 포함하고;
    크로스 연장부의 양 단부에 이웃한 궤삭 클램프와 중심부 근처의 현수선 케이블 클램프를 지지하도록 종방향 프레임에 각각 부착된 다수의 크로스 연장부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도록 궤삭 시스템 클램프와 크로스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휘어질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와 크로스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종방향 프레임은 크로스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해 힘 평형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한 쌍의 평행 비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연장부는, 종방향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기둥을 포함하고;
    기둥을 횡방향 지지하도록 연속 기둥 사이에 부착된 횡방향 브레이싱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를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기둥의 상단 근처에 부착된 스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반동 플레이트와 인접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을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도록 인접한 다른 쌍의 스팬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를 가지고;
    종방향 프레임의 각 면에서 궤삭 클램프를 미끄럼 지지하도록 종방향 비임에 부착된 윙 플레이트를 가지며;
    각각의 반동 플레이트와 이웃한 궤삭 시스템 클램프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위한 지지면을 구비하도록 다른 쌍의 인접한 윙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궤삭 반동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4. 제 50 항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채널을 가지는 조립체 몸체의 구간 사이에 위치한 클램프 미끄럼 몸체를 포함하고;
    현수선 클램프 미끄럼 몸체에 볼트를 체결하여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고정하도록 현수선 클램프 미끄럼 몸체의 평행한 채널과 상보적인 채널을 가지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5. 제 50 항에 있어서, 각 쌍의 궤삭 시스템 클램프는, 궤삭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2열 이상의 평행 채널을 가지는 조립체의 구간 사이에 위치한 클램프 미끄럼 몸체로 구성되고;
    궤삭 클램프 미끄럼 몸체에 볼트를 체결하여 궤삭 시스템을 고정하도록 궤삭 클램프 미끄럼 몸체의 평행한 채널과 상보적인 2열 이상의 평행 채널을 가지는 클램핑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6. 제 51 항에 있어서, 궤삭 클램프와 크로스 연장부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각각의 궤삭 시스템 클램프로 궤삭에 적용된 힘을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7. 제 51 항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과 크로스 연장부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각각의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로 현수선 케이블에 적용된 힘을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8. 제 53 항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는,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면에 구멍을 가지고 T 형 웨지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레그를 통과하는 공동을 가지는 T 형 몸체로 구성되고;
    T 형 몸체로 끼워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와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을 압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기울어진 2중 리딩 에지를 가지는 T 형 웨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59. 제 53 항에 있어서, 궤삭 반동 플레이트는,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면에 구멍을 가지고 T 형 웨지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레그를 통과하는 공동을 가지는 T 형 몸체로 구성되고;
    T 형 몸체로 끼워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와 현수선 케이블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을 압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기울어진 2중 리딩 에지를 가지는 T 형 웨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60. 제 50 항에 있어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와 연결부에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의 굽힘으로 인해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에 발생하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클램프로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을 미끄럼 안내하는 연장 부재 가이드를 조립체 몸체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 가이드는,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 둘레에 꼭 끼워 맞추기 위해 조립체 몸체의 각 종방향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대향한 부재를 포함하고;
    현수선 케이블 시스템과 짝을 이룬 대향한 부재 사이에 끼워 맞추어 마모를 줄이면서 마찰 고정하는 다수의 라이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평형 조립체.
KR1019980704883A 1997-12-05 1997-12-05 고가케이블시스템 KR100294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22323 WO1999029960A1 (en) 1997-12-05 1997-12-05 Elevated cablew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60A true KR19990076760A (ko) 1999-10-15
KR100294270B1 KR100294270B1 (ko) 2001-09-17

Family

ID=2226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83A KR100294270B1 (ko) 1997-12-05 1997-12-05 고가케이블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036238B1 (ko)
JP (1) JP3342476B2 (ko)
KR (1) KR100294270B1 (ko)
CN (1) CN1103395C (ko)
AT (1) ATE235605T1 (ko)
AU (1) AU734946C (ko)
CA (1) CA2311762C (ko)
DE (1) DE69720296T2 (ko)
HK (1) HK1027605A1 (ko)
WO (1) WO1999029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1513A1 (de) * 2000-10-17 2002-04-25 Aloys Wobben Windpark
CN101063285B (zh) * 2007-05-11 2011-05-11 中国电力科学研究院 塔架高度可调的双承载索货运索道
CN101367166B (zh) * 2008-09-28 2010-06-02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悬索桥主索鞍的加工方法
CN101664876B (zh) * 2009-09-09 2011-08-24 四川天元机械工程股份有限公司 大型悬索桥散索鞍加工方法
CN101935978B (zh) * 2010-08-16 2013-02-13 同济大学 索轨高架及其专用轨道行车
CN101941440B (zh) * 2010-09-19 2012-11-14 湖南路桥建设集团公司 一种用于索道运输系统的吊鞍
CN103523024A (zh) * 2013-10-31 2014-01-22 戴长虹 城际空中轨道交通系统
CN112581560B (zh) * 2020-12-15 2022-09-20 卡斯柯信号有限公司 一种电子地图中的坡度信息自动生成方法
CN113638306B (zh) * 2021-08-20 2023-06-02 湖南科技大学 一种桥梁吊杆阻尼索减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3746C3 (de) * 1974-12-10 1980-01-17 Gerhard Dietlikon Mueller (Schweiz) Tragsystem für eine Hängebahn
CH592206A5 (en) * 1975-04-22 1977-10-14 Mueller Gerhard Cableway anchoring for cables and supports - connects cables with slope ensuring smooth vehicle passage over anchors
CH626021A5 (ko) * 1977-11-14 1981-10-30 Rudolf Baltensperger
EP0207887A1 (fr) * 1985-06-27 1987-01-07 Ateliers de Constructions Mecaniques de Vevey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public roulant sur une voie suspend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5605T1 (de) 2003-04-15
HK1027605A1 (en) 2001-01-19
JP3342476B2 (ja) 2002-11-11
DE69720296D1 (de) 2003-04-30
AU734946C (en) 2004-03-25
CN1218748A (zh) 1999-06-09
KR100294270B1 (ko) 2001-09-17
EP1036238B1 (en) 2003-03-26
CN1103395C (zh) 2003-03-19
EP1036238A1 (en) 2000-09-20
DE69720296T2 (de) 2004-04-01
AU734946B2 (en) 2001-06-28
CA2311762A1 (en) 1999-06-17
JP2001526334A (ja) 2001-12-18
AU5374498A (en) 1999-06-28
WO1999029960A1 (en) 1999-06-17
CA2311762C (en)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4361A (en) Aerial guideway system
US6070533A (en) Elevated cableway system
KR100294270B1 (ko) 고가케이블시스템
US6272999B1 (en) Elevated cableway system
AU762275B2 (en) An upper saddle for use in an elevated cableway system
US6065405A (en) Elevated cableway system
EP1052332B1 (en) Elevated cableway system
US5720225A (en) Elevated cableway system
US6324990B1 (en) Elevated cableway system
US6301736B1 (en) Elevated suspended guideway
NZ524529A (en) A system for transmitting vertical loads in an elevated cableway system
NZ524530A (en) An upper saddle for use in an elevated cableway system
NZ505394A (en) Elevated cableway system
NZ533577A (en) A force equalizing assembly for use in an elevated cableway system
GB1581313A (en) Underground suspended railway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