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141A -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141A
KR19990076141A KR1019980010836A KR19980010836A KR19990076141A KR 19990076141 A KR19990076141 A KR 19990076141A KR 1019980010836 A KR1019980010836 A KR 1019980010836A KR 19980010836 A KR19980010836 A KR 19980010836A KR 19990076141 A KR19990076141 A KR 1999007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horizontal
output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141A/ko
Publication of KR1999007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41A/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아이아이씨(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는 전원이 온/오프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출력되는 아이아이씨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R, G 및 B의 이득과 컷 오프값을 조정하여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비디오 카드로부터 입력된 R, G 및 B의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을 높여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앰프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기준발진신호를 출력하고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이 온/오프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하는 I2C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기준발진신호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고압회로와 편향회로로 신호를 공급하는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와,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고압을 발생시키는 FBT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프리앰프에서 입력되는 R, G 및 B의 이득을 제로로 하고 R, G 및 B의 컷 오프 전압을 높여 음극선관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앰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온/오프 또는 모드 변경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된 I2C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음극선관의 형광면에 닿는 전자량을 제한하여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본 발명은 아이아이씨(Inter-Integrated Circuit ; 이하, I2C라 약칭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이 온/오프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출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이득과 컷 오프값을 조정하여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하는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등의 영상표시기기를 사용하는 도중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또는 전원관리시스템(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 ; 이하, DPMS라 약칭함) 모드를 변경할 경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통해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지 않으면 비디오 신호가 깜빡거리는 등 불안정하게 표시되므로 비디오 뮤트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DPMS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에 따라 컴퓨터 주변장치인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을 관리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 미합중국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식이다.
VESA의 제안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에 따라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영상표시기기에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차단하고, 영상표시기기에서는 전술한 컴퓨터 본체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관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전원관리는 정상모드(On state), 잠시대기모드(Stand-by state), 일시정지모드(Suspend state) 및 정지모드(Power on/off state)로 구분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정상모드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펄스출력이 모두 입력되고, 잠시대기모드는 수직동기신호만 입력된다.
또한, 일시정지모드는 수평동기모드만 입력되고, 정지모드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원관리상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의 계속적인 경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상모드→잠시대기모드→일시정지모드→정지모드로 전환하며, 이때의 소비전력은 정상모드일 경우 80[W] 정도가 되고, 잠시대기모드일 경우 65[W] 이하가 되며, 일시정지모드일 경우 25[W] 이하가 되고, 정지모드일 경우 5[W] 이하가 되도록 영상표시기기 제품의 규격을 정해놓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디오 뮤트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가 노말(normal) 동작시 턴 온되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제 1 트랜지스터(Q1)의 턴 온/턴 오프에 따라 스위칭 되어 콜렉터단자로 입력되는 Vcc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제 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출력되는 Vcc와 FBT(Flyback Transformer)(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출력되는 -VEE를 합성하여 제 1 그리드(G1)로 출력하도록 분압하는 다수개의 저항(R3)(R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디오 뮤트 회로는, 영상표시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하이 레벨의 비디오 뮤트 제어신호가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로 입력되고, 그 신호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 온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제로전압으로 풀 다운(pull down)되고, 이로 인해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 온됨으로 저항(R1)(R1)과 전원(Vcc)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제 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노드 A로 흐른다.
또한 입력되는 -VEE가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되어 전압 강하되고, 그에 따른 전류가 노드 A로 흐르게 됨으로 제 1 그리드(G1) 전압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로 로우 레벨을 갖는 비디오 뮤트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되고,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로 전원(Vcc)이 입력되어 제 2 트랜지스터(Q2)도 턴 오프된다.
그러므로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제로전압이 되고, 그 기간에는 제 1 그리드(G1)에 공급된 -VEE의 전압에 의해 강한 부(-)전자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자총의 캐소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제 1 그리드(G1)를 통과하지 못하여 음극선관에 주사되는 비디오 신호가 표시되지 않고 뮤트되어 비디오 신호가 깜빡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최근 개발되고 있는 모니터 등의 영상표시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적회로 소자들 상호간(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와 비디오 프리앰프)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디지털로 처리함으로써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함은 물론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I2C 제어방식이 채용되어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중 전원의 온/오프 또는 모드 변경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 뮤트회로 대신에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출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R, G 및 B의 이득과 컷 오프값을 조정하여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하는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디오 뮤트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비디오 프리앰프 20 : 마이크로 컴퓨터
30 :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 40 : FBT
50 : 비디오 출력앰프 60 : 음극선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비디오 카드로부터 입력된 R, G 및 B의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을 높여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앰프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기준발진신호를 출력하고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하는 I2C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기준발진신호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고압회로와 편향회로로 신호를 공급하는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와,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고압을 발생시키는 FBT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프리앰프에서 입력되는 R, G 및 B의 이득을 제로로 하고 R, G 및 B의 컷 오프 전압을 높여 음극선관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앰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리앰프(10)는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비디오 카드(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R, G 및 B의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Pedestal Level)을 높여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20)는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30)로 기준발진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20)는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또는 모드가 변경될 때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I2C 데이터 신호를 후술되는 비디오 출력앰프(50)로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20)에는 전원의 온/오프 또는 모드 변경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데이터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30)는 마이크로 컴퓨터(20)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기준발진신호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고압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편향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신호를 공급한다.
FBT(40)는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음극선관(60)에 공급되는 고압을 발생시킨다.
비디오 출력앰프(50)는 음극선관(60)의 형광면에 닿는 전자량을 줄여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도록 마이크로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프리앰프(10)로부터 입력되는 R, G 및 B의 이득을 제로로 하고, R, G 및 B의 컷 오프 전압을 높여 음극선관(60)으로 공급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영상표시기기의 사용 도중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또는 모드가 변경되면, 그 변경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2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20)로 전원의 온/오프 또는 모드 변경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에서는 음극선관(60)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I2C 데이터 신호가 비디오 출력앰프(50)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출력앰프(50)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20)에서 출력된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프리앰프(10)로부터 입력되는 R, G 및 B의 이득을 제로로 하며, R, G 및 B의 컷 오프 전압을 높여 음극선관(6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비디오 출력앰프(50)에서 출력되는 R, G 및 B의 이득과 컷 오프 전압에 의해 음극선관(60)의 형광면에 도달되는 전자량이 크게 줄어들게 되어 비디오 신호가 뮤트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에 의하면, 전원의 온/오프 또는 모드 변경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R, G 및 B의 이득과 컷 오프값을 조정하여 음극선관의 형광면에 닿는 전자량을 제한함으로써 간단하게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비디오 카드로부터 입력된 R, G 및 B의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을 높여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앰프;
    상기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기준발진신호를 출력하고,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모드가 변경될 때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I2C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비디오 카드로부터 기준발진신호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고압회로와 편향회로로 신호를 공급하는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
    상기 수평 및 수직 발진신호 처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고압을 발생시키는 FBT;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I2C 데이터 신호에 따라 비디오 프리앰프에서 입력되는 R, G 및 B의 이득을 제로로 하고, R, G 및 B의 컷 오프 전압을 높여 음극선관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앰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2C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KR1019980010836A 1998-03-27 1998-03-27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KR1999007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36A KR19990076141A (ko) 1998-03-27 1998-03-27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36A KR19990076141A (ko) 1998-03-27 1998-03-27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41A true KR19990076141A (ko) 1999-10-15

Family

ID=6586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36A KR19990076141A (ko) 1998-03-27 1998-03-27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14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536A (ja) * 1992-01-21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ミュート回路
KR970077033A (ko) * 1996-05-21 1997-12-12 배순훈 Crt 보호 장치
KR1999005730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순간 영상 제거 회로
KR100287613B1 (ko) * 1991-05-06 2001-04-16 크리트먼 어윈 엠 전원제거시필요동작을유지시키는스위칭회로를구비한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613B1 (ko) * 1991-05-06 2001-04-16 크리트먼 어윈 엠 전원제거시필요동작을유지시키는스위칭회로를구비한제어시스템
JPH05199536A (ja) * 1992-01-21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ミュート回路
KR970077033A (ko) * 1996-05-21 1997-12-12 배순훈 Crt 보호 장치
KR1999005730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순간 영상 제거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141A (ko)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KR19990008542A (ko) 비디오 뮤트(Mute)시 OSD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47391B1 (ko) 영상신호의 패스 스로우(pass through)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US6307596B1 (en) Circuit and method for indicating image adjustment pattern using OSD
KR10024759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라스터 제어회로
KR10029144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스포트제거회로
US6724975B1 (en) Products combining television and video recorder
KR10029144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밝기 자동조절장치
KR200179721Y1 (ko) 영상표시기기의 비디오 뮤트회로
KR100277777B1 (ko)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KR100466531B1 (ko)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자동 명암조절장치
KR200187011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전류제한회로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0156641B1 (ko) 영상신호 출력회로
KR100299171B1 (ko) 모니터의 백 라스터 휘도 조절 회로
KR200187009Y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처리회로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KR200158597Y1 (ko) 비디오 뮤트 회로
KR100238583B1 (ko) 주변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162127Y1 (ko) 단전원 지자계 보정회로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20000013385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보정회로
KR19990008997U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KR19990005568A (ko) 모니터의 원-스위치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조절장치
KR19990081201A (ko)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이득 및컷오프 레벨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