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777B1 -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777B1
KR100277777B1 KR1019970076857A KR19970076857A KR100277777B1 KR 100277777 B1 KR100277777 B1 KR 100277777B1 KR 1019970076857 A KR1019970076857 A KR 1019970076857A KR 19970076857 A KR19970076857 A KR 19970076857A KR 100277777 B1 KR100277777 B1 KR 10027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creen
brightness
size
r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838A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7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7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On/Off)시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확대 내지는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지 않고 오프가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과정을 안정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On/Off)시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을 사용자가 온/오프하는 경우에 전원이 온/오프되는 과정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호스트(Host)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수신 받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사용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을 온/오프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을 온/오프하게 되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보지 않고 화면을 보게 된다. 즉, 전원 온/오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화면을 확인하여 전원 온/오프를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 온/오프되는 과정을 보다 안정감있고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 화면 사이즈와 휘도를 단계별로 가변 시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 과정을 보다 안정되고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확대 내지는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지 않고 오프가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 화면 변환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의 제어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화면 확대 단계의 서브루틴(Sub routine)을 나타낸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휘도 증가 단계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흐름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화면 축소 단계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흐름도.
제7도는 제3도에 도시된 휘도 감소 단계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장치는, 전원 온/오프에 따른 제 1 스위치신호(SW1)를 인가받아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신호(SW2)를 출력하고 화면 사이즈(Size)와 휘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수평 및 수직 사이즈(Size) 신호(H/V_SIZE) 및 휘도신호(CONTRAST)를 출력하는 마이콤(11)과, 상기 제 1 스위치신호(SW1)를 발생하고 상기 제 2 스위치신호(SW2)를 인가받아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부(12)와, 상기 마이콤(11)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를 인가 받아 디지털(Digital) 신호에서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털 대 아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or; 이하 DAC로 약칭함)(13)과, 상기 DAC(13)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를 인가받고 인가된 아날로그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에 따라 CRT에 표시되는 화면 사이즈를 제어하기 위해 편향요크(DY)에 편향전류를 발생하는 수평 및 수직편향회로(14)와, 상기 마이콤(11)으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CONTRAST)를 인가받고 인가된 휘도신호(CONTRAST)에 따라 라스터(Raster)의 휘도를 일정 레벨(Level)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15)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14)로부터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라스터(Raster)를 인가받아 충분히 증폭한 후 CRT로 인가하는 비디오 메인 앰프(16)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3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 제1도에 도시됨)의 전원이 온/오프됨을 확인하는 단계(S10)와, 상기 전원이 온/오프됨을 확인하는 단계(S10)에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이 확인되면 전원의 온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전원 온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확대 내지는 증가시키는 단계(S30, S40)와, 상기 전원의 온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지 않고 오프가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시키는 단계(S50, 6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전원회로(17)를 온/오프하게 된다(S10).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10)를 사용하기 위해 또는 사용 후 스위치부(12)의 제 1 스위치(SW1)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10)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회로(17)를 온시키는 경우를 먼저 살펴보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10)를 사용하기 위해 제2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전면 케이스에 부착된 제 1 스위치(SW1)을 온시키게 된다. 제 1 스위치(SW1)는 마이콤(11)으로 공급되는 웨이크업(Wakeup) 전압(도시 않음)을 온/오프하게 된다. 마이콤(10)은 제 1 스위치(SW1)로부터 발생된 전원을 온하기 위한 제 1 스위치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
판단 결과, 전원 온에 따른 제 1 스위치신호가 마이콤(11)으로 인가되면,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치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부(12)의 제 2 스위치(SW2)로 인가한다. 제 2 스위치(SW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를 전원회로(17)로 입력 하기 위한 동작을 한다. 즉, 제 2 스위치(SW2)를 릴레이(Relay) 스위치로 구성함에 따라 마이콤(1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온에 따른 제 2 스위치신호에 따라 전원회로(17)를 온시킨다. 전원회로(17)가 온됨에 따라 전원회로(17)는 디스플레이 모니터(1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마이콤(11)은, 전원 온에 따른 제 2 스위치신호를 발생과 동시에 화면 사이즈를 확대하고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S30, S40). 즉, 전원이 온되면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고(S30) 동시에 확대되어 가는 화면에 표시되는 라스터(Raster)의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킨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제4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기 위해 마이콤(11)은 미리 저장된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를 단계별로 증가시켜 출력한다. 단계별로 증가되어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는, DAC(13)을 통해서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즉, 수평 및 수직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 DAC(13)을 통해서 출력되는 DAC 레벨 값을 증가시켜 출력한다(S31). DAC 레벨 값이 증가되어 출력되면 DAC 레벨 값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화면에 최대 사이즈로 표시되는 최대 값인지를 확인한다(S32).
DAC 레벨 값이 최대가 되면 제2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최대 화면 사이즈(III)가 된다. 따라서 DAC 레벨 값이 최대에 도달되면 화면사이즈의 증가를 종료하고, 반대인 경우에는 화면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I→II→III)하기 위한 DAC 레벨 값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단계별로 출력되는 DAC 레벨 값을 수평 및 수직편향회로(14)에서 인가받는다. 수평 및 수직편향회로(14)는 마이콤(11)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출력신호(H/V_OUT)를 인가받고 인가된 DAC 레벨 값에 따라 화면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한 편향전류를 편향요크(DY)에 발생한다. 이 때, 마이콤(11)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출력신호(H/V_OUT)는 호스트(도시 않음)로부터 수신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V_SYNC)에 따라 발생한다.
이와 같이 화면 사이즈가 단계별로 증가됨과 동시에 단계별 화면 사이즈에 표시되는 라스터(Raster)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콤(11)은, 라스터(Raster)의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키기 위해 미리 저장된 휘도신호(CONTRAST)를 단계별로 증가시켜 출력한다(S41). 출력되는 휘도신호(CONTRAST)가 최대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고(S42), 그 결과 최대 값에 도달되면 휘도신호(CONTRAST)의 증가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마이콤(11)은 화면 사이즈가 I인 경우에 낮은 레벨의 휘도신호(CONTRAST)를, 화면 사이즈가 II, III인 경우에 각각 대응하는 보통 레벨의 휘도신호(CONTRAST), 높은 레벨의 휘도신호(CONTRAST)로 증가되도록 라스터를 구성하기 위해 라스터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킨다. 각각의 레벨에 따른 휘도신호(CONTRAST)는, 비디오 프리 앰프(15)에서 인가받아 라스터의 휘도 이득을 조정한 후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비디오 메인 앰프(16)로 인가한다. 비디오 메인 앰프(16)는 인가된 휘도 이득이 조정된 라스터를 충분히 증폭하여 CRT로 인가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화면 사이즈가 I인 경우에 낮은 휘도를 갖는 라스터를 구성하고, II, III인 경우에는 각각에 대응되도록 보통 휘도, 높은 휘도를 갖도록 라스터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온되는 과정을 화면 사이즈와 각 화면 사이즈별 구별되는 휘도를 갖는 라스터를 구성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원 온되는 과정을 안정감 있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모니터(10)가 온되어 호스트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R,G,B)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V_SYNC)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영상신호(R,G,B)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전원을 오프하게 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제 1 스위치(SW1)를 선택하게 되면 제 1 스위치(SW1)는, 전원 오프에 따라 제 1 스위치신호를 발생한다. 전원 오프에 따른 제 1 스위치신호를 인가받은 마이콤(11)은, 인가된 제 1 스위치신호에 따라 제 2 스위치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마이콤(11)은 일정 시간 지연한 후 제 2 스위치신호를 발생한다. 즉, 전원 오프되는 과정을 표시한 후 디스플레이 모니터(10)를 완전히 오프하기 위함이다. 제 2 스위치신호는 제 2 스위치(SW2)로 인가되면 제 2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됨에 따라 AC가 전원회로(17)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전원회로(17)가 완전히 차단되기까지의 일정 시간동안 제2도에서 보인 디스플레이 모니터(10)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사이즈를 온 과정의 역순으로 단계별로 축소(III→II→I)하여 표시한다. 또한, 각 화면사이즈에 휘도 레벨 또한 역순으로 높은 레벨에서 보통 레벨로 다시 낮은 레벨로 라스터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즉, 마이콤(11)은, 인가된 전원 오프에 따른 제 1 스위치신호에 따라 화면 사이즈와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한다(S50, S60).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IZE)를 단계별로 축소하여 출력한다(S50).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기 위해서는 제6도에서와 같이 마이콤(11)에서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YNC)를 단계별로 축소하여 DAC(13)으로 인가한다. DAC(13)은 인가된 수평 및 수직 사이즈신호(H/V_SYNC)에 따라 DAC 레벨 값을 단계별로 축소시켜 출력한다(S52). 출력되는 DAC 레벨 값이 최소 값으로 축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최소 값으로 확인되면 DAC 레벨 값의 축소를 완료한다. 또한, 마이콤(11)은 휘도신호(CONTRAST)의 레벨을 단계별로 감소하여 출력한다(S61). 단계별로 감소되어 출력되는 휘도신호(CONTRAST)가 최소 값인지를 확인한다(S62). 최소 값이면 휘도신호(CONTRAST)의 단계별 감소를 완료하게 된다.
DAC(13)으로부터 단계별로 DAC 레벨 값이 축소되어 출력되고, 휘도신호(CONTRAST)가 단계별로 감소되어 출력되면, 각각의 수평 및 수직편향회로(14) 내지 비디오 프리 앰프(15)로 인가하게 된다. 수평 및 수직편향회로(14) 및 비디오 프리 앰프(15)는 인가된 DAC 레벨 값과 휘도신호(CONTRAST)에 따라 전원이 오프되는 과정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니터(10) 화면에 최소 화면 사이즈와 낮은 휘도로 라스터가 구성되어 표시됨과 동시에 마이콤(11)은 제 2 스위치신호를 제 2 스위치(SW2)로 인가하여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니터(10)의 전원 온/오프 과정은 표시시간은 마이콤(11)의 프로그래밍(Programming)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온/오프를 보다 안정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오/오프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확대 내지는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전원의 온이 선택되지 않고 오프가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시키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확대 내지는 증가시키는 단계는 전원의 온이 선택되는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화면 사이즈가 단계별로 확대되는 과정과 동시에 화면 내에 표시되는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키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는 단계는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을 단계별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을 단계별로 증가되면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이 증가될 수 있는 최대 값으로 변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하는 단계는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휘도가 단계별로 증가되어 최대값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사이즈와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축소 내지는 감소시키는 단계는 전원의 온이 선택되면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화면 사이즈가 단계별로 축소되는 과정과 동시에 화면 내에 표시되는 라스터의 휘도를 단계별로 감소시키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는 단계는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을 단계별로 축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이 단계별로 축소되면 수평 및 수직 사이즈 DAC 값이 축소될 수 있는 최소 값으로 변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단계별로 감소하는 단계는 휘도를 단계별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휘도가 단계별로 감소되어 최소값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KR1019970076857A 1997-12-29 1997-12-29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KR10027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57A KR100277777B1 (ko) 1997-12-29 1997-12-29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57A KR100277777B1 (ko) 1997-12-29 1997-12-29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838A KR19990056838A (ko) 1999-07-15
KR100277777B1 true KR100277777B1 (ko) 2001-01-15

Family

ID=6617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857A KR100277777B1 (ko) 1997-12-29 1997-12-29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7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83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0972A (en) Self-diagnosis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KR1007138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7777B1 (ko) 전원 온/오프시 화면 제어 방법
US20010043202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sd in muting video signals
KR100449744B1 (ko)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RU2122296C1 (ru) Саморастровая схема монитора
US6008861A (en) OSD vertical blanking signal selection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KR100333531B1 (ko) 모니터 화면 최적상태 표시장치
KR1003659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10024759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라스터 제어회로
KR0150092B1 (ko) 모니터의 영상 입력 처리 회로 및 처리 방법
KR200197411Y1 (ko) 모니터의 오에스디 제어회로
KR100277773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자동 조정 방법
KR100214014B1 (ko) 모니터의 영상입력 처리회로
KR200153717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 화면의 떨림방지회로
JP3297967B2 (ja) 電子機器
CN1251242A (zh) 电源检测电路
KR20010000647U (ko) 영상표시기기의 비디오 신호 입력레벨 조정장치
KR100209964B1 (ko) 뮤트 및 acl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영상 증폭기 회로
KR100261908B1 (ko) 파워 온시 과도현상 방지방법
KR19990076141A (ko) 아이아이씨 제어방식에 따른 비디오 뮤트장치
KR1999004224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키 재정의 방법
KR19990005568A (ko) 모니터의 원-스위치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