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115A - 마모시험기 - Google Patents

마모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115A
KR19990076115A KR1019980010805A KR19980010805A KR19990076115A KR 19990076115 A KR19990076115 A KR 19990076115A KR 1019980010805 A KR1019980010805 A KR 1019980010805A KR 19980010805 A KR19980010805 A KR 19980010805A KR 19990076115 A KR19990076115 A KR 1999007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guide
sample
wear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재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1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115A/ko
Publication of KR1999007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쉬프트 노브(shift knob),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등과 같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마모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쉬프트 노브 등의 각종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수단과, 상기 시료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마모부재와, 상기 마모부재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웨이트와, 상기 마모부재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마모부재 안내수단과, 상기 웨이트를 번갈아가면서 승하강시켜 시료의 상면에 지지된 마모부재로부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 시험기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웨이트(weight) 측면과, 스트로크(stroke)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품질이 보다 우수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작에 크게 기여한다.

Description

마모 시험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 부품, 예를 들어, 쉬프트 노브(shift knob),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등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마모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보다 품질이 우수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작에 기여할 수 있게 한 마모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안전성, 기능성,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의 내장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토매틱 트랜스미션(automatic transmission) 또는 매뉴얼 트랜스미션(manual transmission)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쉬프트 레버(shift lever)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쉬프트 노브와, 자동차의 흔들림이 클 경우 탑승자가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어시스트 그립, 운전자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갖는 내장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실제로 내장 부품을 사용 상태하는 조건에서 마모성 시험을 실시하여, 내장 부품의 외관 품질이 변화되는 시점 등의 환경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자동차용 내장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 측정을 위한 마모 시험기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시험대(1)와, 상기 시험대(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10)(20)로 구성되어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도 정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시험대(1)의 하면에는 수개의 지지각(2)이 구비되어 있고, 상면의 중간부에는 쉬프트 노브 등의 시료(3)를 고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시료 고정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험대(1)의 양측변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브래키트(11)(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래키트(11)(21)는 상단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키트(11)(21)의 하면에 실린더(10)(2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20)에 구비된 로드(12)(22)는 브래키트(11)(2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0)(20)는 전원이 인가되면, 각각의 로드(12)(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브래키트(11)(21)의 외측면에는 안내 레일(13)(23)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그 안내 레일(13)(33)에는 슬라이더(14)(24)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이더(14)(24)의 외측면 하부에는 연결편(15)(25)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그 연결편(15)(25)에 실린더(10)(20)의 로드(12)(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외측면 상부에는 고정편(16)(26)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편(16)(26)에 마찰포(5)의 양측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마모 시험기에 의하여 각종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먼저, 시험대(1)의 시료 고정수단(4)에 쉬프트 노브 등의 시료(3)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더(14)(24)의 각 고정편(16)(26)에 마찰포(5)의 양측단부를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마찰포(5)가 소정의 텐션(tension)을 갖도록 고정하여, 시료(3)의 상면에 마찰포(5)가 소정의 마찰력을 갖고 접촉되도록 한다.
이 후, 실린더(10)(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로드(12)(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는 바, 상기 로드(12)(22)는 슬라이더(14)(24)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14)(24)도 브래키트(11)(21)에 고정된 안내 레일(13)(23)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24)의 고정편(16)(26)에 양단부가 고정된 마찰포(5)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시료(3)에 소정의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시료(3)의 마모 정도를 시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마모 시험기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마모 시험기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료(3)에 소정의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웨이트(weight) 측면과, 시료(3)에 마찰포(5)에 의한 소정의 마찰력을 반복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스트로크(stroke)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었다.
즉, 실린더(10)(20)의 구동에 따른 로드(12)(22)의 상대적인 직선 왕복 운동으로 시료(3)에 하중을 부여하는 구조로써, 하중을 변경할 경우에는 다른 용량을 갖는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마찰포(5)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마찰포(5)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여야 하고, 뿐만 아니라 마찰포(5)의 이동을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시료(3)로부터 마찰포(5)가 탈거되는 현상을 배제하지 못하는 등, 시료(3)의 마모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함으로써 마모 시험기로서의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마모 시험기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시료(3)의 마모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고품질의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작에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모 시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품질이 우수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작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마모 시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일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시료 고정수단 및 마모부재 안내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에 비교적 폭이 작은 마모부재를 사용하여 시료를 시험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폭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마모부재 가이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은 폭이 비교적 큰 마모부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폭이 비교적 큰 마모부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베이스 플레이트 31 ; 지지 플레이트
32 ; 시료 33 ; 마모부재
34,34',34A,34'A ; 웨이트 35 ; 시료 고정 브래키트
41,41' ; 사이드 브래키트 43,43' ; 회동 안내편
44,45 ; 상,하부 안내장공 47,47' ; 안내 요입부
48,48' ; 측면 안내부 49,49' ; 폭 조절부재
51 ; 폭 조절공 52,52' ; 롤러 샤프트
53,53',53A,53'A ; 가이드 롤러 56,56' ; 이탈 방지 너트
57,57' ; 걸고리 60 ; 구동 모터
61,61' ; 받침부재 62,62' ; 세로 고정부재
64 ; 레일 브래키트 65,65' ; 가이드 레일
66,66' ; 가이드 블록 81 ; 하부 기어
82 ; 상부 기어 83,83' ; 회전부재
86,86' ; 커넥팅 로드 89 ; 하부 지지축
90,90' ; 베어링 91 ; 커플링 조인트
94 ; 상부 지지축 101 ; 카운터
103 ; 콘트롤러 110 ; 외관 케이스
111,111' ; 도어 121 ; 풋 마스터
123 ; 받침각 124 ; 받침 롤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쉬프트 노브 등의 각종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수단과, 상기 시료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마모부재와, 상기 마모부재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웨이트와, 상기 마모부재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마모부재 안내수단과, 상기 웨이트를 번갈아가면서 승하강시켜 시료의 상면에 지지된 마모부재로부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가 제공된다.
상기 시료 고정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시료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시료 고정 브래키트와,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전면에서 체결되어 시료 고정공에 결합된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마모부재는 폭이 서로 다른 적어도 2가지 이상으로 하고, 상기 웨이트는 중량이 다른 적어도 2쌍 이상으로 하여, 마모 시험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도록 한다.
상기 마모부재 안내수단은 시료 고정 브래키트에 일체로 구비되어 시료에 근접한 상태로 마모부재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안내수단과, 상기 상부 안내수단의 하부 양측에서 마모부재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 안내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 브래키트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의 상단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회동 안내편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소정의 개수로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장공을 통해 볼트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수개의 고정 볼트에 의해 사이드 브래키트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회동 안내편은 마모부재의 왕복 이동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안내 요입부를 형성하고, 양측에 마모부재의 양측변부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 안내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요입부의 저면에 수개의 볼트 체결공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볼트 체결공에 폭 조절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마모부재의 폭에 따라 안내 요입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안내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플레이트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폭 조절공과, 상기 폭 조절공의 양측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폭이 다른 적어도 2쌍 이상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웨이트를 하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받침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과, 동력 발생수단과, 상기 동력 발생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을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받침부재로 구성하고, 그 받침부재의 하면 내측단부에 세로 고정부재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안내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레일 브래키트와, 상기 레일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세로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동력 발생수단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하부 기어와, 그 하부 기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하부 기어와 항시 맞물리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의 양측에 고정되어 그 상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하측단부는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측단부는 세로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재에 커넥팅 로드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연결하기 위한 수개의 핀 연결공을 반경 방향으로 형성하여 마모부재의 스트로크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웨이트가 각각 지지된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의 승하강 회수를 감지하는 카운트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외관 케이스가 설치를 설치하고, 그 하면 각 모서리 부위에 외관 케이스의 하면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거나 일단 세팅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는 수개의 풋 마스터를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좌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쉬프트 노브 등의 각종 시료(32)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수단과, 상기 시료(32)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마모부재(33)와, 상기 마모부재(33)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웨이트(weight)(34)(34')와, 상기 마모부재(33)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마모부재 안내수단과, 상기 웨이트(34)(34')를 번갈아가면서 승하강시켜 시료(32)의 상면에 지지된 마모부재(33)로부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료 고정수단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고정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에 수개의 브래키트 고정 볼트(37)로 고정되는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와,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전면에 상기 고정공(35a)과 통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볼트 체결공(35b)으로 체결되어 고정공(35a)에 결합된 시료(32)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 볼트(36)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시료 고정 볼트(36)는 시료(32)의 설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전면 볼트 체결공(35b)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시료(3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마모부재 안내수단은 시료(32)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왕복 이동되는 마모부재(33)를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에 일체로 구비되어 시료(32)에 근접한 상태로 마모부재(33)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안내수단과, 상기 상부 안내수단의 하부 양측에서 마모부재(33)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 안내수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안내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이드 브래키트(41)(41')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41)(41')의 상단부에 힌지핀(42)(42')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 안내편(43)(4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41)(41')의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부 안내장공(44)(4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장공(44)(45)에 대향되는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양측면에는 정해진 개수로 볼트 체결공(35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장공(44)(45)의 폭에 해당되는 만큼 사이드 브래키트(41)(4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이드 브래키트(41)(41')의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안내장공(44)(45)을 통해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측면 볼트 체결공(35c)으로 수개의 고정 볼트(46)(46')를 체결하여 사이드 브래키트(41)(41')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41)(4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46)(46')의 개수도 경우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회동 안내편(43)(43')은 마모부재(33)의 왕복 이동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안내 요입부(47)(47')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마모부재(33)의 양측변부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 안내부(48)(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요입부(47)(47')의 폭은 마모부재(33)의 폭과 동일하여, 마모부재(33)가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요입부(47)(47')의 저면 양측단부에는 볼트 체결공(47a)(47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작은 폭을 갖는 마모부재(33)를 사용할 경우, 상기 볼트 체결공(47a)(47b)에 봉상의 폭 조절부재(49)(49')를 각각 체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폭이 45mm, 35mm로 각각 다른 두 종류의 마모부재(33)(33A)를 사용하도록 하여, 큰 폭의 마모부재(33)를 사용할 경우에는 폭 조절부재(49)(49')를 사용하지 않고, 작은 폭의 마모부재(33A)를 사용할 경우에만 폭 조절부재(49)(49')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안내 요입부(47)(47')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의 볼트 체결공(47a)(47b)를 형성하여, 폭이 다른 세 종류 이상의 마모부재(33)(33A)...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폭 조절부재(49)(49')의 선단부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널링(knurling) 처리하여 손잡이부(49a)(49'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안내수단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1)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폭 조절공(51)과, 상기 폭 조절공(51)의 양측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52)(52')와, 상기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53)(5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롤러 샤프트(52)(52')는 후방에 폭 조절공(51)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축부(5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 조절공(5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롤러 샤프트(52)(52')의 위치를 정한 상태에서 롤러 샤프트(52)(52')의 후단부에 고정 너트(55)(55')를 각각 체결하여 지지 플레이트(31)에 롤러 샤프트(52)(52')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53)(53')의 내부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 롤러(53)(5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는 이탈 방지 너트(56)(56')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가이드 롤러(53)(5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53)(5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2쌍의 폭 조절부재(49)(49')를 이용하여 폭이 다른 두 개의 마모부재(33)(33A)를 사용하였듯이 폭이 다른 별도의 가이드 롤러(53A)(53'A)로 대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여분의 가이드 롤러(53A)(53'A)는 통상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놓고 상황에 따라 가이드 롤러(53)(53')와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폭이 다른 2쌍의 가이드 롤러(53)(53'),(53A)(53'A)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만일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에 사용되는 마모부재(33)(33A)...가 폭이 각각 다른 3가지 이상이라면, 그 마모부재(33)(33A)...와 동일한 폭을 갖는 가이드 롤러(53)(53'),(53A)(53'A)...를 동일한 개수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34)(34')는 상면의 중간부에 걸고리(57)(57')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마모부재(33)의 양측 하단부에 걸고리(57)(57')를 걸어 웨이트(34)(3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34)(34')도 시료(3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1.3kg, 2kg 등과 같이 적어도 2쌍 이상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34A, 34A'는 다른 중량을 갖는 여분의 웨이트를 보인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웨이트(34)(34')를 하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받침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과, 구동 모터(60) 등의 동력 발생수단과, 상기 동력 발생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을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받침부재(61)(61')로써, 그 받침부재(61)(61')의 하면 내측단부에는 세로 고정부재(62)(6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61)(61')의 이동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수단은 지지 플레이트(31)의 전면 중간부에 고정되는 중간 브래키트(63)와, 상기 중간 브래키트(63)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레일 브래키트(64)와, 상기 레일 브래키트(64)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65)(65')과, 상기 받침부재(61)(61')에 구비된 세로 고정부재(62)(62')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65)(65')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guide block)(66)(6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6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모터 브래키트(7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그 모터 브래키트(7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브래키트(71)와, 상기 베이스 브래키트(71)의 내측연부에 세워져 고정되는 수직 브래키트(72)와, 상기 베이스 브래키트(71)와 수직 브래키트(72)의 모서리 양측 연부에 고정되는 삼각판상의 사이드 브래키트(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 브래키트(70)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구동 모터(6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 모터(60)는 시료(32)의 종류에 따라서 마모부재(33)의 왕복 이동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속도 가변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6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하부 기어(81)와, 그 하부 기어(8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하부 기어(81)와 항시 맞물리는 상부 기어(82)와, 상기 상부 기어(82)의 양측에 고정되어 그 상부 기어(82)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재(83)(83')와, 하측단부는 회전부재(83)(83')에 축핀(84)(84')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측단부는 받침부재(61)(61')의 세로 고정부재(62)(62')에 축핀(85)(85')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86)(8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86)(86')의 하단부는 회전부재(83)(83')의 상대적인 위치에 각각 연결하여, 상부 기어(82)의 회전 동작으로 커넥팅 로드(86)(86')가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83)(83') 및 세로 고정부재(62)(62')에 연결되는 축핀(84)(84'),(85)(85')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회전부재(83)(83')의 회전에 따른 커넥팅 로드(86)(86')의 승하강 동작 및 받침부재(61)(61')의 승하강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83)(83')에는 커넥팅 로드(86)(86')의 하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핀 연결공(83a)(83'a)을 반경 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회전부재(83)(83')에서 커넥팅 로드(86)(86')의 연결 부위를 가변시키도록 함으로써 마모부재(33)의 스트로크(stroke)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수단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 중간부에 베이스 기어 브래키트(87)가 고정되어 있고, 그 베이스 기어 브래키트(87)의 양측에 하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88)(88')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어 있으며, 그 하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88)(88')에 하부 지지축(89)이 베어링(90)(90')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 하부 지지축(89)에 하부 기어(81)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축(89)은 일측 하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88)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88)의 외부로 돌출된 하부 지지축(89)의 단부는 구동 모터(60)의 회전축(60a)과 커플링 조인트(coupling joint)(91)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 모터(60)의 회전력이 하부 지지축(89)으로 직접 전달되며, 이에 따라 하부 지지축(89)이 회전되면서 하부 기어(81)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96은 커플링 조인트(9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를 보인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수직 브래키트(92)가 베이스 기어 브래키트(87)의 전면 일측과 면접촉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직 브래키트(92)의 내측면 상단 양측에는 상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93)(93')가 지지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93)(93')는 지지 플레이트(31)의 배면에서도 고정 볼트 등의 통상적인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93)(93')에는 상부 지지축(94)이 베어링(95)(95')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지지축(94)에 상부 기어(82)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사이드 기어 브래키트(93)(93')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지지축(94)에 회전부재(83)(83')가 일체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수단의 일실시예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구동 모터(60), 하부 기어(81), 상부 기어(82)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브래키트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받침부재(61)(또는, (61'))의 이동 경로에 해당되는 지지 플레이트(31)의 소정 부위에 카운터(counter)(101)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카운터(101)에는 승하강되는 받침부재(61)(또는, (61'))에 접촉되는 감지편(102)이 구비되어 있어, 받침부재(61)(61')의 승하강 회수를 카운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소정 부위에는 전원 스위치, 구동 모터(60)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 마모 시험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10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마모 시험중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크릴 재질로 외관 케이스(110)로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관 케이스(110)에는 도어(111)(111')를 설치하여, 시료(32)를 세팅시키거나, 콘트롤러(103)를 조작하는 등, 작업상 필요한 경우에만 도어(111)(111')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1)(111')에는 투명창(112)(112')을 구비하여, 도어(111)(111')를 닫은 상태에서 투명창(112)(112')을 통해 내부의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면 각 모서리 부위에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풋 마스터(foot master)(121)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 마모 시험기를 위치를 세팅할 경우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122)를 회전시키면 받침각(123)이 하강되도록 하여 그 받침각(123)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고, 마모 시험기의 이동시에는 너트(122)의 역회전으로 받침각(123)을 각각 상승시켜 지면에 받침 롤러(124)가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쉬프트 노브, 어시스트 그립, 스티어링 휠 등과 같은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시험하게 되는 바,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쉬프트 노브(32)의 마모 정도를 시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고정공(35a)으로 쉬프트 노브(32)를 삽입하고,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의 전면에 형성된 수개의 볼트 체결공(35b)으로 시료 고정 볼트(36)를 각각 체결하여 쉬프트 노브(32)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쉬프트 노브(32)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 후, 상기 쉬프트 노브(32)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 브래키트(41)(4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41)(41')의 각 안내장공(44)(45)을 통해 돌출된 수개의 고정 볼트(46)(46')를 각각 체결하여 사이드 브래키트(41)(41')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쉬프트 노브(32)의 마모 시험을 위한 마모부재(33)(또는, (33'))를 선택하게 되는데, 그 마모부재(33)의 폭(W1)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안내편(43)(43')의 양측 볼트 체결공(47a)(47b)에 폭 조절부재(49)(49')를 고정할 필요는 없으며, 지지 플레이트(3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는 마모부재(33)의 폭에 해당되는 비교적 큰 폭의 가이드 롤러(53)(53')를 결합한다.
그러나, 마모부재(33A)의 폭(W2)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안내편(43)(43')의 양측 볼트 체결공(47a)(47b)에 폭 조절부재(49)(49')를 각각 나사 결합하고,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 마모부재(33A)의 폭(W1)에 맞는 비교적 작은 폭의 가이드 롤러(53A)(53'A)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35)에 고정되는 시료(32)의 크기, 높이 등을 고려하여 마모부재(33)의 마찰 운동을 보다 원활하도록 회동 안내편(43)(43')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적당한 각도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으며, 또한 롤러 샤프트(52)(52')도 지지 플레이트(31)에 형성된 폭 조절공(51)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지지 플레이트(31)의 배면에서 샤프트 고정 너트(55)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샤프트(52)(52')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롤러(53)(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 너트(56)(56')를 각각 체결한다.
이 후, 상기 회동 안내편(43)(43')의 안내 요입부(47)(47')에 마모부재(33)를 각각 걸어 쉬프트 노브(32)의 상면에 마모부재(33)의 하면 중간부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마모부재(33)의 하단부에 웨이트(34)(34')의 걸고리(57)(57')를 각각 걸어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마모부재(33)는 롤러 샤프트(52)(52')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53)(53')를 소정의 각도로 접촉하면서 지나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34)(34')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무게를 갖는 1쌍의 웨이트(34A)(34'A)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모 시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콘트롤러(103)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 모터(60)의 동력이 하부 기어(81)로 전달되어 상부 기어(82)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 상부 기어(82)의 회전에 의해 상부 지지축(94)이 회전되면서 그 상부 지지축(94)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된 회전부재(83)(8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커넥팅 로드(86)(86')의 하단부가 회전부재(83)(83')의 상대적인 위치에 축핀(84)(84')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가 받침부재(51)(51')의 세로 브래키트(62)(62')에 축핀(85)(85')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83)(8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커넥팅 로드(86)(86')가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86)(또는, (86'))가 상승 운동을 하면, 타측 커넥팅 로드(86')(또는, (86))는 하강 운동을 하고, 반대로 일측 커넥팅 로드(86')(또는, (86))가 하강 운동을 하면, 타측 커넥팅 로드(86)(또는, (86'))는 상승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 로드(86)(86')의 반복적인 승하강 운동에 의해 받침부재(61)(61')는 그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 블록(66)(66')이 가이드 레일(55)(55')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65)(65')의 안내를 받으며 승하강 운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받침부재(61)(61')의 반복적인 승하강 동작에 의해 일측 받침부재(61)(또는, (61'))가 상승하면 일측 웨이트(34)(또는, (34'))를 밀어올리게 되는 동시에 타측 웨이트(34')(또는, (34))는 타측 받침부재(61')(또는, (61))의 하강 동작으로 그 타측 받침부재(61')(또는, (61))의 상면과 소정 간격이 유지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반대로 타측 받침부재(61')(또는, (61))가 상승하면 타측 웨이트(34')(또는, (34))를 밀어올리게 되는 동시에 일측 웨이트(34)(또는, (34'))는 일측 받침부재(61)(또는, (61'))의 상면과 소정 간격이 유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61)(61')의 반복적인 승하강 동작에 의해 그 받침부재(61)(61')에 지지되는 웨이트(34)(34')를 연결하고 있는 마모부재(33)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쉬프트 노브(32)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쉬프트 노브(32)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마모부재(33)는 회동 안내편(43)(43')에 각각 형성된 안내 요입부(47)(47')와, 그 하부 양측에 지지된 가이드 롤러(53)(53')의 안내를 받으며 원활하게 왕복 운동을 하면서 쉬프트 노브(32)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받침부재(61)(61')의 반복적인 승하강 동작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31)의 소정 부위에 카운터(10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받침부재(61)(61')가 승하강되면서 카운터(101)의 감지편(102)을 접촉하여, 받침부재(61)(61')의 승하강 회수, 즉 마모부재(33)의 마모 회수를 자동으로 카운트하게 되며, 따라서 미리 세팅된 회수만큼 마모부재(33)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회전부재(83)(83')에 반경 방향으로 커넥팅 로드(86)(86')의 연결을 위한 수개의 핀 연결공(83a)(8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팅 로드(86)(86')를 내측 핀 연결공(83a)(83'a)에 연결할수록 상부 기어(82)의 회전에 따른 커넥팅 로드(86)(86')의 승하강 높이를 줄여 마모부재(33)의 왕복 이동 스트로크를 줄일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지지 플레이트(31)를 포함하는 모든 구성 요소를 외관 케이스(110)로 감싸 작업 도중에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관 케이스(110)의 하면 각 모서리 부위에 수개의 풋 마스터(1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모 시험기의 가동중에는 지면에 수개의 받침각(123)이 각각 지지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이동시에는 받침 롤러(124)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모 시험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쉬프트 노브 등의 각종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수단과, 상기 시료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마모부재와, 상기 마모부재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웨이트와, 상기 마모부재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마모부재 안내수단과, 상기 웨이트를 번갈아가면서 승하강시켜 시료의 상면에 지지된 마모부재로부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마모 시험기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웨이트 측면과, 스트로크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품질이 보다 우수한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작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쉬프트 노브 등의 각종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수단과,
    상기 시료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마모부재와,
    상기 마모부재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웨이트와,
    상기 마모부재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마모부재 안내수단과,
    상기 웨이트를 번갈아가면서 승하강시켜 시료의 상면에 지지된 마모부재로부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고정수단은 선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시료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시료 고정 브래키트와,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전면에서 체결되어 시료 고정공에 결합된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마모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걸고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부재 안내수단은 시료 고정 브래키트에 일체로 구비되어 시료에 근접한 상태로 마모부재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안내수단과, 상기 상부 안내수단의 하부 양측에서 마모부재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하부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수단은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사이드 브래키트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의 상단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회동 안내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료 고정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소정의 개수로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장공을 통해 볼트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수개의 고정 볼트에 의해 사이드 브래키트를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안내편은 마모부재의 왕복 이동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안내 요입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마모부재의 양측변부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 안내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입부의 저면에 수개의 볼트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그 볼트 체결공에 폭 조절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마모부재의 폭에 따라 안내 요입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수단은 지지 플레이트의 소정 부위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폭 조절공과, 상기 폭 조절공의 양측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선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웨이트를 하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받침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과, 동력 발생수단과, 상기 동력 발생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을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레일 브래키트와, 상기 레일 브래키트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동력 발생수단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하부 기어와, 그 하부 기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하부 기어와 항시 맞물리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의 양측에 고정되어 그 상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하측단부는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측단부는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어가 상부 지지축에 고정되고, 그 상부 지지축의 양측단부에 회전부재가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커넥팅 로드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연결하기 위한 수개의 핀 연결공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모부재의 스트로크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웨이트가 각각 지지된 제 1 및 제 2 받침수단의 승하강 회수를 감지하는 카운트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시험기.
KR1019980010805A 1998-03-27 1998-03-27 마모시험기 KR1999007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05A KR19990076115A (ko) 1998-03-27 1998-03-27 마모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05A KR19990076115A (ko) 1998-03-27 1998-03-27 마모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15A true KR19990076115A (ko) 1999-10-15

Family

ID=6586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05A KR19990076115A (ko) 1998-03-27 1998-03-27 마모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1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806A (zh) * 2022-01-17 2022-03-22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载流摩擦磨损试验装置
KR20220036769A (ko) * 2020-09-16 2022-03-23 국방기술품질원 방탄 시험용 시료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탄 시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69A (ko) * 2020-09-16 2022-03-23 국방기술품질원 방탄 시험용 시료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탄 시험 방법
CN114216806A (zh) * 2022-01-17 2022-03-22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载流摩擦磨损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115A (ko) 마모시험기
CN112747908B (zh) 一种汽车门盖耐久测试装置及系统
EP2198262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ntersuchen der verschleissfestigkeit einer oberfläche einer strassenbelagsprobe
KR19980074290A (ko) 차량용 시트 시험기
KR19990076116A (ko) 마모 시험기의 구동장치
CN209400199U (zh) 车门关闭测试装置
DE60104325T2 (de)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trägers in drei orthogonale richtungen
CN116879061A (zh) 一种玻璃强度检测装置
CN216717803U (zh) 一种汽车传动轴疲劳试验机
CN217020291U (zh) 一种横梁可水平翻转的龙门架
CN111238848A (zh) 一种火星车移动系统振动加载机构及性能测试装置
CN115876499A (zh) 汽车转向器的模拟测试设备
KR100654681B1 (ko) 시트 펌핑기구 시험장치
CN212059321U (zh) 一种模拟汽车换挡系统的试验设备
CN113267418A (zh) 一种链条铰链副耐磨试验装置及方法
DE3828724C2 (de)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an einem Kraftfahrzeug montierten, zur Unwuchtermittlung hochgebockten Kraftfahrzeugrades
KR0174427B1 (ko) 자동차의 도어 닫힘력 측정장치
CN214251488U (zh) 一种导向环耐久试验装置
CN218601054U (zh) 一种具有自动对中功能的墙体砖抗压测试工具
CN216646057U (zh) 疲劳试验机的支撑机构
CN116380671B (zh) 一种服装面料抗拉检测仪
CN219474934U (zh) 汽车座椅滑轨耐久度自动测试工装
CN219641261U (zh) 验收孔取芯装置
CN212844306U (zh) 锁具检测装置
CN219957225U (zh) 一种适用于万向轮的路况仿真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