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022A -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022A
KR19990076022A KR1019980010623A KR19980010623A KR19990076022A KR 19990076022 A KR19990076022 A KR 19990076022A KR 1019980010623 A KR1019980010623 A KR 1019980010623A KR 19980010623 A KR19980010623 A KR 19980010623A KR 19990076022 A KR19990076022 A KR 19990076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signal
lighting device
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1998001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022A/ko
Publication of KR1999007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022A/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통상의 실내용 조명장치나 책상에 설치되는 전기스탠드 타입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종래의 조명기능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에서 소리신호나 빛신호 또는 향기신호가 발생되어서 청각,시각 또는 후각을 통하여 인간의 두뇌에 자극을 주도록 구성하여서,
본 발명 조명장치아래에서 업무나 학습을 할때 자연스럽게 정신집중을 유도하여서 업무나 학습의 능률을 향상시켜 주고, 또한 취침을 위하여 소등시에는 소등된 후에 일정시간동안 소리, 빛 또는 향기신호를 발생시켜서 수면을 유도하여 빠르고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정신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정신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본 발명은 정신 집중을 유도하거나 정신의 긴장상태를 풀어주거나 깊은 숙면상태로 잠들게 유도하는 등의 정신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명장치의 기본적인 용도는 주변을 밝게 조명하는데 있다. 실내 조명등의 경우에는 실내 전체를 밝게 조명하는데 사용되고, 전기스탠드류의 경우에는 책상위를 국부적으로 조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잘 관찰해 보면 실내조명용 조명장치의 경우,특히 주거용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조명등을 소등시킨 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취침상태로 들어가는 과정이 뒤따라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때때로 사용자는 빨리 잠들지 못할뿐만 아니라 깊은 숙면 상태로 들어가지 못하여 피로감이 쌓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생활상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종래의 조명기능 이외에 정신제어 기능이 함께 내장되게 구성되어서 취침을 위하여 조명을 소등한 후에는 즉시 정신제어 회로부가 작동되어서 빛,소리 또는 향기,또는 이들이 복합된 신호를 실내에 발산하게 되어서 사용자가 빠른 시간안에 쉽게 이완상태로 돌입하게끔 유도되어서, 빨리 잠들고 깊은 수면상태로 들어갈 수 있어서 이튿날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등의 특징이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할 목적으로 제안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국부조명용의 전기스탠드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의 사용상태를 관찰해 보면, 전기스탠드의 조명을 켠 후에는 학습을 하거나 업무를 보는 등의 정신집중이 요구되는 행동이 수반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쉽게 집중되지 못하여 학습이나 업무의 능률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생활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일례인 본 발명의 전기스탠드에는 기본적인 조명기능 이외에 정신제어기능이 함께 내장되어 있어서, 전기스탠드에서 조명을 위한 조명빛의 발산 이외에도 정신집중을 유도하는 빛, 소리 또는 향기, 또는 이들이 복합된 신호등이 발산되게 되어서 사용자는 쉽게 정신집중 상태로 유도될 수 있어서 학습이나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또 다른 목적으로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면유도,정신집중유도 등과 같은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제안되는 것이다.
종래의 조명장치는 어두움을 단순히 밝혀주기만 하는 조명역할만 하는 기능 뿐이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조명기능 이외에 또 다른 기능, 즉 정신제어기능을 함께 갖는 조명장치인 것이다.
공지된 기술로서, 인간의 정신상태를 제어 또는 유도하는데에 청각, 시각 또는 후각을 통한 두뇌의 자극이 유효함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예를 들어서, 조용한 음악을 들으면 정서가 안정되고 격렬한 음악을 들으면 정서가 불안정하게 된다거나, 어린아이들에게 태아때 들은 어머니 맥박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들려주면 매우 평온한 상태로 되어서 정서가 안정되고 쉽게 수면상태로 유도되는 사실 등에서 잘 알 수 있다.
또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나 법당의 목탁소리를 들으면 정신이 맑아지고 잡념이 없어지는 등의 정신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청각을 통한 두뇌의 자극으로서 소리의 주파수, 주기 그리고 이들의 복합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정신적 효과를 나타내며, 최근에는 음악을 이용한 정신치료 등과 같은 의료에 까지 청각효과가 응용되고 있다.
청각에 의한 자극 뿐만 아니라 시각에 의한 두뇌의 자극에 의해서도 정신적 효과가 나타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빛의 점멸주기나 밝기나 색깔에 따라, 또는 빛의 현란함의 정도에 따라 따스함, 평온함, 긴장감, 공포, 정신착란 또는 흥분상태로 정신상태가 유도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 다른 두뇌 자극으로서 후각적인 자극이 있다. 즉 냄새의 종류에 따라 정신상태가 긴장, 불쾌감, 평온함 그리고 상쾌함 등을 느끼게 된다. 최근에는 향기요법이라는 치료에도 향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세가지 자극, 즉 청각, 시각 그리고 후각 중에서 청각과 시각 자극만을 이용하여 숙면상태를 유도하거나 정신집중 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가 종래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 장치는 소리와 빛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회로부에 내장된 몸체와 이에 연결된 헤드폰과 발광소자가 설치된 안경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헤드폰을 귀에 끼고 안경을 쓴채로 사용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장치를 사용하여 업무를 보거나 학습을 하거나 또는 수면을 취하기엔 사용에 불편함이 많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같은 조명기능이 없기 때문에 야간엔 별도의 조명장치를 따로 구비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바와 같은 종래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서 향기자극도 실행할 수있는 본 발명은 소리, 빛, 또는 향기를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로 구성되어서, 조명장치의 사용전후, 또는 사용중에 소리, 빛 또는 향기 자극으로 수면을 유도하거나 정신집중을 유도하여서 숙면이 용이하게 하고 학습이나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인 것으로써 이를 그 구성과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명등(1)과 반사갓(5)과 지지대(21)와 몸통부(6)와 받침대(5)와 전원코드(13)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몸통부(6)내에는 조명회로부(4)와 정신제어 회로부(12)와 스피커(2)가 내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회로부(4)는 조명등(1)을 점등시키기 위한 안정기부(16)와 상기 조명등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15)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제어부(15)에는 조명을 온,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 단자(8)와 인체가 상기 조명스위치 단자(8)에 접촉될때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접촉음 발생부(20)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정신제어 회로부(12)에는 빛, 소리, 또는 향기 신호에 대한 프로그램별 신호 데이터가 내장된 메모리부(18)와 이에 연결된 각종 신호의 입,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제어부(19)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제어부(19)는 상기 스피커(2), 상기 이어폰잭 단자(3),발광램프(7), 표시부(11), 프로그램 선택 스위치단자(10), 정신제어 회로부 스위치단자(9)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신호제어부(19)는 상기 조명제어부(4)에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를 그쳐서 연결되고,또한 상기 신호 제어부(19)는 램프선택 스위치(s2)를 그쳐서 상기 조명제어부(4)에 연결되게 구성되고,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향기발생장치(14)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향기발생장치(14)는 향기 유출구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향료가 함침된 매트를 상기 신호제어부(19)로 제어되는 가열히터(도시하지 않았음)로 가열하게 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성이 백열전구를 사용한 조명장치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안정기부(16)는 필요없음은 상식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정신제어 회로부(12)가 포함된 정신제어에 관련된 부분을 별도의 케이스에 설치하고 이 케이스를 조명장치일측에 착탈이 가능하게하여 구성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발광램프(7)를 조명등(1)주변부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명등의 빛과 함께 발광램프(7)의 빛이 책상위에 비치게 되는 장점이 있게된다.
또한 상기 발광램프(7)가 다수개 설치되고 이들이 신호제어부(19)로 제어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점멸신호 뿐만 아니라 빛의 움직임을 신호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램프(7)를 색상변화가 가능한 발광램프(7)로 구성하여서 색상의 변화를 빛신호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도있다.
또한 상기의 향기발생장치(14)가 모타나 전자석(도시하지않았음)의 힘으로 향기유출구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신호제어부(19)로 상기 모타나 전자석(도시되지않음)을 제어함은 물론이다. 또한 각기 다른 다수개의 향기발생장치를 설치하게 구성시키고 이들을 용도에 맞게 제어하는 다수종류의 향기를 발산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소리, 빛, 향기 신호들중에서 하나만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두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세개 모두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조명을 담당하는 부위와 정신제어를 담당하는 부위를 각각 분리된 케이스(도시하지않았음)에 설치하고 상기 조명을 담당하는 부위는 천정에 설치하되 정신제어부분(소리,빛 또는 향기발생부분)은 손이 닿을수 있는 높이의 벽에 설치하고 이들을 필요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과 그 효과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실시예는 제1도처럼 발광램프(7)가 1개이고 소리신호와 빛신호 및 향기신호로 정신제어를 실시하게 구성한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전기스탠드를 중심으로 그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전원코드(13)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제2도의 회로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조명등(1)을 켜기위하여 조명스위치 단자(8)에 손을 접촉시키면 공지의 기술에서처럼 인체접촉에 따른 전류의 흐름이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명제어부(15)는 안정기부(16)를 작동시켜서 조명등(1)을 점등시키게되고 이때 접촉음발생부(20)에도 신호를 보내어서 삐-하는 접촉음이 발생된다.
여기까지의 구성과 작동상태는 공지의 조명장치의 점등 메카니즘과 같다.
여기서 만약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 및 램프선택 스위치(s2)가 오프(off)상태로 절환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장치는 조명만 점등시킨채로 작동이 완료된다.
이 상태로 사용도중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정신제어 기능을 작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의 정신제어 회로부 스위치 단자(9)에 손을 접촉시키면 상술한 바와같이 인체접촉을 감지하여서 신호제어부(19)가 작동되고 상기 신호제어부(19)는 사용자가 프로그램 선택 스위치(10)의 조작에의해 선택한 프로그램의 소리, 빛, 향기신호에 관련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8)에서 가져와서 소리신호는 스피커(2) 및 이어폰잭 단자(3)로 보내고 빛신호는 발광램프(7)로 보내고 향기신호는 향기발생장치(14)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소리, 빛, 향기신호가 본 발명 조명장치에서 발생되고 이를 듣고 보고 냄새를 맡은 사용자는 선택된 프로그램에 따른 두뇌자극을 받아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목적으로하는 정신상태로 유도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학습을 위하여 정신집중 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면 사용자는 서서히 정신집중 상태로 유도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학습이나 업무를 보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정신집중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학습이나 업무의 능률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게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빛과 함께 정신제어에 필요한 신호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물론 표시부(11)에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종류가 신호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발광램프(7)가 제1도의 몸통부(6)에 설치된 경우에는 빛신호가 무의식중에 행하는 곁눈길 상태로 인식되지만 필요시 똑 바로 쳐다 봄으로서 직접 인식하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발광램프(7)가 조명등(1) 주변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책상위로 빛신호가 직접 비춰져서 학습이나 업무중에 빛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조명등(1)의 빛과는 다른 색깔의 빛을 발하는 발광램프(7)를 사용하면 빛신호의 인식이 더욱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빛신호로 점멸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색상의 변화를 빛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발광램프(7)를 다수개 사용하여서 빛의 크고 작음이나 흔들림등을 빛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신호로 인공적으로 합성된 소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바람소리, 비소리,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등과 같은 자연음 그대로를 메모리부(18)에 저장시켜서 소리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고,언어 문장으로된 말소리를 소리신호로 사용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자연음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제로 그 자연음이 발생되는 실제의 상황속에 있을때 느끼는 감정상태로 유도될 수 있는 특징이 있게되며, 언어 문장으로 된 소리신호의 경우에는 그 언어가 뜻하는 의미를 되새길 때 느끼는 감정 상태로 유도되는 특징이 있게되며 반복되는 의미의 주입이 가능해져서일종의 자기암시로 결심을 굳히거나 의지를 강하게 하는것도 가능한 효과의 특징이 있게된다.
또한 향기신호로는 인공적인 향기는 물론 바다내음, 숲내음, 꽃 향기등과 같은 자연의 향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한방의학적으로 머리를 맑게하거나 정신집중에 효과가 있는 한약제의 향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한약제를 훈증하여서 향기를 공급하게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향기가 나는 실제의 상황속에 있을때 느끼는 감정 상태로 유도되며 특히 한약제를 사용한 향기의 경우에는 그 한약제가 적용되는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의 효과도 가능한 특징이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빛, 소리, 향기신호를 받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장치로부터 발산되는 조명빛에 의해 학습이나 업무를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본 발명의 장치에서 발산되는 빛, 소리, 향기 신호에의해서 머리가 맑아지거나, 정신집중이 되거나 상쾌하고 기분좋은 정신상태로 되거나 하는등의 효과를 얻게된다.
지금까지는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 및 램프선택 스위치(s2)가 오프(off)인 경우를 상술하였다.
만약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명스위치 단자(8)를 조작하여 조명등(1)을 점등시키면 조명제어부(15)에서 정신제어 회로부(12)로도 신호가 가서 정신제어회로부(12)가 조명등(1)의 점등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작동이 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등시키는 조작만하고 학습이나 업무를 행하고 있으면 자동적으로 개시된 정신제어 회로부(12)의 작동에 따라 각종의 빛, 소리 및 향기신호를 자연스럽게 받게된다. 이는 의도적으로 정신제어기능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게된다.
또한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가 온(on)되어 있으면 조명등(1)을 소등시킬때 자동적으로 수면 프로그램이 개시되는 편리함도 있게된다.
즉 조명제어스위치(8)를 또 한번 조작하면 조명제어부(15)는 조명등(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정신제어 회로부(12)로도 신호를 보내어서 즉시 수면 프로그램이 타이머부(17)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진 일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조명등(1)을 소등하는 것만으로 쉽게 잠들고 그리고 깊은 숙면을 취할수 있어서 이튼날 피로하지않고 맑은 정신을 유지할수 있어서 더욱 더 학습이나 업무의 능률이 향상되는것이다.
만약 조명제어부(15)가 조명등(1)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경우에는 램프선택스위치(s2)가 온(0n)되게 선택되면 신호제어부(19)의 신호가 발광램프(7)는 물론 조명제어부(15)로도 가게되어서 신호제어부(19)의 신호에 따라 조명등(1)의 조도가 제어되게 되어서 빛신호가 발광램프(7)뿐만 아니라 조명등(1)으로부터도 공급되게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타이머부(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등후 작동이 개시되는 수면 프로그램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상시간을 설정할시에는 기상시간이 되면 기상신호음과 함께 상쾌한 기분을 느끼며 기상할 수 있는 빛, 소리, 향기를 일정시간동안 발생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주변이 어두우면 기상시 조명등(1)의 점등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가 온(on)(자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를 위하여 취소버튼(도시하지 않았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1)와 램프선택스위치(s2)가 없게도 구성 될수 있는바 이때는 조명기능과 정신제어기능이 각 각 별개로 작동됨은 상식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인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인 것은 분명하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이 빛, 소리, 향기신호를 모두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과 그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조원가의 상승을 억제하고 그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빛, 소리, 향기신호중에서 어느 한가지만 발생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상식이다. 또한 빛과소리신호가 나게끔 구성하거나,
소리와 향기신호가 나게끔 구성하거나 또는 빛과향기 신호가 나게끔 구성할 수도 있음은 상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천정용 조명장치인 경우에는 손으로 조작해야 되는 부위(각종 스위치단자들)는 별도의 케이스에 설치하여서 손이 닿을수 있는 높이의 벽에 설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향기발생장치(14)나 스피커등(2)등은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부위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벽에 설치되는 별도 케이스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주변을 밝게 조명하면서 동시에 이의 사용자에게 빛신호, 소리신호, 향기신호를 최소한 한가지 이상을 공급하여서 본 발명의 조명등 아래에서 학습이나 업무를 할 경우에 정신이 맑아지고 집중될 수 있어서 능률이 향상되고, 또한 본 발명의 조명등을 사용하다가 취침을 위하여 소등하면 빠르고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게도되고, 또한 자기 암시의 소리를 반복적으로 듣게 됨으로 인하여 의지를 강화시킬수도 있고, 한약제의 향기로 건강의 증진도 얻을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는 정신제어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인 것이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 회로부의 구성도 일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조명등 2. 스피커
3. 이어폰잭 단자 4. 조명 회로부
5. 받침대 6. 몸통부
7. 발광램프 8. 조명 스위치 단자
9. 정신제어 회로부 스위치 단자 10. 프로그램 선택 스위치 단자
11. 표시부 12. 정신제어 회로부
13. 전원코드 14. 향기발생 장치
15. 조명 제어부 16. 안정기부
17. 타이머부 18. 메모리부
19. 신호 제어부 20. 접촉음 발생부
21. 지지대 S1. 자동 수동 선택 스위치
S2. 램프 선택 스위치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Claims (4)

1. 통상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수단과 정신제어수단이 함께 구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2. 통상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수단과 정신제어수단을 함께 구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게 구성하여서 상기 조명수단의 조작시 상기 정신제어 수단이 자동적으로 작동되게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신제어수단은 빛신호, 소리신호, 향기신호들을 최소 한가지 이상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신제어수단은 시간설정기능이 있는 타이머부를 내장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제어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19980010623A 1998-03-27 1998-03-27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KR19990076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623A KR19990076022A (ko) 1998-03-27 1998-03-27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623A KR19990076022A (ko) 1998-03-27 1998-03-27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022A true KR19990076022A (ko) 1999-10-15

Family

ID=6586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623A KR19990076022A (ko) 1998-03-27 1998-03-27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0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87A (ko) * 2000-03-30 2001-11-01 한민수 표시 및 자동 분출기능을 갖는 한방재를 담는 용기
KR20020027109A (ko) * 2000-10-06 2002-04-13 오세영 발향기능을 갖는 취침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87A (ko) * 2000-03-30 2001-11-01 한민수 표시 및 자동 분출기능을 갖는 한방재를 담는 용기
KR20020027109A (ko) * 2000-10-06 2002-04-13 오세영 발향기능을 갖는 취침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12B2 (en) Nightlight for phototherapy
EP2235431B1 (en) Lighting device
EP2117648B1 (en) Lighting system for energy stimulation
US7320532B2 (en) Nightlight for phototherapy
AU2005219978B2 (en)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US7476002B2 (en) Color changing light device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for mood enhancement
US7280439B1 (en) Sunlight simulating microprocessor alarm clock
ES2400816T3 (es) Estructura para dispositivos luminosos de colores cambiantes
JP6155189B2 (ja) 日周リズムによる動的照明システム
CN105612816B (zh) 具有昼夜节律和暗光动态的照明系统
JP2007294143A (ja)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備えたベッド
WO2007061031A1 (ja) 目覚まし装置
JP6111397B2 (ja) 調光装置
JPH08150210A (ja) 光治療用高照度光照射装置
JP7378016B2 (ja) 送風装置
KR19990076022A (ko) 정신제어기능을갖는조명장치
DE202009014766U1 (de) Die Duftlampe-Anlage
JP3692575B2 (ja) 環境制御装置
JP2010022672A (ja) 生体リズム補助照明装置
KR102161399B1 (ko)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CN112075128A (zh) 照明器具、照明系统以及控制方法
KR101610763B1 (ko) 자연 수면 클리닉 프로그램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229131A (ja) 安眠誘導装置
JP2007198972A (ja) 目覚まし装置
JPH09201155A (ja) 蒸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