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649A -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649A
KR19990073649A KR1019980006719A KR19980006719A KR19990073649A KR 19990073649 A KR19990073649 A KR 19990073649A KR 1019980006719 A KR1019980006719 A KR 1019980006719A KR 19980006719 A KR19980006719 A KR 19980006719A KR 19990073649 A KR19990073649 A KR 1999007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hannel
broadcasting
broadcast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867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8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0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satellites or concentrators which connect one or more exchange lines with a group of local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장치를 통한 방송회선 데이터 전송시 하나의 포트에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송장치의 방송회선 데이터 전송방식은 POINT TO POINT(1:1) 방식을 사용하므로써 동일라인을 통한 동일 방송회선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발신용 포트가 가입자 수만큼 필요하여 트렁크 라인의 수가 증가되므로써 채널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발신용 포트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렁크와 다수의 가입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렁크의 특정 채널에 다수의 가입자를 동시에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1:다수 가입자 다중방송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방송 서비스에 따른 각종 채널 연결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두는 과정과,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시스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후 방송회선 포트가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방송회선 활성화 및 비활성화 판단과정과, 상기 방송회선이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방송회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채널연결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스위칭하여 다수의 가입자에게 다중방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본 발명은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장치를 통한 방송회선 데이터 전송시 하나의 포트에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송장치의 데이터 전송방식은 대국 트렁크 라인과 자국 트렁크 라인의 채널 연결을 1:1 연결시키는 POINT TO POINT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전용선(T1/E1)을 이용하는 공중망에서는 자국과 대국의 개념으로 자국 트렁크 라인에 해당 채널(예를 들어 24개/30개)을 연결하고 바로 인접한 대국 트렁크 라인에 동일 수의 채널을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방송가입자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회선을 통해 동시에 여러지역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면 동일라인을 통한 동일 방송회선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발신용 포트가 가입자 수만큼 증설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점유해야 할 트렁크 라인 수도 증가시켜야 했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 전송장치의 방송회선 데이터 전송방식은 POINT TO POINT(1:1) 방식을 사용하므로써 동일라인을 통한 동일 방송회선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발신용 포트가 가입자 수만큼 필요하여 트렁크 라인의 수가 증가되므로써 채널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발신용 포트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렁크와 다수의 가입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렁크의 특정 채널에 다수의 가입자를 동시에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1:다수 가입자 다중방송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방송 서비스에 따른 각종 채널 연결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두는 과정과,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시스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후 방송회선 포트가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방송회선 활성화 및 비활성화 판단과정과, 상기 방송회선이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방송회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채널연결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스위칭하여 다수의 가입자에게 다중방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다수 가입자 다중방송 기능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흐름의 블록다이아그램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치에서 다중화 방송을 위한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회선을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기능 수행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다수 가입자 다중방송 기능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1:다수 가입자의 다중방송을 위해 하나의 트렁크 라인 10과 다수의 가입자 20 사이에 스위칭부 12를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부 12에서 단방향/양방향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 종류는 발신전용 스위칭과 수신전용 스위칭이 있으며, 상기 단방향 또는 양방향의 스위칭 제어는 오퍼레이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흐름의 블록다이아그램도로서,
Operator Interface Part(이하, OIP라 칭함) 110은 오퍼레이터로부터 설정되는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서 SYSTEM MANAGEMENT PART(이하, SMP라 칭함) 120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SMP 120은 상기 OIP 110을 통해 입력받은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호 구축/해제부(CALL CONSTRUCTION/REMOVAL PART) 200은 방송회선 포트가 활성인가 비활성인가를 판단하는 활성/비활성 판단부 210과,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 220, 방송회선을 위한 연결조건, 연결특성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다중버퍼(Multiplexing Buffer) 23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치에서 다중화 방송을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각 단계별 동작을 설명하면;
301단계: 도시하지 않은 오퍼레이터(Operator) 동작지시부인 키패드를 통해 상기 오퍼레이터가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설정하면 이를 OIP 110을 통해 입력받는다.
302단계: 상기 OIP 110을 통해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가 SMP 120에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303단계: 상기와 같이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으면 호 구축/해제부 200에서 방송회선 포트를 활성화시키는 조건이 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활성화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면 305단계로 진행하고, 비활성화 조건이면 304단계로 진행한다.
304단계: 방송회선이 활성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활성화 조건인 경우로 이때는 방송회선 포트의 비활성화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처리한다. 상기 에러 메시지 처리란 오퍼레이터에게 메시지를 통해 방송회선 포트가 비활성 조건임을 알리는 기능수행을 말한다.
305단계: 방송회선이 활성화 조건을 만족한 경우로 이때는 방송회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연결시키기에 앞서 하기의 연결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한다. 다음이 채널 연결조건이다.
1. 연결하고자 하는 채널에 이미 다른 방송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는가?
2. 다른 방송서비스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현재 방송회선이 필요로 하는 휴지 채널(FREE CHANNEL)의 수가 충분한가?
3. 이미 다른 방송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면 사용중인 방송서비스가 현재하려고 하는 방송서비스와 동일 종류인가?
4. 상기 3에서 방송서비스가 동일 종류라면 지금 연결하고자 하는 방송회선과 특성이 같은가?
5. 상기 4를 만족하는 동일 특성일 경우 다중화가 다중버퍼 크기 내에 지정되었는가?
상기의 모든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면 307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못하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306단계: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채널 연결조건이 맞기 않으니 연결조건을 재검토할 수 있도록 에러메시지 처리를 한다.
307단계: 모든 채널 연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로써 이때는 스위칭부 220에서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스위칭한 후 다수의 가입자로 다중방송을 실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회선을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기능 수행도로서, 송신 포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연결시킬 것인가를 상기 채널 연결조건에 의해 확인하고, 모든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호를 구축 및 해제하도록 한다.
410단계는 방송회선 오퍼레이터가 지정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 이미 다른 방송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상기 체크결과 이후의 동작은 a(412~415단계) 흐름과정과 b(422~426단계) 흐름과정으로 구분되어 동작된다.
먼저 a(412~415단계) 흐름과정을 보면, 412단계는 해당 채널에 다른 방송서비스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413단계는 방송회선이 발신전용이면 Tx 스위칭으로, 상기 방송회선이 수신전용이면 Rx 스위칭으로 선택 지정한 후 지정된 트렁크 라인의 채널을 점유한다. 414단계는 발신전용 및 수신전용에 따른 방송회선의 서브-채널 값을 버퍼링한다. 이때 버퍼의 크기는 임의로 조정가능하며, 방송회선의 각종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이후 415단계는 오퍼레이터가 다중방송할 가입자를 선택하면서 방송회선 다중화 버퍼링한다.
상기 b(422~426단계) 흐름과정을 보면, 422단계는 해당 채널에 다른 방송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423단계는 다른 방송회선이 해당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가입자가 방송하려고 하는 해당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이다. 424단계는 상기 422, 423 단계의 조건에서 동일 트렁크 라인의 채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미 지정된 방송회선(상기 예를 든 A라는 가입자)의 특성이 지금 연결하고자 하는 방송회선의 특성과 동일한가를 확인한다. 상기 방송회선 특성의 동일성이란 상기 A라는 가입자가 10K의 속도를 가지고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 동일 채널에 다른 가입자(방송회선), 예를 들어 B, C라는 가입자를 연결하여 다중방송을 실시하려고 할 때에는 상기 B, C 가입자는 A라는 가입자와 동일한 속도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미 지정된 방송회선과 연결하고자 하는 방송회선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425단계는 다중연결이 다중버퍼의 사용 가능 크기내에 지정가능한가를 판단한다. 426단계는 상기 422~425단계까지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로써 다중연결이 다중버퍼의 사용 가능 크기내에 지정가능하면 방송회선이 발신전용이면 Tx 스위칭으로, 상기 방송회선이 수신전용이면 Rx 스위칭으로 선택 지정한 후 방송회선의 서브-채널 값을 버퍼링한다. 이때 버퍼의 크기는 임의로 조정가능하며, 오퍼레이터가 다중방송할 가입자를 선택하면서 방송회선 다중화 버퍼링한다.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송신포트에서 오는 데이터를 수신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서 서비스를 받고자 원하는 다수의 가입자와 연결시켜 주도록 스위칭부를 트렁크와 가입자에 연결하여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 다수의 가입자를 스위칭시키고, 또한 효율적인 채널관리를 위하여 다중방송 서비스에 따른 각종 상황을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화하여 각 상황에 따른 조건을 검색한 후 조건 만족시에만 해당 다중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송장치에 있어 1개의 발신장치로 동일 PATH로 연결되어 접속가능한 서비스 가입자 수를 증가시켜 주므로써 발신장비 운영 및 유지비의 비용삭감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으로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에 여러 가입자를 연결시켜 주므로써 다른 서비스를 해줄 수 있는 프리-채널의 이용이 가능하여 채널뱅크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으로는 전송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라인단가를 낮추어 준다.

Claims (5)

  1. 트렁크와 다수의 가입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렁크의 특정 채널에 다수의 가입자를 동시에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1:다수 가입자 다중방송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방송 서비스에 따른 각종 채널 연결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두는 과정과,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송회선의 각종 정보를 입력받아 시스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후 방송회선 포트가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방송회선 활성화 및 비활성화 판단과정과,
    상기 방송회선이 활성화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방송회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채널 연결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채널연결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트렁크 라인의 특정 채널로 방송회선을 스위칭하여 다수의 가입자에게 다중방송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조건 및 채널연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에러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연결조건 만족 검사과정은,
    상기 연결시키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라인 채널에 다른 방송서비스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수행과정과, 상기 트렁크 라인의 특정라인 채널에 이미 다른 방송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의 수행과정으로 세분하여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키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라인 채널에 다른 방송서비스가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수행과정은;
    상기 방송회선을 발신전용 및 수신전용으로 선택 지정후 지정된 트렁크 라인의 채널을 점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전용 및 수신전용에 따른 방송회선의 서브-채널 값과 각종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다중방송할 가입자를 선택하여 방송회선 다중화 버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키고자 하는 트렁크 라인의 특정라인 채널에 이미 다른 방송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의 수행과정은;
    다른 방송회선이 해당 채널을 점유하고 있을 때 동일 트렁크 라인의 채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방송회선과 지금 연결하고자 하는 방송회선의 특성이 동일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동일 특성이면 다중연결이 다중버퍼의 사용가능크기 내에 지정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연결이 다중버퍼의 사용가능크기 내에 지정가능하면 방송회선을 발신전용 및 수신전용으로 선택 지정후 지정된 트렁크 라인의 채널을 점유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전용 및 수신전용에 따른 방송회선의 서브-채널 값과 각종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다중방송할 가입자를 선택하여 방송회선 다중화 버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06719A 1998-03-02 1998-03-02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KR10026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719A KR100264867B1 (ko) 1998-03-02 1998-03-02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719A KR100264867B1 (ko) 1998-03-02 1998-03-02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49A true KR19990073649A (ko) 1999-10-05
KR100264867B1 KR100264867B1 (ko) 2000-09-01

Family

ID=1953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719A KR100264867B1 (ko) 1998-03-02 1998-03-02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41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원격 음성 서비스 서버와 교환 시스템간의 트래픽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41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원격 음성 서비스 서버와 교환 시스템간의 트래픽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867B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078B1 (en) ATM switching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150150C (en) Seamless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ing an enhanced multipoint control unit
CN106937265B (zh) 一种舰船通信的方法和装置
KR100264867B1 (ko)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US5987009A (en) Multipoint/multichannel connection device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7079513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363967B1 (ko) 사설 교환기의 발신자 정보 서비스 장치와 방법
KR930010949B1 (ko) 전전자 교환 시스팀의 가로채기 제어방법
JPS6229230A (ja) 無線システム
JP2000022713A (ja) 通信帯域制御方式
KR100197404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번호 전송 방법
KR94000811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방송 접속 방법
JPS6093868A (ja) デ−タテレホン端末試験装置
KR100224110B1 (ko) 다중화시스템에 있어서 방송회선 데이터의 멀티드롭/인서트방법
KR100464371B1 (ko) 텔레비젼수신기능을갖는디지털키폰시스템및그운용방법
KR100311957B1 (ko) 교환기의 부가 기능용 직렬 포트 장치
JPS59165555A (ja) 回線モニタ方式
JPH0470151A (ja) データ伝送装置
JPS62230251A (ja) 共通線信号処理方式
JPH11225222A (ja) Catv電話システム
JPH04364698A (ja) テレビ電話端末交換方式
JPH06209324A (ja) 同報分配用バス型交換機
JP2002208955A (ja) 音声帯域伝送装置、音声帯域伝送方法及び音声帯域伝送システム
JPH06188996A (ja) 信号同報方式
JP2000209332A (ja) 遠隔加入者線装置プロビジ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