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500A -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500A
KR19990073500A KR1019990029107A KR19990029107A KR19990073500A KR 19990073500 A KR19990073500 A KR 19990073500A KR 1019990029107 A KR1019990029107 A KR 1019990029107A KR 19990029107 A KR19990029107 A KR 19990029107A KR 19990073500 A KR19990073500 A KR 1999007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mobile phone
support
charg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103B1 (ko
Inventor
오우식
주진용
Original Assignee
주진용
아이디어플라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용, 아이디어플라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진용
Priority to KR101999002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1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핸드폰에 결합되어서 통화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만능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한 쌍의 서로 떨어진 충전단자가 설치되어서 휴대폰과 분리되는 배터리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접점과 밀착되어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에 구비된 각각의 충전접점과 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하여서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가진 충전단자부와, 상기 충전단자부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내측지지대와, 배터리가 결합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두께에 맞추어서 좌우 회동하면서 휴대폰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내측지지대가 중앙부에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The charger for batteries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핸드폰에 결합되어서 통화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만능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또는 휴대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사용자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핸드폰은 소형, 경량화의 주요 대상으로서 매우 빠른 주기로 새로운 장치로 개량되고 있다. 핸드폰은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주로 다수회 충전하여 사용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드폰 및 배터리는 각 제조회사마다 핸드폰의 크기, 및 중량과 배터리의 크기 및 중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전용의 충전장치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것은 충전용 배터리가 방전되어서 재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전용 충전장치가 없으면 충전이 불가능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더욱이 핸드폰을 다른 회사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충전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기처분 하여야 하는 등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장치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만능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한 쌍의 서로 떨어진 충전단자가 설치되어서 휴대폰과 분리되는 배터리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접점과 밀착되어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에 구비된 각각의 충전접점과 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하여서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가진 충전단자부와, 상기 충전단자부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내측지지대와, 배터리가 결합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두께에 맞추어서 좌우 회동하면서 휴대폰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내측지지대가 중앙부에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단자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배터리 삽입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핸드폰 삽입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다양한 배터리 삽입시의 사용상태평면도,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접속단자의 스토퍼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충전장치 12: 케이스
14: 수납공간 16: 충전단자부
16a: 충전단자 16b: 가이드홈
16c: 스토퍼 18: 지지대
18a: 로드 18b: 힌지축
18c: 스프링 20: 내측지지대
20a: 로드 20b: 힌지축
20c: 커버 20d: 고정홈
24: 배터리 26: 핸드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핸드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핸드폰의 휴대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장치로서, 다양한 크기, 및 중량을 가진 배터리들을 하나의 충전장치에서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들에게는 비용상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또한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에 구비된 각각의 충전접점과 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하여서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가진 충전단자부와, 상기 충전단자부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내측지지대와, 배터리가 결합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두께에 맞추어서 좌우 회동하면서 휴대폰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내측지지대가 중앙부에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서,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에 맞추어서 전원공급단자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핸드폰에 배터리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충전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는 종래 충전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배터리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충전접점(통상적으로 한 쌍의 구리판으로 구성된 접점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서 위치함)과 접촉되어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의 충전단자가, 배터리의 후면에 설치된 충전접점의 넓이에 따라서 간격을 맞출 수 있도록 수평 이동된다.
충전단자의 수평이동을 위하여 충전장치 수납부의 케이스 표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또한 충전단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가 설치된다. 충전용 배터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은 종래 사용되는 충전장치의 수납공간과 같이 약간 기울어진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수납공간의 형태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배터리가 부착된 상태에서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로 핸드폰을 충전시키거나 배터리만을 단독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부재가 사용된다. 즉, 배터리만을 충전시키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삽설되는 수납공간의 대향위치에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내측지지대가 설치된다. 상기 내측지지대는 충전을 하는 동안에 배터리를 향하여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서 수납공간에 설치된 배터리를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수납공간에 배터리가 부착된 상태로 핸드폰을 충전시키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위치는 단독으로 충전되는 경우와 동일하며, 핸드폰의 본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대가 작용한다. 상기 지지대도 역시 핸드폰에 적당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핸드폰이 충전중에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각각,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단자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배터리 삽입시의 사용상태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핸드폰 삽입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다양한 배터리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접속단자의 스토퍼를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종래 사용되는 충전장치와 유사하지만, 수납공간(14)의 하부에 설치된 충전단자(16a)의 구조가 다르며, 또한 배터리(24) 또는 핸드폰(26)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에서 상이하다. 충전단자부(16)의 대향위치에는 배터리(24) 또는 핸드폰(26)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지지대(20)와 지지대(18)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내측지지대(20)는 지지대(18)의 중앙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있다.
충전단자부(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6b)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를 따라서 한 쌍의 충전단자(16a)가 수평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장치(10)를 사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24)의 충전접점(미도시됨)의 간격에 맞추어서 충전단자(16a)들의 거리를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충전단자(16a)들이 사용중에 가이드홈(16b)을 따라서 수평이동하여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충전단자(16a)들의 상부측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스토퍼(16c)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며, 이것도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6c)는 활주 가능한 충전단자(16a)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서, 충전단자(16a)의 조정시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스토퍼(16c) 자체는 핀을 이용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내측지지대(20)는 지지대(18)의 중앙부에 힌지축(20b)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20a)와, 로드(20a)의 타측 단부에 역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20c)로 구성된다. 커버(20c)는 단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배터리(24)의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배터리(2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측지지대(20)는 로드(20a)가 힌지축(20b)을 중심으로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지지대(18)의 중심부에는 로드(20a)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인 고정홈(20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20d)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힌지축(20b)은 고정홈(20d)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내측지지대(20)가 고정되는 지지대(18)는, 하부 중앙에는 연장된 로드(1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18a)의 단부는 케이스(12)의 내부에 위치하며 로드(18a)의 단부에는 스프링(18c)이 결합되어서 지지대(18)가 충전단자부(16)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핸드폰(26) 또는 배터리(24)를 수납공간(14)에 위치시킨 후에 이것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반원형의 내측이 핸드폰을 향하도록 되어 있어서 핸드폰의 크기에 따라서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핸드폰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대(18) 및/또는 내측지지대(20)는 동일한 작용을 하면서도, 위에서 설명된 것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8) 및 내측지지대(20)를 도면에서와 같이 분리된 상태가 아니라 일체화시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대(18)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재를 사각형으로 구성하고, 사각형의 내부에 삽입되는 더 작은 사각형 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작은 사각형 부재는 배터리 및/또는 핸드폰을 동시에 지탱할 수 있다.
도 3은 배터리(24)가 충전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내측지지대(2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가 우측으로 최대로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대(18)에 부착된 내측지지대(20)가 수평으로 연장되어서 배터리(24)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있다.
내측지지대(20)의 커버(20c)는 배터리(24)의 전면(충전접점이 부착된 면의 대향위치)에 밀착되어서 배터리(2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배터리(24)의 크기에 따라서 내측지지대(20)의 로드(20a) 및 커버(20c)의 위치가 회동하면서 배터리(24)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힌지축(20b)에 인접하여 별도의 스프링(미도시됨)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본질적으로 지지대(18)의 스프링(18c)과 유사하게 설치되고 작용한다.
도 4는 배터리(24)가 착설된 상태의 핸드폰(26)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지지대(20)가 수직의 상태로 이동한 후에 지지대(18)의 내측면이 직접 핸드폰(26)의 전면과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18)의 위치는 핸드폰(26)의 크기에 따라서 적당하게 변화하면서 핸드폰(26)에 힘을 가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지지대(18)의 내측이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핸드폰(26)에 대하여 적당한 접촉점을 유지하면서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의 크기에 따른 충전단자부(16)의 이동상태를, 도 5를 참고하면, 용량이 큰 배터리에 대하여서는 충전단자(16a)를 배터리(24)의 충전접점에 맞추어서 이동시키고, 용량이 작은 배터리에 대하여서는 충전단자(16a)를 충전접점의 위치에 맞도록 거리를 좁혀서 이동시킨다.
용량이 큰 배터리와 작은 배터리가 각각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세히 표시되지 않았지만 충전단자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충전단자(16a)들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충전단자(16a)의 옆에 설치된 스토퍼(16c)를 사용하여 단자들의 이동을 방지한다. 스토퍼(16c)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충전단자(16a)의 측면에 설치된 스크류(s)를 돌려서 충전단자(16a)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홈(미도시됨)에 나사결합하여 충전단자(16a)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충전단자(16a)를 통하여 공급되는 충전전압 및 회로들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것은 종래 사용되는 충전장치의 전압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요하면 본 발명의 충전장치에 전압변경을 할 수 있는 회로들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 및 중량을 가진 배터리들을 하나의 충전장치에서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들에게는 비용상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또한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한 쌍의 서로 떨어진 충전단자가 설치되어서 휴대폰과 분리되는 배터리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접점과 밀착되어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에 구비된 각각의 충전접점과 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하여서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가진 충전단자부와,
    상기 충전단자부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이동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내측지지대와,
    배터리가 결합된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두께에 맞추어서 좌우 회동하면서 휴대폰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내측지지대가 중앙부에 수직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부는, 가이드홈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 내부를 따라서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충전단자가 활주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충전하고자하는 배터리의 충전접점의 간격에 맞추어서 충전단자들의 거리를 설정하며, 충전단자들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충전단자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대와 지지대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지지대는 지지대의 중앙부에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와, 로드의 타측단부에 역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로 구성되며,
    지지대는 하부 중앙에는 연장된 로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의 단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프링이 결합되어서 지지대가 충전단자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KR1019990029107A 1999-07-19 1999-07-19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KR10032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07A KR100323103B1 (ko) 1999-07-19 1999-07-19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07A KR100323103B1 (ko) 1999-07-19 1999-07-19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500A true KR19990073500A (ko) 1999-10-05
KR100323103B1 KR100323103B1 (ko) 2002-02-27

Family

ID=3746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07A KR100323103B1 (ko) 1999-07-19 1999-07-19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649B1 (ko) * 2000-06-26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30060265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에스제이이테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KR100497929B1 (ko) * 2002-05-13 2005-06-29 (주)거림화학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11B1 (ko) 2006-03-29 2008-06-12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용 그리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7318A (en) * 1991-09-18 1992-10-20 Jen Jong Ch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JPH0668295U (ja) * 1993-02-22 1994-09-22 怡利電子工業股▲ひん▼有限公司 充電式電池の充電器
US5365159A (en) * 1993-10-05 1994-11-15 E Lead Electronic Co., Ltd. Battery-charger with adjustable contacts
US5828966A (en) * 1996-05-23 1998-10-27 Davis; Russell Universal charging cradle for cordless telepho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649B1 (ko) * 2000-06-26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30060265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에스제이이테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KR100497929B1 (ko) * 2002-05-13 2005-06-29 (주)거림화학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103B1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1894A1 (en) Mobile phone battery
US6348776B2 (en) Flexible battery charger adaptable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KR101764499B1 (ko) 배터리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0067826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KR100323103B1 (ko)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CN210007730U (zh) 移动终端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KR20020006162A (ko) 핸드폰의 핸즈프리 키트 고정장치
CN211089198U (zh) 一种电子设备充电装置
JP4165006B2 (ja) 充電器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30019096A (ko) 배터리 교환 기기, 배터리 교환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0206528Y1 (ko) 다기능 핸드폰 충전기
KR20020010027A (ko)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0355823B1 (ko)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JP2000315529A (ja) 充電器
CN220934868U (zh) 移动电源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216215937U (zh) 充电宝
CN211209331U (zh) 一种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无线充电装置
KR20023760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전자기기의전원공급장치
KR100432050B1 (ko)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217356Y1 (ko) 각도조정이가능한휴대폰의충전기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KR200359653Y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