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929B1 -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929B1
KR100497929B1 KR10-2002-0026173A KR20020026173A KR100497929B1 KR 100497929 B1 KR100497929 B1 KR 100497929B1 KR 20020026173 A KR20020026173 A KR 20020026173A KR 100497929 B1 KR100497929 B1 KR 10049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mobile phone
probes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228A (ko
Inventor
김숙구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거림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림화학 filed Critical (주)거림화학
Priority to KR10-2002-002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9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B)의 음,양극충전단자(B1)(B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B)가 수용되는 사각수용홈(12)을 전면에 함몰형성한 충전본체(10);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배터리(B)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충전본체(10)에 장착되는 고정커버(20); 상기 음,양극충전단자(B1)(B2)와 각각 선단부가 대응접촉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2프로브(31a)(31b)를 선단에 갖추며,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절곡변형되는 중공형 가요부재(32a)(32b)로 이루어진 제 1,2충전더듬이(30a)(30b) 및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음,양극 충전단자(B1)(B2)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제 1,2프로브(31a)(31b)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단자의 형상위치 및 간격 그리고 배터리의 모양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단자의 형상위치 및 간격그리고 배터리의 모양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할수 있도록 크게 개선한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이동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함)는 단말기, 기지국, 이동전화 교환국 및 공중전화망의 링크를 통하여 음성, 화상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휴대폰(H)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수용된 다양한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일정량 충전되고, 사용된 전원을 보충하도록 구조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B)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B)에는 충전기(90)의 전원공급단자(91)(92)를 통한 외부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촉시 충전이 이루어지는 음극, 양극 충전단자(B1)(B2)가 배면 하부 또는 경사면 또는 저면에 좌우한쌍으로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B)는 상기 휴대폰(H) 구입시 제공되는 별도의 배터리 충전기(90)를 이용하여 매일 또는 수일에 한번씩 충전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은 제조업자마다 배터리의 형태가 다양하며, 그 배면 하부, 경사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양극, 음극충전단자(B1)(B2)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계되기 때문에 충전기간에 상호 호환성을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국내외 다수의 휴대폰 제조업자 사이에서 휴대폰의 기능 향상과 경박단소화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휴대폰의 유행주기가 해마다 급속도로 단축되고 있어 동일한 제조업자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더라도 기종이 변경되면 새로운 충전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휴대폰의 교체와 함께 기존에 사용하던 충전기는 무용지물로 되는 것이 통례이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결국 휴대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이에 갖추어지는 충전단자의 형성위치 및 간격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할수 있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음,양극충전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사각수용홈을 전면에 함몰형성한 충전본체;
상기 사각수용홈에 배치된 배터리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충전본체에 장착되는 고정커버;
상기 음,양극충전단자와 각각 선단부가 대응접촉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2프로브를 선단에 갖추며,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절곡변형되는 중공형 가요부재로 이루어진 제 1,2충전더듬이 및
상기 제 1,2프로브와 음,양극 충전단자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제 1,2프로브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또다른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음,양극충전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충전본체의 전면에 함몰형성된 사각수용홈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사각수용홈에 수용된 배터리를 선회가능한 고정커버로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음,양극충전단자와 외부전원에 연결된 제 1,2프로브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중공형 가요부재로 이루어진 제 1,2충전더듬이를 자유롭게 절곡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2프로브와 접촉하는 음,양극 충전단자를 통하여 외부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천장치에 채용되는 고정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충전더듬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가요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프로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작동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양한 크기, 모양을 갖는 배터리(B)의 방전시 상기 배터리(B)를 갖는 휴대폰(H)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배터리(B)만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충전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는 충전본체(10), 고정커버(20), 제 1,2충전더듬이(30a)(30b) 및 제어기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충전본체(10)는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나 이를 갖는 휴대폰을 배치할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갖는 사각수용홈(12)을 전면에 함물형성하며, 상기 사각 수용홈(12)에 수용되는 휴대폰(H)이나 배터리(B)는 상기 배터리(B)의 배면, 저면 또는 경사면에 형성된 음극,양극 충전단자(B1)(B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은 배면하부, 저면 이나 경사면에 형성되는 양극, 음극충전단자(B1)(B2)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사각수용홈(12)에 수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수용홈(12)의 바닥면에는 이에 수용되는 휴대폰(H)이나 배터리(B)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우레탄폼과 같은 미끄럼방지부재(14)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각수용홈(12)의 상부는 상기 휴대폰(H)이나 배터리(B)의 형성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휴대폰(H)이나 배터리(B)를 내부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수용홈(12)은 이에 수용되는 휴대폰(H)이나 배터리(B)의 배치 및 관찰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에 함물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20)는 상기 사각수용홈(12)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배터리(B)나 휴대폰(H)을 확고히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 상기 사각수용홈(12)근방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고정커버(20)는 선단이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고정판(21)과,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서 고정판(21)의 선회작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판(21)의 하부단에 형성된 힌지축(22) 및 상기 사각수용홈(12)측으로 상기 고정판(21)을 항상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힌지축(22)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1)의 선단부에는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휴대폰이나 배터리와의 접촉시 충격 및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충격방지부재(24)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21)의 폭은 상기 사각수용홈(12)에 수용되는 배터리(B)나 휴대폰(H)의 고정력을 항상 일정하게 얻을수 있도록 상기 사각수용홈(12)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과 대응하는 충전본체(10)의 전면에는 닫힘작동된 고정커버(20)의 후면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20)의 닫힘 및 열림상태를 검지하여 외부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스위치(27)를 갖추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각고정홈(12)에 수용된 배터리나 이를 갖는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충전본체(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커버(20)를 이용하거나 상기 사각고정홈(12)의 내측면에 측방으로 항상 탄력지지되는 고정턱을 이용할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계 및 변경될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본체(10)의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을 충전시키는 제 1,2충전더듬이(30a)(30b)는 상기 배터리(B)의 음,양극충전단자(B1)(B2)와 각각 선단부가 대응접촉하고, 전원케이블(33a)(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2프로브(31a)(31b)와, 상기 전원케이블(33a)(33b)이 내장되고,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가변되는 좌우한쌍의 중공형 가요부재(32a)(32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충전더듬이(30a)(30b)의 제 1,2프로브(31a)(31b)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5a)(35b)를 갖는 프로브홀더(34a)(34b)의 각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상단에 형성하고, 상기 프로브홀더(34a)(34b)의 후단에도 상기 중공형 가요부재(32a)(32b)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가요부재(32a)(32b)의 후단은 양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한 본체고정용 홀더(36a)(36b)를 매개로 하여 상기 충전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가요부재(32a)(32b)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후 변형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주방용 호스로 주로 사용되는 일명 코브라와 같은 호스부재나 절삭유공급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다관절 도관(32c)이나 알루미늄 압축형 주름도관(32d)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2프로브(31a)(31b)는 배터리의 배면 하부, 경사면 또는 저면에 적어도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충전단자(B1)(B2)와의 접촉율을 높일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홀더(34a)(34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충전본체(10)내에 수용되는 제어기는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배터리(B)의 음극, 양극 충전단자(B1)(B2)와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의 접촉유무에 따라 회로를 구성하거나 단락시켜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45)의 에러램프(45d)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5)의 에러램프(45d)의 점등유무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B1)(B2)와 제 1,2프로브(31a)(31b)간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간접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양극, 음극충전단자(B1)(B2)가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여 충전이 곤란할 때 전류가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 도통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의 극성을 서로 변경시키는 스위칭회로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충전단자(B1)에 양극전원을 띠는 프로브(31a)가 접촉하고, 상기 양극충전단자(B2)에 음극전원을 띠는 프로브(31b)가 접촉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배터리(B)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5)에는 충전시 충전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45a), 충전중, 충전완료시 점등되는 충전, 완료램프(45b)(45c) 및 전원 온/오프스위치(46)를 갖추며, 상기 충전본체(10)에는 외부전원과 전원플러그(47)로서 연결되는 메인케이블(47a)이 갖추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시간의 사용으로 휴대폰(H)에 갖추어진 배터리(B)의 충전량이 모두 소모되어 이를 본 발명의 충전장치(1)로서 재충전하고자 경우, 먼저, 전면에 사각수용홈(12)이 함물형성된 충전본체(10)로부터 인출된 전원플러그(47)를 외부전원과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B)가 후면에 장착된 휴대폰(H)이나 상기 휴대폰(H)으로부터 분리된 배터리(B)를 취부하여 이를 상기 충전본체(10)의 사각수용홈(12)내에 배치하여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충전본체(10)에 조립된 고정커버(20)는 상기 사각수용홈(12)내에 배치되는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과의 간섭이 없도록 상부로 충분히 젖혀진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B)만을 사각수용홈(12)내에 수용하여 충전할 경우, 상기 배터리(B)를 장착한 휴대폰(H)을 수용하여 충전할 때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배터리(B)와 사각수용홈(12)사이에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의 높이조절부재를 삽입하여 높이를 규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수용홈(12)내에 수용되는 배터리(B)는 그 배면 하부, 경사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음극, 양극충전단자(B1)(B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면서 충전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2충전더듬이(30a)(30b)가 설치되는 사각수용홈(12)의 상부근방에 위치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연속하여, 상기와 같이 사각수용홈(12)내에 배터리(B) 또는 이를 갖는 휴대폰(H)이 수용됨과 동시에 상부로 젖혀져 있던 고정커버(20)의 고정판(21)를 놓으면, 상기 고정판(21)의 힌지축(22)에 갖추어진 스프링부재(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21)의 선단이 하부로 선회되어 상기 사각수용홈(12)내에 배치된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의 몸체에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21)의 절곡된 선단부에는 충격방지부재(2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의 표면손상 및 충격없이 이들을 안전하게 고정할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사각수용홈(12)내에 수용된 배터리(B)나 휴대폰(H)을 충전중 좌우유동이 없도록 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닫힘작동되는 고정커버(20)의 고정판(21)후면과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된 마이크로스위치(27)가 서로 접촉할 때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2충전더듬이(30a)(30b)의 제 1,2프로브(31a)(31b)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7)와 고정판(21)이 서로 접촉하지 않아 검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을때에는 외부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충전본체(10)의 사각수용홈(12)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의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상부에 설치된 제 1,2충전더듬이(30a)(30b)의 손잡이(35a)(35b)를 손으로 각각 잡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5a)(35b)를 갖는 프로브홀더(34a)(34b)의 제 1,2프로브(31a)(31b)와 상기 배터리(B)의 음극충전단자(B1)와 양극충전단자(B2)가 각각 접촉되도록 외력을 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로브홀더(34a)(34b)를 갖는 가요부재(32a)(32b)는 외력에 의해서 자유롭게 절곡변형되고, 변형후 변형상태를 장시간 유지할수 있도록 중공형 호스부재로 구성되거나 다관절 도관(32c)으로 구성되거나 알루미늄 압축형 주름도관(32d)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굴곡변형되고, 그 변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홀더(34a)(34b)의 각 단부에 장착되는 제 1,2프로브(31a)(31b)는 선단이 뾰족하고, 상기 프로브홀더(34a)(34b)내에 내장된 스프링부재에의하여 하방으로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탄력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음극, 양극충전단자(B1)(B2)에 뾰족한 선단을 전기적인 도통이 가능하도록 접촉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음극, 양극 충전단자(B1)(B2)의 접촉유무는 상기 충전본체(10)에 내장된 제어기에 의해서 감지되고, 미접촉시 에러를 표시하는 에러램프(45d)를 점멸시켜 사용자가 에러발생여부를 용이하게 알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음극전원이 공급되는 제 1프로브(31a)와 음극충전단자(B1)가 서로 접하거나 극전원이 공급되는 제 2프로브(31b)와 양극충전단자(B2)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하여 외부전원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에 갖추어진 스위칭회로에 의해서 제 1,2프로브(31a)(31b)에 공급되는 음,양극전원의 극성을 서로 변경시켜 음극전원과 양극충전단자(B2), 양극전원과 음극충전단자(B1)가 서로 대응 접촉하여 전류의 방향이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 인가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충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충전본체(10)내에 제공되는 마이콤은 휴대폰(H)의 장착후, 마이크로스위치(27)가 고정커버(20)와 접촉되어 온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7)가 온되면 평상시에는 전원(Vdd)에 연결되어 소정의 하이레벨(약, 5V)이 감지되던 마이콤의 P1포트가 접지로 연결되어 로우레벨(약, 0V)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은 마이크로스위치(27)가 온되었는지를 P1포트의 전압레벨을 체크하여 감지하고, 감지결과 상기 스위치(27)가 온될 때, 제1,2프로브(31a)(31b)를 통해 배터리(B)로 충전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도 8에서는, 기본적으로 제1프로브(31a)가 양극단, 제2프로브(31b)가 음극단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 제1,2프로브(31a)(31b)와 충전단자(B1)(B2)의 연결방향이 정상적이라면, 전류가 A방향으로 인가되어 쇼트저항(R7)의 양단에 소정의 전압이 걸리고, 이는 마이콤의 A/D포트에서 감지된다.
반대로, 제1,2프로브(31a)(31b)와 배터리(B)의 충전단자(B1)(B2)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다면, 전류가 B방향으로 흐르고, 따라서, A/D포트로는 소정의 전압이 감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콤은 마이크로스위치(27)가 온되어, 충전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A/D포트의 전압레벨을 체크하여, 제1,2프로브(31a)(31b)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 역방향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역방향으로 연결시, P3,P4포트를 통해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1,2릴레이(81)(82)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2릴레이(81)(82)가 동작하여 각각 A접점이 클로즈되고, B접점이 오픈되어 제1,2프로브(31a)(31b)의 극성을 변환시킨다. 이에, 제1프로브(31a)는 음극단이, 제2프로브(31b)는 양극단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휴대폰의 배터리(B)의 충전단자(B1)(B2)의 극성을 모르고 제1,2프로브(31a,31b)에 배터리(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더라도, 연결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극성이 전환되어 정상적인 충전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갖추어진 디스플레이부(45)의 충전완료램프(45b)가 점등되어 배터리(B)의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 온/오프스위치(46)를 오프시켜 외부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음극, 양극충전단자(B1)(B2)와 제 1,2프로브(31a)(31b)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요부재(32a)(32b)에 외력을 가하여 이를 절곡변형시키며, 상기 고정커버(20)의 고정판(21)을 상방으로 젖혀 고정력을 해제시킨 다음,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배터리(B)나 이를 갖는 휴대폰(H)을 외부로 인출하여 충전작업을 모두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나 이를 갖는 휴대폰을 충전본체의 사각수용홈에 배치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절곡변형이 자유로운 가요부재에 갖추어진 제 1,2프로브를 배터리의 음극, 양극충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배터리의 배면하부, 경사면 또는 저면에 다양하게 갖추어지는 충전단자의 배치구조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할수있기 때문에, 하나의 충전기로서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자원을 절약할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천장치에 채용되는 고정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충전더듬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가요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채용되는 프로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작동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회로도,
도 9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배터리와 이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전본체 12 ..... 사각수용홈
15 ..... 미끄럼방지부재 20 ..... 고정커버
21 ..... 고정판 22 ..... 힌지축
24 ..... 충격방지부재 30a,30b ... 제 1,2충전더듬이
31a,31b ... 제 1,2프로브 32a,32b ... 제 1,2가요부재
45 .... 디스플레이부 45d ..... 에러램프
B .... 배터리 B1,B2 ... 음극, 양극 충전단자

Claims (16)

  1. 휴대폰(H)의 배터리(B)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의 음,양극충전단자(B1)(B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B)가 수용되는 사각수용홈(12)을 전면에 함몰형성한 충전본체(10);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배터리(B)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충전본체(10)에 장착되는 고정커버(20);
    상기 음,양극충전단자(B1)(B2)와 각각 선단부가 대응접촉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2프로브(31a)(31b)를 선단에 갖추며,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절곡변형되는 중공형 가요부재(32a)(32b)로 이루어진 제 1,2충전더듬이(30a)(30b) 및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음,양극 충전단자(B1)(B2)의 접촉유무를 확인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 접촉하도록 제 1,2프로브(31a)(31b)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수용홈(12)은 이에 수용되는 배터리나 휴대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우레탄폼과 같은 미끄럼방지부재(14)를 바닥면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수용홈(12)의 상부는 상기 휴대폰(H)이나 배터리(B)의 형성길이에 관계없이 이들을 내부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수용홈(12)은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전면에 함물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20)는 선단이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고정판(21)과,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서 고정판(21)의 선회작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판(21)의 하부단에 형성된 힌지축(22) 및 상기 사각수용홈(12)측으로 상기 고정판(21)을 항상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힌지축(22)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의 선단부에는 상기 사각수용홈(12)에 배치된 휴대폰(H)이나 배터리(H)와의 접촉시 충격 및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충격방지부재(2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의 폭은 상기 사각수용홈(12)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과 대응하는 충전본체(10)의 전면에는 닫힘작동된 고정커버(20)의 후면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외부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스위치(27)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프로브(31a)(31b)는 손잡이(35a)(35b)를 갖는 프로브홀더(34a)(34b)의 각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프로브홀더(34a)(34b)의 후단은 상기 중공형 가요부재(32a)(32b)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가요부재(32a)(32b)의 후단은 양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한 본체고정용 홀더(36a)(36b)를 매개로 하여 상기 충전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재(32a)(32b)는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후 변형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호스부재, 다관절 도관, 알루미늄 압축형 주름도관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프로브(31a)(31b)는 배터리의 배면 하부, 경사면 또는 저면에 적어도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충전단자(B1)(B2)와의 접촉율을 높일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홀더(34a)(34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12. 휴대폰(H)의 배터리(B)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의 음,양극충전단자(B1)(B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충전본체(10)의 전면에 함몰형성된 사각수용홈(12)에 상기 배터리(B)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사각수용홈(12)에 수용된 배터리(B)를 선회가능한 고정커버(20)로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B)의 음,양극충전단자(B1)(B2)와 외부전원에 연결된 제 1,2프로브(31a)(31b)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중공형 가요부재(32a)(32b)로 이루어진 제 1,2충전더듬이(30a)(30b)를 자유롭게 절곡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접촉하는 음,양극 충전단자(B1)(B2)를 통하여 외부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B)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배면하부, 저면 이나 경사면에 형성되는 양극, 음극충전단자(B1)(B2)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사각수용홈(12)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를 고정커버(20)로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과 상기 충전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된 마이크로스위치(27)의 접촉유무에 따라 상기 제 1,2충전더듬이(30a)(30b)로 외부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2프로브(31a)(31b)와 음극, 양극 충전단자(B1)(B2)의 접촉유무에 따라 상기 충전본체(10)의 디스플레이부(45)에 갖추어진 에러램프(45d)를 점멸시켜 에러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B)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2프로브와 충전단자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응접촉하여 전류가 사전에 설정된 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기의 스위칭회로에 의해 제 1,2프로브(31a)(31b)에 공급되는 음,양극전원의 극성을 상호 변경시키는 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KR10-2002-0026173A 2002-05-13 2002-05-13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KR10049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173A KR100497929B1 (ko) 2002-05-13 2002-05-13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173A KR100497929B1 (ko) 2002-05-13 2002-05-13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228A KR20030088228A (ko) 2003-11-19
KR100497929B1 true KR100497929B1 (ko) 2005-06-29

Family

ID=3238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173A KR100497929B1 (ko) 2002-05-13 2002-05-13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00A (ko) * 1999-07-19 1999-10-05 주진용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KR200247076Y1 (ko) * 2001-07-02 2001-10-31 이거상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06377Y1 (ko) * 2002-10-26 2003-03-07 한보림 배터리 단자접촉용 커넥터
KR20030087386A (ko) * 2002-05-08 2003-11-14 이혜영 휴대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00A (ko) * 1999-07-19 1999-10-05 주진용 핸드폰배터리충전장치
KR200247076Y1 (ko) * 2001-07-02 2001-10-31 이거상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0087386A (ko) * 2002-05-08 2003-11-14 이혜영 휴대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200306377Y1 (ko) * 2002-10-26 2003-03-07 한보림 배터리 단자접촉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228A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5038A (ko) 소형 전기 제품용 벽 소켓내로 플러깅할 수 있는 충전기
US7816886B2 (en) Battery charger
KR960006135B1 (ko)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에너지 사용 장치
US5157318A (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US20060226805A1 (en) Mobile battery-charging container
EP1814015A1 (en) Multifunctional charger device
KR20080005961A (ko) 개선된 접점을 구비한 손전등 충전기
US9912175B2 (en) Battery harvester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US20070273326A1 (en) Charger with internal battery for charging portable batteries
KR20140122851A (ko)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100497929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CN211296917U (zh) 一种无线蓝牙耳机充电盒及无线蓝牙耳机
KR101647028B1 (ko) 낚시용 전자 케미 및 전자 찌용 배터리 충전장치
CN104037882A (zh) 一种充电器
GB2313242A (en) Charging portable telephone batteries
CN209748765U (zh) 一种与蓝牙耳机配套使用的充电收纳盒
CN220288791U (zh) 手持握把及热像仪手持装置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CN203933112U (zh) 一种充电器
CN218482970U (zh) 助听器盒
CN217036257U (zh) 一种充电转接器
CN217469478U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CN215601074U (zh) 一种具有充电时防脱功能的移动电源
KR100714500B1 (ko) 이동전화기의 휴대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