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416A - 스티로폼성형용형틀의에너지공급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로폼성형용형틀의에너지공급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416A
KR19990073416A KR1019990027908A KR19990027908A KR19990073416A KR 19990073416 A KR19990073416 A KR 19990073416A KR 1019990027908 A KR1019990027908 A KR 1019990027908A KR 19990027908 A KR19990027908 A KR 19990027908A KR 19990073416 A KR19990073416 A KR 1999007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tyrofoam
molding
energy supply
sid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706B1 (ko
Inventor
박경춘
Original Assignee
김한서
주식회사 인터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서, 주식회사 인터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한서
Priority to KR101999002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7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금형(1a)은 취출 공정이 가능하나 이동금형(2a)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금형(2a)은 정상보다 성형 융착을 덜하게 하여 이동금형(2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나 과도하게 냉각시켜 해결하므로 생산성이 상당히 저하되고 불량률 또한 높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포장재료로 쓰이는 발포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에 있어서, 일측 고정측형틀(10)과 타측 이동측형틀(20)의 사이에 연결관(21)이 구비되어 스팀과 냉각수 그리고 압축공기와 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EQUIPMENT CONNECT OF ENERGY SUPPLY FOR MOLD FORMATION STYROFOAM}
본 발명은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재료로 쓰이는 발포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형틀과 이동측형틀간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스팀과 냉각수 그리고 압축공기와 배수가 통과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인 스티로폼 성형작업은 금형내에 충진물인 스치로폼을 원료공급부에 의해 충진 후 연결관으로 스팀과 냉각수를 적정압력 시간으로 투입하고 배수부로 배수공정을 완료하면 스티로폼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성형작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일측 고정측형틀(1)에는 고정금형(1a)과 원료공급부(4) 그리고 제품취출부(3)와 패킹(5)이 구비되고, 타측 이동 가능한 이동측형틀(2)에는 이동금형(2a)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형틀(1)과 이동측형틀(2)을 패킹(5)에 의해 상호 밀착시키면 형틀 내부로 투입된 에너지(스팀, 냉각수, 압축공기 등)가 누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공정 준비에 의해 고정금형(1a)과 이동금형(2a)의 사이의 내부로 원료를 보통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된 압축공기는 배수부(8)와 패킹(5)을 약 3∼5㎜ 이격시킨 상태로 공기를 배기하며, 상기 원료투입이 공정에 의해 종료되면 이동측형틀(2)과 이동금형(2a)은 패킹(5)으로 밀착시켜 에너지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에너지인 스팀은 스팀공급부(6)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공정은 시간과 압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티로폼 제품은 규격으로 성형 융착되고 배수부(8)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성형융착이 완료되면 냉각수가 냉각수공급부(7)에 의해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은 약 120℃ 전후에서 성형되고 약 60℃에서 냉각 완료되는 관계로 통상 스팀으로 온도를 가하고 냉각수로 냉각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방법은 성형기계에 따라 다소 다르나 크게는 냉각수 직접분무, 진공을 이용한 강제배출, 냉각수와 진공이용을 병용한다. 냉각의 공정은 시간 또는 압력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종료가 완료되면 형틀(1)(2) 및 금형(1a)(2a)에서 제품을 취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각이 종료되면 이동측형틀(2)과 이동금형(2a)이 열리게 되고 고정측금형(1)에 설치된 제품취출부(3)를 이용하여 제품을 고정금형(1a)에서 이격시켜 밖으로 취출하므로서 스티로폼 제품 생산이 종료하게 되고, 이를 1∼3분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 수행중 스티로폼 제품을 고정금형(1a)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 제품취출부(3)를 사용하는데 성형 융착시 스팀 열에 의해 스티로폼 제품 표면이 고정금형(1a)에 부착되어 있어 제품취출부(3)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제품은 손상될 수 밖에 없어 사전 공정으로 통상 배수부(8)를 막고 압축공기를 투입하므로서 제품을 고정금형(1a)에서 일시에 이격시키고 제품취출부(3)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정금형(1a)은 위와 같은 취출 공정이 가능하나 이동금형(2a)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이동금형(2a)은 정상보다 성형 융착을 덜하게 하여 이동금형(2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도하게 냉각시켜 해결하므로 생산성이 상당히 저하되고 불량률 또한 높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이동측형틀(2)에는 에너지가 통과될 수 없는 관계로 상당한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고, 이동측형틀(2)의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에서 취출이 난해한 제품은 포기하거나 작업자가 1회씩 수동 생산하여 확인 취출 후 다시 생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스팀을 사용하는데 이때 고정측형틀(1)과 이동측형틀(2)의 내부에는 잔존하는 수분이 고여있게 되므로 금형이 열릴때 상당량의 수분이 제품과 함께 낙하되는 문제점과 상기 수분이 낙하되면 작업장에 떨어지게 되므로 작업 환경이 더러워지고 이로인해 제품표면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포장재료로 쓰이는 발포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형틀과 이동측형틀간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스팀과 냉각수 그리고 압축공기와 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와 같이 이동측금형이 일정거리 이동하여도 라인이 연결되므로 고정측금형과 같이 강한 압축공기가 투입되어 불량조건의 최소화와 제품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형틀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고정측형틀과 타측 이동측형틀의 사이 적소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에너지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연결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스팀,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지기
전의 단면도이고,
(b)는 종래 냉각수,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지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2 의 (a)는 종래 스팀,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진 후의
단면도이고,
(b)는 종래 냉각수,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진
후의 단면도이다.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지기 전의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냉각수,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지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어진 후의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냉각수, 배수라인의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이 벌이진 후의 단면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동측 형틀의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측 형틀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고정측형틀 1a, 10a: 고정금형
11: 구멍 12: 하우징
13: 패킹 2, 20: 이동측형틀
2a, 20a: 이동금형 21: 연결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여기에서 부호 10은 고정측형틀로, 이 고정측형틀(10)의 적소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금형(1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금형(10a)의 일측 중앙에는 충진물인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원료공급부(40)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각 고정금형(10a)의 일측 상하단에는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품취출부(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형틀(10)의 일측 상단 적소에는 스팀공급부(60)와 냉각수공급부(70)가 구비되는 동시에 일측 하단 적소에는 배수부(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형틀(10)의 하단 적소에는 양 형틀 사이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형틀(10)의 상,하부 적소인 통과공의 일단에는 하우징(12)이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이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패킹(13)이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구비된 패킹(13)의 형상은 상기 형상 외에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여러 형상으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 20은 이동측형틀로, 이 이동측형틀(20)의 적소 즉, 상기 고정금형(10a)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이동금형(20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측형틀(20)의 일측 상하부 적소에는 상기 패킹(13)의 내부에 끼워져 동작되는 연결관(21)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에 적용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의 전체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나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작용에 그 차이점과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도 3 과 같이 원료공급부(40)에 의해 고정금형(10a)과 이동금형(20a)의 사이에 스티로폼의 원료를 공급한 후 스팀공급부(60)에 의해 스팀을 공급하면 스티로폼 제품이 성형되는 것이고, 이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측형틀(20)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제품취출부(30)가 작동하면 스티로폼 제품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의 특징인 연결관(21)에 의해 고정측형틀(10)과 이동측형틀(20)은 상호 연통되어 에너지 즉, 스팀, 냉각수, 압축공기, 배기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티로폼 제품이 성형되면 도 3 에서 도 4 와 같이 이동측형틀(20)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관(21)은 고정측형틀(10)과 상호 연결되어 에너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인해 상기 이동측형틀(20)에도 압축공기가 투입되므로 스티로폼 제품은 압축공기에 의해 이동금형(20a)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면에는 패킹(13)이 구비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패킹(13)은 외주면에 하우징(12)이 구비되어 패킹(13)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팀 공급에 의한 작용에 의해서는 고정측형틀(10a)과 이동측형틀(20a)의 사이에 다량의 수분이 잔존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수분이 고정측형틀(10)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포장재료로 쓰이는 발포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형틀과 이동측형틀간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스팀과 냉각수 그리고 압축공기와 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이 이동측금형이 일정거리 이동하여도 라인이 연결되므로 고정측금형과 같이 강한 압축공기가 투입되어 불량조건의 최소화와 제품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형틀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포장재료로 쓰이는 발포 스티로폼을 성형하기 위한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에 있어서,
    일측 고정측형틀과 타측 이동측형틀의 사이 적소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에너지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연결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형틀의 하단 적소에 구비되며, 고정측형틀과 이동측형틀의 사이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형틀의 적소에 구비되는 동시에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워져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 공급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내측은 상기 패킹과 연결되는 동시에 외측은 고정측형틀에 고정되며, 패킹을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 공급 연결장치.
KR1019990027908A 1999-07-10 1999-07-10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KR10032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8A KR100329706B1 (ko) 1999-07-10 1999-07-10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8A KR100329706B1 (ko) 1999-07-10 1999-07-10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16A true KR19990073416A (ko) 1999-10-05
KR100329706B1 KR100329706B1 (ko) 2002-03-21

Family

ID=3747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908A KR100329706B1 (ko) 1999-07-10 1999-07-10 스티로폼 성형용 형틀의 에너지공급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68B1 (ko) * 2006-09-20 2007-06-12 박윤삼 스티로폼 박스 성형용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박스
KR101033828B1 (ko) *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27B1 (ko) * 2013-02-25 2015-03-20 (주) 신화테크 자동차용 휠 가드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617B2 (ja) * 1979-07-19 1984-10-16 株式会社ダイセン工業 発泡ポリスチレン成形機
KR970000406Y1 (ko) * 1993-08-24 1997-01-20 주식회사 대공기계 스티로폴 성형용 형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68B1 (ko) * 2006-09-20 2007-06-12 박윤삼 스티로폼 박스 성형용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박스
KR101033828B1 (ko) *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706B1 (ko)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977A (en) Inflatable seals
KR19990073416A (ko) 스티로폼성형용형틀의에너지공급연결장치
US6860461B1 (en) Mold for papermaking
US6315295B1 (en) Inflatable seals
CN110561695A (zh) 一种防飞边型的注塑模具
KR970000406Y1 (ko) 스티로폴 성형용 형틀
CN210283065U (zh) 一种多层复合式硅胶制品生产模具
JP3884537B2 (ja) タイヤの加硫成型用金型及び加硫成型方法
CN215315524U (zh) 进水口改进的铸造模具
JP3610051B2 (ja) 発泡樹脂成形機の金型交換方法
JPH07106596B2 (ja) 真空成形金型
CN217552910U (zh) 一种用于鞋材的负压浇注装置
CN217318987U (zh) 一种带有防泄漏机构的注塑机用注塑头
JP3097975B2 (ja) 湯口清掃装置
JPS5828822Y2 (ja) 合成樹脂成形金型
CN215703701U (zh) 一种改进的阀芯模具
JPH045290Y2 (ko)
KR970074701A (ko) 유리제품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200265747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제조장치
KR200141814Y1 (ko) 실리콘 박스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용 금형
KR0160079B1 (ko) 재생타이어 제조용 엔벨로프 성형장치
KR0129430Y1 (ko) 불순물 제거장치가 구비된 성형다이의 슬라이딩 코어
KR910003743Y1 (ko) 제피장치
KR200254896Y1 (ko) 일체형 대형용기 성형장치의 이송안내장치
KR0168602B1 (ko) 벤트리스 밸브를 이용한 가류타이어의 인출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