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340A - 최루가스분사기분사유니트 - Google Patents

최루가스분사기분사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340A
KR19990073340A KR1019990026744A KR19990026744A KR19990073340A KR 19990073340 A KR19990073340 A KR 19990073340A KR 1019990026744 A KR1019990026744 A KR 1019990026744A KR 19990026744 A KR19990026744 A KR 19990026744A KR 19990073340 A KR19990073340 A KR 1999007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powder
tank
tear ga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583B1 (ko
Inventor
진연창
Original Assignee
진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연창 filed Critical 진연창
Priority to KR101999002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5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상부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전진하는 공이편에 의해 최루 분말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에 있어서, 일단부에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압축 기체가 수용된 탱크와; 탱크를 지대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이편의 격발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탱크를 뚫어주기 위한 펀칭수단과;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탱크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파이프 형상의 총신부재와; 총신부재의 출구측 내부에 긴밀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최루 분말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부와,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에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최루 분말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최루 분말 방출공이 구비된 최루 분말 발사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SPRAY UNIT OF TEAR GAS GUN}
본 발명은 최루가스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략 15m 내지 20m 정도 먼거리에서 치한 또는 불량배에게 최루 분말을 분사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날로 흉포화지는 현대 사회의 범죄앞에서 치한이나 불량배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보음을 낼수 있는 기능이 함께 부가된 목걸이, 최루액이 압축 기체와 함께 분사되는 기능을 갖는 최루가스 분사기등의 휴대용 호신구가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휴대용 호신구중에서 전자의 경우에는, 여성이 치한이나 불량배를 만나면 목걸이를 이용하여 경보음을 발하여 주위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할수는 있으나, 치한이나 불량배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는 엿부족이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치한이나 불량배의 얼굴을 향하여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가스분사기를 작동시켜 치한이나 불량배가 그 자리에서 몇분동안 앞을 보지 못한 사이에 충분히 도망을 갈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로들은 휴대용 호신구중에서 최루가스를 이용하여 치한이나 불량배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확률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어, 현재에는 좀더 실용성이 있는 최루가스 분사기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최루가스 분사기의 종류로는 폭음장치를 구비한 가스분사기, 전자점화식 호신용 가스분사기등이 있는데, 전술한 가스분사기는 압축 가스와 체류 분말이 혼합된 가스분말통의 출구를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개방하여 최루 분말이 가스의 분출력의 도움을 받아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최루가스 분사기는 가스분말통의 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구입하여 살생용의 다른 용도로 개조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개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는 대략 권총 형상으로, 손잡이(1)와, 이 손잡이(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최루분말을 분사하는 분사유니트(2)로 이루어진다.
손잡이(1)에는 방아쇠(11)를 당김에 따라 공이편(1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공이편(12)은 손잡이(1)의 지지대(13)에 수평으로 형성된 공이편 삽입공(13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1)의 지지대(13)에는 총신부재(3)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면(14a)과 수평면(14b)으로된 "ㄴ"자 형상의 총신부재 설치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총신부재 설치부(14)의 수직면(14a) 중앙에는 분사유니트(2)를 연결하기 위한 회동부재(4)가 힌지(4a)를 매개로 360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총신부재 설치부(14)의 수평면(14b)에 간섭없이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회동부재(4)에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수평 나사공(4b)이 공이편 삽입공(13a)과 수평으로 일직선이 되게 형성된다.
상기 분사유니트(2)는 일단부에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압축 공기 또는 압축 가스등의 압력 발생 수단이 수용된 탱크(21)와, 탱크(21)를 회동부재(4)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재(22)와, 이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이편(12)의 격발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탱크(21)를 뚫어주기 위한 펀칭수단(25)과, 이 연결부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a)에 나사 결합되면서 탱크(21)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파이프 형상의 총신부재(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탱크(21)와 총신부재(3)의 끝단부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의 내부에는 최루 분말(tear gas:t.g)이 내장된다.
연결부재(22)는 양단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탱크(21)의 나사부(21a)가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탱크 결합부(22b)와, 그 타단부에는 회동부재(4)의 수평 나사공(4b)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22c)와, 중앙 외주면에 총신부재(3)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a)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됨으로써, 총신부재(3)가 연결부재(3)에 고정되도록 하는 나사부(22a)가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3은 총신부재(3)와 연결부재(4)와의 기밀을 유지하여 최루 분말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 부재의 하나인 고무링이다.
연결부재(4)의 탱크 결합부(22b)에는 그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연통공(24)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24)의 외주면에 해당되는 연결부재(4)에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 재질의 패킹재(23a)가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공(24)은, 펀칭수단(25)에 의해 탱크(21)가 뚫여 그 내부에서 고압의 기체가 분출되어 연결부재(22)의 외부로 누설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패킹재(23a)는 평상시에는 연통공(24)을 폐쇄하고 있다가 고압으로 연통공(24)을 통해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연통공(24)을 개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펀칭수단(25)은 연결부재(22)의 관통공(22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25a)와, 탱크 결합부(22b)측을 향하도록 슬라이더(25a)의 일측에 소정 길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끝단부가 예리한 금속 재질의 관통침(25b)과, 슬라이더(25a)의 중앙 외주면에 개재되는 기밀 부재의 하나인 고무링(25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총신부재(3)의 끝단부에는 높은 압력의 기체에 의해 분사되는 최루 분말이 총신부재(3)로부터 분출될때 방사상으로 퍼질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얇은 판막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절개된 최루분말 퍼짐 유도 부재(5)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치한을 만났을때, 근접 거리(대략 3∼7m정도)에서는 치한의 얼굴에 정확하게 분사되기 때문에, 치한이 그 자리에서 몇분동안 앞을 보지 못한 사이에 충분히 도망을 갈수 있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분사기의 최루액 분사 거리는 대략 근접 거리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치한 또는 불량배와의 거리가 대략 15m 내지 20m 정도인 경우에는 가스분사기를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스분사기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에는 위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대처 방안이 없는 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대략 15m 내지 20m 정도 먼거리에서 치한 또는 불량배에게 최루 분말을 분사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기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총신부재 3a : 출구
6 : 최루 분말 수용통 6a : 제1 몸체
6b : 제2 몸체 11 : 방아쇠
12 : 공이편 21 : 탱크
21b : 관통공 25b : 관통침
61 : 수용 공간부 62 : 공기 유입공
63 : 최루 분말 방출공 64 : 딤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 기술에 사용된 구성부재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아쇠(11)를 당김에 따라 전진하는 공이편(12)의 외력을 전달받은 관통침(25b)에 의해 탱크(21)에 형성된 관통공(21b)으로 분출된 압축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압축 기체가 탱크(21)와 파이프 형상의 총신부재(3) 사이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 최루가스 분사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 총신부재(3) 출구(3a)측의 내부에는 최루 분말 발사통(6)을 긴밀하게 슬라이드 삽입하여 압축 기체의 압력으로 총신부재(3)의 출구(3)로부터 최루 분말 발사통(6)이 최대한 장거리까지 발사되도록 한것이다.
이 최루 분말 발사통(6)에는 내부에 최루 분말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부(61)와,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에 수용 공간부(6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공(62)과, 공기 유입공(62)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수용 공간부(61)에 수용된 최루 분말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최루 분말 방출공(63)이 형성된다.
상기 최루 분말 발사통(6)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탄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공(62)은 총신부재(3)의 출구(3a)로부터 발사된 직후 비행하면서 저항체로 작용하는 공기의 유입이 최대한 많이 되도록 그 형성 각도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루 분말 발사통(6)이 수평 직선상으로 비행하는 것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최루 분말 발사통(6)의 비행 방향과 동일하게 평행하게 형성할 수 도 있다.
특히, 공기 유입공(62)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수용 공간부(61)의 최루 분말이 최루 분말 방출공(6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최루 분말 방출공(63)은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루 분말 수용통(6)의 비행 각도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공기 유입공(62)과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방출되는 최루 분말의 방향을 한정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즉, 최루 분말 방출공(63)을 다수게 형성하되, 이들을 각각 최루 분말 방출공(63)의 비행 각도에 대해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면 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은 최루 분말 발사통(6)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일시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6a)와 제2 몸체(6b)의 두개의 부재로 분리 구성한다.
즉, 제1 몸체(6a)에는 일단부가 개구되어 내부로 소정 깊이 상기 최루 분말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 공간부(61)와, 이 수용 공간부(61)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최루 분말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최루 분말 방출공(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몸체(6b)에는 제1 몸체(6a)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에 상기 수용 공간부(61)와 연통되게 공기 유입공(62)이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최루 분말 발사통(6)의 비행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 몸체(6b)의 중량을 제1 몸체(6a)의 중량보다 더 무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제2 몸체(6b)의 형상을 원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루 분말 발사통(6)의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타측면에는 반구홈 형상의 딤플(64)이 형성되는 데, 이 딤플(64)은 최루 분말 발사통(6)의 비행시 그 외측면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흐름에 의해 총신부재(3)로부터 발사된 초기의 속도보다 더욱더 빠른 속도로 비행되어 목표물에 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된 부호중에서 종래와 중복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부호는 종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이에 대한 부호의 명칭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11)를 당김에 따라 공이편(12)이 전진하여 펀칭수단(25)을 구성하는 슬라이더(25a)를 타격하면, 이 펀칭수단(25)의 관통침(25a)에 의해 탱크(21)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2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탱크(21)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21a)이 형성됨에 따라, 탱크(21) 내부에 충진된 압축 기체는 화살표 방향으로 관통공(21b)을 통해 분출되어 탱크(21)와 총신부재(3) 사이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최루 분말 발사통(6)의 후단부까지 도달된다.
이렇게 최루 분말 발사통(6)의 후단부까지 도달된 압축 기체의 압력에 의해 최루 분말 수용통(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신부재(3)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총신부재(3)의 출구(3a)에서 발사된다.
상기와 같이, 최루 분말 발사통(6)이 총신부재(3)의 출구(3a)로부터 발사되면, 초기 분출된 압축 기체의 압력이 유지된 채로 대략 15m 내지 20m 정도의 거리 떨어진 목표물(여기서는 치한이나 불량배를 의미함)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최루 분말(t.g)이 방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루 분말 발사통(6)이 비행을 하면서 저항체로 작용하는 공기는 최루 분말 수용통(6)의 공기 유입공(62)을 통해 유입되며, 이 유입된 공기는 수용 공간부(61)까지 도달하여 최루 분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된다.
즉, 최루 분말은 수용 공간부(61)의 내부에 더 이상 존재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가 되며, 결국에는 최루 분말 방출공(6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 최루 분말 방출공(63)을 통해 방출되는 최루 분말은 최루 분말 수용통(6)의 비행 초기에서부터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까지 주변에 골고루 살포된다.
따라서, 분사기의 사용자와 치한 또는 불량배와의 사이에는 최루 분말이 살표된 상태이기 때문에, 치한은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치한 또는 불량배까지 도달된 최루 분말 수용통(6)에서 방출되는 최루 분말로 인해, 치한 또는 불량배는 최루 분말에 의해 잠시 몇분 동안 앞을 보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분사기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에는 현재 닥친 위험한 상황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치한과의 거리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치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도 벌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에 따르면, 대략 15m 내지 20m 정도 먼거리에서 치한 또는 불량배에게 최루 분말을 분사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손잡이(1)의 상부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13)에 설치되어 방아쇠(11)를 당김에 따라 전진하는 공이편(12)에 의해 최루 분말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에 있어서,
    일단부에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압축 기체가 수용된 탱크(21)와;
    상기 탱크(21)를 상기 지지대(13)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재(22)와;
    상기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공이편(12)의 격발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탱크(21)를 뚫어주기 위한 펀칭수단(25)과;
    상기 연결부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a)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탱크(21)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파이프 형상의 총신부재(3)와;
    상기 총신부재(3)의 출구(3a)측 내부에 긴밀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최루 분말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부(61)와,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에 상기 수용 공간부(6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공(62)과, 상기 공기 유입공(62)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부(61)에 수용된 최루 분말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최루 분말 방출공(63)이 구비된 최루 분말 발사통(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 분말 발사통(6)은 일단부가 개구되어 내부로 소정 깊이 상기 최루 분말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 공간부(61)와, 상기 수용 공간부(61)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최루 분말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최루 분말 방출공(63)이 형성된 제1 몸체(6a)와;
    상기 제1 몸체(6a)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에 상기 수용 공간부(61)와 연통되게 공기 유입공(62)이 다수개 형성된 원추 형상의 제2 몸체(6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몸체(6b)의 중량을 제1 몸체(6a)의 중량보다 더 무겁게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최루 분말 발사통(6)의 공기의 저항을 받는 일측면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타측면에는 반구홈 형상의 딤플(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가스 분사기의 분사유니트.
KR1019990026744A 1999-07-03 1999-07-03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KR10034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44A KR100344583B1 (ko) 1999-07-03 1999-07-03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44A KR100344583B1 (ko) 1999-07-03 1999-07-03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40A true KR19990073340A (ko) 1999-10-05
KR100344583B1 KR100344583B1 (ko) 2002-07-19

Family

ID=3748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744A KR100344583B1 (ko) 1999-07-03 1999-07-03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924A (zh) * 2018-04-24 2018-07-13 李汉 粘性催泪发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924A (zh) * 2018-04-24 2018-07-13 李汉 粘性催泪发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583B1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662B2 (en) Gas projection device sometimes with a burst disk, producing loud sonic report and smoke plume
US5706795A (en) Multi-purpose projectile launcher
US7316090B2 (en) Defense device, preferably self-defense device and storage unit used therein
US5654523A (en) Stun grenade
US100543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rming an explosive device
US5791327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having a non-lethal projectile
US997683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rming an explosive device
US5515767A (en) Device for firing a projectile
CN101113880A (zh) 圆筒形爆发发射器发射装置
KR100344583B1 (ko)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US20050081419A1 (en) Hand-held firing device comprising several cartridges
US4832265A (en) Perforator-injector with an internal percussion mass
JP3406213B2 (ja) 模擬砲弾発射筒
CN210570224U (zh) 一种多发的刺激液体喷射器
KR200342913Y1 (ko) 휴대형 최루탄
KR200169770Y1 (ko) 최루액 분사장치
CN218955608U (zh) 一种可以免于反复组装的爆炸物销毁器
KR100277470B1 (ko) 가스분사기용 탄알
KR0127511Y1 (ko) 호신용 총알의 구조
KR930007640Y1 (ko) 최루분사용(催淚噴射用) 탄환(彈丸)
RU2053821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орудие
KR200235712Y1 (ko) 최루탄
KR200158992Y1 (ko) 가스분사기
KR20030075877A (ko) 연발식 가스총용 탄알
US1530133A (en) Grenade and method of creating pressure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