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470B1 - 가스분사기용 탄알 - Google Patents

가스분사기용 탄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70B1
KR100277470B1 KR1019980050245A KR19980050245A KR100277470B1 KR 100277470 B1 KR100277470 B1 KR 100277470B1 KR 1019980050245 A KR1019980050245 A KR 1019980050245A KR 19980050245 A KR19980050245 A KR 19980050245A KR 100277470 B1 KR100277470 B1 KR 10027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ullet
rear end
nozzl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499A (ko
Inventor
강재봉
조금옥
Original Assignee
강재봉
조금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봉, 조금옥 filed Critical 강재봉
Priority to KR101998005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47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70B1/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분사용 액체를 내장한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화약폭발후 압축가스를 이용한 2차 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구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둔다.
상기 탄알구조는 배기공(412)과 중심돌기(414)를 형성한 구획판(410)과, 뇌관(420)을 차례로 수용하는 뇌관체(400); 실린더(200)내 수용액체를 압착,이동시키면서 소정의 압축가스를 개폐가능하게 하면서 실린더내 수용액체의 분출말기의 잔류액체 발생을 방지 시키기 위한 통체(310)와,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밀착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밀착부재(340)와, 통형 캡(320)과, 상기 캡(320)의 내측에 탄착되는 원추형의 코일스프링(302)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에 위치하면서 소정의 탄력으로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볼(304)과, 상기 관공 외측에서 관착되어 상기 볼에 의하여 개폐 되는 분출공을 형성한 관체로서 그 선단이 플랜지를 형성한 노즐(330)로 이루어지는 피스톤(300); 및 원추형 선단에 마개(210)로서 개폐되는 분사공(202)을 형성하고, 후단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후단 내측으로는 뇌관의 관착길이를 제한하는 단차(204)를 형성한 실린더(200)를 포함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로서 달성된다.
이와같은 가스분사기 탄알은 액체의 분출작동 말기에 가스분사기 총구앞 부분에 누설되던 잔류액체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스분사기용 탄알
본 발명은 가스분사기용 탄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용 액체를 내장한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화약폭발후 압축가스를 이용한 2차 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내용물을 분사하여 소정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발사장치용 총알로는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991호로 출원되고 실용신안등록 제127511호로 등록된 호신용 총알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마취액을 내장한 탄알을 발사하기 위한 마취총등이 알려져 있었다.
후자의 경우 마취액체가 내장된 일종의 주사기용 바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마취총의 발사로서 동물의 피부등에 꽂힘과 동시에 액체가 주사되는 구조의 것이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통형 실린더(100)와, 이 실린더(100)의 후단에 소정길이 관착되는 화약을 내장한 뇌관(110)과,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 채워진 최루액등을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120)과, 상기 실린더(100)의 선단 개구부에 나사로 맞추어지며 소정의 마개(140)를 구비한 캡(1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뇌관의 화약 폭발로서 피스톤이 이동하고 피스톤 이동으로 최루액등이 밀려 나가 마개를 개방하면서 최루액이 분사되는 총알이다.
이와같은 총알의 경우 화약 폭발순간 피스톤이 밀려나가면서 액체를 밀어 분사하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 순간적 화약 폭발로서 실린더 내부 액체를 모두 배출하지 못하고 잔류액체를 남기고 있다. 잔류 액체를 남긴다는 것은 총알이 수용하는 요구되는 액체전부를 분출하지 못함에 따라 잔류하는 액체일부가 총구주변을 묻히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수용액체의 전부를 제대로 모두 배출할 수 있는 총알의 배출구조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여 호신용 총알로서 목적하는 분출액체를 잔류물없이 완전히 분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총알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결합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화약 폭발전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1차 화약폭발시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피스톤의 2차 압축가스 분사상태의 작용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알려진 호신용 발사기의 액체발사용 탄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실린더........................................202:분사공
204:배기공........................................210:마개
300:피스톤........................................302:스프링
304:볼............................................306:오링
308:고무링........................................310:통체
312:플랜지부......................................314:관공
316:나사..........................................320:캡
340:밀착부재......................................322:요입공간
330:노즐..........................................332:분출공
334:플랜지........................................400:뇌관체
402:타격구멍......................................410:구획판
412:배기공........................................414:돌기
420:뇌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공과 중심돌기를 형성한 구획판과, 뇌관을 차례로 수용하는 뇌관체; 상기 뇌관의 폭발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실린더내 수용액체를 압착,분출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압축가스를 개폐가능하게 수용하고, 이 수용된 압축가스로서 분출중 액체의 분출말기에 분출압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2차 분출압력 형성구조를 갖는 피스톤; 및 원추형 선단에 마개로서 개폐되는 분사공을 형성하고, 후단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뇌관의 폭발시 폭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을 후단주면에 형성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로서 달성된다.
특히 상기 피스톤은, 선단이 관공을 형성한 플랜지부를 이루고, 후단은 내주면상 나사를 형성한 개구부로 이루어진 통체와, 상기 관공에 전후진 가능하게 관착되고 그 후단은 상기 볼에 의하여 개폐 되는 분출공을 형성하고, 그 선단은 플랜지를 형성한 노즐과,상기 통체의 후단측에서 나사맞춤으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요입공간을 형성하는 통형 캡과, 상기 캡의 요입공간에 탄착되는 원추형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노즐의 후단 분출공을 소정 탄력으로 차단하는 볼로 이루어져, 노즐이 실린더 선단 내벽에 닿는 순간 볼이 노즐 후단을 개방하므로서 압축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1차적으로 화약폭발순간 피스톤이 밀리면서 실린더의 선단 분출공을 막은 마개를 밀어내면서 액체를 분출하고, 동시에 화약폭발가스가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며, 2차적으로는 상기 화약 폭발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이 독립적인 가압작동을 하는 특징이 있다.
즉, 2차적인 작동이라함은 화약폭발력으로 순간 이동되는 피스톤 내부의 수용된 압축가스의 분출작동을 말한다. 즉, 상기 1차 폭발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이 이동되고 동시에 피스톤에 의하여 분출중인 액체의 나머지는 피스톤의 노즐이 실린더 내벽에 접촉되는 순간 역방향 이동으로 압축가스 통로가 개방되어 피스톤내 압축가스가 순간 적으로 배압을 형성하면서 볼을 충분히 후진시켜 압축가스를 노즐의 분출공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폭발력에 의한 액체분출력에 더하여 가스압력이 작용하여 실린더 수용액체는 그 분출말기에 강한 분출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때 본 발명 피스톤의 노즐선단에는 실린더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과 동시에 수용액체를 클리어하게 밀어내게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화약 폭발전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은 크게 실린더(200)와, 피스톤(300)과, 뇌관체(400)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실린더(200)내부에는 액상분출액("a")이 충진되어 있고, 피스톤(300)내에는 소정의 2차 분출력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가스("b")가 충진되어 있고, 뇌관(420)의 내부에는 소정의 화약("c")이 채워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200)는 원추형의 원통으로 선단이 막히고, 후단이 개방된 기존 총알크기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선단에는 마개(210)로서 개폐되는 분사공(202)을 형성하고, 후방 주면일측에는 폭발가스 배기공(204)이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실린더 내주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원통형의 통체(310)로서 그 후단에서 캡(320)을 결합하여 하나의 밀폐된 통체를 이룬다.이 통체(310)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선단에 관공(314)을 형성한 플랜지부(312)를 이루고, 후단은 내주면상 나사(316)를 형성한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체(310)의 플랜지부(312)에는 상기 실린더(200)의 내벽을 타고 이동하는 도중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 형태의 밀착부재(340)가 관착된다. 이 밀착부재(340)는 실린더(200)의 분사용 액체를 밀폐하면서 압착시 누수없이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형 캡(320)은 통체(310)의 후단측에서 나사맞춤으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요입공간(322)을 형성한다.
상기 캡(320)과 상기 통체(310)으로 결합된 통체내에는 상기 캡(320)의 요입공간(322)에서 소정 높이 탄발하는 원추형의 스프링(302)이 탄착된다. 이 스프링(302)의 선단에는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볼(304)과, 상기 통체(310)내벽에서 상기 스프링(302)선단을 지지하는 오링(306)과, 고무링(308)이 설치된다.
상기 통체(310)의 상기 관공(314)에는 외측으로부터 관착되어 상기 볼(304)에 의하여 개폐되는 노즐(330)이 관착된다. 이 노즐(330)은 그 중심부상에 분출공(332)을 형성하고, 그 선단에는 플랜지(334)를 형성하며 후단부는 상기 볼(304)에 접촉유지되어 후술하는 작동으로 개폐된다.
상기 뇌관체(400)는 종래 일반적인 것과 달리 타격구멍(402)과 테두리를 형성하며, 소정폭으로 외주면을 형성하면서 그 선단은 개방된다. 이 뇌관체(400)의 내측에는 뇌관(420)이 화약을 채운 상태로 위치하며,이어서 배기공(412)과 중심돌기(414)를 형성한 구획판(410)이 끼워진다.
첨부 도면 도 3a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화약 폭발전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1차 화약폭발시의 작용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은 뇌관체(400)의 타격구멍(402)으로 발사장치의 공이를 타격함으로써 뇌관(420)의 화약("c")이 폭발한다.
화약이 폭발하면 폭발가스중 대부분은 피스톤(300)의 후단을 강하게 밀어주면서 일부는 상기 구획판(410)의 배기공(412)을 지나 돌기(414)와 상기 피스톤(300)후단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204)으로 배출된다. 그 순간 피스톤(300)은 소정길이 진행하여 실린더(200)내 충진된 분사용 액체("a")를 강하게 압착시켜준다. 이 순간 실린더(200)의 분사공(202)을 막고있던 마개(210)가 이탈되면서 실린더(200)내 분사용 액체가 분사를 시작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3c는 본 발명 가스분사기용 탄알의 피스톤의 2차 압축가스 분사상태의 작용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정길이 이동된 피스톤(300)은 이동순간 소정의 개폐작동이 일어난다.
즉, 폭발압력으로 피스톤(300)이 실린더(200) 선단 내벽에 접촉하는 순간 노즐(330)은 "α"간격만큼 후진작동을 하게 된다. 노즐(330)이 후진함에 따라 스프링(302)에 의하여 탄압되면서 노즐(330)후단을 차단하던 볼(304)이 밀려나 노즐(330)후단이 열려 피스톤(300)내 충진된 압축가스가 분출공(332)을 따라 강하게 이동되고, 분출이 정지되어 있던 피스톤(300)내 압축가스는 화약폭발력 작동이 소멸되는 폭발말기의 실린더(300)내 액체를 재차 강하게 분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피스톤(300)은 1차 화약폭발( 도 3b)로서 실린더(200)내 액체를 분사하고 이어서 2차적으로 피스톤(300)내 압축가스(도 3c)를 분사하게 된다.
특히, 2차적 압축가스 분사작용시에는 상기 실링부재(340)가 실린더(200)내주면을 타고 밀착이동되므로 분사용 액체의 누수 없이 잔유하는 액체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1차 화약의 폭발력으로 소정의 분사용 액체를 압축, 분출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피스톤에서 역이동 가능한 노즐을 이용하여 액체 분출말기에 노즐 플랜지가 실린더 내벽에 접촉하므로서 피스톤내 압축가스를 개방하여 소정 압력의 압축가스를 분출시켜 액체의 분출압력을 보강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종래 단순히 화약의 폭발력만으로 피스톤을 밀어 실린더내 액체를 분사하도록 함에 따른 폭발말기의 분사력 약화의 문제점 및 그로인한 총구 주변의 누설액체 발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 피스톤 구조에 있어 소정의 충진액체를 밀폐 수용하기위한 피스톤이 화약 폭발시의 이동력을 충분히 형성하기 위하여 밀폐구조를 도입하지 못함에 따라 충진 액체가 후방으로 누설되거나 폭발시에는 액체를 전부 밀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피스톤의 전단부에 소정의 고무실링구조를 갖추도록 하므로서 액체의 후방누설이 방지됨은 물론 폭발시에도 효과적으로 폭발려을 형성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액체가스 분사기용 탄알에 있어서,
    배기공과 중심돌기를 형성한 구획판과, 뇌관을 차례로 수용하는 뇌관체;
    상기 뇌관의 폭발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실린더내 수용액체를 압착,분출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압축가스를 개폐가능하게 수용하고, 이 수용된 압축가스로서 분출중 액체의 분출말기에 분출압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2차 분출압력 형성구조를 갖는 피스톤; 및
    원추형 선단에 마개로서 개폐되는 분사공을 형성하고, 후단은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뇌관의 폭발시 폭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을 후단주면에 형성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선단은 관공을 형성한 플랜지부를 이루고, 후단은 내주면상 나사를 형성한 개구부로 이루어진 통체와, 상기 관공에 전후진 가능하게 관착되고 그 후단은 상기 볼에 의하여 개폐 되는 분출공을 형성하고, 그 선단은 플랜지를 형성한 노즐과,상기 통체의 후단측에서 나사맞춤으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요입공간을 형성하는 통형 캡과, 상기 캡의 요입공간에 탄착되는 원추형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노즐의 후단 분출공을 소정 탄력으로 차단하는 볼로 이루어져, 노즐이 실린더 선단 내벽에 닿는 순간 볼이 노즐 후단을 개방하므로서 압축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그 선단 플랜지부에 끼워져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밀착이동 가능하게 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사기용 탄알.
KR1019980050245A 1998-11-23 1998-11-23 가스분사기용 탄알 KR10027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45A KR10027747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분사기용 탄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45A KR10027747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분사기용 탄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99A KR19990078499A (ko) 1999-11-05
KR100277470B1 true KR100277470B1 (ko) 2001-01-15

Family

ID=6594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245A KR100277470B1 (ko) 1998-11-23 1998-11-23 가스분사기용 탄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897B1 (ko) * 1999-08-19 2006-03-03 국방과학연구소 발사체
RU190453U1 (ru) * 2019-01-30 2019-07-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Пуля патрона боевого нарезного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специ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897B1 (ko) * 1999-08-19 2006-03-03 국방과학연구소 발사체
RU190453U1 (ru) * 2019-01-30 2019-07-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Пуля патрона боевого нарезного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специ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99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1369C1 (ru) Безыгольный шприц с двумя уровнями скорости инъекции
US20080119783A1 (en) Needleless injector
KR100277470B1 (ko) 가스분사기용 탄알
CN207206349U (zh) 一种多用途射钉器
RU2324887C2 (ru) Патрон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3626422B2 (ja) 液体銃および液体弾
KR101563114B1 (ko) 최루액 분사기
JP3406213B2 (ja) 模擬砲弾発射筒
KR20010001877U (ko) 가스분사기용 탄알
KR200231454Y1 (ko) 탄알형 가스분사기 약제통
KR200169770Y1 (ko) 최루액 분사장치
KR100485924B1 (ko) 연발식 가스총용 탄알
KR200243894Y1 (ko) 가스분사기용 가스실탄
KR200158992Y1 (ko) 가스분사기
KR200342913Y1 (ko) 휴대형 최루탄
KR101717364B1 (ko) 최루액 분사기
KR200209547Y1 (ko) 연발 사격 가스 분사기
KR100344583B1 (ko)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KR200171158Y1 (ko) 호신용 가스 분사기
KR20070021013A (ko) 분사기 약제통
JPH0223999Y2 (ko)
KR200180894Y1 (ko) 공기총용 카트리지
KR200301827Y1 (ko) 호신용 가스 총알
KR200400372Y1 (ko) 분사기 약제통
KR200231453Y1 (ko) 리벌버식 권총형 가스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