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897B1 - 발사체 - Google Patents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897B1
KR100555897B1 KR1019990034486A KR19990034486A KR100555897B1 KR 100555897 B1 KR100555897 B1 KR 100555897B1 KR 1019990034486 A KR1019990034486 A KR 1019990034486A KR 19990034486 A KR19990034486 A KR 19990034486A KR 100555897 B1 KR100555897 B1 KR 100555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unch unit
primer
trigger
la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518A (ko
Inventor
김원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9003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8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025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 of the case or the miss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067Mounting or locking missiles in cartridge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서, 뇌관을 구비한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를 내부에 고정시켜 수납하고 발사부의 발사를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는 상기 발사부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뇌관을 기폭시켜 주는 격발부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사부의 발사와 상기 격발부의 격발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사부를 발사하기 위한 압력이 상기 발사부로 편심없이 전달되어 각 부품의 가공정밀도 및 조립정밀도가 떨어지더라도 발사체의 동작신뢰성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발사체

Description

발사체{firing objec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격발부를 구비한 발사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발사체를 A방향에서 본 도면.
도 3a,3b,3c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발사체가 동작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사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사체를 B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상세구성을 보인 상세단면도.
도 7a,7b,7c는 본 발명에 의한 발사체가 동작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우징 53: 방출스프링
55,55': 체결나사 60: 발사부
61: 발사몸체 63: 고정몸체
64: 전단부 64': 노치
67: 뇌관 70: 격발부
71: 격발몸체 73: 공이
75: 스프링 80: 화약결합체
본 발명은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체의 발사와 발사체에 충진된 점화물을 방출하기 위한 뇌관을 동작시키는 격발부를 구비한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격발부가 구비된 발사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의 내부에 발사부(1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발사부(10)를 보호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볼트(5)와 함께 발사부(10)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발사부(10) 발사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발사부(10)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볼트(5)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화약결합체(29)의 연소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발사부(10)를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컵(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컵(7)과 발사부(10)의 사이에는 방출스프링(9)이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컵(7)과 발사부(10) 사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발사부(10)가 하우징(1)으로 분리된 이후 일정거리 사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사부(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발사부(10)의 외관은 발사몸체(11)가 형성하고, 상기 발사몸체(11)의 내부에는 발사부의 기능을 위한 점화물이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몸체(11)의 전단 중앙에는 고정몸체(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13)는 상기 하우징(1)을 관통한 고정볼트(5)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고정몸체(13)에는 상기 컵(7)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고정볼트(5)와 체결된 부분을 상기 발사부(10)와 분리시켜 상기 발사부(10)가 하우징(1)의 외부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전단부(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단부(15)의 구성은 도 1의 상세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전단부(15)는 상기 고정몸체(13)의 일측에 노치를 형성하여 상기 컵(7)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3)가 전단부(15)를 기준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격발부(20)의 격발몸체(21)와의 결합을 위한 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홈(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용볼(25)이 설치되어 격발몸체(21)를 상기 고정몸체(13)에 고정되어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발사몸체(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이(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뇌관(17)이 설치된다. 상기 뇌관(17)은 상기 발사부(1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점화물을 방출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발사부(10)가 발사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점화물이 점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연제를 사용하는데, 상기 지연제를 발화시키는 역할을 상기 뇌관(17)이 한다. 이와 같은 뇌관(17)은 적정한 힘으로 타격을 받아야 기폭이 된다.
이제 상기 뇌관(17)을 기폭하기 위한 격발부(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발사몸체(11)와 고정몸체(13)의 사이에는 격발몸체(21)가 설치된다. 상기 격발몸체(21)에는 상기 고정몸체(13)의 볼홈(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볼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홈(24)에는 고정용볼(25)이 위치된다. 상기 고정용볼(25)는 상기 격발몸체(21)의 볼홈(24)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몸체(13)의 볼홈(14)에 위치되어 상기 격발몸체(21)를 고정몸체(13)에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격발몸체(21)의 선단에는 상기 뇌관(17)을 기폭시키기 위한 공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이(22)는 상기 뇌관(17)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가, 발사부(10)가 발사되면, 상기 뇌관(17)을 가격하여 기폭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발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13)의 사이에는 격발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격발스프링(27)은 상기 고정몸체(13)로부터 격발몸체(21)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공이(22)가 상기 뇌관(17)을 타격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의 후단에는 상기 컵(7)을 구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화약결합체(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약결합체(29)는 전원을 입력받아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압을 발생시켜 상기 컵(7)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격발부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상태는 발사부(10)가 하우징(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고정몸체(13)가 고정볼트(5)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격발부(20)의 격발몸체(21)는 고정용볼(25)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3)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화약결합체(29)가 전원을 인가받아 폭발하면, 고압이 발생하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고압이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컵(7)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 컵(7)이 밀리게 되면 상기 컵(7)이 상기 고정몸체(13)의 전단부(14)를 절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단부(14)가 잘라지면서 상기 발사부(10)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사부(10)가 하우징(1)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은 상기 화약결합체(29)가 발생시킨 고압과, 압축되어 있던 방출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단부(15)가 절단되면서 상기 고정몸체(13)와 격발몸체(21) 사이의 결합시켜 주던 고정용볼(25)이 상기 볼홈(14,24)으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공이(22)가 상기 격발스프링(27)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사부(10)가 상기 압력 및 방출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과, 상기 공기(22)가 뇌관(17)을 가격하여 주는 것으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뇌관타격방식에서는 뇌관타격에 적절한 힘을 얻기 위해서 격발스프링(27)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하우징(1), 컵(7) 등의 형상과 치수 및 공이(22)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 등에 의해 편심량과 타격력이 민감하게 변화되어 뇌관 기폭동작의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발사체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위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뇌관의 점화율은 더욱더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컵(7)을 동작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화약결합체(29)가 상기 하 우징(1)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되지 않고, 이에서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하우징(1), 컵(7) 및 공이(22) 등의 치수정밀도와 조립정밀도에 따라 뇌관 기폭동작의 신뢰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작은 발세체의 경우라도 보다 정확한 뇌관기폭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격발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정밀도에 관계없이 신뢰성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뇌관격발을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뇌관을 구비한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를 내부에 고정시켜 수납하고 발사부의 발사를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는 상기 발사부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뇌관을 기폭시켜 주는 격발부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사부의 발사와 상기 격발부의 격발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발사부의 사이에는 상기 발사부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발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격발부는 상기 발사부의 후단에 고정되어 상기 뇌관을 격발시키는 것으로, 상기 발사부의 후단 일측에 안착되는 격발몸체와, 상기 격발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뇌관에 타격을 가하는 공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발사체는 발사부를 발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과 상기 발사부의 뇌관을 기폭하기 위한 구성이 모두 상기 발사부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어 발사 및 격발을 위한 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그 구성의 정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발상 및 격발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발사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50)의 내부에 발사부(60)가 설치된다. 상기 발사부(60)의 내부에는 발사부(60)의 기능을 위한 점화물이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부(6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뇌관(67)이 설치되고 고정몸체(63)가 설치되는 발사몸체(6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63)와 상기 발사몸체(61)의 체결은 각각 그 자체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사몸체(61)와 하우징(50)의 후방 내벽 사이에는 방출스프링(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출스프링(53)은 상기 발사부(60)가 하우징(50) 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발사부(60)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상기 발사부(6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사부(60)를 하우징(50)의 외부로 방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몸체(63)에는 그 일측에 전단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부(64)는 상기 고정몸체(63)를 둘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단부(64)를 둘러 노치(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력이 고정몸체(63)에 작용하면, 상기 노치(64')에 외력이 집중되면서 전단부(64)에서 절단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63)에는 상기 하우징(50)을 그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게 관통하는 체결나사(55,55')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몸체(63)는 체결나사(55,55')에 의해 상기 발사부(60)가 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63)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화약결합체(80)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배출공(63h)(도 7c참조)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사부(60)의 발사몸체(61)의 중앙에는 뇌관(6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뇌관(67)은 상기 발사부(6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점화물이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제를 발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뇌관(67)은 상기 하우징(50)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뇌관(67)을 타격하기 위한 격발부(70)가 상기 발사몸체(61)와 고정몸체(63)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격발부(70)는 격발몸체(71), 공이(73)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발몸체(71)는 그 일부가 상기 고정몸체(6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상기 발사몸체(61)에 삽입되어 상기 뇌관(6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격발몸체(71) 역시 그 중심축이 상기 하우징(50)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격발몸체(71)의 내부에는 공이(73)가 설치된다. 상기 공이(73)는 상기 격발몸체(71)의 선단으로 그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뇌관(67)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이(73)는 상기 격발몸체(71)의 내부에서 스프링(7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5)은 상기 공이(73)를 지지하여 상기 공이(73)가 적절한 힘으로 상기 뇌관(67)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격발몸체(71)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몸체(63)를 상기 체결나사(55,55')로 고정할 때, 상기 고정몸체(63)와 하우징(5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격발몸체(71)의 전단부(72)가 형성된다. 상기 격발몸체(71)의 전단부(72)는 상기 발사부(60)가 발사되는 시점, 즉 화약결합체(80)가 연소하여 발생한 가스 압력이 생성되는 시점에 절단되어, 상기 격발몸체(71)에 계속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방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의 후방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압을 발생시키는 화약결합체(80)가 구비된다. 상기 화약결합체(80)는 상기 하우징(50)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사부(60) 및 상기 격발부(70)에 편심이 없이 압력이 정확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사부(60)는 상기 화약결합체(80)의 압력에 의해 체결상태가 해지되면서 상기 방출스프링(53)의 복원력과 화약결합체(80)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5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발사부(60)가 하우징(5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화약결합체(8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약결합체(80)의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압이 발생되고, 상기 고압은 상기 하우징(50)의 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화약결합체(80)가 상기 하우징(50)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설치되었으므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은 하우징(50)의 후단 중앙을 통해 격발몸체(71)의 아래 면{공이(73)가 장착되는 단부 측의 반대 측}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화약결합체(80)에서 발생한 고압이 상기 격발몸체(71)의 아래 면에 작용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발몸체(71)의 전단부(72)가 절단되면서 상기 격발몸체(7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격발몸체(71)의 공이(73)가 상기 발사부(60)의 뇌관(67)을 타격하게 되며,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격발몸체(71)의 이동에 의해 격발몸체(71) 윗면이 상기 고정몸체(63)의 내측 아래 면을 타격한다.
상기 격발몸체(71)가 고정몸체(63)의 내측 아래 면을 타격함과 동시에 전단부(64)가 절단되면서 상기 압력과 상기 방출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사부(60)가 하우징(5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c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화약결합체(80)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상기 압력배출공(63h)을 통해 압력이 배출되어 상기 공이(73)가 상기 뇌관(67)을 지나치게 큰 힘으로 가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사부를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성에서 뇌관, 공이, 화약결합체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화약결합체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편심없이 전달되어 발사부의 발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공이가 뇌관을 정확하게 가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뇌관, 공이, 화약결합체 및 이들과 관련된 부품의 가공정밀도나 조립정밀도가 떨어지더라도 발사부의 발사동작과 공이의 가격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발사체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뇌관을 구비한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를 내부에 고정시켜 수납하고 발사부의 발사를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는 상기 발사부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뇌관을 기폭시켜 주는 격발부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사부의 발사와 상기 격발부의 격발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발사부의 사이에는 상기 발사부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는 상기 발사부의 후단에 고정되어 상기 뇌관 을 격발시키는 것으로, 상기 발사부의 후단 일측에 안착되는 격발몸체와,
    상기 격발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뇌관에 타격을 가하는 공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화약이 폭발하면서 고압을 발생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KR1019990034486A 1999-08-19 1999-08-19 발사체 KR10055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86A KR100555897B1 (ko) 1999-08-19 1999-08-19 발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86A KR100555897B1 (ko) 1999-08-19 1999-08-19 발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518A KR20010018518A (ko) 2001-03-05
KR100555897B1 true KR100555897B1 (ko) 2006-03-03

Family

ID=1960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486A KR100555897B1 (ko) 1999-08-19 1999-08-19 발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55B1 (ko) 2013-11-08 2014-01-29 국방과학연구소 중량물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397A (en) * 1988-10-21 1990-11-13 Rheinmetall Gmbh Grenade-type projectile
JPH03175300A (ja) * 1989-12-01 1991-07-30 J A C Planning:Kk 遊戯銃用擲弾
KR960040391A (ko) * 1995-05-15 1996-12-17 조상현 산불진화용 소화 로켓트탄
KR100277470B1 (ko) * 1998-11-23 2001-01-15 강재봉 가스분사기용 탄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397A (en) * 1988-10-21 1990-11-13 Rheinmetall Gmbh Grenade-type projectile
JPH03175300A (ja) * 1989-12-01 1991-07-30 J A C Planning:Kk 遊戯銃用擲弾
KR960040391A (ko) * 1995-05-15 1996-12-17 조상현 산불진화용 소화 로켓트탄
KR100277470B1 (ko) * 1998-11-23 2001-01-15 강재봉 가스분사기용 탄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55B1 (ko) 2013-11-08 2014-01-29 국방과학연구소 중량물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518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7766A (en) Follow-thru grenade for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US4488490A (en) Percussion initiated spotting charge
US8413586B2 (en)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US5872324A (en) Trimode fuze
SE526293C2 (sv)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avlägsna en stenmassa i en gruva
US4333400A (en) Two stage parachute fuze recovery system
US3490373A (en) Self-destructing rocket propelled grenade
US5889227A (en) Safety mechanism for preventive premature detonation of an explosive projectile
EP0513231B1 (en) Silent stud gun attachment device
US3808972A (en) Dual function bomb
US5591935A (en) Shock sensing dual mode warhead
KR100555897B1 (ko) 발사체
EP1210563B1 (en) Detonator
US4697524A (en) After-firing safety
US3491693A (en) Rifle grenade capable of being fired by conventional ammunition
US3630152A (en) Safety fuse with time and impact action
KR101879944B1 (ko) 지연장전부와 격침부 사이의 기폭정렬이 보장되는 충격신관
US4421033A (en) Exercise projectile
RU2211437C1 (ru) Головной взрыватель
US5612505A (en) Dual mode warhead
US11193742B2 (en) Door breaching projectile
KR101924971B1 (ko) 점화 지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거리 연장탄
US3788229A (en) Fuse for non-gyratory missiles
US3611941A (en) Igniting device
US3961578A (en) Point-detonating projectile fu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