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12Y1 - 최루탄 - Google Patents

최루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12Y1
KR200235712Y1 KR2020010008487U KR20010008487U KR200235712Y1 KR 200235712 Y1 KR200235712 Y1 KR 200235712Y1 KR 2020010008487 U KR2020010008487 U KR 2020010008487U KR 20010008487 U KR20010008487 U KR 20010008487U KR 200235712 Y1 KR200235712 Y1 KR 200235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gas
ammunition
gas
tea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2020010008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12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루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은, 내부에 최루가스가 내장되고, 발사 수초 후에 터지면서 내부의 내루가스가 외부로 퍼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추진탄약부로 구성되고; 추진탄약부는, 공이의 격발에 의하여 터지는 뇌관부와, 상기 뇌관부에 의하여 점화되어 상기 몸체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화약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진탄약부의 후단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성형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최루탄용 총기의 장전부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하여 별도로 휴대하던 탄약이 필요없게 되어, 보다 손쉬운 취급 및 사용이 가능한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최루탄{Bullet having tear off gas therein}
본 고안은 시위진압용 또는 테러진압용 등으로 사용되는 최루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사용이 편리한 최루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루탄은 테러 또는 시위진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이러한 최루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서 일반적인 최루탄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최루탄은, 최루탄을 발사하는 총(엽총)의 총열 전단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어댑터에 장전되어 발사되고, 발사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최루가스 또는 최루분말이 폭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최루탄은, 내부에 최루가스가 충진된 원통형의 파이프(10)와 상기 파이프의 개구된 전단부를 막고 있는 캡(12), 그리고 화약(18)를 내장하는 내통(20)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10)의 후단부에는 후단부캡(14)이, 파이프의 후단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캡(14)에 있어서 파이프의 내측을 향하는 중심부분에는, 타이밍화약(16)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화약(16)은 실질적으로 내부의 화약(18)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도면부호 30으로 도시한 것은 최루탄을 발사하는 총(엽총)에 사용되는 탄환이다. 이러한 탄환(30)은, 일반적인 탄환과 거의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탄피(31) 내부에 추진화약(34)이 내장되어 있다. 추진화약은, 상술한 최루탄을 일정한 거리까지 비행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타이밍화약(16)을 점화시키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추진화약(34)을 점화시키기 위한 뇌관부(32)가 탄환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환(30)은, 실질적으로 최루탄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총의 전방부분에 장착된 어댑터에 최루탄을 장전한다. 그리고 총의 내부에는 상기 탄환(30)을 별도로 장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총을 격발하게 되면 상기 탄환(30)의 뇌관부(32)가 폭발하면서, 추진화약(34)이 점화된다. 이러한 추진화약(34)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으로, 좌측에 도시한 최루탄이 일정한 거리까지 날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루탄이 발사되기 이전에, 추진화약(34)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한 불꽃이, 총의 총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총열의 전단부에 장착된 어댑터에 장전되어 있는 최루탄의 타이밍화약(16)을 점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루탄의 발사와 동시에 상기 타이밍화약(16)이 점화되고, 이러한 점화불꽃은 타이밍화약(16)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고, 결국은 화약(18)을 폭발시키게 된다. 이렇게 화약(18)을 폭발시키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예를 들면 몇초에 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실질적으로 최루탄의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화약(18)이 폭발하게 되면, 파이프(10)의 내부에 충진된 최루가스(22) 외부로 폭발시키게 되어, 시위 또는 테러 진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최루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제기된다.
먼저 사용자(예를 들면 시위진압자)는, 최루탄과 탄환(30)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별도로 장전한 후 격발시키여 하는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최루탄을 발사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탄환(30)을 별도로 휴대하고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 및 이동, 그리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및 이동 그리고사용이 보다 간편한 최루탄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탄약(30)과 최루탄이 별도로 제공되어 사용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추진용 화약을 가지는 탄약부를 최루탄과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이 보다 간단해질 것이고,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최류탄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의 분리상태 예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의 장전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02 ..... 파이프
110 ..... 최루가스 120 ..... 후단캡
122 ..... 타이밍화약 140 ..... 추진탄약부
144 ..... 추진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은, 내부에 최루가스가 내장되고, 발사 수초 후에 터지면서 내부의 내루가스가 외부로 퍼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추진탄약부로 구성되고; 추진탄약부는, 공이의 격발에 의하여 터지는 뇌관부와, 상기 뇌관부에 의하여 점화되어 상기 몸체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화약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진탄약부의 후단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성형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최루탄용 총기의 장전부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하여 별도로 휴대하던 탄약이 필요없게 되어, 보다 손쉬운 취급 및 사용이 가능한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의 분리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케이싱을 형성하도록 파이프(102)와 캡(104)로 구성되는 몸체(100)의 내부에는 최루가스(110)(가스 또는 분말 상태의 것을 모두 포함한다)가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개구된 후단부는 후단캡(120)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단캡(120)의 중심부분에 성형된 연결공(121)에는 타이밍화약(122)이 내장되어 있다. 타이밍화약(122)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루탄의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 화약(128)을 폭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단캡(120)은,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의 오목한 홈(124)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화약(122)의 전방부분에는 화약(128)을 내장하고 있는 화약커버(126)이 설치된다. 상기 화약(128)은 타이밍화약(122)에 의하여 점화되어 폭발하면서, 최루가스(110)을 몸체(100)의 외부로 퍼뜨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몸체(100)의 후단부에는 추진탄약부(140)가 부착되어 일체화된다. 추진탄약부(140)는 최루탄 전체를 일정 거리 비행시키기 위한 추진화약(144)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화약(144)의 후단부에는 공이의 격발에 의하여, 터지는 뇌관부(142)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진화약(144)은, 전방으로 연장성형된 리브(146)의 내부에 모인 상태로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뇌관부(142)가 성형되어 있는 후면에는, 플랜지부(148)가 방사상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다.
상기 추진탄약부(144)의 리브(146)의 외주면은, 상기 후단캡(120)에 성형된 홈(124)의 내주면에 접촉상태로 조립된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리브(146)의 외주면과 몸(124)의 내주면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이들의 접착은 추진화약(144)의 점화에 의하여 다시 분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접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양자를 서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도 3을 같이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최루탄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한 총에 장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의 편의상 총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고, 최루탄이 장전되는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최루탄이 장전된 상태에서는, 추진탄약부(144)의 후단부에 성형된 플랜지부(148)가 총의 장전부(150)의 걸림턱(15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전부(150)는, 실질적으로 총열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총의 공이가 뇌관부(142)를 때리게 되면, 추진화약부(144)가 폭발하게 된다. 그리고 추진화약의 폭발에 의하여 몸체(100)가 앞으로 나가게 되는데, 이 때 상술한 추진탄약부(140)는 장전부(150)의 걸림턱(15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몸체(100) 만이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추진화약부(144)의 폭발과 같이, 타이밍화약(122)이 점화된다. 점화된 타이밍화약(122)은 전방으로 점점 타들어가면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화약(128)이 폭발하게 된다. 따라서 화약(128)이 폭발하게 되는 것은, 최루탄의 발사후, 몇초후가 될 것이다. 상기 화약(128)이 폭발하게 되면, 몸체(100) 내부에 들어있는 최루가스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정의 최루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가스를 내장한 몸체(100)와 이러한 몸체를 추진시키는 추진화약부(144)가 내장된 추진탄약부(140)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최루탄 자체에 추진탄약부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탄환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보다 간단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최루가스가 내장되고, 발사 수초 후에 터지면서 내부의 내루가스가 외부로 퍼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추진탄약부로 구성되고;
    추진탄약부는, 공이의 격발에 의하여 터지는 뇌관부(142)와, 상기 뇌관부에 의하여 점화되어 상기 몸체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화약부(1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탄약부의 후단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성형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최루탄용 총기의 장전부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KR2020010008487U 2001-03-27 2001-03-27 최루탄 KR200235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87U KR200235712Y1 (ko) 2001-03-27 2001-03-27 최루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87U KR200235712Y1 (ko) 2001-03-27 2001-03-27 최루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12Y1 true KR200235712Y1 (ko) 2001-10-18

Family

ID=7309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87U KR200235712Y1 (ko) 2001-03-27 2001-03-27 최루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644B1 (ko) * 2017-05-12 2018-08-07 휴먼스화공(주) 다목적 유탄 발사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644B1 (ko) * 2017-05-12 2018-08-07 휴먼스화공(주) 다목적 유탄 발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735B2 (en) Device for the disruption of explosive ordnance
US2426239A (en) Rocket shell
KR100843573B1 (ko) 탄약
US5107766A (en) Follow-thru grenade for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NZ215357A (en) Munition for grenade launcher; projectile threaded to primer charge holder in plastics base
US3696749A (en) Expendable case with vented base cap
KR20020091832A (ko) 발사체
RU2336488C2 (ru) Сборка стволов с трубчатыми снарядами для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US6324984B1 (en) Payload mechanism for low impulse cartridges
US7802520B2 (en) Drag minimizing projectile delivery system
JP4518425B2 (ja) 速射型火器
US5686686A (en) Hand emplaced underwater mine penetration system
US6955125B1 (en) Practice projectile with smoke signature
CN111043913A (zh) 一种枪发子母型爆震弹
KR200235712Y1 (ko) 최루탄
NO148604B (no) Brannbestandig lett skillevegg for rom i bygninger
KR940004649B1 (ko) 폭발탄체를 갖춘 산탄총 카트리지
KR102041829B1 (ko) 분할 기폭을 위한 안전 노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로켓탄, 이를 이용한 수류탄, 이를 이용한 다목적탄
US11287236B1 (en) Training cartridge with day/night/thermal visible signature
EP0084095B1 (en) Ballistic propulsion system for rifle grenades and similar projectiles
JP2014163577A (ja) 焼尽容器、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モジュール式発射装薬
US10895442B1 (en) Simulated explosive device for combat training
US2913983A (en) Rocket motor
KR101924971B1 (ko) 점화 지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거리 연장탄
KR960040391A (ko) 산불진화용 소화 로켓트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