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095A -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095A
KR19990072095A KR1019980704405A KR19980704405A KR19990072095A KR 19990072095 A KR19990072095 A KR 19990072095A KR 1019980704405 A KR1019980704405 A KR 1019980704405A KR 19980704405 A KR19980704405 A KR 19980704405A KR 19990072095 A KR19990072095 A KR 1999007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gnition
line
ignition device
log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528B1 (ko
Inventor
마르텐 스바르트
게르하르트 마더
안톤 안토퍼
프랑크 마이어
디터 자이트처
Original Assignee
헬무트 슈베르트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빌헬름 에핑, 디터 라인하르트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슈베르트,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빌헬름 에핑, 디터 라인하르트,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헬무트 슈베르트
Publication of KR1999007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47Architecture
    • B60R2021/01054Bus
    • B60R2021/01075Bus between the airbag control unit and pyrotechnic fuses or equivalent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102Transmission method
    • B60R2021/01115Transmission method specific data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에서의 구속장치를 트리거하는 장치로서, 점화장치(3)는 라인(2)을 경유하여 평가장치를 갖는 로직회로(33)에 연결된다. 점화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직류신호(U)는 라인(2)으로 입력된다.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류신호(ΔU)는 부가하여 직류신호(U)에 중첩되어, 평가장치(1)로부터 점화장치(3)로 전송된다.

Description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이러한 장치(EP 0 471 871 B1)는 평가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가 평가된다. 자동차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다수의 점화장치는 라인/버스를 통해 평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평가장치는 메시지를 포함하며 점화장치의 로직회로에서 평가되는 교류신호를 점화장치에 공급한다. 각 점화장치는 구속장치의 점화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점화장치를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라인을 통해 점화장치에 공급하는 것이 제안된다.
어디서든 통례인 공지의 데이터 전송기술은 코드신호를 갖는 고주파수 캐리어신호의(진폭, 위상 또는 주파수)변조이다. 그러나, 구속장치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공지된 장치에 그러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적용한다는 것은 불리하다. 왜냐하면, 변조된 캐리어신호는 점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송된 전력의 데이터 의존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전력공급을 보장하기는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그러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나, 내부 에이리어(alia), 구속장치를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은 대단히 짧은 데이터 전송시간에 전송되므로, 구속장치(에어백, 벨트 리트랙터(retractor) 등)의 정확히 타이밍된 트리거링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높은 데이터 속도는 높은 캐리어 주파수를 요구한다. 하지만, 선택된 캐리어 주파수가 높을수록 라인으로부터의 방사방해는 강해진다. 전기회로상 강한 방사방해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향은 점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상당한 양의 전력이 변조된 캐리어 신호와 함께 전송됨에 의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자동차의 구속장치를 트리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및 그의 개선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평가장치에 의하여 라인 상으로 신호가 도입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3은 평가장치와 점화장치 사이의 라인상의 예시적 신호를 도시하고,
도 4는 점화장치내 신호의 추출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자동차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도 7은 라인에 연결된 두 점화장치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8은 예시적 메시지에 의하여 부호화된-두 위상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을 통해 전력 및 데이터를 점화장치로 전송함을 가능케 하여, 높은 데이터 속도를 가능케 하며 동시에 안전성에 중요한 장치 상에 방사되는 방해를 낮게 유지케 하는 방법으로 공지된 장치를 보다 더 개선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라인을 통해, 정전 직류신호가 점화장치로 공급되며, 그의 로직회로는 직류신호로 동작된다. 교류신호 형태의 메시지는 평가장치에서 점화장치로 동일 라인을 통해 전송되며, 그 과정에서 직류신호에 추가적으로 중첩된다. 점화장치는 점화장치로 전송되는 합성신호에서 교류신호 및 직류신호를 추출하는 필터회로를 포함한다. 교류신호를 평가하는 로직신호는 이끌어낸 직류신호로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의 전송 중, 데이터 전송속도는 캐리어 신호의 한계 주파수와 독립적이다. 그 결과, 트리거 명령은 평가장치에서 점화장치로 대단히 빨리 전송될 수 있다. 직류신호의 진폭에 비교하여 교류신호의 진폭이 낮기 때문에, 방사방해는 심지어 교류신호의 고주파수에서도 무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신호의 전송은 장치의 동작 중 전력의 균일하고 연속적인 전송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개선에서, 점화장치는 정류회로를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직류신호가 로직회로에 공급된다. 동시에, 교류신호내의 다른 캐릭터는 동일한 주파수이지만 다른 위상 관계를 가진다. 자동차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점화장치들은 케이블 하니스(harness)에 의해 평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 하니스는 원 플러그-타입 커넥터(one plug-type connector)에 의해 평가장치에 그리고 점화장치에 기계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조립중, 주의 부족으로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가 잘못된 방향 회전으로 플러그 결합될 수 있어서, 그 결과 점화장치의 소자들에 대해 리버스된 전극으로 되어 그들의 파괴로 이어진다. 아는 바와 같이,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어유닛내의 고가의 "극 리버스 보호" 회로는 제어유닛이 그러한 잘못 플러그된 플러그-타입 연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아준다.
전술한 점화장치의 개선과 함께 정류회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점화장치로 전송하는 방법과 교류신호의 전송을 위한 코딩방법으로서 소위 두 위상(diphase) 방법에 의해, 점화장치는 플러그-타입 커넥터가 트리거링 패스에서 잘못 플러그될 경우 파괴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독창적 장치가 조립될 때 더 이상 플러그-타입 연결의 극성에 주의하지 않아도 되도록 점화장치의 동작성능은 완전하게 유지된다. 정확히 극화된 직류전압 신호를 갖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정류회로는 점화장치로의 전력공급을 확실히 한다. 교류신호용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전술한 코딩방법의 이용에 의하여, 점화장치용 교류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는 리버스된 극성을 갖는 플러그-타입 연결이 존재한다 하더라고 완전하게 유지되며: 제안된 코딩방법은 교류신호내의 정보가 하이/로우(1/0) 레벨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극 변화 즉 각각의 전송된 캐릭터의 위상관계에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릭터의 세트는 이진수이고, 캐릭터 제로(zero) 및 원(one)은 서로에 대해 180°위상 시프트되어 있다.
한편, 코딩 룰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각 교류신호는 제로의 평균값을 가지며, 그 결과 전송된 전력은 단지 라인상의 직류신호에 의존한다. 교류신호가 평균값을 가진다면, 이는 시간상에서 변동하는 전력전송의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독창적인 균일 전력전송을 보증함으로써 점화장치의 모든 소자 그리고 특히 점화소자 및 점화 커패시터는 비교적 큰 소자 허용오차를 가질 수 있다. 덧붙여, 제안된 코딩 방법으로 인하여, 로직회로에 기초를 제공하는 클럭 주파수는 전송된 교류신호에서 점화장치에 의해 쉽게 이끌어내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클럭을 재생하기 위한 점화장치 내의 추가적인 회로 비용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유익한 개선은 다른 종속청구항에서 특징 지워진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로 레이블되어 있다. 도1,2,4 및 7의 참조부호 중 몇몇은 그들 뒤에 F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참조부호를 갖는 구성요소들은 회로의 컴포넌트들/엘리먼트들과는 대조적으로 블록 회로도에서 주로 기능 블록들이다. 컴포넌트들/엘리먼트들을 기능 블록에 명백하게 할당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참조부호들의 계층적 분류는 처음부터 불필요하다.
도 1은 라인(2)을 경유하여 점화장치(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가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평가장치(1)는 연산장치(11F), 진단장치(13F), 버스 결합장치(14F), 수신장치(16F), 전송장치(15F) 및 전력공급장치(12F)를 포함한다. 점화장치(3)는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 전력관리시스템(31F), 전력예비기(33F), 트리거(34F), 진단장치(35F) 및 비휘발성 메모리(36F)를 포함한다. 점화장치(3)는 점화소자(4)에 도전적으로 연결된다.
전력공급장치(12F)는 평가장치(1)의 연산장치(11F) 및 모든 다른 기능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장치(미도시)에 공급된 신호는 연산장치(11F)에서 평가된다. 적어도 연산장치(11F)의 기능적 성능은 진단장치(13F)에 의해 점검된다.
평가장치(1)는 라인(2)을 통해 부호화된 교류신호(ΔU) 형태의 메시지를 점화장치(3)에 공급한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 인코드된 트리거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점화장치(3)로 하여금 점화소자(4)를 동작하게 한다. 메지시는 또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지막 트리거 결정이 평가장치(1) 자신, 평가장치(1)의 상태정보 또는 심지어 트리거 장치(3)를 위한 명령 이전에 행해진 경우, 그에 응답하여 진단장치(35F)는 상태 데이터를 점화장치(3)에 공급하며, 그 데이터는 이어서 라인(2)을 통해 점화장치(3)에서 평가장치(1)로 전송되어 평가장치(1)에서 평가된다. 평가장치(1)의 블록들(16F, 15F)은 코드 교류신호의 형태의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을 특징짓는다. 데이터의 평가 및 컴파일은 연산장치(11F)에서 일어나며, 이는 평가루틴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평가장치(3)를 갖는 통신 시퀀스의 고차 레벨을 위한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로 역할한다. 이 실시례에서, 도 1의 기능 블록들(14F, 15F, 16F)은 하드웨어에 가까운 평가장치(1)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레벨을 특징짓는다.
직류신호(U)는 전력공급장치(12F)에 의해 라인(2)으로 입력된다. 평가장치(1)에 의한 직류신호(U)의 입력은 유익하다. 왜냐하면, 평가장치(1)는 어떤 경우에서든 전력공급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직류신호(U)는 평가장치(1)의 타측의 라인(2)으로 입력될 수 있다.
직류신호(U)가 라인(2)으로 입력되기 전에, 직류신호(U)는 회로기술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교류신호(ΔU)는 모든 경우에서 직류신호(U) 상에 추가적으로 중첩된다. 합성신호(U, U+ΔU)는 전압으로서 라인(2)의 두 컨덕터(21, 22) 사이에 인가된다. 여기서, 직류신호(U)는 장치의 전 동작 시간 동안 즉 장치가 가동되고 있는 동안 라인(2)에 인가된다.
점화장치(3)에서,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는 합성신호(U, U+ΔU)에서 교류신호(ΔU)의 유도와 그것의 디코딩, 프로세싱 그리고 적절한 경우 명령의 제어신호로의 변환을 수행한다.
전력관리시스템(31F)은 합성신호(U, U+ΔU)에서 직류신호(U)를 추출하여 여러 회로소자 특히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에 전력을 공급한다. 덧붙여, 전력관리시스템(31F)은 점화 소자(4)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을 가용케 하는 전력예비기(33F)를 가동시킨다. 이 전력예비기(33F)는, 비록 라인(2)을 통한 전력의 전송이 방해를 받는다 하더라고, 적어도 짧은 시간동안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를 동작시키는 데 사용될 수 도 있다.
정확하게 전송된 트리거 명령이 검출된 경우,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는 트리거(34F)를 가동시켜 전력이 전력 예비기(33F)에서 점화소자(4)로 전송되도록 한다. 덧붙여, 두방향 통신 인터페이스(32F)는 진단장치(35F)로 하여금 점화장치(3)의 컴포넌트 및 엘리먼트의 동작 성능을 점검하도록 하며, 그리고/또는 측정을 수행한다. 진단, 평가 그리고 코딩/디코딩 룰은 비휘발성 메모리(36F)에 저장된다.
도 2는 신호성분(ΔU, U)을 라인(2)으로 입력하는 블록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메시지는 불변으로 전송되는 직류신호(U) 상에 교류신호(ΔU)로 추가적으로 중첩된다(143F).
도 3은 라인(2)상의 예시적 합성신호(U'= U+ΔU)를 도시하고 있다. 평가장치(1)나 점화장치(3)가 어떤 전송요구도 하지 않는 경우, 단지 직류신호(U)만이 라인(2)상에 존재한다. 직류신호(U)의 주파수편이와 비교하여, 교류신호(ΔU)의 주파수편이는 고도의 방사방해를 피하기 위하여 작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교류신호(ΔU)의 주파수편이는 직류신호(U) 편이의 20 퍼센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 퍼센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라인 상에서 전송되는 합성신호(U'=U 또는 U+ΔU)에서 직류신호(U)의 그리고 교류신호(ΔU)의 추출에 관한 블록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직류신호(U)는 전력추출기능 블록(311F)에서 추출된다. 이와는 별도로, 데이터는 데이터추출기능 블록(321F)에서 추출되고 그리고 나서 증폭되고 디코드된다(322F).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3)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점화장치(3)내에 절연저항(34)이 라인(2)의 각 컨덕터(21, 22)와 직렬로 배열된다. 절연저항(34)은 커패시터(C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절연저항(34)은 또한 브리지 정류기(321)로 설계된 정류회로(32)의 입력들과 연결되고, 그의 출력들은 차례로 제어 가능한 스위칭수단(3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정류회로(32)의 한 출력은 절연 다이오드(36)를 통해 점화 커패시터(37)에 연결되고, 정류회로(32)의 다른 출력은 거기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점화 커패시터(37)의 단자들은 각 경우에 또 다른 하나의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8)을 통해 로직회로(33)에, 두 진단장치(39)에, 그리고 점화소자(4)에 연결되어 있다. 절연저항(34)은 커패시터(C2)와 연산 증폭기를 통해 로직회로(33)에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절연저항(34)은 예를 들어 점화소자(4)의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점화장치(3)내 단락회로의 결과로 전 버스 시스템(라인(2))이 단락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아직 동작되지 않은 점화소자들을 나중에 동작시키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덧붙여, 점화소자(4)가 점화 커패시터(37)로부터 동작될 때, 절연저항(34)은 전류가 라인(2)을 통해 점화장치(3)로부터 흐르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절연저항(34)은 커패시터(C1)와 함께 저전송 필터를 형성하며, 이는 전송된 합성신호(U, U+ΔU)에서 고주파수 간섭 성분을 필터해 내기는 하지만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류신호(ΔU)의 주파수를 필터해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합성신호(U, U+ΔU)는 커패시터(C1)의 단자에 계속 존재하게 된다. 그 후, 합성신호(U, U+ΔU)는 브리지 정류기(321)에 의해 정류된다. 따라서, 점화장치(3)의 입력에서 극성이 역전될 경우에도 브리지 정류기(321)의 다운스트림인 점화장치(3)의 회로소자에서는 항상 정확히 극화된 합성신호(U, U+ΔU)가 존재한다.
절연 다이오드(36)는 저전송 필터로서의 전력 저장 커패시터(37)와 주파수 의존 저항으로서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절연 다이오드(36) 대신에, 어떤 다른 주파수 의존 저항이 사용될 수 있다. 절연저항(34)은 또한 저전송 필터의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저전송 필터는 또한 점화장치(3)로 입력되는 고주파수 방사에 대한 EMC 보호로서 역할한다.
합성신호(U, U+ΔU)에서 정확한 극성을 갖고 추출되는 직류신호(U)는 점화 커패시터(37)의 단자에 존재하며, 그 결과 점화 커패시터가 충전된다. 게다가, 로직회로(33)와 진단장치(39)는 직류신호(U)로 동작한다.
절연저항(34)의 다운스트림, 합성신호(U, U+ΔU)는 탭되어(tapped), 그것의 출력이 연산증폭기(OP)에 의해 사각형파 신호로 변환되는 교류신호(ΔU)를 공급하는 커패시터(C2) 형태의 고전송 필터로 공급된다. 그 결과 교류신호(ΔU)는 로직회로(33)에 가용된다. 이리하여, 커패시터(C2), 절연 다이오드(36) 및 점화 커패시터(37)는 합성신호(U, U+ΔU)에서 한편으로는 교류신호(ΔU)를, 다른 한편으로는 직류신호(U)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회로(31)를 형성한다. 그리고 절연저항(34)은 또한 저전송 특성의 원인이 된다.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류신호(ΔU)는 로직회로(33)에서 디코드되고 평가된다. 적절하다면, 계산이 행해지며, 측정이 행해지며, 또는 그 밖의 다른 스위칭 수단(38)이 점화소자(4)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가동된다.
메시지가 점화장치(3)에서 평가장치(1)로 전송되는 경우,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은 로직회로(33)에 의해 동작된다.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에 의해, 라인(2)의 두 컨덕터(21, 22)는 절연저항(34)을 통해 단락되며, 그 결과 전류는 두 컨덕터(21, 22), 절연저항(34) 및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을 통해 흐른다. 전류의 이러한 흐름은 평가장치(1)에서 검출되고 평가된다. 따라서, 다수의 캐릭터로 구성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은 비트 패턴을 이용하는 로직회로(33)에 의해 가동된다. 데이터의 백워드 전송을 위한 이러한 전류변조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특히 유익하다. 왜냐하면, 단지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만이 로직회로(33)에 의해 가동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백워드 전송 방법에서, 점화장치(3)로부터 전력이 유도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 평가장치(1)에서 점화장치(3)로의 전력전송은 방해된다. 따라서 백워드 전송을 위한 추가적 전력은 불필요하다. 이러한 이점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전력이 평가장치(1)에서 점화장치(3)로 전송되며, 점화장치(3)에서 소정량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신호의 백워드 전송을 위한 하나의 필요조건은 직류신호(U)가 라인에 인가되는 것이다.
백워드 신호(ΔR)는 커패시터(C2)에 의한 로직회로(33)에 의해 한번 더 읽혀지고 점검될 수 있다. 따라서, 로직회로(33)에 의해 읽혀져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는 백워드 신호(ΔR)는 한번 더 전송된다.
절연 다이오드(36)는 점화장치(3)에서 평가장치(1)로의 메시지 백워드 전송 동안의 저전송 필터링을 위하여 사용될, 즉 라인(2)이 절연저항(34)을 통해 단락될 때뿐만 아니라 단락된 라인(2)을 점화장치(3)의 다른 회로소자들과 격리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및/또는 전력의 포워드 및 백워드 전송의 설계에 의하여, 장치는 그것의 방사방해와 소자상의 비용의 견지에서, 그리고 소자의 다중사용의 견지에서 최적의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은 정류회로(32)와 로직회로(33) 사이에 배열되며, 그 결과 점화장치(3)의 입력에서의 부정확한 극성의 경우에도 평가 및 점화장치(1과 3) 사이의 통신은 나쁘게 영향받지 않는다. 여기서, 점화장치(3)에서 평가장치(1)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다른 캐릭터가 동일 주파수이지만 다른 위상 관계를 가지는 방식으로 인코드된다.
진단장치(39)는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8)에 존재하는 점화전압의 측정을, 그리고 점화소자의 저항 측정을 수행한다. 게다가,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8)의 동작 성능은 점검되고, 점화회로(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8)과 점화소자(4)를 경유하는 스위칭 패스)에서의 누설저항이 측정된다. 측정결과는 평가장치(1)로 전송되며, 그러나 로직회로(33) 자체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적어도 전처리될 수 있다. 로직회로(33)의 동작 성능은 부분에 대하여 평가회로(1)에 의해 점검될 수 있다.
도 6은 자동차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점화장치(3) 및 평가장치(1)를 포함하는 그의 소자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라인(2)은 버스 시스템으로서 표현된다.
도 7은 블록 회로도로서 도 6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각 점화장치(3)는 다음의 기능 블록들, 즉 전력 추출(311F), 데이터 추출(323F) 및 데이터 입력(322F)을 포함한다. 한편, 점화장치(3)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 자동차의 한 지점에서, 각각 데이터가 입력되고(142F) 전력이 입력된다(141F).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평가장치(1)에서 전환된다.
도 8은 전송되고 각각의 캐릭터로 구성되는 메시지에 관하여 소위 부호화된 두위상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8a는 클럭 주파수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가지고 메시지가 도 8b에 따라 전송된다. 도8c는 메시지가 종국적으로 전송되는 포맷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b에 따른 캐릭터(0/1)는 부호화된 두위상 방법에 의하여 도8c에 따른 캐릭터(0/1)로 전환된다. 전송된 제로(zero)와 원(one)은 동일 주파수를 가지지만 서로 180°위상 시프트된다. 예를 들어, 캐릭터 제로(zero)가 전송되는 경우, 이는 먼저 전송된 캐릭터의 그것과 반대 위상 관계를 가지고 보내진다. 이는 제로(zero) 동안에는 극성에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원(one)은 극성에 있어 변화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딩 룰은, 극성이 스위치될 때 예를 들어 도8c의 +U가 -U와 교환될 때, 메시지 그리고 정보가 소실되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왜냐하면, 전송된 신호에 있어 극성의 변화가 중요한 것이지 캐릭터의 극성/진폭이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코딩 방법은 또한 두위상 코드 또는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Claims (10)

  1.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충격신호가 평가되는 평가장치(1); 자동차내 상기 평가장치(1)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며 라인(2)을 경유하여 상기 평가장치(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점화장치, 및 상기 평가장치(1)에서 상기 점화장치(3)로 전송되며 상기 점화장치(3)의 로직회로(33)에서 평가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류신호(ΔU); 상기 점화장치(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구속장치의 점화소자(4); 및 상기 점화소자(4)를 점화하기 위한 가용전력을 생성하는 상기 점화장치(3)내의 점화커패시터(37)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구속장치를 트리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회로(33)를 작동하기 위한 직류신호(U)가 상기 라인(2)으로 입력되고;
    상기 교류신호(ΔU)는 부가적으로 상기 직류신호(U)로 전송되고; 그리고
    상기 점화장치(3)는 상기 전송된 합성신호(U, U+ΔU)로부터 상기 직류신호(U) 및 상기 교류신호(ΔU)를 유도해 내는 필터회로(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3)는 상기 직류신호(U)를 상기 로직회로(33)로 공급하는 정류회로(32)를 포함하고, 교류신호(ΔU)의 이종 캐릭터(different character)는 동일주파수이지만 다른 위상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2)은 2-와이어 라인(21,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32)는 브리지 정류기(3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3)는 상기 라인(2)과 직렬로 배열된 고 임피던스 절연저항(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3)는 상기 로직회로(3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스위칭 수단(35)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라인(2)의 두 컨덕터(21, 22)는 적어도 상기 절연저항(34)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3)는 상기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과 상기 로직회로(33) 사이에 절연 다이오드(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8.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스위칭 수단(35)은 상기 정류회로(32)와 상기 로직회로(3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리턴 신호(ΔR) 형태의 메시지가 상기 점화장치(3)에서 상기 평가장치(1)로 상기 절연저항(34)을 경유하는 전류 흐름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흐름은 상기 스위칭 수단(35)의 교호 작용에 의해 상기 라인(2)에서 야기되며, 상기 리턴신호(ΔR)의 이종 캐릭터는 동일주파수이지만 다른 위상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신호(ΔU)는 서로에 대해 180°위상 시프트된 두 개의 이종 캐릭터(0/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KR10-1998-0704405A 1995-12-12 1996-12-11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KR10046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19696.3 1995-12-12
DE29519696 1995-12-12
DE19622685.6 1996-06-05
DE19622685A DE19622685C2 (de) 1995-12-12 1996-06-05 Anordnung zum Auslösen eines Rückhaltemittels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095A true KR19990072095A (ko) 1999-09-27
KR100469528B1 KR100469528B1 (ko) 2005-03-16

Family

ID=801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405A KR100469528B1 (ko) 1995-12-12 1996-12-11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9528B1 (ko)
DE (1) DE19622685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330A (ko) * 2012-01-24 2014-09-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탑승자 보호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0999B1 (de) 1999-05-07 2007-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enübertragungssystem,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und Datenübertragungsverfahren
DE19950655C2 (de) * 1999-10-21 2001-08-16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auf eine Versorgungsgleichspannung aufgelagerten Signalübertragung in einem Bussystem
DE10005785C1 (de) * 2000-02-10 2001-09-06 Siemens Ag Anordnung zum Auslösen eines Rückhaltemittels in einem Kraftfahrzeug
DE10012862B4 (de) * 2000-03-16 2006-02-02 Siemens Ag Steuersystem zur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115410A1 (de) 2001-03-29 2002-10-24 Bosch Gmbh Robert Busstation zum Anschluß an ein Bussystem für Rückhaltemittel und/oder Sensoren
DE10303079A1 (de) * 2003-01-27 2004-04-22 Siemens Ag Synchronisisationsanordnung und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DE102004015125B4 (de) * 2004-03-27 2017-09-1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1335C1 (en) * 1988-09-15 1990-01-11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De Trigger circuit for a device for protecting occupants of a vehicle
EP0471871B1 (de) * 1990-08-22 1994-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von Geräten für den Insassenschutz in einem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330A (ko) * 2012-01-24 2014-09-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탑승자 보호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22685A1 (de) 1997-09-18
DE19622685C2 (de) 2003-06-12
KR100469528B1 (ko)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9186C2 (ru) Ши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JP3021803B2 (ja) 信号伝送方法
US5948962A (en) Gas detection system with interchangeable gas sensors
GB2046827A (en) Electronic coded locks
US200502313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data and power transmission
KR100469528B1 (ko) 자동차 구속장치의 트리거 장치
US6870282B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s in a bus system, superposed on a direct supply voltage
CA2240200C (en) Arrangement for triggering a restraint device in a motor vehicle
US4453088A (en) Multiplex system for steering wheel mounted switches
KR20010022573A (ko) 자동차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US6351828B1 (en) Safety device for diagnostic terminals in distributed computer networks
US6104308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n interface protocol for a multiple device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898729A (en) Fault tolerant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6052635A (en) System for triggering a restrain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US7197298B2 (en) Radio-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prevents communication through an unauthenticated antenna
KR20060013654A (ko) 하나 이상의 비집중 데이터 처리 유닛의 하나 이상의데이터 처리 유닛 인터페이스와 중앙 제어 유닛 사이에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1589444A (en) Electrical communication system
CN113169538B (zh) 接头连接器
JP3123629B2 (ja) 信号伝送用lsi
JP2002067846A (ja) 双方向データ送信装置、及びそのユニット、エアバッグ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H10107700A (ja) 通信装置
JP2003527781A (ja) 少なくとも2つの通信加入者の双方向通信方法及び装置
US20020135381A1 (en) Firing device for a pyrotechnic vehicle-occupant protection device
US20020060892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particularly in a motor vehicl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3973641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