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365A - 소형전기발광체 - Google Patents

소형전기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365A
KR19990071365A KR1019980028626A KR19980028626A KR19990071365A KR 19990071365 A KR19990071365 A KR 19990071365A KR 1019980028626 A KR1019980028626 A KR 1019980028626A KR 19980028626 A KR19980028626 A KR 19980028626A KR 19990071365 A KR19990071365 A KR 1999007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ceptor
terminal
emitting devic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하라다
마사히꼬 후지따
김영선
기요다카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시로 하라다
닛뽕가가쿠핫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 하라다, 닛뽕가가쿠핫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 하라다
Publication of KR1999007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의 끝에 부착시켜 어두운 장소에서 대의 끝을 보든가, 어두운 장소에서 찌의 움직임을 보든가, 또는 집어등.식별등.악세사리.인테리어.손 주위의 조명으로 사용되는 소형전기발광체에 관한 것으로,
제1의 과제는 발광소자의 점등,소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또한 신속히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하는 소형전기발광체를 제공하는데 있고, 제2의 과제는 구조의 단순화가 이루어져, 보다 외관의 소형화를 이루는데 있다.
또한, 해결수단으로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하면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LED의 광이 투광 가능한 수용체 내에 전원인 전지와 함께 수용하고,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며, 어두운 장소에서 낚시대의 찌의 움직임을 보든가, 집어등.식별등.액세서리.인테리어.보안등.공사등으로 이용된다.

Description

소형전기발광체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소자의 점등.소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소형전기발광체를 제공하고, 아울러 구조의 간편화가 이루어져, 보다 외관의 소형화를 이루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점등과 소등을 소정주기로 반복하여 점멸상태로 발광(이하 "점멸"이라 함)하는 소형전기발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대의 끝에 부착시켜 어두운 장소에서 대의 끝을 보든가, 어두운 장소에서 찌의 움직임을 보든가, 또는 집어등.식별등.악세사리.인테리어.보안등.공사등으로 사용되는 소형전기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전기발광체는, 전지를 수용체 내에 장착 하여, 수용체 내에 부설한 발광소자를 점등 시키고, 또 전지를 수용체 내에서 빼내므로서 발광소자를 소등 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발광소자를 소등시킨 상태에서는, 전지와 수용체를 따로 분리하여 보관 하든가, 또는 수용체 내에 보관한다. 이때 수용체 내에 전지를 수용하기 위하여는, 반대로, 전지소켓트에 전지를 집어넣어야 하고, 다시 발광소자를 점등 시키려면, 전자의 경우, 전지를 찾아 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후자의 경우, 한번 수용체에서 전지를 빼낸후엔 이를 다시 전지 소켓에 정위치로 삽입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발광소자를 점등·소등할때의 작업성이 나쁜 문제점등이 있었다.
또한, 전지의 탈삽(脫揷)을 하기 위하여, 수용체는 상.하로 2 분할된 구조이고, 또한 수용체의 상.하의 분해 부분은, 나합(螺合)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더욱이 이 나합부는 방수 구조로 되어 있어, 방수구조를 이루게 하는 것만큼 전기찌의 외형이 커지게 되어, 소형화를 이루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 하려고 하는 제1의 과제는, 종래의 이들 문제점을 해소하여, 발광소자의 점멸.소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하는 소형전기발광체를 제공 하는데 있다. 또한 제2의 과제는 구조의 단순화 또는 간편화가 이루어져, 보다 외관의 소형화를 이루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구성은,
1).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通電)하면 점멸광을 발생시키는 점멸 발광장치를 그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透光性)인 밀폐된 수용체(收容體)의 내부에 수용하고,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며, 이 수용체를 전도성(電導性)이 있는 액체 또는 전도부재(電導部材)를 매개 시키므로서 제1단자와 전기 제2단자를 통전시켜, 이 수용체의 투광부분으로 부터 점멸광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 소형전기발광체.
2).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하면 점멸광을 발생시키는 점멸 발광장치를 그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밀폐된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하고, 이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 할때의 신호로 상기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에 의하여 점멸.소등 스윗칭, 즉 번갈아 바꾸어주는 (切換) 스위치 회로를 이 수용체 내에 부설하고, 이 수용체를 전도성의 액체 또는 전도부재를 매개하여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통전할때 마다 이 수용체의 투광부분으로 부터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의 점멸.소등을 스윗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3).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절곡(折曲) 가능한 통상(筒狀)의 수용체의 내부에 점멸발광장치를 수용하고, 이 수용체의 절곡으로 이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소등을 번갈아 바꾸어 주는 스위치 회로를 부설하고, 이 수용체를 절곡 하므로서, 이 수용체의 투광 부분에서의 발광장치의 발광을 ­­ 또는 소등의 어느 한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4). ­­발광장치의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
5). ­­발광장치의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
6). 전지 및 이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발광장치를 그 ­­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수용체 내에 수용하고, 이 전지를 발광소자에 대하여 진퇴(進退) 가능하게 하며, 이 전지의 진퇴로 ­­발광장치의 발광소자의 ­­.소등을 스윗칭하는 스위치 회로를 부설하여, 상기 전지의 진퇴로 상기 수용체의 투광부분에서 ­­발광장치의 발광을 ­­ 또는 소등의 어느 한쪽의 상태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7). 전지를 진퇴시키는 진퇴구(進退具)를 수용체에서 돌출시킨 소형전기발광체.
8). 진퇴하는 전지의 끝 부분을 수용체에서 돌출시킨 소형전기발광체.
9). 수용체를 긴 통상(筒狀)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일부분을 주름형으로 형성하여 신축(伸縮) 가능하게 하여, 동 수용체의 신축으로 전지를 발광소자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소형전기발광체.
10). 수용체가 밀폐용기인 소형전기발광체.
11). 진퇴구의 주위면과 수용체의 내면과의 사이에 팩킹을 개재하여 수용체와 진퇴구와 팩킹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밀폐한 소형전기발광체.
12). 전지의 주위면과 수용체의 내면과의 사이에 팩킹을 개재하여 수용체와 전지와 팩킹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밀폐한 소형전기발광체.
13).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수용체의 부분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수용체의 부분에 형광물질을 혼입시킨 소형전기발광체.
14).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수용체의 부분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수용체의 부분에 형광물질을 혼입시킨 소형전기발광체.
15).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복수로한 소형전기발광체.
16). 전지를 ­­발광장치의 전원으로 하고 또한 그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를 그 무게와 부력으로 조정하여 수면에 뜰수 있게한 낚시용의 전기찌.
도 1 은 본발명상(이하 "동일")의 실시예 1 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는 실시예 1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취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 은 실시예 1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 4 는 실시예 1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회로도.
도 5 는 실시예 2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 6 은 실시예 2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 은 실시예 2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회로도.
도 8 은 실시예 3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 9 는 실시예 4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10 은 실시예 4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 11 은 실시예 5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12 는 실시예 5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13 은 실시예 6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14 는 실시예 6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15 는 실시예 7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16 은 실시예 7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17 은 실시예 8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18 은 실시예 8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19 는 실시예 9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20 은 실시예 9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1 은 실시예 10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2 는 실시예 11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3 은 실시예 12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4 는 실시예 13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25 는 실시예 13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6 은 실시예 14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27 은 실시예 14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28 은 실시예 15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29 는 실시예 15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30 은 실시예 16 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 은 점멸발광소자의 구조설명도.
도 32 는 실시예 17 에서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 33 은 실시예 18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 34 는 실시예 18 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형전기발광체 2 : 발광다이오드(LED)
2b : 점멸발광다이오드(LED) 3 : 수용체
4 : 전지 5 : 양극
6 : 음극 7 : 추
8 : 제1단자 9 : 제2단자
10 : 스위치 회로 12 : 낚시 줄
13 : 홀더 14 : 형광물질
15 : 스위치 회로 16 : 구멍
16a : 가장자리부 17 : 진퇴구
18 : 탄성도체 20 : 주름부
21 : 배선 22 : 배선
25 : 스프링 26 : 수납상자
27 : 수평바아 28 : 제1돌기
29 : 제2돌기 30 : 진퇴구
31 : 팩킹 32 : 스프링
33 : 진퇴구 35 : 카버
36 : 낚시 찌 45 : 점멸회로의 팁
46 : 점멸발광장치 47 : 절연체
청구항 1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수용체를 바닷물 등 전도성이 있는 액체에 담그므로서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통전상태로 하여, 전지를 전원으로한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발광시켜 수용체의 투광부분에서 밖으로 점멸광을 발광 시킨다.
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노출되는 수용체의 외표면 부분을 전도성이 있는 액체를 적시는 것으로도 발광상태가 된다.
­­발광을 중지할때는, 수용체를 액체에서 꺼내어,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액체분을 닦거나, 건조시켜 제1단자와 제2단자를 비통전상태로 하여 ­­발광을 멈추게 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스윗치 회로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할때 마다 ­­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소등을 반복하여 스윗칭되므로, ­­발광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일단 비통전상태로 한다음 다시 재 통전상태로 하면 ­­발광을 중지 할수가 있다. 청구항 2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도성이 있는 액체뿐만 아니라, 전도성이 없는 액체중 에서나 공기중 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3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스윗치 회로에 의하여 통상의 수용체를 절곡한 상태에서는, 수용체 내에 수용한 ­­발광장치의 발광소자의 발광을 ­­ 또는 소등중 어느 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수용체를 절곡하지 않고 길게 편 상태에서는, 수용체를 절곡시킨 상태와 역의 상태로 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수용체 내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한 전지를 수용체의 외부에서 손가락으로 누르든가, 진퇴시키는 부재(部材)를 사용하는 등으로 전지를 진퇴시켜, 스윗치 회로로 발광소자의 발광개시 또는 발광의 정지가 가능하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수용체를 긴 통상(筒狀)으로 하고, 여기에 수용체의 도중에 부설한 주름부를 신축 하므로서 수용체를 신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주름이 수축한 분 만큼 수용체 내의 전지가 수용체와 함께 발광소자에 대하여 전진한다.
또 수축한 주름을 길게 신장 시키면, 수용체와 함께 전지가 후퇴하게 된다. 이와같이 수용체의 신축으로 전지가 진퇴하는 것이 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전지의 진퇴로 스윗치 회로를 ON.OFF시켜, 발광소자의 발광의 개시 또는 발광을 중지 시킬수가 있다.
청구항 1, 2, 4, 10, 11, 12, 13 에 기재된 발명은, 수용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여 방수성을 이루고, 소형전기발광체의 무게와 부력을 조정하여 수면에 뜨는 낚시용 찌가 되게 하는데, 이 찌의 발광의 개시 또는 발광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어느 청구항이든, 점멸광을 이용하므로써 점등과 비교해 다른 것과 구별시킬 수 있고, 눈으로 알기 쉽다. 또한 취향성을 살릴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점멸발광장치로서는 점멸회로와 통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조합시킨 것과 점멸발광소자에 의한 것이 있으며, 필요공간, 코스트에 따라 선택사용한다. 점멸발광소자로서는 통장 인가상태에서 점등, 소등을 되풀이(점멸)하는 소자를 말하는데, 점멸회로를 통상의 LED 내부에 봉입한다.
점멸의 주기와 점멸상태에서의 발광의 ON 시간을 t₁, 점멸상태에서 발광 OFF 시간을 t₂,및 상기 t₁과 t₂의 비율 t₁/t₂는 목적, 용도 및 취향에 따라 적절히 정한다.
이와 같이 점멸의 주기, 상기 t₁,t₂ 및 t₁/t₂를 가변시키므로써 점등광과 점멸광이 가까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라도 다른 것과 구별되고, 다른 것보다 알기 쉽다. 또한 보다 취향성을 살릴 수 있게 된다.
전지는 봉상의 핀형, 원반상의 버튼형, 통상의 건전지가 있고, 크기, 코스트로 부터 선택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점멸회로는 실시예에 일례를 나타내었으나,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회로를 한정할 수 없다.
수용체는 세로방향으로 긴 통상(筒狀)으로 하거나, 상자형으로 하는등, 사용 상황에 따라 달리 한다.
또한, 수용체는 밀폐의 것과, 밀폐가 아닌것이 있다. 수용체는, 전체 또는 발광장치의 발광소자와 대향하는 일부의 벽면이 반투명한 경우와 투명한 경우가 있다.
수용체는 연질과 경질의 것이 있고, 연질의 경우의 소재의 일예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등이 있다.
점멸발광장치의 전원이 되는 전지는, 수용체 내에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용체의 외부에 부설하는 경우도 있다.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로는, LED. 램프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LED가 사용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수용체를 절곡하지 않고 길게 신장 시키므로서 ­­상태로 하고, 수용체를 절곡하여 소등 상태로 하는것이 일반적이나, 반대로 수용체를 절곡하여 소등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수용체의 부분의 표면에 도포하던가 수용체의 수지에 혼입하는 형광물질의 형광색에는 적색, 청색, 녹색, 황색 등색, 남색, 자색, 백색 등이 있으나, 용도에 따라 다르다.
수용체의 선단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여 LED의 발광색으로 점멸발광을 행하는 수용체의 선단부에는 유백색과 갈색의 것이 있고, 투광성이 있으면, 다른 색깔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2는 실시예 1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은 실시예 1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4는 실시예 1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회로도, 도5는 실시예 2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6은 실시예 2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7은 실시예 2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회로도, 도8은 실시예 3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9는 실시예 4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0은 실시예 4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종단면도, 도11은 실시예 5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2는 실시예 5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3은 실시예 6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4는 실시예 6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5는 실시예 7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6은 실시예 7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7은 실시예 8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8은 실시예 8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19는 실시예 9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0은 실시예 9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1은 실시예 10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2는 실시예 11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3은 실시예 12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4는 실시예 13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5는 실시예 13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6은 실시예 14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7은 실시예 14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8은 실시예 15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상태의 종단면도, 도29는 실시예 15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30은 실시예 16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1은 점멸발광소자의 구조설명도, 도32는 실시예17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 도33은 실시예18의 소등상태의 종단면도, 도34는 실시예18의 점멸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1∼4로 나타낸 실시예 1은, 해수에 잠겨있는 동안에 자동적으로 점멸되는 예이다.
도5∼7로 나타낸 실시예 2 및 도8로 나타낸 실시예 3은,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할때 마다 ­­.소등이 번갈아 바뀌어 스윗칭되는 예 이다.
도9, 10로 나타낸 실시예 4는 진퇴구의 접동으로 ­­.소등을 스윗칭하는 예이다.
도11,12로 나타낸 실시예 5와 도13, 14로 나타낸 실시예 6과 도15, 16로 나타낸 실시예 7과 도17, 18로 나타낸 실시예 8은, 수용체의 일부에 주름부를 만들어, 수용체를 수축시켜 ­­상태로 하고, 수용체를 신장시켜 소등 상태로한 예 이다.
도19, 20로 나타낸 실시예 9는 절곡 가능한 수용체를 절곡시키지 않고 직선상태인 신장상태에서 ­­상태로 하고, 수용체를 절곡하여 소등상태로한 예 이다.
도21로 나타낸 실시예 10과 도22로 나타낸 실시예 11과 도23로 나타낸 실시예 12는 진퇴구의 전진으로 ­­, 진퇴구의 후퇴로 소등으로한 예 이다.
도24, 25로 나타낸 실시예 13과 도26, 27로 나타낸 실시예 14와 도28, 29로 나타낸 실시예 15는 전지를 전진시켜 ­­, 그리고 전지를 후퇴시켜 소등으로한 예 이다.
도30의 실시예 16은, 소형전기발광체를 집어등으로 사용하는 예 이다.
도31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점멸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구조설명도이다. 도 32에 나타낸 실시예 17 은, 실시예 5에 대하여, 점멸발광소자 타입의 LED로 부터 통상의 LED와 점멸회로팁의 조합으로 변경하고, 또한 주름부의 위치를 변경한 예이다.
도 33,34에 나타낸 실시예 18은 실시예 5에 대하여 전지의 마이나스극에 절연체를 취부하고, 단자를 변경하며, 실시예 5와는 역으로 주름부를 펴면 점멸, 수축하여 소등으로 한 예이다.
(실시예 1) (도1∼4 참조)
도중 1은 소형전기발광체, 2a는 ­­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되는 발광다이오드(LED), 3은 내경이 전지의 외경정도의 밀폐 내부공간을 가지며 또한 높이가 5cm정도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한 투명한 원주 형상의 통상의 수용체, 4는 전지, 5는 전지의 양극, 6은 음극, 7은 추, 8은 수용체(3)의 하단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또한 ­­발광장치에 접속하는 제1단자, 9는 수용체(3)의 하단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또한 ­­발광장치에 접속하는 제2단자, 10은 수용체(3)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하고 있는 동안 LED(2a)를 ­­발광시키는 스윗치회로, 12는 낚시줄, 13은 소형전기발광체(1) 를 낚시줄(12)에 부착시키는 거의 C자 형상이고 또한 탄력성이 있는 홀더, 14는 LED(2a)와 대향하는 수용체(3)의 선단부분의 외표면에 도포한 적색용의 형광물질, 45는 점멸회로의 팁, 46은 점멸발광장치이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 에서는, 낚시 바늘이나 추(7)등 낚시 준비가 된 낚시줄(12)을 홀더(13) 내에 통하고, 이 홀더(13)를 소형전기발광체(1)의 측면에 붙여, 소형전기발광체(1)를 낚시줄(12)의 도중에 세트한다.
다음, 낚지줄(12)과 함께 소형전기발광체(1)를 바다에 던진다. 수용체(3)의 내부공간이 밀폐되어 있어, 소형전기발광체(1)는 해면에 뜬다. 또, 소형전기발광체(1)는, 수용체(3)의 하단에 노출되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전도성이 있는 해수에서 통전상태로 되고, 스윗치회로(10)가 ON 상태가 되어 점멸회로 45에 의한 ON·OFF에 따라 전지(4)를 전원으로 한 LED(2a)가 ­­발광하고, 수용체(1)의 선단부의 외표면에 도포한 적색용의 형광물질(14)에 의하여, LED(2a)의 빛이 수용체(1)의 외부에 적색으로 ­­발광되어, 밤낚시 에서의 전기찌가 된다.
또, 소형전기발광체(1)를 바다에서 꺼내어, 제1단자(8)와 제2단자(9)를 수분을 닦든가, 건조시켜 비통전 상태로 하면, 스윗치회로(10)가 OFF 상태로 되어 LED(2a)는 ­­발광하지 않게된다.
형광물질(14)은 수용체(1)의 선단부의 외표면에 도포하는 경우와, 수용체(1)의 선단부의 벽내에 수지에 비벼넣어 혼입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적색의 점멸발광은 수용체(1)의 선단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여 적색발광의 LED의 발광소자를 점멸발광시켜도 좋다. 점멸발광장치 46의 점멸회로 45는 슈밋트회로를 이용하고, 오페암프 LM324 를 이용한다.
(실시예 2) (도 5∼7,31 참조)
도 31 에 나타낸 것은 점멸회로의 반도체칩을 내부에 봉입한 점멸발광소자타입의 LED의 예이다.
도5∼7중 15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할때의 전압의 기동신호를 받을때 마다 ON. OFF를 번갈아 바꾸어주는 스윗치회로 이다.
도 5∼7중 15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할 때의 전압상승의 신호를 받을 때에 ON·OFF를 교호로 바꾸어주는 스윗치회로이다.
도 31중 41a,41b,41c 는 본딩와이어, 42는 발광소자, 43은 절멸회로의 반도체팁, 44a,44b는 도전체이다.
도 31에 나타낸 실시예 2의 LED 2b는 반도체팁으로 하므로써 극소화 된 점멸회로 43가 발광소자 42와 같이 도전체 44b위에 배치되고, 44a와 통전가능하도록 본딩와이어 41a,41b,41c에 의해, 발광소자, 점멸회로의 반도체 칩 43, 도전체 44a,44b가 결선되어 내부에 봉입된다. 이 LED 2b에 통전하면, 점멸회로의 반도체칩 43의 ON·OFF에 의해 발광소자 42가 점멸발광한다.
도5∼7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2의 소형전기발광체(1)는, 스윗치회로(15)에 의하여,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할때의 전압의 기동신호로 LED(2b)의 ­­.소등이 번갈아 스윗칭되므로, 소형전기발광체(1)는 LED(2)를 발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바다에 던져 넣는다. 소형전기발광체(1)가 해수에 잠기므로서,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상태로 되어, 스위치회로(15)가 통전상태로 되고, 내부에 점멸회로를 반도체 칩에 봉입시킨 점멸발광소자인 LED(2b)를 ­­발광시킨다.
해면에서 끌어 올렸을때의 소형전기발광체(1)는 LED(2b)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 이므로, 다시 바다에 던지는 경우에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노출되는 수용체(3)의 외표면을 닦아서 제1단자(8)와 제2단자(9)를 한번 비통전 상태로 한 후에, 다시 해수등의 전도성이 있는 액에 적시든가, 철 등의 전도부재를 제1단자(8)와 제2단자(9)를 접촉 시키든가 하여 제1단자(8)와 제2단자(9)를 통전상태로 하여 ­­발광을 중지시키고, 다음 ­­발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소형전기발광체(1)를 바다에 던져 넣는다. 이렇게 하면 소형전기발광체(1)는 바다에 잠기는 것으로 ­­발광상태로 된다.
실시예 2 에서는, 한번 ­­발광상태로 되면, ­­발광상태로 유지되므로, 바다뿐 아니라, 연못, 호수, 시냇가 등 광범위한 장소에서 사용할수 있다.
스윗치회로(15)는 토글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성한 회로로서, 4개의 난드게이트(NAND GATE)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7 참조).
또, 스윗치회로(15)에는, 제1단자(8)와 제2단자(9)가 통전하는 횟수로 점멸 시키든가, 통전 횟수로 밝기를 조정하는 등의 기능을 부가 하여도 된다.
실시예 2에서의 스윗치회로(15) 로는, 반도체 릴레이, IC스위치, IC릴레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시예 3) (도8, 31 참조)
도8에 나타내는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소형전기발광체(1)에서, LED(2b)를 두개로 하고 또한 전지(4)의 수를 두개로한 예 이다.
두개의 LED(2b)를 사용 하므로서 ­­발광량이 커지고, 또한 두개의 전지(4)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발광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두개의 LED(2b)는 같은 색의 발광색으로 하는 경우와, 서로 다른 색의 발광색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2개의 LED 2b는 도 31에서와 같이 내부에 점멸회로를 봉입한 점멸발광소자이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2와 같다.
(실시예 4) (도9, 10, 31참조)
도9, 10중의 부호 16은 수용체(3)의 하단을 개구(開口)한 구멍이고, 16a 는 안쪽으로 절곡한 구멍(16)의 가장자리부, 17은 구멍(16)의 안에서 외부로 돌출 하도록 하여 수용체(3) 내로 접동 자유로이 삽입한 탄력성 있는 진퇴구, 18은 수용체(3)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한 끝이 제2단자(9)와 연속되고 또한 다른 끝이 전지(4)의 하단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탄성도체 이다.
도9, 10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4에서는, 수용체(3)의 하단에 돌출하는 진퇴구(17)를 수용체(3) 내에 전진 시키므로서, 수용체(3) 내의 탄성도체(18)의 다른 끝을 전지(4)의 하단면으로 밀어 누르고, LED(2b)에 전류를 흘려, ­­발광 시킨다.
탄력성이 있는 진퇴구(17)는 전진한 수용체(3) 내의 위치에서 진퇴구(17) 스스로의 탄력성으로 수용체(3)의 내면에 강하게 압접(壓接)하므로, 전진한 위치에서 유지되며, 이로 인하여 제2단자(9)와 접속되는 탄성도체(18)의 다른 끝을 전지(4)의 하단면에 밀어 접촉 상태 그대로 유지하여, LED(2b)를 ­­발광상태로 하여 놓는다.
­­발광을 중지하는 경우는, 진퇴구(17)를 후퇴시켜서 전지(4)의 하단면에 밀었던 탄성도체(18)의 다른 끝을 탄성도체(18) 스스로의 탄성력으로 전지(4)의 하단면에서 떨어지게 하여, LED(2b)의 ­­발광을 중지시킨다.
진퇴구(17)는 수용체(3)의 내면에 강하게 압접한 상태에서 진퇴하므로, 진퇴구(17) 자신이 팩킹의 역할을 하고, 수용체(3)의 내부공간을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진퇴구(17)는 수용체(3)의 구멍(16)의 가장자리부 16a 에 꼭 맞으므로 탈락이 방지된다. LED 2b는 도 31에서와 같이 내부에 점멸회로를 봉입한 점멸발광소자이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5) (도11, 12, 31 참조 )
도11, 12중 부호 20은 수용체(3)의 중간부에 형성한 주름부이다.
도11, 12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5에서는 수용체(3)의 중간부에 주름부(20)를 형성 하므로서, 수용체(3)의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주름부(20)를 수축하여 수용체(3)의 기리를 짧게 하므로서, 수용체(3) 내의 전지(4)가 수용체(3)의 내부공간을 LED(2b) 측으로 전진 하는것이 된다.
또 주름부(20)를 수축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제1단자(8)는 음극(6)이 되는 전지(4)의 상단에 접촉하고 또한 제2단자(9)는 양극(5)이 되는 전지(4)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며, 또 주름부(20)를 신장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제2단자(9) 만이 전지(4)의 측면에서 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름부(20)를 수축한 상태에서는 LED(2b)가 ­­발광하며, 주름부(20)를 신장한 상태에서는 LED(2b)의 ­­발광이 중지된다.
주름부(20)는 수축상태로 유지되므로, 연속­­발광이 이루어진다. ­­발광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수용체(3)의 상,하부분을 역방향으로 당겨, 주름부(20)를 신장하면 된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6) (도13, 14, 31 참조)
도13, 14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6은 구조가 실시예 5와 거의 동일하고, 다른 점은, 주름부(20)를 신장했을 경우에, 제1단자(8) 만이 음극이 되는 전지(4)의 상단에서 떨어지고, 제2단자(9)는 양극(5)이 되는 전지(4)의 측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제1단자(8)와 제2단자(9)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5와 같다.
(실시예 7) (도15, 16, 31 참조)
도중 21은 두개의 전지(4) 각각이 음극(6)이 되는 상단 끼리를 병열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배선이다.
도15, 16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7은, 실시예 6의 소형전기발광체(1)에 있어서, LED(2b)를 두개로 하고 또한 전지(4)의 수를 2개로 한 예이다. 2개의 LED(2b)를 이용하므로 ­­발광량이 커지고, 또한 두개의 전지(4)를 사용하므로 ­­발광시간을 길게 할수있다.
두개의 LED(2b)는 같은 색의 발광색으로 하는 경우와, 다른 발광색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6과 같다.
(실시예 8) (도17, 18, 31 참조)
도중 부호 22는 양극(5)이 되는 전지(4)의 측면 부분에 윗쪽으로 돌출 되도록 고착한 배선 이다.
도17, 18에 나타내는 실시예 8 에서는, 제2단자(9)와 양극(5)이 되는 전지(4)의 측면에서 돌출 되도록 설치한 배선(22)과 접촉 하므로서, 통전상태로 되는 예 이다.
주름부(20)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제1단자(8)는 음극(6)이 되는 전지(4)의 상단과 접촉하고, 제2단자(9)는 전지(4)에서 돌출하는 배선(22)과 접촉하여, LED(2b)가 ­­발광한다.
주름부(20)가 신장한 상태에서는, 제1단자(8)는 전지(4)의 음극(6)과 접촉한 상태 그대로 이나, 제2단자(9)는 전지(4)에서 뻗은 배선(22)으로 부터 떨어지므로, LED(2b)의 ­­발광은 중지된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5와 같다.
(실시예 9) (도19, 20, 31 참조)
도중 25는 LED(2b)를 전지(4) 측으로 밀고있는 스프링, 26은 소형전기발광체(1)의 수납상자, 부호 27은 수납상자(26) 내에 설치한 수평바아, 부호 28은 이 수평바아(27)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수용체(1)가 놓이도록 설치한 L자형의 제1돌기, 부호 29는 수평바아(27)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L자형 의 제2돌기 이다.
도19, 20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9 에서는, 수용체(3)의 소재를 폴리에틸렌으로 하므로서 수용체(3)를 절곡 가능하게 하고있고, 한편 LED(2b)를 수용체(3)의 내부공간 내에서 접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스프링(25)으로 이 LED(2b)를 전지(4) 측으로 밀고 있다.
또 이 수용체(3)는 외부압력이 없는 경우에 절곡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통상 길게 신장한 직선 상태로 되어있다.
또, 수용체(3)가 길게 신장된 직선상태 에서는, LED(2b)는 스프링(25)의 탄성력으로 전지(4) 측으로 후퇴하여, 전지(4)에 가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1단자(8)가 전지(4)의 상단과 접촉하여, LED(2b)가 ­­발광한다.
LED(2b)의 ­­발광을 중지 시키는 경우에는, 도20 에서와 같이 수납 상자(26) 내에 수납하므로서, 수용체(3)의 전지(4)와 LED(2b)가 접촉하여 만나는 부위에 수납상자(26)의 수평바아(27)가 닿고, 또한 전지(4) 측이 되는 수용체(3)의 하단은 수평바아(27)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만든 제1돌기(28)로 아래측으로 눌리고, LED(2b) 측이 되는 수용체(3)의 상단은, 수평바아(27) 보다 낮은 위치에 만든 제2돌기(29)로 지지되어, 수용체(3)가 절곡 상태로 유지된다. 수용체(3)가 절곡상태로 유지되면, 전지(4)측으로 밀려있던 LED(2b)가 스프링(25)을 압축 되면서 수용체(3)의 상단측으로 접동 이동하여, 제1단자(8)가 전지(4)의 상단에서 떨어지게 되어,­­발광이 중지된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10) (도21, 31 참조)
도21중 부호 30은 하단을 개구(開口)한 수용체(3)의 개구 부근의 내면에 설한 나사홈에 나합한 진퇴구, 부호 31은 같은 진퇴구(30)의 외표면에 끼운 링 형상의 팩킹, 부호 32는 전지(4)의 상단에 배치한 스프링이다.
도2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0은, 수용체(3)에 나합시킨 진퇴구(30)를 돌리므로서, 진퇴구(30)를 전진시켜, 음극(6)이 되는 전지(4)의 상단이 제1단자(8)에 접촉할때 까지 스프링(32)을 압축 시키면서 전진시켜 간다. 진퇴구(30)는 전진한 위치에서 유지 되므로, 전지(4)는 제1단자(8)와 접촉한 상태로 된다. 또 제2단자(9)는 전지(4)의 진퇴에 관계없이 항상 양극(5)이 되는 전지(4)의 측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퇴구(30)의 전진으로 발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발광을 중지할 경우에는, 진퇴구(30)를 반대로 돌려서 후퇴시킨다. 진퇴구(30)의 후퇴로 스프링(32)의 미는힘으로 전지(4)가 후퇴하고, 제1단자(8)가 전지(4)에서 떨어져, ­­발광이 중지된다.
진퇴구(30)에 팩킹(31)을 끼워 넣으면, 방수효과가 있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11) (도 22, 31 참조)
도22중 부호 33은 탄력성이 있는 진퇴구이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1은, 실시예 10의 소형전기발광체(1)에 있어서의 진퇴구(30)를, 탄력성이 있는 진퇴구(33)로 바꾸어, 단력성이 있는 진퇴구(33)가 수용체(3)의 내면으로 가압 되므로서 마찰을 크게하고, 이 마찰력으로 진퇴구(33)를 진퇴위치로 유지시키고 있다. 또 진퇴구(33) 스스로가 팩킹의 역할을 하므로, 방수효과가 높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0과 같다.
(실시예 12) (도23, 31 참조)
도23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2는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소형전기발광체(1)의 진퇴구(33)를 I자 모양으로 하여, 진퇴구(33)의 탈락을 방지하는 예이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0과 같다.
(실시예 13) (도24, 25, 31 참조)
도24, 25중 35는 전지(4)의 외주(外周)에 피착(被着)한 탄력성이 있는 카버이다.
도24. 25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3은 전지(4)의 하단부가 수용체(3)의 외부에 돌출하여 있고, 이 전지(4)의 후단(後端)을 밀거나 당겨서 전지(4)를 수용체(3) 내에서 접동시켜, 전지(4)를 진퇴 시킨다.
전지(4)의 외주에 설치한 카버(35)가 팩킹의 역할을 하므로, 방수효과가 있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14) (도26, 27 ,31 참조)
도26, 27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4는, 실시예 13의 소형전기발광체(1)에서 전지(4)의 외주에 피착한 카버(35)를 진퇴시킬 때에 카버(35)가 수용체(3) 내에 삽입되지 않는 길이로 짧게한 예 이다.
전지(4)의 상부에 팩킹(31)을 끼워놓고 있어서, 방수효과를 높이고 있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3과 같다.
(실시예 15) (도28, 29, 31 참조)
도28, 29에 나타내는 실시예 15는, 실시예 13의 소형전기발광체(1)에 있어서, 전지(4)의 외주에, 피착한 카버(35)의 상단에 닿도록 하여 스프링(32)을 LED(2b)와 전지(4)와의 사이에 개재 시키고 있다.
이 스프링(32)은, 전지(4)를 LED(2b) 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32)으로서, 발광중에 전지(4)가 진동 등으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32)은 사람의 손으로 후퇴시킨 전지(4)를 LED(2b) 측으로 전진 시킬 만큼 큰 탄성계수를 갖지 않으며, 후퇴시킨 전지(4)는, 카버(35)와 수용체(3)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로 후퇴한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3과 같다.
(실시예 16) (도30, 31 참조)
도30중 부호 36은 찌 이다.
도30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16은, 실시예 1에서의 소형전기발광체(1)를 수중에 담가 집어등 으로서 사용하는 예 이다.
소형전기발광체(1)는 실시예 1과 같이 홀더(13)를 사용하여 낚시줄(12)에 부착한다.
그 외의 부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17)(도 31, 32 참조)
도32중 45는 점멸회로, 스윗치회로를 포함한 점멸발광장치의 회로부이다. 도 32에서의 실시예 17은 실시예 5의 내용에서 점멸회로를 짜넣은 LED2b를 LED(2a)와 점멸회로의 조합으로 변경하고, 주름부(20)의 위치를 변경한 예이다.
기타 부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실시예 5와 같다.
(실시에 18)(도 33, 34 참조)
도 33,34 중 47 은 절연체이다.
또한, 도 33, 34 에 나타낸 실시예 18은 전지의 마이나스극의 하반부에 절연체(47)를 설하고, 제 1, 제 2 단자의 칫수형상을 변경하고, 제 1 단자(8)는 주름부 20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절연체(47)에 접촉하도록 하며, 주름부(20)를 늘인 상태에서는 마이나스극 6에 접촉하도록 한다. 제 2 단자(9)는 주름부(20)를 수축해도 늘어나도 전지(4)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실시예 5와 역으로 주름부를 늘여주면 LED(2b)가 점멸발광하고, 주름부를 수축하면 LED(2b)의 점멸발광이 그칠수 있다. 기타부호, 구성, 작용과 효과는 실시예 5와 같다.
본 발명은, 소형전기발광체의 점등 및 소등이 용이하면서도 신속 또는 확실하게 할수있고, 또한 점등.소등의 스윗칭작업시의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하게 되었다.
한편 소형전기발광체의 구조의 간편화가 이루어고, 제작 단가의 경감 및 보다 소형의 소형전기발광체의 설계를 할 수가 있게 되었다.
또한, 다른 것과의 구별을 하기 쉽고, 알기 쉬우며, 특히 발광하는 것이 다수 가까이 있도록 할 경우라도 유효하다.

Claims (16)

  1.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하면 점멸광을 발생하는 점멸발광장치를 그 발광소자가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밀폐된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하고,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시켜, 상기 수용체를 전도성이 있는 액체 또는 전도부재를 매개 시키므로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통전시켜, 상기 수용체의 투광부분으로 부터 점멸광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 소형전기발광체.
  2.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하면 점멸광을 발생시키는 점멸발광장치를 그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밀폐된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용체의 외부에 노출시켜,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통전 할때의 신호로 상기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의 점멸.소등을 번갈아 스윗칭하는 스윗치 회로를 상기 수용체 내에 부설하고, 상기 수용체를 전도성의 엑체 또는 전도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통전할때 마다 상기 수용체의 투광부분으로 부터의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의 점멸.소등을 바꾸어 스윗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3.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절곡 가능한 긴 통상의 수용체의 내부에 점멸발광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체의 절곡으로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소자의 점멸.소등을 바꾸어 스윗칭하는 스윗치 회로를 부설하고, 상기 수용체를 절곡 하므로써, 상기 수용체의 투광 부분으로 부터의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을 점멸 또는 소등의 어느 한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발광장치의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발광장치의 전원이 되는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
  6. 전지 및 그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점멸발광장치를 이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가 대향하는 벽면이 투광성인 수용체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전지를 상기 점멸발광소자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전지의 진퇴로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소자의 점멸.소등을 바꾸어 스윗칭하는 스윗치 회로를 부설하여, 상기 전지의 진퇴로 상기 수용체의 투광 부분으로 부터의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을 점멸 또는 소등의 어느 한쪽의 상태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기발광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를 진퇴시키는 진퇴구를 수용체로 부터 돌출시킨 소형전기발광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하는 전지의 끝 부분을 수용체로 부터 돌출시킨 소형전기발광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를 긴 통상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일부분을 주름형으로 형성하여 신축 가능하게 하여, 동 수용체의 신축으로 전지를 발광소자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소형전기발광체.
  10. 제 3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가 밀폐용기인 소형전기발광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구의 주위면과 수용체의 내면과의 사이에 팩킹을 개재하여 수용체와 진퇴구와 팩킹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밀폐한 소형전기발광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주위면과 수용체의 내면과의 사이에 팩킹을 개재하여 수용체와 전지와 팩킹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밀폐한 소형전기발광체.
  13. 제 1, 2, 3,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수용체의 부분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수용체의 부분에 형광물질을 혼입시킨 소형전기발광체.
  14. 제 3 항,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수용체의 부분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수용체의 부분에 형광물질을 혼입시킨 소형전기발광체.
  15. 제 1, 2, 3, 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복수로한 소형전기발광체.
  16. 제 1, 2, 3,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전지를 점멸발광장치의 전원으로 하고 또한 그 전지를 수용체 내에 수용한 소형전기발광체를 그 무게와 부력으로 조정하여 수면에 뜰수 있게한 낚시용의 전기찌.
KR1019980028626A 1998-02-09 1998-07-15 소형전기발광체 KR19990071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44302 1998-02-09
JP10044302A JPH11232902A (ja) 1998-02-09 1998-02-09 小型電気発光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65A true KR19990071365A (ko) 1999-09-27

Family

ID=1268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626A KR19990071365A (ko) 1998-02-09 1998-07-15 소형전기발광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32902A (ko)
KR (1) KR199900713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09B1 (ko) * 2001-08-27 2004-04-03 신제길 점멸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다색발광 전자라이트
KR101423864B1 (ko) * 2013-01-09 2014-07-28 김영선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798A (ko) * 2001-06-29 2001-09-03 이상택 휴대용 비상신호겸용 전등
KR100497783B1 (ko) * 2003-05-01 2005-06-29 이준한 수중 집어등용 윈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91148B2 (en) 2007-10-27 2013-07-23 Osram Sylvania Inc. Chambered waterproof lamp assembly having a transparent cover switch acti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09B1 (ko) * 2001-08-27 2004-04-03 신제길 점멸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다색발광 전자라이트
KR101423864B1 (ko) * 2013-01-09 2014-07-28 김영선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32902A (ja) 199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682A (en) Waterproof flashlight
US6796674B2 (en) Flashlight head with isolated lighting elements
KR19990071365A (ko) 소형전기발광체
KR20200126268A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찌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JP3761682B2 (ja) 小型電気発光体
KR101406564B1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JP7235314B2 (ja) 集魚灯及び集魚灯を用いた漁法
US3898450A (en) Reliable flashlight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20160025099A (ko) 낚시용 전자찌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US20030156406A1 (en) Waterproof head assembly for a flashlight
KR200315641Y1 (ko)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CN2170852Y (zh) 一种电光笔
KR200262674Y1 (ko) 발광기능을 갖는 반지
CN218819836U (zh) 一种可换色的钓具用发光装置
CN215270157U (zh) 一种感应式电子发光漂头及浮漂
KR100356008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11163Y1 (ko) 전기발광 낚시찌
CN2462739Y (zh) 多功能化妆笔
KR102607363B1 (ko) 필기구
KR20040038935A (ko) 낚시용 발광찌
KR200296487Y1 (ko) 발광기능을 갖는 필기구
KR200323973Y1 (ko) 어신감지용 발광장치를 갖춘 초릿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