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776A -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776A
KR19990070776A KR1019980005812A KR19980005812A KR19990070776A KR 19990070776 A KR19990070776 A KR 19990070776A KR 1019980005812 A KR1019980005812 A KR 1019980005812A KR 19980005812 A KR19980005812 A KR 19980005812A KR 19990070776 A KR19990070776 A KR 1999007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key
state
english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776A/ko
Publication of KR1999007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776A/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한글 및 영자 입력 토글키인 '한/영' 키, 영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토글 키인 '대/소 구분' 키를 가지는 키보드의 토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은, '한/영'키의 토글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한글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누를 때마다 제1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한글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영자 입력 상태이면,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를 읽어 대문자 입력 상태와 소문자 입력 상태를 구분하는 단계; 대문자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2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대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소문자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3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소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 키의 상태에 따라 구분하는 발진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을 보지 않고도 영한자 및 대소문자에 대한 키보드 입력 상태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문 대소문자와 한글 및 영문 구분 토글키의 상태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컴퓨터 입력 장치인 키보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영문과 한글을 각각 구별하여 입력하는 '한/영' 구분 키를 구비하며, 컴퓨터의 미도시된 내부의 입력 처리 장치는 그 '한/영' 키의 토글(toggle)상태에 따라 영자 입력과 한글 입력을 구분하여 미도시된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영자 입력시에 컴퓨터의 내부 입력 처리 장치는 '대/소 구분'(CapsLock) 키를 구비하며, 이 단추의 토글 상태에 따라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대문자와 소문자가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와 같은 키보드 입력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보지 않고 키보드의 자판을 사용하는 경우, '한/영' 구분 키의 토글 상태를 잘 알수 없고, 또한 영자 입력시 '대/소 구분' 키의 토글 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입력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글 및 영자 입력시와 영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 구분 입력시에 사용자가 모니터를 보지 않고도 쉽게 그 구별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컴퓨터 입력 장치인 키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컴퓨터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사용될 때마다 그 상태가 반전되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토글키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토글키가 사용되면 토글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인지된 토글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한 소정의 발진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토글상태에 해당하는 발진음을 출력한 후, 상기 토글상태에 영향을 받는 다른 키 입력이 들어오면 해당 발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한글 및 영자 입력 토글키인 '한/영' 키, 영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토글 키인 '대/소 구분' 키를 가지는 키보드의 토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은,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한글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누를 때마다 제1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한글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영자 입력 상태이면, 상기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를 읽어 대문자 입력 상태와 소문자 입력 상태를 구분하는 단계; 대문자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2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대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소문자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3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소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컴퓨터 구성도로서, 컴퓨터는 모니터(200), 본체(210), 키보드(220) 및 스피커(230)를 구비한다. 모니터(200)는 소정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본체(210)는 입력 및 출력을 처리 및 관리한다. 키보드(220)는 사용자와 본체(210)와의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사용자 입력 장치가 된다. 본체(210)는 키보드(2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200)상에 그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230)는 본체(210)에서 처리한 결과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는 주로 키보드(220), 특히 키보드의 영자 및 한글을 구분하는 기능과 영자 입력시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기능에 대해 다룬다. 키보드(220)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한/영' 키와 '대소 구분' 키가 있으며, 그 각각의 키는 사용자에 눌러지면서 입력 상태를 반전시키는데 이를 토글(toggle)이라고 한다. 모니터(200)를 보지 않고 키보드(220)의 자판을 사용할 때, 이들 '한/영' 키와 '대소 구분' 키의 토글 기능을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본체(210)에서는 이들 토글 키가 눌러질 때 인지된 각각의 토글 상태에 따라 소정의 발진음을 만들어 스피커(230)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스피커(230)와 같은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한글 및 영자 입력 토글키인 '한/영' 키, 영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토글 키인 '대/소 구분' 키를 가지는 키보드의 토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은, 먼저 설정된 '한/영'키의 토글 상태를 인지한다(300단계).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한글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누를 때마다 제1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한글을 디스플레이한다(310단계).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영자 입력 상태이면,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를 읽어 대문자 입력 상태와 소문자 입력 상태를 구분한다(320단계). 대문자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2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대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330단계).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소문자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3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소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모니터를 보지 않고도 자신이 누르는 자판이 한글인지 영자인지, 영자인 경우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를 청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컴퓨터의 키보드 토글 키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2의 스피커(230)과 같은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한글 및 영자 입력 토글키인 '한/영' 키, 영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토글 키인 '대/소 구분' 키를 가지는 키보드의 토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컴퓨터의 키보드 토글 키 처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한/영'키가 눌러지면(400단계), 그 토글 상태가 한글 상태임을 인지한 경우(410단계) 제4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420단계)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한글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430단계). '한/영' 키의 토글 상태가 영자 상태임을 인지한 경우 제5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440단계)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영자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450단계). 사용자에 의해 '대/소 구분'키가 눌러지면(460단계), 현재 '한/영'키 토글 상태가 영자 입력 상태인지를 확인하고(470단계)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대문자 입력 상태이면(480단계) 제6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대문자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490단계).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소문자 입력 상태이면 제7발진음을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소문자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491단계).
도 4와 같은 키보드 토글 키 처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한/영' 키와 '대/소 구분'키를 누를 때마다 모니터를 보지 않고도 그 토글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 키의 상태에 따라 구분하는 발진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을 보지 않고도 영한자 및 대소문자에 대한 키보드 입력 상태를 알 수 있다.

Claims (2)

  1. 음성출력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사용될 때마다 그 상태가 반전되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토글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글키가 사용되면 토글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인지된 토글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한 소정의 발진음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토글상태에 해당하는 발진음을 출력한 후, 상기 토글상태에 영향을 받는 다른 키 입력이 들어오면 해당 발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
  2.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한글 및 영자 입력 토글키인 '한/영' 키, 영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토글 키인 '대/소 구분' 키를 가지는 키보드의 토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한글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누를 때마다 제1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한글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한/영'키의 토글 상태가 영자 입력 상태이면, 상기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를 읽어 대문자 입력 상태와 소문자 입력 상태를 구분하는 단계;
    대문자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2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대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대/소 구분'키의 토글 상태가 소문자 입력 상태이면, 사용자가 해당 영자 자판을 누를 때 제3발진음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컴퓨터 화면에 해당 영자의 소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 방법.
KR1019980005812A 1998-02-24 1998-02-24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KR19990070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12A KR19990070776A (ko) 1998-02-24 1998-02-24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812A KR19990070776A (ko) 1998-02-24 1998-02-24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776A true KR19990070776A (ko) 1999-09-15

Family

ID=6589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812A KR19990070776A (ko) 1998-02-24 1998-02-24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7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1643A (en) Key-code outputting apparatus for data processor having an interchangeable keyboard
US6046732A (en) Method of allowing users to enter characters into electronic equipment by using cursor key and displaying user-entered characters
KR20040088060A (ko) 입력장치, 휴대전화기 및 휴대정보기기
KR2008007387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정보 입력 방법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CN100524198C (zh) 使用多功能按键用于安全数据录入的方法和装置
KR20040087321A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20090201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US20030117375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9990070776A (ko) 컴퓨터 키보드의 토글키 처리방법
KR100675089B1 (ko)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050121608A (ko) 키 입력이 용이한 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전자기기
KR20010107446A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방법
JPS61134828A (ja) キ−入力装置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04512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516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3002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모드 전환장치 및 그 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JP2009080720A (ja) 情報入力装置
KR100513605B1 (ko) 컴퓨터화면의 입력문자모드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202706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0641185B1 (ko) 휴대 단말기의 세벌식 한글 입력 방법
JPH11161406A (ja) 文字入力装置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