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208A -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70208A KR19990070208A KR1019980004942A KR19980004942A KR19990070208A KR 19990070208 A KR19990070208 A KR 19990070208A KR 1019980004942 A KR1019980004942 A KR 1019980004942A KR 19980004942 A KR19980004942 A KR 19980004942A KR 19990070208 A KR19990070208 A KR 199900702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vertical
- horizontal
- passage
- primary coi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플리스 엘리베이터(Ropeless Elevator)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부에 마련된 입체 통로(10)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통로(10) 내에서 복수대의 케이지(40)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10)와, 이 통로(10)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상기 통로(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40)와, 이 케이지(40)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40)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40)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한쌍의 2차자석 조립체(A)로 구성된 것으로서, 케이지(40)의 측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2차자석 조립체(A)를 설치하여 자성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불필요하고 외력에 의한 케이지(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써 상기 케이지(40)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케이지(40)의 평형이 자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복수대의 케이지(40)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 마련된 통로(10)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플리스 엘리베이터(Ropeless Elev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내부에 마련된 입체 통로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통로 내에서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한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축조되는 건물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고자 그 구조가 초고층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의 초고층화 추세에 부응하여 건물 내부의 인력 수송을 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기술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로프 구동방식에 있어서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신개념의 엘리베이터가 도입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방식 및 그 구동원으로서의 액튜에이터에 대한 관련 문제 이외에도, 건물 구조에 적합한 운송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들을 감안해 볼 때, 초고층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단일 통로 내에서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행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가 건물 내부의 입체 통로를 따라 수직/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인근 건물 및 지하도 등에도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로프의 견인에 의한 승강 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설계시 층수에 비례한 케이지의 하중 및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지의 수직/수평 방향전환이 불가능한 점 등의 한계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구조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양쪽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을 설치한 통로(110)와, 이 통로(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에 대응하는 양쪽면에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을 설치한 케이지(140)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통로(110) 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에 상하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전류를 여자하면, 이와 마주보는 상기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에도 추력이 발생하여 상기 케이지(14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면중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그러나, 종래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수지이동용 2차자석(162)이 케이지(140)의 양쪽 외벽면 상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지(140)의 내부에 승차한 탑승자에게 강한 자력을 발생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에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로부터의 추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케이지(140)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지(140)의 고강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나, 이는 상기 케이지(140)를 가능한 한 경량화시켜야 하는 설계상의 조건에 상충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 구동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 이동성을 구비한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수대의 케이지(140)를 동시에 운행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140)의 중력방향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분할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상기 케이지(140)의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지의 측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2차자석 조립체를 설치하므로써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불필요하고, 외력에 의한 케이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케이지의 자체 평형이 유지되고,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직 및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통로 구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및 2차자석 조립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2차자석 조립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수평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동작도,
도 8b는 상부의 이동판이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을 포함한 케이지가 미끄러져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동작도,
도 8c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3 실시예의 동작도,
도 8d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4 실시예의 동작도,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도 9a 내지 도 9c는 상부의 이동판이 전환로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을 포함한 케이지가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전환로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이동판이 복원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
도 10a 및 도 10b는 수평이동용 1차코일 및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전환로 지점에 진입한 후,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전환로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케이지가 견인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3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수평 교차로 구조 및 이 교차로 지점에서의 케이지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복수대의 케이지를 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통로 구조 및 그 대피공간으로 케이지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2차자석 조립체 10 ; 통로
11 ; 대피공간 12 ; 전환로
13 ; 교차로 20 ; 수직이동용 1차코일
30 ; 수평이동용 1차코일 40, 40a ; 케이지
41 ; 연결봉 50 ; 수평지지판
51 ; 고정판 52 ; 이동판
53 ; 수평이동용 2차자석 54 ; 로울러
55 ; 전원공급부 56 ; 액튜에이터
60 ; 수직지지판 61 ; 수직이동용 2차자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와, 이 통로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상기 통로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한쌍의 2차자석 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10)와, 이 통로(10)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상기 통로(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40)와, 이 케이지(40)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40)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40)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한쌍의 2차자석 조립체(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차자석 조립체(A)는 상기 케이지(40)의 상,하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봉(41)과, 이 각 연결봉(41)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지(40)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지지판(50)과, 이 각 수평지지판(50)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각각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각 연결봉(41)의 전후 측면으로 각각 배치된 수직지지판(60)과, 이 각 수직지지판(60)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직이동용 2차자석(61)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판(50)은 상기 연결봉(41)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51)과, 이 고정판(51)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되는 이동판(52)과, 이 이동판(52)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5) 및 액튜에이터(56)와, 상기 이동판(52) 상에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이동판(52) 상에 장착되어 통로(10)의 상,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극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로울러(5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은 상기 이동판(52) 상에서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후 한쌍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은 상기 수직지지판(60) 상에서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로(10)는 상기 케이지(40)가 건물 내부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인근 건물 및 지하도 등에도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게 한 미래형 초고층 건물의 종합 운송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는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10)는 그 각 내측 상,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그 내측면 상에 수직 설치된 수직이동용 1차코일(20)로 구성되며, 상기 통로(10)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케이지(40)(40a)를 동시에 운용할 때 운용 케이지(40)와 비운용 케이지(40a)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비운용 케이지(40a)를 임시로 수용하기 위한 대피공간(11)이 상기 통로(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직 또는 수평전환 구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 및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수평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는 수직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a 내지 도 8d로 도시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평 방향전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1 실시예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전후측 수직지지판(6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과 상기 통로(10) 전후 내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간에 발생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가 전환로(12) 위치까지 상승 진입한 후, 계속해서 상측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통로(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는 로울러(54)가 개재되어 함께 구동하므로써 고착현상 없이 일정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b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2 실시예는 상부의 이동판(52)이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가 미끄러져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상기 이동판(52)은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는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소정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
도 8c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40)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도 8b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케이지(4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53) 및 상기 통로(10)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판(52)은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고정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상기 이동판(52)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소정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
도 8d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4 실시예는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40)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부의 이동판(52)이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c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로 도시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직 방향전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1 실시예는 상부의 이동판(52)이 전환로(12)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가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복원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상기 이동판(52)은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 진입 직전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는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2 실시예는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및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 전체가 전환로(12) 지점에 동시 진입한 후,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상측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전환로(12)의 위치까지 진입한 후, 계속해서 전후측 수직지지판(6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과 상기 통로(10) 전후 내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간에 발생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가 수직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3 실시예는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케이지(40)가 견인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상기 케이지(40)의 상부가 자력에 의해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52)이 액튜에이터(56)의 구동에 의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되고, 상기 액튜에이터(56)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케이지(40)를 전환로(12) 위치까지 견인하여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수평 교차로(13) 구조 및 이 교차로(13) 지점에서의 케이지(40)가 이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지점에서의 케이지(40) 추락을 막기 위해 상기 교차로(13)의 전후 내측면에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동작은 상기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또한, 도 13a 내지 도 13c는 복수대의 케이지(40)를 운용하게 될 때, 상기 비운용 케이지(40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10)에 형성하게 되는 대피공간(11)의 설계 예를 제시한 것으로, 통로(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대피공간(11)의 내부로 비운용 케이지(40a)가 이동 수용되어, 운용 케이지(40)가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동작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플리스 엘리베이터는 케이지(40)의 측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2차자석 조립체(A)를 설치하여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상기 2차자석 조립체(A)에 의한 자성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불필요하고 외력에 의한 케이지(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써 상기 케이지(40)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케이지(40)의 평형이 자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복수대의 케이지(40)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 마련된 통로(10)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와, 이 통로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상기 통로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한쌍의 2차자석 조립체로 구성된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자석 조립체는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봉과, 이 각 연결봉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지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지지판과, 이 각 수평지지판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과, 상기 각 연결봉의 전후 측면으로 각각 배치된 수직지지판과, 이 각 수직지지판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직이동용 2차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판은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되는 이동판과, 이 이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액튜에이터와, 상기 이동판 상에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과, 상기 이동판 상에 장착되어 통로의 상,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극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각 내측 상,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그 내측면 상에 수직 설치된 수직이동용 1차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복수개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때 운용 케이지와 비운용 케이지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비운용 케이지를 임시로 수용하기 위한 대피공간이 상기 통로의 측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ko) | 1998-02-18 | 1998-02-18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ko) | 1998-02-18 | 1998-02-18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0208A true KR19990070208A (ko) | 1999-09-15 |
KR100271022B1 KR100271022B1 (ko) | 2000-11-01 |
Family
ID=1953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ko) | 1998-02-18 | 1998-02-18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1022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4222A (ko) * | 2000-01-29 | 2000-05-06 | 윤두한 | (전)자기부상 승강기 |
KR20200004591A (ko) | 2018-07-04 | 2020-01-1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102095654B1 (ko) | 2018-10-16 | 2020-03-31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0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47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1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3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2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70222B2 (en) | 2015-07-16 | 2019-08-06 | Otis Elevator Company | Ropeless elevator system and a transfer system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
WO2017023962A1 (en) | 2015-08-03 | 2017-02-09 | Otis Elevator Company | Intermediate transfer station |
US10144616B2 (en) | 2016-06-10 | 2018-12-04 | Otis Elevator Company | Cab for vertical travel with controllable orientation for non-vertical travel |
-
1998
- 1998-02-18 KR KR1019980004942A patent/KR1002710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4222A (ko) * | 2000-01-29 | 2000-05-06 | 윤두한 | (전)자기부상 승강기 |
KR20200004591A (ko) | 2018-07-04 | 2020-01-1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102095654B1 (ko) | 2018-10-16 | 2020-03-31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0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47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1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3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KR20210085852A (ko) | 2019-12-31 | 2021-07-08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71022B1 (ko) | 2000-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72547B1 (en) | Electric linear motor | |
AU2007200533B2 (en) | Lift installation with a linear drive system and linear drive system for such a lift installation | |
KR100271022B1 (ko)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 |
US5141082A (en) | Linear motor elevator system | |
DE3788115T2 (de) | Transportsystem vom Typ eines schwebenden Trägers. | |
CN1024777C (zh) | 线性电动机电梯 | |
WO2014007587A1 (ko) | 발전 가능한 엘리베이터 | |
US20170362061A1 (en) | Transfer station and car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 |
US20160297648A1 (en) | Stator reduction in ropeless elevator transfer station | |
JP2019534667A (ja) | リニア電気機械およびリニア電気機械を制御するための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ンバータ | |
EP3401267A1 (en) | Ropeless elevator system modular installation | |
KR100275574B1 (ko) |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및 그 구동방법 | |
CN109803914B (zh) | 用于电梯设备的线性驱动系统 | |
KR19980071650A (ko) |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CN114293415A (zh) | 提升车辆运行性能的永磁磁浮轨道系统及同步直线电机 | |
JPH04148785A (ja) | エレベータ駆動装置 | |
JPH05286669A (ja) |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 |
JPH11205910A (ja) | リニア式台車型搬送装置 | |
JP6610501B2 (ja) | ロープレスエレベーター装置 | |
CN212191727U (zh) | 基于有铁芯双边永磁同步直线电机的激光切割机 | |
KR200245963Y1 (ko) |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 | |
KR100361268B1 (ko) | 순환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 |
KR20210056032A (ko) | 엘리베이터용 리니어 모터 | |
JPH08277078A (ja) |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ー | |
KR19990070350A (ko) | 로플리스 엘리베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