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070A -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070A
KR19990069070A KR1019980003089A KR19980003089A KR19990069070A KR 19990069070 A KR19990069070 A KR 19990069070A KR 1019980003089 A KR1019980003089 A KR 1019980003089A KR 19980003089 A KR19980003089 A KR 19980003089A KR 19990069070 A KR19990069070 A KR 1999006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hannel data
reference voltage
baseband
baseb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131B1 (ko
Inventor
정성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1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채널 데이터를 각 채널 당 할당된 기저대역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여 직류 전압을 가지는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각 기저대역필터와 기준전압의 입력단 사이에 아날로그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기준전압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통해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인가되는 상기 기저대역신호의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 방전하여 차동증폭기의 입력 전압을 보정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변조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데이터의 직류 오프-셋을 안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변조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는 초기 파워 온(Power On)시 직류 기준전압(Vmid)과 I채널과 Q채널로 이루어진 채널 데이터의 직류 입력전압(VI,VQ)의 차를 구하여 제어부의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상기 레지스터에 기록된 전압 차는 이후 제어부에서 전압 차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말해 복조되어 인가되는 상기 채널 데이터가 기저대역필터(Baseband Filter)를 거치게 되면 직류 성분을 가지는 기저대역신호(Baseband Signal)의 채널 데이터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는 제어부 내에 구비된 차동증폭기를 거쳐 제어부 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정도의 레벨로 차동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기저대역필터로부터 출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채널 데이터를 기준전압 Vmid의 직류 전압과 비교하여 상호 다른 직류 전압일 경우에는 상기 차동증폭기를 거쳐 출력되는 신호는 원치 않는 신호가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제어부 내에서 사용되는 클럭신호는 정상적인 신호와 비교하였을 때 위상 차가 발생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차동증폭기를 거친 신호를 초기 파워-온 시 레지스터에 기록한 직류 전압의 차만큼을 보정하여도 차동 증폭에 따라 발생되는 비트 에러(Bit Error)는 보정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미리 기록된 직류 전압 차만큼을 보정한다고 해도 이미 차동증폭기를 거친 신호이므로 정확한 신호를 얻기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기 전에 보정하여 비트 에러 율(BER; Bit Error Rate)을 개선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널 데이터를 차동 증폭하기 전에 보정하여 비트 에러 율(BER; Bit Error Rate)을 개선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부(101), 기저대역필터(111,112), 오프-셋 보정부(120) 및 차동증폭기(131,1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프-셋 보정부(120)는 기준전압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 기저대역필터(111,112)와 상기 기준전압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121,122)로 구성된다.
복조부(101)는 변조된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I채널과 Q채널의 채널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며, 기저대역필터(111,112)는 상기 출력되는 I채널 데이터와 Q채널 데이터의 기저대역신호를 필터링 하여 출력한다. 오프-셋 보정부(120)는 기준전압 Vmid의 직류 전압과 상기 채널 데이터 기저대역신호의 직류 전압이 같아지도록 직류 전압을 조정한다. 차동증폭기(131,132)는 상기 I채널 데이터의 직류전압 또는 Q채널 데이터의 직류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 Vmid를 차동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도 1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파형은 도 2에 도시된 파형도와 같다.
(a)는 I채널 데이터 또는 Q채널 데이터의 직류전압이 기준전압 Vmid보다 큰 경우의 파형도이며, (b)는 I채널 데이터 또는 Q채널 데이터의 직류전압이 기준전압 Vmid보다 작은 경우의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동증폭기(131,132)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동증폭기(131,132)의 입력단에 아날로그 스위치(121,122)를 설치하여 Vmid에 커패시터 C1이 충전 또는 방전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C1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시간을 수신 타임 슬롯(Rx Time Slot)이 온 되는 시간만큼은 I채널과 Q채널 데이터의 입력 전압과 Vmid의 직류 전압이 같아질 수 있도록 상기 커패시터 C1의 용량을 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데이터의 반전신호( , )를 쓰지 않고 특정 기준전압(Vmid)를 사용하는 차등(Differential) 방식에서 차동증폭기의 입력에 대해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비트 에러 율을 낮추어 채널 데이터를 안정시키고 보다 양호한 음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채널 데이터의 직류 전압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채널 데이터를 각 채널 당 할당된 기저대역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여 직류 전압을 가지는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각 기저대역필터와 기준전압의 입력단 사이에 아날로그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기준전압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인가되는 상기 기저대역신호의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되는 커패시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2. 채널 데이터의 직류 전압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채널 데이터를 각 채널 당 할당된 기저대역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여 직류 전압을 가지는 기저대역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각 기저대역필터와 기준전압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스위칭 하여 상기 직류 전압을 가지는 기저대역신호를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전압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통해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기저대역신호의 직류전압에 의해 충, 방전하여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기저대역신호의 직류 전압을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오프-셋 보정방법.
KR1019980003089A 1998-02-04 1998-02-04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26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89A KR100265131B1 (ko) 1998-02-04 1998-02-04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89A KR100265131B1 (ko) 1998-02-04 1998-02-04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070A true KR19990069070A (ko) 1999-09-06
KR100265131B1 KR100265131B1 (ko) 2000-09-01

Family

ID=1953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089A KR100265131B1 (ko) 1998-02-04 1998-02-04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1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5131B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66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C offset correction and hold capability
US6529015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736886A (en) Input clamp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 correlated double-sampling circuit
US7792435B2 (en) Control device with a switchable bandwidth
KR100394318B1 (ko) 주파수 변환 믹서 출력의 디씨 오프셋 제거 장치 및 방법
JP3042608B2 (ja) バースト光受信回路
JPS62132434A (ja) ゲ−ト回路
KR100265131B1 (ko) 직류 오프-셋 보정장치 및 방법
KR20110023574A (ko) 연속-시간 아날로그 필터용 시분할 주파수 보정 및 직류 옵셋 제거회로
JPH05235760A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のオフセット補正方法および回路装置
KR20040068580A (ko) 컬러 스트라이프 인코딩에 내성을 갖는 크로미넌스 처리장치
JPH11168335A (ja) 利得制御機能付受信装置
JP3064703B2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JPH05316338A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JP3325469B2 (ja) 自動利得制御ループ回路
JPH07193437A (ja) 利得切り替え型光受信増幅回路
WO2004014066A2 (en) Method and devic the for setting the slice level in a binary signal
KR20040008819A (ko) 오프셋 전압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JPH11205632A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及びクランプ回路
WO2004068702A1 (ja) 前置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光受信器
JPH11261340A (ja) 負帰還位相変調回路
KR100394498B1 (ko)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KR920004814Y1 (ko) Rf자동이득제어회로
JPS6128442Y2 (ko)
JPS58213568A (ja) ビデオ・クランプ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