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890A -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Google Patents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68890A KR19990068890A KR1019980002791A KR19980002791A KR19990068890A KR 19990068890 A KR19990068890 A KR 19990068890A KR 1019980002791 A KR1019980002791 A KR 1019980002791A KR 19980002791 A KR19980002791 A KR 19980002791A KR 19990068890 A KR19990068890 A KR 19990068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insulator
- ion secondary
- secondary battery
- lithium ion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3307 Ni-C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95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477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하부절연체와 동일한 모양의 바닥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원통형의 튜브를 갖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절연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하부절연체의 튜브를 젤리롤에 끼워넣음으로써 젤리롤의 중앙에 있는 태극무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양극전극과 음극인 캔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단락을 하부절연체를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Ni-탭 용접시 용접봉이 젤리롤의 중앙부에 있는 태극무늬에 의해서 걸리는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면서 제작비용을 높이지 않고,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전지의 불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하부절연체와 동일한 모양의 바닥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원통형의 튜브를 갖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산업 기기의 발달로 전지는 휴대용 전원으로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2차전지는 수백 회를 반복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과 응용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고용량화와 소형화가 필요한 전지는 전자기기의 소형화 목표달성에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다. 현재 2차 전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전지는 Ni-Cd, Ni-MH,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7V이상이고 용량도 Ni-Cd, Ni-MH 에 비해서 2배 이상 크다. 따라서 작동전압이 높기 때문에 직렬로 연결해서 사용하면 전지의 사용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전지의 수명도 길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선호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지가 수용액을 기본으로 하는 전해액을 사용하는 반면, 리튬이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때문에 수용액으로 구성된 전해액은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유기전해액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카보네이트 계통의 전해액에 리튬염을 용해시켜 전해액을 만들고 전해액의 성능향상을 위해 에테르등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이차전지에 사용하는 전해액으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등이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지에 비해서 전지의 이상 등으로 발화나 폭발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전지의 제조공정에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리튬이온이차전지의 제조는 양/음전극을 준비하고, 분리막을 두 전극사이에 삽입하고 와인딩(winding)기계로 젤리롤(jelly roll)을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젤리롤은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을 차례대로 롤케이크처럼 감겨진 형태를 의미한다. 젤리롤은 하부에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얇은 원판모양의 절연체를 넣고, 강철 캔에 삽입하여 Ni-탭을 저부에 스팟용접(spot welding)한다. 용접된 캔은 비딩(beading), 전해액 주입, 캡 크림핑(cap crimping)의 공정을 거쳐서 완성시킨다.
젤리롤은 감기 시작할 때 분리막을 잡아주는 핀에 의해서 중앙부에 태극무늬처럼 가운데가 분리된 막(이하 태극무늬)이 형성된다. 기존의 와인딩 기계는 대부분 태극무늬 부분을 없애주는 장치가 없어서 젤리롤이 완성된 후에 후공정을 통해서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태극무늬는 캔의 저부에 음극단자인 Ni-탭을 용접하기 위해서 제거하거나 한쪽으로 밀어서 없애주어야 한다. 태극무늬를 없애지 않을 경우 저부용접용 용접봉이 삽입될 때 용접봉이 분리막에 걸리거나 분리막이 찢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저부용접 불량이 자주 발생한다.
하부 절연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고, 두께는 0.3 내지 0.5㎜ 이며, 음극인 캔과 젤리롤의 양극 사이의 절연과 전지의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리튬이 캔의 저부에 석출되어 양극과 음극사이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전해액의 휘발등으로 인해 리튬염이 형성될 수 있는데, 리튬염은 대부분 음극전극의 가장자리(edge)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음극단자인 Ni-탭을 강철캔의 저부에 용접하는 경우 용접부분의 과열로 전극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용접부의 열로 인해 분리막이 용해되거나 미세구멍(micropore)이 막혀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부절연체의 모양을 개선하여 중앙에 튜브를 갖도록 하려 하부절연체와 캔과의 단락을 방지하고 충방전 진행동안 형성될 수 있는 리튬염이나 리튬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며, 전지불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절연체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 는 기존의 상,하부 절연체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부절연체가 삽입된 리튬이온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1 ---- 튜브가 부착된 하부절연체 2 ---- 분리막
3 ---- 캡 4 ---- Al-탭
5 ---- 상부절연체 6 ---- 양극
7 ---- 음극 8 ---- 캔
본 발명은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기존의 하부절연체와 동일한 모양의 바닥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원통형의 튜브를 갖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절연체는 기존의 하부절연체와 동일한 모양의 바닥을 갖고 있으며 중앙에 원통형의 튜브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절연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0.1 내지 1 m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0.3 내지 0.5 ㎜ 이다.
중앙의 원통형 튜브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얇을수록 바람직하다. 튜브의 외경은 젤리롤이 허용할 수 있는 내경에 맞추어 정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18650 전지의 경우 젤리롤의 내경이 약 ψ 4㎜ 이고, 하부용접용 전극봉의 외경이 약 ψ 2㎜ 이므로 튜브의 외경은 ψ 2 내지 4㎜ 가 적합하다. 또한, 튜브의 길이도 사용되는 전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젤리롤의 크기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8650 전지의 경우 20 내지 55㎜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절연체의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사용하는데, 전지 제조기에 부착된 센서에서 절연체의 삽입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색깔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절연체를 사용하고, 그 색상은 사용하는 회사마다 다르다.
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및 분리막을 감아서 만든 젤리롤에 본 발명의 하부절연체를 끼워넣고, Ni-탭을 밑으로 빼내어 캔의 바닥에 용접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한 리튬이온이차전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절연체의 중앙부에 있는 튜브(1)는 젤리롤에 끼워넣음으로써 감기공정에서 발생한 태극무늬를 제거하여 용접봉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따라서 용접봉 삽입시 용접봉이 걸리거나 분리막(2)이 찢어지고 또는 분리막(2)의 끝부분이 접혀 캔과 Ni-탭 사이에서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접시 발생하는 과열로 인한 전극과 분리막의 손상도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부절연체의 모양은 전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절연판을 삽입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전지 조립시 Ni-탭을 용접하는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기존의 하부절연판을 사용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조립하는 경우(비교예)와 비교하여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비교예 | |
제작전지수 | 10 | 10 |
불량수 | 0 | 3 |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에 튜브가 있는 하부절연판을 사용하여 전지를 조립할 경우 기존의 하부절연판을 사용한 전지와 비교할 때 전극봉의 원활한 삽입으로 Ni-탭 용접시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절연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하부절연체의 튜브에 의해 젤리롤의 중앙에 있는 태극무늬가 한쪽으로 모이게 되고, 그 결과 원통형의 통로가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태극무늬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태극무늬가 제거되면 Ni-탭 용접용 용접봉이 원활히 캔의 저부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용접시 용접봉이 젤리롤의 중앙부에 있는 태극무늬에 의해 걸리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Ni-탭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전극과 분리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면서 제작비용을 높이지 않고 성능이 향상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2)
- 리튬이온전지의 하부절연판에 있어서, 기존의 하부절연체와 동일한 모양의 바닥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원통형의 튜브를 갖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제 1항에 있어서, 히부절연체의 원통형 튜브의 직경 및 길이가 전지의 직경 및 길이에 맞게 조절하여 제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2791A KR19990068890A (ko) | 1998-02-02 | 1998-02-02 |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2791A KR19990068890A (ko) | 1998-02-02 | 1998-02-02 |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8890A true KR19990068890A (ko) | 1999-09-06 |
Family
ID=6589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2791A KR19990068890A (ko) | 1998-02-02 | 1998-02-02 |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6889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88877B2 (en) | 2017-05-30 | 2023-06-27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
1998
- 1998-02-02 KR KR1019980002791A patent/KR199900688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88877B2 (en) | 2017-05-30 | 2023-06-27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66548B2 (en) | Can type secondary battery | |
US7687191B2 (en) | Set of electrode plates for rolled electrochemical component and a cell comprising such electrode plates | |
US20240136664A1 (en) |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JP2007059170A (ja) | 電池パック | |
JP4515405B2 (ja) | 円筒状の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US7754376B2 (en) |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4055219B2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JPH10125335A (ja) | 渦巻状電極を備えた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9990068890A (ko) |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하부절연체 | |
KR100307452B1 (ko) | 이차전지의 전극 | |
JP3302200B2 (ja) | 密閉角形非水電解液電池 | |
JP2001273932A (ja) | 円筒形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KR20220091292A (ko)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18409B1 (ko) |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 |
KR100813829B1 (ko) | 이차전지용 전극 젤리롤 | |
KR100768179B1 (ko) |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 |
KR100274896B1 (ko) | 이차전지 | |
KR200222472Y1 (ko) | 각형 이차전지의 전극롤 권취용 맨드릴 | |
KR100418592B1 (ko)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
KR100858793B1 (ko) | 보강용 비이드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라운드형 2 차 전지 | |
JPS59111259A (ja) | 円筒形非水電解液電池 | |
KR100561309B1 (ko) |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 |
KR100563027B1 (ko) | 이차전지 | |
KR20000006811U (ko) | 이차전지의 전극 탭 구조 | |
KR200266591Y1 (ko)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