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797A - 오.폐수의처리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의처리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797A
KR19990068797A KR1019990023355A KR19990023355A KR19990068797A KR 19990068797 A KR19990068797 A KR 19990068797A KR 1019990023355 A KR1019990023355 A KR 1019990023355A KR 19990023355 A KR19990023355 A KR 19990023355A KR 19990068797 A KR19990068797 A KR 1999006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supply chamber
wastewate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292B1 (ko
Inventor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이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진 filed Critical 이세진
Priority to KR101999002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29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 부상분리조(1)의 유입구(101) 측에 공기공급챔버(2)를 설치하여 그 상단에 공기공급장치(20)를 부착하고 공기공급챔버 속에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임펠러를 통해 미세입자로 만들어서 공기공급챔버(2) 속에서 고분자응집제와 같이 교반시켜 오·폐수 속의 고형물에 미세공기방울을 부착시켜 부상분리조에 투입하므로써 부상분리조에서 신속히 부상하여 분리효과를 높이는 오ㆍ폐수의 처리방법이며, 이방법을 달성하기 위해 오·폐수 부상분리조(1)의 유입구(101)와 오·폐수 교반저장조(4)의 배출구 사이에 공기공급챔버(2)를 직렬되게 설치하여 그 상단에 지지관(21)을 세우고 지지관 상단에 가변구동모터(인버터형모터)(23)를 장치하여 그 회전축(24)을 지지관(21)의 내부에서 회전될수 있게 장치한 공기흡인관(25)의 상단부와 접속시킨후 접속부 둘레에 다수의 흡기공(26)을 형성시키고 공기흡인관의 하단은 공기공급챔버(2) 속 중앙까지 삽입하여 그끝에 임펠러(3)를 부착하므로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공기흡인관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기공급챔버 속에 흡인할수 있게 되고 공기공급챔버(2) 속에서 미세공기방울과 고분자 응집제를 같이 교반시켜 오·폐수 속의 고형물에 미세공기방울을 많이 부착시켜 처리하므로서 오·폐수의 부상분리효과가 탁월하고 시설이 간편하며 사용하기 좋은 효과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A sewage and / or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n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오·폐수 속에 혼합되어 있는 고형물에 아주 작은 공기방울을 많이 부착시켜서 고형물과 공기방울의 합한 부력이 고형물을 물위로 부상시켜 오·폐수에 혼합된 고형물을 분리하는 오·폐수 처리방법이며 이방법을 효과적으로 달성시킬수 있게 공기공급장치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오·폐수처리를 달성하는 것이다.
부상분리는 오·폐수 속에 있는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공기방울을 오·폐수 속에 넣어서 교반하므로서 공기방울이 고형물에 부착하여 고형물과 공기방울의 합한 부력이 고형물을 물 위로 떠오르게 하여 오·폐수와 고형물을 분리시키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은 액체보다 밀도가 무거운 입자도 뜨게할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액체보다 밀도가 가벼운 입자도 신속하게 떠오르게 할수가 있다.
따라서 오·폐수의 처리에 있어서의 부상분리법은 공기를 부상촉진제로 사용하는 모든 수단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방법을 살펴보면
1. 액체가 압력을 가진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한후 압력을 제거하는 방법(용존공기부상분리법)
2. 대기입하에서 포기하는 방법(공기부상분리법)
3. 대기입하에서 공기로 포화시킨후 액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방법(진공부상분리법)으로 구분될수 있고
상기에서 알려져 있는 용존공기부상분리법은 3-8기압하에서 공기를 오·폐수 등에 용존시킨후 다시 압력을 대기압까지 감소시킨 전체 유량을 펌프로 3-8Kg/cm2까지 압력을 받고있는 가압탱크 속에서 5-7분간 체류하는 동안에 공기가 오·폐수 속으로 녹아 들어가게 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유량은 감압밸브를 통하여 부상조로 들어가서 전체액체로부터 공기가 미세한 방울로 되어 빠져 나오게 하는 것이라 이러한 방법은 가압펌프, 가압탱크, 압축기, 압력조절장치, 가압밸브와 같은 위험요소가 많은 기계와 기구를 사용해야하는 부담이 있고 또 상기 기계나 기구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비와 관리에 상당한 기술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단 가라앉은 부유물에는 공기방울을 다시 부착시킬수가 없게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여 복잡하고 위험한 기계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그리고 안정된 방법으로 오·폐수 속에 공기를 공급하여 고형물에 부착시켜 분리시키는 것인즉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 단면도
도 2,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임펠러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도
도 6은 종래의 부상분리조(DAF)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상분리조 101 : 부상분리조측 유입구
2 : 공기공급챔버 20 : 공기공급장치
201 : 공기공급챔버측 유입구 21 : 지지관
21a : 공기유입구 22 : 베어링
23 : 가변구동모터(인버터형모터) 24 : 회전축
25 : 공기흡인관 26 : 흡기공
3 : 임펠러 31 : 배기관
32 : 날개 4 : 교반저장조
5 : 공급장치관 8 : 스키머장치
10 : 바닥슬러지 수집기
본 발명은 오·폐수 속의 고형물이나 액체 입자에 매우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미세한 공기입자를 부착시켜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부상분리방법이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20)는 공기공급챔버(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관에 임펠러(3)가 달린 공기흡인관을 장치하여 공기흡인관을 가변구동모터로 회전시키는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20)는 부상분리조(1)의 오·폐수 유입구(101)에 공기공급챔버(2)를 설치하여 그 상단부에 지지관(21)을 세우고 그 상부에 가변구동모터(23)를 장치하여 가변구동모터의 회전축(24)을 지지관(21) 속으로 넣어서 지지관(21)의 상하에서 베어링(22)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장치되어 있는 공기흡인관(25)의 상단과 접속시키고 접촉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흡기공(26)을 천공하며 이 흡기공은 지지관에 뚫어진 공기유입구(21a)와 연통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공기흡인관(25)은 내경이 밴튜리관 형상 또는 직선관 형상으로 구성하여 하단을 공기공급챔버(2) 속 중앙까지 삽입하여 그끝에 임펠러(3)를 부착시켜 구성되고 임펠러(3)는 그 둘레에 2-15개의 배기관(31)을 공기흡인관과 연통되게 형성하여 임펠러 둘레에 형성된 배기관(31)의 회전방향쪽 표면에 칼날형상으로된 날개(32)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공급챔버(2) 그 유입구(201)에 오·폐수 교반저장조(4)의 배출관을 접속시키고 유입구(201)에 고분자 응집제 공급장치관을 연결하므로서 오·폐수처리장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5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오·폐수 교반저장조(4)와 부상분리조(1) 사이에 공기공급챔버(2)가 장치되어 그 상단에 공기공급장치(20)가 설치되고 오·폐수 교반저장조(4)에 가성소다와 황산반토 등 약품이 투입되어 오·폐수를 약품과 혼합하여 반응시킨후 공기공급챔버(2)를 거쳐 부상분리조(1)로 보내게 되며 공기공급챔버(2)에는 가변구동모터(23)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공기흡인관(25)이 장치되어 그 하단이 공기공급챔버(2) 속으로 삽입되어 하단에 임펠러(3)가 장치되어 있고, 임펠러가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공기공급챔버로 흡인하게 되며 흡인된 공기는 임펠러(3)를 거치면서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지고 배기관(31)의 표면에 부착된 날개(32)와 부딪혀서 더욱 미분화되어 공기공급챔버 내의 고형물 표면에 부착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공기흡인관이 벤튜리관형태로 되어서 회전을 하면 임펠러 주위가 감압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흡인관으로 자연스럽게 흡인되는 현상에 기인하고(벤튜리관 형태가 아닌 직선관 형태로 되어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공기흡인관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공기량이 많이 유입되며 임펠러의 교반작용으로 공기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공기흡인관의 회전속도를 적절한 속도로 설정함에 따라 적절한 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고형물에 부착될수 있는 것이며 공기공급챔버(2)의 유입구(201) 측에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장치관(5)으로 투입할수 있어서 응집제와 공기를 동시에 교반시켜 고형물에 공급할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더욱 확대시킬수 있게된다.
따라서, 미세한 공기가 고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부상분리조(1)에 유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부상분리조의 물위로 떠올라 스키머장치(8)에 의하여 부유물을 외부로 걷어내어 처리되며 바닥에 깔아앉은 무거운 침전물은 바닥슬러지 수집기(10)에 의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킨후 다음 공정으로 보낼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써 기존의 설비와 비교할때 아래표와 같은 효과의 차이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가변구동모터로 회전시키는 공기흡인관(25)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방법으로 오·폐수의 고형물 분리에 적절한 공기량을 조정하여 공급할수 있으며 조정된 공기를 응집제와 같이 챔버(2) 속에서 고속교반시켜 혼합응집을 실시하므로 바닥에 가라앉은 무거운 입자도 재부상을 시켜 분쇄하고 동시에 미세공기방울을 연속적으로 부착시킬수 있어서 부상효율을 95%이상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나 공기공급을 위한 가압탱크 등의 복잡한 설비가 필요치 않아 시설비, 운전비, 동력비, 보수 유지비 등의 비용을 저렴하게 할수 있고 압축기 및 가압탱크 등의 위험한 기계나 기구를 사용치 않아 설비의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비숙련공도 손쉽게 운전이 가능하여 산업재해예방은 물론 인건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고
특히, 환경오염방지시설에서 침전조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시설부지를 약 10배이상 절감할수 있어 공장의 부지난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사용용도에는 각종 환경오염방지시설뿐만 아니라 비중이 물보다 가벼운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중간공정 또는 침전조 대용, 폐수의 재활용 시설, 제지공장 등 각종 오·폐수 처리 등의 분야에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범주가 넓어 이용가치가 큰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3)

  1. 오·폐수 부상분리조(1)의 유입구(101) 측에 공기공급챔버(2)를 설치하여 상단에 공기공급장치(20)를 부착하고 그속에 공기흡인관(25)을 장치하여 하단에 임펠러(3)를 갖추므로서 외부의 공기를 자연스럽게 흡인하여 공기공급챔버(2) 속에서 미분화시키고 이를 오·폐수 속의 고형물에 부착시켜 부상분리조에 투입하는 수단으로 오·폐수 속에 있는 고형물을 분리할수 있게한 오·폐수의 처리방법
  2. 오·폐수 부상분리조(1)의 유입구(101)와 오·폐수 교반저장조(4)의 배출구 사이에 공기공급챔버(2)를 직렬로 설치하여 그 상단에 길게 지지관(21)을 세우고 지지관 상부에 가변구동모터(인버터모터)(23)를 장치하여 그 회전축(24)을 지지관(21)의 내부에서 회전될수 있게 장치한 공기흡인관(25)의 상단부와 접속시킨 후 접속부 둘레에 다수의 흡기공(26)을 형성시키고 공기흡인관의 하단은 공기공급챔버(2) 속 중앙까지 삽입하여 그끝에 임펠러(3)를 부착시켜 임펠러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기관(31)을 돌출시켜 배기관이 회전하는 방향쪽 표면에 칼날형상의 날개(32)를 부착시킨 구성의 공기공급장치(20)를 갖추어서 공기공급챔버(2)의 오·폐수 유입구측에 고분자 응집제 공급장치관(5)을 접속시켜 일체형으로 만든 오·폐수 처리장치
  3. 상기 2항에서 임펠러(3) 배기관(31)을 중간부측이 회전방향 쪽으로 튀어나오게 곡형으로 하고 숫자가 2개이상 15개미만일 것을 포함하는 상기 2항 기재의 오·폐수 처리장치
KR1019990023355A 1999-06-17 1999-06-17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30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55A KR100301292B1 (ko) 1999-06-17 1999-06-17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55A KR100301292B1 (ko) 1999-06-17 1999-06-17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97A true KR19990068797A (ko) 1999-09-06
KR100301292B1 KR100301292B1 (ko) 2001-09-22

Family

ID=3752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355A KR100301292B1 (ko) 1999-06-17 1999-06-17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29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521B1 (ko) * 1999-07-13 2001-09-22 송민경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0337533B1 (ko) * 2001-09-08 2002-05-22 프리마산업(주) 미세공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공기식부상분리장치
KR100646217B1 (ko) * 2005-06-14 2006-11-23 삼정건설 주식회사 고온 호기성 소화 반응조의 공기공급장치
KR100888691B1 (ko) 2007-09-20 2009-03-13 김기암 자흡식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흡공기식 부상분리장치
KR101053447B1 (ko) * 2011-01-14 2011-08-02 우광재 회전형 기포제트 산기관
CN112939131A (zh) * 2021-03-23 2021-06-11 渠晓东 一种溶气释放器的气浮头
KR102300414B1 (ko) * 2020-09-02 2021-09-09 씨제이대한통운 (주) 고효율 하폐수 막분리 처리 시스템
KR20220144228A (ko) * 2021-04-19 2022-10-26 (주) 케이오더블유 용존산소량 증대형 버블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52B1 (ko) 2009-05-18 2012-01-06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교반기
KR101185252B1 (ko) 2010-05-28 2012-09-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처리용 패들장치
KR101291622B1 (ko) 2011-04-18 2013-08-07 김영환 기포생성부가 구비된 오폐수처리장치
KR102638544B1 (ko) 2018-05-02 2024-02-21 주식회사 이앤에프 분산공기부상식 고액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8461A (en) * 1978-02-15 1979-08-25 Mitsui Miike Mach Co Ltd Method of denitrifying high concentration nitrogen contained waste water
JPS5575795A (en) * 1978-12-06 1980-06-07 Shinetsu Eng Kk Equipment for dissolving or mixing gas into liquid
KR850003522A (ko) * 1983-11-12 1985-06-20 김재철 폐수의 부상분리 장치
JPH04210294A (ja) * 1990-11-30 1992-07-31 Ee P J:Kk 水質浄化処理装置
KR100312199B1 (ko) * 1996-10-18 2002-02-28 손을택 순환식폐수정화장치및방법
KR19990022186U (ko) * 1999-03-13 1999-06-25 고혜경 폐수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521B1 (ko) * 1999-07-13 2001-09-22 송민경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0337533B1 (ko) * 2001-09-08 2002-05-22 프리마산업(주) 미세공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공기식부상분리장치
KR100646217B1 (ko) * 2005-06-14 2006-11-23 삼정건설 주식회사 고온 호기성 소화 반응조의 공기공급장치
KR100888691B1 (ko) 2007-09-20 2009-03-13 김기암 자흡식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흡공기식 부상분리장치
KR101053447B1 (ko) * 2011-01-14 2011-08-02 우광재 회전형 기포제트 산기관
KR102300414B1 (ko) * 2020-09-02 2021-09-09 씨제이대한통운 (주) 고효율 하폐수 막분리 처리 시스템
CN112939131A (zh) * 2021-03-23 2021-06-11 渠晓东 一种溶气释放器的气浮头
KR20220144228A (ko) * 2021-04-19 2022-10-26 (주) 케이오더블유 용존산소량 증대형 버블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292B1 (ko) 200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2617A (en) Foam flotation concentrator
US3787316A (en) Foam flotation concentration of sewage
CN100430119C (zh) 潜水式就地充氧机
KR100888691B1 (ko) 자흡식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흡공기식 부상분리장치
KR100301292B1 (ko)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RU2348461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мешал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08128044A1 (en) Flotation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CN105855067B (zh) 一种无动力浮选机
KR200424392Y1 (ko) 고속응집 부상분리장치
CN104341021A (zh) 序进式气浮装置
CN206858385U (zh) 一种从含油泥浆中分离出油的分离装置
CN101024152B (zh) 浓缩器的稀释装置
CN213202505U (zh) 一种螺旋推流曝气装置
KR101802769B1 (ko) 미세 기포 생성용 순환펌프
KR100743860B1 (ko) 스컴제거형 교반기
CN217746620U (zh) 一种实验室用的同心双轴反转搅拌煤泥水调浆装置
CN213771799U (zh) 油田轻质污油泥脱油脱砂脱水装置
CN205761807U (zh) 一种新型无动力浮选机
CN206666178U (zh) 一种用于曝气机的双点支撑架总成
US20230144514A1 (en) Water and wastewate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0312805A (ja) 濁水処理装置
JPH04197496A (ja) 流体混合方法
RU1792742C (ru) Установка дл флотации сточных вод
CN203474498U (zh) 序进式气浮装置
CN107487872A (zh) 一种机械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