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866A -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 Google Patents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866A
KR19990066866A KR1019980057995A KR19980057995A KR19990066866A KR 19990066866 A KR19990066866 A KR 19990066866A KR 1019980057995 A KR1019980057995 A KR 1019980057995A KR 19980057995 A KR19980057995 A KR 19980057995A KR 19990066866 A KR19990066866 A KR 1999006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attern
warp
glyph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229B1 (ko
Inventor
피셔 요아힘
Original Assignee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Publication of KR1999006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2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pecial thread-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는 3개 이상의 위치로 밀어 젖혀질 수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을 구비한다. 기본 이동은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최대로 가능한 총괄 이동이 4개 이상의 코 뜨개 바늘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미리 주어진 구역에서 선택적으로 1개 내지 4개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총괄 이동이 실시된다. 그러한 방법에 의해, 3개 이상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거나 2색조의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이 얻어진다.

Description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카드(Jacquard)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신규의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에 관한 것이다.
1987년에 간행된 "경편물의 제조"라는 제하의 서적 제304면 내지 제308면으로부터 전제된 바와 같은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경편기에서는 코 뜨개 바늘의 피치만큼 밀어 젖혀질 수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이 그 문양사 뜨개 바늘에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즉 코 뜨개 바늘의 2피치의 거리 이내에 걸친 동일한 기본 이동을 부여하는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다. 그에 의해, 문양사가 상이하게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그에 상응하는 조밀도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그러한 조밀도의 차이를 문양 놓기에 이용할 수 있다.
아직 선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DE 195 51 053.8-26으로부터 자카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뜨개 바늘이 3개의 안정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형식의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형식을 실현시키기 위해, 뜨개 바늘은 바늘 작동 제어 장치의 제어 부재에 의해 바늘의 피치의 2배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작동 제어 장치의 제어 부재에 의해 뜨개 바늘의 진로를 가로막을 수 있고 그에 의해 뜨개 바늘을 중앙 위치에 유지시키는 추가의 스토퍼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의 작업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바늘 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변형된 바늘 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낙판을 사용할 경우의 바늘 장치의 확대도,
도 5는 또 다른 변형된 바늘 장치의 확대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문양사 뜨개 바늘의 이동 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 실시예에서의 도 6과 유사한 도면,
도 8은 문양사 뜨개 바늘의 지지대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스토퍼가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의 도 9와 유사한 도면,
도 11은 도 2의 바늘 장치에 의해 제조되어 4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12는 도 2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3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 놓기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13은 도 2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2색조의 문양 놓기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14는 도 3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2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 놓기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15는 도 4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4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 놓기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16은 도 5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2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 놓기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코 뜨개 바늘
4 : 바탕사
6 : 바탕 뜨개 바아
7, 7' : 문양사
8 : 문양사 뜨개 바늘
9, 10, 11, 12 : 이동 열
14 :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
16 : 자카드 제어 장치
17 : 낙판
18 : 바늘 통로
19 : 제 1 제어 부재
20 : 제 2 제어 부재
22, 23, 24, 25 : 스토퍼
a, b, c, d, e, f, g, h, i, l, m, n, o : 문양 놓기 구역
그러한 목적은 장치의 측면에서 청구항 1의 특징을 수반하는 경편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경편기에 의해 3단계 이상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거나 2색조의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이 얻어질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4개 이상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장거리의 총괄 이동이 이루어져 조밀한 문양 구역의 형성 또는 색조의 발현을 실현시키는 것과, 기본 이동을 2개 이상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뜨개 바늘과 조합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와 같이 함에 의해 상이한 조밀도의 문양 구역 사이의 섬세한 단계화 및 하나의 색조로부터 다른 색조로의 섬세한 전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2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문양사와 함께 편물의 바탕을 이루는 술(fringe)이 단일의 바탕 뜨개 바아에 의해 뜨어지고, 문양사를 상응하게 안내함에 의해 평면 문양 놓기로부터 망상 문양 놓기로의 전이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따른 구성에 의해 3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고 실이 얽혀진 문양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5개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총괄 이동을 제공하여 그에 상응하게 단계화된 조밀한/성긴 문양을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따른 바와 같이 바탕 뜨개 바아를 배치할 경우에는 문양이 편물의 바탕 중에 놓여진다.
청구항 6에 따른 바와 같이 바탕 뜨개 바아를 배치할 경우에는 문양이 편물의 바탕 위에 놓여진다.
청구항 7에 따른 구성에서는 문양사 뜨개 바늘에 직기의 완전한 편물 뜨기 치밀도에 해당하는 치밀도가 부여된다. 다수의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양사 뜨개 바늘은 서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청구항 8에 따른 선택적 구성에서는 뜨개 바늘의 수가 코 뜨개 바늘의 수의 50 %에 불과하다. 그러한 형식으로도 단계화된 문양이 놓여질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합당한 비용으로 문양사 뜨개 바늘의 3개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제어 부재는 문양사 뜨개 바늘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어 부재는 DE 196 51 053. 8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피에조 전기에 의한 만곡 변환기일 수 있다.
설정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법의 측면에서 청구항 10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1에 따른 바탕사의 술 뜨기는 술이 문양사에 의해 결찰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문양 놓기의 단계화 정도는 청구항 12에 의해 증대된다.
청구항 13은 평면 문양 놓기로부터 망상 문양 놓기로의 전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청구항 14 및 청구항 15에 따른 편물 뜨기 형식은 문양사가 편물의 바탕을 형성하는데 참여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시각적으로는 전혀 상이한 문양 놓기가 이루어진다.
청구항 16의 특징에 의해 매우 두드러진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진다.
청구항 18은 신규의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편물에서는 안뜨기에 존재하는 문양사의 수에 따라 상이한 농도 또는 조밀도로 놓여진 문양 구역이 생성된다.
단계화된 문양의 단계 수는 청구항 19의 구성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청구항 20에 따른 구성에 의해 평면 문양으로부터 망상 구조로의 전이가 이루어진다. 청구항 21은 2색조의 문양이 놓여진 신규의 형식의 경편물의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2색조 중에서 단지 하나의 색조만이 안뜨기에 존재할 경우에는 그 색조가 뚜렷하게 돋보인다. 2색조가 모두 안뜨기에 존재할 경우에는 양 색조의 단계화된 혼합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경편기의 작업 구역(1)은 코 뜨개 바늘 바아(3)에 있는 일련의 코 뜨개 바늘(2)을 구비한다. 직기의 완전한 편물 뜨기 치밀도에 해당하는 치밀도로 뜨어지는 바탕사(4)는 바탕 뜨개 바아(6)에 장착된 바탕사 뜨개 바늘(5)을 경유하여 공급된다. 그러한 바탕 뜨개 바아(6)는 예컨대 트리코(tricot) 뜨기와 관련하여서는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탕 뜨개 바아(6)는 후술되는 문양사(7)의 사용 하에 상호 연대하여 바탕을 이루는 술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양사(7)는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¼씩의 치밀도로 4개의 이동 열(9, 10, 11, 12)에 배치되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을 경유하여 공급되는데, 이동 열(9, 10 11, 12)은 지지대(13)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한 형식으로, 문양사 뜨개 바늘(8)이 직기의 완전한 편물 뜨기 치밀도로 배치되는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이 형성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예컨대 3개의 코 뜨기 바늘(2)에 걸친(도 6) 또는 2개의 코 뜨개 바늘(2)에 걸친(도 7) 공통의 기본 이동을 한다. 단지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기본 이동 제어 장치(15)는 기본 이동을 위해, 그리고 역시 단지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자카드 제어 장치(16)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이동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1의 바늘 장치의 확대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바탕사 뜨개 바늘(5)은 코 뜨개 바늘(2)과 4개의 이동 열에 배치된 문양사 뜨개 바늘(8)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이동 열이 단지 2개만 마련되고, 그에 따라 문양사가 단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1/2의 치밀도로 배치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바탕사 뜨개 바늘(5)이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양쪽 중에서 코 뜨개 바늘(2)과 외면된 쪽에 배치되어 낙판(17)에 의해 문양사 뜨개 바늘(8)로부터 분리된다. 그에 의해, 직기의 완전한 편물 뜨기 치밀도에 해당하는 치밀도로 배치된 문양사에서 낙판 문양 놓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을 구비한 단지 2개의 이동 열만이 마련되지만 나머지 구성은 도4의 구성과 동일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문양사 뜨개 바늘(8)은 자카드 제어 장치에 의해 각각 바늘 통로(18)만큼씩 떨어져 있는 상이한 3개의 안정된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그러한 3개의 위치는 각각 문자 "R"(우측), "M"(중앙), "L"(좌측)로 도 6 및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3개의 코 뜨개 바늘(2)에 걸친 기본 이동을 문양사 뜨개 바늘(8)의 3위치 제어와 조합시키면, 도 6의 "a" 행 내지 "e" 행에 주어진 바와 같은 총괄 이동 방안이 실현될 수 있다. 문양사 뜨개 바늘(8)이 본래의 그 위치에 유지될 경우, 총괄 이동은 기본 이동과 일치한다("a" 행). 좌단부에서 우측으로부터 중앙 위치로 옮겨질 경우에는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얻어지고("b" 행), 좌단부에서 좌측 위치 옮겨질 경우에는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얻어진다("c" 행). 반면에, 우단부에서 중앙 위치로 옮겨질 경우에는 단지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이루어지고("d" 행), 우단부에서 좌측 위치로 옮겨질 경우에는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이루어진다("e" 행).
그 반면에, 단지 2개만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기본 이동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총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f" 행),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g" 행),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h" 행),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i" 행) 및 0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즉, 실이 얽혀지는 것에 해당함, "k" 행)이 얻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으로부터 문양사 뜨개 바늘(8)의 3개의 안정된 위치가 어떠한 형식으로 도달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지지대(13)에는 자카드 제어 장치(16) 쪽에서 조작할 수 있는 제 1 제어 부재(19) 및 제 2 제어 부재(20)가 배치된다. 그러한 제어 부재(19, 20)는 피에조 전기에 의한 만곡 변환기로서 형성된다. 문양사 뜨개 바늘(8)은 제 1 제어 부재(19)에 고정되어 그 제 1 제어 부재(19)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 2 제어 부재(20)는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고 하단부에서 스토퍼 블록(21)을 지지하는데, 그 스토퍼 블록(21)은 도9의 위치로부터 도 10의 위치로 및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블록(21)은 바아 쪽으로 고정된 4개의 스토퍼를 구비한다. 그 중에서, 도 9의 위치에서는 좌측의 단부 스토퍼(22) 및 제 1 중앙 스토퍼(23)가 작용을 하고, 도 10의 위치에서는 우측의 단부 스토퍼(24) 및 제 2 중앙 스토퍼(25)가 작용을 한다. 그에 관한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DE 196 51 053.8을 참조하면 된다.
후술되는 도 11 내지 도 16의 편물 뜨기 작업도에서는 바탕사에 의해 형성되는 술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늘게 그려진 선은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의 기본 이동에 해당하고, 두껍게 그려진 선은 문양사의 실제의 경로에 해당한다.
도 2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 6의 이동 방안을 사용하는 도 11에 따른 편물 뜨기 작업도에 있어서, 문양사(7)는 "d" 구역에서는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e" 구역에서는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b" 구역에서는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a" 구역에서는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그리고 "c" 구역에서는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각각 부분 씨실로서 뜨어진다. 그 경우, 구역 명칭은 도 6의 행의 명칭과 일치한다. 그로부터, 인접된 코 막대간의 안뜨기 수가 매우 상이하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즉, 문양 놓기의 조밀도가 "c" 구역으로부터 "b" 구역, "a" 구역 및 "d" 구역을 거쳐 "e" 구역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그에 의해, 매우 조밀한 구역, 조밀한 구역, 중간 구역 및 성긴 구역에 의한 4단계의 조밀한/성긴 평면 문양이 놓여진다. "e" 구역에서는 문양사(7)가 술을 따라 연장되어 문양 중에서 틈새 또는 체망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편물 뜨기 작업도도 역시 도 2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는 선으로 그려진 기본 이동은 도 7에 따른 바와 같이 2개의 코 뜨개 바늘(2)에 걸쳐 실시된다. 그러한 작업도에는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실시되는 "i" 구역에 뒤이어 문양사(7)가 얽혀지는 "k" 구역이 후속된다. 이어서,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f" 구역,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g" 구역 및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h" 구역이 제공된다. 그에 상응하여, 인접된 코 막대 사이에 연장되는 문양사의 안뜨기의 수가 점차 증가되는 "f", "g" 및 "h"의 3개의 구역이 부여된다. 즉, 3단계의 조밀한/성긴 평면 문양이 놓여진다.
역시 도 2에 따른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 6에 따른 바와 같이 3개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기본 이동을 하는 도 13의 편물 뜨기 작업도에 있어서, 상이한 재료, 특히 상이한 색조를 띄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문양사(7)(실선)와 문양사(7')(점선)가 교호적으로 뜨어진다. 그 경우, "색조"라는 표현은 예컨대 무광택 문양사와 유광택 문양사와 같은 상이한 재료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다른 모든 가능성을 포괄하는 것이다. "l" 구역에서는 문양사(7)가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지는 반면에, 문양사(7')는 단지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진다. 인접된 코 막대 사이에서 2번의 안뜨기를 실시하는 문양사(7)는 선명한 색조를 나타내는 반면에, 술을 따라 놓여지는 문양사(7')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문양사(7')가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지고 문양사(7)가 단지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지는 "m" 구역에서도 역시 유사한 상황이 벌어진다. 그러한 구역들에서는 2개의 색조가 선명하게 발현된다. 색조의 중간 단계화는 하나의 문양사가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지고 다른 문양사가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 뜨어지는 "n" 구역 및 "o" 구역에서 이루어진다. 문양사 뜨개 바늘의 3개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이한 혼합 효과를 유도하는 또 다른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다.
도 3의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기본 이동을 하는 도 14의 편물 뜨기 작업도에 있어서, 코 뜨개 바늘(2) 및 바탕사 뜨개 바늘(5)에는 직기의 완전한 편물 뜨기 치밀도에 해당하는 치밀도가 부여되는 반면에, 문양사 뜨개 바늘(8)의 2개의 이동 열에는 공통적으로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밀도가 부여된다.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a" 구역에 뒤이어 씨실 방향으로 상이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다수의 혼합 구역이 후속된다. 즉,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 및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교호되는 "a", "e" 구역, 4개, 5개, 2개 및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들이 인접되는 "b", "c, "d", "e" 구역 및 씨실 방향으로 3개, 2개 및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들이 부여되는 "b", "a", "c" 구역이 제공된다. 시작 구역인 "e" 구역에는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그리고 "c" 구역에는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부여된다. 그에 의해, 문양사의 수가 절반인 2단계의 조밀한/성긴 평면 문양이 놓여진다.
도 15의 편물 뜨기 작업도는 도 4에 따른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기본 이동으로 작업을 실시한다. 문양사(7)는 낙판 문양 놓기로 인해 바탕사에 의해 형성된 술의 코 속에 고리로서 결찰된다. 그 경우에도 역시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d" 구역,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e" 구역, 4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b" 구역,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a" 구역,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c" 구역 및 추가의 "a" 구역과 "f" 구역이 제공된다. 그에 의해, 4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지만, 그 문양은 편물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낙판으로 인해 편물 상에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문양사는 "e" 구역에서는 전형적인 술을 형성하고 "f" 구역에서는 변위된 술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망상 구조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의 편물 뜨기 작업도는 도 5에 따른 바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 6에 따른 바와 같이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기본 이동을 한다.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a" 구역에 뒤이어 3개 및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교호되는 "a", "e" 혼합 구역이 후속된다. 이어서, 4개, 5개, 3개 및 2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들이 씨실 방향으로 연속되는 "b", "c", "a", "d" 혼합 구역이 제공된다. 그 다음에는, 4개 및 3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이 연속되는 "b", "a" 혼합 구역이 제공된다. 이어서, 1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고 역시 문양사가 술을 형성하도록 하는 "e" 구역과,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수반하는 "c" 구역이 제공된다. 그에 의해, 역시 편물의 표면에 문양사의 수가 절반인 2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진다.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문양 놓기는 전적으로 전술된 조치만에 의해서도 충분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공지의 문양 놓기를 추가로 부가하는 것에 의해 추가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은 날실 방향으로만이 아니라 씨실 방향으로 변경되어 놓여지기도 한다. 그것은 도 11, 도 12, 도 13 또는 도 15에 상응하는 문양 놓기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경편물에 의하면, 4개 이상의 코 뜨개 바늘에 걸친 장거리의 총괄 이동이 이루어져 조밀한 문양 구역의 형성 또는 색조의 발현을 실현시키는 것과, 기본 이동을 2개 이상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뜨개 바늘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이한 조밀도의 문양 구역 사이의 섬세한 단계화 및 하나의 색조로부터 다른 색조로의 섬세한 전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3단계 이상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거나 2색조의 문양이 놓여진 신규의 형식의 경편물이 얻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밀어 젖혀질 수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이 그 문양사 뜨개 바늘에 동일한 기본 이동을 부여하는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에 의해 지지되고, 단일의 바탕 뜨개 바아에 의해 밀어 젖혀질 수 없는 뜨개 바늘을 지지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에 있어서,
    문양사 뜨개 바늘(8)은 자카드 제어 장치(16)에 의해 각각 바늘 통로(18)만큼 떨어진 3개 이상의 안정된 위치 중의 하나의 위치로 밀어 젖혀질 수 있고, 기본 이동은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최대로 가능한 총괄 이동이 적어도 4개의 코 뜨개 바늘(2) 이내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탕 뜨개 바아(6)의 이동은 1개의 코 뜨개 바늘(2) 이내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문양사 뜨개 바늘(8)은 3개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기본 이동은 2개의 코 뜨개 바늘(2) 이내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도 7).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문양사 뜨개 바늘(8)은 3개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기본 이동은 3개의 코 뜨개 바늘(2) 이내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5. 제1항에 있어서, 바탕 뜨개 바아(6)는 작업자 스탠드로부터 바라 보았을 때에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바탕 뜨개 바아(6)는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의 양쪽 중에서 작업자 스탠드로부터 외면된 쪽에 배치되어 낙판(17)에 의해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7. 제1항에 있어서,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¼에 해당하는 치밀도로 각각 문양사 뜨개 바늘(8)을 지지하는 4개의 이동 열(9, 10, 11, 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8. 제1항에 있어서, 문양 뜨개 바아 시스템(14)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¼에 해당하는 치밀도로 각각 문양사 뜨개 바늘(8)을 지지하는 2개의 이동 열(9, 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9. 제1항에 있어서, 자카드 제어 장치(16)는 제 1 제어 부재(19)를 작동시켜 문양사 뜨개 바늘(8)을 그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제어 부재(20)를 작동시켜 문양사 뜨개 바늘(8)의 이동을 한정하도록 스토퍼(22, 23, 24, 25)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10. 문양사 뜨개 바늘의 문양사를 자카드 제어 장치에 의해 밀어 젖혀 동일한 기본 이동을 부여하고, 단일 군의 바탕사를 밀어 젖혀질 수 없는 뜨개 바늘에 의해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경편기로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본 이동과 3개 이상의 각각의 위치로의 문양사 뜨개 바늘(8)의 밀어 젖힘과의 연동에 의해 미리 주어진 구역에서 선택적으로 1개 내지 4개의 코 뜨개 바늘(2) 이내에 걸친 총괄 이동을 문양사(7)에 부여하고, 상이한 총괄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 구역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바탕사(4)를 술로서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총괄 이동을 5개의 코 뜨개 바늘 이내에 걸쳐서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문양사(7)를 얽혀지게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문양사(7)를 부분 씨실로서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문양사(7)를 바탕사(4)의 코 속에 고리로서 결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다수의 인접된 문양사(7)의 작동을 부분 구역에서 동일한 형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문양사(7, 7')를 교호적으로 배치하고, 부분 구역에서 제 1 문양사의 대규모 총괄 이동과 인접된 제 2 문양사의 소규모 총괄 이동이 조합되고 그 역으로도 조합되도록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18. 3단계 이상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고, 그 문양에는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으로 떨어진 문양 놓기 구역(a, b, d; f, g, i)이 마련되며, 그 문양 놓기 구역(a, b, d; f, g, i)은 인접된 술 사이에 1번, 2번 또는 3번 안뜨기된 문양사(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19. 제18항에 있어서, 4번 안뜨기된 문양사(7)가 있는 추가의 문양 놓기 구역(c; h)이 마련된 4단계의 조밀한/성긴 문양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안뜨기된 문양사(7)가 없음으로 인해 망상 구조가 생성되는 추가의 문양 놓기 구역(e; i)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21.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문양사(7, 7')에1 의해 생성된 2색조의 문양이 놓여지고, 그 문양에는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으로 떨어진 문양 놓기 구역(l, m, n, o)이 마련되며, 그 문양 놓기 구역(l, m, n, o)에서는 인접된 술 사이에 제 1 문양사만이 2번 이상 안뜨기되거나, 제 2 문양사만 2번 이상 안뜨기되거나, 제 1 및 제 2 문양사가 동일한 비율로 안뜨기되거나, 제 1 및 제 2 문양사가 상이한 비율로 안뜨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22. 제18항 내지 제 1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문양사(7)는 편물의 바탕 중에서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23. 제18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문양사(7)는 바탕사(4) 상에 놓여진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경편물.
KR1019980057995A 1998-01-17 1998-12-24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KR100281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1601.8 1998-01-17
DE19801601A DE19801601C1 (de) 1998-01-17 1998-01-17 Kettenwirkmasch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Kettenwirkware und gemusterte Kettenwirkw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66A true KR19990066866A (ko) 1999-08-16
KR100281229B1 KR100281229B1 (ko) 2001-02-01

Family

ID=785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995A KR100281229B1 (ko) 1998-01-17 1998-12-24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051731B2 (ko)
KR (1) KR100281229B1 (ko)
CH (1) CH693364A5 (ko)
DE (1) DE19801601C1 (ko)
FR (1) FR2773824B1 (ko)
IT (1) IT1306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80115A1 (it) * 2008-06-04 2009-12-05 Santoni & C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essili su macchine per maglieria in catena e macchina per realizzare tale metodo
CN103966756B (zh) 2014-05-26 2015-12-09 江南大学 基于伺服驱动的槽针经编机形成压纱组织的方法
CN108691088B (zh) * 2018-06-12 2019-11-12 江南大学 经编贾卡三色提花织物的织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4876C2 (de) * 1994-04-28 1996-05-30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ettenwirkware, Kettenwirkmaschin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nd Kettenwirkware
DE4444823C2 (de) * 1994-12-15 1998-01-08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19651053C1 (de) * 1996-12-09 1998-06-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egebar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00B1 (ko) * 2019-03-14 2020-03-26 최윤원 안전 문구가 일체로 편조된 산업안전유도망,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93364A5 (de) 2003-06-30
FR2773824A1 (fr) 1999-07-23
IT1306983B1 (it) 2001-10-11
FR2773824B1 (fr) 2001-04-06
JPH11269748A (ja) 1999-10-05
KR100281229B1 (ko) 2001-02-01
DE19801601C1 (de) 1999-03-25
JP3051731B2 (ja) 2000-06-12
ITTO990020A1 (it) 200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5419A (en) Contoured pile fabric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2543758B1 (en) Warp knitting fabrics having ground structure expressing various design patterns
JPH05247806A (ja) 経編地と該経編地を編成するための経編機及び経編方法
JP6573395B2 (ja) 多色柄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0748766A (ja) 経編機とこれを用いたパイル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パイル製品
US4302953A (en) Right-right warp knitting machines
JPH05247829A (ja) タフ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タフト形成手段
KR100281229B1 (ko)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KR100272352B1 (ko)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US4192159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loop pile ware on warp knitting machine
US5297402A (en) Warp knitted fabric and process and machine therefor
DE3545791C1 (de) Kettenwirkware mit einem Warengrund,bestehend aus einer Trikotlegung und einer Fransenlegung sowie eingewirkten Polschlaufen
DE69909573T2 (de)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 und/oder Schlingengestrick des Jacquard types
US3898820A (en) Warp knit fabrics
KR100377381B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및 그 편성방법
KR200232763Y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장치
CN1224780A (zh) 经编针织机、制造提花经编织物的方法和提花经编织物
KR100285615B1 (ko) 환편기의 루우프 편성 절단장치 및 그 편성방법
KR101028430B1 (ko)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SU609802A1 (ru) Основов заный трикотаж и плосков зальна машина дл его выработки
KR960012831B1 (ko) 사슬편조직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JPS61289157A (ja) 経編地とその編成方法及び装置
JPH1096147A (ja) ストレッチジャカード経編地
JPH05287648A (ja) ジャガード編地の編成方法
US3898819A (en) Warp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