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446A -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446A
KR19990064446A KR1019990005442A KR19990005442A KR19990064446A KR 19990064446 A KR19990064446 A KR 19990064446A KR 1019990005442 A KR1019990005442 A KR 1019990005442A KR 19990005442 A KR19990005442 A KR 19990005442A KR 19990064446 A KR19990064446 A KR 19990064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ents
liquid filling
ope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0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446A/ko
Publication of KR1999006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4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2)발명의 목적
종래 봉투형의 액체용기는 그 사용시 별도의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또는 일측의 부위를 가위로 잘라 개구부를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제결점을 해결하고자 그 사용시 일체로 형성된 배출대를 통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용기 본체(100)의 봉합부중 임의 일부위인 상방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개구부(101)를 형성하되, 절취용홈(103)을 포함한 그 개구부(10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든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의 배출대(200)를 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스트로우형의 배출대를 통하여 액체충전용기 내의 내용물을 매우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 그 배출대는 비교적 생산이 용이한 스트로우 방식을 체택한 관계로 제작단가가 저렴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징의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실용공고 91-5740호가 있다.
종래 봉투형의 액체용기는 그 사용시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또는 일측의 부위를 가위로 잘라 개구부를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별도의 배출대를 부설한 액체충전용기를 개발하였으나, 이의 단점으로서는 그 배출대의 상방부가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상방부에는 개폐용도의 마개를 별도로 부설한 바, 이로말미암아 원가상승이 유발된 단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을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요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절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액체충전용기의 요부위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선4-4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a∼c는 본 발명인 액체충전용기에 적용되는 배출대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것.
도 7은 액체충전용기의 개봉띠 구조를 예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9,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9는 배출대가 사용전의 상태로 된 것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배출대의 사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충전용기 100 : 본체 101 : 개구부
102 : 봉합부 103 : 절취용홈 104 : 개봉띠
105 : 결속용환테 106 : 환걸림돌기 200 : 배출대
201 : 마개 202 : 배출공 203 : 환테
204 : 나사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체충전용기의 상단 봉합부를 뜯게되면 상기 액체충전용기에 든 내용물을 용이하게 빨아 마실 수 있는 구조의 배출대가 돌출되게 액체충전용기의 봉합부를 특수하게 설계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의 구조를 특징으로한 본 발명의 액체충전용기는 내용물을 빨아 마실 수 있는 배출대가 액체충전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봉합부의 내부에 위치게 한 바, 밀폐력이 우수함은 물론 그 배출대는 봉합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생산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배출대가 봉합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봉합된 바,그 봉합부의 접착력은 일반적인 마개가 접착된 것에 비해서 접착력이 훨씬 강력한 관계로, 상기의 배출대가 위치된 봉합부를 통하여는 외부의 공기나 세균이 접근 될 수 없어, 그 밀봉성과 보관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충전용기(1)의 본체(100)는 적어도 1겹 이상의 다층필름(복합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봉합부중 임의 일부위인 상방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개구부(101)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10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든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의 배출대(200)를 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대(200)의 상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외곽면을 따라는 봉합부(102)를 두되, 상기 배출대(200)를 감싸고 있는 봉합부(102)의 임의 선상에는 상기 배출대(200)의 상측부를 입에 대고 빨 수 있을 정도의 위치로 절취용홈(103)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을 잘 나타내어 보인 것이 도 1,2와 같으며, 상기 액체충전용기(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개구부(101)를 잡고 일측을 당기게 되면 절취용홈(103)에 의해 개구부(101)가 절취 분리 되면서 배출대(200)의 상측부가 노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과 같다.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200)의 상측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그 배출대(200)를 통해 용기 본체(100)에 든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는 개구부(101)의 일 종단면도이며, 그 사용시는 개구부(101)를 절취한 후 배출대(200)의 상단을 잡아 당기면 그 배출대(200)는 상향될 수 도 있는데, 이러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0)를 감싸고 있는 봉합부(102)의 상태가 상기 배출대(200)에 용착되어 있지 않아야 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배출대(200)의 상단부에는 각종 형태(스크류방식 등의)의 마개(201)가 씌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체충전용기(1)의 본체(100)에 내용물을 충진할 시는 상기 상단의 개구부(101)를 봉합하기 이전에 배출대(200)를 통하여 행하거나 또는 개구부(101)를 봉합이전의 상태인 상기 배출대(200)의 삽입공을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한 후 상기 배출대(200)를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하고 상기 개구부(101)를 봉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개구부(101)는 봉합부(102)로 봉합되어 있는 상태를 취하고 하방이 개봉된 상태를 취하게 하되, 그 충진시는 상기 하방의 개봉된 부위로 하고 밀봉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6a∼c),그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배출대(200)의 형태를 달리하여 본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6a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0)의 상단부에 마개(201)를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는 배출공(202)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공(202)의 상·하측에는 환테(203)를 형성한 것이다.
또는 도 6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0)의 상단에 나사산(204)을 형성하여 마개(201)를 스크류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배출대(200)는 필요에 따라 도 6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이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히 도 6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그 사용시 배출대(200)를 살짝 잡아 당기게 되면 배출공(202)이 막혀 내용물이 용이하게 유출될수 있는 것임과, 또는 배출대(200)를 그대로 둔체로 액체충전용기(1)를 거꾸로 숙이게 되면 배출공(202)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7), 본 발명의 액체충전용기(1)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봉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서, 본 예에서는 개구부(101)에 개봉띠(104)를 형성한 바, 그 개봉시 개봉띠(104)를 당기게 되면 절취용홈(103)에 의해 개구부(101)가 완전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8), 본 발명의 배출대(200)를 용이하게 결속시키거나 또는 그 배출대(200)를 당기거나 밀어 넣을 시 상하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개구부(101)의 임의 일 부위에 결속용환테(105)를 내입 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도 9,도 10), 일예로, 도 6a에서와 같은 배출대(200)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개구부(101)를 구성하고 있는 봉합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사용시는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0)의 배출공(202)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인 바, 그 상태에서 액체충전용기(1)를 거꾸로 숙이게 되면 내용물이 상기의 배출공(202)을 경유 배출되고, 상기 도 9와 같은 상태의 배출대(200)를 당기게 되면 도 10과 같이 배출대(200)가 상향되는 과정에 배출공(202)이 봉합부(102)에 의해 밀폐되어지는 것이다.
계속된 설명으로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상기 배출공(202)이 막혀 있는 바, 그 흡입시 액체충전용기(1) 내의 내용물이 매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며, 또한 배출대(200)의 상단에는 환걸림돌기(106)(또는 나사산)등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내용물을 재 보관할 수 있는 용도의 마개(201)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로우형의 배출대를 통하여 액체충전용기내의 내용물을 매우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 그 배출대는 비교적 생산이 용이한 스트로우 방식을 체택한 관계로 제작단가가 저렴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액체충전용기(1)의 본체(100)는 적어도 1겹 이상의 다층필름(복합필름)을 그 소재로 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봉합부중 임의 일부위인 상방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고 배출시키는 용도의 개구부(101)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101)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든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의 배출대(200)를 둔 것이며,
    그리고 상기 배출대(200)의 상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외곽면을 따라는 봉합부(102)를 두되, 상기 배출대(200)를 감싸고 있는 봉합부(102)의 임의 선상에는 상기 배출대(200)의 상측부를 입에 대고 빨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절취용홈(103)을 형성한 특징이 있는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200)의 상단부에는 환걸림돌기(106)나 나사산(204)에 걸려 고정될 마개(201)를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는 배출공(202)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공(202)의 상·하측에는 환테(2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200)는 잡아 당겨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접이식으로 하되, 상기 배출대(200)에는 배출공(202)을 형성한 특징이 있는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200)를 용이하게 결속시키거나 또는 그 배출대(200)를 당기거나 밀어 넣을 시 상하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개구부(101)의 임의 일 부위에 결속용환테(105)를 내입 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충전용기(1)는 개구부(101)에 개봉띠(104)를 형성하되, 그 개봉띠(104)는 절취용홈(103)에 의해 개구부(101)가 완전 분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내용물 유출용 배출대가 형성된 액체충전용기와 그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KR1019990005442A 1999-02-18 1999-02-18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KR19990064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42A KR19990064446A (ko) 1999-02-18 1999-02-18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42A KR19990064446A (ko) 1999-02-18 1999-02-18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446A true KR19990064446A (ko) 1999-08-05

Family

ID=5478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442A KR19990064446A (ko) 1999-02-18 1999-02-18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44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175U (ko) * 1990-05-28 1992-02-10
WO1995011176A1 (en) * 1993-10-21 1995-04-27 Cambridge Consultants Limited Necked container including a drinking straw
KR960037353U (ko) * 1996-03-30 1996-12-16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175U (ko) * 1990-05-28 1992-02-10
WO1995011176A1 (en) * 1993-10-21 1995-04-27 Cambridge Consultants Limited Necked container including a drinking straw
KR960037353U (ko) * 1996-03-30 1996-12-16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322A1 (en) Extraction tool
KR19990064446A (ko) 내용물 유출용 배출 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액체충 전용기의 구조
KR200185021Y1 (ko)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수 용기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CN211365602U (zh) 一种包装袋
CN211253658U (zh) 一种便捷饮料盒
KR20010096646A (ko) 접철식 배출대 및 그 구조
KR910007081Y1 (ko) 병마개를 부설한 유출구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188691Y1 (ko) 음료컵
KR20010070639A (ko) 내용물 유출용 배출부가 있는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부의구조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184535Y1 (ko) 종이팩 부착용 스트로우
KR20030063330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의 내부에 배출대를 형성하는구조 및 그 방법
KR200420714Y1 (ko) 일회용 종이봉투컵
KR20030015179A (ko)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KR20200066100A (ko) 나사산이 내장되어 있는 빨대 내장형 뚜껑
KR19990064572A (ko) 내용물 유출용 배출부가 형성된 액체충 전용기와 그 배출부의 구조
KR20030015321A (ko) 파우치용기에 사용되는 내용물 흡배출용 스트로
KR20060131011A (ko) 스트로를 갖는 용기마개
KR20010082443A (ko) 밀폐부가 보강된 액체용기용 배출대
KR20030022208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KR20030022216A (ko)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30019284A (ko) 격리된 공간을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