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317A - 망 소자용 지원기능 - Google Patents

망 소자용 지원기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317A
KR19990064317A KR1019980702813A KR19980702813A KR19990064317A KR 19990064317 A KR19990064317 A KR 19990064317A KR 1019980702813 A KR1019980702813 A KR 1019980702813A KR 19980702813 A KR19980702813 A KR 19980702813A KR 19990064317 A KR19990064317 A KR 1999006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unction
network element
softwar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트 데비스 존손
카리나 마리에 루네후조드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1999006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소자에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 소자는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104)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되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108)을 포함하는 자원층(106)을 구비한다. 자원들은 망 소자 기능을 실현하는 데 사용된 자원들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서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망 소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110)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104)으로부터 망 소자(102)는 다수의 자원표시(114)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요구시 동작이 자원층의 데이터로 하여금 통신기능(122)에 의해 페치되게 하는 것을 포함해서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기능들은 변환되는 상기 데이터를 변환기능(124)에 의해 소망된 포맷으로 보낸다. 변환기능은 변환을 통해 이송시키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소망된 예로 진행하는 통신기능으로 복귀시킨다.

Description

망 소자용 지원기능
US 5.299.304는 문서의 다단계 포맷변환을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US 5.317.676은 데이터 변환을 직렬로 수행하는 필터의 대화형 정의를 개시하고 그럼으로써 더 복잡한 수학 동작을 데이터상에 제공한다.
US 5.339.392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비디오 표시된 문서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는 그것이 수행되는 곳 및 어느 포맷 및 외관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실제 시간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US 4.559.614는 제1내부코드 포맷으로써 동작하는 원격정보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제2수신정보 관리시스템의 내부코드 포맷으로 보내진 데이터 변환을 개시한다.
EP 0.631.246은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객체 표시의 제어를 개시한다. 객체가 표시용으로 선택될 때, 객체는 그 속성에 따라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다.
EP 0.567.834는 질의중인 형태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사용하는 데이터 처리기의 재프로그래밍을 요구함이 없이 문서 형태의 포맷의 자유로운 정의 및 재정의(redefinition)를 얻는 데이터 수신구조를 개시한다.
EP 0.408.132는 데이터 파일관리용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 시스템은 제어모듈 및 복수의 변환기를 갖는 모듈러 설계를 갖고, 그 변환기 각각은 특정한 변환 형태로 의도된다.
EP 0.350.654는 입력기록이 단일 포맷의 기록으로 변환되는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모든 파일 포맷들은 하나이다.
EP 0.377.783은 편집되는 데이터 프로그램에서 변환의 최적화를 용이하게 하는 언어표시의 변이 단계의 사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급 및 포스트(post) 관리하는 일반적 지원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리고 제1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에 관한 것이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층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망 소자는 다수의 자원표시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제2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의 일부인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에 관련되며, 상기 망 소자는,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층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를 구비하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망 소자는 다수의 자원표시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제3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요청시 망 소자의 자원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런 변환된 데이터를 소망된 예에 대해 제공하는 방법에 관련하며, 상기 망 소자는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되고, 상기 망 소자는,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을 포함하는 상기 자원층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를 구비하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망 소자는 다수의 자원표시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 표시된 종류의 망 소자로부터, 다른 마켓 및 사용자는 소망된 데이터 포맷에서 정보를 얻기 위한 필요성을 갖는다. 그런 정보의 예는 로그에서 저장된 데이터이다. 그것은 요청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등의 소정의 보안성 관리 형태상에서 예를 들어 요구 사항의 질의일 수 있다. 포맷팅은 예를 들어 간단한 변환 형태로 ASCII포맷으로 필요로 되어질 수 있다.
로그기록의 경우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 로그기록 포맷은 외부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것과 보통 다르다. 실제 정보 전송이 ISO 8571에 따라 형태 FTAM의 파일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수행되는 것이 역시 가능하고, 사용자는 상기 개념이 FTAM에서 얻어진다는 정의에 따라 "개시 프로그램"의 역할을 취한다.
효율성때문에 데이터기록의 획득, 포맷팅 및 이송이 가능한한 몇 개의 단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대로 그것은 소프트웨어의 몇 개의 독립적인 세트간의 효과적인 협동을 요구한다. 로그기록 관리의 경우에, 로그기록의 페칭은 이송뿐만 아니라 기본시스템에서 일반적 소프트웨어에 의해 취급된다. 다른 한편으로 포맷팅은 제1장소에서 로그기록을 로그로 공급하는 응용에 속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된다.
그런 동작 시나리오에 대해 망 소자가 "가상파일저장"에서 "가상파일"로서 전송부분을 FTAM을 향해 나타낼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소자에서 동작지원, 데이터 및 자원들간의 연결의 개략 예시도.
도 2는 데이터를 외부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능의 구조를 개략 예시하며 도 1과 비슷한 도면.
도 3은 변환기능이 포함되는 우수한 지원기능의 구조를 개략 예시한 것이며 앞선 도면와 비슷한 도면.
도 4는 가능한 변환기능 구조의 더 상세화시킨 도면.
도 5는 포스트 관리용 로그로부터 정보를 갖고/수집하는 개략 예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설명된 2개의 관리 뷰에서 관리와 연결해서 소정의 정황을 상세화시킨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시나리오의 예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포함된 기능의 동작방법을 예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관리의 개략 예시도.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정보를 외부사용자에 의해 소망된 포맷으로 간단하게 변환하고 이송시킬 수 있는 도입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종류의 망 소자에 사용하는 지원기능을 말한다.
부가적인 목적은 그런 지원기능에서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소프트웨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하나의 목적은 도입부의 방법에 의해 표시된 종류의 망 소자에서 소망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이송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입부의 방법에 의해 나타나듯이, 제1태양에 따른 망 소자는 자원층에서 위치된 지원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와 통신하고, 요청시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페치 및 제공하는 통신기능 및 상기 페치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능을 포함한다.
도입부의 방법에 의해 나타나듯이, 제2태양에 따른 방법은 상기 자원층에서 상기 지원기능의 일부로서 사용자와 통신하고, 요청시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페치 및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기능과, 분리해서 편집가능한 소스코드로써 각기 구성하는 다수의 편집된 소프트웨어 유니트를 각 소프트웨어 소자에 대해 상호링크하는 부하 모듈 형태의 다수의 소프트웨어 소자와, 상기 페치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소자를 각기 실행하는 다수의 변환소자를 구비한다.
제3태양에 따른 방법은 자원층에 위치된 통신기능에 의해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상기 데이터를 자원층에 비슷하게 위치된 변환기능으로 페치 및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변환기능에 의해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으로 복귀하는 단계와,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에 의해 소망된 예로 진행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라 망 소자의 자원층내에서 지원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지원기능이 한편으로 자원층에서 나타나는 데이터를 포스트 관리에 대해 갖게 하고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 제1소프트웨어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 제1소프트웨어 기능과 통신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및 그것의 포스트 관리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망의 외부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상태로 수신하도록 요구되는 제2소프트웨어 기능을 구비한다.
사용자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지원기능은 기록의 데이터를 외부 포맷으로 갖고 변환하고/포맷팅할 수 있는 도구를 구성한다. 그후, 데이터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테이프, 기록기 등의 파일이송 또는 다른 외부통신을 경유해서 공급될 수 있다.
알맞은 변환은 지원기능에 의해 사용된 교체가능한 변환기능에 수행된다. 변환기능은 동작시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변환기능 세트는 동작시간에서 증가될 수 있다.
그런 변환기능은 교대로 하나 이상의 교체가능한 변환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소자로 구성된다. 그럼으로, 새로운 변환기능을 동작시간에서 선택할 뿐만 아니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변환소자는 출력 데이터뿐만 아니라 입력 데이터 형태를 설정하는 특징적인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변환기능용 연결점은 비슷하게 특징적인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변환기능은 있다면 연결점에 연결되고, 그렇다면 2개의 인터페이스들은 동일하다.
변환기능용 연결점은 어떤 소프트웨어 소자에서, 예를 들어 변환소자에서 사용가능하다.
변환기능은 모든 그 연결점(예를 들어, 연결점을 갖지 않는 변환소자)에 연결된 변환기능을 갖는 변환소자이다. 정의의 방법에 의해 그 특징적인 인터페이스는 변환소자의 그것과 동일하다.
각 응용/마켓은 그런 변환소자를 알맞게 실행할 수 있고 동작시간에서 변환소자를 재사용 및 변화시킬 수 있다. 표준 포맷인 포맷을 포함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존재하는 표준에 대한 적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현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예에서 통신시스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가정되는 데이터 망에서 포함된 망 소자(102)에 대한 데이터 및 동작지원 뷰(views)를 예시한다. 데이터 망은 망의 동작 및 유지용 동작지원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도시되고, 블록(104)에 의해 표시된다. 블록(104)은 다음에서 나타나듯이 외부사용자를 나타내도록 또한 의도된다.
망 소자(102)는 자원층(106)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로 자원(108)을 포함한다. 자원(108)은 망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자원을 각기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지원 시스템 및 외부사용자에 대해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2개의 다른 뷰/프로토콜이 있다. 뷰 모두는 같은 자원을 나타내나, 하나는 동작지원 뷰를 도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파일관리 뷰를 도시한다. 동작지원 및 파일관리용 인터페이스는 110 및 112 각각으로 표시된다.
제1경우에 스웨덴 특허 470,456에서 더 가깝게 나타내는 종류의 객체 지향 뷰의 질의가 있다고 가정된다. 상기 문서에서 개념이 동작지원 시스템으로부터 통신망 관리에 관련하는 TMN으로 명명된 국제표준에서 그 기점을 또한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된다. TMN표준은 ITU-TS(통신표준화에 대한 국제전기 통신연합)로 명명된 구성에 의해 개발되어 왔고, 그 권고안 M.3010에서 설명된다. ITU-TS권고안은 ISO(국제 표준화 기구)로 명명된 국제조직에 의해 제시된 국제 표준화 권고안을 토대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본 발명이 객체 지향 동작지원 뷰로써 망 소자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동작지원 뷰에서 망 소자(102)는 동작지원 시스템(104)으로부터 다수의 관리된 객체(114)로 구성하는 것 같다. 관리된 객체(114)는 관리정보 베이스(116)에 포함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자원층(106)에 포함된 자원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104)에 의해 사용된다. 특허 470,456 및 TMN표준에서, 관리정보 베이스는 추상적인 개념이고, 그러므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인 데이터 베이스와 합성되지 않는다.
파일관리 뷰는 망 소자로부터 동작지원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로 많은 데이터량을 이송할 때 보통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은 사용된 동작지원 시스템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경유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르는 예에서, ISO표준 8571에 따른 프로토콜 FTAM(File Transfer, Access and Management)을 경유해서 뷰는 사용된다.
파일관리 뷰에서 망 소자(102)는 동작지원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로부터 엔티티(118)를 식별하는 다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자원층(106)으로부터 정보를 얻기위해 동작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엔티티(118)는 FTAM에서 가상파일(Virtual File;VF)에 대응하고 그러므로 앞으로 하기의 VF객체뿐만 아니라 도면에서 VF로 명명된다. FTAM의 가상파일은 시퀀셜 데이터 전송용 기점 또는 목적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 엔티티이다. 그러나, VF객체(118)는 자원층(106)에 포함된 자원들의 파일관리 뷰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하는 파일 서버 엔티티(120)에 포함된 본 경우에 있다. 그러므로, 파일 서버 엔티티(120)는 가상파일서버의 특성을 갖도록 말하여질 수 있고, 그러므로 도면의 VFS 및 앞으로 하기에서 VFS객체로 명명된다. 오직 하나의 그런 VFS객체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만, 다수의 다른 VFS객체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결에서 VFS=가상파일서버의 개념은 가상파일서버의 의미에서 다수의 VFS:s가 갖는 모든 VFS:s의 결합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FTAM에서 VFS=가상파일저장과 합성되지 않는 다.
VFS=가상파일저장 및 VF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더하기 위해, 상기 언급된 표준 ISO 8571가 참고로 된다.
본 발명의 특징부로서 자원층(106)의 자원(108)은 동작지원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에 의해 주문하듯이 포스트(post) 관리용 자원층(106)에 존재하는 정보를 얻고 제공하기 위해 의도되는 통신기능을 형성하는 제1소프트웨어 기능(122)을 구비한다. 파일관리 뷰에서 통신기능(122)은 VSF(120)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부로서, 비슷하게 자원층(106)은 통신기능(122)과 통신하고 상기에 따라 통신기능(122)에 의해 페치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의도되고 그것에 의해서 제공되는 변환기능을 형성하는 제2소프트웨어 기능(124)을 포함한다. 포스트 관리 과정에서 변환기능(122)은 상기 정보를 고객에 의해 요구된 외부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2개의 상기 식별된 기능(122 및 124)은 데이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급하고 포스트 관리하는 일반적 지원기능의 주요부를 형성하도록 말하여질 수 있고, 앞으로 상기 일반적 지원기능은 "일반적 출력 및 포스트처리 지원"을 나타내는 GOPS로 또한 명명된다. GOPS는 운용자로 하여금 기록중의 데이터를 외부 포맷으로 변환/포맷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데이터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기록기 등의 파일이송 또는 다른 외부통신을 경유해서 사용자에 공급될 수 있다.
알맞은 변환은 "일반적 포스트처리"로 나타내는 GPP로 앞으로 명명된다. 명명된 GPP는 기능(124)에 대해 또한 사용된다. GPP는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며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정의된 임의의 변환소자수로 구성된다. GPP는 응용/마켓(market)으로 하여금 알맞은 변환소자를 실행하게 하고 동작시간에서 변환소자를 재사용 및 변화시키게 한다. 존재하는 표준에 대한 적응이 또는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은 변환소자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했듯이 변환소자는 교대로 GPP에 응용되는 파이프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링크될 수 있다. 각 변환소자는 같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의도된다. 변환소자에서 데이터 변환은 높은 정도로 의존하는 응용/마켓이다.
환언해서, 지원기능(GOPS)은 예를 들어 시스템 로그(log)로부터 정보를 갖고 공급하며 다른 방법으로 응용기기 및 마켓에 알맞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능용 공통 명칭이다. 하나의 예는 TT(Toll Ticketing)기록을 포맷하고 공급하는 즉 내부 포맷의 로그에서 저장되는 이동전화 기술내에서 데이터를 데비트한다.
도 1은 망 소자(102)에서 동작지원, 데이터 및 자원간의 연결을 일반적으로 예시하기 위해 주로 의도된다. 자원층(106)의 정보는 파일 포맷에 있지 않고 그러므로 동작지원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에 나타나기 전에 GPP(124)에 의해 변환되야 한다. GPP는 관리정보 베이스(116)에서 관리된 객체(126)에 의해 나타나듯이 도시되는 그것에 의해 표시되는 변환의 동작지원 뷰을 또한 제공한다.
도 1의 비슷한 뷰에서, 도 2는 GPP기능용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상기 목적으로 R_GPP(R:자원)로 지정된 블록(202)은 자원층(106)에 포함된 GPP기능(124)의 확대도이다. 상기 뷰에서 변환소자의 체인(204)이 표시된다.
도 3은 GOPS가 VFS뷰, 변환 및 동작지원 뷰와 함께 연결하는 어떤 것으로서 어떻게 간주되는 지를 개략적으로 비슷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그 연결에서 호출을 하고 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도면에서, FMA_GOPS(FMA:파일관리적응)로 지정된 블록(302)은 GOPS기능을 표시하는 확대도를 구성한다. 뷰(302)는 GOPS가 파일관리 뷰에서 VFS(120)에 의해 나타내어지기 위한 VFS/VF(120/118)를 커버하기 위해 설치된다. 동작지원 뷰에서 GOPS기능(302)은 304로 지정되는 관리된 객체 MO_GOPS(MO:관리된 객체)에 의해 표시된다. 자원층(106)의 기능(122)으로부터 블록(302)까지의 실선(306)은 기능(122)을 제외한 기능 GPP(124)가 GOPS에 포함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GPP의 뷰(202)를 또한 둘러싼다.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이 FTAM에 따른 파일 전송의 사용에 관련하도록 가정되기 때문에, 파일관리 뷰는 하기에서 FTAM_응답기로 명명되고 블록(308)에 의해 표시된 FTAM에 따라 "응답기"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FTAM_초기 프로그램으로 명명된 FTAM에 따라 대응하는 "초기 프로그램"은 블록(104)에서 포함되고, 동작관리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로 구성될 수 있다.
FTAM에서 구비된 정의에 따라, 응답기는 초기 프로그램에 의해 요청되는 "FTAM체제 설정"을 수락하는 "파일 서비스 사용자"이다. "파일 서비스 사용자"로서 응용부분이 개념적인 관점으로부터 FTAM서비스를 야기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개시 프로그램으로서 "파일서비스 사용자"는 "FTAM체제 설정"용으로 요청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ISO 8571에서, 예를 들어 pp.17 및 18상의 제1부분 8571∼1:1988인 파일 서비스의 요약 및 그 지원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거기에서 "FTAM체제"의 설정에서 FTAM_응답기의 역할이 나타난다. 같은 부분의 부록 A에서 FTAM의 사용예는 시퀀스 다이어그램 형태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GOPS(302)는 동작지원 뷰 및 파일관리 뷰 각각에서 표시(304 및 120)를 갖고, 그럼으로써 파일관리 뷰, 변환기능(124) 및 동작지원 뷰를 상호연결하여 GPP기능에 의해 관리된 데이터기록 포스트는 동작지원 시스템 또는 외부사용자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뷰(202)의 확대를 포함하고, 동시에 기능(122 및 124)간의 통신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기능(122)에서 데이터의 기점(402)은 인터페이스(404), 변환소자(406.1∼406.4) 및 그들간에 위치된 인터페이스(408.1∼408.3), 및 부가적인 인터페이스(410)를 경유해서 데이터용 목적지(412)에 연결된다. 변환소자들 및 그들간에 위치된 인터페이스의 예시된 수는 예로써만 사용된다.
변환소자(406.n) 각각은 변환기능(124)의 데이터 처리에서 역할 또는 보조임무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변환소자(406.1∼406.4)는 도 4에 따른 시스템에서 특정한 동작 단계 또는 사용의 경우를 실현시키도록 말하여질 수 있다. 사용할 때 상호 관련된 경우의 그룹은 변환기능(124)의 부분 또는 전체일 수 있는 기능을 형성한다.
각 변환소자(406.n)는 분리해서 편집가능한 소스코드량으로 각기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부하 모듈 형태로 소프트웨어 소자를 실행시킨다. 소프트웨어 유니트는 이터페이스 408.n을 수행 및 사용한다.
각 인터페이스(408.n)는 각 변환소자용 2개의 역할 정의의 정의 및 형태 정의량으로 구성된다.
역할 정의는 기능호출의 의미론, 즉 기능을 호출하는 부분에 의해 기대되는 것, 및 기능이 행해지길 기대되는 것을 지정한다. 소프트웨어 유니트 A는 결합기능을 구비한다면 A는 F를 실행한다고 말하는 것은 당연하다. 같은 방법으로 기능을 호출하는 F를 오직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유니트 B가 F를 사용한다고 말하는 것이 당연하다.
인터페이스의 예를 발견하는 것이 어렵지 않고, 거기에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어느 쪽인지 및 그것을 실행하는 것이 어느 쪽인지가 덜 명백하다. 그런 경우에 역할 정의는 용어사용 및 실행의 명백한 의미를 결정한다.
소프트웨어 소자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수의 편집된 소프트웨어 유니트는 상호링크된다. 그 과정에서 대부분의 인터페이스는 단일 실행을 얻고 소프트웨어 소자내의 인터페이스의 모든 사용은 상기 실행과 통계적으로 연관된다. 소프트웨어 소자가 프로세서로 부하될 때 부가적인 상기 인터페이스는 단일실행과 연관된다. 그후에 남은 인터페이스는 개방된 채로 명명되고 본원에서 특정한 장점이다. 부하된 소프트웨어 소자는 그것이 실행 및 사용하는 개방 인터페이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소프트웨어 소자가 사용의 경우에 사용되기전에, 그 개방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정의되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방 인터페이스를 갖는 소프트웨어 소자는 추상적인 연결점 세트를 구비한다. 각 추상적인 연결점은 개방 인터페이스들중 하나를 사용 또는 실행한다.
설정되어 사용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 소자는 필수적이다.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소자는 개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면 그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개방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행과 상호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정보로써 제공되야 한다.
사용하는 경우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단계는 포함되는 소프트웨어 소자를 선택할 때 구성된다. 그것이 발생할 때, 또한 개방 인터페이스 세트는 얻어진다. 다음 단계는 소프트웨어 소자 각각에 대해 그 변환소자 또는 소자들을 결정할 때 구성되고, 그것은 현재의 사용하는 경우에 점유한다. 그것이 발생할 때, 각 변환소자에 대해 그 소프트웨어 소자에서 추상적인 연결점 각각에 대응하는 명백한 연결점이 있다. 마지막 단계는 명백한 연결점 모두에 대해 사용자 및 실현을 결합할 때 구성된다. 명백히, 2개의 명백한 연결점은 대응하는 추상적인 연결점중 하나가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가 같은 개방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만 하면 결합될 수 있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인터페이스 404∼410은 본원에서 제의/수락(O/A)으로 명명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거기에는 방법호출 인터페이스의 질의가 있고, 제의 및 수락한다는 사실에 따른 명명이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주요한 방법이다. 2개의 객체가 인터페이스를 경유해서 통신할 때, 그것들중 하나는 "소스"의 역할을 또한 취하고, 나머지 하나는 "싱크(sink)"의 역할을 취한다.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흐름은 소스로부터 싱크로 동작한다.
기점(402)은 임의의 기록을 변환용 GPP기능(124)으로 이송하는 기능(122)에서 일반적 인터페이스(403)와 연관된다.
목적지(412)는 이송의 임의의 전송 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데이터 전송을 허여하는 일반적 파일 전송 인터페이스(413)와 연관된다.
변환소자(406)의 체인은 UNIX에서 파이프라인 개념과 비슷한 개념을 예로 하는 파이프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차이는 제의/수락 인터페이스가 변환소자로 하여금 같은 과정에서 실행하도록 허여하는 것이어서 관리비용이 최소화된다. 제의/수락 인터페이스는 양방향으로 동작하고 흐름제어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복제하지 않는다. 정의의 관점으로부터, 변환소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이다.
변환기능(124)에 대해 설명된 개념은 설계자 및 운용자에 대해 다음의 장점 및 가능성을 의미한다. 즉,
- 포맷팅만이 아닌 즉, 임의의 데이터 변환,
- 임의의 파일전송 프로토콜 또는 다른 파일관리(테이프, 기록기 등),
- 설계 지원의 고레벨인 일반적 기능성의 최대량,
- 응용에 대한 설계 및 실행의 최소,
- 이미 설계된 변환소자의 재사용,
- 동작시스템에서, 그러나 파일전송동안이 아닌 변환소자를 변화시키는 가능성,
- 마켓 또는 응용의 요구사항에 따라 임의의 포맷상에서 기록 및 파일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
포스트 관리기능(GPP)은 미리 정의된 방법 및 파라미터를 갖는 추상적인 자원 객체이나, 객체내의 실제 관리는 특정한 응용이다.
GPP는 변환소자에 대해 결정된 룰이 따르는 한 다른 데이터 변환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 박스로 간주될 수 있다. 그것들은 한편으로 변환소자가 O/A인터페이스 등의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입력 및 출력형태를 갖는 것이고, 거기에서 변환소자의 출력형태는 파이프라인에서 다음의 변환소자의 입력 형태에 맞을 것이다.
소정의 마켓/사용자는 포맷 및/또는 변환에 대해 유연성을 요구할 수 있고, 다른 것은 변환의 효율에 대한 것이다. 상기 요구 조건은 어느 정도 모순되나, 모두는 완수될 수 있다. 고정 포맷에 대한 효율이 바람직하다면 변환소자는 특정한 포맷에 대해 최적화된 코드로써 설계될 수 있다. 유연성이 바람직하다면, 라이브러리(library)는 선택가능한 변환소자로써 설계된다.
일반적 기능성을 최대로 사용하기 위해 분석은 정보내용이 공지되야 하는 곳 및 그것이 데이터의 질의인 곳에 대해 수행되야 하는 것으로 요구된다. 대개의 경우에 그것은 데이터의 질의, 즉 이송, 저장, 송신 등으로 되는 비트의 컨테이너이다. 그것이 데이터의 질의인 한, 일반적 기능은 그것이 정보의 질의인 한 사용될 수 있고, 가능은 특정화 되어야 한다.
양호하게는, GPP기능은 기본 변환소자로써 초기부터 설계된다. 상기 이유는 GOPS기능의 설계자가 다른 사용자/마켓으로 하여금 그 정보에 대해 어떤 포맷을 갖는 지를 공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후 바람직한 목적으로 상기 소자를 특정화시키는 응용/마켓 설계자이다. 예로서, 운용자는 국부적인 포스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된 데이터 베이스 포맷에 기록의 포맷을 적용할 수 있다. 그것은 기본 변환소자를 특정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예로서, 개략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에 의해 본원에서 설정되고, 도 1 내지 도 3의 GOPS기능(122)이 정보를 얻고 공급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 지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설명된 망 소자의 설계로부터 나오게 한다. 상기 예에서, "얻는 것"은 로그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포맷팅 또는 다른 데이터 관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그것은 이송되는 내부 포맷의 질의이다. 예를 들어, 관리된 정보가 시스템 외부로 변환된다면 상기 특성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GOPS기능은 로그기록을 가상파일로서 공급하는 지원이다.
도 5는 정보발생 객체(502)가 통지(504)를 로그(506)에 어떻게 보내는 지를 표시하고, 거기에서 그것은 로그기록으로서 저장된다. 로그(506)로부터 로그기록은 그것의 포맷팅 및 관리후 정보패킷을 보내는 GOPS(122)에 의해 현재 페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화살표(510)에 따라 부가적으로 얻어진다.
통지는 정보 캐리어로서 간주될 수 있다. TMN표준은 통지의 수집기로서 EFD(Event Forwarding Discriminator)로 명명된 지원 객체를 형성하나, 통지는 중간 저장용 로그에서 또한 수집될 수 있다.
통지는 2개의 형태, 즉 관리된 객체 통지 또는 자원 통지일 수 있다. 로그는 2개의 통지형태로 기입될 수 있다. 통지는 포맷되야 하고 공급되기 전에 관리되야 한다.
통지는 로그기록으로서 저장되고 로그기록은 로그로부터 페치된다.
개별적으로 선택된 데이터가 아닌 대량 데이터는 용량을 이유로 파일로서 이송되야 하나, 각 응용은 망 소자에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파일전송을 선택할 수 있다.
포맷된 기록의 공급은 일반적 인터페이스를 경유해서 수행된다.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독립적인 인터페이스이다.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는 같은 방법 및 파라미터가 GOPS의 설정에서 공급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객체 모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일반적이다. 파일 포맷은 선택 공급하는 객체에 속한다. 예로서, 본 예의 것으로서 객체는 FTAM의 실행 및 FTP의 다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 인터페이스는 2개의 실행동안 같은 방법을 지원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예에서 GOPS기능의 동작방법에 대한 원리를 예시한다. 수평방향에서 도면은 세 개의 부분, 즉 인터페이스(110)를 경유한 동작지원 관리 뷰(602), 자원층(106)(도 1)의 일부의 뷰(604) 및 인터페이스(112)(도 1)를 경유한 파일관리 뷰(606)로 분할된다. 세 개의 뷰간에 분리된 점선 수직선들은 608 및 610 각각으로 지정된다. 관리 뷰(602)는 자원층(106)에서 GOPS기능(122)(도 1 및 도 3)에 대한 관리객체(304)를 포함한다. 뷰(604)는 기능(122)외에 로그(506) 및 GPP기능(124)(도 1 내지 도 3)을 포함한다. 파일관리 뷰(606)에서 FTAM_응답기(308)(도 3)뿐만 아니라 GOPS기능(122)의 표시(120)(도 1)는 포함된다.
도 8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또한 참조해서, 도 6은 로그(612)로부터 하나 이상의 로그기록을 얻는(화살표 614) 파일관리 뷰에 포함된 응답기(308)를 경유해서 요구가 어떻게 보내지는(화살표 802) 지를 예시한다. 요구는 상기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에서 블록(104)에 의해 표시되는 개시 프로그램으로부터 발생한다. 요구는 GOPS표시(120)를 경유해서 GOPS기능(122)으로 진행된다(화살표 616). GOPS기능(122)은 로그(612)로부터 현재의 로그기록 또는 기록들을 얻는 화살표(617)에 따라 요청을 송신한다. 로그기록은 화살표(618)에 따라 GOPS기능(122)에 보내지고 개시 프로그램(104)에 의해 소망된 포맷에 대한 변환 즉 포스트 관리용 요청으로써 GPP기능(124)으로 나중에 진행된다. GPP기능(124)은 요구된 변환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파일형태로 포스트 관리된 데이터를 GOPS기능(122)으로 보낸다(화살표 622). GOPS기능(122)은 GOPS표시(120)를 경유해서 부가해서 파일을 보내고(화살표 624) 응답기(308)를 보낸다(화살표 626). 응답기(308)를 경유해서 드디어 파일들은 화살표(804)에 따라 개시 프로그램에 도달한다(도 8).
설명된 예에서, 개시 프로그램(104)은 동작지원 시스템, 요금센터 등을 예로 하는 임의의 액터(actor)일 수 있다. 그러나 GOPS기능(122)으로부터 얻어진 포스트 관리된 데이터는 파일 이송외에 예를 들어 상설했듯이 FTAM을 경유해서 현재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 기록기 등의 다른 외부통신을 통해 또한 공급될 수 있다.
GOPS기능(122)의 동작지원 뷰에서 GOPS_MO표시(304)(도 3)는 도 6의 것 등의 시스템이 시작될 때 설정된다. 표시(304)에 의해 동작지원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에서 응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룰을 설정 및 제어한다. 그러므로, 예로서 GPP기능이 외부사용자와 통신하는 데 유효한 룰, 예를 들어 도 6에 따른 예에서 파일 설정용 룰을 사용해서 그 변환소자의 수 및 특성을 어떻게 설계하는 지가 사용하는 로그로써 설정된다.
도 7에서 도 5 및 도 6에 따른 시나리오의 예는 예시되고, 이동전화 기술내의 경우로 되고 거기에서 요금센터는 내부포맷의 로그에서 저장되는 소위 TT(Toll Ticketing) 기록인 트래픽 데이터에 기입한다. GOPS에 의해서 및 FTAM을 경유해서 요금센터는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얻는다. 도 7은 트래픽 정보발생 객체(704.1∼704.n)를 포함하고, 이동전화 기술 가입자, 동작지원 시스템(706), 로그(708) 및 중간저장 메모리(710)를 표시할 수 있는 망 소자(702)를 도시한다. 또한 파일 서버 엔티티 GOPS-VFS(120), GOPS기능(122), GPP기능(202) 및 FTAM응답기(308)가 표시된다.
외부사용자를 형성하는 요금센터는 712로 지정되고 FTAM개시 프로그램(104)을 포함한다.
동작지원 시스템(706)을 경유해서 객체(704)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는 로그(708)에 저장된다. 그후 요금센터(712)가 기입하는 트래픽 데이터는 메모리(710)에서 중간에 저장된다.
최번시를 벗어난 동안 요금센터(712)는 메모리(712)로부터 로그(708)를 경유해서 중간에 저장된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 및 페치시킨다. 통신 및 과정이 도 6 및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고, 그러므로 도 7에 포함된 화살표는 도 6 및 도 8에서 대응하는 화살표와 같은 도면번호를 얻는다.
도 8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참조해서, 도 7은 로그(708)로부터 하나 이상의 로그기록을 얻기 위해 FTAM개시 프로그램(104)으로부터 FTAM응답기(308)로 요청이 어떻게 보내는(화살표 802) 지를 예시한다. 요청이 GOPS표시(120)를 경유해서(화살표 614) GOPS기능(122)으로 진행한다(화살표 616). GOPS기능(122)은 화살표(617)에 따라 요청을 보내서 로그(608)로부터 현재의 로그기록 또는 기록들을 얻는다. 로그기록은 중간저장 메모리(710)로부터 로그(708)를 경유해서 화살표(618)에 따라 GOPS기능(122)으로 보내진다. 로그기록은 포스트처리, 즉 개시 프로그램(104)에 의해 소망된 포맷으로의 변환에 대한 요청(화살표 620)으로써 GOPS기능(122)에 의해 GPP기능(124)으로 진행된다. GPP기능(124)은 요청된 변환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파일 형태로 포스트처리된 데이터를 GOPS기능(122)으로 보낸다(화살표 622). GOPS기능(122)은 GOPS표시(120)를 경유해서 부가적으로 파일을 보내고(화살표 624) 응답기(308)에 보낸다(화살표 626). 응답기(308)를 경유해서 드디어 파일은 화살표(804)에 따라 요금센터(712)에서 개시 프로그램(104)에 도달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로 다수의 부가적인 예는 GPP기능에 의해 포스트처리의 동작시간 뷰의 형태로 다음에서 설정된다.
도 9는 도 5와 본질적으로 같으며, 그러므로 도 5에서 같은 도면문자는 알맞은 경우에 사용된다. 짧게 말해서, 정보발생 객체(502)는 통지(504)를 로그(506)로 보내고, 거기에서 그것은 로그기록으로서 저장된다. 로그(506)로부터 로그기록은 902로 명명된 GPP기능에 의한 포맷팅 및 처리후 화살표(510)에 따라 얻어진 정보패킷을 보내는 GOPS(508)에 의해 페치된다.
도 9의 목적은 포스트처리가 정보를 관리할 필요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생되고 그 필요성이 발생할 때 경우/기능을 가능한한 유연하게 만드는 것을 예시한다. 정보의 구조 및 내용은 도 10 내지 도 13에서 뿐만 아니라 도 9에서 타원형(904)으로 표시되는 소수로 형성된 장소에서 공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9에서 그런 타원형(904)은 정보발생 객체(502) 및 GPP기능(902)에 있다. 도 9에서 GPP기능은 출력 직전에 관리되어지도록 도시되나 로깅전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도시안된).
마켓은 다른 기록 형태에서 같은 기록 구획 문자를 요구할 수 있고 그러므로 그것을 재사용하는 분리된 객체로서 실행하는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은 포스트처리에서 층으로된 지원구조를 구비하기 위해 발생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로 GPP기능(1002)은 예로서 1006에서 오는 정보패킷을 개방하는 변환소자(1004), 표시문자를 마켓의 특정한 표시문자로 바꾸는 변환소자(1008), 포맷팅하는 변환소자(1010), 및 기록 구획 문자용 변환소자(1012)를 포함한다. 변환소자에 대한 임무의 도시안된 부가적인 예는 소망된 순서, 표의 집합, 기구 판독으로부터의 기록 편집 등에 따른 기록 분류이다. GPP기능의 내부구조는 0-n의 분리된 기능을 사용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응용 객체를 재사용한다.
도 11은 로그(1101)가 GOPS기능(1104)에 포함된 GPP기능(1102)에 의해 포스트처리되는 통지에서 불변의 객체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GPP기능(1102)에서 통지는 변환소자(1106)에 의해 개방되고, 변환소자(1108)에 의해 편집되고 포맷되고, 기록은 변환소자(1110)에 의해 구획 문자화 된다. 그후 그 결과는 파일 포맷(1114)에서 GOPS기능(1104)에 의해 공급된다(화살표 1112).
변환의 목적에 따라 몇 개의 단계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도 12는 가능한 안전성 관리 시나리오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객체(1202)는 검사 합계를 보안성 통지(1204)에 가산하고(화살표 1203), 그후 그것은 로그(1206)에서 로그기록(1205)으로서 로그된다. 로그(1206)로부터 로그기록(1205)은 GOPS기능(1208)에 의해 페치된다. GOPS기능(1208)에서 포함된 GPP기능(1210)에서 포맷팅은 변환소자(1212)로 수행되고, 변환소자(1214)에 의해 암호화하고 기록은 변환소자(1216)에 의해 구획 문자화한다. 그 결과는 파일 포맷(1218)에서 GOPS기능(1208)으로부터 보내진다.
유연성 또는 용량/통과흐름을 얻는 다른 방법에서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예로서 가능한 요금부과 관리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이다.
호출기록에 대한 출력(1302)으로부터 통지(1304)는 로그(1306)에서 로그기록으로 로그하기 위해 보내진다. 로그(1306)로부터 로그기록이 GOPS기능(1308)에 의해 페치된다. GOPS기능(1308)에서 GPP기능(1310)은 포함된다. GPP기능(1310)에서 포함된 변환소자(1312)에 의해 변환이 특정한 마켓 및 응용에 대해 최적화된 코드에 수행된다.

Claims (21)

  1.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104)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에 있어서,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층(106)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110)와,
    자원층에서 위치되고 사용자와 통신하고, 요청시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페치 및 제공하는 통신기능과, 상기 페치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능을 포함하는 지원기능(122, 124)을 구비하며,
    상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104)으로부터 망 소자(102)는 다수의 자원표시(114)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로 구성하는 파일관리 뷰(112)에서, 동작지원 시스템(104) 또는 외부사용자(712)로부터 망 소자는 자원층에서 데이터 파일을 외부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자원으로 전송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 식별객체(118, 120)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기능(122)이 동작지원 뷰(110)에서 관리객체(304)에 의해 및 파일관리 뷰(112)에서 데이터 파일 식별객체(120)에 의해 표시됨으로써 변환기능(124)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파일을 외부사용자(712)에 의해 사용된 자원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파일관리 뷰(112), 변환기능(124) 및 동작지원 뷰(110)를 함께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환기능이 각 그 변환 종류에 대해 의도된 다수의 변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각 변환소자는 변환기능에서 데이터 동작의 역할 또는 보조임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변환소자는 특정한 동작 단계 또는 사용의 경우를 실현하고, 상호 관련된 사용의 경우의 그룹은 변환기능의 부분 또는 전체로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6.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변환소자가 분리 편집가능한 소스코드 량으로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부하 모듈 형태의 소프트웨어 소자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유니트는 각 변환소자에 대해 형태 정의 및 2개의 역할 정의의 그룹으로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실행 및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된 망 소자.
  8.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을 갖는 데이터 망의 일부인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 소자는,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층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지원 뷰에서 동작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망 소자는 다수의 자원표시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자원층에서 상기 지원기능의 일부로서
    사용자와 통신하고 요청시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페치 및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기능과,
    분리 편집가능한 소스코드로 각기 구성되는 다수의 편집된 소프트웨어 유니트를 각 소프트웨어 소자에 대해 상호링크시키는 부하 모듈 형태의 다수의 소프트웨어 소자와,
    상기 페치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소자를 각기 실행시키는 다수의 변환소자를 구비하는 변환기능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소자내의 그런 인터페이스의 모든 사용을 특정한 실행과 통계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해, 그 편집된 소프트웨어 유니트들을 함께 링크할 때 특정한 실행을 소프트웨어 유니트에 의해 실행 및 사용된 다수의 인터페이스로써 상호연결하는 단계와,
    부하로된 소프트웨어 소자에서 실행 및 사용하는 다수의 나머지 개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소자를 처리기로 부하를 걸 때, 소프트웨어 유니트에 의해 실행 및 사용되는 부가적인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특정한 실행으로써 상호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의 경우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소자를 그 개방 인터페이스에 의한 응용을 형성함으로써 준비하는 단계와,
    개방 인터페이스들중 하나를 각기 사용 또는 실행하는 추상적인 연결점 세트를 적어도 하나의 개방 인터페이스를 갖는 소프트웨어 소자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개방 인터페이스 세트를 얻기 위해 포함되는 소프트웨어 소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제2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소자에서 각 추상적인 연결점에 대응하는 명백한 연결점을 각 변환소자에 대해 얻어지도록 현재 사용의 경우에 점유하는 변환소자 또는 소자들을 각 소프트웨어 소자에 대해 결정하는 단계와,
    제3단계에서 모든 명백한 연결점에 대해 사용자 및 실행을 결합하는 단계에 의해 사용의 경우를 구성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소자에서 지원기능을 만드는 방법.
  12.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소망된 예에 대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요청시 수행하는 방법에서, 상기 망 소자는 망의 동작 및 수리용 동작지원 시스템(104)을 갖는 데이터 망에 포함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 소자는,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 자원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망에 제공하는 망 소자 기능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원(108)을 포함하는 상기 자원층(106)과,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동작지원 뷰(110)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지원 뷰(110)에서 동작지원 시스템(104)으로부터 망 소자(102)는 다수의 자원표시(114)로 구성하고 망 소자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각 자원 및 망 소자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자원층에서 위치된 통신기능에 의해 자원층에서 사용가능한 상기 데이터를 자원층에서 비슷하게 위치된 변환기능으로 페치 및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소망된 포맷으로 상기 변환기능에 의해 변환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으로 복귀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에 의해 소망된 예로 진행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망 소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하는 파일관리 뷰(112)를 포함하고, 그 파일관리 뷰(112)에서 동작지원 시스템(104) 또는 외부사용자(712)로부터 망 소자는 자원층에서 데이터 파일을 외부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자원으로 이송하는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데이터 파일 식별객체(118, 120)로 구성되며,
    상기 망 소자는 파일관리 뷰, 변환기능 및 동작지원 뷰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및 변환기능에 변환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예를 형성하는 외부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자원에 이송하도록하기 위해 동작지원 뷰에서 관리객체에 의해 및 파일관리 뷰에서 데이터 파일 식별객체에 의해 통신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소망된 포맷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사용자는 그것에 대한 요청을 대응하는 과정을 시작하는 망 소자에 보내고, 상기 과정은,
    상기 요청을 통신기능으로 진행시키는 단계와,
    자원층에 포함되고 상기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원으로부터 소망된 포맷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본 데이터를 통신기능에 의해 페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데이터를 통신기능에 의해 소망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요청을 갖는 변환기능으로 보내는 단계와,
    상기 변환기능에 의해 상기 요청된 변환을 수행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그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기능에 의해 외부사용자로 진행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데이터는 망 소자로부터 파일 전송을 경유해서 사용자로 또는 다른 외부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동작지원 뷰에서 통신기능용 표시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과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과정을 통해 응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룰을 상기 표시를 경유해서 동작지원 시스템에 의해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룰은 사용되는 자원을 포함하는 기본 데이터가 무엇인지, 변환이 어떻게 설계되는 지, 및 사용자와 통신하는 데 응용가능한 룰이 무엇인지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데이터를 로그로부터 페치하는 단계와, 로깅전후에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데이터를 통지로부터 얻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을 각 그 변환 종류에 대해 의도된 다수의 변환소자에 의한 변환기능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다음의 변환중 일부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변환소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다음의 변환은 상기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중계 정보패킷을 개방하고 태그를 마켓의 특정한 태그로 변환하고, 포맷팅하고, 데이터 기록 구획 문자화를 수행하고, 표를 집합시키고, 기록을 기구 판독으로부터 편집하고, 암호화하고, 특정한 마켓 및 응용에 대해 최적화된 코드로 변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2813A 1995-10-19 1996-10-18 망 소자용 지원기능 KR1999006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3675-2 1995-10-19
SE9503675A SE515343C2 (sv) 1995-10-19 1995-10-19 Stödfunktion för nätelement
PCT/SE1996/001327 WO1997015133A1 (en) 1995-10-19 1996-10-18 A support function for a network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317A true KR19990064317A (ko) 1999-07-26

Family

ID=2039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813A KR19990064317A (ko) 1995-10-19 1996-10-18 망 소자용 지원기능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56217A1 (ko)
JP (1) JPH11513824A (ko)
KR (1) KR19990064317A (ko)
AU (1) AU705857B2 (ko)
CA (1) CA2235403A1 (ko)
NO (1) NO981714L (ko)
SE (1) SE515343C2 (ko)
WO (1) WO1997015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544A (en) * 1997-11-21 2000-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ery supporting interface between a customer administrative system and database network elemen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1084183A (ja) 1999-09-17 2001-03-30 Nec Corp データ変換システム
JP6243015B2 (ja) * 2013-06-14 2017-12-06 ゼットティーイー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運用支援システム(noss)に基づく仮想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vne)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2959C (en) * 1987-11-06 1993-01-19 Kiritkumar Talati Virtual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oftware applications to be environment-independent
US5049873A (en) * 1988-01-29 1991-09-17 Network Equipm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s network state and topology monitor
US5075847A (en) * 1989-05-26 1991-12-2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program encapsulation
NL8901827A (nl) * 1989-07-14 1991-02-01 Oce Nederland Bv Systeem voor het verwerken van in bestanden georganiseerde gegevens, alsmede beheersmodule ten gebruike daarin en opslagmedium, voorzien van de programmatuur van deze beheersmodule.
US5367635A (en) * 1991-08-29 1994-11-22 Hewlett-Packard Company Network management agent with user created objects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FI106418B (fi) * 1992-03-10 2001-01-31 Nokia Networks Oy Verkonhallintajärjestelmä
EP0817422B1 (en) * 1992-08-28 2004-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 method for implementing a managed object in a network management system
US5375241A (en) * 1992-12-21 1994-1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link libr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6217A1 (en) 1998-08-05
CA2235403A1 (en) 1997-04-24
NO981714L (no) 1998-06-19
JPH11513824A (ja) 1999-11-24
AU705857B2 (en) 1999-06-03
SE515343C2 (sv) 2001-07-16
NO981714D0 (no) 1998-04-16
SE9503675L (sv) 1997-04-20
SE9503675D0 (sv) 1995-10-19
WO1997015133A1 (en) 1997-04-24
AU7354196A (en) 199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7559B (zh) 一种数据融合治理系统
US5577202A (en) Message handling system for automated gateway between first and second handling systems wherein first envelope is added to a second envelope respectively without changing text
EP1738573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onfigurable telecommunications detail record adapter
DE60030155T2 (de) Verfahren und system zur verarbeitung von einträg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US5574782A (en) Minimizing service disruptions in handling call request messages where new message formats are needed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1351461A1 (en)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fer device thereof
CN101420437A (zh) 一种原型系统与hla仿真系统的接口设备
JPH10501909A (ja) 遠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
US6085240A (en) Agent identification device, agent device with program reception function, and network system
CN101645013A (zh) 综合业务管理平台插件式业务管理系统及方法
US5261061A (en) Remote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method in a switchboard system
EP07203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communications over a network
KR19990064317A (ko) 망 소자용 지원기능
AU717670B2 (en) Processor for signaling messages in a data switching network
CN101335763A (zh) 智能网系统中数据导出及数据传输的方法
CN100356727C (zh) 一种分析信令的方法
US6772417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ceiving message of monitor terminal in communication operating system
US6282202B1 (en) Method for internal communic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9118153A (zh) 预处理工单请求的方法及装置
US6151317A (en) Control type or service independent building block
US7376748B1 (en) Data delivering system
KR101547346B1 (ko) 업무통합 연동을 위한 동기/비동기 통신방식의 동적 전문 관리시스템
CN1332530C (zh) 一种网管系统中业务层与设备通讯层信息交互的方法
KR100692632B1 (ko)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Behnke et al. Development of broadband ISDN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ing SDL’92, ASN. 1 and automatic cod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