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85A -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85A
KR19990063885A KR1019980702357A KR19980702357A KR19990063885A KR 19990063885 A KR19990063885 A KR 19990063885A KR 1019980702357 A KR1019980702357 A KR 1019980702357A KR 19980702357 A KR19980702357 A KR 19980702357A KR 19990063885 A KR19990063885 A KR 1999006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all
signal
network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안토니 게랄드 챈드러
스테판 죤 브라이트웨이트
Original Assignee
루럴레디오시스템스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럴레디오시스템스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럴레디오시스템스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Abstract

다수개의 송신 및 수신 기지국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내에 랜덤하게 분포된 구역에 제공되고, 절환 회로가 기지국 자체 내에 설치되어 필요한 장소에 콜을 중계하는 네트워크에 기지국을 활용하는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 콜을 중계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기지국(20)에는 소스(S)로부터 목적지(D)로의 콜이 콜 중계를 목적으로 전송되는 원거리 기지국(21)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콜 루틴 동작 콘트롤 유니트가 합체된다. 콜 루틴동작 콘트롤 유니트는 전송 기지국(20)의 범위 내에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수용되도록 질문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기지국(21)의 각각의 콜 루틴동작 콘트롤 유니트는 기지국(21)이 기지국(20)으로부터 수용되는 질문 신호에 대한 콜을 중계할 수 있을 시에 긍정응답 신호를 전송하며, 긍정응답 신호는 의도된 목적지 쪽으로 콜을 중계하기에 적합한 기지국을 나타내는 지연 후에 전송되어진다. 다음, 기지국(21)의 콜 루틴 콘트롤 유니트는 최소 지연 후에 기지국으로부터 접수된 긍정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콜을 중계하기에 적합한 기지국(21)을 선택한다.

Description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전화 서비스가 도시 및 일부 주요 마을에 제공될 수 있는 많은 지방에서는, 그 지방의 대다수 인구가 전화에 유효하게 접근할 수 없다. 전화 네트워크는 공중전화로부터 대체로 전체 인구가 수 킬로미터 내에서 생활하는 밀집구역과 같은 그러한 지방에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종래 유선 전화 시스템이 사용되면 과중한 비용이 소요되는 다수의 광범위한 공간 전화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설비를 필요로 한다. 1993년 4월 제4 IEE 회의에서, 원격통신 IEE 회의 공보 제 371번에, S.A.G. 캔들러(Chandler), S.J 브라이쓰웨이트(Braithwait), H.R. 몸벨로(Mgombelo) 등의 "지역 발전용 분포 지방 무선 시스템(A Distributed Rural Radio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보고서는, 무교체 네트워크 구조로 넓게 분리된 지역에 기본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상적으로 적합한 지방 무선 전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 전화 시스템은 중앙 교체 또는 상호접속 하부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공동 무선 노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각각의 노드는 두 개의 단일 채널 디지털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송수신 기지국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전화 인터페이스와 콘트롤러는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재하여 필요한 통신 콘트롤에 영향을 미친다. 노드 사이에 링크는 전화 트래픽에서의 복식 스피치용으로 소요되는 용량성 링크(패킷 절환(packet switch) 또는 정적인 다중송신 링크에 대향됨)에 고정된다. 각각의 송수신 기지국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전화를 갖는 솔라 파워 무선 유니트를 포함한다. 적정 범위(적당한 양호한 지역에서 50km 정도) 내에 콜은 직접적인 기지국 대 기지국 통신으로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범위를 넘으면, 콜은 콜을 수행하는 때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네트워크 내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중계를 받아야 한다.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를 받는 또는 과도한 수의 중계 홉(hops)을 필요로 하는 구역을 벗어나는 콜은, 공공 서비스 전화 네트워크로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송신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유사 시스템에는 팩키지 무선 시스템이 있다. 그런데, 상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낮은 정보율을 초래하고 정적으로 복합되고 그리고 항시 복식 스피치용으로 수용 불가한 지연 변수를 갖는 단일 무선 채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기지국이 랜덤하게 분포된 구역에 설치되고 그리고 절환 회로가 필요한 장소에 콜을 중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을 활용하는 네트워크에 기지국 사이에 콜 루틴을 위해 자체 기지국 내에 제공되는 네트워크용 송수신국이 배타적으로 있지 않은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분포 회로 스위치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 2 는 상기 네트워크에 송수신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네트워크에 콜 루틴 방법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네트워크에 콜 인터롭의 방법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9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송수신 기지국에서 활용되는 양호한 회로 잇점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목적은 분포 회로 절환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용으로 향상된 송수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로 청구되는 범위의 기술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예를 든 실시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은 송수신 기지국이 위치된 일련의 랜덤하게 고정된 노드(1)를 포함하는 가상적 분포 회로 절환 무선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에 노드의 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트워크 노드(1)에 더하여 몇몇 게이트웨이 노드(2)가, 중앙 교환 콘트롤 하에서 전화 통신이 유선 링크에 의한 종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공공 서비스 전화 네트워크에 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쇄선(4)으로 나타낸 바로서, 콜은 노드가 다른 한 노드에 충분히 근접할 시에 직접적으로 또는 콜 중계를 서비스하는 다른 노드(1)에 의해서, 네트워크 노드(1) 사이에 또는 네트워크 노드(1)와 게이트웨이 노드(2)와의 사이에서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도 2 는 두 개의 송신/수신 공중선(空中線)(7, 8), 두 개의 단일 채널 디지털 트랜시버(9, 10), 한 개 이상의 전화 인터페이스(11, 12)와 상관 전화기(13, 14), 트랜시버 인터페이스(15), 및 네트워크 내에 기지국 사이에 통신 콘트롤을 수행하는 콘트롤 유니트(16)를 포함하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6)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각각의 기지국(6)은 두 개 콜 까지 마감하는데 사용된다. 즉, 두 개 콜은 두 개 방향으로의 콜 정보를 수신 및 재송신하도록 두 개 트랜시버(9, 10)를 동시적으로 사용하여 단일 콜을 선택적으로 중계하도록 또는 전화기(13, 14)를 동시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트랜시버(9, 10)는, 명확한 타임 비대칭용의 소수 지대에서 시분할 다중 송신 전자 시스템이 유용 되어도, 분리 주파수 채널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두 개 채널은 다수의 채널이 임의적인 상황에서 유용 되어도 이용 가능한 200개 채널 세트에서 선택된다.
네트워크 내의 콜의 루틴 동작은, 중앙 교환이 없을 때 상당히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기지국 내에 저장되는 루틴 테이블의 설비 보다 양호하게, 네트워크에 노드의 기하형상 구역에 기초하는 것이다. 루틴 동작 및 초기 콜 셋업의 도입은 정보가 사용 비동기 팩킷을 전달할 목적만의 특정한 콜 채널을 활용하여 실행된다. 음성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수단에 의한 분리 트래픽 운반 채널은, 시스템의 프로토콜과 사용자 요구에 따른 비동기 팩킷 또는 고정 프레임 회로 절환 전송 포맷의 어느 하나용으로 사용된다.
콜 루틴 동작
콜이 향하는 목적 기지국(D)으로 콜이 만들어지는 곳에 소스 기지국(S)으로부터의 콜의 루틴 동작은, 콜 중계에 사용되는 기지국과 목적 기지국과 소스의 콘트롤 유니트와의 사이에 공동 동작으로 부여되는 전용(專用) 루틴동작 알고리즘으로 제어된다. 루틴동작 알고리즘은, 목적지 기지국(D)이 소스 기지국(S)의 단일 호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소스 기지국(F)으로부터 출발하여 반복 공정을 활용하는 목적지 기지국(D)에서 마감되는 일련의 통신 링크를 확립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틴 동작의 가장 간단한 방법은 목적지 기지국(D)에 최근접하게 있는 이전 기지국의 무선 범위 내에 기지국을 각각의 반복 단계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만일, 최근접 기지국이 루틴동작에서 활용되는 이전 기지국 보다 더 근접해 있지 않으면, 루틴은 차단된다. 도 3 은 두 개 기지국(20, 21)을 경유하는 콜 중계에 적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기지국(20, 21)과 소스 기지국(S)에 상관 무선 범위는 서클(22, 23, 24)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기지국의 콘트롤 유니트에 의해 실행되는 이러한 루틴 동작 알고리즘 방식을 이하에 기술한다. 이전 기지국의 콘트롤 유니트는 범위 내에 중계를 위해서 활용 가능한 모든 기지국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는 CQL메시지의 형태로 질문 신호(interrogation signal)를 방송한다. 만일 이러한 질문 신호가 목적지 기지국(D)에 의해 수신되면, 목적지 기지국의 콘트롤 유니트는 즉시 긍정응답 신호(immediate acknowledgement signal)를 제공하여 목적지 기지국으로 직접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콜이 중계되도록 지시한다. 질문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기지국은, 목적지 기지국(D)으로부터의 기지국 거리로 증가하는 지연 후에 전송되는 긍정응답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지연 량은, 기지국 내에 저장되는 다른 기지국의 구역 목록으로 또는 기지국의 그리드 기준을 지시하는 기지국 넘버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목적지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지국 거리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연산된다. 만일 기지국이 CSMA 프로토콜을 운영하면, 기지국은 기 사용 채널이 있으면 기동 신호를 제공하지 않아서, 대부분의 충돌을 피할수 있다. 이전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기동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선택된 기지국으로 확인 신호를 보낸다. 범위 내에(그러나 기동 전에 보다 더 큰 지연을 수행하는 목적지 기지국(D)으로부터의 보다 원거리임) 다른 기지국도 확인 신호를 수신할 것이고, 따라서 질문 신호 긍정응답 동작이 방해되어, 콜 동작 채널에서의 불필요한 정체가 방지된다.
루틴 동작 알고리즘은 모든 가능한 루틴을 찾을수 없을 것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콜이 불필요하게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를 참고로, 콜을 중계하는데 활용되는 기지국이 없는 장소인 산 또는 일반 지역과 같은 방해물(26)이 있기 때문에, 콜은 기지국(21)에서 차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향상시키는 한 방식으로는 경미하게 알고리즘을 개괄적으로 루틴 동작시키는 것이 있다. 각각의 단계에서 콜을 중계하기 위해서 목적지에 최근접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 대신에, 다음 지연 기지국을 목적지로의 루틴 완성 가능성이 최대이도록 각각의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임의적인 기지국으로부터의 루틴 완성 가능성은 루틴이 차단되는 임의적인 긍장응답 부재에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역으로 변경된다. 그런데, 루틴이 도 4 에 기지국(21)에서 차단되어 적절한 구역에서 활용가능한 기지국이 오리지날 알고리즘에 따른 지연으로서의 동작이 없도록 정해져 있으면, 다음에 변경 알고리즘이 사용되어, 기지국(20)으로의 일 단계를 백트랙하고 기지국(21)이 차단되는 지식으로 분포성을 변경한다. 이러한 사실은 선택받기가 어려운 기지국(21)에 근접한 기지국 또는 기지국(21)에서 발생되어, 따라서 방해물(26)을 바이패스하는 목적지로의 루틴을 수행하는데 콜 중계를 더 멀리 있는 기지국(25)이 선택될 수 있게 한다.
만일 기지국(21)의 구역이, 백트랙킹을 확인하는 기지국(21)으로부터의 신호를 더 멀리 있는 기지국이 도청할 수 있는 경우로서, 콜 중계 작업에 잠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더 멀리 있는 기지국(25)으로 알고 있으면, 임의적인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적어도 그에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루틴 동작 완성가능성은 이러한 기초에서 기지국 각각에 의해서 연산되고, 따라서 적절한 지연이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루틴 동작이 수행되도록 이전 기지국으로부터의 질문 신호에 응답을 위해 결정된다.
콜 인터롭
기지국이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과 콜 중계를 하면, 기지국의 양쪽 트랜시버가 사용되고, 따라서 특정한 콜 인터롭 설비가 신규 콜이 가능하도록 현재 콜의 재 루틴 동작을 허용하도록 활용되지 않는 그러한 중계동작 동안에 신규 콜(상기 기지국에서 마감되는 것)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상기 기지국이 활용될 수 없는 것이다.
도 5 는 두 개의 다른 기지국간의 콜을 중계하는 기지국의 콜 채널(29)과 두 개 트래픽 채널(27, 28)으로 전달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상적인 전화통화 도중에, 완전 2중 통신 전송로가 두 개 전화기 사이에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한 개 파티 만이 그 시간에 통화되며 그리고 여기에는 예를 들어 단어와 음절 사이 동안에 예견 가능한 전송 시간의 단편을 위해 양쪽 방향으로 침묵 시간이 있다. 상기 침묵 지속에 대한 정보는 일단 보류하고, 침묵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성은 없다. 상술된 시스템에서, 스피치 정보는 두 개 방향으로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약 4ms 의 픽킷으로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10ms 프레임으로 분리된다.
기지국이 콜 중계를 하고 있으면(또는 동시적으로 두 개 콜을 마감하면), 두 개 트랜시버가 사용되어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른 두 개 기지국과 통신을 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로서, 양쪽 트랜시버의 트랜스미터가 동시적으로 전송하도록 동기 되어서, 스피치 정보는 제 1 트래픽 채널에 어느 한 기지국으로의 일 방향으로 전송되어, 스피치 정보가 제 2 트래픽 채널에 다른 기지국으로의 반대 방향으로 전송된다. 연속적인 전송 기간(31) 사이에 중간 기간(30)에서 정보를 수신하는데 두 개의 트랜시버가 활용가능하며, 가드 인터벌(32)이 상기 기간의 중첩을 방지하도록 전송과 수신기간 사이에 제공된다. 만일 양쪽 트랜시버가 수신 기간 동안에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신호를 수신하게 점유되어 있으면, 중계 기지국이 콜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런데, 각각의 기간(30) 동안에 각각의 트랜시버는 시간의 한 부분(33) 만의 스피치 정보를 실질적으로 수신하며, 여기에는 침묵 기간이 있다. 이러한 침묵 기간에서는, 신규 콜을 수용하도록 현재 콜의 중계를 상기 기지국이 차단하도록 리시버가 콜을 원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표시동작을 짧은 영(零) 스피치 팩킷(short null speech packets)이 수용할 것이다. 이전 중계 콜의 재 루틴 동작은 콜 전송에서 현저한 갭이 없도록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차단될 수 있는 중계 콜에 의한 가능한 한 방법은 콜 채널에 차단 인터롭 패킷(34)을 전송하는 다른 기지국에 의해 호출되는 콜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기지국을 도시한 도 6을 참고로 기술한다. 스피치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에 기간(33)과 전송 기간(31) 동안에는 어느 트랜시버도 인터롭 패킷(34)을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그런데, 침묵 기간을 나타내는 트래픽 채널에 영 스피치 패킷(35)의 수용은 콜 채널에 정보를 수용하도록 트랜시버의 절환을 빠르게 하고 따라서 콜 채널에 인터롭 패킷(34)의 존재가 검출되어 콜 채널에 긍정응답 신호(36)의 전송에 의해 긍정응답을 주게 된다. 임의 기지국으로의 콜이 기지국에 의해 중계되는 현재 콜 보다 우선권이 있으면, 긍정응답 신호(36)는 콜 기지국에 전화기에 벨을 울리게 하여 후크가 제거되는 전화기에 의해 콜이 취해지면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는 호출자가 개시하는 스피치 전송이 되게 한다. 이러한 사실이 현재 중계 링크가 파괴되게 하고 그리고 현재 콜의 선택적인 루틴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만일 콜이 다른 기지국으로 되도록 전화기의 후크가 제거되면, 중계 콜이 유사하게 차단되게 된다. 상기 방법에 존재 콜의 전송에서의 단락이 연속적이지 않더라도, 현재 콜은 파괴될 수가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콜을 현재 중계하는 기지국으로의 신규 콜의 루틴 동작은 피널터머트 기지국(penultimate station)에 도달할 때 까지 전술된 루틴 알고리즘에 따라 진행된다. 다른 기지국과 같이, 피널터머트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시호를 픽업하고 기지국의 지형학적 거리로 결정되는 보장할 수 있는 무선 범위 내에 있는 기지국을 지시하는 이웃 테이블을 합병하고, 피널터머트 기지국의 이웃 리스트는 목적지 기지국을 포함하게 된다. 피널터머트 기지국은 콜 채널에서 반복적인 콜 동작에 의해 목적지 기지국에 도달시키는 시도를 하고 그리고 만일 콜이 목적지 기지국에 의해 수용되면 긍정응답 신호가 목적지 기지국에서 벨을 울리기 시작함을 지시하고 복귀된다. 다르게는, 신호가 그 결합을 나타내는 목적지 기지국으로부터 복귀된다.
이러한 방법은 필요한 주파수 변경동작 제공에 따른 증가된 회로 복잡성을 초래하는 채널의 매우 빠른 절환의 어려움이 있고 복조기 레벨의 설정시간으로 인한 어려움과 마주칠 수 있는 것이다.
도 7 은 현재 콜 용의 루틴이 확립되면 기지국 사이에 보내지는 채널 배당 신호의 기록 테이블에 의한 기지국에 의해 위에 유지되도록 기준되는 이웃 테이블을 대체하여 절환되는 급속 채널의 필요성을 극복한 다른 인터롭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트래픽 채널에 콜을 중계하는 목적지 기지국으로의 콜의 루틴 동작에서는, 피널터머트 기지국이 청취 기지국(heard stations)의 트랜시버가 배당되어진 채널의 주파수와 다른 기지국의 청취 기록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기록은 그 주파수 설정 명령이 기지국에 의해 도청되면 유입되고 이어서 채널 패일에 대응 기지국 호출 시도시에 삭제되거나 또는 대응 기지국은 콜 채널에 다른 기지국을 호출하는 것이 청취된다. 다음에, 피널터머트 기지국은 앞서 기록된 채널 배치 정보에 따라서 목적지 기지국의 각각의 채널을 반복적으로 호출하여 목적지 기지국에 도달시키려고 시도한다. 스피치 정보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콜 채널을 사용하는 동안에, 콜 신호의 수용은 CSMA 프로토콜에 따라 차단된다. 그런데, 콜 채널에 침묵 기간을 나타내는 영(零) 스피치 픽킷(35)의 수용시에, 채널은 콜 기지국으로부터 인터롭 패킷(37)을 수용하는데 활용되고, 다음에 콜 기지국에 소리 울림을 개시하여 상술된 방식으로 콜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콜 채널에 긍정응답 신호(38)의 전송을 허용한다. 상기 방법에서의 피널터머트 채널에 주파수 설정 시간 요구는 명령되지 않는다. 그런데 아직은 현재 중계 콜이 단속되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상술된 인터롭 방법의 변경은, 인터롭 동안에 단속되어 있는 현존 중계 콜의 가능성을 대체로 제거한 도 8을 참고로 이하에 기술한다. 도 8 은 피널터머트 기지국(1)을 구비하는 중계 기지국을 경유하여 기지국(41)으로부터 신규 콜이 방향지는 기지국(R)을 구비하는 다른 다수의 기지국에 의해 중계되는 목적지 기지국(D)으로 소스 기지국(S)으로부터의 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전송에서의 갭 또는 앞서 지시된 침묵 기간은 터미널 기지국에 의해 인식되고 그리고 일반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정상적인 스피치 팩킷 보다 짧은 특정한 영 스피치 패킷이 전송된다. 정상적인 수용 기지국이 타임 슬롯의 빈 잔류부 사이에 인터롭을 청취하는 것을 주로 하는 것과 같이, 영 스피치 픽킷은 도청 기지국이 기지국의 영 스피치 팩킷 전송 확인과 그리고 영 스피치 팩킷을 싱크로나이즈할 수 있는 정보를 함유하고 있다. 피널터머트 기지국(1)이 기지국(R)으로부터의 신호 청취만을 확실하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 기지국(R)에 인접한 기지국(A) 또는 기지국(B)으로부터는 필요성이 없음으로, 기지국(1)에서의 인터롭 팩킷의 타이밍이 기지국(R)에서의 신호에 의해서만 정해질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사실을 달성하는 양호한 방법은 기지국(R)에서의 영 스피치 팩킷을 사용하여 기지국(1)을 싱크로나이즈 하지만, 기지국(R)이 영 스피치 팩킷 전송을 정지할 때까지 기지국(1)은 인터롭 팩킷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일 단부에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가 스피킹을 멈추는 것과 유사하게 만드는 스피킹이 시작됨을 의미한다. 기지국(1)은 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 시도를 할 것이다. 만일 기지국(A)에서의 영 파열이 청취되면, 이러한 문제는 제기되지 않고 인터롭 팩킷이 즉시 전송된다.
콜 요구가 피널터머트 기지국(1)으로부터 기지국(R)에 의해 수신되면 또는 기지국(R)의 전화가 후크를 제거하여 콜을 개시하면, 메시지는 콜 의 재 루틴 동작을 지시하는 목적지 기지국(D)과 소스 기지국(S) 사이에 콜 루틴에 인접 기지국(A)을 지나간다. 이러한 사실은 기지국(A)의 트랜시버의 하나가 콜 용으로 선택적인 루틴을 설정 목적으로 CQL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기지국(R)으로의 전송이 일시적으로 차단되게 한다. 다음에, 포텐셜 대체 중계 기지국과의 부가적인 통신이 정상적인 경우에서의 콜 채널에서 보다 양호한 트래픽 채널에서 발생되어야만 되도록, 기지국(A)의 트랜시버가 CQL 메시지를 보낸 후에 트래픽 채널에 기지국(R)으로 전송하도록 복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지국(A)이 상술된 정상적인 루틴 동작 과정을 사용하는 포텐셜 대체 중계 기지국으로부터의 응신을 기다린다. 다음에, 양쪽 트랜시버가 목적지 기지국(D)에서 사용되면 접속이 목적지 기지국(D) 또는 피널터머트 기지국(45)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루틴 동작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지속된다. 상기 접속이 되어진 기지국(R)에 의해 확인이 수신되어 야만, 차단되는 기지국(R)을 경유하여 콜을 중계하고 수행되는 기지국(R)에서 링 동작을 개시한다.(또는 기지국(R)에서 되어지는 콜이 있으면 콜 루틴 동작이 시작된다.)
이러한 방법이 현존 중계 콜의 손실을 방지하는 반면에, 상기 방법은 만일 이들이 현존 콜 용 중계기로서 동작할 수 있는 기지국에만 있으면 콜을 수용하는데 상기 기지국이 활용가능하지 않는 콜을 실 중계하는 동일한 기지국의 콜로 되는 능력에 미세한 역효과를 준다. 이러한 방법으로, 현존 중계 콜은 시간이 더해지는 주파수 설정 시간의 두배와 동일한 한 방향으로의 전송 단속을 허용하여 CQL 메시지를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아직은 상술된 다른 방법에서의 콜 인터롭에 의해 제공되는 전송 단속보다는 적다.
이동 기지국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이동 전송 및 수신 기지국에서, 각각의 이동 기지국은 정상적 고정 전송 및 수신 기지국이 배치된 홈 베이스 노드와 상관되어 있다. 이동 기지국에서의 절환이 매 10분 당 일정 간격으로 홈 기지국으로 등록 팩킷을 전송하면, 등록 팩킷은 필요한 장소에 네트워크 내의 정상적 고정 기지국을 통해서 중계된다. 다른 기지국에 의한 중계시에 전송 등록 팩킷은 상기 중계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제 1 기지국과 동일한 정보를 함유하고, 따라서 이동 기지국의 적절한 구역 즉 제 1 중계 기지국의 범위 내에 구역을 홈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이동 기지국 구역의 등록은 홈 기지국에 의한 등록 신호를 수용하여 일정한 기초에서 갱신된다.
이동 기지국에 대한 모든 콜 요구는, 필요한 장소에 제 1 중계 기지국(등록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기지국에 근접됨)과 다른 기지국을 사용하는 정상적 팩킷 무선 모드에 이동 기지국에 상기 콜 요구를 중계하는 홈 기지국으로 초기에 향하여, 이동 기지국에 콜 요구를 중계한다. 이동 기지국에 의한 상기 방식으로 중계되는 콜 요구의 접수는 이동 기지국에서의 소리 발생을 초래하고, 이동 기지국에 핸드세트가 콜을 받아 후크를 풀면, 콜 기지국으로 돌아오는 콜의 루틴 동작이 상술된 루틴 알고리즘에 따라서 수행된다. 만일 콜 동작 기지국이 홈 기지국 보다 이동 기지국에 근접해 있으면, 상기 루틴 동작은 자주 홈 기지국을 경유하여 중계되지 않는 콜이게 한다.
콜을 접수하는 전화기 후크 풀림을 취한 응답인 상기 루틴 동작은 전체적으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양호한 잇점이 있으며, 만일 콜 루틴 동작이 콜 개시가 되는 시간에 콜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도록 기지국에 용량성이 확보되게 개시되면, 네트워크의 불필요한 밀집이 상기 기지국 사용용으로 확보되어 발생되고 반면에 콜 기지국에 전화기는 링 동작을 하고 비응답 잔류부가 있게된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송신/수신 교환동작
상술된 시스템에서 각각의 트랜시버는 동일 주파수를 송신 및 수신하고, 따라서 신호 접수의 방해 없이 트랜시버에 의한 수신이 보장되도록 대량으로 전송 신호를 기본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트랜스미터 출력은 무선 전송로 손실 보다 많게 즉 140dB 정도로 희박해져야 한다. 전송으로부터 수신 모드로의 절환이 빨라야만 되는 장소 즉, 밀리세컨드 보다 현저하게 작은 장소에서는 프레스 대 토크 트랜시버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주파수 상승 또는 오실레이터 온 또는 오프 전환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곤란하기는 하다. 따라서 트랜시버에 송신과 수신 모드간이 절환용으로 사용되는 절환 회로에 엄격한 요구를 주문한다.
따라서, 도 9 의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FM트랜스미터인 경우에서 자체 캐리어 주파수 신호 또는 전송 캐리어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도록 혼합되는 주파수 신호는 디지털 쌍안정 회로(플립 플롭)를 포함하는 주파수 디바이더(50)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디지털 쌍안정 회로는 로직 게이트를 순간적으로 사용하여 오프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전송 모드에서, 주파수 소스(51)로 부터의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 디바이더(50)에 의해 두 개로 분리되고, 변조기(52)에 공급되며, 전송용 기초역 신호가 안테나(55)와 송신/수신 스위치(54)를 경유하는 전송과 증폭기(53)에 의한 증폭용 변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주파수 디바이더(50)에 의해 캐리어 신호 출력을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트랜시버가 수신 모드에 사용되면, 송신/수신 스위치(54)가 적절한 콘트롤 신호를 적용하여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위치로 절환되고, 동시에 콘트롤 신호가 전송 캐리어 주파수 신호를 차단하도록 주파수 디바이더(50) 내에 로직 게이트에 접속된 차단 출력부에 적용된다. 캐리어 주파수가 회로에 입력 신호를 주지 않고, 플립 플롭의 비선형 쌍안정성 동작으로만 발생한다는 사실은, 캐리어 신호가 이러한 동작으로 완전하게 오프로 절환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아직은 어느 정도의 노이즈 신호를 증폭해야하는 송신 증폭기(53)의 오프 절환 필요성을 제거하지 않았지만, 증폭기(53)의 오프 전환 요구는 상기 경우에 비해서 현격하게 감소되었다. 동일 주파수를 수신하는 신호는 수신 증폭기(56)에 스위치(54)를 경유하여 공급되어 트랜시버의 수신 구역에 주어진다.
트랜스미터 변조 램핑
정보가 쇼트 바스트(short bursts)로 상기 시스템에 전송됨으로, 측정은 각각의 바스트의 개시부에 트랜션트 엔벨로프 변경이 인접 채널의 사용자에게 방해를 초래하는 스펙트럼 확산 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취해져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시스템은 최적한 밴드 폭 효율을 제공하도록 캐리어 주파수의 선형 변조를 사용하고, 스펙트럼 확산 동작이 최소화되도록 전송 바스트의 개시부와 마감부에서 매우 짧은 램프 업 및 다운 시간으로 램핑 업 및 다운을 제공한다.
보다 안정된 일정한 엔벨로프 구성과는 반대로, 공지된 선형 변조 시스템은 직교 변조부(각각의 심볼 파형이 모든 다른 심볼 파형과 무관하게 수신됨)를 구비하여 밴드폭 효율의 이론적 한계에 접근한다. 그런데, 상기 시스템용으로 형성되는 주파수 변조형 엔벨로프의 사용은 선형 변조 바스트 모드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을 일으키도록 요구를 받았다. 램핑 업 및 다운과 상관된 선형 변조 신호의 전체 증폭 변조가 어느 정도의 스펙트럼 확산동작을 필요에 의해 발생되도록 나타나는 반면에, 상기 공지된 시스템은 일정한 엔벨로프 계획을 취해야만 하는 어프로치에 상당히 중후하게 기울어지는 문제에 대한 오교정 어프로치를 활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변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스펙트럼형 확산 동작 등이 없는 매우 짧은 램프 업 및 다운 타임을 초래하는 어프로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램핑 업 및 다운이 선형적으로 변조되는 신호의 전체 증폭 변조로 수행되는 공지된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본원의 시스템은 데이터의 각 심볼이 한정된 기간의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부분을 갖는 개별성 심볼 파형을 전송하도록 발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디지털 심볼 시켄스(1101)를 나타내는 도 10a 에 도시된 파형(61, 62, 63, 64)과 같은, 시간이 겹쳐진 일련의 심볼 파형은, 제한 기간의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부분(65, 66)을 가진 합성된 파형(60)을 생산하도록 도 10 에 도시된 횡단 필터(70) 내에서 합성된다. 개별성 심볼 파형을 갖는 데이터 시켄스를 나타내는 임펄스의 스트림 회선에 의해 발생된 합성된 파형은, 안티 필터(anti-aliasing filter)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실 시간으로 연산되거나 또는 예비 연산되어 저장된 파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횡단 필터(70)의 출력이 주파수(fc)의 캐리어 신호를 변조하도록 공급되어 전송용 요구 선형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심볼 파형은, 근사치가 각각의 파형을 절두시켜 만들어져 제한된 기간의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부분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론적인 무한 기간이다. 그런데,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부분과 상관된 파워는 약간의 심볼 기간 만의 절두 길이를 갖는 상당히 작게 만들어지고, 절두부는 파형이 대칭적이므로 인과 관계를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이다.
비교정된 데이터 시켄스로부터 초래되는 신호의 파워 스펙트럼은 개별성 심볼 펄스의 에너지 스펙트럼과 동일한 것이다. 데이터 시켄스의 비교정은 임의적인 주파수에서 어느 정도의 감쇠를 일으키지만,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동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만일 각각의 전송 바스트가 심볼 파형을 갖는 유한 길이 데이터 시켄스를 얽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발생되면, 바스트의 스펙트럼은 연속성 신호로서 동일한 스펙트럼을 가지게 된다. 심볼 파형의 길이가 파워를 제 1 동작 심볼 순간(펄스의 센터) 전에 약간의 펄스용으로 전송되게 하더라도, 이것은 필요한 램핑이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종래의 계획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매우 적은 두 개 또는 세 개 심볼의 앞에 것만을 요구한다.
수신기 동기
모든 디지털 수신기의 성능은 필터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의 타이밍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록 신호의 동기에 절대적으로 좌우된다. 클록 신호를 콘트롤하는 종래 기술은 상(phase) 록크 루프 회로를 사용하는 로칼 타이밍 오실레이터를 동기 시키는데 수신된 파형의 제로 크로싱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밴드 폭은 상 록크 루프가 록크를 획득할 수 있는 속도와 제로 크로싱의 랜덤 타이밍 변화를 완만하게 하는 것과의 절충물이다. 랜덤 타이밍 변화는 노이즈 효과에 의해서만이 아니고 제로 크로싱이 전송되는 데이터 시켄스에 따른 시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따라서 성능은 노이즈가 부재된 시스템에서도 제한 받게된다.
전송 신호의 직교 변조는, 필터링 후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심볼 파형이, 각각의 심볼 파형이 샘플링 포인트의 일정한 시켄스에 오직 한 샘플링 포인트에 신호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볼 파형이 겹치더라도, 거의 한 개의 심볼 파형은 각각의 샘플링 포인트에서 제로가 된다. 이러한 것의 진실된 변조 포맷의 예로는 QAM, QPSK, pi4 DQPSK 가 있다. FM 또는 PM 에 걸쳐 보내지는 베이스밴드 필터 신호도 포함된다.
리미터 판별장치 집적 기술이 QAM변조에 사용되는 임의 형태의 직교PSK 신호 또는 교정 증폭 스케일링(AGC) 신호를 접수하는데 사용된다면, 노이즈 부재에 신호(x)는 유한 설정값(1, 1), (1, 0), (0, 1) 및 (0, 0)사이에서 선택되는 각각의 샘플링 포인트에 값(x0, x1)을 가지고, 특정값(x0, x1)은 수신된 심볼을 결정한다. 두 개 샘플링 포인트 사이에 값(x)에 변화를 나타내는 시간(tc)에 대한 신호(x)의 그래프인 도 11을 보면, 신호(x)는 실질 샘플링 시간(tc)이 량(dt)에의해 교정 샘플링 시간(tc)에 대한 에러인 경우에 량(dv)에 의한 에러를 나타내는 것이다. 만일 에러(v)와 그 시간 도함수(dv/dt)(신호의 시간 도함수 dx/dt 와 동일함)가 측정되면, 타이밍 에러는 dv(dv/dt) 로 평가되고, 그 량은 타이밍 클록 신호의 상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노이즈 평형이 있는 경우에, 에러는 만일 dv/dt 가 작으면 발생한다. 따라서, dv/dt 요소에 의한 조정량을 양호하게 비교하며, 신호의 기울기 크기는 조정량 k.dv/sgn(dv/dt)으로 발생되고, 여기서 k 는 경사가 작을수록 더 크게되는 중량 요소이고, sgn(dv/dt)는 dv/dt의 사인을 나타내고, 따라서 조정 량도 k.dv.sgn(dv/dt)로서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상 조정에 기본하는 클록 신호의 타이밍은, 조정이 부가적인 노이즈에 의해 강하되더라도 수신 신호에 데이터 시켄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타이밍 지터(jitter)를 발생하는 주요이유가 소거되었음으로, 종래 제로 크로싱 기술보다 우수한 기술이 된다.
도 12 는 샘플링 타이밍을 콘트롤하기 위해 상 조정을 활용하는 pi/4 DQPSK 수신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x)는, 안테나(80), 로칼 오실레이터에 제공된 변환 회로(81), 리미터(83), 판별장치(84) 및 심볼 집적기(85)로 구성된 수신 섹션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이다. 신호(x)는 비교기(88)에 따르는 미분기(87)와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86) 모두에 제공된다. 컨버터(86)의 출력은 디지털 워드이고, 수신된 심볼 값을 대표하는 대부분의 유효한 비트(x0, x1)는 교정되어 수신 데이터(x0, x1)로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스케일링을 제공하고, 컨버터(86) 출력의 최소한의 유효 비트는 에러량(dv)의 2여수(餘數)를 구성한다. 미분기(87)의 출력은 신호의 시간 도함수(dx/dt)와 동일한 신호 에러의 시간 도함수(dx/dt)이고, 비교기(88)의 출력은 디지털 신호를 나타내는 sgn(dv/dt)이다. sgn(dv/dt)에 의한 신호 에러(dv)의 곱셈 과정은, 만일 dv/dt 가 음값이면 dv 의 2여수를 취하도록 대응한다. 따라서 sgn(dv/dt)에 의한 dv의 곱셈은 일 세트의 전용 OR게이트(89)에 비교기의 출력과 컨버터(86)의 출력의 최소 유효 비트를 공급하여 근사하게 되어, 2여수(최소 유효 비트에 에러 만을 가짐)에 근사한 dv의 1여수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게이트(89)의 출력은 오실레이트(91)에 의해 제공되는 고 주파수 기준으로부터 아래로 계수하여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86)에 클록 신호를 차례로 공급하는 액정 주파수 기준 오실레이터(91)가 설치된 카운터(90)에 공급된다. 카운터는 클록 신호를 콘트롤하는 컨버터(86)로부터의 최소 유효 비트 출력의 대부분의 유효 비트와 상관되는 게이트(89)로부터의 출력을 수용하는 인버터(92)에 의해 주어지는 리셋 신호를 적용하여 리셋 된다.
신호(x)에 이득 및 옵셋 에러도 멀티레벨 QAM 스케임용과 같은 pi/4 DQPSK 의 리미터 판별장치 수용부를 사용할 시에 문제를 발생하는 주요한 것일수 있으며, 리시버 회로의 부가적인 파트가 상기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옵셋 에러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86) 출력의 최소 유효 비트 즉, 데이터와는 다른 비트에 의해서 근사하게 되어서, 옵셋 에러 보정이 옵셋 레벨을 순환적으로 조정하는데 상기 비트를 사용하여 획득되어 진다. 이러한 사실은 신호(x)의 옵셋을 콘트롤하는 전위차계(95)와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94)에 생성 신호를 공급하고 그리고 옵셋 추정치가 하이 이면 카운트 다운이고 옵셋 추정치가 로우 이면 카운트 업 하는 어큐뮤레이터 또는 업/다운 카운터(93)에 최소 유효 비트를 공급하여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교하게 된 시스템은 에러 비트 모드를 사용하여 에러에 대한 양의 비율로 옵셋을 조절한다.
이득 에러는 의문의 심볼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분리되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86)의 출력부의 최소 유효 비트로 주어진 에러에 의해 근사될 것이라는 사실과, 심볼 전압의 사인 만이 사용되면 성능은 매우 작은 차가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사용하여, 이득 보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근사도는 용이하게 심볼의 사인에 의한 분리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유효 비트를 갖는 일 세트의 독점적인 OR게이트(96)를 통해 컨버터(86) 출력의 대부분의 유효 비트를 지나쳐 달성될 수 있게 수행된다. 게이트(96)의 출력 v.sgnx = v.x0은 전위차계(98)에 접속된 어큐뮤레이터 또는 업/다운 카운터(97)에 공급되어 필요한 이득 에러 보상을 이루게 한다. 그런데 만일 허용 가능한 매개변수의 범위가 지나치게 넓으면 시스템은 폴스 영 포인트(false null point)에 적합하다는 사실로 허용 가능한 오차로 만들어진다.
동일한 원리로 예를 들면 샘플링 시간에 에러 최소화는, 디지털 신호 처리 차동 복조기의 출력이 극좌표 보다 나은 데카르트 좌표에서 있어서 일부 근사값의 형태는 불필요한 길이 연산을 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상이점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에 기초한 복조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일정한 규모의 조정이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근사치에서도 실질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되어지는 것이 발견되어진다.

Claims (11)

  1. 기지국은 콜이 콜 중계목적으로 전송되는 원거리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콜 루틴동작 콘트롤 수단과 함께 하고, 필요한 장소에 콜을 중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지국을 활용하는 네트워크에 기지국 간에 콜 루틴용으로 기지국 자체 내에 절환 회로가 제공되고 그리고 랜덤하게 분포된 구역에 다수의 기지국이 제공되어 있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용 송신 및 수신 기지국은:
    (a)전송 기지국의 범위 내에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도록 질문 신호를 전송하는 질문 수단과;
    (b)콜이 의도하는 목적지로 향하는 중계를 위해 기지국의 적합성을 지시하는 지연 후에 전송되는 긍정응답 신호로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질문 신호에 응답하는 콜을 기지국이 중계할 수 있을 때 긍정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긍정응답 수단; 및
    (c)최소 지연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긍정응답 신호의 수용에 기초하여 콜을 중계하기 위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 로케이션 수단은 네트워크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지국의 거리를 나타내도록 제공되고, 지연 수단은 콜의 의도된 목적지가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지국의, 기지국 로케이션 수단으로 정해지는, 거리에 따른 량으로 긍정응답 신호의 전송을 지연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 2 항에 있어서, 방해물 로케이션 수단은 콜을 중계하기 위해 다르게 활용가능한 기지국에서 차단되는 가능한 콜 루틴을 나타내도록 제공되고, 데이터로부터 콜을 중계하기 위해 적절한 기지국을 결정하는 적합판정 수단은 기지국 로케이션 수단과 방해물 로케이션 수단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적합성에 따른 지연 수단에 의해 적용되는 지연량 결정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기지국은 네트워크에 원거리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신규 콜을 수신할 목적의 기지국에 의해 중계되는 현존 콜을 인터롭하도록 동작하는 콜 인터롭 수단과 함께 하고, 필요한 장소에 콜을 중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지국을 활용하는 네트워크에 기지국 간에 콜 루틴용으로 기지국 자체 내에 절환 회로가 제공되고 그리고 랜덤하게 분포된 구역에 다수의 기지국이 제공되어 있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용 송신 및 수신 기지국은:
    (a)현존 콜 내에 스피치 또는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사이에 시간 간격 도중에, 원거리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지국으로의 콜 요청을 나타내는 인터롭 신호를 수신하는 콜 모니터링 수단과;
    (b)원거리 기지국으로부터 신규 콜을 수용하는 인터롭 신호에 응답하는 기지국에 의해 현존 콜의 중계 동작을 인터롭하는 콜 수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제 4 항에 있어서, 콜 인터롭 수단은, 인터롭 신호의 수용에 응답하여 현존 콜을 중계하는 택일적인 루틴을 선택하고 그리고 활용가능하게 있는 택일적인 루틴인 경우에서 원거리 기지국으로부터 신규 콜이 수용되도록 현존 콜을 재 루틴하는 재 루틴 동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콜 인터롭 수단은 현존 콜 내에 전송되는 스피치 또는 데이터 신호에 갭을 나타내는 공 팩킷을 전송하는 공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콜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공 팩킷 전송 중에 인터롭 신호를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콜 모니터링 수단은 공 팩킷의 시켄스의 전송이 멈추어 져 있을때만 상기 인터롭 신호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베이스 기지국은 등록 신호를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제 1 고정 기지국의 구역으로부터 이동 기지국의 근사 위치의 지시를 수용하고;
    베이스 기지국을 경유하여 중계되고 등록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이동 기지국의 근사위치에 기초한 베이스 기지국에 의해 이동 기지국 쪽으로 루틴되는 네트워크에 원거리 기지국으로 콜을 수용하고, 그리고 콜 접수에 따르는 원거리 기지국으로 복귀하는 콜의 루틴 동작을 개시하는 콜 수용 수단으로서;
    필요한 장소에 등록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다른 고정 기지국을 활용하는 이동 기지국과 상관된 이동성 송신 및 수신 기지국.
  9. 동일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시그널 수단과, 시그널 수단을 경유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시그널 수단을 경유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콘트롤 신호에 대한 수신 수단과 송신 수단과의 사이에 시그널 신호를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용 송신 및 수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주파수 신호를 공급하는 주파수 소스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분할에 의해 신호 전송을 위한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는 쌍안정 회로 수단과, 콘트롤 신호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를 차단하는 쌍안정 회로 수단을 오프로 전환하는 차단 수단이 합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용 송신 및 수신 기지국.
  10. 제한 기간의 심볼 파형이 송신되도록 디지털 데이터의 각 심볼용으로 발생되는 심볼 파형 발생수단과,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심볼 시켄스를 나타내는 합성 파형이 발생되도록 이전 파형과 중첩되고 이전 파형에 대해 각각의 파형이 지연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련의 심볼 파형을 합성하는 파형 회선 수단과, 스펙트럼형 확산동작의 발생이 없지만 분리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파형의 사용이 없는 쇼트 바스트에 전송용 변조 신호를 제공하도록 합성된 파형을 가진 캐리어 파형을 선형적으로 변조하는 신호 변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바스트에 디지털 변조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트랜스미터.
  11. 디지털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 내에 심볼을 가리키는 심볼 신호를 생성하는 수용 수단과, 에러 출력 신호와 전송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된 데이터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클록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샘플링 포인트에 심볼 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수단과, 에러 출력 신호가 최소화 되도록 클록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샘플링 수단에 의한 심볼 신호의 샘플링을 동기 하는 샘플링 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신호를 디지털 수신하는 디지털 리시버.
KR1019980702357A 1995-09-30 1996-09-27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KR19990063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20010.1 1995-09-30
GBGB9520010.1A GB9520010D0 (en) 1995-09-30 1995-09-30 Distributed circuit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PCT/GB1996/002380 WO1997013333A2 (en) 1995-09-30 1996-09-27 Distributed circuit switched radio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85A true KR19990063885A (ko) 1999-07-26

Family

ID=1078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57A KR19990063885A (ko) 1995-09-30 1996-09-27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010012776A1 (ko)
EP (2) EP0853845B1 (ko)
JP (1) JPH11513546A (ko)
KR (1) KR19990063885A (ko)
CN (1) CN1202284A (ko)
AP (1) AP9801211A0 (ko)
AT (1) ATE199467T1 (ko)
AU (1) AU7137096A (ko)
BR (1) BR9611337A (ko)
CA (1) CA2232634A1 (ko)
CZ (1) CZ90498A3 (ko)
DE (1) DE69611928D1 (ko)
EA (1) EA000791B1 (ko)
EE (1) EE9800095A (ko)
GB (2) GB9520010D0 (ko)
GE (1) GEP20012352B (ko)
OA (1) OA10790A (ko)
PL (1) PL181926B1 (ko)
WO (1) WO1997013333A2 (ko)
ZA (1) ZA968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354A (ja) * 1998-02-25 1999-09-07 Omron Corp 通信経路の決定方法および無線データ通信装置
SE9903082L (sv) * 1999-08-31 2001-03-01 Ericsson Telefon Ab L M Sätt och anordningar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SE522377C2 (sv) * 2000-03-31 2004-02-03 Kvaser Consultant Ab Anordning för att överföra data- och styrkommandon via radioförbindelser i distribuerat styrsystem för en eller flera maskiner och/eller processer
US6950413B1 (en) * 2000-07-20 2005-09-27 Jenn-Chorng Liou Mutually-assisted proximity informer system and method with wireless devices
DE60110088T2 (de) * 2000-07-31 2006-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ommunikationsstation und datenträger mit verbessertem quittierungsprotokoll
GB2369532A (en) 2000-11-28 2002-05-29 Stephen Anthony Gerar Chandler Routing algorithm for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6785513B1 (en) * 2001-04-05 2004-08-31 Cowav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clustered wireless networks
GB2387083B (en) * 2001-06-25 2003-12-10 Empower Interactive Group Lt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DE10157573B4 (de) * 2001-11-23 2004-05-06 Siemens Ag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TW200303690A (en) * 2002-02-18 2003-09-01 Empower Interactive Group Ltd Distribute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EP1398910A1 (de) * 2002-09-13 2004-03-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sitionsabhängiges Routing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Mobilstationen über eine oder mehrere zwischengeschaltete Mobilstationen
JP4283587B2 (ja) * 2003-04-22 2009-06-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登録先切替え方法
US7092713B2 (en) * 2003-04-29 2006-08-15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call paths between source wireless computing systems and remote wireless computing systems using intermediary computing systems
GB2405290B (en) * 2003-08-21 2006-04-26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for use therein
FR2863809B1 (fr) * 2003-12-11 2006-03-31 Wavecom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capable de fonctionner selon deux standards de communication
FR2872976B1 (fr) * 2004-07-08 2006-09-22 Alcatel Sa Reseau de communication a relayage de signaux radio par des terminaux relais
US7676195B2 (en) * 2004-09-10 2010-03-09 Nivi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ssages in a mesh network
DE102004055494B4 (de) * 2004-11-17 2007-11-08 Siemens Ag Verfahren zur Weiterleitung eines Rufes in einem der direkt kommuniz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 und Kommunikationskomponente für ein direkt kommunizierendes Kommunikationsnetzwerk
KR100943601B1 (ko) * 2005-12-27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선택 방법 및 시스템
WO2007148016A1 (fr) * 2006-06-20 2007-12-27 France Telecom Procedé de communication, stations éméttrice et réceptrice et programmes d'ordinateur associés
US20090116419A1 (en) * 2007-11-05 2009-05-07 Chia-Chin Chong Method and system of threshold selection for reliable relay stations grouping for downlink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4848A (en) * 1979-08-01 1981-08-18 Frost Edward G Switched network telephone subscriber distribution system
GB2132455A (en) * 1982-12-08 1984-07-04 Racal Res Ltd Communications systems
DE3673642D1 (de) * 1986-04-11 1990-09-27 Ant Nachrichtentech Verfahren zum ermitteln der aufenthaltsfunkzelle einer mobilstation innerhalb eines mobilfunknetzes.
EP1333633B1 (en) * 1993-06-25 2007-0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aveform shaping method and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99467T1 (de) 2001-03-15
EE9800095A (et) 1998-10-15
GEP20012352B (en) 2001-01-25
PL325831A1 (en) 1998-08-03
EP0971514A2 (en) 2000-01-12
WO1997013333A3 (en) 1997-05-01
EP0971514A3 (en) 2000-06-28
MX9802470A (es) 1998-10-31
GB2305823B (en) 2000-06-28
GB9520010D0 (en) 1995-12-06
CN1202284A (zh) 1998-12-16
GB9620140D0 (en) 1996-11-13
US20010012776A1 (en) 2001-08-09
JPH11513546A (ja) 1999-11-16
BR9611337A (pt) 1999-07-27
GB2305823A (en) 1997-04-16
WO1997013333A2 (en) 1997-04-10
EP0853845B1 (en) 2001-02-28
OA10790A (en) 2002-12-24
AU7137096A (en) 1997-04-28
AP9801211A0 (en) 1998-03-31
CA2232634A1 (en) 1997-04-10
CZ90498A3 (cs) 1999-02-17
DE69611928D1 (de) 2001-04-05
ZA968213B (en) 1997-05-13
EA199800237A1 (ru) 1998-10-29
EA000791B1 (ru) 2000-04-24
EP0853845A2 (en) 1998-07-22
PL181926B1 (pl)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85A (ko) 분포회로 절환 통신 네트워크
US5479409A (en) Method of transmitting timing advance data to a mobile station in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and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ransmission system
JP2785789B2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US5943326A (en) Synchroniz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809897B1 (en) Picking up of mobile stations from a direct mode channel
US6011788A (en) S-CDMA fixed wireless loop system employing subscriber unit/radio base unit super-frame alignment
EP0872149B1 (en) Private base stations
AR009490A1 (es) Un metodo para la temporizacion de la transmision de informacion de control por un canal de una estacion base de una disposicion de radiotelefono privada,una estacion base de una disposicion de radiotelefono privada para llevar a la practica dicho metodo, y una disposicion de radiotelefono privada q
US5914961A (en) Fixed wireless loop system having dual direct synthesizer
JP4482258B2 (ja) 音声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同期のためのインバンド信号処理
GB2342547A (e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with minimal spectral spreading and digital receiver therefor
MXPA98002470A (en) Switched radio communications networks distribute
GB2405290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repeater communication unit
JP2603076B2 (ja) 無瞬断チャネル切替移動通信方式
AU687663C (en) Synchroniz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381159A (en) Detecting interference in a downlink communication channel
MXPA99001752A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ssisted handover between a private network and a public mobile network
MXPA950040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 efficiency
KR20000022541A (ko) 통신채널의 설정중 데이터 전송을 선택적으로 억압시키는 cdma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