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699A - 텔레시네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심리스 접속 엔코드방법 및그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시네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심리스 접속 엔코드방법 및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699A
KR19990063699A KR1019980702166A KR19980702166A KR19990063699A KR 19990063699 A KR19990063699 A KR 19990063699A KR 1019980702166 A KR1019980702166 A KR 1019980702166A KR 19980702166 A KR19980702166 A KR 19980702166A KR 19990063699 A KR19990063699 A KR 1999006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ob
data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873B1 (ko
Inventor
가즈히코 나카무라
가즈히로 쓰가
다쿠미 하세베
요시히로 모리
야스히코 야마네
노보루 미즈구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6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Abstract

복수의 부호화 신호를 임의로 접속하여 재생할 경우에도, 부자연함이 없게 재생화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변환부호화장치 및 기록매체(M)를 실현한다.
비디오신호의 복수필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304, 306)과,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314)과, 동일 패리티의 필드끼리를 비교하는 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출력결과로부터 반복된 용장필드를 검출하는 수단과, 용장필드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해당 선택(312)수단을 제어하여 용장필드를 제외한 중간신호(RT8)를 출력하는 제어수단(322)과, 용장필드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용장필드에 관한 플래그를 생성하는 플래그 생성수단(312, 322)을 가지고, 해당 제어수단과 해당 플래그 생성수단의 출력을 소정의 값에 유지하여 용장필드의 제거를 금지하는 수단을 가지며,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을 설치할 때에, 각 기록구간의 선두 및 종단에서 용장필드의 삭제를 금지한다.

Description

텔레시네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심리스 접속 엔코드방법 및 그 장치
근년, 레이저 디스크든지 비디오 CD 등을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동화상, 오디오, 부영상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처리하여, 일련의 관련내용을 가지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오소링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다.
특히, 비디오 CD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약 600M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가지는 원래 디지털오디오의 기록용이던 CD 매체상에, MPEG라고 불리는 고압축율의 동화상 압축수법에 의해, 동화상데이터의 기록을 실현하고 있다. 가라오케를 비롯하여 종래의 레이저디스크의 타이틀이 비디오 CD로 교체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해마다, 각 타이틀의 내용 및 재생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요망은, 보다 복잡 및 고도로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망에 응하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깊은 계층구조를 가지는 비트스트림으로써 각 타이틀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보다 깊은 계층구조를 가지는 비트스트림에 의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종래의 수십배 이상으로 된다. 더욱이, 타이틀의 세부에 대한 내용을, 치밀하게 편집할 필요가 있고, 또한 그것에 비트스트림을 보다 하위의 계층데이터 단위로 데이터처리 및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다계층구조를 가지는 대량의 디지털 비트스트림을 각 계층레벨로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비트스트림구조 및 기록재생을 포함하는 고도한 디지털처리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러한 디지털처리를 하는 장치, 이 장치로 디지털처리된 비트스트림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보존하여, 기록된 정보를 신속히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도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봐, 기록매체에 관하여 말하면 종래 사용하고 있는 광디스크의 기억용량을 높이는 검토가 활발히 실행되고 있다. 광디스크의 기억용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 빔의 스폿지름 D를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레이저의 파장을 λ,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NA로 하면 상기 스폿지름 D는, λ/NA에 비례하여 λ가 작고 NA가 크게 될수록 기억용량을 높이는 데 적합하다.
그런데, NA가 큰렌즈를 이용한 경우, 예컨대 미국특허 5,235,581에 기재와 같이, 틸트라고 불리는 디스크면과 광빔의 광축의 상대적인 경사에 의해 생기는 코마수차가 커져,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명기판의 두께를 엷게할 필요가 있다. 투명기판을 엷게할 경우는 기계적강도가 약해진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에 관해서는 동화상, 오디오, 그래픽스등의 신호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식으로서 종래의 MPEG1보다,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전송이 가능한 MPEG2가 개발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MPEG2로서는, MPEG1과 다소 다른 압축방식 데이터형식이 채용되어 있다. MPEG1와 MPEG2의 내용 및 그 차이에 관하여서는, ISO11172, 및 ISO13818의 MPEG규격서에 상술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MPEG2에 있어서도,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의 구조에 관하여서는, 규정되어 있지만, 시스템스트림의 계층구조 및 하위의 계층레벨의 처리방법을 분명히 하고 있지 않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여러 가지의 요구를 충족시키에 충분한 정보를 가진 대량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할 수가 없었다. 또한, 처리기술이 확립하였다고 해도 대용량의 데이터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기록, 재생에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대용량 기록매체가 없기 때문에, 처리된 데이터를 유효히 반복이용할 수가 없었다. 바꿔 말하면, 타이틀보다 작은 단위로 비트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의 대용량화, 디지털처리의 고속화라고 하는 하드웨어, 및 세련된 데이터구조를 포함하는 고도한 디지털처리방법의 고안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과대한 요구를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도한 요구를 가지는, 타이틀 이하의 단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을 제어하여, 보다 사용자의 요망에 합치한 효과적인 오소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는 타이틀내용을 재생하는 플레이어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접속하여, 재생정보를 유저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틀로서 필름으로 촬영된 영화를 소재로서 이용되는 것이 많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기록 비트스트림을 작성할 때에 편집의 용이도에서 기록신호 작성장치로의 소재의 공급에는 디지털의 VTR이 사용된다. 그 때문에, 필름으로 촬영된 영화소재는, 텔레시네 변환이라고 불리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수법에 의해서 레이트변환을 한 후 기록신호가 작성된다.
텔레시네 변환은 기본적으로는, 주기적으로 동일 패리티의 필드를 카피한 용장(冗長)필드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의 변환이 실현된다. 필름의 프레임 레이트와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와는 간단한 정수비의 관계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처리의 사이에 통상과 다른 변환패턴이 사이에 끼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텔레시네 화상을 압축부호화할 때에,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그대로 압축부호화를 하였다면 카피된 용장필드까지도 부호화하는 것이 되어, 효율이 나쁘게 된다. 따라서, 카피된 용장필드를 검출삭제하는 역 텔레시네 변환한 뒤에 압축부호화를 하여, 각 프레임에 관해서 용장필드를 삭제했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프레임의 2개의 필드의 표시순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여 기록한다.
그러나,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 복수의 타이틀편집 단위의 VOB를, 연속하여 재생하려고할 경우에, 연속재생하는 VOB끼리의 이은 곳에서 톱필드가 연속하여 버린다. 이러한 경우의 MPEG 디코더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보증되어 있지 않고, DVD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필드가 1개 삽입되기도 하거나 삭제되기도 하여 재생화상의 앞뒤가 일치할 것인지, 최악의 경우 무관계한 필드가 삽입되는 것으로 된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음성과의 동기어긋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완전한 심리스의 재생이 실현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VOB끼리를 연속하여 재생하더라도, 하부 필드끼리, 혹 톱필드끼리가 연속하는 일이 없고, 셀의 경계에 있어서도 심리스 재생을 실현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스트림의 생성방법, 기록장치, 재생장치, 및 그와 같은 시스템스트림이 기록되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갖는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H7-252733(1995년 9월 29일 출원)에 따라서 출원되는 것이며, 해당 명세서에 의한 개시 사항은 전부 본 발명의 개시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일련의 관련내용을 가지는 각 타이틀을 구성하는 동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의 정보를 반송하는 비트스트림에 여러 가지 처리를 행하며, 사용자의 요망에 응한 내용을 가지는 타이틀을 구성하도록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그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기록매체에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장치와 기록매체, 및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오소링시스템(authoring system)에 사용된다. 필름으로 촬영된 영화소재를 텔레시네(telecine)변환이라고 불리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변환수법에 의한 레이트변환에 의해서 생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엔코드매체에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오소링 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오소링 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일의 기록면을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단일의 기록면을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단일의 기록면을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기록면(한면 2층형)을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복수의 기록면(양면 1층형)을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DVD기록매체의 평면도.
도 10은 DVD기록매체의 평면도.
도 11은 한면 2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2는 한면 2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3은 양면 1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4는 양면 1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5는 멀티레이티드 타이틀스트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VTS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시스템스트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시스템스트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시스템스트림의 팩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내브팩(NV)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DVD멀티 신의 시나리오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22는 DVD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멀티앵글 제어의 시스템스트림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멀티 신에 대응하는 VOB의 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25는 DVD오소링 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DVD오소링 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VOB세트 데이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VOB데이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DVD멀티 신(multi scene)의 프로그램 체인 구성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31은 DVD멀티 신의 VOB구성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32는 텔레시네 변환과 역 텔레시네 변환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멀티앵글(multi angle)제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엔코드제어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비심리스(非 seamless)전환 멀티앵글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의 공통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심리스(seamless) 전환 멀티앵글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퍼렌탈(parental)제어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역 텔레시네 변환기의 블록도.
도 40은 퍼렌탈 접속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41은 텔레시네 변환과 역 텔레시네 변환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역 텔레시네 변환기의 타이밍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퍼렌탈 접속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44는 텔레시네 변환과 역 텔레시네 변환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45는 역 텔레시네 변환기의 블록도.
도 46은 역 텔레시네 변환기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47은 디코드 시스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디코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디코더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50은 PGC재생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51은 스트림버퍼내의 데이터 디코드처리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52는 각 디코더의 동기처리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53은 단일 신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54는 인터리브 블록 구성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55는 VTS의 VOB블록 구성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56은 연속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7은 인터리브 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특정한 필드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된 비디오신호를, 이 반복된 용장 필드를 제거하여 원래의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에 거의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중간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이 중간신호를 압축부호화하여 기록신호를 얻어, 해당 필드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및 결과적으로 얻어진 각 비디오 프레임의 2개의 필드중 어느 쪽이 시간적으로 선행하고 있는 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동시에,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기록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을 설치할 때에, 각 기록구간의 선두 및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하는 신호변환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오소링시스템의 데이터구조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록장치,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그것들의 기능을 포함하는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 처리의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의 논리구조를 설명한다. 유저가 내용을 인식하여, 이해하고 혹 즐길 수 있는 화상 및 음성정보를 1타이틀로 한다. 이 타이틀이란, 영화로 말하면, 최대로는 한 개의 영화의 완전한 내용을, 그리고 최소로서는 각 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량에 상당한다.
소정수의 타이틀분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가 구성된다. 이후, 간편화를 위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를 VTS라 호칭한다. VTS는, 상술의 각 타이틀의 내용 자체를 나타내는 영상, 오디오등의 재생데이터와, 그것들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소정수의 VTS에서,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의 1비디오 데이터 단위인 비디오존 VZ가 형성된다. 이후, 간편화를 위해 비디오존을 VZ라 호칭한다. 하나의 VZ에, K+1개의 VTS#0∼VTS#K(K는, 0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가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배열된다. 그리고 그 중의 1개, 바람직하게는 선두의 VTS#0가, 각 VTS에 포함되는 타이틀의 내용정보를 나타내는 비디오매니저로서 이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소정수의 VZ에서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의 멀티미디어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의 최대관리 단위인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이 형성된다.
오소링 엔코더 EC
도 2에, 사용자의 요망에 응한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오리지널의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을 엔코드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근거하는 오소링 엔코더(EC)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오리지널의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은, 영상정보를 나르는 비디오스트림(St1), 캡션(자막) 등의 보조영상정보를 반송하는 서브픽쳐(subpicture) 스트림(St3), 및 음성정보를 반송하는 오디오 스트림(St5)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소정의 시간의 사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및 음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다.
한편, 서브픽쳐 스트림은 1화면분량, 요컨대 순간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다. 필요하면, 1화면분량의 서브픽쳐를 비디오 메모리 등에 캡쳐하여, 그 캡쳐된 서브픽쳐 화면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들의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는, 실황중계의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수단으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가 실시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비실시간인 영상 및 음성신호이기도 하다. 한편, 동 도면에 있어서는 간편화를 위해 3종류의 멀티미디어 소오스 스트림으로서, 3종류 이상으로 각각이 다른 타이틀내용을 나타내는 소오스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복수의 타이틀의 음성, 영상, 보조영상정보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멀티타이틀 스트림이라 호칭한다.
오소링 엔코더(EC)는, 편집정보 작성부(100),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 비디오 엔코더(300), 비디오 스트림버퍼(400), 서브픽쳐 엔코더(500),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 오디오 엔코더(700), 오디오 스트림버퍼(800), 시스템 엔코더(900), 비디오존 포맷터(1300), 기록부(1200) 및 기록매체(M)로 구성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엔코더에 의해서 엔코드된 비트스트림은 일례로서 광디스크매체에 기록된다. 오소링 엔코더(EC)는 오리지널의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유저의 요망에 응해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의 해당 부분의 편집을 지시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편집정보생성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 라우드 스피커부, 키보드, CPU 및 소오스 스트림버퍼부 등으로 구성된다.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상술의 외부멀티미디어 스트림원에 접속되어 있고,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의 공급을 받는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 및 라우드 스피커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하여, 타이틀의 내용을 인식할 수가 있다. 더욱이, 유저는 재생된 내용을 인식하면서, 원하는 시나리오에 따른 내용의 편집지시를 키보드부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편집지시내용이란, 복수의 타이틀내용을 포함하는 각 소오스 데이터의 전부 또는, 각각에 대하여 소정시간마다 각 소오스 데이터의 내용을 1개 이상 선택하여 그것들의 선택된 내용을 소정의 방법으로 접속재생하는 것 같은 정보를 말한다.
CPU는 키보드입력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각의 스트림(St1, St3, 및 St5)의 편집대상 부분의 위치, 길이, 및 각 편집부분사 이의 시간적 상호관계 등의 정보를 코드화한 시나리오 데이터(Scenario data)(St7)를 생성한다.
소오스 스트림버퍼는 소정의 용량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 스트림(St1, St3, 및 St5)을 소정의 시간(Td) 지연시킨 뒤에 출력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작성하는 것과 동시에 엔코드를 하는 경우, 요컨대 차례대로 엔코드처리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것같이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편집처리내용을 결정하는데 약간의 시간(Td)을 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편집엔코드를 하는 경우에는, 이 시간(Td)만큼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지연시켜 편집엔코드와 동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례로 편집처리의 경우, 지연시간(Td)은 시스템내의 각 요소 사이에서의 동기조정에 필요한 정도이기 때문에, 통상 소오스 스트림버퍼는 반도체메모리등의 고속기록매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타이틀의 전체를 통해서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완성시킨 후에,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단숨에 엔코드하는, 소위 배치편집때에 있어서는 지연시간(Td)은 1타이틀 분량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오스 스트림버퍼는 비디오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저속 대용량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요컨대, 소오스 스트림버퍼는 지연시간(Td) 및 제조코스트에 응해서, 적당한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구성하면 좋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에 접속되어 있고,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편집정보 작성부(100)에서부터 받아들인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는 편집대상부의 시간적위치 및 길이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편집대상 분량을 엔코드하기 위한 각각의 엔코드 파라메터데이터 및 엔코드개시, 종료의 타이밍신호(St9, St11, 및 St13)를 각각 생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는 소오스 스트림버퍼에 의해서 시간(Td)지연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각 타이밍(St9, St11, 및 St13)과 동기되어 있다.
요컨대, 신호(St9)는 비디오스트림(St1)으로부터 엔코드대상 부분을 추출하여, 비디오 엔코드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비디오 스트림(St1)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비디오 엔코드신호이다. 같은 모양으로 신호(St11)는 서브픽쳐 엔코드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이다. 또한, 신호(St13)는 오디오 엔코드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오디오 스트림(St5)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오디오 엔코드신호이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또한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각의 스트림(St1, St3, 및 St5)의 엔코드 대상부분 사이의 시간적 상호관계 등의 정보에 따라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엔코드 스트림을, 소정의 상호관계가 되도록 배열하기 위한 타이밍신호(St21, St23, 및 St25)를 생성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1비디오존(VZ) 분량의 각 타이틀의 타이틀 편집 단위(VOB)에 관하여, 그 타이틀 편집단위(VOB)의 재생시간을 나타내는 재생시간정보(IT) 및 비디오, 오디오, 서브픽쳐의 멀티미디어 엔코드 스트림을 다중화(멀티플렉스)하는 시스템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스트림 엔코드 데이터(St33)를 생성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소정의 상호적 시간관계에 있는 각 스트림의 타이틀 편집단위(VOB)에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의 각 타이틀의 타이틀 편집단위(VOB)의 접속 또는, 각 타이틀 편집단위를 중첩하고 있는 인터리브 타이틀 편집단위(VOBs)를 생성하기 위한, 각 타이틀 편집단위(VOB)를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으로서, 포맷하기 위한 포맷파라메터를 규정하는 배열지시신호(St39)를 생성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 스트림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스트림(St1)과 비디오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메터 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종료의 타이밍신호의 St9, 예컨대 엔코드의 개시종료 타이밍, 비트율, 엔코드 개시종료때에 엔코드조건, 소재의 종류로서, NTSC신호 또는 PAL신호 또는 텔레시네 소재인지 등의 파라메터가 각각 입력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비디오 엔코드신호(St9)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St1)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스트림(St3)과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St11)가 각각 입력된다.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서브픽쳐 스트림엔코드를 위한 파라메터신호(St11)에 따라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생성한다.
오디오 엔코더(7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 스트림(St5)과 오디오 엔코드신호(St13)가 각각 입력된다. 오디오 엔코더(700)는 오디오 엔코드를 위한 파라메터 데이터 및 엔코드개시 종료타이밍의 신호(St13)에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St5)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생성한다.
비디오 스트림버퍼(400)는 비디오 엔코더(3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엔코더(300)에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보존한다. 비디오 스트림버퍼(4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1)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으로서 출력한다.
같은 모양으로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는 서브픽쳐 엔코더(5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엔코더(500)에서부터 출력되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보존한다.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3)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버퍼(800)는 오디오엔코더(7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엔코더(700)에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보존한다. 오디오 스트림버퍼(8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5)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동기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31)으로서 출력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비디오 스트림버퍼(400),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 및 오디오 스트림버퍼(800)에 접속되어 있고,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 및 동기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31)이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스트림 엔코드 데이터(St33)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시스템 엔코드의 엔코드 파라메터데이터 및 엔코드개시종료타이밍의 신호(St33)에 따라서, 각 동기 스트림(St27, St29, 및 St31)에 다중화처리를 행하여, 타이틀 편집단위(VOB)(St35)를 생성한다.
비디오 존포멧터(1300)는 시스템 엔코더(900)에 접속되어 타이틀 편집단위(St35)가 입력된다. 비디오 존포멧터(13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포맷하기 위한 포맷파라메터데이터 및 포맷개시종료 타이밍의 신호(St39)가 입력된다. 비디오 존포멧터(1300)는 타이틀 편집단위(St39)에 따라서, 1비디오존(VZ) 분량의 타이틀 편집단위(St35)를 유저의 요망시나리오에 따르는 순서로, 순서를 바꿔 배열하여 편집이 끝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St43)을 생성한다.
이 유저의 요망시나리오의 내용에 편집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St43)은, 기록부(1200)에 전송된다. 기록부(1200)는 편집이 종료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기록매체(M)에 따른 형식의 데이터(St43)로 가공하여, 기록매체(M)에 기록한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에는 미리, 비디오 존포멧터(1300)에 의해서 생성된 매체상의 물리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볼륨파일 스트릭처(VFS)가 포함된다.
또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St35)을, 이하에 설명하는 것같은 디코더에 직접출력하여, 편집된 타이틀 내용을 재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에는 볼륨파일 스트릭처(VFS)는 포함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오소링 디코더 DC
다음에,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오소링 엔코더(EC)에 의해서, 편집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디코드하여, 유저의 요망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 타이틀의 내용을 전개하는, 오소링 디코더(DC)의 1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록매체(M)에 기록된 오소링 엔코더(EC)에 의해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St45)은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다.
오소링 디코더(DC)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 시나리오 선택부(2100),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 스트림버퍼(2400), 시스템디코더(2500),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버퍼(2800), 동기제어부(2900), 비디오디코더(3800), 서브픽쳐 디코더(3100), 오디오디코더(3200), 합성부(3500), 비디오 데이터출력단자(3600),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700)로 구성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는 기록매체(M)를 구동시키는 기록매체 구동유니트(2004),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이진(2치)의 판독신호(St57)를 생성하는 독취헤드 유니트(2006), 판독신호(St57)에 여러 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 비트스트림(St61)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2008), 및 기구제어부(2002)로 구성된다. 기구제어부(2002)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 지시신호(St53)를 받아, 각각 기록매체 구동유니트(모터)(2004) 및 신호처리부(2008)를 각각 제어하는 재생제어신호(St55 및 St59)를 생성한다.
디코더(DC)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편집된 멀티미디어타이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유저의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대응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소링 디코더(DC)에 지시를 공급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를 구비하고 있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바람직하게는 키보드 및 CPU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입력된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서, 원하는 시나리오를 키보드부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CPU는, 키보드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시나리오를 지시하는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를 생성한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예컨대, 적외선통신장치등에 의해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St51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재생지시신호(St53)를 생성한다.
스트림버퍼(2400)는 소정의 버퍼용량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에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 비트스트림(St61)을 일시적으로 보존함과 동시에, 및 각 스트림의 어드레스정보 및 동기 초기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를 생성한다. 스트림버퍼(24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고, 생성된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동기 제어데이터(St81)에 포함되는 동기 초기치 데이터(SCR)를 받아들이며, 내부의 시스템클럭(STC)세트하여, 리셋된 시스템클럭(St79)을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클럭(St79)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림 판독신호(St65)를 생성하여, 스트림버퍼(2400)에 입력한다.
스트림버퍼(2400)는, 판독신호(St65)에 따라서 재생 비트스트림(St61)을 소정의 간격으로 출력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또한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근거하여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서브픽쳐, 오디오의 각 스트림의 ID를 나타내는 디코드 스트림 지시신호(St69)를 생성하여 시스템디코더(2500)에 출력한다.
시스템디코더(2500)는,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비디오, 서브픽쳐, 및 오디오의 스트림을, 디코드지시신호(St69)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71)으로서 비디오버퍼(2600)에,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73)으로서 서브픽쳐 버퍼(2700)에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75)으로서 오디오버퍼(2800)에 출력한다.
시스템디코더(2500)는, 각 스트림(St67)의 각 최소 제어단위에서의 재생개시시간(PTS) 및 디코드 개시시간(DTS)을 검출하여 시간정보신호(St77)를 생성한다. 이 시간정보신호(St77)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를 경유하여, 동기 제어데이터(St81)로서 동기제어부(2900)에 입력된다.
동기제어부(2900)는, 동기제어 데이터(St81)로서 각 스트림에 관해서 각각이 디코드 후에 소정의 순서가 되는 것같은 디코드개시 타이밍을 결정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디코드타이밍에 따라서 비디오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를 생성하여, 비디오디코더(3800)에 입력한다. 같은 모양으로, 동기제어부(29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 및 오디오 디코드 개시신호(t93)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디코더(3100) 및 오디오디코더(3200)에 각각 입력한다.
비디오디코더(3800)는,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에 따라서,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생성하여 비디오버퍼(26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비디오버퍼(2600)는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받아, 비디오스트림(St83)을 비디오디코더(3800)에 출력한다. 비디오디코더(3800)는 비디오 스트림(St83)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비디오 스트림(St83)의 입력을 받는 시점에서,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무효(disable)로 한다. 이렇게하여, 소정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비디오디코더(3800)로 디코드되어, 재생된 비디오신호(St104)가 합성부(3500)에 출력된다.
같은 모양으로,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에 따라서, 서브픽쳐 출력 요구신호(St86)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버퍼(2700)에 공급한다. 서브픽쳐 버퍼(2700)는 서브픽쳐 출력 요구신호(St86)를 받아,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서브픽쳐 디코더(3100)에 출력한다.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스트림(St85)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디코드하여, 서브픽쳐신호(St99)를 재생하여 합성부(3500)로 출력된다.
합성부(3500)는 비디오신호(St104) 및 서브픽쳐 신호(St99)를 중첩시켜, 멀티픽쳐비디오신호(St105)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단자(3600)에 출력한다.
오디오디코더(3200)는, 오디오 디코드 개시신호(St93)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 요구신호(St88)를 생성하여 오디오버퍼(2800)에 공급한다. 오디오버퍼(2800)는, 오디오 출력 요구신호(St88)를 받아 오디오 스트림(St87)을 오디오디코더(3200)로 출력한다. 오디오디코더(3200)는 오디오 스트림(St87)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오디오 스트림(St87)을 디코드하여, 오디오 출력단자(3700)에 출력한다.
이렇게하여, 유저의 시나리오선택에 응답하여 실시간에 유저의 요망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유저가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할 때에는, 오소링 디코더(DC)는 그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재생함으로써, 유저의 요망하는 타이틀내용을 재생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는 기본의 타이틀내용에 대하여, 각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 편집단위의 복수의 분기가능한 서브스트림을 소정의 시간적 상관관계로 배열하도록,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실시간 혹은 일괄해서 엔코드하여, 복수의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르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시나리오의 중의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중에 있더라도, 선택한 시나리오로부터 별도의 시나리오를 선택하여(전환)도, 그 새롭게 선택된 시나리오에 응한(동적으로)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타이틀내용을 재생중에 더욱이, 복수의 신의 중의 임의의 신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는,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실시간으로 재생할 뿐만 아니라, 반복재생할 수가 있다. 한편, 오소링시스템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특허출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1996년 9월 27일부의 일본국 특허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DVD
도 4에, 단일의 기록면을 가지는 DVD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의 DVD기록매체(RC1)는, 레이저광선(LS)을 조사하여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하는 정보기록면(RS1)과, 이것을 덮는 보호층(PL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록면(RS1)의 뒷편에는 보강층(BL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호층(PL1)측의 면을 표면(SA), 보강층(BL1)측의 면을 이면(SB)으로 한다. 이 매체(RC1)와 같이, 한 면에 단일의 기록층(RS1)을 가지는 DVD매체를 한면 한층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5에, 도 4의 C1부를 상세히 나타낸다. 기록면(RS1)은 금속박막등의 반사막을 부착된 정보층(4109)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 소정의 두께(T1)를 가지는 제1의 투명기판(4108)에 의해서 보호층(PL1)이 형성된다. 소정의 두께(T2)를 가지는 제2투명기판(4111)에 의해서 보강층(BL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투명기반(4108 및 4111)은 그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4110)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2의 투명기판(4111)의 위에 레벨인쇄용의 인쇄층(4112)이 설치된다. 인쇄층(4112)은 보강층(BL1)의 기판(4111)상의 전영역이 아니고, 문자든지 그림의 표시에 필요한 부분만 인쇄되어, 다른 부분은 투명기판(4111)을 노출시켜도 좋다. 그 경우, 이면(SB)측에서 보면 인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기록면(RS1)을 형성하는 금속박막(4109)의 반사광이 직접보이는 것으로 되고, 예컨대, 금속박막이 알루미늄박막일 경우에는 배경이 은백색에 보이고, 그 위에 인쇄문자나 도형이 부상해 보인다. 인쇄층(4112)은, 보강층(BL1)의 전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용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6에, 더욱 도 5의 C2부를 상세히 나타낸다. 광 빔(LS)가 입사하여 정보가 출력되는 표면(SA)에 있어서, 제1의 투명기판(4108)과 정보층(4109)의 접하는 면은 성형기술에 의해 요철의 피트가 형성되고, 이 피트의 길이와 간격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다. 즉, 정보층(4109)에는 제1의 투명기판(4108)의 요철의 피트형상이 전사된다. 이 피트의 길이나 간격은 CD의 경우에 비교하면 짧게 되어, 피트열에서 형성되는 정보트랙이나 피치도 좁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면기록 밀도가 대폭 향상되고 있다.
또한, 제1의 투명기판(4108)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SA)측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제2의 투명기판(4111)은 보강용이고 제1의 투명기판(4108)과 동일재질로 구성되는 양면이 평탄한 투명기판이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T1 및 T2)은 함께 동일하게, 예컨대 0.6mm가 바람직하지만 또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의 취득은 CD의 경우와 같이 광 빔(LS)이 조사되는 것에 의해 빛스폿의 반사율 변화로서 출력된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대물렌즈의 개구수(NA)를 크게, 그리고 광 빔의 파장λ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빛스폿(Ls)의 지름을, CD에서의 빛스폿의 약 1/1.6로 줄일 수 있다. 이것은, CD시스템에 비교하면, 약 1.6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DVD에서의 데이터판독에는, 파장이 짧은 650nm의 적색반도체 레이저와 대물렌즈의 NA(개구수)를 0.6mm까지 크게 한 광학계가 이용된다. 이것과 투명기판의 두께(T)를 0.6mm로 엷게 함으로써 동시에, 지름 120mm의 광디스크의 한 면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용량이 5G바이트를 넘는다.
DVD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단일의 기록면(RS1)을 가지는 한면 한층디스크(RC1)에 있어서도, CD와 비교하여 기록가능한 정보량이 10배에 가깝기 때문에, 단위당의 데이터사이즈가 대단히 큰 동화상을 그 화질을 손상하지 않고서 취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CD시스템으로서는 동화상의 화질을 희생으로 하더라도, 재생시간이 74분인데 비하여, DVD에서는 고화질동화상을 2시간 이상이나 걸려서 기록재생가능하다. 이와 같이 DVD는 동화상의 기록매체에 적합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도 7 및 도 8에, 상기의 기록면(RS)을 복수를 가지는 DVD기록매체의 예를 게시한다. 도 7의 DVD기록매체(RC2)는, 동일측, 요컨대 겉(SA)에, 2층으로 배치된 제1 및 반투명의 제2기록면(RS1 및 RS2)을 가지고 있다. 제1기록면(RS1) 및 제2기록면(RS2)에 대하여, 각각 다른 광 빔(LS1 및 LS2)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동시에 양면으로부터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광 빔(LS1 또는 LS2)의 한쪽으로써, 양기록면(RS1 및 RS2)에 대응시키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DVD기록매체를 한면 2층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예로서는, 2매의 기록층(RS1 및 RS2)을 배치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2매 이상의 기록층(RS)을 배치한 DVD기록매체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디스크를, 한면 다층디스크라고 부른다.
한편, 도 8의 DVD기록매체(RC3)는 반대쪽 요컨대 겉(SA)측에는 제1기록면(RS1)이, 그리고 뒷편(SB)에는 제2기록면(RS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것들의 예에 있어서는, 한 장의 DVD에 기록면을 2층 설치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2층 이상의 다층의 기록면을 가지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7의 경우와 같이, 광 빔(LS1 및 LS2)을 개별로 설치하더라도 좋고, 하나의 광 빔으로 양쪽의 기록면(RS1 및 RS2)의 기록재생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DVD기록매체를 양면 한층디스크라고 부른다. 또한, 한 면에 2매 이상의 기록층(RS)을 배치한 DVD기록매체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디스크를 양면 다층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9 및 도 10에, DVD기록매체(RC)의 기록면(RS)을 광 빔(LS)의 조사측에서 본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DVD에는 내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향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TR)이 나선형태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트랙(TR)은, 소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트랙 1주당 3개 이상의 섹터로 분할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통상, 트랙(TR)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크(RCA)의 내주의 끝점(IA)에서 외주의 끝점(OA)을 향하여 시계회전방향(DrA)으로 돌려감겨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RCA)를 시계회전 디스크, 그 트랙을 시계회전 트랙(TRA)이라고 부른다. 또한, 용도에 의해서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크(RCB)의 외주의 끝점(OB)에서 내주의 끝점(IB)을 향하여 시계둘레방향(DrB)으로 트랙(TRB)이 돌려감겨지고 있다. 이 방향 DrB는, 내주에서부터 외주를 향해서 보면, 반시계 둘레방향이기 때문에, 도 9의 디스크(RCA)와 구별하기 위해서, 반시계 회전디스크(RCB) 및 반시계 회전트랙(TRB)이라고 부른다. 상기의 트랙감기방향(DrA 및 DrB)은 광 빔이 기록재생을 위해 트랙을 스캔하는 움직임, 요컨대 트랙패스이다. 트랙감기방향(DrA)의 반대방향(RdA)이 디스크(RCA)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트랙감기방향(DrB)의 반대방향(RdB)이, 디스크(RCB)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도 11에, 도 7에 나타내는 한면 2층디스크(RC2)의 일례인 디스크(RC2o)의 전개도를 모식적에 나타낸다. 아래쪽의 제1기록면(RS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회전트랙(TRA)이 시계회전방향(DrA)으로 설치된다. 위쪽의 제2기록면(RS2)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트랙(TRB)이 반시계 회전방향(DrB)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하측의 트랙 외주단부(OB 및 OA)는 디스크(RC2o)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의 트랙(TR)의 감기방향(DrA 및 DrB)은 같이, 디스크(RC)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록의 방향이기도 한다. 이 경우, 상하의 트랙의 감기방향은 반대, 요컨대 상하의 기록층의 트랙버스(DrA 및 DrB)가 대향하고 있다.
대향 트랙버스타입의 한면 2층디스크(RC2o)는, 제1기록면(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으로 회전되어 광 빔(LS)이 트랙버스(DrA)에 따라서, 제1기록면(RS1)의 트랙을 트레이스하여, 외주단부(OA)에 도달한 시점에서, 광 빔(LS)을 제2기록면(RS2)의 외주단부(OB)에 초점을 맺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광 빔(LS)은 연속적으로 제2기록면(RS2)의 트랙을 트레이스할 수가 있다. 이렇게하여, 제1 및 제2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TRA 와 TRB)과의 물리적 거리는, 광 빔(LS)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향트랙 패스타입의 한 면 2층디스크(RCo)에 있어서는 상하 2층상의 트랙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TR)으로서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소링시스템이 있어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최대 관리단위인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하나의 매체(RC2o)의 2층의 기록층(RS1 및 RS2)에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가 있다.
한편, 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의 감기방향을 본 예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에, 요컨대 제1기록면(RS1)에 반시계 회전트랙(TRB)을 제2기록면에 시계회전트랙(TRA)을 설치할 경우는,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RdB로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의 예와 같이, 양기록면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TR)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이용한다. 따라서, 간편화를 위해 그것과 같은 예에 대하여 도시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DVD를 구성함으로써 장대한 타이틀의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한 장의 대향 트랙버스타입 한면 2층디스크(RC2o)에 수록할 수 있다. 이러한 DVD매체를, 한면 2층 대향 트랙버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12에, 도 7에 나타낸 한면 2층디스크(RC2)의 또 하나의 예 RC2p의 전개도를 모식으로 나타낸다. 제1 및 제2기록면(RS1 및 RS2)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회전 트랙(TR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한면 2층 디스크(RC2p)는, RdA방향으로 회전되고, 광 빔의 이동방향은 트랙의 감기방향과 동일, 요컨대 상하의 기록층의 트랙패스가 서로 평행하다(Parallel trackpath).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하측의 트랙 외주단부(OA 및 OA)는, 디스크(RC2p)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외주단부(OA)에 있어서, 광 빔(LS)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11로 설명한 매체(RC20)와 같이, 제1기록면(RS1)의 트랙(TRA)의 외주단부(OA)에서 제2기록면(RS2)의 트랙(TRA)의 외주단부(OA)로 순간적으로 액세스할 곳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광 빔(LS)에 의해서 제2기록면(RS2)의 트랙(TRA)을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매체(RC2p)를 역(반 RdA방향으로)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나, 광 빔의 위치에 따라서 매체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은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도면속에서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는 것같이 광 빔(LS)가 제1기록면(RS1)의 트랙 외주단부(OA)에 달한 뒤에, 광 빔을 제2기록면(RS2)의 트랙 내주단부(IA)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논리적으로 연속한 하나의 트랙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하면 상하의 기록면의 트랙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으로서 취급하지 않고서, 각각 별도의 트랙으로서 각 트랙에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1타이틀씩 기록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DVD매체를 한면 2층 평행 트랙버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한편, 양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의 감기방향을 본 예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요컨대 반시계 회전트랙(TRB)을 설치하더라도,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RdB로 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이 한면 2층 평행 트랙패스형 디스크는 백과사전같은 빈번히 랜덤 액세스가 요구되는 복수의 타이틀을 한 장의 매체(RC2p)에 수록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도 13에, 도 8에 나타내는 한 면에 각각 한층의 기록면(RS1 및 RS2)을 가지는 양면 한층형의 DVD매체(RC3)의 일례(RC3s)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한쪽의 기록면(RS1)은, 시계회전트랙(TRA)이 설치되고, 다른쪽의 기록면(RS2)에는, 반시계 회전트랙(TRB)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양기록면의 트랙 외주단부(OA 및 OB)는, 디스크(RC3s)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들의 기록면(RS1과 RS2)은, 트랙의 감기방향은 반대이지만, 트랙패스가 서로 면대칭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디스크(RC3s)를 양면 한층 대칭트랙패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양면 한층 대칭트랙패스형 디스크(RC3s)는, 제1기록매체(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반대쪽의 제2기록매체(RS2)의 트랙패스는, 그 트랙감기방향(DrB)과 반대의 방향, 요컨대 DrA이다. 이경우 연속, 비 연속적으로 관계되지 않고, 본질적으로 두개의 기록면(RS1 및 RS2)에 동일한 광 빔(LS)에서 액세스하는 것은 실제적이지 않다. 그 때문에, 표리의 기록면의 각각에,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SB)을 기록한다.
도 14에, 도 8에 나타내는 양면 한층 DVD매체(RC3)의 또 다른 예 RC3a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양기록면(RS1 및 RS2)에는 같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회전트랙(TRA)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양기록면측 RS1 및 RS2의 트랙 외주단부(OA 및 OA)는 디스크(RC3a)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예에 있어서는, 먼저 설명한 양면 한층 대상트랙패스형 디스크(RC3s)와는 달리, 이것들의 기록면(RS1과 RS2)상의 트랙은 비대칭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디스크(RC3a)를 양면 한층 비대상트랙버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양면 한층 비대상트랙버스형 디스크(RC3s)는, 제1기록매체(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반대쪽의 제2기록면(RS2)의 트랙패스는, 그 트랙감기방향(DrA)과 반대의 방향, 요컨대 DrB방향이다.
따라서, 단일의 광 빔(LS)을 제1기록면(RS1)의 내주에서부터 외주로, 그리고 제 2기록면(RS2)의 외주에서부터 내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기록면마다 다른 광 빔원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매체(PC3a)를 표리반전시키지 않고서 양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이 양면 한층 비대상 트랙버스형 디스크로서는, 양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버스가 동일하다. 이에 따라서, 매체(PC3a)의 표리반전하는 것에 의해, 기록면마다 다른 광 빔원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단일의 광 빔(LS)에서 양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고 그 결과, 장치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양기록면(RS1 및 RS2)에, 트랙(TRA)을 대신해서 트랙(TRB)을 설치하더라도, 본 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기록면의 다층화에 따라서 기록용량의 배가화가 용이한 DVD시스템에 의해서, 1매의 디스크상에 기록된 복수의 동화상데이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복수의 그래픽스 데이터 등을 유저와의 대화조작을 통하여 재생하는 멀티미디어의 영역에 있어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요컨대, 종래 소프트제공자의 꿈이었던, 하나의 영화를 제작한 영화의 품질을 그대로 기록으로, 다수의 다른 언어권 및 다수의 다른 세대에 대하여, 하나의 매체에 의하여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퍼렌탈
종래는, 영화타이틀의 소프트제공자는 동일한 타이틀에 관하여 전세계의 다수의 언어, 및 구미각국에서 규제화되어 있는 퍼렌탈로크에 대응한 개별의 패키지로서 멀티레이티드 타이틀을 제작, 공급,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공임은 매우 큰 것이었다. 또한, 이것은, 고화질로도 했으므로 의도한 대로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소원의 해결에 한 걸음 가까이 가는 기록매체가 DVD이다.
멀티앵글
또, 대화조작의 전형적인 예로서, 1개의 신(scene)을 재생중에, 별도의 시점에서부터의 신으로 바꾼다고 하는 멀티앵글이라는 기능이 요구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야구의 신이면 백 네트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앵글, 백 네트측에서 본 내야를 중심으로한 앵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앵글 등 몇 개의 앵글의 속에서, 유저가 좋아한 것을 마치 카메라를 바꾸고 있는 것같이, 자유롭게 고른다고 하는 것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있다.
DVD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도록 동화상, 오디오, 그래픽스 등의 신호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비디오 CD와 같은 MPEG이 사용되어 왔다. 비디오 CD와 DVD 는 그 용량과 전송속도 및 재생장치내의 신호처리성능의 차로부터 동일 MPEG 형식이라고 하더라도, MPEG1와 MPEG2라는 다소 다른 압축방식, 데이터형식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MPEG1와 MPEG2의 내용 및 그 차이에 관하여서는, 본 발명의 취지와는 직접 관계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예컨대, ISO11172, ISO13818의 MPEG 규격서 참조). 본 발명에 관련되는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에 관하여,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뒤에 설명한다.
멀티 신
상기의 퍼렌탈 로크재생 및 멀티앵글재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각 요구대로의 내용의 타이틀을 각각 준비하고 있으면, 최소 일부분이 다른 신 데이터를 가지는 거의 동일내용의 타이틀을 요구 수만큼 준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기록매체의 대부분의 영역에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기록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기억용량의 이용효율을 현저히 소외한다. 또한, DVD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가졌다 하더라도, 모든 요구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적으로 기록매체의 용량을 증대시킨다면 해결할 수 있다 할지라도, 시스템자원의 유효이용의 관점에서 대단히 바람직하지 않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이하에 그 개략을 설명하는 멀티 신 제어를 이용하여, 다종의 변화를 가지는 타이틀을 최저 필요한도의 데이터를 가지고 구성하며, 기록매체등의 시스템자원의 유효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요컨대, 여러 가지 변화를 가지는 타이틀을, 각 타이틀 사이에서의 공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기본신 구간과, 각각의 요구에 의거한 다른 신 군집으로 되는 멀티 신 구간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재생때에, 유저가 각 멀티 신 구간에서의 특정한 신을 자유롭고, 또한 수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놓는다. 또, 퍼렌탈 로크재생 및 멀티앵글재생을 포함하는 멀티 신 제어에 관하여 뒤에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
도 22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DVD시스템이 있어서의, 오소링데이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DVD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기록하기 때문에, 리드인영역(LI), 볼륨영역(VS)과, 리드아우트영역(LO)으로 3개로 대별되는 기록영역을 구비한다.
리드인영역(LI)은 광디스크의 최내주부에, 예컨대 도 9 및 도 10으로 설명한 디스크에 있어서는, 그 트랙의 내주단부(IA 및 IB)에 위치하고 있다. 리드인영역(LI)에는, 재생장치의 판독개시때의 작동 안정용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리드아우트영역(LO)은 광디스크의 최외주에, 요컨대 도 9 및 도 10으로 설명한 트랙의 외주단부(OA 및 OB)에 위치하고 있다. 이 리드아우트영역(LO)에는, 볼륨영역(VS)이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등이 기록된다.
볼륨영역(VS)은 리드인영역(LI)과 리드아우트영역(LO)의 사이에 위치하여, 2048바이트의 논리섹터(LS)가, n+1개(n은 0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 일차원 배열로서 기록된다. 각 논리섹터(LS)는 섹터넘버(#0, #1, #2, …, #n)로 구별된다. 더욱이, 볼륨영역(VS)은 m+1개의 논리섹터(LS#0∼LS#m)(m은 n보다 작은 0을 포함하는양의 정수)로 형성되는 볼륨/파일관리 영역(VFS)과, n-m개의 논리섹터(LS#m+1∼LS#n)로 형성되는 파일 데이터 영역(FDS)으로 분별된다. 이 파일 데이터 영역(FDS)은 도 1에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에 상당한다.
볼륨/파일관리 영역(VFS)은 볼륨영역(VS)의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한 파일시스템이고, 디스크전체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납에 필요한 섹터수m(m은 n보다 작은 자연수)의 논리섹터 LS#0에서부터 LS#m로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륨/파일관리 영역(VFS)에는, 예컨대 ISO9660 및 ISO13346 등의 규격에 따라서, 파일 데이터 영역(FDS)내의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다.
파일 데이터 영역(FDS)은 n-m개의 논리섹터(LS#m+1∼LS#n)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논리섹터의 정수배(2048×I, I는 소정의 정수)의 사이즈를 가지는 비디오매니저(VMG와, k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1∼VTS#k(k는, 100보다 작은 자연수))를 포함한다.
비디오매니저(VMG)는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함과 동시에, 볼륨 전체의 재생제어의 설정/변경을 하기 위한 메뉴인 볼륨메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진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k')는, 단지 비디오파일이라고 도 부르고, 동화상, 오디오, 정지화상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타이틀을 나타낸다.
도 16는, 도 22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는, 디스크 전체의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VTS정보(VTSI)와,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의 시스템스트림인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로 대별된다. 우선, 이하에 VTS정보에 관해서 설명한 뒤에, VTS타이틀용 VOBS에 관해서 설명한다.
VTS정보는, 주로 VTSI관리테이블(VTSI_MAT) 및 VTSPGC정보테이블(VTS_PGCIT)을 포함한다.
VTSI관리테이블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내부구성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중에 포함되는 선택 가능한 오디오 스트림의 수, 서브픽쳐의 수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격납장소 등이 기술된다.
VTSPGC정보관리테이블은, 재생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체인(PGC)을 나타내는 i개(i는 자연수)의 PGC 정보(VTS_PGCI#1∼VTS_PGCI#I)를 기록한 테이블이다. 각 엔트리의 PGC 정보(VTS_PGCI#I)는, 프로그램 체인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j개(j는 자연수)의 셀재생정보(C_PBI#1∼C_PBI#j)로 된다. 각 셀재생정보(C_PBI#j)는 셀의 재생순서나 재생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체인 PGC이란 타이틀의 스토리를 기술하는 개념이고 셀(후술)의 재생순을 기술하는 것으로 타이틀을 형성한다. 상기 VTS정보는 예컨대, 메뉴에 관한 정보의 경우에는, 재생개시때에 재생장치내의 버퍼에 격납되어 재생의 도중에서 리모트 컨트롤의「메뉴」키가 눌려진 시점에서 재생장치에 의해 참조되어, 예컨대 #1의 톱메뉴가 표시된다. 계층메뉴의 경우는, 예컨대 프로그램 체인정보(VTS_PGCI#1)가「메뉴」키 누름에 의해 표시되는 메인메뉴이고, #2에서부터 #9가 리모트 컨트롤의「텐키」의 숫자에 대응하는 서브메뉴, #10이후가 또한 하위층의 서브메뉴라고 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예컨대, #1가「메뉴」키 누름에 의해 표시되는 톱메뉴, #2 이후가「텐」키의 숫자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음성가이던스라고 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메뉴자체는 이 테이블에 지정되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계층메뉴이든 음성가이던스를 포함하는 메뉴이든, 임의의 형태의 메뉴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된다.
또한, 예컨대 영화의 경우에는 재생개시때에 재생장치내의 버퍼에 격납되어, PGC내에 기술되어 있는 셀재생순서를 재생장치가 참조하여, 시스템스트림을 재생한다.
여기서 말하는 셀이란, 시스템스트림의 전부 또는 일부이고 재생때의 액세스포인트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영화의 경우는 타이틀을 도중에서 구분되어 있는 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엔트리된 PGC정보(C_PBI#j) 각각은, 셀재생처리정보 및, 셀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 재생처리정보는, 재생시간, 반복회수 등의 셀의 재생에 필요한 처리정보로 구성된다. 블록모우드(CBM), 셀블록타입(CBT), 심리스 재생플래그(SPF), 인터리브 블록배치 플래그(IAF), STC재설정 플래그(STCDF), 셀재생시간(C_PBTM), 심리스 앵글전환 플래그(SACF), 셀선두 VOBU개시 어드레스(C_FVOBU_SA), 및 셀종단 VOBU개시 어드레스(C_LVOBU_SA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심리스 재생이란 DVD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음성, 부영상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데이터 및 정보를 중단하는 일없이 무사히 재생하는 것이며, 자세히는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뒤에 설명한다.
블록모우드(CBM)는 복수의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며, 기능블록을 구성하는 각 셀의 셀재생정보는 연속적으로 PGC정보내에 배치되고, 그 선두에 배치되는 셀재생정보의 CBM에는, "블록의 선두셀"을 나타내는 값, 그 최후에 배치되는 셀재생정보의 CBM에는, "블록의 최후의 셀"을 나타내는 값, 그 사이에 배치되는 셀재생정보의 CBM에는 "블록내의 셀"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낸다.
셀블록타입(CRT)은, 블록모우드(CBM)로서 나타낸 블록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컨대 멀티앵글 기능을 설정할 경우에는, 각 앵글의 재생에 대응하는 셀정보를, 전술하였던 것같은 기능블록으로서 설정하고, 또한 그 블록의 종류로서 각 셀의 셀재생정보의 CBT에 "앵글"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심리스 재생플래그(SPF)는, 해당 셀이 전에 재생되는 셀 또는 셀블록과 심리스로 접속하여 재생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앞셀 또는 앞셀 블록과 심리스로 접속할 재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셀의 셀재생정보의 SPF에는 플래그치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인터리브얼 로케이션 플래그(IAF)는 해당 셀이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셀의 인터리브얼 로케이션 플래그(IAF)에는 플래그치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STC재설정 플래그(STCDF)는 동기를 취할 때에 사용하는 STC를 셀의 재생때에 재설정할 필요가 있을까 없을까의 정보이고,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플래그치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심리스 앵글 체인지 플래그(SACF)는 해당 셀이 앵글구간에 속하며 또한, 심리스로 전환할 경우, 해당 셀의 심리스 앵글 체인지 플래그(SACF)에는 플래그치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셀재생시간(C_PBTM)은 셀의 재생시간을 비디오의 프레임수 정밀도로 나타낸다.
C_LVOBU_SA는, 셀종단 VOBU개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그 값은 VTS타이틀용VOBS(VTSTT_VOBS)의 선두셀의 논리섹터에서부터의 거리를 섹터수로 나타낸다. C_FVOBU_SA는 셀선두 VOBU개시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VTS 타이틀용 VOBS(VTSTT _VOBS)의 선두셀의 논리섹터에서부터 거리를 섹터수로 나타낸다.
다음에, VTS 타이틀용 VOBS, 요컨대, 1멀티미디어 시스템 스트림 데이터(VTSTT _VOBS)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스트림 데이터(VTSTT_VOBS)는 비디오 오브젝터 VOB라고 불리는 i개(i는 자연수)의 시스템스트림(SS)으로 이루어진다. 각 비디오오브젝터(VOB#1∼VOB#i)는, 적어도 1개의 비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8개의 오디오 데이터, 최대 32의 부영상 데이터까지가 인터리브되어 구성된다.
각 비디오 오브젝터(VOB)는, q개(q는 자연수)의 셀(C#1∼C#q)로 된다. 각 셀(C)은, r개(r는 자연수)의 비디오 오브젝터 유니트(VOBU#1∼VOBU#r)로 형성된다.
각 VOBU는, 비디오 엔코드의 리프레쉬주기인 GOP의 여러 개 및, 또한 그것에 상당하는 시간의 오디오 및 서브픽쳐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VOBU의 선두에는 해당 VOBU의 관리정보인 내브팩(navigation(nav.) pack)(NV)을 포함한다. 내브팩(NV)의 구성에 관하여는 도 19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7에, 비디오존 VZ(도 22)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은, 비디오 엔코더(300)에 의해서 엔코드되었다. 압축된 일차원의 비디오 데이터열이다.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도 같은 모양으로, 오디오엔코더(700)에 의해서 엔코드되었다. 스테레오의 좌우의 각 데이터가 압축, 및 통합된 일차원의 오디오 데이터열이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로서 서라운드 등의 멀티채널이라도 좋다.
시스템스트림(St35)은, 도 22으로 설명한 2048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는 논리섹터(LS#n)에 상당하는 바이트 수를 가지는 팩이 일차원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스템스트림(St35)의 선두, 요컨대 VOBU의 선두에는 네비게이션팩(NV)이라고 불리는, 시스템 스트림내의 데이터배열 등의 관리정보를 기록한 스트림 관리팩이 배치된다.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은, 각각 시스템스트림의 팩에 대응하는 바이트 수마다 패킷화된다. 이들 패킷은, 도면속에서, V1, V2, V3, V4, …, 및 A1, A2, …, 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패킷은 비디오, 오디오 각 데이터 신장용의 디코더의 처리시간 및 디코더의 버퍼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한 순서로 도면중의 시스템스트림(St35)으로서 인터리브되어 패킷의 배열을 한다. 예컨대, 본 예로서는 V1, V2, A1, V3, V4, A2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하나의 동화상데이터와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인터리브된 예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기록재생용량이 대폭 확대되어, 고속의 기록재생이 실현되어, 신호처리용 LSI의 성능향상이 기도된 결과, 하나의 동화상데이터에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나 복수의 그래픽스 데이터인 부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MPEG시스템스트림으로서 인터리브된 형태로 기록되어, 재생때에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나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에서부터 선택적인 재생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8에, 이러한 DVD시스템으로 이용되는 시스템스트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에 있어서도, 도 17과 같이 패킷화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은, V1, V2, V3, V4, …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은, 1개로서가 아니라, St19A, St19B, 및 St19C과 3열의 오디오 데이터열이 소오스로서 입력되어 있다. 또한, 부화상 데이터열인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도, St17A 및 St17B과 2열의 데이터가 소오스로서 입력되어 있다. 이들, 총 6열의 압축데이터열이 하나의 시스템스트림(St35)에 인터리브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MPEG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고, GOP라는 단위가 압축의 단위로 되어 있고, GOP단위는 표준는 NTSC의 경우 15프레임으로 1GOP를 구성하지만, 그 프레임 수는 가변으로 되어 있다. 인터리브된 데이터 상호의 관련등의 정보를 갖는 관리용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스트림 관리팩도, 비디오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GOP를 단위로 하는 간격으로 인터리브되게 되어 GOP를 구성하는 프레임 수가 변하면, 그 간격도 변동하게 된다. DVD에서는 그 간격을 재생시간 길이로, 0.4초에서부터 1.0초의 범위내로서, 그 경계는 GOP단위로 하고 있다. 혹시, 연속하는 복수의 GOP의 재생시간이 1초이하이면, 그 복수 GOP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용의 데이터팩이 1개의 스트림중에 인터리브되게 된다.
DVD에서는 이러한, 관리용 데이터팩을 내브팩(NV)이라고 부르고, 이 내브팩(NV)에서, 다음의 내브팩(NV) 직전의 팩까지를 비디오 오브젝터 유니트(이하 VOBU라고 부름)라고 부르고, 일반적으로 1개의 신으로 정의할 수 있는 1개의 연속한 재생단위를 비디오 오브젝터라고 부르고(이하 VOB라고 부름), 1개 이상의 VOBU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VOB가 복수로 모인 데이터의 집합을 VOB세트(이하 VOBS라고 부름)라고 부른다. 이들은, DVD에 있어서 처음 채용된 데이터형식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열이 인터리브되는 경우, 인터리브된 데이터 상호의 관련을 나타내는 관리용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팩(NV)도, 소정의 팩 수 단위라고 불리는 단위로 인터리브될 필요가 있다. GOP는 통상 12에서부터 15프레임의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약 0.5초의 비디오 데이터를 정리한 단위이고, 이 시간의 재생에 요하는 데이터패킷 수에 하나의 스트림 관리패킷이 인터리브된다고 생각된다.
도 19는, 시스템스트림을 구성하는 인터리브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의 팩에 포함되는 스트림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과 같이 시스템스트림중의 각 데이터는 MPEG2에 준거하는 패킷화 및 팩화된 형식으로 기록된다. 비디오, 오디오, 및 부화상데이터는 함께, 패킷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1팩은 상기와 같이 2048바이트의 용량을 가지고, PES패킷이라고 불리는 1패킷을 포함하여 팩헤더(PKH), 패킷헤더(PTH), 및 데이터영역으로 된다.
팩헤더(PKH)중에는, 그 팩이 도 26에 있어서의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시스템디코더(2500)로 전송되어야 되는 시각, 요컨대 AV동기재생을 위한 기준시각정보를 나타내는 SCR가 기록되어 있다. MPEG에 있어서는 이 SCR를 디코더 전체의 기준클럭으로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DVD 등의 디스크 미디어의 경우에는, 개개의 플레이어에 있어서 닫은 시각관리로 좋기 때문에, 별도에 디코더 전체의 시각의 기준이 되는 클럭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패킷헤더(PTH)중에는, 그 패킷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 혹은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된 뒤에 재생출력으로서 출력되어야 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PTS나, 비디오 스트림이 디코드되어야 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DTS 등이 기록되어 있는 PTS 및 DTS는, 패킷내에 디코드 단위인 액세스 유니트의 선두가 있을 경우에 놓여지고, PTS는 액세스 유니트의 표시개시 시각을 나타내고, DTS는 액세스 유니트의 디코드 개시시각을 나타낸다. 또한, PTS와 DTS가 동시각의 경우, DTS는 생략된다.
더욱, 패킷헤더(PTH)에는 비디오 데이터열을 나타내는 비디오 패킷인지, 프라이 비트 패킷인지, MPEG 오디오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8비트 길이의 필드인 스트림 ID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프라이 비트 패킷이란, MPEG2의 규격상 그 내용을 자유롭게 정의하여도 좋은 데이터이고 본 실시형태로서는, 프라이 비트 패킷 1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MPEG 오디오 이외) 및 부영상 데이터를 반송하고, 프라이 비트 패킷 2을 사용하여 PCI 패킷 및 DSI패킷을 반송하고 있다.
프라이 비트 패킷 1과 프라이 비트 패킷 2는 패킷헤더, 프라이 비트데이터영역 및 데이터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프라이 비트 데이터 영역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지 부영상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8비트 길이의 필드를 가지는 서브스트림 ID가 포함된다. 프라이 비트 패킷 2로 정의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리니어 PCM방식, AC-3방식 각각에 대하여 #0∼#7까지 최대 8종류가 설정가능하다. 또한 부영상 데이터는, #0∼#31까지의 최대 32종류가 설정가능하다.
데이터영역은,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는 MPEG2형식의 압축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는 리니어 PCM방식, AC-3방식 또는 MPEG방식의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의 경우는 런랭스(run length)부호화에 보다 압축된 그래픽스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필드이다.
또한, MPEG2비디오 데이터는, 그 압축방법으로서 고정비트율방식(이하「CBR」이라고도 적음)과 가변비트율방식(이하「VBR」이라고도 적음)이 존재한다. 고정비트율방식이란, 비디오 스트림이 일정 레이트로 연속하여 비디오버퍼로 입력되는 방식이다. 이것에 반대하여, 가변비트율방식이란, 비디오 스트림이 간헐적으로(단속적으로) 비디오버퍼로 입력되는 방식이고,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부호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DVD에서는, 고정비트율방식 및 가변비트율방식도 사용이 가능하다. MPEG에서는 동화상데이터는 가변길이 부호화방식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GOP의 데이터량이 일정치 않다. 또한, 동화상과 오디오의 디코드시간이 다르고, 광디스크로부터 읽어낸 동화상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관계와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동화상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관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것 때문에, 동화상과 오디오의 시간적인 동기를 취하는 방법을, 도 26을 참조하여, 나중에 상술하지만 우선, 간편화를 위해 고정비트율방식을 기초로 설명을 한다.
도 20에, 내브팩(NV)의 구조를 나타낸다. 내브팩(NV)은, PCI패킷과 DSI패킷으로 이루어지고, 선두에 팩헤더(PKH)가 설치되어 있다. PKH에는, 상기한 대로, 그 팩이 도 26에 있어서의 스트림버퍼(2400)에서부터 시스템디코더(2500)로 전송되어야 되는 시각, 요컨대 AV동기재생을 위한 기준시각정보를 나타내는 SCR가 기록되어 있다.
PCI패킷은, PCI정보(PCI_GI)와 비심리스 멀티앵글정보(NSML_AGLI)를 가지고 있다.
PCI정보(PCI_GI)에는 해당 VOBU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선두 비디오프레임 표시시간(VOBU_S_PTM) 및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시간(VOBU_E_PTM)을 시스템클럭정도(90KHz)로 기술한다.
비심리스 멀티앵글정보(NSML_AGLI)에는, 앵글을 바꿀 경우의 판독개시 어드레스를 VOB선두에서부터의 섹터수로서 기술한다. 이 경우, 앵글수는 9이하이기 때문에, 영역으로서 9앵글분량의 어드레스 기술영역(NSML_AGL_C1_DSTA∼NSML_AGL_ C9_DSTA)을 갖는다.
DSI패킷에는 DSI정보(DSI_GI), 심리스 재생정보(SML_PBI) 및 심리스 멀티앵글 재생정보(SML_AGLI)를 가지고 있다.
DSI정보(DSI_GI)로서 해당 VOBU내의 최종 팩어드레스(VOBU_EA)를 VOBU선두에서부터의 섹터수로서 기술한다.
심리스 재생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분기 또는 결합하는 타이틀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 연속판독단위를 ILVU(Interleaved Unit)로서 시스템 스트림레벨로 인터리브(다중화)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시스템스트림이 ILVU를 최소 단위로서 인터리브처리되어 있는 구간을 인터리브 블록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ILVU를 최소 단위로서 인터리브된 스트림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 심리스 재생정보: Seamless Playback Information(SML_PBI)를 기술한다. 심리스 재생정보(SML_PBI)에는, 해당 VOBU가 인터리브 블록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인터리브 유니트 플래그(ILVU_flag)를 기술한다. 이 플래그는 인터리브영역에(후술)에 존재하는가를 표시하는 것이고,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할 경우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또한, 해당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ILVU의 최종 VOBU를 나타내는 유니트 엔드 플래그(UNlT END Flag)를 기술한다. ILVU는, 연속읽기단위이기 때문에 현재 판독하고 있는 VOBU가, ILVU의 최후의 VOBU이면 "1"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해당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할 경우, 해당 VOBU가 속하는 ILVU의 최종팩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ILVU최종 팩어드레스(ILVU_EA)를 기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로서, 해당 VOBU의 NV에서의 섹터수로 기술한다.
또한, 해당 VOBU가 인터리브 영역에 존재할 경우, 다음 ILVU의 개시 어드레스(NT_ILVU_SA)를 기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로서 해당 VOBU의 NV에서의 섹터수로 기술한다.
또한, 2개의 시스템스트림을 심리스로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접속전과 접속뒤의 오디오가 연속하지 않는 경우(다른 오디오의 경우 등), 접속뒤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 오디오를 일시정지(포즈(pause))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NTSC의 경우 비디오의 프레임주기는 약 33.33msec이고, 오디오 AC3의 프레임주기는 32msec이다.
이 때문에 오디오를 정지하는 시간과 기간정보를 나타내는 오디오 재생정지시각 1(VOBU_A_STP_PTMl), 오디오 재생정지시각 2(VOBU_A_STP_PTM2), 오디오 재생정지기간 1(VOB_A_GAP_LEN1), 오디오 재생정지기간 2:Audio Gap Length 2 in VOB( VOB_A_GAP_LEN2)를 기술한다. 이 시간정보는 시스템 클럭 정밀도(90KHz)로 기술된다.
또한, 심리스 멀티앵글 재생정보(SML_AGLI)로서, 앵글을 바꿀 경우의 판독개시 어드레스를 기술한다. 이 필드는 심리스 멀티앵글의 경우에 유효한 필드이다. 이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에서의 섹터수로 기술된다. 또한, 앵글수는 9이하이기 때문에, 영역으로서 9앵글분량의 어드레스 기술영역:(SML_AGL_Cl_DSTA∼SML_ AGL_C9_DSTA)을 갖는다.
DVD엔코더
도 25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오소링시스템을 상기의 DVD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오소링 엔코더(ECD)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DVD시스템에 적용한 오소링 엔코더(ECD)(이후, DVD엔코더라 호칭하는)는, 도 2에 나타낸 오소링 엔코더(EC)에 대단히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VD오소링 엔코더(ECD)는, 기본적으로는 오소링 엔코더(EC)의 비디오 존포멧터(1300)가, VOB 버퍼(1000)와 포맷터(1100)에 있어서 변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의 엔코더에 의해서 엔코드된 비트스트림은, DVD매체(M)에 기록된다. 이하에, DVD오소링 엔코더(ECD)의 작동을 오소링 엔코더(EC)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DVD오소링 엔코더(ECD)에 있어서도, 오소링 엔코더(EC)와 같이 편집정보 작성부(100)에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편집지시내용을 나타내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각 제어신호(St9, St11, St13, St21, St23, St25, St33, 및 St39)를 생성하여, 비디오 엔코더(300), 서브픽쳐 엔코더(500) 및 오디오엔코더(700)를 제어한다.
한편, DVD시스템이 있어서의 편집지시내용이란, 도 25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소링시스템이 있어서의 편집지시내용과 같이, 복수의 타이틀내용을 포함하는 각 소오스 데이터의 전부 또는 각각에 대하여, 소정시간마다 각 소오스 데이터의 내용을 1개 이상 선택하여, 그것들의 선택된 내용을 소정의 방법으로 접속재생하는 것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과 동시에, 더욱이 이하의 정보를 포함한다. 요컨대, 멀티타이틀 소오스 스트림을 소정시간 단위마다 분할한 편집단위에 포함되는 스트림 수, 각 스트림내의 오디오 수나 서브픽쳐 수 및 그 표시기간 등의 데이터, 퍼렌탈 또는 멀티앵글 등 복수스트림으로부터 선택하는가 아닌가, 설정된 멀티앵글 구간에서의 신 사이의 전환접속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는 미디어 소오스 스트림을 엔코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VOB단위에서의 제어내용, 요컨대 멀티앵글인지 아닌지지, 퍼렌탈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레이티드 타이틀의 생성인지, 후술하는 멀티앵글이나 퍼렌탈제어의 경우의 인터리브와 디스크용량을 고려한 각 스트림의 엔코드때의 비트율, 각 제어의 개시시간과 종료시간, 전후의 스트림과 심리스 접속하는가 아닌가의 내용이 포함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엔코드제어에 필요한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메터를 생성한다.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메터에 관하여는, 나중에, 도 27, 도 28, 및 도 29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시스템스트림 엔코드 파라메터데이터 및 시스템 엔코드 개시종료타이밍의 신호(St33)에는 상기의 정보를 DVD시스템에 적용하여 VOB생성정보를 포함한다. VOB생성정보로서, 전후의 접속조건, 오디오 수, 오디오의 엔코드정보, 오디오 ID, 서브픽쳐 수, 서브픽쳐 ID, 비디오표시를 개시하는 시각정보(VPTS), 오디오 재생을 개시하는 시각정보(APTS) 등이 있다. 더욱,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의 포맷파라메터데이터 및 포맷개시종료타이밍의 신호(St39)는, 재생제어정보 및 인터리브정보를 포함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비디오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메터신호 및 엔코드개시종료타이밍의 신호(St9)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St1)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 비디오규격에 준하는 엘러멘트리스트림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엘러멘트리스트림을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으로서, 비디오 스트림버퍼(400)에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엔코더(300)에 있어서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 비디오규격에 준하는 엘러멘트리스트림을 생성하지만, 비디오 엔코드 파라메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St9)에 기초하여, 엔코드 파라메터로서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 비트율, 엔코드개시 종료때에 엔코드조건 소재의 종류로서 NTSC신호 또는 PAL신호 혹은 텔레시네 소재인지 등의 파라메터 및 오픈 GOP 혹은 클로즈드 GOP의 엔코드모우드의 설정이 엔코드 파라메터로서 각각 입력된다.
MPEG2의 부호화방식은, 기본적으로 프레임 사이의 상관을 이용하는 부호화이다. 요컨대, 부호화 대상 프레임의 전후의 프레임을 참조하여 부호화를 한다. 그러나, 에러전파 및 스트림도중에서의 액세스성의 면에서 다른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인트라프레임) 프레임을 삽입한다.
이 인트라 프레임을 적어도 1프레임을 가지는 부호화처리단위를 GOP라고 부른다. 이 GOP에 있어서, 완전히 해당 GOP내에서 부호화가 닫혀있는 GOP가 클로즈드 GOP이고, 전의 GOP내의 프레임을 참조하는 프레임이 해당 GOP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GOP을 오픈 GOP라고 부른다.
따라서, 클로즈드 GOP를 재생하는 경우는 해당 GOP만으로 재생할 수 있지만, 오픈 GOP을 재생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1개 전의 GOP가 필요하다. 또한, GOP의 단위는, 액세스단위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타이틀의 도중에서의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개시점, 영상의 변환점, 또는 빨리감기 등의 특수재생시에는, GOP 내의 프레임내 부호화프레임인 프레임만을 GOP단위로 재생하는 것에 의해 고속재생을 실현한다.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St11)에 따라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비트맵 데이터의 가변길이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가변길이 부호화데이터를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으로서,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에 출력한다.
오디오엔코더(700)는 오디오 엔코드신호(St13)에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St5)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오디오 엔코드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오디오 엔코드데이터로서는, ISO11172에 규정되는 MPEG1오디오규격 및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오디오규격에 근거하는 데이터, 또한 AC-3오디오 데이터, 및 PCM(LPCM)데이터 등이 있다. 이것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엔코드하는 방법 및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비디오 스트림버퍼(400)는 비디오 엔코더(3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엔코더(30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보존한다. 비디오 스트림버퍼(4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1)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으로서 출력한다.
같은 모양으로,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는 서브픽쳐 엔코더(5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엔코더(500)로부터 출력되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보존한다.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3)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동기 서브픽쳐엔코드 스트림(St29)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버퍼(800)는 오디오엔코더(7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엔코더(7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보존한다. 오디오 스트림버퍼(8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5)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동기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31)으로서 출력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비디오 스트림버퍼(400), 서브픽쳐 스트림버퍼(600), 및 오디오 스트림버퍼(800)에 접속되어 있고,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 및 동기 오디오 엔코드(St31)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시스템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메터데이터를 포함하는 St33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엔코드 파라메터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신호(St33)에 따라서, 각 동기 스트림(St27, St29, 및 St31)에 다중화(멀티플렉스)처리를 행하여, 최소 타이틀 편집단위(VOBs)(St35)를 생성한다.
VOB버퍼(1000)는 시스템 엔코더(900)에 있어서 생성된 VOB를 일시 격납하는 버퍼영역이고, 포맷터(1100)에서는, St39에 따라서 VOB버퍼(1100)로부터 동기필요한 VOB를 판독하여 1비디오존(VZ)을 생성한다. 또한, 동 포맷터(1100)에 있어서는 파일시스템(VFS)을 부가하여 St43를 생성한다.
이 유저의 요망시나리오의 내용에 편집된, 스트림(St43)은, 기록부(1200)에 전송된다. 기록부(1200)는 편집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를 기록매체(M)에 따른 형식의 데이터(St43)로 가공하여 기록매체(M)에 기록한다.
DVD디코더
다음에, 도 2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오소링시스템을 상술의 DVD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오소링 디코더(DC)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DVD시스템에 적용한 오소링 엔코더(DCD)(이후, DVD디코더라 호칭하는)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DVD엔코더(ECD)에 의해서, 편집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디코드하여 유저의 요망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 타이틀의 내용을 전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VD엔코더(ECD)에 의해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St45)은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다. DVD오소링 디코더(DCD)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에 나타내는 오소링 디코더(DC)와 동일하고, 비디오디코더(3800)가 비디오디코더(3801)로 교체됨과 동시에, 비디오디코더(3801)와 합성부(3500)의 사이에 리오더버퍼(3300)와 전환기(3400)가 삽입되어 있다. 또, 전환기(3400)는 동기제어부(2900)에 접속되어, 전환지시신호(St103)의 입력을 받고 있다.
DVD오소링 디코더(DCD)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 시나리오 선택부(2100),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 스트림버퍼(2400), 시스템디코더(2500),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버퍼(2800), 동기제어부(2900), 비디오디코더(3801), 리오더버퍼(3300), 서브픽쳐 디코더(3100), 오디오디코더(3200), 셀렉터(3400), 합성부(3500), 비디오 데이터출력단자(3600),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700)로 구성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는, 기록매체(M)를 구동시키는 기록매체구동유니트(2004),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이진(2치)의 판독신호(St57)를 생성하는 독취헤드 유니트(2006), 판독신호(St57)에 여러 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 비트스트림(St61)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2008), 및 기구제어부(2002)로 구성된다. 기구제어부(2002)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 지시신호(St53)를 받아, 각각 기록매체구동유니트(모터)(2004) 및 신호처리부(2008)를 각각 제어하는 재생제어신호(St55 및 St59)를 생성한다.
디코더(DC)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편집된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유저의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대응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소링 디코더(DC)에 지시를 공여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를 구비하고 있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바람직하게는 키보드 및 CPU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입력된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서 원하는 시나리오를 키보드부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CPU는 키보드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시나리오를 지시하는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를 생성한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예컨대, 적외선 통신장치 등에 의해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생성한 시나리오 선택신호(St51)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입력한다.
스트림버퍼(2400)는 소정의 버퍼용량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에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 비트스트림(St61)을 일시적으로 보존함과 동시에, 볼륨파일 스트릭처(VFS), 각 팩에 존재하는 동기 초기치데이터(SCR), 및 내브팩(NV) 존재하는 VOBU제어정보(DSI)를 추출하여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를 생성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로 생성된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 재생부(20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재생지시신호(St53)를 생성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또한 시나리오 데이터(St53)에서부터 유저의 재생지시정보를 추출하여, 디코드제어에 필요한, 디코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하여는, 나중에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또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스트림 재생데이터(St63) 중의 파일 데이터 영역(FDS) 정보로부터, 비디오매니저 VMG, VTS정보VTSI, PGC정보 C_PBI#j, 셀재생시간 C_PBTM 등의 광디스크(M)에 기록된 타이틀정보를 추출하여 타이틀정보(St200)를 생성한다.
여기서,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는 도 19에 있어서의 팩단위로 생성된다. 스트림버퍼(24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고, 생성한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동기재생데이터(St81)에 포함되는 동기 초기치데이터(SCR)를 받아들여 내부의 시스템클럭(STC)세트하여, 리셋된 시스템클럭(St79)을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클럭(St79)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림 판독신호(St65)를 생성하여 스트림버퍼(2400)에 입력한다. 이 경우의 판독단위는 팩이다.
여기서, 스트림 판독신호(St65)의 생성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서는, 스트림버퍼(2400)에서부터 추출한 스트림 제어 데이터중의 SCR와, 동기제어부(2900)에서부터의 시스템클럭(St79)을 비교하여, St63중의 SCR보다도 시스템클럭(St79)이 커진 시점에서 판독요구신호(St65)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를 팩단위에 행하는 것으로 팩전송을 제어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또한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근거하여,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서브픽쳐, 오디오의 각 스트림의 ID를 나타내는 디코드 스트림 지시신호(St69)를 생성하여 시스템디코더(2500)에 출력한다.
타이틀중에, 예컨대 일본어, 영어, 불어 등, 언어별의 오디오 등의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및, 일본어자막, 영어자막, 불어자막 등, 언어별의 자막 등의 복수의 서브픽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 ID가 부여되어 있다. 요컨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 및, MPEG오디오 데이터에는, 스트림 ID가 부여되고, 서브픽쳐 데이터, AC3방식의 오디오 데이터, 리니어 PCM 및 내브팩(NV)정보에는, 서브스트림 ID가 부여되어 있다.
유저는 ID를 의식하는 일은 없으나 어떤 언어의 오디오 또는 자막을 선택할가를 시나리오 선택부(2100)로 선택한다. 영어의 오디오를 선택하면,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서 영어의 오디오에 대응하는 ID가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반송된다. 또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디코더(2500)에 그 ID를 St69상에 반송하여 건네 준다.
시스템디코더(2500)는,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비디오, 서브픽쳐, 및 오디오의 스트림을, 디코드지시신호(St69)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71)으로서 비디오버퍼(2600)에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73)으로서 서브픽쳐 버퍼(2700)에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75)으로서 오디오버퍼(2800)에 출력한다. 요컨대, 시스템디코더(2500)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 의하여 입력된 스트림의 ID와 스트림버퍼(2400)에서부터 전송되는 팩의 ID가 일치할 경우에 각각의 버퍼(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버퍼(2800))에 해당 팩을 전송한다.
시스템디코더(2500)는 각 스트림(St67)의 각 최소 제어단위에서의 재생개시시간(PTS)및 재생종료시간(DTS)을 검출하여 시간정보신호(St77)를 생성한다. 이 시간 정보신호(St77)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를 경유하여, St81로서 동기제어부(2900)에 입력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시간정보신호(St81)에 따라서 각 스트림에 관해서, 각각이 디코드후에 소정의 순서가 되는 것 같은 디코드개시타이밍을 결정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디코드타이밍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디코드 개시신호(St89)를 생성하여, 비디오디코더(3801)에 입력한다. 같은 모양으로 동기제어부(2906)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 및 오디오 엔코드 개시신호(St93)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디코더(3100) 및 오디오디코더(3200)에 각각 입력한다.
비디오 디코더(3801)는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에 따라서,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생성하여, 비디오버퍼(26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비디오버퍼(2600)는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받아, 비디오 스트림(St83)을 비디오디코더(3801)에 출력한다. 비디오디코더(3801)는, 비디오 스트림(St83)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비디오 스트림(St83)의 입력을 받은 시점에서,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무효로 한다. 이렇게 하여 소정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비디오디코더(3801)로 디코드되어, 재생된 비디오신호(St95)가 리오더버퍼(3300)와 전환기(3400)에 출력된다.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은 프레임간 상관을 이용한 부호화이기 때문에, 프레임단위로 본 경우, 표시순과 부호화 스트림순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디코드순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디코드를 종료한 프레임을 일시 리오더버퍼(3300)에 격납한다. 동기제어부(2900)에 있어서 표시순이 되도록 St103을 제어하여 비디오디코더(3801)의 출력(St95)과 리오더버퍼 St97의 출력을 전환, 합성부(350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에 따라서, 서브픽쳐 출력 요구신호(St86)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버퍼(2700)에 공급한다. 서브픽쳐 버퍼(2700)는, 비디오 출력 요구신호(St84)를 받아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서브픽쳐 디코더(3100)에 출력한다.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스트림(St85)에 포함되는 재생시간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디코드하고, 서브픽쳐 신호(St99)를 재생하여 합성부(3500)에 출력한다.
합성부(3500)는 셀렉터(3400)의 출력 및 서브픽쳐신호(St99)를 중첩시켜, 영상신호(St105)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단자(3600)에 출력한다.
오디오디코더(3200)는 오디오디코드 개시신호(St93)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 요구신호(St88)를 생성하여, 오디오버퍼(2800)에 공급한다. 오디오버퍼(2800)는 오디오 출력 요구신호(St88)를 받아, 오디오 스트림(St87)을 오디오디코더(3200)로 출력한다. 오디오디코더(3200)는 오디오 스트림(St87)에 포함되는 재생시간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상당하는 량의 오디오 스트림(St87)을 디코드하여, 오디오 출력단자(3700)에 출력한다.
이렇게하여, 유저의 시나리오선택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유저의 요망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를 재생할 수 있다. 요컨대, 유저가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할 때 마다, 오소링 디코더(DCD)는 그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MBS)을 재생함으로써, 유저의 요망하는 타이틀 내용을 재생할 수가 있다.
한편,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상기한 적외선 통신장치 등을 경유하여,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 타이틀 정보신호(St200)를 공급하더라도 좋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타이틀 정보신호(St200)에 포함되는 스트림 재생데이터(St63)중의 파일 데이터 영역(FDS)정보로부터, 광디스크(M)에 기록된 타이틀정보를 추출하여, 내장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인터랙티브인 유저에 의한 시나리오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예로서는 스트림버퍼(2400),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및 오디오버퍼(2800) 및 리오더버퍼(3300)는 기능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 별도의 버퍼로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버퍼에 있어서 요구되는 판독 및 판독속도의 수배의 작동속도를 가지는 버퍼메모리를 시분할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버퍼메모리를 이들 개별의 버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멀티 신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멀티 신 제어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타이틀 사이에서의 공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기본 신 구간과, 각각의 요구에 의거한 다른 신군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신 구간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신1, 신5, 및 신8이 공통 신이다. 공통 신1과 신5의 사이의 앵글 신 및, 공통 신5와 신8의 사이의 퍼렌탈 신이 멀티 신 구간이다. 멀티앵글 구간에 있어서는, 다른 앵글, 요컨대 앵글1, 앵글2, 및 앵글3에서 촬영된 신중 어느 것을, 재생중에 동적으로 선택재생할 수 있다. 퍼렌탈구간에 있어서는, 다른 내용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6 및 신7의 어느 것인가를 미리 정적으로 선택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신 구간의 어떤 신을 선택하여 재생하는가라는 시나리오내용을, 유저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로써 입력하여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로서 생성한다. 도면중에 있어서, 시나리오 1로서는 임의의 앵글 신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퍼렌탈구간에서는 미리 선택한 신6을 재생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같은 모양으로, 시나리오 2로서는 앵글구간에서는 자유롭게 신을 선택할 수 있고 퍼렌탈구간에서는, 신7이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하에, 도 21로 나타낸 멀티 신을 DVD의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경우의, PGC 정보(VTS_PGCI)에 관해서,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에는 도 21에 나타낸 유저지시의 시나리오를 도 16의 DVD데이터구조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VTSI데이터구조로 기술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도 21의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는, 도 16의 VTSI중의 프로그램 체인정보(VTS_PGCIT)내의 2개 프로그램 체인(VTS_PGCI#1과 VTS_ PGCI#2)으로서 기술된다. 즉, 시나리오 1를 기술하는 VTS_PGCI#1는, 신1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1), 멀티앵글 신에 상당하는 멀티앵글 셀블록내의 셀재생정보(C_PBI#2), 셀재생정보(C_PBI#3), 셀재생정보(C_PBI#4), 신5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5), 신6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6), 신8에 상당하는 C_PBI #7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나리오 2를 기술하는 VTS_PGC#2는, 신1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1), 멀티앵글 신에 상당하는 멀티앵글 셀블록내의 셀재생정보(C_PBI#2), 셀재생정보(C_PBI#3), 셀재생정보(C_PBI#4), 신5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 PBI#5), 신7에 상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6), 신8에 상당하는 C_PBI#7로 이루어진다. DVD데이터구조로서는, 시나리오의 1개의 재생제어의 단위인 신을 셀이라는 DVD데이터구조상의 단위로 대체하고 기술하여, 유저의 지시하는 시나리오를 DVD상에서 실현하고 있다.
도 31에는, 도 21에 나타낸 유저지시의 시나리오를 도 16의 DVD데이터구조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용의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인 VOB데이터구조(VTSTT_VOBS)에서 기술한 경우에 관해서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도 21의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의 2개의 시나리오는, 1개의 타이틀용 VOB데이터를 공통으로 사용하게 된다. 각 시나리오에서 공유하는 단독의 신은 신1에 상당하는 VOB#1, 신5에 상당하는 VOB#5, 신8에 상당하는 VOB#8는, 단독의 VOB로서, 인터리브 블록이 아닌 부분, 즉 연속블록에 배치된다.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서 공유하는 멀티앵글 신에서, 각각 앵글1은 VOB#2, 앵글2은 VOB#3, 앵글3은 VOB#4으로 구성, 요컨대 1앵글을 1VOB로 구성하고, 또한 각 앵글사이의 전환과 각 앵글의 심리스 재생을 위해, 인터리브 블록으로 한다.
또한,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서 고유인 신인 신6과 신7은, 각 신의 심리스 재생은 물론이고, 전후의 공통신과 심리스로 접속재생하기 위해서, 인터리브 블록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도 21로 나타낸 유저지시의 시나리오는 DVD데이터구조에 있어서, 도 30에 나타내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재생제어정보와 도 31에 나타내는 타이틀재생용 VOB데이터구조로 실현된다.
심리스
상기의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에 관련해 설명한 심리스재생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리스 재생이란, 공통 신 구간끼리로, 공통 신 구간과 멀티 신 구간으로, 및 멀티 신 구간끼리로, 영상, 음성, 부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접속하여 재생할 때에, 각 데이터 및 정보를 중단하는 일없이 재생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 및 정보재생의 중단의 요인으로서는, 하드웨어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디코더에 있어서, 소오스 데이터입력속도와, 입력된 소오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속도의 밸런스가 허뜨려지는, 소위 디코더의 언더플로우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더욱이, 재생되는 데이터의 특질에 관한 것으로서, 재생데이터가 음성과 같이, 그 내용 혹은 정보를 유저가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단위 이상의 연속재생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재생에 관하여, 그 요구되는 연속재생시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정보의 연속성이 잃어지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재생하는 것을 연속정보재생으로, 더욱이 심리스 정보재생이라고 부른다. 또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는 재생을 비연속 정보재생이라고 부르고, 더욱이 비 심리스 정보재생이라고 부른다. 더욱이, 말할나위도 없이 연속정보재생과 비 연속정보재생은, 각각 심리스 및 비심리스재생이다.
상기와 같이, 심리스 재생에는 버퍼의 언더플로우 등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데이터재생에 공백 또는 중단의 발생을 막는 심리스 데이터재생과 데이터재생 자체에는 중단은 없지만, 사용자가 재생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인식할 때에 정보의 중단을 느끼는 것을 막는 심리스 정보재생으로 정의한다.
심리스의 상세
이와 같이 심리스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하여는,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인터리브
상기의 DVD데이터의 시스템스트림을 오소링 엔코더(EC)를 이용하여, DVD매체상의 영화같은 타이틀을 기록한다. 그러나, 동일한 영화를 복수의 다른 문화권 혹은 나라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는 것 같은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사를 각 국의 언어마다로 기록하는 것은 당연하고, 또한 각 문화권의 윤리적요구에 응해서 내용을 편집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원래의 타이틀로부터 편집된 복수의 타이틀을 1매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DVD 라는 대용량 시스템에 있어서도, 비트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 않되고, 고화질이라는 요구가 충족시켜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공통부분을 복수의 타이틀로 공유하여, 다른 부분만을 각각의 타이틀마다 기록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것에 의해, 비트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1매의 광디스크에 나라별 또는 문화권별의 복수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1매의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타이틀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렌탈로크 제어나 멀티앵글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공통부분(신)과 비 공통부분(신)것을 가지는 멀티 신 구간을 가진다.
퍼렌탈로크제어의 경우는, 하나의 타이틀중에 성적 신, 폭력적 신 등의 아이에게 적당하지 않은 소위 성인용 신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타이틀은 공통의 신과, 성인용 신과, 미성년용 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이틀스트림은, 성인용 신과 비 성인용 신을 공통 신 사이에 설치한 멀티 신 구간으로서 배치하여 실현한다.
또한, 멀티앵글 제어를 통상의 단일 앵글타이틀내에 실현하는 경우에는, 각각 소정의 카메라앵글로 대상물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신을 멀티 신 구간으로서, 공통 신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여기서, 각 신은 다른 앵글로 촬영된 신의 예를 들고 있다. 동일한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만이라도 좋고, 또한 컴퓨터 그래픽스 등의 데이터만으로도 좋다.
복수의 타이틀로 데이터를 공유하면, 필연적으로 데이터의 공유부분으로부터 비공유부분으로의 광 빔(LS)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광학픽업을 광디스크(RC1)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 이동에 요하는 시간이 원인이 되어 소리나 영상을 도중에서 끊지 않고서 재생하는 것, 즉 심리스 재생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는 최악의 액세스시간에 상당하는 시간분의 트랙버퍼(스트림버퍼2400)를 구비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광픽업에 의해 읽어내여지고 소정의 신호처리가 행하여진 뒤, 데이터로서 트랙버퍼에 일단 축적된다. 축적된 데이터는, 그 후 디코드되어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재생된다.
인터리브의 정의
상기와 같이, 어떤 신을 커트하는 것이든지, 복수의 신에서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의 트랙상에, 각 신에 속하는 데이터단위로, 서로 연속한 배치로 기록되기 때문에, 공통 신 데이터와 선택 신 데이터와의 사이에 비 선택 신의 데이터가 끼어들어 기록되는 사태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기록되어 있는 순서로 데이터를 읽으면, 선택한 신의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디코드하기 전에, 비 선택 신의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않을수 없기 때문에 선택한 신으로의 심리스 접속이 곤란하다.
그러나,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기록매체에 대한 우수한 랜덤 액세스 성능을 살리고, 이러한 복수 신 사이에서의 심리스접속이 가능하다. 요컨대, 각 신에 속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로 분할하여 이것들의 다른 신이 속하는 복수의 분할데이터 단위를, 서로 소정의 순서로 배치하는 것으로, 점프성능 범위로 배치하는 것이며, 각각 선택된 신이 속하는 데이터를 분할단위마다 단속적으로 액세스하여 디코드함으로써, 그 선택된 신을 데이터가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심리스 데이터재생이 보증된다.
인터리브 블록, 유니트구조
도 24 및 도 54를 참조하여, 심리스 데이터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리브방식을 설명한다. 도 24로서는, 1개의 VOB(VOB-A)에서부터 복수의 VOB(VOB-B, VOB-D, VOB-C)로 분기재생하여, 그 후 1개의 VOB(VOB-E)로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4에서는, 이것들의 데이터를 디스크상의 트랙(TR)에 실제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4에 있어서의, VOB-A와 VOB-E는 재생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단독인 비디오 오브젝터이고, 원칙으로서 연속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VOB-B, VOB-C, VOB-D에 관하여는, 재생의 개시점, 종료점을 일치시켜, 인터리브처리를 한다. 그리고, 그 인터리브처리된 영역을 디스크상의 연속영역에 인터리브영역으로서 배치한다. 또한, 상기 연속영역과 인터리브영역을 재생의 순서로, 요컨대 트랙버스 Dr의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VOB, 즉 VOBS를 트랙(TR)상에 배치한 상태를 도 54에 나타낸다.
도 54에서는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데이터영역을 블록으로 하고, 그 블록은 상기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단독으로 완결되어 있는 VOB를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는 연속블록, 개시점과 종료점을 일치시켜 그 복수의 VOB를 인터리브한 인터리브 블록의 2종류이다. 그것들의 블록이 재생순으로, 도 3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1, 블록2, 블록3, …, 블록7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55에 있어서, VTSST_VOBS는, 블록1, 2, 3, 4, 5, 6, 및 7으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 1에는, VOB1이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같은 모양으로, 블록 2, 3, 5, 및 7에는, 각각, VOB2, 3, 6, 및 10이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이것들의 블록 2, 3, 5, 및 7은 연속블록이다.
한편, 블록 4에는 VOB4과 VOB5가 인터리브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 6에는 VOB7, VOB8, 및 VOB9의 세 VOB가 인터리브되어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이것들의 블록 4 및 6은 인터리브 블록이다.
도 56에 연속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VOBS에 VOB-i, VOB-j가 연속블록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연속블록내의 VOB-i 및 VOB-j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더욱 논리적인 재생단위인 셀로 분할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VOB-i 및 VOB-j의 각각이 3개의 셀(CELL#1, CELL#2, CELL#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셀은 1개 이상의 VOBU로 구성되어 있고, VOBU의 단위로 그 경계가 정의되어 있다. 셀은 DVD의 재생제어정보인 프로그램 체인(이하 PGC이라고 부르는)에는,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위치정보가 기술된다. 요컨대, 셀개시의 VOBU와 종료의 VOBU의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도 56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속블록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VOB도 그속에서 정의되는 셀도 연속영역에 기록된다. 그 때문에 연속블록의 재생은 문제가 없다.
다음에, 도 57에 인터리브 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다. 인터리브 블록으로서는, 각 VOB가 인터리브 유니트(ILVU) 단위로 분할되어, 각 VOB에 속하는 인터리브 유니트가 교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그 인터리브 유니트와는 독립하여 셀경계가 정의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VOB-k는 네개의 인터리브 유니트(ILVUk1, ILVUk2, ILVUk3, 및 ILVUk4)로 분할됨과 동시에, 두 개의 셀(CELL#1k, 및 CELL#2k)이 정의되어 있다. 같은 모양으로, VOB-m은 ILVUm1, ILVUm2, ILVUm3, 및 ILVUm4로 분할됨과 동시에, 두 개의 셀(CELL#1m, 및 CELL#2m)이 정의되어 있다. 요컨대, 인터리브 유니트(ILVU)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도 57의 예로서는, 두 개의 다른 VOB-k와 VOB-m의 각 인터리브 유니트(ILVUk1, ILVUk2, ILVUk3, 및 ILVUk4과 ILVUm1, ILVUm2, ILVUm3 및 ILVUm4)가 인터리브 블록내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VOB의 각 인터리브 유니트(ILVU)를, 이러한 배열에 인터리브하는 것으로, 단독의 신에서 복수의 신중 1개로 분기, 또한 그것들의 복수신의 1개에서부터 단독의 신으로의 심리스인 재생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인터리브하는 것으로, 많은 경우의 분기결합이 있는 신의 심리스 재생가능한 접속을 행할 수가 있다.
멀티 신
여기서, 본 발명에 근거한, 멀티 신 제어의 개념을 설명함과 동시에 멀티 신 구간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른 앵글에서 촬영된 신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고 있다. 그러나, 멀티 신의 각 신은 동일한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만으로도 좋고, 또한 컴퓨터 그래픽스 등의 데이터만으로도 좋다. 바꿔 말하면, 멀티앵글 신 구간은, 멀티 신 구간이다.
퍼렌탈
도 15을 참조하여, 퍼렌탈로크 및 디렉터즈커트 등의 복수타이틀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5에 퍼렌탈로크에 근거하는 멀티레이티드타이틀스트림의 일례를 나타낸다. 하나의 타이틀중에, 성적 신, 폭력적 신 등의 아이에게 적당하지 않는 소위 성인용 신이 포함되고 있는 경우, 이 타이틀은 공통의 시스템스트림(SSa, SSb, 및 SSe)과, 성인용 신을 포함하는 성인용 시스템스트림(SSc)과, 미성년용 신만을 포함하는 비성인용 시스템스트림(SSd)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이틀스트림은, 성인용 시스템스트림(SSc)과 비성인용 시스템 스트림(SSd)을, 공통시스템 스트림(SSb 와 SSe)의 사이에, 설치한 멀티 신 구간에 멀티 신 시스템스트림으로서 배치한다.
상기한 용도로 구성된 타이틀스트림의 프로그램 체인(PGC)에 기술되는 시스템스트림과 각 타이틀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성인용 타이틀의 프로그램 체인(PGC1)에는, 공통의 시스템스트림(SSa, SSb), 성인용 시스템스트림(SSc) 및, 공통시스템스트림(SSe)이 순서로 기술된다. 미성년자용 타이틀의 프로그램 체인(PGC2)에는, 공통의 시스템스트림(SSa, SSb), 미성년용 시스템스트림(SSd) 및 공통시스템스트림(SSe)이 순서로 기술된다.
이와 같이, 성인용 시스템스트림(SSc)과 미성년용 시스템스트림(SSd)를 멀티 신으로서 배열하는 것에 의해, 각 PGC의 기술에 근거하여, 상기의 디코딩방법으로, 공통의 시스템스트림(SSa 및 SSb)을 재생한 후, 멀티 신 구간에서 성인용 SSc를 선택하여 재생하고, 더욱이 공통의 시스템스트림(SSe)을 재생하는 것으로, 성인에 대한 내용을 가지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한편 멀티 신 구간에서 미성년용 시스템스트림(SSd)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으로, 성인용 신을 포함하지 않는, 미성년에 대한 타이틀을 재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타이틀스트림에, 복수의 대체 신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신 구간을 준비 해 두고, 사전에 해당 멀티구간의 신중에 재생하는 신을 선택하여 놓고, 그 선택내용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타이틀 신에서 다른 신을 가지는 복수의 타이틀을 생성하는 방법을 퍼렌탈로크라고 한다.
또, 퍼렌탈로크는 미성년보호라는 관점에서의 요구에 따라서 퍼렌탈로크라고 불리지만, 시스템스트림처리의 관점은, 상기와 같이 멀티 신 구간에서의 특정한 신을 유저가 미리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정적으로 다른 타이틀스트림생성하는 기술이다. 한편, 멀티앵글은 타이틀재생중에 유저가 수시 또한 자유롭게 멀티 신 구간의 신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타이틀의 내용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퍼렌탈로크기술을 이용하여 소위 디렉터즈커트라고 불리는 타이틀스트림편집도 가능하다. 디렉터즈커트란, 영화 등의 재생시간이 긴 타이틀을 비행기내에서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극장에서의 재생과 다르고, 비행시간에 의해서는 타이틀을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여 미리 타이틀제작 책임자, 요컨대 디렉터의 판단으로 타이틀재생시간 단축을 위해 커트하더라도 좋은 신을 정해 놓고 그와 같은 커트신을 포함하는 시스템스트림과 신 커트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스트림을 멀티 신 구간에 배치하여 놓는 것에 따라서, 제작자의 의지에 따른 신커트편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퍼렌탈제어로서는, 시스템스트림에서부터 시스템스트림으로의 이은 곳에 있어서, 재생화상을 매끄럽게 모순없게 잇는 것, 즉 비디오, 오디오 등 버퍼가 언더플로우하지 않는 심리스 데이터재생과 재생영상, 재생오디오가 시청각상, 부자연하지 않게 또는 중단하는 일없게 재생하는 심리스 정보재생이 필요하게 된다.
멀티앵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멀티앵글 제어의 개념을 설명한다. 통상, 멀티미디어 타이틀은, 대상물을 시간(T)의 경과와 같이 녹음 및 촬영(이후, 단지 촬영이라고 함)하여 얻어진다. #SC1, #SM1, #SM2, #SM3, 및 #SC3의 각 블록은, 각각 소정의 카메라앵글로 대상물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단위시간(T1, T2, 및 T3)에 얻어지는 멀티미디어 신을 대표하고 있다. 신(#SM1, #SM2, 및 #SM3)은, 촬영단위시간(T2)에 각각 다른 복수(제1, 제2, 및 제3)의 카메라앵글로 촬영된 신이고, 이후 제1, 제2, 및 제3멀티앵글 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멀티 신이 다른 앵글로 촬영된 신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고 있다. 그러나, 멀티 신의 각 신은 동일한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만으로도 좋고, 또한 컴퓨터그래픽스등의 데이터만으로도 좋다. 바꿔 말하면, 멀티앵글 신구간은 멀티 신 구간이고 그 구간의 데이터는 실제로 다른 카메라앵글로 얻어진 신 데이터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그 표시시간이 동일한 기간에 있는 복수의 신을 선택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로 되는 구간이다.
신(#SC1과 #SC3)은 각각 촬영단위시간(T1 및 T3)에 요컨대 멀티앵글 신의 전후로, 동일한 기본의 카메라앵글로 촬영된 신이며 이후, 기본앵글 신이라고 부른다. 통상, 멀티앵글중 1개는 기본카메라앵글과 동일하다.
이것들의 앵글 신의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야구의 중계방송을 예로 설명한다. 기본앵글 신(#SC1 및 #SC3)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기본카메라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제1멀티앵글 신(#SM1)은, 백 네트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제1멀티카메라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제2멀티앵글 신(#SM2)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제2멀티카메라앵글 요컨대 기본 카메라 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이 의미로서, 제2멀티앵글 신(#SM2)은, 촬영단위시간(T2)에 있어서의 기본앵글 신(#SC2)이다. 제3멀티앵글 신(#SM3)은, 백 네트측에서 본 내야를 중심으로한 제3멀티카메라 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멀티앵글 신(#SM1, #SM2, 및 #SM3)은 촬영단위시간(T2)에 대하여 표시시간이 중복되어 있어서, 이 기간을 멀티앵글 구간이라고 부른다. 시청자는 멀티앵글 구간에 있어서, 이 멀티앵글 신(#SM1, #SM2, 및 #SM3)을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기본앵글 신에서 기호의 앵글 신 영상을 마치 카메라를 바꾸고 있는 것같이 즐길 수 있다. 또, 도면속에서는 기본앵글 신(#SC1 및 #SC3)과 각 멀티앵글 신(#SM1, #SM2, 및 #SM3) 사이에, 시간적 갭이 있는 것같이 보이지만, 이것은 멀티앵글 신중 어느 것을 선택할까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의 경로가 어떻게 되는가를 알기 쉽게, 화살표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위한 것로서, 실제로는 시간적 갭이 없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3에 본 발명에 근거하는 시스템스트림의 멀티앵글 제어를, 데이터의 접속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기본앵글 신(#SC)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데이터를, 기본앵글데이터(BA)로 하여, 촬영단위시간(T1 및 T3)에 있어서의 기본앵글데이터(BA)를 각각 BA1 및 BA3으로 한다. 멀티앵글 신(#SM1, #SM2, 및 #SM3)에 대응하는 멀티앵글 데이터를, 각각, 제1, 제2, 및 제3멀티앵글 데이터(MA1, MA2, 및 MA3)로 표시하고 있다. 먼저, 도 33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앵글 신 데이터(MA1, MA2, 및 MA3)중 어느 쪽인가를 선택함으로써, 기호의 앵글 신1 영상을 바꿔 즐길 수 있다. 또한 같은 모양으로 기본앵글 신 데이터(BA1 및 BA3)와 각 멀티앵글 신 데이터(MA1, MA2, 및 MA3)와의 사이에는, 시간적 갭은 없다.
그러나, MPEG시스템스트림의 경우 각 멀티앵글 데이터(MA1, MA2, 및 MA3)중의 임의의 데이터와, 선행 기본앵글데이터(BA1)로부터의 접속과 또는 후속 기본앵글데이터(BA3)로의 접속때에는, 접속되는 앵글데이터의 내용에 의해서는, 재생되는 데이터 사이에서, 재생정보에 불연속이 생겨 한 개의 타이틀로서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요컨대, 이 경우 심리스 데이터재생이지만, 비 심리스 정보재생이다.
이하에, 도 23를 DVD시스템에 있어서의 멀티 신 구간내에서의, 복수의 신을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전후의 신으로 접속하는 심리스 정보재생인 멀티앵글 전환에 관해서 설명한다.
앵글 신 영상의 전환, 요컨대 멀티앵글 신 데이터(MA1, MA2, 및 MA3)중 1개를 선택하는 것이, 선행하는 기본앵글데이터(BA1)의 재생종료전까지 완료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앵글 신 데이터(BA1)의 재생중에 별도의 멀티앵글 신 데이터(MA2)로 바꾸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것은, 멀티미디어데이터는 가변길이부호화방식의 MPEG의 데이터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전환 이전의 데이터의 도중에서 데이터의 단락을 찾아 내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부호화처리에 프레임간 상관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앵글의 전환때에 영상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MPEG에 있어서는, 적어도 1프레임의 리프레쉬프레임을 가지는 처리단위로서 GOP가 정의되어 있다. 이 GOP라는 처리단위에 있어서는 다른 GOP에 속하는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는 클로즈드인 처리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재생이 멀티앵글 구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늦더라도, 선행 기본앵글데이터(BA1)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임의의 멀티앵글 데이터, 예컨대 MA3를 선택하면, 이 선택된 멀티앵글 데이터는 심리스로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멀티앵글 데이터의 재생 도중에, 다른 멀티앵글 신 데이터를 심리스로 재생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것 때문에, 멀티앵글 기간중에는 카메라를 바꾸는 것 같은 자유로운 시점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플로우 챠트: 엔코더
도 27를 참조하여 상기의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생성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엔코드 정보 테이블은 신의 분기점·결합점을 단락으로 한 신구간에 대응하여, 복수의 VOB가 포함되는 VOB세트데이터열과 각 신마다 대응하는 VOB데이터열로 이루어진다. 도 27에 표시되어 있는 VOB세트데이터열은, 뒤에 상술한다.
도 34의 스텝(#100)에서, 유저가 지시하는 타이틀 내용에 근거하여, DVD 의 멀티미디어스트림 생성을 위해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내에서 작성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이다. 유저 지시의 시나리오로서는 공통인 신에서 복수의 신으로의 분기점, 혹은 공통인 신으로의 결합점이 있다. 그 분기점·결합점을 단락으로 한 신 구간에 상당하는 VwOB를 VOB세트로 하고, VOB세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데이터를 VOB세트데이터열로 하고 있다. 또한, VOB세트데이터열에서는, 멀티 신 구간을 포함할 경우 표시되어 있는 타이틀 수를 VOB세트데이터열의 타이틀수(TITLE_NO)에 나타낸다.
도 27의 VOB세트데이터구조는 VOB세트데이터열중 1개의 VOB세트를 엔코드하기 위한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VOB세트 데이터 구조는, VOB세트번호(VOBS_ NO), VOB세트내의 VOB번호(VOB_NO), 선행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 후속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f), 멀티신플래그(VOB_Fp), 인터리브 플래그(VOB_ Fi), 멀티앵글(VOB_Fm),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 플래그(VOB_FsV), 인터리브 VOB의 최대 비트율(ILV_BR), 인터리브 VOB의 분할 수(ILV_DIV), 최소 인터리브 유니트 재생시간(ILV_MT)으로 된다.
VOB세트번호(VOBS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을 목표로 하는 VOB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VOB세트내의 VOB번호(VOB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을 목표로, 타이틀 시나리오 전체에 걸쳐 VOB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선행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는 시나리오 재생으로 선행의 VOB와 심리스로 접속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후속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f)는 시나리오 재생으로 후속의 VOB와 심리스로 접속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멀티 신 플래그(VOB_Fp)는 VOB세트가 복수의 VOB로 구성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는 VOB세트내의 VOB가 인터리브 배치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멀티앵글 플래그(VOB_Fm)는 VOB세트가 멀티앵글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멀티앵글 심리스전환플래그(VOB_FsV) 멀티앵글내의 전환이 심리스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인터리브 VOB최대 비트율(ILV_BR)은 인터리브하는 VOB의 최대 비트율의 값을 나타낸다.
인터리브 VOB분할수(ILV_DIV)은 인터리브하는 VOB의 인터리브 유니트 수를 나타낸다.
최소 인터리브 유니트 재생시간(ILVU_MT)은 인터리브 블록 재생때에 트랙버퍼의 언더플로우하지 않는 최소의 인터리브 유니트에 있어서, 그 VOB의 비트율이 ILV_ BR의 때에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여 상기의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생성하는 VOB마다 대응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엔코드 정보 테이블을 기초로 비디오 엔코더(300), 서브픽쳐 엔코더(500), 오디오엔코더(700), 시스템 엔코더(900)에 후술하는 각 VOB에 대응하는 엔코드 파라메터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8에 표시되어 있는 VOB데이터열은 도 34의 스텝(#100)에서 유저가 지시하는 타이틀 내용에 근거하여,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생성을 위해 엔코드 시스템 제어내에서 작성하는 VOB마다의 엔코드 정보 테이블이다. 1개의 엔코드단위를 VOB로 하고, 그 VOB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데이터를 VOB 데이터열으로 하고있다. 예컨대, 3개의 앵글 신으로 구성되는 VOB 세트는, 3개의 VOB로서 구성되게 된다. 도 28의 VOB데이터구조는 VOB데이터열중 1개의 VOB를 엔코드하기 위한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VOB데이터구조는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VST), 비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 _VEND), 비디오소재의 종류(VOB_V_KIND), 비디오의 엔코드 비트율(V_BR), 오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AST),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AEND), 오디오 엔코드 방식(VOB_A_KlND), 오디오의 비트율(A_BR)로 된다.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VST)은 비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비디오 엔코드의 개시시각이다.
비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VEND)은 비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비디오 엔코드의 종료시각이다.
비디오소재의 종류(VOB_V_KlND)는 엔코드소재가 NTSC형식이나 PAL형식중 어느 쪽일까, 또는 비디오소재가 텔레시네 변환처리된 소재인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것이다.
비디오의 비트율(V_BR)은 비디오의 엔코드 비트율이다.
오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AST)은 오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이다.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AEND)은 오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오디오 엔코드 방식(VOB_A_KIND)은 오디오의 엔코드방식을 표시하는 것이고, 엔코드방식에는 AC-3방식, MPEG방식, 리니어 PCM방식 등이 있다.
오디오의 비트율(A_BR)는, 오디오의 엔코드 비트율이다.
도 29에 VOB를 엔코드하기 위한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의 각 엔코더(300, 500, 및 900)로의 엔코드 파라메터를 나타낸다. 엔코드 파라메터는 VOB번호(VOB _NO),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 엔코드모우드(V_ENCMD), 비디오 엔코드 비트율(V_RATE),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V_ MRATE), GOP구조 고정플래그(GOP_FXflag),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 비디오 엔코드 초기데이터(V_INTST), 비디오 엔코드 종료데이터(V_ENDST),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A_STTM),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A_ENDTM), 오디오 엔코드 비트율(A_RATE ), 오디오 엔코드 방식(A_ENCMD), 오디오 개시때 갭(A_STGAP), 오디오 종료때 갭(A_ENDGAP), 선행 VOB번호(B_VOB_NO), 후속 VOB번호(F_VOB_NO)로 된다.
VOB번호(VOB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을 목표로 타이틀 시나리오 전체에 걸쳐 번호를 붙이는, VOB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은 비디오소재상의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이다.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STTM)은 비디오소재상의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엔코드모우드(V_ENCMD)는 비디오소재가 텔레시네 변환된 소재일 경우에는, 효율이 좋은 엔코드가 되도록 비디오 엔코드때에 역 텔레시네 변환처리를 하는가 아닌가 등을 설정하기 위한 엔코드모우드이다.
비디오 엔코드 비트율(V_RATE)은 비디오 엔코드때의 평균비트율이다.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V_MRATE)은 비디오 엔코드때의 최대 비트율이다.
GOP구조 고정플래그(GOP_FXflag)는 비디오 엔코드때에 도중에서, GOP구조를 변경시키는 일없이 엔코드를 하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것이다. 멀티앵글 신중에 심리스로 전환가능하게 할 경우에 유효한 파라메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는 엔코드때의 GOP구조데이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초기데이터(V_INST)는 비디오 엔코드개시때의 VBV버퍼(복호버퍼)의 초기치등을 설정한다, 선행의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할 경우에 유효한 파라메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종료 데이터(V_ENDST)는 비디오 엔코드종료때의 VBV버퍼(복호버퍼)의 종료치 등을 설정한다. 후속의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할 경우에 유효한 파라메터이다.
오디오 엔코더 개시시각(A_STTM)은 오디오소재상의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이다.
오디오 엔코더 종료시각(A_ENDTM)은 오디오소재상의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오디오엔코드 비트율(A_RATE)은 오디오엔코드때의 비트율이다.
오디오 엔코드 방식(A_ENCMD)은 디오의 엔코드방식이고, AC-3방식, MPEG방식, 리니어 PCM방식 등이 있다.
오디오 개시때 갭(A_STGAP)은 VOB개시때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개시가 어긋나는 시간이다. 선행의 시스템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할 경우에 유효한 파라메터이다.
오디오 종료때 갭(A_ENDGAP)은 VOB종료때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종료가 어긋나는 시간이다. 후속의 시스템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할 경우에 유효한 파라메터이다.
선행 VOB번호(B_VOB_NO)는 심리스 접속의 선행 VOB가 존재할 경우에 그 VOB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
후속 VOB번호(F_VOB_NO)는 심리스 접속의 후속 VOB가 존재할 경우에 그 VOB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DVD엔코더(ECD)의 작동을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이중선으로 둘러싸인 블록은 각각 서브루틴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DVD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말할 필요도 없이 오소링 엔코더(EC)에 관해서도 같은 모양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스텝(#100)에 있어서, 사용자는 편집정보 작성부(100)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2, 및 St3)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시나리오에 따른 내용의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스텝(#200)에서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유저의 편집지시에 응해서, 상기의 편집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생성한다.
스텝(#200)에서의, 시나리오 데이터(St7)의 생성때에, 유저의 편집지시 내용중, 인터리브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멀티앵글, 퍼렌탈의 멀티 신 구간에서의 인터리브때의 편집지시는, 이하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입력한다.
우선 화질적으로 충분한 화질이 얻어지는 것 같은 VOB의 최대 비트율을 결정하고, 또한 DVD엔코드데이터의 재생장치로서 상정하는 DVD디코더(DCD)의 트랙버퍼량 및 점프성능, 점프시간과 점프거리의 값을 결정한다. 상기 값을 바탕으로, 식 3, 식 4에서, 최소 인터리브 유니트의 재생시간을 얻는다.
다음에, 멀티 신 구간에 포함되는 각 신의 재생시간을 바탕으로 식 5 및 식 6을 충족시키는지 어떤지를 검증한다.
충족시키지 않으면 후속 신 일부 신을 멀티 신 구간의 각 신에 접속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식 5 및 식 6을 충족시키도록 유저는 지시의 변경입력을 한다.
또한, 멀티앵글의 편집지시의 경우 심리스 전환시에는 식 7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앵글의 각 신의 재생시간, 오디오는 동일한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또한 비 심리스 전환시에는 식 8을 충족시키도록 유저는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스텝(#3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우선, 대상 신을 선행 신에 대하여, 심리스로 접속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심리스 접속이란, 선행 신 구간이 복수의 신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신 구간인 경우에, 그 선행 멀티 신 구간에 포함되는 전 신중의 임의의 1신을, 현시점의 접속대상인 공통신과 심리스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현시점의 접속대상 신이 멀티 신 구간인 경우에는, 멀티 신 구간중 임의의 1신을 접속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300)에서 NO, 요컨대 비 심리스 접속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400)으로 진행한다.
스텝(#400)으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대상 신이 선행 신과 심리스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선행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를 리셋하여, 스텝(#6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300)에서 YES, 요컨대 선행 신과 심리스 접속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500)으로 진행한다.
스텝(#500)에서, 선행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를 세트하여 스텝(#600)으로 진행한다.
스텝(#6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대상 신을 후속하는 신과 심리스 접속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600)에서 NO, 즉 비 심리스접속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스텝(#700)으로 진행한다.
스텝(#7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신을 후 속신과 심리스 접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후속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f)를 리셋하여 스텝(#9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600)에서 YES, 즉 후속 신과 심리스 접속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800)으로 진행한다.
스텝(#8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후속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 _Fsf)를 세트하여 스텝(#900)으로 진행한다.
스텝(#9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접속대상의 신이 1개 이상 요컨대, 멀티 신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멀티 신에는, 멀티 신에서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재생경로중, 1개의 재생경로만을 재생하는 퍼렌탈제어와 재생경로가 멀티 신 구간의 사이에서, 전환가능한 멀티앵글 제어가 있다.
시나리오 스텝(#900)에서 NO, 즉 비멀티 신 접속이라고 판단될 때는, 스텝(# 1000)으로 진행한다.
스텝(#1000)에서, 멀티 신 접속인 것을 나타내는 멀티신플래그(VOB_Fp)를 리셋하여,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스텝(#1800)의 작동에 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한편, 스텝(#900)에서 YES, 즉 멀티 신 접속으로 판단될 때에는, 스텝(#1100)으로 진행한다.
스텝(#1100)에서, 멀티 신 플래그(VOB_Fp)를 세트하여, 멀티앵글 접속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스텝(#1200)으로 진행한다.
스텝(#1200)에서, 멀티 신 구간중의 복수의 신 사이에서의 전환을 하는지 어떤지 즉, 멀티앵글의 구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1200)에서, NO, 즉, 멀티 신 구간의 도중에서 전환하지 않고서, 1개의 재생경로만을 재생하는 퍼렌탈제어로 판단될 때에는 스텝(#1300)으로 진행한다.
스텝(#1300)에서 접속대상 신이 멀티앵글인 것을 나타내는 멀티앵글 플래그(VOB _Fm)를 리셋하여 스텝(#1302)으로 진행한다.
스텝(#1302)에서, 선행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 및 후속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f)중 어느쪽이 세트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스텝(#1300)에서 YES, 즉 접속대상 신은 선행 또는 후속의 신중 어느 쪽과 또는, 양쪽과 심리스 접속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1304)으로 진행한다.
스텝(#1304)에서는 대상 신의 엔코드데이터인 VOB를 인터리브하는 것을 나타내는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를 세트하여, 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1302)에서 NO, 즉, 대상 신이 선행 신 및 후속 신의 어느 쪽과도 심리스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1306)으로 진행한다.
스텝(#1306)에서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를 리셋하여 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1200)에서 YES, 즉 멀티앵글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1400)으로 진행한다.
스텝(#1400)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m) 및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를 세트한 뒤 스텝(#1500)으로 진행한다.
스텝(#15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멀티앵글 신 구간에서, 요컨대 VOB보다도 작은 재생단위로 영상이든지 오디오를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소위 심리스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한다. 스텝(#1500)에서 NO, 즉 비 심리스전환으로 판단된 때에는, 스텝(#1600)으로 진행한다. 스텝(#1600)에서, 대상 신이 심리스전환인 것을 나타내는 심리스전환플래그(VOB_FsV)를 리셋하여 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1500)에서 YES, 즉 심리스전환으로 판단된 때에는, 스텝(#1700)으,로 진행한다.
스텝(#1700)에서, 심리스전환플래그(VOB_FsV)를 세트하여 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편집의사를 반영한 시나리오 데이터(St7)로부터, 편집정보가 상기의 각 플래그의 세트상태로 되어 검출되어 뒤에 스텝(#1800)으로 진행한다.
스텝(#1800)에서, 상기와 같이 각 플래그의 세트상태로 되어 검출된 유저의 편집의사에 따라서, 소오스스트림을 엔코드하기 위한, 각각 도 27 및 도 28에 표시된 VOB세트단위 및 VOB단위마다의 엔코드 정보 테이블로의 정보부가와 도 29에 표시되는 VOB 데이터단위에서의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스텝(#1900)으로 진행한다. 이 엔코드 파라메터작성 스텝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35, 도 36, 도 37, 도 38을 참조하여 뒤에 설명한다.
스텝(#1900)에서 스텝(#1800)에서 작성된 엔코드 파라메터에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엔코드를 한 뒤에 스텝(#2000)으로 진행한다. 한편, 서브픽쳐 데이터는 원래 필요에 따라서, 비디오재생중에 수시로 삽입하여 이용할 목적으로부터 전후의 신 등과의 연속성은 원래 불필요하다. 더욱이, 서브픽쳐는 대체로 1화면 분량의 영상정보이기 때문에, 시간축상에 연재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와는 다르고, 표시상은 정지의 경우가 많고, 항상 연속하여 재생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심리스 및 비 심리스라는 연속재생에 관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간편화를 위해 서브픽쳐 데이터의 엔코드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2000)에서는, VOB세트의 수만큼 스텝(#300)에서부터 스텝(#1900)까지의 각 스텝으로부터 구성되는 루우프를 돌려, 도 16의 타이틀의 각 VOB의 재생순 등의 재생정보를 자신의 데이터구조에 가지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I)정보를 포맷하여, 멀티루틴 구간의 VOB를 인터리브배치를 작성하고, 그리고 시스템을 엔코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VOB세트데이터열 및 VOB데이터열을 완성시킨다. 다음에, 스텝(#2100)으로 진행한다.
스텝(#2100)에서 스텝(#2000)까지의 루우프의 결과로써 얻어지는 전 VOB 세트수(VOBS_NUM)를 구하여, VOB세트 데이터열에 추가하고, 또한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있어서, 시나리오 재생경로의 수를 타이틀 수로 한 경우의, 타이틀 수(TITLE _NO)를 설정하여, 엔코드 정보 테이블로서의 VOB세트 데이터열을 완성한 뒤, 스텝(#2200)으로 진행한다.
스텝(#2200)에서, 스텝(#1900)에서 엔코드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 도 29의 엔코드 파라메터에 따라서, 도 16의 VTSTT_VOBS내의 VOB(VOB#i)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시스템 엔코드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2300)으로 진행한다. 스텝(#2300)에서, 도 16의 VTS정보, VTSI에 포함되는 VTSI관리테이블(VTSI_MAT), VTSPGC정보테이블(VTSPGCIT) 및, VOB데이터의 재생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체인정보(VTS_PGCI#I)의 데이터작성 및 멀티 신 구간에 포함시킬 수 있는 VOB의 인터리브배치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 포맷을 행한다.
도 35,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도 34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의 스텝(#1800)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서브루틴이 있어서의 멀티앵글 제어때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 35을 참조하여 도 34의 스텝(#1500)에서 NO로 판단될 때, 즉 각 플래그가 각각 VOB_Fsb=1 또는 VOB_Fsf=1, VOB_Fp=1, VOB_Fi=1, VOB_Fm=1, FsV=0인 경우, 즉 멀티앵글 제어때의 비 심리스 전환 스트림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작동으로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 도 29에 나타내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스텝(#181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어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또한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181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인터리브VOB의 최대 비트율(ILV_BR)을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VOB_Fi=1)에 근거하여 엔코드 파라메터의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V_MRATE)에 설정한다.
스텝(#1816)으로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최소 인터리브 유니트 재생시간(ILVU_MT)을 추출한다.
스텝(#1818)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p=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의 N=15, M=3의 값을 GOP구조 고정플래그 GOPFXflag="1"에 설정한다.
스텝(#1820)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틴이다. 도 36에, 스텝(#1820)의 VOB데이터 공통 설정루틴을 나타낸다. 이하의 작동플로우에서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 도 29에 나타내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스텝(#182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각 VOB의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VST), 종료시각(VOB_VEND)을 추출하여,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과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을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2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각 VOB의 오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AST)을 추출하여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A_STTM)을 오디오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26)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각 VOB의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AEND)을 추출하여 VOB_AEND를 초과하지 않은 시각에서, 오디오 엔코드 방식으로서 정해지는 오디오 액세스 유니트(이하 AAU로 기술한다)단위의 시각을 오디오엔코드의 파라메터인 엔코드 종료시각(A_ENDTM)으로 한다.
스텝(#1828)은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과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A_STTM)의 차이에서, 오디오 개시때 갭(A_STGAP)을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30)에서는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과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A_ENDTM)의 차이에서, 오디오 종료때 갭(A_ENDGAP)을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3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비디오의 비트율(V_BR)을 추출하고, 비디오 엔코드의 평균비트율로서, 비디오 엔코드 비트율(V_TATE)을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3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오디오의 비트율(A_BR)을 추출하고 오디오엔코드 비트율(A_RATE)을 오디오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36)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비디오소재의 종류(VOB_V_KlND)를 추출하여 필름소재, 즉 텔레시네 변환된 소재이면 비디오 엔코드모우드(V_ENCMD)에 역 텔레시네 변환을 설정하여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38)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오디오의 엔코드방식(VOB_A_KIND)을 추출하여, 오디오 엔코드 모우드(A_ENCMD)에 엔코드방식을 설정하여 오디오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40)에서는 비디오 엔코드 초기데이터(V_INST)의 VBV버퍼 초기치가, 비디오 엔코드 종료 데이터(V_ENDST)의 VBV버퍼 종료치 이하의 값이 되도록 설정하여,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42)에서는, 선행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 VOB_Fsb=1에 근거하여, 선행 접속의 VOB번호(VOB_NO)를 선행 접속의 VOB번호(B_VOB_NO)로 설정하여,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44)에서는, 후속 VOB리스 접속 플래그 VOB_Fsf=1에 근거하여, 후속 접속의 VOB번호(VOB_NO)를 후속접속의 VOB번호(F_VOB_NO)로 설정하여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멀티앵글의 VOB세트이며, 비 심리스 멀티앵글 전환의 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메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7을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1500)에서 Yes로 판단될 때, 즉 각 플래그가 각각 VOB_Fsb=1 또는 VOB_Fsf=1, VOB_Fp=1, VOB_Fi=1, VOB_Fm=1, VOB_FsV=1인 경우의, 멀티앵글 제어때의 심리스 전환 스트림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작동으로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도 29에 나타내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스텝(#185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된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또한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185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인터리브 VOB의 최대 비트율로서 LV_BR을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 VOB_Fi=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V_RATE)로 설정한다.
스텝(#185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최소 인터리브 유니트 재생시간(IL VU_MT)을 추출한다.
스텝(#1856)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 VOB_Fp=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의 N=15, M=3의 값으로 GOP구조 고정플래그 GOPFXflag="1"에 설정한다.
스텝(#1858)에서는 심리스 전환플래그 VOB_FsV=1에 따라서,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에 클로즈드 GOP를 설정,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메터로 한다.
스텝(#1860)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틴이다. 이 공통의 루틴은 도 35에 나타내는 루틴이고,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멀티앵글의 VOB 세트로, 심리스 전환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파라메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8를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1200)에서 NO로 판단되고, 스텝(1304)에서 YES로 판단될 때, 즉 각 플래그가 각각 VOB_FSB=1 또는 VOB_FSF=1, VOB_FP=1, VOB_Fi=1, VOB_Fm=0인 경우의, 퍼렌탈제어때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작동으로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도 29에 나타내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스텝(#187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어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또한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187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인터리브 VOB의 최대비트율(ILV_BR)을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 VOB_Fi=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V_RATE)에 설정한다.
스텝(#187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VOB인터리브 유니트 분할수(ILV_DIV)를 추출한다.
스텝(#1876)은 VOB데이터 설정의 공통의 루틴이다. 이 공통의 루틴은 도 35에 나타내는 루틴이고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멀티 신의 VOB세트로 퍼렌탈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파라메터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3를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900)에서, NO로 판단될 때 즉 각 플래그는 각각 VOB_Fp=0인 경우의 즉 단일 신의 엔코드 파라메터 생성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작동으로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도 29에 나타내는 엔코드 파라메터를 작성한다.
스텝(#188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어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또한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188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서, 인터리브 VOB의 최대 비트율 (ILV_BR)을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 VOB_Fi=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율 (V_MRATE)에 설정한다.
스텝(#1884)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틴이다. 이 공통의 루틴은 도 35에 나타내는 루틴이고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엔코드 정보 테이블작성, 엔코드 파라메터작성 플로우에 의해서, DVD의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 엔코드, DVD의 포맷터를 위한 엔코드 파라메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의 플로우챠트
디스크로부터 스트림버퍼 전송 플로우
이하에, 도 47 및 도 48를 참조하여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따라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가 생성하는 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코드 정보 테이블은, 도 47에 나타내는 디코드시스템 테이블과, 도 48에 나타내는 디코드테이블로부터 구성된다.
도 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코드시스템 테이블은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와 셀정보 레지스터부로 이루어진다.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는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포함되는 유저가 선택한, 타이틀번호 등의 재생, 시나리오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한다. 셀정보 레지스터부는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가 추출된 유저의 선택 시나리오정보에 기인하여 프로그램 체인을 구성하는 각 셀정보를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한다.
더욱이,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는,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 VTS번호레지스터(VTS_NO_reg), PGC번호레지스터(VTS_PGCI_NO_reg), 오디오 ID레지스터(AUDIO_ID_reg), 부영상 ID레지스터(SP_ID_reg), 및 SCR용 버퍼레지스터(SCR_ buffer)를 포함한다.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는, 재생하는 PGC에 멀티앵글이 존재하는 경우, 어떤 앵글을 재생할지의 정보를 기록한다. VTS번호레지스터(VTS_NO_reg)는,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VTS중, 다음에 재생하는 VTS의 번호를 기록한다. PGC 번호레지스터(VTS_PGCI_NO_reg)는 퍼렌탈 등의 용도로 VTS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PGC중, 어떤 PGC를 재생하는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오디오 ID레지스터(AUDIO_ID_reg)는 VTS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오디오 스트림중, 어느 것을 재생하는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부영상 ID레지스터(SP_ID_reg)는, VTS중에 복수의 부영상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는, 어떤 부영상스트림을 재생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SCR용 버퍼(SCR_buffer)는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헤더에 기술되는 SCR를 일시기억하는 버퍼이다. 이 일시기억된 SCR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림 재생데이터(St63)로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출력된다.
셀정보 레지스터부는, 셀블록 모우드 레지스터(CBM_reg), 셀블록 타입 레지스터(CBT_reg), 심리스 재생 플래그 레지스터(SPB_reg), 인터리브얼 로케이션 플래그 레지스터(IAF_reg), STC재설정 플래그 레지스터(STCDF_reg), 심리스 앵글전환플래그 레지스터(SACF_reg), 셀최초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FVOBU_SA_reg), 셀최후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LVOBU_SA_reg)를 포함한다.
셀블록 모우드 레지스터(CBM_reg)는 복수의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고, 구성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 값으로서 "N_BLOCK"을 기록한다. 또한,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그 기능블록의 선두의 셀의 경우에 "F_CELL"를 최후의 셀의 경우에는 "L_CELL"를 그 사이의 셀의 경우에는 "BLOCK"을 값으로서 기록한다.
셀블록 타입 레지스터(CBT_reg)는, 셀블록 모우드 레지스터(CBM_reg)를 나타낸 블록의 종류를 기록하는 레지스터이고, 멀티앵글의 경우에 "A_BLOCK"를 멀티앵글이 아닌 경우에 "N_BLOCK"를 기록한다.
심리스 재생 플래그 레지스터(SPF_reg)는 해당 셀이 전에 재생되는 셀 또는 셀블록과 심리스로 접속하여 재생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앞셀 또는 앞셀블록과 심리스로 접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값으로서 "SML"를 심리스 접속이 아닌 경우는 값으로서 "NSML"를 기록한다.
인터리브얼 로케이션 플래그 레지스터(IAF_reg)는 해당 셀이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정보를 기록한다.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값으로서 "ILVB"를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N_ILVB"을 기록한다.
STC재설정 플래그 레지스터(STCDF_reg)는, 동기를 취할 때에 사용하는 STC(System Time Clock)를 셀의 재생때에 재설정할 필요가 있을까 없을까의 정보를 기록한다.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값으로서 "STC_RESET"를 재설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값으로서 "STC_NRESET"를 기록한다.
심리스 앵글 체인지 플래그 레지스터(SACF_reg)는 해당 셀이 앵글구간에 속하고, 또한 심리스로 전환되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앵글구간에서 또한 심리스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값으로서 "SML"를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NSML"을 기록한다.
셀최초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FVOBU_SA_reg)는 셀선두 VOBU개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그 값은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의 선두셀의 논리섹터에서부터의 거리를 섹터수로 나타내어 해당 섹터수를 기록한다.
셀최후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LVOBU_SA_reg)는 셀최종 VOBU개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그 값은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의 선두셀의 논리섹터에서부터 거리를 섹터수로 나타내어 해당 섹터수를 기록한다.
다음에, 도 48의 디코드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코드 테이블은 비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 레지스터부,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레지스터부, VOBU정보레지스터부, 심리스 재생 레지스터부로 이루어진다.
비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레지스터부는, NSML_AGL_C1_DSTA_reg∼NSML_AGL_C9 _DSTA_reg을 포함한다. NSML_AGL_C1_DSTA_reg∼NSML_AGL_C9_DSTA_reg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PCI패킷중의 NSML_AGL_C1_DSTA∼NSML_AGL_C9_DSTA를 기록한다.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레지스터부는 SML_AGL_C1_DSTA_reg∼SML_AGL_C9_DSTA_reg를 포함한다. SML_AGL_C1_DSTA_reg∼SML_AGL_C9_DSTA_reg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DSI 패킷중의 SML_AGL_C1_DSTA∼ SML_AGL_C9_DSTA를 기록한다.
VOBU정보레지스터부는, VOBU최종 어드레스 레지스터(VOBU_EA_reg)를 포함한다.
VOBU정보레지스터(VOBU_EA_reg)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DSI패킷중의 VOBU_EA를 기록한다.
심리스 재생 레지스터부는 인터리브 유니트 플래그 레지스터(ILVU_flag_reg), 유니트 엔드 플래그 레지스터(UNIT_END_flag_reg), ILVU최종 팩 어드레스 레지스터(ILVU_ EA_reg), 다음 인터리브 유니트 개시 어드레스(NT_ILVU_SA_reg), VOB내 선두 비디오 프레임 표시개시 시각 레지스터(VOB_V_SPTM_reg), VOB내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종료시각 레지스터(VOB_V_EPTM_reg), 오디오 재생 정지시각 1레지스터(VOB_A_GAP_PTM 1_reg), 오디오 재생정지시각 2레지스터(VOB_A_GAP_PTM2_reg), 오디오 재생정지기간 1레지스터(VOB_A_GAP_LEN1), 오디오 재생 정지기간 2레지스터(VOB_A_GAP_ LEN2)를 포함한다.
인터리브 유니트 플래그 레지스터(ILVU_flag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가를 표시하는 것이고,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ILVU"를,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N_ILVU"를 기록한다.
유니트 엔드 플래그 레지스터(UNIT_END_flag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할 경우, 해당 VOBU가 ILVU의 최종 VOBU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ILVU는, 연속 판독단위이기 때문에, 현재 판독하고 있는 VOBU가, ILVU의 최후의 VOBU 이면 "END"를 최후의 VOBU가 아니면 "N_END"를 기록한다.
ILVU최종 팩 어드레스 레지스터(ILVU_EA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속하는 ILVU의 최종팩의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에서의 섹터수이다.
다음 ILVU 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NT_ILVU_SA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다음 ILVU의 개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에서의 섹터수이다.
VOB내 선두 비디오 프레임 표시 개시시각 레지스터(VOB_V_SPTM_reg)는 VOB의 선두 비디오 프레임의 표시를 개시하는 시각을 기록한다.
VOB내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 종료시각 레지스터(VOB_V_EPTM_reg)는 VOB의 최종 비디오 프레임의 표시가 종료되는 시각을 기록한다.
오디오 재생정지시각 1레지스터(VOB_A_GAP_PTM1_reg)는 오디오 재생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오디오 재생정지기간 1레지스터(VOB_A_GAP_LEN1_reg)는 오디오 재생을 정지시키는 기간을 기록한다. 오디오 재생정지시각 2레지스터(VOB_A_GAP_ PTM2_reg)와 오디오 재생정지기간 2레지스터(VOB_A_GAP_LEN2)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도 49에 나타내는 DVD디코더플로우를 참조하면서, 도 26에 블럭도를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DVD디코더(DCD)의 작동을 설명한다.
스텝(#310202)은 디스크가 삽입되었는가를 평가하는 스텝이고, 디스크가 세트되면 스텝(#310204)으로 진행한다.
스텝(#310204)에 있어서, 도 22의 볼륨파일정보(VFS)를 읽어 낸 뒤에, 스텝(#310206)으로 진행한다.
스텝(#310206)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비디오매니저(VMG)를 판독, 재생하는 VTS를 추출하여, 스텝(#310208)으로 진행한다.
스텝(#310208)에서는, VTS의 관리테이블(VTSI)에서, 비디오 타이틀 세트메뉴 어드레스정보(VTSM_C_ADT)를 추출하여, 스텝(#310210)으로 진행한다.
스텝(#310210)에서는 VTSM_C_ADT정보에 근거하여 비디오 타이틀 세트메뉴 (VTSM_VOBS)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여, 타이틀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이 메뉴에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틀을 선택한다. 이 경우, 타이틀뿐만이 아니라, 오디오번호, 부영상번호, 멀티앵글을 포함하는 타이틀이면, 앵글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끝나면, 다음 스텝(#310214)으로 진행한다.
스텝(#310214)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타이틀번호에 대응하는 VTS_PGCI#J를 관리테이블에서 추출한 뒤에, 스텝(#310216)에 진행한다.
다음 스텝(#310216)에서 PGC의 재생을 개시한다. PGC의 재생이 종료하면, 디코드처리는 종료된다. 이후, 별도의 타이틀을 재생하는 경우는, 시나리오 선택부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이 있으면 스텝(#310210)의 타이틀 메뉴표시로 복귀하는 등의 제어로서 실현된다.
다음에, 도 50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스텝(#310216)의 PGC의 재생에 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PGC재생스텝(#3102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31030, #31032, #31034, 및 #31035)으로 이루어진다.
스텝(#31030)에서는, 도 47에 나타낸 디코드시스템 테이블의 설정을 한다.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 VTS번호레지스터(VTS_NO_reg), PGC번호레지스터(PGC_NO_reg), 오디오 ID레지스터(AUDIO_ID_reg), 부영상 ID레지스터(SP_ID_ reg)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서의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설정된다.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하는 것으로, 재생되는 PGC가 전적으로 결정되면 해당 하는 셀정보(C_PBI)를 추출하여 셀정보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설정되는 레지스터는, CBM_reg, CBT_reg, SPF_reg, IAF_reg, STCDF_reg, SACF_reg, C_FVOBU_SA_ reg, C_LVOBU_SA_reg이다.
디코드시스템 테이블의 설정후, 스텝(#31032)의 스트림버퍼로의 데이터전송처리와, 스텝(#31034)의 스트림버퍼내의 데이터 디코드처리를 병렬로 기동한다.
여기서, 스텝(#31032)의 스트림버퍼로의 데이터 전송처리는, 도 26에 있어서, 디스크(M)에서 스트림버퍼(2400)로의 데이터전송에 관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타이틀정보 및 스트림중에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내브팩(NV))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크(M)에서 판독, 스트림버퍼(2400)로 전송하는 처리이다.
한편, 스텝(#31034)은 도 26에 있어서, 스트림버퍼(2400)내의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비디오출력(3600)과 오디오출력(3700)으로 출력하는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즉, 스트림버퍼(2400)에 축적된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재생하는 처리이다.
이 스텝(#31032)과, 스텝(#31034)은 병렬로 작동한다.
스텝(#31032)에 대해서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스텝(#31032)의 처리는 셀단위이고 1개의 셀의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스텝(#31035)에서 PGC의 처리가 종료했는가를 평가한다. PGC의 처리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스텝(#31030)에서 다음 셀에 대응하는 디코드시스템 테이블의 설정을 한다. 이 처리를 PGC가 종료할 때까지 행한다.
스트림버퍼로부터의 디코드 플로우
다음에 도 51를 참조하여, 도 50에 나타낸 스텝(#31034)의 스트림버퍼내의 디코드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스텝(#310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31110), 스텝(#31112), 스텝(#31114), 스텝(#31116)으로 이루어진다.
스텝(#31110)은 도 26에 나타내는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시스템디코더(2500)로의 팩단위에서의 데이터전송을 하여, 스텝(#311121)으로 진행한다.
스텝(#31112)은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전송되는 팩데이터를 각 버퍼 즉,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버퍼(2800)로의 데이터전송을 한다.
스텝(#31112)에서는 유저가 선택한 오디오 및 부영상의 ID, 즉 도 47에 나타내는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에 포함되는 오디오 ID레지스터(AUDIO_ID_reg), 부영상 ID레지스터(SP_ID_reg)와, 도 19에 나타내는 패킷헤더중의, 스트림 ID 및 서브스트림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킷을 각각의 버퍼(비디오버퍼(2600), 오디오버퍼(2700), 서브픽쳐 버퍼(2800))로 나눠, 스텝(#31114)으로 진행한다.
스텝(#31114)은 각 디코더(비디오디코더, 서브픽쳐 디코더, 오디오디코더)의 디코드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각 디코더간의 동기처리를 행하여, 스텝(#31116)으로 진행한다.
스텝(#31114)의 각 디코더의 동기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텝(#31116)은 각 엘러멘트리의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즉, 비디오디코더는 비디오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서브픽쳐 디코더도 같은 모양으로, 서브픽쳐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오디오디코더도 같은 모양으로 오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디코드처리가 끝나면 스텝(#31034)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52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스텝(#31114)에 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스텝(#31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31120), 스텝(#31122), 스텝(#31124)으로 이루어진다.
스텝(#31120)은 선행하는 셀과 해당 셀이 심리스 접속인지를 평가하는 스텝이고, 심리스 접속이면 스텝(#311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31124)으로 진행한다.
스텝(#31122)은 심리스용의 동기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31124)은 비 심리스용의 동기처리를 행한다.
비디오 엔코더
도 25의 비디오 엔코더(300)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St1)의 소재로서는 필름으로 촬영된 영화 등이 있지만 DVD 등에 기록되는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은, 가정용의 텔레비젼수상기에 접속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비트스트림의 엔코드때에, 비디오소오스의 편집이 용이함에서, 도 25의 오소링 엔코더로의 소재의 공급에는 디지털의 VTR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필름의 프레임 레이트는 매초 24프레임이고, NTSC의 가정용의 텔레비젼수상기나 디지털 VTR에 있어서는,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는 매초 29.97프레임이기 때문에, 필름으로 촬영된 영화소재를, 텔레시네 변환이라고 불리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수법에 의해서 레이트변환을 한 뒤, 디지털 VTR에 기록되는 영상신호가 작성된다.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의 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이 있어서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를 도 25의 비디오 엔코더(300)에 조립될 수 있는 비디오 엔코더(300A)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비디오 엔코더(300A)는 프레임 메모리(304, 306) 필드간 차분기(308), 임계치판정기(310),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 셀렉터(314), 부호화장치(316)로 구성된다.
입력제어기(302)는 도 25에 나타내는 편집정보 작성부(100)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각각 비디오신호(St1) 및 타이밍신호(St9)의 공급을 받는다. 그 비디오신호(St1)가 텔레시네 화상인 경우에는, 비디오 엔코더로의 제어데이터로서 이용되는 역 텔레시네 변환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텔레시네 화상(RT1)은 프레임 메모리(304)에 의해, 1프레임분량만 유지된 뒤에,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으로서 프레임 메모리(306), 셀렉터(314), 및 필드차분기(308)에 입력된다.
필드차분기(308)에서는, 1프레임지연 텔레시네 화상(RT2)과 [입력제어기(302)에서부터 입력된] 현프레임의 텔레시네 화상(RT1)의 동일패리티의 필드간 차분이 집계된다. 집계된 결과는, 차분치(RT3)로서 임계치판정기(310)에 입력된다.
임계치판정기(310)에서는 차분치(RT3)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비교결과신호(RT5)를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에 입력한다.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는 비교결과신호(RT5)에 따라서, 내부에서 주기정(RT6)를 생성하여 그 주기정보(RT6)에 따라서, 텔레시네 주기를 맞는 출력화상을 출력하도록 셀렉터(314)를 제어하는 셀렉터제어신호(RT7)를 셀렉터(314)에 출력한다.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는 각 프레임에 관해서 용장필드를 삭제했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리피트 퍼스트 필드플래그(RFF)와, 프레임의 2개의 필드의 표시순을 나타내는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와, 부호화장치(316)에 입력되는 프레임을 엔코드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출력화상 유효플래그(IEF)를 부호화장치에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304)로부터 출력된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은 프레임 메모리(306)로써 또한, 이미 1프레임 유지되어, 2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4)이 생성된다. 이 화상(RT4)은 셀렉터(314)에 입력된다.
셀렉터(314)는 프레임 메모리(304)로부터 입력된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 프레임 메모리(306)로부터 입력된 2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4), 및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로부터 입력된 셀렉터 제어신호(RT7)에 따라서,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과 2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4)중 어느 것인가로부터, 톱필드 및 하부필드를 선택하여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생성한다. 이 역 텔레시네 화상(RT8)은 부호화장치(316)에 출력된다.
부호화장치(316)는 셀렉터(314)로부터 입력된 역 텔레시네 화상(RT8)과,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로부터 입력된 플래그(TFF, RFF, 및 IEF)를 압축부호화한다.
도 32에, 필름소재, 필름소재로부터 텔레시네 변환에 의해서 작성되는 NTSC 비디오신호인 텔레시네 화상과, 상기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를 조립된 비디오 엔코더(300A)에 의해서, 엔코드 즉 역 텔레시네 변환된 역 텔레시네 화상, 그 엔코드데이터로부터 디코드되는 재생영상을 나타낸다.
제1단째에는 매초 24프레임의 필름화상(IF)을 나타낸다.
제2단째에는 제1단째의 필름화상으로부터 텔레시네 변환된 NTSC신호인 텔레시네 화상(RT1)을 나타낸다.
제3단째에는 제2단째의 텔레시네 화상을 비디오 엔코드 때에, 용장된 필드를 검출하여, 삭제하는 역 텔레시네 변환을 행한 역 텔레시네 화상(RT8)과 비디오 엔코드 때의 플래그데이터인 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와,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를 나타낸다. RFF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간적으로 이전의 필드를 다음 재생프레임의 1개의 필드로서 편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TFF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간적으로 이전의 필드가 톱필드인 것을 나타낸다.
제4단째에는 제3단째의 역 텔레시네 화상의 엔코드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드했을 때에 얻어지는 재생화상(IR)의 NTSC신호를 나타낸다.
텔레시네 변환은 기본적으로는 도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동일패리티의 필드를 카피한 용장필드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의 변환이 실현된다. 필름화상(IF)은 매초 24프레임의 필름화상이고 이 프레임(F1)의 톱필드(F1t)가 카피되고, 또한 프레임(F3)의 하부필드(F3b)가 카피되어, 프레임(F1)으로부터 프레임(F4)까지의 4프레임이,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 F'1에서부터 프레임 F'5의 5프레임으로 변환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텔레시네뒤의 비디오신호인 텔레시네 화상(RT1)을 압축부호화할 때에,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그대로 압축부호화를 행하였다면 카피된 용장필드까지도 부호화되게 되어, 효율이 나쁘게 된다. 따라서, 통상 카피된 용장필드를 검출하여 삭제, 즉 역 텔레시네 변환한 뒤에 압축부호화를 하여 각 프레임에 관해서 용장필드를 삭제했는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와, 프레임의 2개의 필드의 표시순을 나타내는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를 부가하여 기록한다.
필름의 프레임 레이트와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와는 간단한 정수비의 관계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처리간에 통상과 다른 변환패턴이 사이에 끼일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텔레시네 변환은 필름의 4프레임 상당분량을 5프레임으로 변환하여, 매초 24프레임 레이트에서부터 매초 약 30프레임 레이트로 하고 있다. 텔레시네 화상은,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텔레시네 화상의 5프레임의 주기로, 규칙적인 변환처리가 행해지고, 그 프레임마다의 주기를 텔레시네 주기로 한다. 각각의 텔레시네 주기로써 텔레시네 화상에서부터 역 텔레시네 화상을 얻는 처리가 변한다.
도 42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상기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300A)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단째에 텔레시네 화상입력(RT1),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 차분치(RT3), 및 2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4)을 순서로 나타낸다.
제2단째에 비교결과신호(RT5)의 출력타이밍을 나타낸다.
제3단째에 텔레시네 화상의 주기정보(RT6)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주기정보는 스테이트(state)로서 표시되어 있다.
제4단째에 셀렉터 제어신호(RT7)를 나타낸다. 제5단째에, 역 텔레시네 화상(RT8)출력을 나타낸다. 제6단째에,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출력화상 유효플래그(IEF)를 나타낸다.
최초의 주기인 스테이트(0)에서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F1`과 F2')의 프레임 메모리(304, 306)로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시되어, 텔레시네 화상의 프레임(F1')을 구성하는 필드(F1t와 F1b)에서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구성하여, TFF=1를 설정하여, F2'의 톱필드가 F1t와 같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의 재생때에, 필드를 카피하기 때문에 RFF=1를 설정한다.
스테이트(1)에서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F2'과 F3')의 프레임 메모리(304, 306)로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시되어, 텔레시네 화상(RT1)의 F2'의 하부필드인 F2b와 F3'의 톱필드인 F2t에서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구성하여, 하부필드가 시간적으로 선행되는 프레임구성이 되기 때문에, TFF=0를 설정, 필드의 복제가 없기 때문에 RFF=0를 설정한다.
스테이트(2)에서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F3'과 F4')의 프레임 메모리(304, 306)로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시되어, 텔레시네 화상의 F3'의 하부필드인 F3b와 F4'의 톱필드인 F3t에서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구성하여, 하부필드가 시간적으로 선행되는 프레임구성이 되기 때문에, TFF=0를 설정, F4'의 하부필드가 F3b와 같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의 재생때에 필드를 카피하기 때문에 RFF=1를 설정한다.
스테이트(3)에서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F4'과 F5')의 프레임 메모리(304, 306)로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시되어, 텔레시네 화상의 F5'의 F4t와 F4b에서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구성하여, 톱필드가 시간적으로 선행되는 프레임구성이 되기 때문에 TFF=1를 설정, 다음 프레임의 재생때 필드를 카피하지 않기 때문에 RFF=0를 설정한다.
스테이트(4)에서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 F5'과 다음 주기의 F1'의 프레임 메모리(304, 306)로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에서 개시되지만, 이 주기에서는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스테이트(0)에서부터 스테이트(4)까지를 되풀이하여,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생성하여 엔코드하고 있다.
먼저, 도 32에 나타낸 텔레시네 화상(RT1)에서부터 역 텔레시네 화상(RT8)으로의 변환이 역 텔레시네 변환이고, 연속하는 톱필드끼리 하부필드끼리의 필드사이의 차분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이것보다 작은 경우에는 카피필드로 판단하여 해당 필드를 삭제한다.
동시에 상기의 RFF, TFF의 플래그를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성한다.
재생시에는, 이것들의 플래그에 의해 재생화상(IR)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원래의 텔레시네 화상이 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역 텔레시네 화상(RT8)의 프레임(F1)에서는 TFF=1이기 때문에, F1의 톱필드(F1t)를 먼저 출력하고, 다음에 F1의 하부필드(F1b)를 출력한다. 그리고, RFF=1이기 때문에 퍼스트필드, 즉 F1t를 또 한번 출력한다.
프레임(F2)에 대해서는, TFF=0이기 때문에 F2의 하부필드(F2b)를 먼저 출력하고, 다음에 F2의 톱필드(F2t)를 출력한다. 두번째에 출력된 F1t와 F2b를 새롭게 1개의 프레임(F2')을 구성하는 것이 된다. 프레임(F3)에서는 TFF=0이기 때문에, 하부필드(F3b)가 먼저, 톱필드(F3t)가 뒤에 출력되고, RFF=1이기 때문에, 두 번째 하부필드(F3b)가 출력된다. 프레임(F4)에서는 TFF=1이기 때문에, 톱필드(F4t)가 먼저, 하부필드(F4b)가 뒤에 출력된다. 이렇게 하여, 텔레시네 화상(RT1)이 플래그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도 42에 있어서, 텔레시네입력화상(RT1)과 1프레임 늦은, 도 39상의 프레임 메모리(304)의 출력인 1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2)과 비교되어, 도 32의 F1t와 F1t'가 카피필드이기 때문에, 임계치판정기(310)는 Hi를 출력한다. 도 32의 F1b와 F2b와는 카피필드가 아니기 때문에, 임계치판정기(310)의 출력인 비교결과신호(RT5)는 Lo가 되고, 이 시점에서,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는 텔레시네 주기가 있는 스테이트, 여기서는 스테이트(0)로 하지만, 이 스테이트(0)라고 판단하여, 도 32의 F1t, F1b를 순서로 출력하도록 출력선택신호를 Lo로 제어하고, 동시에 TFF=1, RFF=1를 출력한다. 셀렉터(314)는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로부터의 출력인 셀렉터제어신호(RT7)에 의해, 도 39상의 프레임 메모리(306)의 출력인 2프레임 지연 텔레시네 화상(RT4)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서, 역 텔레시네 화상(RT8)으로서, 도 32의 Flt, Flb가 순서로 출력된다.
다음 프레임에서는, 도 32에 나타내는 Flt'와 F2t, F2b와 F3b가 함께 카피필드가 아니기 때문에,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는 다음 스테이트(1)로 이행하고, 도 32의 F2t, F2b를 순서로 출력하도록 셀렉터제어신호(RT7)에 의해 셀렉터(314)를 전환한다. 이 프레임에 관해서는 하부필드 선행이기 때문에, TFF=0을 출력하여 제 1필드를 한 번밖에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RFF=0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도 32의 F4t, F4b까지 출력하여, 프레임 레이트의 차이 때문에 이 역텔레시네회로(300A)는 1프레임간 출력을 멈춘다. 이 휴지기간을 나타내기 위해서 텔레시네 주기 판정회로(312)는 출력화상 유효 플래그(IEF)를 이 기간 무효상태로 한다.
휴지기간이 없는 역 텔레시네 화상이 필요한 경우, 즉 역 텔레시네 변환뒤의 프레임 레이트로, 엔코드하는 경우에는, 이후에 프레임 레이트변환을 위한 FIFO메모리등이 이용되고, 역 텔레시네 변환뒤의 프레임 레이트로, 이 메모리의 판독을 행하여 엔코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 복수의 VOB를, 연속하여 재생하려고할 경우에, 그 이은 곳에서의 심리스 정보재생에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 퍼렌탈제어의 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여, 퍼렌탈제어때의 텔레시네 변환, 부호화화상, 및 재생화상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40은 3개의 VOBa, VOBb, 및 VOBc간의 퍼렌탈 접속의 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41의 제1단째는, 비디오 엔코더(300A)에 입력되는 텔레시네 화상(RT1)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단째는, 제1단째로 나타낸 텔레시네 화상(RT1)을, 역 텔레시네 변환하여 얻어지는 역 텔레시네 화상(RT8)을 비디오 엔코더(300A)에서 부호화한 신호(St15)를 나타낸다. 도면상은, 역 텔레시네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제3단째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으로부터 디코드되는 재생화상(IR)을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원래의 텔레시네 화상의 프레임(F18)으로 끝나는 VOBa, 원래의 텔레시네 화상의 프레임(F19)으로 시작하여 프레임(F44)으로 끝나는 VOBb, 원래의 텔레시네 화상의 프레임(F45)으로 시작되는 VOBc가, 제1단째의 원래 연속한 텔레시네 화상(RT1)에 역 텔레시네 변환 및 압축부호화를 행한 것이어서,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에 의해서는, VOBb를 건너뛰어, VOBa에서 VOBc로 심리스로 연속재생을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제3단째의 역 텔레시네 변환을 행한 기록화상의 VOBa의 끝이 RFF=0, TFF=0으로서 끝나고 있으며, VOBc의 시작이 RFF=0, TFF=1로 시작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연속하여 재생하면, 제1단째는 3단째에 나타난 바와 같이, VOBa와 VOBc의 이은 곳에서 톱필드가 연속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MPEG디코더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보증되어 있지 않고, DVD디코더에 있어서는, 필드가 1개 삽입되기도 하거나 삭제되기도 하여 재생화상의 이치의 일치가 되던지, 최악의 경우, 무관한 필드가 삽입되게 된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음성과의 동기어긋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완전한 심리스의 재생이 실현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 즉 VOB를 설치할 때에, 각 VOB의 선두 및 종단에서의 RFF, TFF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되도록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다. 더욱이, 그 역 텔레시네 변환의 방법에 관해서도,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여 뒤에 자세히 설명하지만, 그 개념을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VOB의 선두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RFF, TFF)를 소정의 값에 고정하고 또한 용장필드의 제거를 금지한 상태로부터 역 텔레시네 변환을 개시하여, 실제의 용장필드의 검출결과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플래그(RFF, TFF)가 소정의 값이 되는 곳에서, 용장필드의 제거와 상기 플래그(RFF, TFF)의 값을 출력하여, VOB의 선두에서의 상기 플래그(RFF, TFF)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다.
더욱이, 각 VOB의 종단에서의 이것들의 플래그(RFF, TFF)를 소정의 값으로 하기 위해서, 미리 VOB에 상당하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용장필드의 위치를 검사하여 그 결과에 의해서 상기 플래그(RFF, TFF)를 생성하는 수단을 가지며, 실제로 역 텔레시네 변환과 압축부호화를 행할 때에, 해당 VOB의 종단부에서의 상기 플래그(RFF, TFF)가 소정의 값이 되는 역 텔레시네 변환 뒤의 프레임중, VOB의 종단 근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카피된 용장필드의 제거조작을 중지하여, 해당 VOB의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RFF, TFF)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다.
혹은, VOB에 상당하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종단에 가까이 간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고, 해당 VOB의 종단에 가까이 갔다고 판단된 경우에, 용장필드의 제거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해당 VOB의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RFF, TFF)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역 텔레시네 변환을 하는 것에 의해, VOB의 선두와 종단에서의 플래그(RFF, TFF)의 값이 소정의 값에 맞추어지고, VOB끼리를 연속하여 재생하더라도, 하부필드끼리, 혹 톱필드끼리가 연속하는 일이 없어져, 따라서, 복수의 VOB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VOB의 경계에 있어서도 심리스 재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5를 참조하여, 상기에 그 개념을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를 도 25의 비디오 엔코더(300)에 조립한 비디오 엔코더(300B)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디오 엔코더(300B)는, 도 39에 나타낸 비디오 엔코더(300A)와 같은 구조로 프레임 메모리(304, 306), 필드간 차분기(308), 임계치판정기(310),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 셀렉터(314), 부호화장치(3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비디오 엔코더(300A)와 비교하면, VOB종단검출기(318), 및 제어신호고정회로(32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되어 있다.
VOB종단검출기(318)는, DVD엔코더(ECD)의 편집정보 작성부(100)에 접속되어, 비디오 스트림(St1)에 포함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동기하여 입력되는 타임코드의 공급을 받는다. 또한, VOB종단검출기(318)는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생성하는 엔코드 파라메터인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도 29참조)에 따라서 VOB종단의 타임코드보다 적어도 몇 프레임전에「하이」가 되는 VOB종단신호(RT9)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VOB내의 텔레시네 주기 스테이트(3)의 최후의 프레임의 타임코드를 설정하고, 그 프레임이 입력된 시점에서 VOB종단신호(RT9)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텔레시네 주기와 대응하는 타임코드가 불명인 경우에는, 1주기 분량 즉, VOB의 종단타임코드의 5프레임전에 VOB종단신호(RT9)의 출력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어신호고정회로(322)는, VOB종단검출기(318)에 접속되어 VOB종단신호(RT9)의 공급을 받음와 동시에,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에 접속되어 셀렉터제어신호(RT7),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출력화상유효플래그(IEF)의 공급을 받는다. 제어신호 고정회로(322)는, VOB종단신호(RT9)에 따라서, 셀렉터 제어신호(RT7), 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출력화상 유효 플래그(IEF)를 각각 제어하여, 제2셀렉터 제어신호(RT7'), 제2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제2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제2출력화상 유효 플래그(IEF')를 출력한다.
셀렉터(314)는 제어신호 고정회로(322)에 접속되어 제2셀렉터 제어신호(RT7')의 공급을 받는다. 이와 같이, 부호화장치(316)도 제어신호 고정회로(322)에 접속되어 제2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제2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제2출력화상 유효 플래그(IEF')의 공급을 받는다.
제어신호 고정회로(322)는 VOB종단신호가 Hi로 되어 이후, TFF=1, RFF=0의 상태를 검출하면, 그 후의 엔코드전의 화상에 관하여는, TFF=1, RFF=0의 상태, 입력되는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을 그대로 엔코드처리를 하도록 제어한다. 즉, TFF'=1, RFF'=0, IEF'=1, RT7'=1으로 고정하여, 그 이후의 용장필드의 삭제를 금지한다. 또, RT7, IEF의 변화는, RFF, TFF와 동기하고 있기 때문에, RFF, TFF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만으도 충분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디오 엔코더(300B)에서는, 셀렉터(314) 및 부호화장치(316)는, 비디오 엔코더(300A)와 틀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로부터의 엔코드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St9와 비디오 스트림(St1)중의 타임코드에 따라서, VOB 종단검출기(318)와 제어신호 고정회로(322)에 의해서, 비디오 스트림(St1)중의 VOB 종단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용장필드의 삭제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고 또한 정확한 역 텔레시네 변환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43 및 2104B를 참조하여, 비디오 엔코더(300B)에 의한 역 텔레시네 변환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3 및 도 44의 제1단째에서부터 제3단째까지는 이미 설명한 역 텔레시네 변환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 40 및 도 41의 각각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제5단째에는 VOB의 종단의 검출신호(RT9)가 표시되어 있다. 테두리체(GF1)는 VOBa의 종단기간, 테두리체(GF2)는 VOBb의 선두기간, 테두리체(GF3)는 VOBb의 종단기간을 나타낸다.
우선, 텔레시네 화상(RT1)의 역 텔레시네 변환을 생각한다. 원래의 텔레시네 화상(RT1)의 프레임(F18)으로 끝나는 VOBa의 종단에 주목한다. 미리, 용장필드 검사를 하여 용장필드가 포함되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면 된다. 이 텔레시네 화상(RT1)을 그대로 역 텔레시네 변환하면, 도 40에 나타내는 것 같은 RFF', TFF'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VOBa의 프레임중, TFF'=1, RFF'= 0으로 또한 종단에 가장 가까운 프레임은, 도 41에서는 프레임(F12')이기 때문에, 이후의 테두리체(GF1)에 나타내는 구간에서의 용장필드의 삭제를 금지하면, 도 43의 재생화상(IR)에 나타내는 것 같은, 반드시 하부필드에서 종료하는 VOBa가 된다.
다음에, VOBb의 선두를 주목한다. VOBb의 선두에서는, 실제의 용장필드의 삭제를 금지하여 TFF'=1, RFF'=0의 상태에서부터 플래그를 출력하고, 용장필드의 검사결과 처음의 플래그가 TFF'=1, RFF'=0의 상태로 되고나서 용장필드의 삭제를 개시한다. 테두리체(GF2)중의 구간이 그 용장필드제거의 금지기간이다.
VOBb의 종단에서는, VOBa의 종단과 같은 처리를 한다. 즉, 테두리체(GF3)에서 나타내는 기간에서는 용장필드의 삭제를 하지 않는다.
VOBc의 선두는, 원래 TFF'=1, RFF'=0이기 때문에, 즉각 용장필드삭제의 모우드로 들어 간다.
이상과 같이 각 VOB 셀을 생성하면, VOBa의 종단 VOBb의 선두 및 종단, VOBc의 선두중의 어느 쪽도 TFF'=1, RFF'=0의 상태이고, VOBa→ VOBb→ VOBc로 연속재생할 경우도, 또한, VOBa→VOBc로 연속재생할 경우에도, 필드의 불연속은 없어져 심리스 재생이 보증될 수 있게 된다.
도 46에 나타내는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의 실시형태 2의 비디오 엔코더(300B)의 작동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밍차트는, 도 42에 나타내는 비디오 엔코더(300A)와 타이밍차트에, VOB종단신호(RT9), 제2셀렉터제어신호(RT7'), 제2톱필드 퍼스트 플래그(TFF'), 제2리피트 퍼스트 필드 플래그(RFF'), 및 제2출력화상 유효 플래그(IEF')의 작동을 추가하여 나타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미,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 VOB종단신호(RT9)에 근거하여, 원래의 플래그와 각 제2플래그와의 관계가 명확히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텔레시네 화상입력의 F4t의 타이밍으로 타임코드 등에 의한 역 텔레시네 정지신호인 VOB종단신호(RT9)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역 텔레시네 정지신호(RT9)가 입력되기까지의 작동은 도 42로 설명한 경우와 같다.
역 텔레시네 정지신호(RT9)가 입력되고 나서 최초에 TFF'=1, RFF'=0를 출력하는 스테이트(3)의 프레임이후, 역 텔레시네 조작을 정지하여, 입력의 텔레시네 화상을 그대로 출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어떤 위치에서 부호화를 정지시키더라도, 톱필드가 선행하는 프레임으로 셀이 종료하는 것으로 되어서, 복수의 VOB를 연속재생할 경우 심리스 재생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도 43, 도 44, 도 45, 도 46을 참조하여 VOB종단검출기(318) 및 제어신호 고정회로(322)에 관해서의 상기의 개시는, 당업 기술에 숙련한 것이면, 이러한 작동이 가능한 VOB종단검출기(318) 및 제어신호 고정회로(322)를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혹은 전기회로로써 구성하는 것이 충분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임코드에 의해 VOB종단을 검출하였지만, 프레임 수를 세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실현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당연히 유효하다. 또한, TFF'=1, RFF'=0의 상태로 VOB를 종료하는 예를 보였지만, 다른 상태만으로도 복수의 VOB의 경계에서 텔레시네 주기에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번의 텔레시네 화상의 입력에 의해서 순차역 텔레시네 변환처리를 하여, 비디오 엔코드처리를 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순서 2의 실시형태로서, 한 번째의 입력으로 텔레시네 변환주기 및 TFF, RFF를 검출하고, 두번째의 입력으로 도 4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FF', RFF'를 생성하여 비디오 엔코드처리를 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의 처리는 도 39에 나타내는 비디오 엔코드블록에 있어서,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에 엔코드를 하는 VOB의 텔레시네 주기정보를 격납하는 메모리를 더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즉, 한번째의 텔레시네 화상입력에 의해 순차역 텔레시네 변환처리를 하고, 그 결과, 즉 텔레시네 주기정보를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에 축적하여, 한번째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에서는 엔코드 종료시간의 프레임 보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각각의 역 텔레시네 변환화상의 TFF, RFF를 평가하여, TFF=1, RFF=0의 상태를 검출하면, 그 프레임에서부터 VOB종단까지의 프레임의 TFF, RFF가, TFF'=1, RFF'=0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2의 실시형태의 별도의 실시형태에서, 엔코드하는 텔레시네 변환화상의 텔레시네 주기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엔코드처리 전에, 그 텔레시네 주기정보를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에 입력하여, 전술한 TFF, RFF의 변환처리 및 두 번째의 처리를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312)로 행하는 것에 의해, 이와 같이 실현된다. 또한, 텔레시네 주기 판정기에 TFF, RFF의 변환처리를 행한 TFF', RFF'를 입력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나타낸 역 텔레시네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비디오 엔코드는, 도 25의 비디오 엔코더(300)에 상당하며, 도 34의 엔코더 플로우챠트의 서브루틴인 스텝(#1800)에서 설정된 엔코드 파라메터, 즉 도 29로 나타낸 엔코드 파라메터의 비디오 엔코드모우드(V_ENCMD) 설정의 역 텔레시네 변환처리를 행했는지 아니했는지에 따라서, 또한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간(V_STTM),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간(V_ENDTM)에 근거하여, 도 34B의 스텝(#1900)에서의 비디오 엔코드를 처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셀끼리를 연속하여 재생하더라도 하부필드끼리, 혹은 톱필드끼리가 연속되는 일이 없으며, 셀의 경계에 있어서도 심리스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비트스트림의 인터리브매체에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반송하는 비트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타이틀을 사용자의 요망에 응해서 편집하여 새로운 타이틀을 구성할 수가 있는 오소링시스템에 이용하는데 알맞으며, 더욱이 강조하면 근년 개발된 디지털 비디오 데스크 시스템, 소위 DVD시스템에 적합하다.

Claims (5)

  1. 특정한 필드를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IF)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NTSC)로 변환된 비디오신호(RT1)를 이 반복된 용장필드를 제거하여 원래의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에 거의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중간신호(RT8)에 변환하고, 또 다시 이 중간신호를 압축부호화하여 기록신호를 얻으며 해당 필드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RFF) 및 결과적으로 얻어진 각 비디오프레임의 2개의 필드중 어느 쪽이 시간적으로 선행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플래그(TFF)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기록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VOB)을 설치할 때에, 각 기록구간(VOB)의 선두 및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신호에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변환기록방법.
  2. 특정한 필드를 복수회 되풀이함으로써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IF) 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NTSC)로 변환된 비디오신호(RT1)를 이 반복된 용장필드를 제거하여 원래의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에 거의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중간신호(RT8)로 변환하고, 또 다시 이 중간신호를 압축부호화하여 기록신호를 얻어, 해당 필드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RFF) 및 결과적으로 얻어진 각 비디오프레임의 2개 필드중 어느 쪽이 시간적으로 선행하고 있는 가를 나타내는 플래그(TFF)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기록장치로서,
    비디오신호의 복수필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304, 306)과,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314)과, 동일 패리티의 필드끼리를 비교하는 수단(308)과, 이 비교수단의 출력결과에서부터 반복된 용장필드를 검출하는 수단(310)과, 용장필드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해당 선택수단(314)을 제어하여 용장필드를 제외한 중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322)과, 용장필드를 검출한 결과로부터 상기 플래그를 생성하는 플래그 생성수단(312)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어수단과 상기 플래그 생성수단의 출력을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용장필드의 제거를 금지하는 수단(318, 322)을 가지고,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VOB)을 설치할 때에, 각 기록구간의 선두 및 종단(VOB종단)으로 용장필드의 삭제를 금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신호에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변환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미리 논리적인 기록구간(VOB)에 상당하는 비디오신호의 용장필드의 위치를 검사하여 그 결과에 의해서 상기 플래그를 생성하는 수단(312)을 가져, 실제로 상기 신호변환을 할 때에, 해당 기록구간(VOB)의 종단부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이 되는 상기 중간신호의 프레임중에, 기록구간의 종단의 근방(VOB종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용장필드(RFF)의 제거조작을 중지하여, 해당 기록구간의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신호에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318, 322)으로 하는 신호변환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논리적인 기록구간에 상당하는 비디오신호의 종단에 가까이 간 것을 검출하는 수단(318)을 가져, 해당 기록구간의 종단에 가까이 갔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용장필드의 제거(RFF)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해당 기록구간의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신호에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변환 기록장치.
  5. 특정한 필드를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IF) 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NTSC)로 변환된 비디오신호(RT1)를, 이 반복된 용장필드를 제거하여 원래의 신호원의 프레임 레이트에 거의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중간신호(RT8)로 변환하고, 또 다시 이 중간신호를 압축부호화하여 기록신호를 얻으며, 해당 필드를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RFF) 및 결과적으로 얻어진 각 비디오프레임의 2개의 필드중 어느 쪽이 시간적으로 선행하고 있는 가를 나타내는 플래그(TFF)를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기록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기록매체에 복수의 논리적인 기록구간(VOB)을 설치할 때에, 각 기록구간의 선두 및 종단에서의 상기 플래그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비디오신호에서부터 상기 기록신호로의 변환을 행하여 작성한 기록신호를 기록한 기록매체(M).
KR10-1998-0702166A 1995-09-29 1996-09-27 텔레시네변환된비디오데이터의심리스접속엔코드방법및그장치 KR10038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52733 1995-09-29
JP25273395 199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699A true KR19990063699A (ko) 1999-07-26
KR100386873B1 KR100386873B1 (ko) 2003-08-21

Family

ID=1724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166A KR100386873B1 (ko) 1995-09-29 1996-09-27 텔레시네변환된비디오데이터의심리스접속엔코드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20202A3 (ko)
JP (1) JP3920921B2 (ko)
KR (1) KR100386873B1 (ko)
CN (2) CN1115047C (ko)
DE (1) DE69602274T2 (ko)
HK (2) HK1011909A1 (ko)
MX (1) MX9801213A (ko)
TW (1) TW303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0554A1 (en) * 2002-10-23 2004-05-13 Takahiro Nishi Picture coding method
US9560367B2 (en) 2004-09-03 2017-01-31 Nokia Technologies Oy Parameter set and picture header in video coding
CN101902628B (zh) 2005-04-26 2012-05-02 汤姆森许可贸易公司 同步流打包
US8233048B2 (en) * 2006-09-19 2012-07-31 Mavs Lab. Inc. Method for indexing a sports video program carried by a video stream
KR101268987B1 (ko) * 2007-09-11 2013-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갱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기록 방법 및 장치
KR101662141B1 (ko) * 2015-08-10 2016-10-05 주식회사 인팩 다이아프램 진동 구동 장치 및 방법
CN116033216A (zh) * 2021-10-26 2023-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设备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与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4817B2 (ja) * 1991-05-31 1997-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レーム列画像圧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フレーム再構成方法及びシステム
JPH06153069A (ja) * 1992-10-30 1994-05-31 Sony Corp 画像の変換装置、複製装置、再生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3255308B2 (ja) * 1992-12-18 2002-02-1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
US5463565A (en) * 1993-10-29 1995-10-3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Data block format for software carrier and play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9253C (zh) 2007-04-04
DE69602274D1 (de) 1999-06-02
JP3920921B2 (ja) 2007-05-30
CN1197576A (zh) 1998-10-28
EP0920202A3 (en) 1999-06-09
CN1115047C (zh) 2003-07-16
MX9801213A (es) 1998-04-30
EP0920202A2 (en) 1999-06-02
TW303569B (ko) 1997-04-21
CN1516162A (zh) 2004-07-28
HK1011909A1 (en) 1999-07-23
DE69602274T2 (de) 1999-12-16
KR100386873B1 (ko) 2003-08-21
HK1016793A1 (en)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786B1 (ko) 비연속시스템시간정보를가지는비트스트림의심리스재생방법및장치
US6064796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data for seamless connection using flags to indicate top or bottom of field and whether a field is presented plural times
JP3922592B2 (ja) 記録方法
JP3827097B2 (ja) 情報記録方法
KR100348847B1 (ko) 복수의서치재생경로정보를비트스트림에부여하는엔코드방법및그장치
JP3963478B2 (ja) ビットストリームのシームレス接続エン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JP3827096B2 (ja) 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3338039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920921B2 (ja) テレシネ変換されたビデオデータのシームレス接続エン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JP3813070B2 (ja) 光ディスクを再生する再生装置
JP3327917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3350542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437565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
JP3338033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1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6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7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50545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50544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4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5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8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0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