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925A -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925A
KR19990061925A KR1019970082218A KR19970082218A KR19990061925A KR 19990061925 A KR19990061925 A KR 19990061925A KR 1019970082218 A KR1019970082218 A KR 1019970082218A KR 19970082218 A KR19970082218 A KR 19970082218A KR 19990061925 A KR19990061925 A KR 1999006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tate
relay line
test packet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538B1 (ko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8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538B1/ko
Priority to US09/196,783 priority patent/US6449257B1/en
Priority to CNB981265588A priority patent/CN1201622C/zh
Publication of KR1999006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0Network management software pack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은, 상, 하위 네트웍이 복수개의 중계선 링크로 연결되었을 시 하드웨어적인 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적인 링크를 통해 시험 패킷을 상대방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시험 패킷을 수신하여 시험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링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계선이 아닌 링크를 강제적으로 비정상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 비정상 상태로 구분된 링크에 대해 별도의 시험과정으로 구분하며, 이 시험 과정에서 다시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링크에 대해서 정상 상태로 관리하는 단계; 네트웍 상태를 링크에 대한 시험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갱신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온 라인상에서 양방향의 실제 링크에 대해 중계선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실시간으로 상태를 천이시킴으로써 상태의 불일치, 라우팅 불량 및 부하 분담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
본 발명은 계층화된 네트웍의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코드분할 다중 억세스(CDMA) 시스템 및 개인통신 서비스(PCS) 시스템에서 중계선(trunk)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과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네트웍 구간의 정확한 중계선 상태 괸리와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네트웍 정보의 불일치로 인한 라우팅(routing)이 실패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호출제어 채널을 통해 호출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포함한 호출 메시지를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로 송출한 후 그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 통화로를 제공하여 주게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산업협회(EIA :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의 호출 처리에 규정된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하여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이 송신하는 호출메시지를 특수한 상황에서 놓칠 수 있어 이 경우가 발생하면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데 실패 하도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관리국(Base Station Manager: BSM) 산하의 각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 및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들의 장애 데이터를 기지관리국(BSM)내 장애 처리 블록에서 수신하여 작업의 화면에 출력하고 또한, 가청 경보(Audio Alaram)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작업 내에 존재하는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및 각 기지국 네트웍 구간의 중계선 링크(trunk link)상태를 관리하는 장치로서는 도 1과 같은 장치가 있다.
도 1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수개의 너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상위 네트웍인 교환국(103)은 교환기(105)와 제어국(104)을 포함한다.
상기 상위 넥트웍인 제어국(104)에서 통신할 필요성이 있는 상대방의 하위 네트웍인 기지국(100)의 상태를 복수의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계선 전송장치(101),(102)를 통해 제어국(104)의 상태관리 처리부(104a)에서 하두웨어적으로 보여지는 해당 중계선 링크 상태의 정상 여부만을 판단하여 상태 관리를 하고 있다.
또한, 하위 네트웍인 기지국(100)의 상태관리 처리부(100a)는 중계선 전송장치(101)를 통해 해당 중계선 링크 상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태 관리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수개의 너트웍 상태 관리 장치는, 상, 하위 네트웍 구간, 즉 다시 말해서 교환국(103)의 제어국(104)과 기지국(100) 구간에 대하 상대방 네트웍으로의 정상적인 라우팅 가능 여부는, 프로그램 상에서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해당 중계선 링크의 하드웨어적인 정상 여부에 근거하여 상태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전적으로 하드웨어가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복수개의 중계선에 대한 부하 분담(load share) 기능의 사용도 이러한 상태 관리 방법에 의존하여, 정상적으로 운용 가능한 중계선의 숫자나 정상적인 중계선 링크를 판단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개의 너트웍 상태 관리 장치는, 상, 하위 네트웍에서 동일한 중계선 링크에 대해 각기 다른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수정할 방법이 존재치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시 말해, 제어국과 기지국 간의 중계선 정보의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각기 하드웨어적인 상태만을 가지고 중계선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므로 상태 불일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 제어국과 기지국 구간에 대하여 A, B, C 3개의 중계선 링크가 존재한다고 할 때 제어국에서 판단한 정상적인 중계선은 A, B 개였고, 기지국의 경우에는 B, C 2개의 중계선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한다면 제어국과 기지국은 상호간에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해지며 부하 분담(Load Share) 기능의 정상적인 동작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상태 관리 방식으로 중계선 상태 관리를 처리하면 여러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는 제어국에서의 중계선 관리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중계선 상태 관리 처리 시에 여러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는 제어국에서 하드웨어적인 정보만으로 처리함으써 발생되는 상태 관리의 신뢰도 저하를 배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온 라인(on-line) 상에서 양방향의 실제 링크에 대해 중계선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고 실시간으로 상태를 천이시켜 상태의 불일치, 라우팅 불량 및 부하 분담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링크의 정상 여부를 상대방 네트웍의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판단 관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개의 너트웍 상태 관리 장치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2 및 도 3에 따른 네트웍 상태 시험 패킷 형태를 보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지국 100a : 상태관리 처리부
101 : 중계선 전송장치 103 : 교환국
104 : 제어국 104a : 상태관리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상, 하위 네트웍이 복수개의 중계선 링크로 연결되었을 시 하드웨어적인 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적인 링크를 통해 시험 패킷을 상대방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시험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시험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링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계선이 아닌 링크를 강제적으로 비정상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 상기 비정상 상태로 구분된 링크에 대해 별도의 시험과정으로 구분하며, 이 시험 과정에서 다시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링크에 대해서 정상 상태로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웍 상태를 링크에 대한 시험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갱신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 하위 넥트웍인 제어국(104) 및 기지국(100)에서 통신할 필요성이 있는 상대방의 하위 및 상위 네트웍인 기지국(100) 및 제어국(104)의 상태를 양방향 중계선 전송장치(101),(102)를 통해 제어국(104) 및 기지국(100)의 양방향 실제 링크에 대해 중계선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고 상태관리 처리부(104a),(100a)에서 실시간으로 상태를 천이시켜 해당 중계선 링크 상태의 정상 여부만을 판단하여 상태 관리를 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에 의하면, 중계선 전송장치(101),(102)에서 개별 중계선 링크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도 4와 같은 시험 패킷을 송신하고 이 시험 패킷 내에 상태 관리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기지국(100) 및 제어국(104) 상호간 중계선 상태의 불일치를 방지하고 있다.
중계선 구간의 상태 불일치 요인은 하드웨어적인 결함이나, 선로의 불량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나, 네트웍의 효율적인 상태 관리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중계선 구간에 대해서 더 이상 라우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노이즈 등에 의한 일시적인 중계선 경로의 불량에 대해서도 더 이상 라우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일단 비정상 상태로 관리한 후에, 엄격하게 정화 여부를 시험한 다음 상태를 정상으로 관리한다.
즉 어드 한쪽이라도 비정상이라고 판단한 링크는 비정상 상태로 구분한다.
중계선 링크의 시험을 위한 송수신 패킷 형태는 도 4와 같이 중계선 상태 표시부와 중계선 부하 분담(Load Share) 정보로 이루어진다.
즉 다시 말해, 상기 네트웍 상태 시험 패킷은 헤더와, 정상링크 정보 및 전체 링크정보를 갖는 중계선 상태 표시부, 그리고 순환중복 검사(CRC)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 하위 네트웍인 제어국(104)과 기지국(100)이 중계선 전송장치(101),(102)를 통해 복수개의 중계선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면 상, 하위 네트웍인 제어국(104)과 기지국(100)은 하드웨어적인 정보를 조사하여 정상적인 링크를 통하여 시험 패킷을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수신된 시험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링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계선이 아닌 링크를 강제적으로 비정상 상태로 천이시킨다.
그리고, 일단 비정상 상태로 구분된 링크에 대해서는 별도의 시험 과정으로 구분하며, 이 시험 과정에서 다시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링크에 대해서는 정상 상태로 관리한다.
네트웍 상태는 링크에 대한 시험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처리되므로 호절단이나 라우팅 불량 등의 발생을 최소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상, 하위 네트웍의 복수 중계선의 상태관리를 위해서 상태관리 처리부에서 하드웨어적인 정보만으로 처리하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양방향의 실제 링크에 대해 시험 패킷을 전송하고 네트웍의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관리해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웨어적인 상태만을 가지고 중계선의 정상 여부를 판단함에 따른 상태 불일치 현성이 배제되고, 또한 라운팅 불량과 부하 분담 기능 이상 등의 문제가 해결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 하위 네트웍의 복수 중계선의 상태관리를 위해서 기존의 상태 관리 처리부에서 하드웨어적인 정보만으로 처리하던 방식을 온라인 상에서 양방향의 실제 링크에 대해 중계선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상태를 천이시킴으로써 기존의 방식에서 발생하던 상태의 불일치 및 라우팅 불량, 부하 분담 기능 이상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에서는 네트웍의 단방향(oneway) 현상에 대해 대안을 제시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링크의 정상 여부를 상대방 네트웍의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판단하도록 하므로써 상태 관리에 있어서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2)

  1. 상, 하위 네트웍이 복수개의 중계선 링크로 연결되었을 시 하드웨어적인 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적인 링크를 통해 시험 패킷을 상대방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시험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시험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링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계선이 아닌 링크를 강제적으로 비정상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
    상기 비정상 상태로 구분된 링크에 대해 별도의 시험과정으로 구분하며, 이 시험 과정에서 다시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링크에 대해서 정상 상태로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웍 상태를 링크에 대한 시험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갱신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패킷은, 헤더와 중계선 상태 표시정보, 중계선 부하 분담(Load Share) 및 순환중복 검사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 방법.
KR1019970082218A 1997-12-31 1997-12-31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KR10026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18A KR100266538B1 (ko) 1997-12-31 1997-12-31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US09/196,783 US6449257B1 (en) 1997-12-31 1998-11-20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network stat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B981265588A CN1201622C (zh) 1997-12-31 1998-12-25 移动无线通信系统中的网络状态管理系统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18A KR100266538B1 (ko) 1997-12-31 1997-12-31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925A true KR19990061925A (ko) 1999-07-26
KR100266538B1 KR100266538B1 (ko) 2000-09-15

Family

ID=1953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218A KR100266538B1 (ko) 1997-12-31 1997-12-31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49257B1 (ko)
KR (1) KR100266538B1 (ko)
CN (1) CN12016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2533C (zh) * 2004-03-18 2007-08-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相邻接入网络及之间链路的监测方法
CN100358300C (zh) * 2004-08-16 2007-12-26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网元重启检测方法
US7684817B2 (en) * 2004-09-13 2010-03-23 Nex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ignaling gateway serv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a dispatch call controller and a base station
EP1866662A4 (en) * 2005-03-18 2010-08-25 Seeker Wireless Pty Ltd ADVANCED MOBILEOCALIZATION
US8359044B2 (en) * 2005-03-18 2013-01-22 Wavemarket, Inc. Enhanced mobile location method and system
BRPI0609085A2 (pt) * 2005-04-08 2010-11-16 Seeker Wireless Pty Ltd métodos para obter dados de localização e para calcular a localização de um terminal de rádio móvel em uma rede de comunicações por rádio, sistema, e, terminal de rádio móvel
CA2626883A1 (en) * 2005-10-24 2007-05-03 Seeker Wireless Pty Limited Detection in mobile service maintenance
CN101356765A (zh) * 2005-11-04 2009-01-28 探索无线公司 基于描述文件的通信服务
CN100544319C (zh) * 2006-01-25 2009-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业务路由的选择方法及标签的分配方法
EP2140692A4 (en) * 2007-03-13 2010-12-01 Seeker Wireless Pty Ltd BETTER ZONE DETERMINATION
AU2008301216A1 (en) * 2007-09-17 2009-03-26 Seeker Wireless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location based voice and/or data communications to or from mobile radio terminals
WO2009067766A1 (en) * 2007-11-26 2009-06-04 Seeker Wireless Pt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zone creation and adaption
EP2269390A4 (en) * 2008-04-07 2012-04-04 Wavemarket Inc D B A Location Labs LOCATION OF WIRELESS MOBILE TERMINALS
CN101605283B (zh) * 2009-06-29 2012-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Wson中节点资源状态的恢复方法及装置
US8244236B2 (en) 2010-04-29 2012-08-14 Wavemarket, Inc.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disseminating mobile device tag data
US8504077B2 (en) 2010-12-04 2013-08-06 Wavemarket,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sseminating mobile device loca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140B2 (ja) * 1993-08-03 1997-11-17 サンクス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及びそのターミナルユニット
NL9301544A (nl) * 1993-09-07 1995-04-03 Nederland Ptt Werkwijze voor het kiezen van verbindingen in netwerken, en netwerken waarin de werkwijze wordt toegepast.
US5802105A (en) * 1994-11-30 1998-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digital communication channel
DE69525530T2 (de) * 1994-12-19 2002-10-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ernmeldevermittlungsanlage
US5544154A (en) * 1995-03-09 1996-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ad induced by a routing verification test on a network
JP3359496B2 (ja) * 1996-06-14 2002-12-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伝送装置識別番号付与方法、伝送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6538B1 (ko) 2000-09-15
CN1201622C (zh) 2005-05-11
US6449257B1 (en) 2002-09-10
CN1228668A (zh)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1925A (ko)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CN103188712B (zh) 分布式基站冗余覆盖网络系统及无线信号处理的方法
US632108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in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JP202215021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異常監視方法
CN113784377B (zh) 数据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1285551B1 (en) Operations and maintenance of radio base statio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US7159148B2 (en) Method for performance and fault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11343659A (zh) 一种处理网络异常的方法、通信系统及相关处理单元
CN117221377B (zh) 一种数据通信方法以及终端设备
JP2000151490A (ja) 送信バースト受信モニタ回路
JP4119354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0400733B1 (ko) 망 연동장치의 인터넷 링크 유지 보수 방법
KR100264790B1 (ko) 스탠바이 피에스에이에서의 파일롯/동기/액세스 채널카드 이중화관리 방법
KR19990058883A (ko) 씨디엠에이 피씨에스 시스템에서 링크 장애 발생시 데이터의유실 없이 활성화 링크를 변경하는 방법
KR100364007B1 (ko)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제어국간 링크 오류 자동 검출 방법
KR100286227B1 (ko) 개인휴대통신 시스템의 루터노드 자체진단 방법
KR100670075B1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간 회선 감시에 의한 호접속 관리방법
CN117221377A (zh) 一种数据通信方法以及终端设备
CN117176508A (zh) 接入网络及其故障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2004006124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비에스엠 암바상태관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US20070123306A1 (en) Method for stabilizing bts using e1 trunk board duplexing of bsc
JPH03123133A (ja) 伝送システム
KR20000002605A (ko) 제어국관리기의 제어국 프로세서 상태 감시 방법
JPH0426023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の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