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492A -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492A
KR19990061492A KR1019970081758A KR19970081758A KR19990061492A KR 19990061492 A KR19990061492 A KR 19990061492A KR 1019970081758 A KR1019970081758 A KR 1019970081758A KR 19970081758 A KR19970081758 A KR 19970081758A KR 19990061492 A KR19990061492 A KR 1999006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inter
branch
mbps
optic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383B1 (ko
Inventor
곽경갑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8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3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U-32 신호를 입력받아서, AU-32 신호의 포인터 및 TU 신호의 포인터를 동일 위치로 정렬시킨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며, 포인터가 정렬된 VC-3 신호를 받아서, 해당 경로 오버헤드를 삽입시킨 후, AU-32 신호로 출력시키는 복수개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 및 포인터가 정렬된 25Mbps의 VC-3 신호를 입력 받고, 시간 슬롯 스위칭(Time Slot switching) 기능을 수행한 후,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는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를 사용하면, 링형 광 가입자 망의 각 원격 터미널에서 임의로 신호의 분기동작이나 결합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링형 광 가입자 망 운용상에 융통성을 더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Add/Drop Unit in Fiber Loop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리단위(Administration Unit:이하, AU라 한다.) 신호와 종속단위(Tributary Unit:이하 TU라 한다.) 신호의 포인터를 정렬시키고, 시간 슬롯 교환(Time Slot Interchange:이하 TSI라 한다.) 기능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51.84Mbps AU32 신호에 대하여 분기/결합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FLC 시스템에서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에 기반을 둔 동기식 수송 모듈(Synchronous Transport Module:이하 STM이라 한다.)의 신호 형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는데, 특히 링(Ring) 형으로 구성되는 광 가입자 망에서는 망의 융통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 원격 터미널(Remote Terminal)에 장착되어 통신에 관계하는 신호들을 STM 신호 형식으로 결합시키거나, 혹은 특정 신호를 분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분기/결합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에 관계하는 신호들을 STM 신호 형식으로 결합시키거나, 혹은 특정 신호를 분기시키는 정치인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는 AU-32 신호를 입력받아서, AU-32 신호의 포인터 및 TU 신호의 포인터를 동일 위치로 정렬시킨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며, 포인터가 정렬된 VC-3 신호를 받아서, 해당 경로 오버헤드를 삽입시킨 후, AU-32 신호로 출력시키는 복수개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 및 포인터가 정렬된 25Mbps의 VC-3 신호를 입력 받고, 시간 슬롯 스위칭(Time Slot switching) 기능을 수행한 후,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는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DS1급 신호에 대한 STM-1 신호로의 매핑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결합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와 하나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 사이의 신호흐름도,
도 4는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 210: AU-32 신호해석부
220: VC-3 신호해석부 230: TU 신호해석 및 포인터 정렬부
240: VC-3 신호형성부, 250: 25Mbps 신호출력부
260: 입력신호 선택부, 270: VC-3 POH 삽입부
280: AU-32 신호 출력부 300: 분기/결합 장치
310: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 320: 주 제어장치
도 1은 DS1급 신호에 대한 STM-1 신호로의 매핑 구조도로서, DS1 신호(110)는 상자(container) 구조인 C-11(120)로 매핑되고, C-11(120)에 경로 오버헤드가 부가되면 가상상자(130:Virtual Container)로 되며, VC-11(130)에 VC-11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부가되면, TU-11(140)이 된다. TU-11(140) 4개가 모여 종속단위그룹 신호(150:TUG-2)가 만들어지는데, 4개의 TUG-11(140) 포인터는 TUG-2(150)의 앞부분에 모두 위치한다. TUG-2(150) 7개가 모이고, 가장 앞부분에 경로 오버헤드가 부가되면 VC-3(160)이 만들어지는데, 이 VC-3(160)에 포인터(171)가 부가되면, AU-32(170)이 만들어지고, AU-32(170) 3개가 모여 관리단위그룹(180:AUG)이 만들어지며, 최후로 AUG(180)에 구간 오버헤드(Section OverHead)가 부가되면 STM-1 프레임(190)이 생성된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포인터는 동기식 다중화 과정에 필요한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포인터는 가상상자가 AU나 TU에 정렬될 때, AU 또는 TU 프레임 내에서 가상상자의 시작점 번지를 가리키고, 또 시작점이 변할 때, 그 변화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FLC 시스템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FLC 시스템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300)에 대한 구성도로서, 분기/결합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 및 복수개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로 이루어진다.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는 신호를 송신하려는 여러 장치들이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지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AU 신호나 TU 신호를 생성시킬 경우, AU-32 신호에 존재하는 종속단위 TU 신호의 위치나 AU 신호 자체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AU 신호나 TU 신호를 타임 슬롯 단위로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AU 신호나 TU 신호 포인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장치이다.
도 3은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와 하나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 사이의 신호 흐름에 대한 개요도이다.
TUG 신호를 받아 AU-32 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 역과정을 수행하는 AU 멀티플렉서 등과 같이 원격 터미널을 구성하는 여러 신호처리 장치로부터 51.84Mbps의 AU-32 신호를 입력받은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는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에서의 타임 슬롯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입력된 AU-32 신호의 포인터를 동일 위치에 있도록 정렬시킨다.
그리고 정렬된 포인터를 가지는 VC-3 신호를 25Mbps의 신호로 출력시키며, 이 신호를 입력받은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는 원격 터미널의 주 제어장치(320:Main Control Unit)의 명령에 따라서, 시간 슬롯 스위칭(Time Slot switching) 기능을 수행한다.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는 시간 슬롯 스위칭이 완료된 VC-3 신호를 25Mbps의 신호로 출력시키는데, 이 신호는 다시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의 25Mbps 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되며, 스위칭이 완료된 해당 VC-3 신호에 경로 오버헤드를 삽입한 후, 52.84Mbps의 AU-32 신호로 출력시킨다.
도 4는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에 대한 상세 구성도로서, AU-32 신호해석부(210), VC-3 신호해석부(220), TU 신호해석 및 포인터 정렬부(230), VC-3 신호형성부(240), 25Mbps 신호출력부(250), 입력신호 선택부(260), VC-3 POH 삽입부(270), 및 AU-32 신호 출력부(280)로 이루어진다.
AU-32 신호해석부(210)는 51.84Mhz의 직렬 AU-32 신호(170)를 입력받아 병렬 신호로 변환한 후, AU-32 신호에서 가상상자(VC-3)의 위치를 나타내는 AU-32 포인터(171)를 참조하여, AU-32 신호(170)를 해석하고, 해당 VC-3 신호(160)를 분리한다.
VC-3 신호해석부(220)는 AU-32 신호해석부(210)로부터 병렬로 변환된 VC-3 신호를 받아서, VC-3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경로 오버헤드(161)를 추출하고, 추출한 경로 오버헤드(261)의 C2 바이트(320)를 해석한 다음, C2 바이트가 논리값 04H를 가지는 경우이면, DS3급 신호로 파악하여 25Mbps 신호 출력부(250)로 바로 보내고, C2 바이트가 02H인 경우이면, TU 신호로 파악해서, TU 신호 해석부(230)로 보내며, 그 외의 경우는 타 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AU-32 신호출력부(280)로 보낸다.
TU 신호 해석 및 포인터 정렬부(230)는 TU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포인터(151)를 참조하여, TU 신호를 해석하고, 해당 포인터를 정렬 시킨다.
VC-3 신호 형성부(240)는 TU 신호 해석부(230)에서 포인터가 재정렬된 TU 신호에 해당 경로 오버헤드(161)를 부가시켜서 VC-3 신호를 다시 형성시킨다.
25Mbps 신호출력부(250)는 VC-3 신호 형성부(240)로부터 재형성된 VC-3 신호나 VC-3 신호해석부(220)에서 바로 입력되는 DS3 신호를 25Mbps의 전송률을 가진 신호로 결합/분기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출력시킨다.
입력신호 선택부(260)는 타 장치들로부터 보내지는 25Mbps의 VC-3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VC-3 POH 삽입부(270)로 보낸다.
VC-3 POH 삽입부(270)는 입력신호 선택부(260)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되는 VC-3 신호에 해당 VC-3 경로 오버헤드(161)를 삽입한다.
AU-32 신호출력부(280)는 VC-3 신호해석부(220)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나 VC-3 POH 삽입부(270)로부터 보내지는 병렬 AU-32 신호를 직렬로 변환하여 51.84Mbps의 전송률을 갖는 신호로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FLC 시스템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를 사용하면, 링형 광 가입자망의 각 원격 터미널에서 임의로 신호의 분기동작이나 결합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링형 광 가입자망 운용상에 융통성을 더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U-32 신호를 입력받아서, AU-32 신호의 포인터 및 TU 신호의 포인터를 동일 위치로 정렬시킨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며, 포인터가 정렬된 VC-3 신호를 받아서, 해당 경로 오버헤드를 삽입시킨 후, AU-32 신호로 출력시키는 복수개의 분기/결합 포인터 정렬장치(200); 및
    포인터가 정렬된 25Mbps의 VC-3 신호를 입력 받고, 시간 슬롯 스위칭(Time Slot switching) 기능을 수행한 후, 25Mbps의 VC-3 신호를 출력시키는 분기/결합 스위칭 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300).
KR1019970081758A 1997-12-31 1997-12-31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00263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58A KR100263383B1 (ko) 1997-12-31 1997-12-31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58A KR100263383B1 (ko) 1997-12-31 1997-12-31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492A true KR19990061492A (ko) 1999-07-26
KR100263383B1 KR100263383B1 (ko) 2000-08-01

Family

ID=1953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758A KR100263383B1 (ko) 1997-12-31 1997-12-31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987A (ko) * 2002-09-27 2004-04-01 (주)텔레필드 티유 신호 포인터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987A (ko) * 2002-09-27 2004-04-01 (주)텔레필드 티유 신호 포인터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383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67099B2 (ja) デイジタル広帯域信号の伝送方法
CN101167281B (zh) 用于同步交换光传输网络信号的方法和设备
US5267239A (en) Cross-connect method for STM-1 signals of the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hierarchy
US5490142A (en) VT group optical extension interface and VT group optical extension format method
CA1331639C (en) Process for coupling and uncoupling signals into and out of the sub-areas of supplementary signals of transport modules of a synchronous digital signal hierarchy
JP3974855B2 (ja) データ伝送装置
CA2024215C (en) Cross-connect method for stm-1 signals of the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hierarchy
US7688833B2 (en)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node
US701635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bitrary concatenation in a switch
KR100263383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00256691B1 (ko) 임의 조합의 종속신호를 수용하는 광전송 장치
KR100263382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tsi기능을 위한 tu 포인터및 au 포인터 정렬 장치
KR100271311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관리단위신호에 대한 관리단위 포인터및 계위단위 포인터 처리장치
KR10020133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KR100201332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c1 자국 루프백회로
KR100271312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관리단위신호 교환장치
KR10025250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KR0153688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dram을 이용한 tu신호 정렬장치
KR0179505B1 (ko) 저속 스위칭을 위한 티유 신호의 프레임 정렬기
KR100284003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ds1 신호와 계위단위그룹신호사이의 다중화 장치
KR100201329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위치맞춤에 따른 vc유료부하추출 클럭발생회로
KR100284010B1 (ko) 링형 망 결합을 위한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타임 슬롯 스위칭 장치
KR100399413B1 (ko)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고계위 신호 연결 장치
KR100237475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KR100243696B1 (ko) 분기 결합형 광전송 시스템에서의 다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