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485A - 자동 선곡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선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485A
KR19990060485A KR1019970080712A KR19970080712A KR19990060485A KR 19990060485 A KR19990060485 A KR 19990060485A KR 1019970080712 A KR1019970080712 A KR 1019970080712A KR 19970080712 A KR19970080712 A KR 19970080712A KR 19990060485 A KR19990060485 A KR 1999006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track
song
memor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8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0485A/ko
Publication of KR1999006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485A/ko

Link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미니 디스크(Mini Disc; MD)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자주 듣는 디스크의 곡은 자동적으로 재생시키는 자동 선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크가 삽입되면 TOC 정보를 리드하여 램에 기록된 디스크인지를 판별한 후 램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라면 각 곡의 재생 횟수를 체크하여 재생 횟수가 가장 많은 곡을 재생 곡으로 결정하여 그 곡의 트랙을 서치하고 동시에 서치된 곡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램에 그 디스크 번호와 곡의 시작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일정 값 이하이면 카운트 값만 저장한 후 서치된 트랙의 곡을 재생함으로써, 여러개의 디스크중 어떤 하나의 디스크를 재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자주 듣는 곡은 디스크 삽입 즉시 자동적으로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Description

자동 선곡 방법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니 디스크(Mini Disc; MD)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자주 듣는 디스크와 곡명을 미리 램에 저장해 놓고 자동적으로 곡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선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MD는 차세대 디지털 오디오로서, 직경 6.4cm의 광자기 디스크를 사용한 포터블 시스템이다. 4 비트의 디지털로 최대 74분간의 녹음/재생이 가능한 MD는 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음악을 선곡할 수 있는 기능인 랜덤 억세스가 포인트이며 플로피 디스크를 연상시키는 「슬라이드식의 뚜껑이 부착된 카트리지」에 내장, 사용토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도모했다. 상기 MD의 카트리지는 2종류로, 하나는 CD와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에 의한 재생 전용 뮤직 소프트웨어이며 또 다른 하나는 녹음/재생이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이다.
상기 MD가 CD 이후를 커버할 수 있는 차세대 오디오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AV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제품인데다 기술 발전으로 CD가 안고 있던 여러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CD는 물론 기존 아날로그 제품 수요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예상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MD는 CD와 마찬가지 스타일이지만 직경은 약 절반이다. 따라서, CD와 같은 부호화로 기록하면 불과 10여분밖에 기록할 수 없지만, MD는 정보 압축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즉,16비트로 디지털화한 후에 약 20mm초의 데이터를 1블록으로 하여 파형을 약 1천 주파수 성분으로 분석, 귀에 들리지 않는 미세한 음과 큰음에 마스크돼 들리지 않는 음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청취상 중요한 부분으로부터 유출하여 기록, 약 1/5로 정보를 압축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가지고 있으나 여러개의 디스크에 수록된 곡중 자주 듣고자 하는 곡은 한정되어 있기 마련이다.
그럴 경우, 사용자는 디스크를 넣을 때마다 매번 자주 듣는 곡을 일일이 선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주 듣는 곡의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디스크를 넣었을 때 그 곡을 자동적으로 서치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자동 선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선곡 방법은, 디스크 번호 및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 그리고, 트랙 번호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된 자동 선곡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가 삽입되면 삽입된 디스크의 TOC 정보를 리드하여 삽입된 디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크중 하나인지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제1 단계에서 삽입된 디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크중 하나라고 판별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그 디스크의 각 트랙 번호에 대한 재생횟수를 체크하여 가장 재생 횟수가 많은 트랙을 재생 곡으로 결정하고 그 트랙에 대한 서치를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트랙 서치가 수행되는 트랙 번호의 재생 횟수를 카운트에 의해 증가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값이 일정 값 이상이면 삽입된 디스크 번호와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 그리고, 카운트된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일정 값 이하인면 디스크 번호와 카운트 값만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서치된 트랙의 곡을 재생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선곡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자동 선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비교기22 : 마이콤
23 : 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선곡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선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통상, 신호가 기록되는 디스크 영역은 크게 리드 인 영역, 프로그램 영역, 리드 아웃 영역으로 나뉜다.
여기서, 리드 인 영역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곡수, 각 곡의 시간 및 전체 시간, 각 곡의 첫 부분과 인덱스 부분의 어드레스등이 기록되어 있고, TOC(Table Of Contents)라 불리운다. 즉, 상기 리드 인 영역에는 이러한 TOC 정보가 반복 기록되어 있다. 상기 TOC 정보는 곡을 선택하는데에도 활용된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실제 데이터인 음악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고, 리드 아웃 영역은 프로그램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의 영역이다.
그럼로, 디스크가 MD 플레이어에 삽입되면(단계 101), 마이콤(22)은 디스크의 리드 인 영역을 서치하여 TOC 정보를 읽는다(단계 102). 여기까지는 기존의 MD 시스템과 같다.
그리고, 상기 단계 102에서 읽은 TOC 정보를 이용하여 램(23)으로부터 디스크 번호(예, 디스크의 타이틀로서 디스크를 구별함.)를 읽는다(단계 103). 상기 램(23)은 일종의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상기 단계 103에서 읽은 디스크 번호와 삽입된 디스크를 비교한다(단계 104). 만약, 상기 단계 104에서 삽입된 디스크가 램(23)에 기록된 디스크중 하나라면 램(23)으로부터 곡 번호 즉, 트랙 번호를 다시 읽어 와 그 중 가장 많이 재생된 트랙을 찾아 재생 곡으로 결정한다(단계 105).
한편, 삽입된 디스크가 램에 기록된 디스크중 하나가 아니라면 기존의 MD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재생키나 서치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곡을 선택한다(단계 106).
상기 단계 105에서 재생할 곡이 자동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 106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곡에 대한 트랙 서치를 수행하는데, 트랙 서치는 기존과 동일하다(단계 107).
동시에 상기 마이콤(22)은 트랙 서치가 수행되는 곡의 트랙 번호의 수를 카운트에 의해 증가시킨다(단계 108).
만일, 디스크 1에서 디스크 n까지의 디스크가 있고, 한 디스크에 n개의 트랙이 있다고 가정하면, 도 2의 카운트 수는 재생 횟수들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1의 경우, 트랙 1은 재생 횟수가 n, 트랙 2는 n-3, 트랙 3은 n+10, 트랙 n의 경우 n+2이다. 또, 디스크 2의 경우 트랙 1은 n-1, 트랙 2는 n+15, 트랙 3은 n-7, 트랙 n은 n+3이다. 즉, 디스크 1의 경우는 트랙 3의 재생 횟수가 제일 많고, 디스크 2의 경우는 트랙 2의 재생 횟수가 제일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105에서 디스크 1이 삽입되었다면 트랙 3이 재생 곡으로 결정되고, 디스크 2가 삽입되었다면 트랙 2가 재생 곡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즉, 디스크 1이 삽입되었다면 비교기(21)는 디스크 1의 트랙 번호의 카운트 수를 램(23)으로부터 읽어 와 마이콤(22)에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22)은 카운트 수가 제일 많은 트랙 번호를 재생 곡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22)은 상기 단계 108에서 카운트된 트랙 번호의 수와 램(23)에 기록된 최소 카운트 트랙 번호의 수의 크기를 비교한다(단계 109). 상기 최소 카운트 트랙 번호의 수는 일종의 기준 값으로서, 현재 삽입된 디스크와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를 램(23)에 기록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정된다.
상기 단계 109에서 최소 카운트 트랙 번호의 수가 카운트된 트랙 번호의 수보다 작으면 현재 삽입된 디스크에서 서치된 트랙은 자주 듣는 트랙으로 판별하여 TOC 정보를 다시 체크한 후(단계 110), 상기 램(23)에 그 디스크의 번호(타이틀) 및 카운트된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를 저장한다(단계 111). 그리고나서, 서치되어 카운트된 상기 트랙을 재생한다(단계 112).
한편, 상기 단계 109에서 최소 카운트 트랙 번호의 수가 카운트된 트랙 번호의 수보다 크면 현재 삽입된 디스크의 트랙은 자주 듣지 않는 트랙으로 판별하여 램(23)에 디스크 번호와 트랙의 카운트 값만 저장하고(단계 113), 그 트랙을 재생한다(단계 112).
보 발명은 MD의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디지털로 기록/재생하는 모든 오디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선곡 방법에 의하면, 디스크가 삽입되면 TOC 정보를 리드하여 램에 기록된 디스크인지를 판별한 후 램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중 하나라면 삽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각 곡의 재생 횟수를 체크하여 재생 횟수가 가장 많은 곡을 재생 곡으로 결정하여 그 트랙을 서치하고, 동시에 서치된 트랙 번호의 수를 카운트에 의해 증가시킨 후 카운트된 값이 일정값 이상이 되면 램에 그 디스크 번호와 곡의 시작 어드레스, 카운트 값을 저장하고, 일정 값 이하이면 카운트 값만 저장하고 서치된 트랙을 재생함으로써, 여러개의 디스크중 어떤 하나의 디스크를 재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자주 듣는 곡은 디스크 삽입 즉시 자동적으로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스크 번호 및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 그리고, 트랙 번호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된 자동 선곡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가 삽입되면 삽입된 디스크의 TOC 정보를 리드하여 삽입된 디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크중 하나인지를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에서 삽입된 디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크중 하나라고 판별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에 수록된 각 트랙 번호에 대한 재생 횟수를 체크하여 가장 재생 횟수가 많은 트랙을 재생 곡으로 결정하고 그 트랙에 대한 서치를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트랙 서치가 수행되는 트랙 번호의 재생 횟수를 카운트에 의해 증가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값이 일정 값 이상이면 삽입된 디스크 번호와 트랙의 시작 어드레스 그리고, 카운트된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일정 값 이하이면 디스크 번호와 카운트 값만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서치된 트랙의 곡을 재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선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삽입된 디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크중 하나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곡에 대해서 트랙 서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선곡 방법.
KR1019970080712A 1997-12-31 1997-12-31 자동 선곡 방법 KR19990060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12A KR19990060485A (ko) 1997-12-31 1997-12-31 자동 선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12A KR19990060485A (ko) 1997-12-31 1997-12-31 자동 선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85A true KR19990060485A (ko) 1999-07-26

Family

ID=6618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712A KR19990060485A (ko) 1997-12-31 1997-12-31 자동 선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04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62B1 (ko) * 1998-11-25 200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니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메모리관리방법
KR101218509B1 (ko) * 2002-06-21 2013-01-21 톰슨 라이센싱 미디어 플레이백 디바이스에 의한 미디어 인기도 결정을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62B1 (ko) * 1998-11-25 200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니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메모리관리방법
KR101218509B1 (ko) * 2002-06-21 2013-01-21 톰슨 라이센싱 미디어 플레이백 디바이스에 의한 미디어 인기도 결정을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285B2 (en) Recording apparatus
JP3199082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WO2002015182B1 (en) Optical storage device
US6574187B2 (en) Audi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9990060485A (ko) 자동 선곡 방법
JPH0877681A (ja) 複数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CA2329570C (en) Audio recording medium, methods for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therefor
JP2734430B2 (ja) プログラム選曲再生装置
JP2535856B2 (ja) 音響再生装置
US7352681B1 (en) Optical disc for data storage with invisible track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10035676A (ko) 디스크 기록매체의 오디오 인덱스 메뉴 작성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KR0133858B1 (ko) 멀티-체인저 cdp의 선곡 예약회로 및 그 운영방법
KR200244144Y1 (ko) 목록영역을 가진 콤팩트 디스크
KR100614339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오디오 씨디 재생방법
KR100257195B1 (ko) 오디오 시스템의 녹음 방법 및 장치
JPH05159525A (ja) 情報記録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CN1619693A (zh) 光盘播放装置中音频曲目的跳跃播放方法
KR100621123B1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27333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메모리 재생방법
JP2668194B2 (ja) プログラム選曲装置及び方法
KR0139498B1 (ko) 음향기기의 음원정보 예약편집/재생방법
KR20030004819A (ko) 아날로그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제거해서 디지털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오디오 시스템
JPH05250794A (ja) 再生装置
KR20020022143A (ko) 광기록재생기에서의 디스크 판별방법
JP2002163851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