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019A -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019A
KR19990060019A KR1019970080237A KR19970080237A KR19990060019A KR 19990060019 A KR19990060019 A KR 19990060019A KR 1019970080237 A KR1019970080237 A KR 1019970080237A KR 19970080237 A KR19970080237 A KR 19970080237A KR 19990060019 A KR19990060019 A KR 1999006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power switch
supply stat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177B1 (ko
Inventor
안희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1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부팅된 시스템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인액티비티 상태이면 경과된 시간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해당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전원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전원 스위치가 눌리면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거나, 전원공급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2단계와;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전원복구방법은 시스템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때도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어 어떤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시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
이 발명은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공급상태가 어떤 절전모드로 동작하느냐에 관계없이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공급상태를 풀-온(full-on)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전원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일반적인 절전모드의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전모드는 풀-온 모드, 도우즈(doze) 모드, 스탠바이(standby) 모드, 서스펜드(suspend) 모드 및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절전모드는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 따라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화면표시장치 또는 키보드 등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여 전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풀-온 모드는 시스템의 각 디바이스(device)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각 디바이스가 계속 사용되어 전원절약을 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도우즈 모드는 중앙처리장치가 인액티비티(inactivity) 상태인 동안 중앙처리장치의 동작 속도를 낮춤으로써 전원을 절약하는 모드이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는 셋업(set up)시 설정된 시간동안 시스템이 인액티비티 상태일 경우에 중앙처리장치의 동작 속도를 낮추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하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모터(motor)를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줄여주는 모드이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는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셋업시 설정된 시간동안 시스템이 인액티비티 상태일 경우에 일시 정지되는 상태로서 메인 메모리와 비디오 메모리 등의 주요 부분의 전원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원을 오프하여 전력 소비를 줄여주는 모드이고, 상기 파워 오프 모드는 시스템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로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모드이다.
상기 도우즈 모드로 동작중인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가 액티비티(activity) 상태가 되면 풀-온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중인 시스템은 키보드의 입력, 마우스의 입력, 적외선 포트의 입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세스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세스 등의 외부 입력이 있을 때 자동적으로 웨이크-업(wake-up)되어 풀 온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중인 시스템은 전원 스위치가 온될 때 풀 온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중인 시스템을 풀-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를 오프한 경우 작업중인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가 어떤 절전모드로 동작하느냐에 관계없이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전원복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으로 동작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절전모드의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부팅된 시스템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인액티비티 상태이면 경과된 시간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해당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전원 스위치의 눌림(전원 스위치의 오프)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전원 스위치가 눌리면(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거나, 전원공급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2단계와;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이 4초 이상이면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고,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이 4초 이하이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으로 동작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으로 동작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은,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시스템의 기본 동작에 관련된 바이오스(BIOS) 데이터가 저장된 장치로서, 전원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바이오스 롬(10)과;
전원 스위치(21)의 눌림이 감지되면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전원공급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0)과;
램(40)을 제어하며, 상기 마이컴(20)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 버스를 통해 바이오스 롬(10)에 저장된 전원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중앙처리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서, 액티비티 상태란, 키보드의 입력, 마우스의 입력, 화면표시장치의 동작,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리드/라이트 동작,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리드/라이트 동작, 직렬 포트의 동작, 병렬 포트의 동작, PCMCIA 카드의 동작 등을 의미한다.
휴대용 컴퓨터가 동작을 시작하면, 바이오스 롬(10)에 저장되어 있으며 부팅과정중에 실행된 전원관리 프로그램이 시스템이 액티비티 상태인지 판단한다(S101). 이때의 전원공급상태는 풀-온 모드 상태이다.
상기 단계(S101)의 판단 결과 시스템이 액티비티 상태이면 전원공급상태는 풀-온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S103).
그러나, 시스템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도록 인액티비티 상태이면 전원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전원공급상태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는데, 절전모드는 인액티비티 상태로 경과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우즈 모드, 스탠바이 모드, 서스펜드 모드로 변화되어 간다.
이때, 전원공급상태가 도우즈 모드를 거쳐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S105)되면 마이컴(20)은 전원 스위치(21)의 눌림(오프)을 감지하고(S107), 전원 스위치(21)의 눌림이 감지되면 전원 스위치(21)의 눌림 시간이 4초 이상인지 판단한다(S109).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단계(S109)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 스위치(21)의 눌림이 4초 이상이면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고(S111), 전원 스위치(21)의 눌림이 4초 이하이면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S113).
그러면, 중앙처리장치(30)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받아 전원관리 프로그램중 스탠바이 모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전원관리루틴을 실행시킨다(S115).
스탠바이 모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기 하기 위한 전원관리루틴이 실행되면 중앙처리장치(30)의 동작 속도가 정상 속도로 복구되고, 화면표시장치(50)에 정상 전원을 공급되고, 정지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60)의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동작하게 되어 전원공급상태가 풀-온 모드로 전환된다(S117).
이 발명이 도우즈 모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시스템 액티비티가 있을 때 스탠바이 모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서스펜드 모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상기 단계(S109)에서와 같이, 전원 스위치(21)의 눌림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거나 풀-온 모드로 전환하기 하는 동작을 전원 스위치의 오버라이드(override) 기능이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은, 시스템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때도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어 어떤 절전모드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전원 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팅된 시스템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인액티비티 상태이면 경과된 시간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해당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전원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전원 스위치가 눌리면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거나, 전원공급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제2단계와;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전원공급상태를 풀-온 모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전원복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이 4초 이상이면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고, 전원 스위치의 눌림 시간이 4초 이하이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복구방법.
KR1019970080237A 1997-12-31 1997-12-31 전원스위치를이용한전원복구방법 KR10047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37A KR100472177B1 (ko) 1997-12-31 1997-12-31 전원스위치를이용한전원복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237A KR100472177B1 (ko) 1997-12-31 1997-12-31 전원스위치를이용한전원복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019A true KR19990060019A (ko) 1999-07-26
KR100472177B1 KR100472177B1 (ko) 2005-05-18

Family

ID=3730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237A KR100472177B1 (ko) 1997-12-31 1997-12-31 전원스위치를이용한전원복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67B1 (ko) * 2004-07-13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응급 복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226U (ko) * 1994-07-06 1996-02-17 브라운관의 방폭검사치구
JPH0916293A (ja) * 1995-06-27 1997-01-17 Nec Shizuoka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9990030730A (ko) * 1997-10-04 1999-05-06 김영환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제어 방법
KR19990024833U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다기능 스위치를 내장한 컴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567B1 (ko) * 2004-07-13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응급 복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177B1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647B1 (ko) 웨이크 온 랜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파워 제어방법및 그 장치
KR100471056B1 (ko) 컴퓨터시스템 및 컴퓨터시스템의 대기모드제어방법
CA2187501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management events in a computer system
US7472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CPI functionality and power button functionality into a single power key
KR100480415B1 (ko) 씨디-롬(cd-rom) 드라이브의 동작상태 체크방법
US7840793B2 (en) Method of fast booting for computer multimedia playing from standby mode
US6775784B1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utting off unnecessary power to system memory in the power-off state
JP365194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電力管理システム
KR100247275B1 (ko) 절전형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920573B2 (en) Energy-conserving apparatus and operating system having multiple operating functions stored in keep-alive memory
US54469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nd resuming a keyboard controller
US5664203A (en) Peripheral device input-initiated resume system for combined hibernation system and back-up power supply for computer
KR100278355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이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7447928B2 (en) Method for booting computer multimedia systems with a hot key standby state
KR20010027087A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392451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TWI667569B (zh) 電腦喚醒方法及電腦節電方法
KR101978323B1 (ko) Gpio 포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전력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72177B1 (ko) 전원스위치를이용한전원복구방법
WO2012126345A1 (zh) 计算机的启动方法、启动装置、状态转换方法和状态转换装置
KR0167643B1 (ko) 퍼스널 컴퓨터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1717663A1 (en) Power-managing ke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0167697B1 (ko) 다단계 절전형 컴퓨터
JPH05241696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H09269854A (ja) 中央処理装置のための電力節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