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720A -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720A
KR19990059720A KR1019970079934A KR19970079934A KR19990059720A KR 19990059720 A KR19990059720 A KR 19990059720A KR 1019970079934 A KR1019970079934 A KR 1019970079934A KR 19970079934 A KR19970079934 A KR 19970079934A KR 19990059720 A KR19990059720 A KR 1999005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hole
inner lens
hous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7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720A/ko
Publication of KR1999005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720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되고 중앙부쪽에 소켓(11)이 착탈되도록 되는 하우징(10)이 차체(1)에 지지되도록 되어, 오목하게 곡면으로 되고 내측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베젤(12)이 상기 하우징의 안쪽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11)에 끼워지는 전구(15)가 상기 베젤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도록 되며, 상기 베젤의 선단부쪽에 내측렌즈(13)가 취부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외측렌즈(14)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선단부쪽 구멍이 후방쪽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구멍 저면쪽에 소정폭의 걸림턱지지부(12a)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렌즈의 하단부가 상기 베젤의 구멍에 삽입되고 저면이 상기 걸림턱지지부에 밀착되게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점등시 불빛이 걸림턱지지부(12a)에도 투과되어 걸림턱지지부(12a)에서 빛을 반사하도록 하므로 내측렌즈(13)의 하단부 전체가 동일하게 빛을 투과하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lamp) 내부에 장착되는 내측렌즈(inner lens)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램프베젤(lamp bezel) 내부에서 내측렌즈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점등시 내측렌즈 하단 지지부가 검게 보이는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는 차체(body)의 선단부에 기관이 탑재되고 상부에 후드(hood)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기관실(engine room)이 형성되고, 차체 후단부에 소정의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트렁크리드(trunk lid)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트렁크실(trunk room)이 형성되며, 상기 기관실과 트렁크실 사이에 도어(door)가 양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고 전면과 후면에 각기 유리(glass)가 취부되며 내부에 승원이 착좌하도록 의자들이 설치되는 소정 승차공간의 객실(guest room)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승용자동차는 차체의 전면부 양쪽에 각기 대칭되게 전조등(head lamp)과 방향지시(signal lamp)등 및 미등이 장치되고, 후면부 양쪽에 제동등과 미등 및 후진등이 대칭되게 장치되어, 주행중 상기 방향지시등에 의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표시하고, 정지시 상기 제동등이 점등되도록 하여 정지의사를 표시하며, 야간운행시 미등에 의해 차량의 차폭과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승용자동차는 객실의 양측 개구부에 형성되는 도어를 통해 객실 내부로 승차하거나 하차하며, 객실의 의자에 착좌한 운전자는 운전장치와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차량을 운전하고, 야간 운행시 전조등과 미등스위치를 조작하여 차량의 폭과 위치를 표시하고 전방을 관측하도록 하며, 주행중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장소로부터 일정거리 전에 스위치를 조작하여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도록 하므로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이를 보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또한, 정차나 정지 또는 감속을 위해 브레이크페달(brake pedal)을 조작하면 제동등의 스위치가 접촉되어 전원이 제동등에 통전되도록 하므로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들이 이를 보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는 램프류들에 의해 의사전달을 하도록 하므로 운행중인 차량의 필수적인 안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을 개량하여 외형이 미려하도록 하므로 차량의 외형이 고급스럽도록 하고, 이로인해 차량의 전체적인 품격이 격상되도록 하고,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램프류 취부구조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체(1)의 양측부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차체(1)의 내주연부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전구(15)가 끼워지는 하우징(housing)(10)의 후면부가 상기 수납부에 안착되고, 하우징(10)의 선단부 외곽이 상기 수납공간의 선단부쪽에서 차체(1)의 내주연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중앙부쪽에 소켓(socket)(11)이 착탈되도록 되어, 오목하게 곡면으로 되고 내측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베젤(bezel)(12)이 하우징(10)의 안쪽에 결합되고, 소켓(11)에 끼워지는 전구(15)가 베젤(12)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도록 되며, 베젤(12)의 선단부쪽에 내측렌즈(13)가 취부되고, 하우징(10)의 선단부에 외측렌즈(14)가 취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의 램프류 취부구조는, 전구(15)가 소켓(1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소켓(11)이 축전지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위치가 상기 전원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위치를 켜면 축전지의 전원이 소켓(11)을 통해 전구(15)에 통전되어 점등되고, 점등된 전구(15)의 불빛이 반사면으로 되는 베젤(12)의 내부면에 전방쪽으로 반사되며, 내측렌즈(1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일정 굴절각을 갖고 전방으로 투과되도록 한다. 또한, 외측렌즈(14)는 하우징(10)의 전면 외곽부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외부에서 수분이나 먼지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측렌즈(13)를 보호한다.
여기에서, 내측렌즈(13)의 취부구조는 베젤(12)의 전면부쪽 상부와 하부에 각기 구멍이 형성되어, 내측렌즈(13)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구멍에 끼워져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램프류 취부구조는, 내측렌즈(13)의 하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베젤(12)의 구멍부위가 전면으로 반사되어 검게 보이기 때문에, 그 기능에는 문제가 없지만 외부에서 볼 때 외관미가 저하되고, 신뢰성이 떨어져, 상품성이 격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측렌즈의 베젤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내측렌즈 지지부가 외부로 반사되지 않도록 하므로, 전면에서 볼 때 내측렌즈에 검게 보이는 현상이 제거되고, 내측렌즈의 전면 전체가 균등한 표면을 표시하도록 하므로, 외관이 미려하여 고급감이 더하도록 하고, 상품성이 격상되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 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하우징 11;소켓 12;베젤 13;내측렌즈 14;외측렌즈 15;전구
본 발명은 내부의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을 렌즈를 통해 전방으로 투사하는 차량의 램프류에 있어서, 내측렌즈의 하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베젤의 렌즈지지부 구조에 걸림턱지지부가 형성되어 내측렌즈의 하단부가 베젤의 걸림턱지지부에 삽입되므로 걸림턱지지부에 의해 내측렌즈의 하단부에 빛이 반사되도록 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램프류 취부구조도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되며 중앙부쪽에 소켓(11)이 착탈되도록 되는 하우징(10)이 차체(1)에 지지되도록 되어, 오목하게 곡면으로 되고 내측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베젤(12)이 하우징(10)의 안쪽에 결합되고, 소켓(11)에 끼워지는 전구(15)가 베젤(12)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도록 되며, 베젤(12)의 선단부쪽에 내측렌즈(13)가 취부되고, 하우징(10)의 선단부에 외측렌즈(14)가 취부된다.
단, 본 발명은 내측렌즈(13)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베젤(12)의 선단부쪽 구멍이 후방쪽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구멍 저면쪽에 소정폭의 걸림턱지지부(12a)가 형성되어, 내측렌즈(13)의 하단부가 상기 베젤(12)의 구멍에 삽입되어 저면이 걸림턱지지부(12a)에 밀착되게 지지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위치를 켜면 축전지의 전원이 소켓(11)을 통해 전구(15)에 통전되어 점등되고, 점등된 전구(15)의 불빛이 베젤(12)의 반사면에 의해 전방쪽으로 반사되며, 반사되는 빛이 내측렌즈(13)에 의해 일정 굴절각을 갖고 전방으로 투과된다. 이때, 불빛이 걸림턱지지부(12a)에도 투과되어 걸림턱지지부(12a)에서 빛을 반사하도록 하므로 내측렌즈(13)의 하단부 전체가 동일하게 빛을 투과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내측렌즈(13) 전체가 같은 표면으로 표출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차량의 전체에 미치는 미적균형을 이루어 외형이 고급스럽도록 하므로, 차량의 전체적인 품격이 격상되도록 하고, 이로인해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렌즈의 베젤 취부구조가 개선되어 내측렌즈의 하단지지부도 밝게 빛을 투과시키도록 하므로 야간 점등시 외관이 미려하고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전방이 개방되고 중앙부쪽에 소켓(11)이 착탈되도록 되는 하우징(10)이 차체(1)에 지지되도록 되어, 오목하게 곡면으로 되고 내측면이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베젤(12)이 상기 하우징의 안쪽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11)에 끼워지는 전구(15)가 상기 베젤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도록 되며, 상기 베젤의 선단부쪽에 내측렌즈(13)가 취부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외측렌즈(14)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선단부쪽 구멍이 후방쪽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구멍 저면쪽에 소정폭의 걸림턱지지부(12a)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렌즈의 하단부가 상기 베젤의 구멍에 삽입되어 저면이 상기 걸림턱지지부에 밀착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KR1019970079934A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KR19990059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34A KR19990059720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934A KR19990059720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720A true KR19990059720A (ko) 1999-07-26

Family

ID=6618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934A KR19990059720A (ko) 1997-12-31 1997-12-31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885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885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153A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2570483Y2 (ja) 自動車用ウインカ装置
US4626967A (en) Auxiliary lamp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or the like
US20040190303A1 (en) Side mirror cover and side mirror body
JP4433789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4001710A (ja) サイドミラーカバー並びにサイドミラー本体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ランプ
JPS61188242A (ja) ドアミラ−
KR19990059720A (ko) 차량용 램프의 내측렌즈 취부구조
JPH0685281B2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JP4103317B2 (ja) 車両用ミラー
JPH01109142A (ja) 車輌用後部信号灯
JPH0343868Y2 (ko)
US20040208015A1 (en) Vehicle mirror with internal illumination source and transmitting housing
JPH10166941A (ja) バン型車両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S60229837A (ja) 車両用灯具
JPH0226757Y2 (ko)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US5818331A (en) Automotive light signal allowing a failure-proof end-to-end operability checking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JPS60226336A (ja) 車両用灯具
JPH0139246Y2 (ko)
KR200214032Y1 (ko) 승합차용 후사경
KR100449291B1 (ko) 자동차의 야간 후방시야 확보구조
JP2564604Y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