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660A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660A
KR19990059660A KR1019970079872A KR19970079872A KR19990059660A KR 19990059660 A KR19990059660 A KR 19990059660A KR 1019970079872 A KR1019970079872 A KR 1019970079872A KR 19970079872 A KR19970079872 A KR 19970079872A KR 19990059660 A KR19990059660 A KR 1999005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suction
hermetic compressor
resonance
suction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660A/ko
Publication of KR1999005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660A/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 냉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 베이스와; 상기 머플러 베이스에 삽입되는 삽입공을 중심으로 "디귿"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머플러 바디와,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머플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몸체에,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까지 연장되는 공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 냉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 밀폐형 압축기 역시 고용량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그에 따라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소음 저감을 위한 개량이 지속되고 있다.
그 주요 기술의 하나는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 가스를 흡입 머플러를 통하여 직접 실린더 내부로 흡입되게 하는 기술로, 흡입 머플러의 구성에 따라, 압축기의 소음 및 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밀페형 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및 흡입 머플러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케이스(1, 1')의 내부에, 고정자(21)와 회전자(22)로 이루어지는 전동기구부(2)와, 회전자(22)의 중앙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 샤프트(31)의 회전 동작에 의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토출시키는 압축기구부(3)로 구성된다.
압축기부(3)는, 냉매 가스의 압축공간을 이루는 실린더 블록(32)과, 크랭크 샤프트(101)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블록(32)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3)과, 실린더 블록(32)에 체결되어 흡입 및 토출 영역을 구분해 주는 실린더 헤드(34)와, 실린더 블록(32)과 실린더 헤드(34)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 기구가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3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 헤드(34)의 흡입측에는 흡입 머플러(4)가 설치된다.
흡입 머플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35)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 흡입공(35a)과 연통되도록 실린더 헤드(34)에 삽입 고정되는 머플러 베이스(41)와, 머플러 베이스(41)의 상부에 결합되는 머플러 바디(42)와 머플러 바디(42)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43) 및 머플러 바디(42)와 커버(43)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44)로 구성된다.
머플러 바디(42)의 하부에는, 머플러 베이스(41)에 삽입되는 삽입공(42a)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를 이루는 제 1 공명실(4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 하부로는 냉매 흡입관(37)이 연결되는 냉매 흡입부(42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공명실(42b)의 상부에는, 몸체(44a)의 중앙에 연통공(44b)이 형성되어 있는 배플(44)이 설치되어 상부의 제 2 공명실(42c)과 구획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냉각 시스템으로부터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 가스는 냉매 흡입관(37)을 통해 흡입 머플러(4)의 제 2 공명실(42c)로 유입된다.
제 2 공명실(42c)은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과정에서 생기는 흡입 맥동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제 2 공명실(42c)에 유입된 냉매는 제 1 공명실(42b) 및 머플러 베이스(41)를 통해 냉매 흡입공(35a)으로 유입되어 압축 토출된다.
한편, 밸브의 개폐 작동이나 피스톤의 작동 과정중 발생되는 소음은 제 1 공명실(42b)에서 1차적으로 저감된 후, 제 2 공명실(42c)에서 저감된다.
공명실에서 저감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개략적으로 다음의 식으로 계산된다.
f = c / 4L
상기 식에서 f는 공명 주파수(Hz)이고, c는 냉매의 유속(m/s)이며, L은 공명 길이(m)이다.
미설명 부호 42e는 압축기 정지시 흡입 머플러내에 오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배출공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흡입 머플러에 의하면, 제 1 공명실에 흡입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머플러 베이스(41)의 벽면과 접촉하며 온도가 올라가 비체적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흡입되는 냉매의 양이 작아져 냉동 능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명실의 형상이 단순하여, 소음 저감 주파수 대역이 그리 넓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과 동시에 흡입 냉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흡입 머플러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머플러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흡입 머플러 41: 머플러 베이스
42: 머플러 바디 43: 커버
44: 배플 42b: 제 1 공명실
42c: 제 2 공명실 44c: 공명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는, 머플러 베이스와; 상기 머플러 베이스에 삽입되는 삽입공을 중심으로 "디귿"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머플러 바디와,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머플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몸체에,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까지 연장되는 공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의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확대 단면도로, 머플러 베이스(41), 머플러 바디(42), 커버(43)의 구성은 종래와 다를 바 없으나, 배플(44)의 몸체(44 a)에 제 1 공명실(42b) 내부까지 연장되는 공명부(44c)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공명부(44c)의 내측벽의 하부는 머플러 바디의 하부에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제 1 공명실(42b) 중간의 삽입공(42a) 외벽에 삽입된다.
공명부(44c)의 내측벽에는 단차부(44d)를 형성하고, 좌우측에 형성되는 공명부(44c)의 길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공명 주파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플(44)을 머플러 바디에 설치하게 되면, 공명부(44c) 및 공명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44d)에 의해 제 1 공명실(42b) 및 제 2 공명실(42c)에는 다양한 길이의 공명부가 형성되게 되므로 넓은 주파수 범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공명실(42a)이 상대적으로 고온인 머플러 베이스(41)의 상부에 형성되어 머플러 베이스로부터의 열전도가 최소한으로 억제되며, 공명부(44c)내부의 냉매가스로의 열전도 역시 공명부의 벽체에 의해 어느 정도 차단되므로, 냉매 가스의 온도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매 가스의 비체적 증가에 의한 냉동 능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의하면,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시킬 수 있으며, 흡입 냉매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여 비체적 증가에 의한 토출량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및 에어컨 등의 공조장치의 저소음화 및 고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머플러 베이스와; 상기 머플러 베이스에 삽입되는 삽입공을 중심으로 "디귿"자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머플러 바디와,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몸체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머플러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몸체에, 상기 머플러 바디의 상기 "디귿"자형 공간부 까지 연장되는 공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19970079872A 1997-12-31 1997-12-3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9990059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72A KR19990059660A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72A KR19990059660A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660A true KR19990059660A (ko) 1999-07-26

Family

ID=6618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872A KR19990059660A (ko) 1997-12-31 1997-12-3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6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79B1 (ko) 압축기용 머플러
EP1304480B1 (en) Compressor suction muffler
US5203679A (en) Resonator for hermetic rotary compressor
US9080562B2 (en) Suction arrangement for a hermetic refrigeration compressor
KR20000050706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WO2008069334A1 (en) Refrigerant compressor
JP2006144729A (ja) 密閉型圧縮機
EP2580475B1 (en) A hermetic compressor
KR19990059660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US7014430B2 (en) Cylinder assembly for compressors, compressor with the cylinder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ncluding the compressor
KR10043676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6374943B1 (en) Baffle plate of discharge muffler for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296581B1 (ko) 압축기의흡입머플러
JP4056620B2 (ja) 密閉型圧縮機
KR100398678B1 (ko)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0244379B1 (ko)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장치
KR19980058625U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JP3572959B2 (ja) 横置形回転式圧縮機
KR1003086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JPH04219488A (ja) 密閉型回転圧縮機
KR960001878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헤드커버 조립체
KR96000775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기구조
KR20016392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 저감 구조
KR960003413Y1 (ko) 밀폐형 냉동압축기의 흡입소음기 구조
KR900002445Y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소음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